KR20180088297A - 엘리베이터 종단을 위한 순응성 전단 층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종단을 위한 순응성 전단 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297A
KR20180088297A KR1020180009125A KR20180009125A KR20180088297A KR 20180088297 A KR20180088297 A KR 20180088297A KR 1020180009125 A KR1020180009125 A KR 1020180009125A KR 20180009125 A KR20180009125 A KR 20180009125A KR 20180088297 A KR20180088297 A KR 20180088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suspension member
shear element
complian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6863B1 (ko
Inventor
토마스 슈미트 월터
씨. 람포네 조셉
에이. 모셔 다니엘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80088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66B7/085Belt termin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2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부재를 위한 종단 장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치된 쐐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쐐기 어셈블리는 하우징과 상호 작용하는 쐐기를 포함하여 서스펜션 부재에 작용하는 축 방향 하중에 응답하여 서스펜션 부재에 클램핑력을 가하고, 쐐기 또는 서스펜션 부재에 고정되고 서스펜션 부재의 전단 하중을 감소 시키도록 구성된 순응 전단 요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종단을 위한 순응성 전단 층{COMPLIANT SHEAR LAYER FOR ELEVATOR TERMINA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부재들의 종단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는 승강로(hoistway)를 따라 움직이는 일반적으로 로프(rope) 또는 벨트(belt)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서스펜션 부재(suspension member)들에 의해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 카(elevator car)가 포함된다. 서스펜션 부재는 하나 이상의 장력 부재들(tension members)을 포함하고, 드라이브 시브(drive sheave)로 알려진 하나의 시브가 기계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시브에 라우팅(routing) 된다. 기계는 드라이브 시브와 서스펜션 부재의 상호 작용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의 움직임을 유도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또한 통상적으로 상기 서스펜션 부재와 상호 작용하는 평행추(counterweight)를 포함한다. 서스펜션 부재의 하나 이상의 단부(end)가 종단(termination)되거나 승강로에 유지된다.
엘리베이터 로프 또는 벨트 종단은 일반적으로 로프 또는 벨트를 쐐기(wedge) 주위로 감싸는 기능, 또는 로프 또는 벨트 종단은 일반적으로 로프의 개별 와이어를 펼치고 펼친 와이어를 소켓에 넣고 바비트(babbitt) 또는 에폭시-기반 포팅 화합물(epoxy-based potting compound)과 같은 재료로 포팅하여 손잡이를 만드는 기능에 의존한다. 이러한 전형적인 방법은 강성 매트릭스에서 단방향 섬유로 형성되거나 그로부터 형성된 장력 부재를 이용하는 서스펜션 부재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배열에서, 장력 부재는 전형적인 쐐기 반경을 중심으로 구부러지면 부서질 것이며, 섬유는 포트 배열(potted arrangement)로 이용되도록 펼쳐지거나 구부릴 수 없다. 이러한 변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서스펜션 부재를 종단하는 방법은 현저한 공간을 차지하고 서스펜션 부재를 유지하기 위해 비교적 높은 클램핑력(clamping force)을 요구한다. 이러한 방법은 과체중(undertightening)이 되기 쉽고, 그 결과 서스펜션 부재의 미끄러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섬유 장력 부재를 갖는 벨트는 전형적으로 쐐기-기반 종단의 실질적인 직선 부분을 포획함으로써 종결된다. 이러한 종단은 높은 클램핑력을 이용하여 벨트에서, 특히 장력 부재와 장력 부재를 둘러싸는 계면에서 높은 전단 스트레스를 초래한다. 높은 전단 스트레스는 재킷/장력 부재 계면에서 벨트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부재를 위한 종단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된 쐐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쐐기 어셈블리는 하우징과 상호 작용하는 쐐기를 포함하여 서스펜션 부재에 작용하는 축 방향 하중에 응답하여 서스펜션 부재에 클램핑력을 가하고, 쐐기 또는 서스펜션 부재에 고정되고 서스펜션 부재상의 전단 하중을 감소 시키도록 구성된 순응성 전단 요소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또는 다른 실시 예들에서, 순응성 전단 요소는 쐐기 내측면에 고정되고 서스펜션 부재에 접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또는 다른 실시 예들에서, 쐐기 어셈블린는 쐐기 내측면에 대향하는 쐐기 외측면을 포함하고, 쐐기 외측면은 하우징 내측면과 접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또는 다른 실시 예들에서, 순응성 전단 요소는 접착제, 기계적 체결구 또는 기계적 결합 피쳐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쐐기 또는 서스펜션 부재 중 하나에 고정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또는 다른 실시 예들에서, 순응성 전단 요소는 0.025 및 1.0 기가 파스칼 범위의 강성을 갖는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또는 다른 실시 예들에서, 순응성 전단 요소는 순응성 전단 요소와 서스펜션 부재 사이에 원하는 마찰력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마찰-향상 피쳐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강로, 승강로에 위치한 엘리베이터 카, 승강로를 따라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 및/또는 주행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서스펜션 부재, 및 승강로 내에 위치되고 상기 서스펜션 부재의 서스펜션 부재 단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종단 장치를 포함한다. 종단 장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위치된 쐐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쐐기 어셈블리는 하우징과 상호 작용하는 쐐기를 포함하여 서스펜션 부재에 작용하는 축 방향 하중에 응답하여 서스펜션 부재에 클램핑력을 가하고, 쐐기 또는 서스펜션 부재에 고정되고 서스펜션 부재 상의 전단 하중을 감소 시키도록 구성된 순응성 전단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또는 다른 실시 예들에서, 순응성 전단 요소는 쐐기 내측면에 고정되고 서스펜션 부재에 접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쐐기 어셈블리는 쐐기 내측면과 마주하는 쐐기 외측면을 포함하고, 쐐기 외측면은 하우징 내측면과 접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순응성 전단 요소는 접착제, 기계적 체결구 또는 기계적 결합 피쳐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쐐기에 고정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또는 다른 실시 예들에서, 순응성 전단 요소는 0.025 및 1.0 기가 파스칼 범위의 강성을 갖는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순응성 전단 요소는 순응성 전단 요소와 서스펜션 부재 사이에 원하는 마찰력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마찰-향상 피처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또는 다른 실시 예들에서, 서스펜션 부재는 서스펜션 부재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장력 요소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장력 요소는 중합체 매트릭스에 결합된 서스펜션 부재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섬유들 및 복수의 장력 부재를 실질적으로 보유하는 재킷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또는 다른 실시 예들에서, 복수의 섬유는 탄소, 유리,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또는 아라미드 물질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또는 다른 실시 예들에서, 순응성 전단 요소는 복수의 장력 요소와 재킷 사이의 전단력을 감소 시키도록 구성된다.
주제는 특히 명세서의 결론에서 지적되고 뚜렷하게 청구된다. 본 개시 물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도 1은 예시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용 벨트의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벨트 용 장력 요소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벨트에 대한 종단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종단의 일부 실시 예에서의 전단 스트레스 감소의 개략적인 그래픽 표현이다;
도 6은 종단 쐐기에 전단 요소를 부착 한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마찰 향상 피쳐들의 실시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예시적인 트랙션 엘리베이터 시스템(traction elevator system)(10)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요구되지 않는 (가이드 레일, 안전 장치 등과 같은)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특징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벨트(16)로 승강로(14)에 작동 가능하게 매달린 또는 지지되는 엘리베이터 카(12)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벨트(16)는 하나 이상의 시브(sheave)(18)와 상호 작용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다양한 구성 요소 주위로 라우팅(routing) 된다. 하나 이상의 벨트(16)는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균형을 돕고 작동 중에 트랙션 시브의 양 측면상의 벨트 장력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데 사용되는 평행추(22)에 연결될 수 있다.
시브(18)들은 각각 직경(20)을 가지며, 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 내의 다른 시브(18)들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시브 중 적어도 하나는 트랙션 시브(24)가 될 수 있다. 트랙션 시브(24)는 기계(26)에 의해 구동된다. 기계(26)에 의한 구동 시브의 움직임은 트랙션 시브(24) 주위로 라우팅되는 하나 이상의 벨트(16)를 구동(drive), 이동(move) 및/또는 추진(propel)(트랙션을 통해)한다.
시브(18)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환기(diverter), 디플렉터(deflector) 또는 아이들러 시브(idler sheave)일 수 있다. 전환기, 디플렉터 또는 아이들러 시브는 기계(26)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 주위의 하나 이상의 벨트 (16)를 가이드 하는 것을 돕는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엘리베이터 카(12)를 정지(suspending) 및/또는 구동(driving)시키기 위해 2개 이상의 벨트(16)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벨트(16)의 양측이 하나 이상의 시브(18)와 결합하거나 하나 이상의 벨트(16)의 한 측만이 하나 이상의 시브(18)와 결합하도록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의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벨트(16)가 카(12) 및 평행추(22)에서 끝나는 1:1 로핑 배열(roping arrangement)을 도시하는 반면, 다른 실시 예에서는 다른 로핑 배열을 이용할 수도 있다.
벨트(16)는 하나 이상의 시브(18)를 통과할 때 충분한 유연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낮은 굽힘 스트레스를 제공하고, 벨트 수명 요구를 충족하며 부드러운 작동을 가지며, 카(12)를 정지 및/또는 주행하기 위한 강도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강하다.
도 2는 예시적인 벨트(16) 구조 또는 디자인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제공한다. 벨트(16)는 벨트(16)를 따라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장력 요소(tension element)(28)들을 포함한다. 도 2의 실시 예에서의 장력 요소(28)들은 단면이 직사각형이지만, 다른 실시 예에서는 원형과 같은 다른 횡단면 형상이 이용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장력 요소(28)들은 일부 실시 예에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과 같은 중합체 재료로 형성된 자켓(jacket)(4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 싸일 수 있다. 벨트(16)는 벨트 폭(30)과 벨트 두께(32)를 가지며, 벨트 폭(30) 대 벨트 두께(32)의 종횡비가 1보다 크다. 벨트(16)는 트랙션 시브(24) 및 트랙스 측면(34)에 대향하는 배면 측면(36)과 상호 작용하는 트랙션 측면(34)을 형성한다. 벨트(16)는 또한 견인 측면(34)과 배면 측면(36) 사이에서 연장되는 벨트 에지(38)를 형성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장력 요소(28)들은 중합체 매트릭스(42)에 결합되어 장력 요소(28)를 형성하는 복수의 섬유(40)들을 포함한다. 섬유(40)들은 벨트(16) 길이에 걸쳐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인 또는 연속적이고 불연속적인 조합이고, 일반적으로 섬유(40) 길이가 벨트(16) 길이를 따라 지향되도록 배향된다. 섬유(40)는 탄소(carbon), 유리(glass),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나일론(nylon), 아라미드(aramid) 또는 다른 폴리이미드(polyimide) 재료와 같은 다수의 재료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섬유(40)들은 방적사(spun yarn)와 같은 그룹으로 편성될 수 있다. 매트릭스(42)는 예를 들어 열경화성(thermoset) 또는 열가소성(thermoplastic) 재료로 형성 될 수 있다. 장력 요소(28)는 부피당 30-70% 섬유(40)들의 섬유(40) 밀도를 갖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섬유(40)들은 크기, 길이 또는 둘레가 변할 수 있고, 또한 선택된 최대 섬유(40) 밀도를 제공하도록 의도적으로 변화 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종단(termination)(46)의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벨트(16)의 벨트 단부(48)는 도 1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12) 또는 평행추(22)에서 종단(46)에 설치되어 유지된다. 종단(46)은 하우징(50)을 포함하며, 하우징 내측면(52)은 벨트 단부(48)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벨트(16)를 향해 내측으로 점점 가늘어 진다. 쐐기(54)는 하우징 내측면(52)과 벨트(16) 사이의 하우징(50)에 설치된다. 몇몇 종단(46)들에서, 2 개의 쐐기(54)가 하우징(50)에 배치되고, 다른 실시 예에서는 단일 쐐기(54)가 이용된다. 하우징 내측면(52)과 벨트(16)의 트랙션 표면(34) 사이에 제1 쐐기(54)가 설치되며, 제1 쐐기 (54)는 트랙션 표면(34)과 상호 작용한다. 또한, 제2 쐐기(54)는 하우징 내측면(52)과 벨트(16)의 배면 표면(36) 사이에 설치되고 배면 표면(36)과 상호 작용한다. 가장자리 쐐기(54)는 하우징 내측면(52)과 접하고 하우징 내측면(52)과 상보적인(complimentary) 테이퍼(taper)를 갖는 쐐기 외측면(58)을 포함한다. 쐐기(54)는 쐐기 외측면(58)에 대향하는 쐐기 내측면(60)을 더 포함한다.
전단 요소(shear element)(62)는 쐐기 내측면(60)과 벨트(16) 사이에 위치한다. 전단 요소(62)는 특히 장력 요소(28)들과 재킷(44) 사이의 계면에서 벨트(16) 상의 전단 하중을 완화 시키도록 구성되어, 계면의 손상 또는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이 계면에서 전단 레벨을 감소시킨다. 전단 요소(62)는 순응 요소(compliant element)이며, 예를 들어 열가소성 우레탄(TPU),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전단 요소(62)의 강성은 약 0.025 내지 1.0 기가 파스칼(Giga Pascals) 사이이다.
도 5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적 전단 스트레스는 컴플 순응 재료의 전단 요소(62)를 사용하여 크게 감소된다. 라인(line)(64)은 강철 쐐기(54)가 벨트(16)에 접하는 상태에서 전단 요소가 없는 형태의 동적 전단 스트레스를 나타낸다. 라인(66)은 1.0 GPa의 강성을 갖는 전단 요소(62)의 사용을 나타내고, 라인(68)은 약 0.1 GPa의 강성을 갖는 전단 요소(62)의 사용을 나타낸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전단 요소(62)는 쐐기 내측면(60)에 고정된다. 전단 요소(62)는 예를 들어 접착제(adhesives), 기계적 체결구(mechanical fasteners) 또는 쐐기 내측면(60) 및 전단 요소(62) 상의 기계적 결합 특징(mechanically interlocking features)에 의해 쐐기 내측면(6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도 6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쐐기 내측면(60) 상의 하나 이상의 슬롯(slot)(72)과 결합 할 수 있는 전단 요소(62) 상의 하나 이상의 탭(tab)(70)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하나 이상의 탭(70)이 쐐기 내측면(60)에 위치되고 하나 이상의 슬롯(72)이 전단 요소(62)에 위치되도록 이러한 배열이 역전 될 수 있음을 쉽게 알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특징들의 크기, 형상 및 방향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다른 구성이 쐐기 내측면(60)에서 전단 요소(62)를 유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전단 요소(62)는 유사한 수단을 통해 승강로(14)에 설치되는 동안 벨트(16)에 접착될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재킷(44)과 인터페이스 하는 전단 요소 내측면(74)은 전단 요소(62)와 벨트(16) 사이에 원하는 마찰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마찰-향상 피처(friction-enhancing feature)(76)들을 포함한다. 마찰-향상 피쳐(7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루브들(grooves), 리지들(ridges) 또는 패싯 요소들(faceted elements)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 될 수 있다. 도시된 마찰-향상 피쳐(76)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다른 형태의 마찰-향상 피처(76)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고려될 수 있다.
전단 요소(62)는 재킷(44) 및 장력 요소(28) 인터페이스에서의 전단력(shear forces)을 감소 시키므로 계면의 손상 및/또는 파손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종단(46)에서 전단 요소(28)의 미끄러짐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단지 제한된 수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는 그러한 개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쉽게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본 개시물은 지금까지 기술되지 않았지만 정신 및/또는 범위에 상응하는 임의의 수의 변형, 변경, 대체 또는 등가의 구성을 포함하도록 변형 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양태는 설명된 실시 예 중 일부만을 포함 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는 전술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15)

  1.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의 서스펜션 부재(suspension member)를 위한 종단 장치(termination device)에 있어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쐐기 어셈블리(wedge assembly)를 포함하고,
    상기 쐐기 어셈블리는,
    상기 서스펜션 부재에 작용하는 축 방향 하중에 대응하여 상기 서스펜션 부재에 클램핑력(clamping force)을 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과 상호 작용하는 쐐기; 및
    상기 쐐기 또는 상기 서스펜션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서스펜션 부재상의 전단 하중(shear loads)을 감소 시키도록 구성된 순응성 전단 요소(compliant shear element)를 포함하는 종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응성 전단 요소는 쐐기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서스펜션 부재에 접하도록(abut) 구성되는 종단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쐐기 어셈블리는 상기 쐐기 내측면에 대향하는 쐐기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쐐기 외측면은 하우징 내측면과 접하는 종단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응성 전단 요소는 접착제(adhesive), 기계적 체결구(mechanical fastener) 또는 기계적 결합 피처(mechanically interlocking feature)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쐐기 또는 상기 서스펜션 부재 중 하나에 고정되는 종단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응성 전단 요소는 0.025 및 1.0 기가 파스칼 범위의 강성을 갖는 종단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응성 전단 요소는 상기 순응성 전단 요소와 상기 서스펜션 부재 사이에 원하는 마찰력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마찰-향상 피처(friction-enhancing feature)를 포함하는 종단 장치.
  7.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에 있어서,
    승강로(hoistway);
    상기 승강로 내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카(elevator car);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승강로를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 및/또는 주행시키기 위한 서스펜션 부재(suspension member); 및
    상기 승강로 내에 배치되며 상기 서스페션 부재의 서스펜션 부재 단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종단 장치(termination device)를 포함하고,
    상기 종단 장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쐐기 어셈블리(wedge assembly)를 포함하고,
    상기 쐐기 어셈블리는,
    상기 서스펜션 부재에 작용하는 축 방향 하중에 대응하여 상기 서스펜션 부재에 클램핑력(clamping force)을 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과 상호 작용하는 쐐기; 및
    상기 쐐기 또는 상기 서스펜션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서스펜션 부재상의 전단 하중(shear loads)을 감소 시키도록 구성된 순응성 전단 요소(compliant shear element)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순응성 전단 요소는 쐐기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서스펜션 부재에 접하는(about)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쐐기 어셈블리는 상기 쐐기 내측면에 대향하는 쐐기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쐐기 외측면은 하우징 내측면과 접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순응성 전단 요소는 접착제(adhesive), 기계적 체결구(mechanical fastener) 또는 기계적 결합 피처(mechanically interlocking feature)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쐐기에 고정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순응성 전단 요소는 0.025 및 1.0 기가 파스칼 범위의 강성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순응성 전단 요소는 상기 순응성 전단 요소와 상기 서스펜션 부재 사이에 원하는 마찰력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마찰-향상 피처(friction-enhancing feature)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부재는 상기 서스펜션 부재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장력 요소(tension element)들을 포함하고,
    각 장력 요소는 중합체 매트릭스에 결합된 상기 서스펜션 부재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섬유(fiber)들; 및 복수의 장력 요소들을 실질적으로 보유하는 재킷(jacket)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섬유는 탄소(carbon), 유리(glass),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나일론(nylon) 또는 아라미드(aramid) 물질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순응성 전단 요소는 상기 복수의 장력 요소들과 상기 재킷 사이의 전단력(shear forces)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180009125A 2017-01-26 2018-01-25 엘리베이터 종단을 위한 순응성 전단 층 KR102566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15,980 US11111105B2 (en) 2017-01-26 2017-01-26 Compliant shear layer for elevator termination
US15/415,980 2017-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297A true KR20180088297A (ko) 2018-08-03
KR102566863B1 KR102566863B1 (ko) 2023-08-16

Family

ID=61024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125A KR102566863B1 (ko) 2017-01-26 2018-01-25 엘리베이터 종단을 위한 순응성 전단 층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11105B2 (ko)
EP (1) EP3366630B1 (ko)
KR (1) KR102566863B1 (ko)
CN (1) CN108358020B (ko)
AU (1) AU2018200590B2 (ko)
HK (1) HK12591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18525B1 (en) * 2016-11-07 2020-06-1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suspension member termination
EP3330210B1 (en) * 2016-12-02 2019-08-0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suspension member termination with improved pressure distribution
AU2018202726B2 (en) * 2017-04-20 2023-09-2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belt with fabric tension member
US10562740B2 (en) * 2017-09-15 2020-02-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oad bearing termination assembly for carbon fiber belt
KR102513074B1 (ko) * 2018-07-20 2023-03-2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로프 단말 구조체
EP3725725B1 (en) * 2019-04-17 2022-02-09 KONE Corporation Rope gripping member of a hoisting apparatus, rope gripping device, terminal arrangement and hoisting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57298A1 (de) * 1974-11-29 1976-06-10 Banyaszati Tervezoe Seilsystem und seilklemme zu hubvorrichtungen, besonders zu treibscheibenschachtfoerderanlagen
US20160355378A1 (en) * 2015-06-08 2016-12-08 Kone Corporation Rope terminal arrangement and an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018796A (ko) 1970-12-24 1972-06-27
FR2648846B1 (fr) * 1989-06-27 1991-09-20 Chaize Alain Dispositif de blocage pour armature allongee sous tension
JP2803974B2 (ja) * 1993-07-30 1998-09-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US5636717A (en) * 1996-06-04 1997-06-10 Cardenas; Richard A. Brake shoe assembly
US5979615A (en) * 1997-11-06 1999-11-09 Otis Elevator Company Carbon--carbon composite elevator safety brakes
US6371261B1 (en) * 1997-11-06 2002-04-16 Otis Elevator Company Molybdenum alloy elevator safety brakes
US6256841B1 (en) 1998-12-31 2001-07-10 Otis Elevator Company Wedge clamp type termination for elevator tension member
US6244396B1 (en) * 1999-07-28 2001-06-12 Avid, Llc Brake block for a bicycle having replaceable brake pad segments
JP2001192184A (ja) * 2000-01-11 2001-07-1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非常止め装置
US6994487B2 (en) 2001-04-18 2006-02-0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oad bearing termination assembly
US6662408B2 (en) 2001-09-07 2003-12-1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oad bearing termination assembly with gripping inserts
EP1668202A1 (en) 2003-10-03 2006-06-14 University Of Waterloo Tension anchorage system
ES2319911T3 (es) * 2004-09-13 2009-05-14 Inventio Ag Conexion de extremo de medio de suspension para fijar un extremo de un medio de suspension en una instalacion de ascensor y procedimiento para fijar un extremo de un medio de suspension en una instalacion de ascensor.
JP2007031148A (ja) * 2005-07-22 2007-02-08 Inventio Ag エレベータ装置において支持手段の端部を締結する支持手段端部接続部、支持手段端部接続部を有するエレベータ装置、エレベータ装置において支持手段の端部を締結する方法
US20070240941A1 (en) * 2005-12-21 2007-10-18 Daniel Fischer Brake shoe for use in elevator safety gear
EP2077971B1 (en) 2006-08-29 2014-01-0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oad bearing termination assembly
JP4561778B2 (ja) * 2007-06-04 2010-10-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用非常止め装置
US7963078B1 (en) * 2007-09-25 2011-06-21 Sorkin Felix L Compression cap sheathing lock
GB2458001B (en) * 2008-01-18 2010-12-08 Kone Corp An elevator hoist rope, an elevator and method
CA2769575C (en) 2009-08-12 2014-03-25 Tokyo Rope Manufacturing Co., Ltd. End anchoring structure and method for fiber-reinforced plastic filament body
WO2012108872A1 (en) 2011-02-11 2012-08-16 Otis Elevator Company Termination assembly
US9840397B2 (en) * 2012-11-29 2017-12-12 Inventio Ag Elevator installation
FI124543B (en) * 2012-12-30 2014-10-15 Kone Corp Rope clamp assembly and elevator
US9157504B2 (en) 2013-05-20 2015-10-13 Kyokuto Kogen Concrete Shinko Co., Ltd. Anchoring device for filament body made of fiber reinforced plastic
EP2851325B1 (en) * 2013-09-24 2016-09-14 KONE Corporation A rope terminal assembly and an elevator
EP2860142B1 (en) 2013-10-10 2016-09-14 KONE Corporation A rope terminal assembly and an elevator
EP2878563B1 (en) * 2013-11-29 2017-03-22 KONE Corporation A rope terminal assembly and an elevator
EP3040301B1 (en) * 2014-12-30 2017-07-05 KONE Corporation A rope terminal assembly and a hoisting apparatus
EP3070042A1 (en) * 2015-03-16 2016-09-21 Kone Corporation A rope terminal arrangement and an elevator
EP3127850A1 (en) * 2015-08-07 2017-02-08 Kone Corporation A method a rope terminal arrangement and an elevator
EP3187451A1 (en) * 2016-01-04 2017-07-05 KONE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pe terminal equip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pe terminal arrangement and elevator
EP3199482A1 (en) * 2016-02-01 2017-08-02 Kone Corporation Rope terminal device, rope terminal arrangement and elevator
EP3330210B1 (en) 2016-12-02 2019-08-0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suspension member termination with improved pressure distribution
CN108217384B (zh) * 2016-12-14 2021-07-06 奥的斯电梯公司 具有约束的电梯系统悬挂构件端接
US10214385B2 (en) * 2017-01-25 2019-02-2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rake wed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57298A1 (de) * 1974-11-29 1976-06-10 Banyaszati Tervezoe Seilsystem und seilklemme zu hubvorrichtungen, besonders zu treibscheibenschachtfoerderanlagen
US20160355378A1 (en) * 2015-06-08 2016-12-08 Kone Corporation Rope terminal arrangement and an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58020A (zh) 2018-08-03
KR102566863B1 (ko) 2023-08-16
EP3366630B1 (en) 2019-10-30
US20180208436A1 (en) 2018-07-26
AU2018200590B2 (en) 2023-10-26
US11111105B2 (en) 2021-09-07
AU2018200590A1 (en) 2018-08-09
CN108358020B (zh) 2021-08-20
HK1259106A1 (zh) 2019-11-22
EP3366630A1 (en)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6863B1 (ko) 엘리베이터 종단을 위한 순응성 전단 층
CN108217384B (zh) 具有约束的电梯系统悬挂构件端接
CN109502453B (zh) 用于碳纤维带的电梯承载端接组件
CN108147254B (zh) 具有改进的压力分布的电梯系统悬挂构件端接部
JP718716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用のベルト、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AU2018202726A1 (en) Elevator system belt with fabric tension member
KR20170030065A (ko) 엘리베이터 인장 부재
JP2018177533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ベルトのためのテンション部材
EP3470356B1 (en) Compact belt termination assembly
KR102485706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서스펜션 부재 종단
KR102657801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현수 부재
FI125125B (fi) Järjestely hississ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