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872A -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872A
KR20180086872A KR1020170010868A KR20170010868A KR20180086872A KR 20180086872 A KR20180086872 A KR 20180086872A KR 1020170010868 A KR1020170010868 A KR 1020170010868A KR 20170010868 A KR20170010868 A KR 20170010868A KR 20180086872 A KR20180086872 A KR 20180086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ack
gauze
nonwoven fabric
web
co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7950B1 (ko
Inventor
이상훈
김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우글로텍스
이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32277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08687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우글로텍스, 이상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우글로텍스
Priority to KR1020170010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9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6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팩 본체를 제조하되, 마스크팩 본체의 기능성, 즉 형태안정성과 유연성, 밀착성 및 보습성 등과 같은 마스크팩 제조에서 요구되는 조건을 충족하는 양질의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마스크팩 본체를 제조하되, 형태안정성과 유연성을 갖는 거즈와, 우수한 밀착성과 보습성을 갖는 얇은 부직포를 이상적으로 접합시켜 마스크팩 시트, 즉 거즈형 부직포를 얻고, 상기 거즈형 부직포를 재단하여 기능성을 만족하는 마스크팩 본체를 제조하고, 상기 마스크팩 본체에 피부미용 조성물을 함침시켜 마스크팩으로 사용케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MASK PACK FOR GAUZE TYPE NON-WOVEN FABRIC}
본 발명은 거즈와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형태안정성과 유연성을 갖는 거즈와, 우수한 밀착성과 보습성을 갖는 얇은 부직포를 접합시켜 거즈형 부직포를 얻고, 상기 거즈형 부직포를 재단하여 형태안정성과 유연성, 밀착성 및 보습성이 우수한 양질의 마스크팩 본체를 얻고, 상기 마스크팩 본체에 피부미용조성물을 함침시켜 마스크팩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미용을 위한 마스크팩은 마스크팩 본체 상에 피부미용조성물을 함침시켜 제조하게 되며, 피부미용을 위하여서는 마스크팩을 얼굴에 붙인 다음 일정시간 유지시킴으로서 피부미용조성물이 피부에 흡수되어 맑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게 하는 것이다.
피부미용조성물이 흡착되는 마스크팩 본체는 마스크팩 시트를 얼굴형상에 맞게 재단하여 사용하게 되며, 상기 마스크팩 시트는 부직포, 면포, 편직물 등 여러소재의 제품들이 제공되고 있다.
마스크팩에 관한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특허등록 제10-1195105호 "경편을 이용한 마스크팩용 원자재 및 그 제조방법"(특허문헌 1)과, 특허등록 제10-1602331호 "레이스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특허문헌 2)과, 공개특허 제10-2016-0109422호"은 나노입자가 포함된 마스크팩"(특허문헌 3)과, 실용신안등록 제20-0416534호 "마스크팩"(특허문헌 4) 등이 제공된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경편(經編)을 이용한 마스크팩용 원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섬도의 고급원사를 트리코트지로 제편하여 마스크팩용 원자재로 사용케 함으로서, 마사지액인 겔(gel)과의 융합성이 우수하면서 피부에 접촉되는 느낌과 밀착력이 탁월한 마스크팩을 제공할 뿐 아니라, 절단된 편포의 단부가 말리는 현상이 없도록 하여 작업성이 우수한 양질의 원자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2의 기술내용은,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망사로 이루어진 바닥 조직부 및 상기 망사의 구멍이 채워진 무늬 조직부로 구성되며, 상기 무늬 조직부의 두께는 상기 바닥 조직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레이스 시트; 및 상기 레이스 시트 상에 형성된 하이드로겔층을 포함하는,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3의 기술내용은 은 나노입자가 부직포인 마스크 본체의 내면에 포함되어 있어서, 피부 미백효과 및 살균효과가 우수하며, 은 나노입자가 화장액 내에 뭉쳐진 상태가 아니라 마스크 본체의 내면에 형성된 코팅층 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어서 피부 미백효과 및 살균효과가 얼굴 전체에 걸쳐 골고루 발현되게 한다는 것이다.
특허문헌 4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마스크팩을 사용할 때 피부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면이 은으로 코팅된 수지필름사로 이루어진 직조물을 채용함으로써, 양쪽 모두에 내용물이 있고, 마스크 팩의 피부와 접촉하는 팩 면을 은으로 내부 코팅하여 다루기 편하게 하고 무게를 주어서 얼굴에서 한 쪽으로 몰리거나 쏠리는 현상을 제거하였으며 두들겨서 마사지를 하거나 손으로 다루기 편하게 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경우 마스크팩 본체는 재단하는 마스크팩 시트가 편기로 제편한 편직물을 소재로 한 것이고, 특허문헌 3의 경우 부직포시트를 재단하여 마스크팩 본체를 제작한 것이고, 특허문헌 4의 경우에는 직기로 제직한 직물시트를 재단하여 마스크팩 본체를 제작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의 경우에도 사용되는 시트의 소재가 편직물, 부직포 및 직물로서 마스크팩 본체 제작시 소재 특성에 맞는 적절한 기능성을 기대할 수는 있겠으나, 형태안정성과 유연성, 밀착성 및 보습성 등과 같은 조건이 요구되는 이상적인 마스크팩 본체의 기능성을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는 것이었다.
특허등록 제10-1195105호 "경편을 이용한 마스크팩용 원자재 및 그 제조방법" 특허등록 제10-1602331호 "레이스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공개특허 제10-2016-0109422호"은 나노입자가 포함된 마스크팩" 실용신안등록 제20-0416534호 "마스크팩"
본 발명은 마스크팩 본체를 제조하되, 마스크팩 본체의 기능성, 즉 형태안정성과 유연성, 밀착성 및 보습성 등과 같은 마스크팩 제조에서 요구되는 조건을 충족하는 양질의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마스크팩 본체를 제조하되, 형태안정성과 유연성을 갖는 거즈와, 우수한 밀착성과 보습성을 갖는 얇은 부직포를 이상적으로 접합시켜 마스크팩 시트, 즉 거즈형 부직포를 얻고, 상기 거즈형 부직포를 재단하여 기능성을 만족하는 마스크팩 본체를 제조하고, 상기 마스크팩 본체에 피부미용 조성물을 함침시켜 마스크팩으로 사용케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마스크팩 시트, 즉 거즈형 부직포 제조를 위하여 망상의 면직물, 즉 거즈와 원면을 소면(carding)하여 얻어진 얇은 웹(web)을 일체형으로 접합하는 수단은, 니들펀칭이나 워터펀칭,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수단 등 여러수단들이 제공될 수 있겠으나, 발명에서는 워터펀칭을 채택하였다.
본 발명은 마스크팩 본체를 제조하되, 형태안정성과 유연성을 갖는 거즈와, 우수한 밀착성과 보습성을 갖는 얇은 부직포를 이상적으로 접합시켜 거즈형 부직포를 얻고, 상기 거즈형 부직포를 재단하여 기능성을 만족하는 마스크팩 본체를 제조하고, 상기 마스크팩 본체에 피부미용 조성물을 함침시켜 마스크팩으로 사용케 함으로서, 형태안정성과, 유연성, 밀착성 및 보습성이 우수한 고품질의 마스크팩을 얻을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제조공정 블럭도
도 2 : 본 발명 마스크팩 시트의 사시도
도 3 : 본 발명에 사용되는 거즈형 부직포의 분해상태도(단일부직포 사용)
도 4 : 본 발명에 사용되는 거즈형 부직포의 분해상태도(양면부직포 사용)
도 5 : 본 발명의 마스크팩 본체 구성도
도 6 : 본 발명에서 얻어진 마스크팩 본체의 견본사진
도 7 : 본 발명의 제조공정의 개략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마스크팩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상적인 조건을 갖는 마스크팩 시트, 즉 거즈형 부직포를 얻고, 상기 거즈형 부직포를 재단하여 마스크팩 본체를 얻고, 상기 마스크팩 본체에 피부미용 조성물을 함침시켜 고품질의 마스크팩을 제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마스크팩 본체는 마스크팩 시트, 즉 거즈형 부직포를 재단하여 얻어지며, 상기 거즈형 부직포는 형태안정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망사형태의 거즈와, 거즈와 일체형으로 결속되는 부직포로 구성된다.
부직포 제조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부직포 제조에는 천연섬유인 면을 사용하되, 필요한 경우 재생섬유나 합성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발명에서는 순면을 사용하였다.
면섬유는 목화로부터 얻어지는 솜, 즉 짧은 단섬유로서,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성성분은 셀롤로오스로 가는 실 모양의 섬유질이 나선형으로 겹쳐져 있고, 측면은 리본같은 천연꼬임이 형성되어 있어, 방적성과 엉킴성을 부여하며, 섬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어 흡습성과 보온성을 갖게 된다.
면섬유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과정은 널리 적용되고 있는 수단이나 간략히 설명하면 구매된 면섬유, 즉 원면을 혼타공정(S1)을 통하여 혼타하여 솜풀기를 함과 동시에 원면에 혼입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혼타공정을 통하여 솜풀기와 함께 원면에 함유된 이물질이 제거된 면섬유는 소면(carding)공정(S2)을 통하여 소면(carding)하여 얇은 막 상태의 웹(web)을 제조한다.
상기에서 얻어진 단일층의 웹은 두께의 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이러한 두께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복수층의 웹을 교차적층시킨 다음 연신공정(S3)을 통하여 연신(drafting)하여, 웹의 두께를 균일화함과 동시에, 용도에 적합하게 두께를 조정한다.
상기 두께의 측정은 통상적으로 단위면적(㎡)당 성형된 웹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연신공정(S3)을 통하여 원하는 두께로 제조된 웹은 습윤공정(S4)을 통하여 웹상태의 면섬유에 수분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후공정인 1차워터펀칭공정에서 면섬유의 반발을 억제시켜 효과적인 워터펀칭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습윤공정(S4)에서 습윤정도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성은 없다.
습윤공정(S4)을 거친 웹은 1차워터펀칭공정(S5)을 통하여 면섬유끼리 서로 엉켜진 얇은 부직포(10)를 얻는다.
상기 워터펀칭의 원리는 웹상태의 면섬유에 적절한 압력으로 물을 분사시키면 분사수 압력에 의해 면섬유가 서로 엉키게 되고, 이때 면섬유가 갖는 천연꼬임이 적절한 엉킴성을 부여하게 된다.
1차워터펀칭공정(S5)으로 얻어진 얇은 부직포(10)는 합지공정(S6)에서 거즈(20)와 합지시킨다.
상기 합지공정(S6)은 일측에서 공급되어 오는 부직포(10)와 거즈(20)를 중첩시킨 다음 후공정, 즉 2차워터펀칭기(80)로 소재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때 부직포(10)는 거즈(20) 일측에만 공급되게 하거나, 거즈(20)를 중심으로 상하 양측에 동시공급되게 할 수 있으며, 부직포(10)를 거즈(20) 일측, 혹은 양면에 공급할 것인가의 선택은 최종적으로 사용되어지는 마스크팩의 종류에 따라 선택된다.
합지공정(S6)을 통하여 합지된 적층소재(30)는 2차워터펀칭공정(S7)을 통하여 거즈(20)와 부직포(10)가 견고히 결속된다.
상기 2차워터펀칭공정(S7)은 여러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초기에는 분사수의 압력을 낮게 시작하여 분사수 압력을 점차 높여 거즈(20)와 부직포(10)의 결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처음에는 분사수 압력을 20㎏/㎝로 시작하여 50㎏/㎝, 100㎏/㎝, 150㎏/㎝의 순으로 점차 높여가며 워터펀칭을 실시하게 되며, 부직포의 두께에 따라 분사수의 압력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처리하게 된다.
상기 2차워터펀칭공정(S7)에서 부직포(10)에 분사수가 분사되면 분사수의 압력에 의해 부직포(10)를 구성하는 면섬유가 거즈(20)와 엉키면서 결속된다.
즉 거즈(20)는 경사(21)와 위사(22)가 교차되는 평직으로 제직하되, 조직의 밀도를 성글게 하여 공간부(23)가 형성되며, 상기한 구성의 거즈(20) 상면에 부직포(10)를 적층시킨 다음 워터펀칭기(80)를 통하여, 분사수를 분사시키면 분사수에 의해 면섬유의 일부가 공간부(23) 사이를 관통하여 아래로 빠져 내리면서, 부직포(10)가 거즈(20)를 중심으로 상하부 양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들이 일체형으로 결속된다.
2차워터펀칭공정(S7)을 통하여 거즈(20)와 부직포(10)가 일체형으로 결속되면 가압공정(S8)을 통하여 가압하게 된다.
즉, 가압공정(S8)에 설치된 가압롤러(50)를 통하여 부풀어진 부직포(10)를 압축시킴과 동시에, 거즈(20)를 중심으로 양면에 위치한 부직포(10)의 면섬유를 절곡시켜 경위사(21)(22)와 엉켜지게 함으로서, 부직포(10)는 일정한 두께로 압축되면서 거즈(20)와 더욱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지는 복합소재를 얻는다.
상기에서와 같이 2차워터펀칭공정(S7)을 통하여 거즈(20)와 부직포(10)가 일체형으로 결속된 복합소재를 얻고, 상기 복합소재를 가압공정(S8)에 구성된 가압롤러(50)로 가압하여 압축하고, 압축된 복합소재를 열풍건조기(70)로 건조하는 건조공정(S9)을 통하여 거즈(20)와 부직포(10)가 일체형으로 결속된 거즈형 부직포(40)가 제조된다.
상기에서 제조된 거즈형 부직포(40)는 롤상태로 권취하여 두었다가 별도의 재단공정을 통하여 마스크팩 본체(60)를 제작하거나, 롤상태로 권취하지 않고, 연속작업으로 재단공정과 연계시켜 마스크팩 본체(60)를 제작할 수 있게 함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마스크팩 본체(60)를 완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얻어진 마스크팩 본체(60)에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피부미용조성물을 함침시켜 마스크팩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즈(20)와 부직포(10)를 워터펀칭과정을 통하여 이들이 일체형으로 결속된 거즈형 부직포(40)를 얻고, 상기 거즈형 부직포(40)를 재단하여 마스크팩 본체(60)를 얻고, 상기 마스크팩 본체(60)에 다양한 기능성의 피부미용 조성물을 함침시켜 마스크팩을 제조사용케 함으로서, 거즈가 갖는 형태안정성 및 유연성과 함께, 부직포가 갖는 밀착성과 보습성 등이 우수한 고품질의 마스크팩을 얻을 수 있게 된다.
(S1)--혼타공정 (S2)--소면공정
(S3)--연신공정 (S4)--습윤공정
(S5)--1차워터펀칭공정 (S6)--합지공정
(S7)--2차워터펀칭공정 (S8)--가압공정
(S9)--건조공정 (10)--부직포
(20)--거즈 (21)--경사
(22)--위사 (23)--공간부
(30)--적층소재 (40)--거즈형 부직포
(50)--가압롤러 (60)--마스크팩 본체
(70)--열풍건조기 (80)--워터펀칭기

Claims (2)

  1. 마스크팩 본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솜풀기와 함께 원면에 혼입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혼타공정(S1)과, 상기 원면을 소면(carding)하여 얇은 막 상태의 웹(web)을 제조하는 소면공정(S2)과, 상기 웹(web)을 중첩한 다음 연신하여 균일한 두께의 웹을 제조하는 연신공정(S3)과, 상기 웹에 수분을 부여하는 습윤공정(S4)과, 상기 웹을 분사수로 분사하여 웹상태의 면섬유가 서로 엉키면서 결속되게 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1차워터펀칭(S5)과, 상기 부직포를 거즈와 합지하여 적층소재를 얻는 합지공정(S6)과, 상기 적층소재를 분사수로 분사하여 부직포가 거즈와 일체형으로 결속되게 하되, 분사수의 분사압력을 점차 높여 부직포와 거즈의 결속이 보다 견고히 결속되게 하는 2차워터펀칭공정(S7)과, 부직포와 거즈가 결속된 적층소재를 가압롤러로 가압하여, 부풀어진 부직포를 압축시킴과 동시에, 거즈를 중심으로 서로 엉키면서 압축되게 한 복합소재를 제조하는 가압공정(S8)과, 상기 복합소재를 건조하는 건조공정(S9)을 통하여 거즈형 부직포를 얻고, 상기 거즈형 부직포를 재단하여 마스크팩 본체를 얻고, 상기 마스크팩 본체에 피부미용조성물을 함침시켜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합지공정(S6)에서 거즈와 합지하는 부직포는 거즈 일측에 합지시킨 다음 2차워터펀칭공정을 통하여 거즈와 부직포가 결속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
KR1020170010868A 2017-01-24 2017-01-24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 KR101887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868A KR101887950B1 (ko) 2017-01-24 2017-01-24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868A KR101887950B1 (ko) 2017-01-24 2017-01-24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872A true KR20180086872A (ko) 2018-08-01
KR101887950B1 KR101887950B1 (ko) 2018-08-13

Family

ID=6322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868A KR101887950B1 (ko) 2017-01-24 2017-01-24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9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873B1 (ko) * 2019-08-14 2020-12-14 백일기 스펀레이스 공법을 포함하는 일괄공정에 의한 원면 부직포 제조방법
CN114454593A (zh) * 2021-12-20 2022-05-10 东华大学 一种含无机非织造网纱的复合碳纤维带的制备方法
WO2022118999A1 (ko) * 2020-12-02 2022-06-09 백일기 스펀레이스 공법을 포함하는 일괄공정에 의한 원면 부직포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715B1 (ko) 2018-08-31 2020-04-01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조성물
KR102161425B1 (ko) 2019-01-22 2020-10-05 김대원 극세레이온섬유와 탄성메쉬원단을 이용한 마스크팩시트의 제조장치
KR102239521B1 (ko) 2019-11-14 2021-04-12 김대원 복합형 탄성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KR102597677B1 (ko) * 2021-02-26 2023-11-02 홍울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534Y1 (ko) 2006-02-21 2006-05-16 주식회사 태평양의료기 마스크팩
JP2007312967A (ja) * 2006-05-25 2007-12-06 Ooba:Kk フェイス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314905A (ja) * 2006-05-24 2007-12-06 Unitika Ltd セルロース系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09486A (ja) * 2009-03-09 2010-09-24 Shiseido Co Ltd 化粧料含浸マスク用シート及びこのシートを使用した化粧料含浸マスク
KR101195105B1 (ko) 2012-05-18 2012-10-29 주식회사 제닉 경편을 이용한 마스크팩용 원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78639B1 (ko) * 2015-05-26 2015-12-17 김범욱 물티슈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KR101602331B1 (ko) 2013-09-16 2016-03-11 주식회사 제닉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20160109422A (ko) 2015-03-11 2016-09-21 김효영 은 나노입자가 포함된 마스크팩
KR101690569B1 (ko) * 2016-06-02 2016-12-29 (주)웰크론 밀착성 및 닦음성능이 우수한 미용 마스크팩 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534Y1 (ko) 2006-02-21 2006-05-16 주식회사 태평양의료기 마스크팩
JP2007314905A (ja) * 2006-05-24 2007-12-06 Unitika Ltd セルロース系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312967A (ja) * 2006-05-25 2007-12-06 Ooba:Kk フェイス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09486A (ja) * 2009-03-09 2010-09-24 Shiseido Co Ltd 化粧料含浸マスク用シート及びこのシートを使用した化粧料含浸マスク
KR101195105B1 (ko) 2012-05-18 2012-10-29 주식회사 제닉 경편을 이용한 마스크팩용 원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02331B1 (ko) 2013-09-16 2016-03-11 주식회사 제닉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20160109422A (ko) 2015-03-11 2016-09-21 김효영 은 나노입자가 포함된 마스크팩
KR101578639B1 (ko) * 2015-05-26 2015-12-17 김범욱 물티슈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KR101690569B1 (ko) * 2016-06-02 2016-12-29 (주)웰크론 밀착성 및 닦음성능이 우수한 미용 마스크팩 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873B1 (ko) * 2019-08-14 2020-12-14 백일기 스펀레이스 공법을 포함하는 일괄공정에 의한 원면 부직포 제조방법
WO2022118999A1 (ko) * 2020-12-02 2022-06-09 백일기 스펀레이스 공법을 포함하는 일괄공정에 의한 원면 부직포 제조방법
CN114454593A (zh) * 2021-12-20 2022-05-10 东华大学 一种含无机非织造网纱的复合碳纤维带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950B1 (ko) 201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950B1 (ko)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
US3081512A (en) Method of producing apertured nonwoven fabric
US3978257A (en) Internally adhesively bonded fibrous web
US3081514A (en) Foraminous nonwoven fabric
US4425126A (en) Fibrous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ing thermoplastic synthetic wood pulp fibers
CN106906569B (zh) 天然纤维与化学纤维多层梳理复合无纺布基材的制备方法
US29867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patterned webs
CN110582601B (zh) 具有不同孔组的纤维素纤维非织造织物
JP6423578B2 (ja) 積層不織布、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不織布製品
US5849647A (en) Hydrophilic cotton lap and products made from it
JP3934916B2 (ja) 伸縮性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573452B (zh) 用于软体家具的内衬
KR20090100298A (ko) 신축성 적층 시트
US3110609A (en) Cellulosic product
JP2015048569A (ja) 不織布及び該不織布の製造方法
JP5735739B2 (ja) ワンダーファブリック
JP2013241718A (ja) 多層繊維構造物
CN202220261U (zh) 一种纱布产品和水刺转鼓设备
CN106012289A (zh) 一种由竹原纤维制备无纺布的方法
KR102094388B1 (ko) 다층 스펀레이스 부직포 제조 방법, 장치 및 다층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CN108203859A (zh) 一种双面异色水刺非织造布及其制备方法
CN219010626U (zh) 水刺无纺布、复合无纺布及卫生吸收制品
KR102244606B1 (ko) 접합수단을 이용한 리프팅용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161425B1 (ko) 극세레이온섬유와 탄성메쉬원단을 이용한 마스크팩시트의 제조장치
RU145420U1 (ru) Двухслойное нетканое полотн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099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90328

Effective date: 2019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