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677B1 -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677B1
KR102597677B1 KR1020210026605A KR20210026605A KR102597677B1 KR 102597677 B1 KR102597677 B1 KR 102597677B1 KR 1020210026605 A KR1020210026605 A KR 1020210026605A KR 20210026605 A KR20210026605 A KR 20210026605A KR 102597677 B1 KR102597677 B1 KR 102597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ack
mugwort
woven fabric
beauty mask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2235A (ko
Inventor
홍울
Original Assignee
홍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울 filed Critical 홍울
Priority to KR1020210026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67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2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복수의 부직포 사이에 쑥가루 배치되도록 제조된 미용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용 마스크팩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직포의 섬유질이 고압수 분사 및 건조에 의해 엉켜 복수의 부직포가 분리되지 않으면서 복수의 부직포 사이에 위치하는 쑥가루 역시 섬유질과 엉켜 미용 마스크팩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미용 마스크팩을 제공함으로써, 미용 마스크팩 사용시 쑥가루가 미용 마스크팩으로부터 떨어질 염려가 없어 뛰어난 사용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화장품 성분과 쑥의 성분이 온전히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골고루 흡수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부직포와 천연 재료인 쑥가루로 미용 마스크팩을 구성하여 각종 피부 부작용을 방지하면서 쑥이 제공하는 효능인 피부 미백, 피부 노화 억제, 주름 개선, 각종 피부 질환 완화, 알레르기, 피부 면역력 향상 등의 기능을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온전히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Beauty mask pack containing mugwor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복수의 부직포 사이에 쑥가루 배치되도록 제조된 미용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얼굴의 안면 피부에 대한 미백과 노화 억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안면 피부의 개선을 위해 다양한 마스크팩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마스크팩은 안면 피부에 부착하여 사용됨으로써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등과 같은 효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안면 피부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안면 피부 전체에 마스크팩에 함유된 성분을 피부에 도포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도 제공하여 크게 각광받고 있다.
기존에는 피부 개선을 위해 마스크팩에 함유된 성분에 화학 성분이 포함되어 피부 부작용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어, 이를 개선하여 피부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천연 물질을 함유하도록 제조된 마스크팩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천연 물질을 함유하도록 제조된 마스크팩의 일례로, 직물(부직포)형태의 얇은 시트에 인삼, 황토, 숯, 홍삼 등의 약재를 적용한 미용 마스크팩이 제품화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천연 물질을 함유하도록 제조된 마스크팩의 경우 약재를 미세하게 분말 가공하여 마스크시트 표면에만 흡착시키거나, 약재를 용매에 용해시킨 후 부직포를 침지하는 방식으로 제조 되어, 분말 입자 특성상 활성 물질 또는 유효 성분들이 부직포 표면에만 부착되어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피부 개선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기존의 천연 물질을 함유하도록 제조된 마스크팩은 약재가 마스크시트의 표면 상에 부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므로, 약재가 피부와 직접 접촉하여 사용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사용 과정에서 피부에 상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50175호
본 발명은 얼굴의 안면 피부에 부착하여 피부 미백 효능 및 피부 노화 방지 효능을 가진 쑥을 분말화한 쑥가루가 함유된 마스크팩을 제공하여, 천연 성분을 통해 부작용을 방지하면서도 안면 피부에 대한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팩을 구성하는 부직포 사이에 쑥가루가 안정적으로 고정 부착되도록 지원하여 사용상 편의를 제공하면서도 쑥에 함유된 성분이 안면 피부 전체에 골고루 적용되도록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의 제조 방법은, 쑥을 분말화하여 쑥가루를 준비하는 단계와, 제 1 부직포의 상면에 상기 쑥가루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쑥가루가 도포된 상기 제 1 부직포의 상면을 제 2 부직포로 덮어 기본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기본 시트에 고압수를 분사한 후 건조하여 합지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합지 시트를 미리 설정된 형태로 절단한 후 화장품에 함침하여 마스크팩용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 1 부직포 및 제 2 부직포는 텐셀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화장품은 1% 이내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쑥가루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쑥가루의 크기가 30mesh ~ 40mesh가 되도록 분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 1 부직포 및 제 2 부직포는 70mesh ~ 90mesh 크기의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합지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고압수 분사 및 건조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부직포 사이의 쑥가루가 상기 제 1 및 제 2 부직포와 엉켜 고정되도록 상기 합지 시트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합지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워터젯을 이용하여 고압수를 상기 기본 시트에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마스크팩용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합지 시트를 사람 안면의 눈, 코의 일부 및 입이 노출되는 마스크 형태로 절단한 후 화장품에 함침하여 상기 마스크팩용 시트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은, 쑥을 분말화한 쑥가루를 제 1 부직포의 상면에 도포한 후 상기 쑥가루가 도포된 상기 제 1 부직포의 상면을 제 2 부직포로 덮어 제조된 기본 시트에 고압수를 분사한 후 건조한 다음 화장품에 함침하여 제조된 마스크팩용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마스크팩용 시트는 상기 함침에 따라 부피가 증가된 상기 쑥가루의 위치에 상기 쑥가루에 의해 생성되어 각질 제거 용도로 사용 가능한 돌출부가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용 마스크팩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직포의 섬유질이 고압수 분사 및 건조에 의해 엉켜 복수의 부직포가 분리되지 않으면서 복수의 부직포 사이에 위치하는 쑥가루 역시 섬유질과 엉켜 미용 마스크팩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미용 마스크팩을 제공함으로써, 미용 마스크팩 사용시 쑥가루가 미용 마스크팩으로부터 떨어질 염려가 없어 뛰어난 사용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화장품 성분과 쑥의 성분이 온전히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골고루 흡수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부직포와 천연 재료인 쑥가루로 미용 마스크팩을 구성하여 각종 피부 부작용을 방지하면서 쑥이 제공하는 효능인 피부 미백, 피부 노화 억제, 주름 개선, 각종 피부 질환 완화, 알레르기, 피부 면역력 향상 등의 기능을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온전히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용 마스크팩 내부에 배치되는 쑥가루에 의해 돌출부가 형성된 미용 마스크팩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미용 마스크팩을 사용 후 적당히 마른 미용 마스크팩을 손바닥으로 눌러 마사지하듯 안면 피부에 비벼주면서 상기 돌출부를 통해 안면 피부의 각질을 제거하는 용도로 미용 마스크팩을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미용 마스크팩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의 제조 방법에 대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의 제조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미용 마스크팩의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Mask pack 또는 Facial Mask)의 제조 방법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의 제조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쑥을 분말화하여(분쇄하여) 쑥가루(10)를 준비한다.
이때, 쑥(mugwort)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식용이나 약용으로 오래 전부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쑥은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고, 특히 플라보노이드(flavonoid)와 비타민 A 및 비타민 C가 풍부하여 피부 미백 효능을 제공하면서도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다.
또한, 쑥 자체는 항균 항바이러스의 약물이며 대부분의 바이러스와 세균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살균작용을 하여 피부 미생태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각종 피부 질환 완화, 알레르기, 피부 면역력 향상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쑥의 분말화시 상기 쑥가루(10)의 크기가 30 mesh ~ 40 mesh가 되도록 분말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mesh 단위는 가로 1인치(inch) × 세로 1인치(inch)의 단위 크기 내에 존재하는 구멍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일례로 30 mesh는 상기 단위 크기 내에 30개의 구멍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쑥가루(10)의 크기가 상기 구멍의 크기에 해당될 수 있다.
다음, 미리 준비된 제 1 부직포(110)의 상면에 상기 준비된 쑥가루(10)를 도포한다(S1).
이후, 상기 쑥가루(10)가 도포된 상기 제 1 부직포(110)의 상면을 제 2 부직포(120)로 덮어 기본 시트(sheet)를 제조할 수 있다(S2).
이때, 상기 제 1 부직포(110) 및 제 2 부직포(120)는 70 mesh ~ 90 mesh 크기의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부직포(110) 및 제 2 부직포(120)는 80 mesh 크기의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부직포(110) 및 제 2 부직포(120)는 텐셀(tencel)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텐셀 시트는 유칼립투스(Eucalyptus)에서 얻은 100% 천연 펄프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cellulose)로 만든 섬유로서, 학명으로는 리오셀(lyocell)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텐셀 시트는 생산 공정시 오염 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며, 유일하게 사용되는 용매인 아민옥사이드(amine oxide)는 95% 이상이 수거되어 재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재 펄프에서 추출해 만든 100% 생분해 가능한 친환경적인 소재이다.
또한, 상기 텐셀 시트는 미세 섬유 조직의 가는 조직들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반 면보다 2배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있어 쉽게 손상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섬유 구조가 매끄러워 피부를 자극하지 않아 민감성 피부에도 적합한 이점이 있다.
또한, 텐셀 시트는 섬유의 구조와 배열로 인해 수분 조절 능력이 있어 박테리아가 성장할 수 있는 수분층이 생겨나지 않아 위생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텐셀 시트는 면이나 레이온보다 뛰어난 흡습성이 있으며 에센스를 머금고 있을때 밀착력이 뛰어나다.
따라서, 제 1 부직포(110) 및 제 2 부직포(120)를 상기 텐셀 시트로 이용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친환경적인 소재로 제조되어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대한 부작용 발생을 방지하면서 사용시 만족도가 높은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밀착력 및 흡습성이 높은 텐셀 시트를 마스크팩용 소재로 사용하여 텐셀 시트가 머금은 화장품 성분과 쑥의 성분이 온전히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골고루 흡수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본 시트에 고압수를 분사한 후 건조하여 합지 시트(100)를 제조할 수 있다(S3).
이때, 워터젯(water jet)을 이용하여 고압수를 상기 기본 시트에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합지 시트(100)를 구성하는 제 1 부직포(110) 및 제 2 부직포(120)는 상기 고압수 분사에 의해 분사된 고압수에 의해 상호 간 강하게 압착됨과 동시에 물을 머금어 부피가 증가하면서 제 1 부직포(110)와 제 2 부직포(120)의 섬유질이 상호 엉키게 되며, 섬유질이 상호 엉킨 상태로 제 1 부직포(110) 및 제 2 부직포(120)가 건조되면서 엉킨 상태가 더욱 고착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상기 제 1 부직포(110) 및 제 2 부직포(120) 상호 간 강한 접착력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합지 시트(100)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부직포(110) 및 제 2 부직포(120)를 상기 텐셀 시트로 구성하면, 상기 텐셀 시트는 고압의 물을 이용하여 가공되는 경우 고압의 물의 흐름에 의해 상호 엉켜 강하게 고정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상기 텐셀 시트로 구성된 제 1 부직포(110) 및 제 2 부직포(120) 상호 간 섬유질이 고압수에 의해 강하게 엉키게 되며, 이후 건조 과정을 거치면 상기 제 1 부직포(110) 및 제 2 부직포(120) 상호 간 강한 접착력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부직포(110) 및 제 2 부직포(120) 사이에 위치하는 쑥가루(10) 역시 상기 제 1 부직포(110) 및 제 2 부직포(120)의 섬유질 사이에서 부풀었다가 건조되면서 상기 제 1 부직포(110) 및 제 2 부직포(120)의 섬유질에 의해 둘러싸여 섬유질과 엉켜 제 1 부직포(110) 및 제 2 부직포(120) 사이의 강하게 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쑥가루(10)는 상기 합지 시트(100)의 내부에서 위치가 변하지 않고 고정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쑥가루(10)가 도포된 제 1 부직포(110)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제 1 부직포(110)와 결합되는 제 2 부직포(120) 및 상기 쑥가루(10)가 도포된 제 1 부직포(110)를 포함하는 기본 시트에 고압수를 분사한 후 건조하여 내부에 강하게 고정된 다수의 쑥가루(10)를 포함하는 합지 시트(100)를 제조할 수 있다.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상기 합지 시트(100)를 미리 설정된 형태로 절단한 후 화장품에 함침하여 마스크팩용 시트(20)를 제조할 수 있다(S4).
이때, 상기 합지 시트(100)를 사람 안면의 눈, 코의 일부 및 입이 노출되는 마스크 형태로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장품은 부피비 1% 이내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단된 합지 시트(100)가 함침되는 화장품은 에센스 조성물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화장품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합지 시트(100)는 상기 화장품에 함침하면 상기 합지 시트(100)를 구성하며 상호 엉킨 상태의 제 1 및 제 2 부직포(120)의 섬유는 다시 부풀어 잘 분리되지 않으며, 상기 합지 시트(100) 내부에 구성된(배치된) 쑥가루(10) 역시 부풀면서 고정될 수 있다.
즉, 쑥가루(10)의 크기보다 부직포의 밀도가 더 높으므로, 복수의 부직포 사이에서 쑥가루(10)가 안정적으로 위치하여 고정되는 마스크팩용 시트(20)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크팩용 시트(20)는 함침에 따라 부피가 증가된 쑥가루(10)의 위치에 상기 쑥가루(10)에 의해 생성되어 각질 제거 용도로 사용 가능한 돌출부가 복수로 형성(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에 함침되어 제조된 마스크팩용 시트(20)를 미용 마스크팩으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미용 마스크팩은 마스크팩용 시트(20)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직포의 섬유질이 고압수에 의해 엉켜 복수의 부직포가 분리되지 않으면서 복수의 부직포 사이에 위치하는 쑥가루(10) 역시 섬유질과 엉켜 마스크팩용 시트(2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미용 마스크팩 사용시 쑥가루(10)가 미용 마스크팩으로부터 떨어질 염려가 없어 사용감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화장품 성분과 쑥의 성분이 온전히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골고루 흡수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부직포와 천연 재료인 쑥가루(10)로 미용 마스크팩을 구성하여 각종 부작용을 방지하면서 쑥이 제공하는 효능인 피부 미백, 피부 노화 억제, 주름 개선, 각종 피부 질환 완화, 알레르기, 피부 면역력 향상 등의 기능을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온전히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용 마스크팩 내부에 쑥가루(10)가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되므로 사용시 쑥가루(10)가 안면 피부와 직접 접촉하지 않아 사용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쑥가루(10)에 의해 안면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어, 사용시 높은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미용 마스크팩 내부에 배치되는 쑥가루(10)에 의해 돌출부가 형성된 미용 마스크팩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미용 마스크팩을 사용 후 적당히 마른 미용 마스크팩을 손바닥으로 눌러 마사지하듯 안면 피부에 비벼주면서 상기 돌출부를 통해 안면 피부의 각질을 제거하는 용도로 미용 마스크팩을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기능(범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미용 마스크팩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쑥가루 20: 마스크팩용 시트
100: 합지 시트 110: 제 1 부직포
120: 제 2 부직포

Claims (10)

  1. 쑥을 분말화하여 30mesh ~ 40mesh 크기의 쑥가루를 준비하는 단계;
    70mesh ~ 90mesh 크기의 복수 구멍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의 제 1 부직포 상면에 상기 쑥가루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쑥가루가 도포된 상기 제 1 부직포의 상면을 70mesh ~ 90mesh 크기의 복수 구멍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의 제 2 부직포로 덮어 기본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기본 시트에 워터젯으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상기 제 1 부직포와 제 2 부직포의 섬유질이 물을 머금어 부피가 증가하면서 상호 엉키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쑥가루가 상기 제 1 및 제 2 부직포의 섬유질로 둘러싸이면서 부풀어 섬유질에 엉키도록 한 후, 상기 기본 시트를 건조하여 상기 제 1 부직포와 제 2 부직포의 엉킨 상태를 고착화하고 상기 쑥가루가 섬유질과 엉켜 상기 제 1 부직포와 제 2 부직포 사이에서 강하게 고정되도록 한 합지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합지 시트를 미리 설정된 형태로 절단한 후 화장품에 함침하여 마스크팩용 시트를 제조하며, 상기 합지 시트 사이의 쑥가루가 화장품에 함침됨에 따라 부피가 증가하도록 하여 각질 제거를 위한 돌출부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부직포 및 제 2 부직포는 텐셀 시트이고, 상기 화장품에 포함된 오일은 부피비 1%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26605A 2021-02-26 2021-02-26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97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605A KR102597677B1 (ko) 2021-02-26 2021-02-26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605A KR102597677B1 (ko) 2021-02-26 2021-02-26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235A KR20220122235A (ko) 2022-09-02
KR102597677B1 true KR102597677B1 (ko) 2023-11-02

Family

ID=8328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605A KR102597677B1 (ko) 2021-02-26 2021-02-26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4261B (zh) * 2022-09-16 2023-11-03 上海自然美富丽化妆品有限公司 一种低贴合难度的预定位面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950B1 (ko) 2017-01-24 2018-08-13 주식회사 천우글로텍스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
JP2020025808A (ja) 2018-08-17 2020-02-20 丸三産業株式会社 フェイスマスク用シート又はパッティング用化粧パフの中材の製造方法
KR102216805B1 (ko) 2020-03-23 2021-02-17 조경아 마스크, 마스크팩 시트 및 기저귀 용 한지부직포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0175A (ko) 2011-11-07 2013-05-15 주식회사 제이앤케이얼라이언스 천연잎 마스크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95125A (ko) * 2019-01-31 2020-08-10 백창우 파우더마스크팩 제조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950B1 (ko) 2017-01-24 2018-08-13 주식회사 천우글로텍스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
JP2020025808A (ja) 2018-08-17 2020-02-20 丸三産業株式会社 フェイスマスク用シート又はパッティング用化粧パフの中材の製造方法
KR102216805B1 (ko) 2020-03-23 2021-02-17 조경아 마스크, 마스크팩 시트 및 기저귀 용 한지부직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235A (ko)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2340C (en) Stratiform perforated biomatrices
EP2213197A1 (en) Facial treatment mask comprising an isolation layer
JP2009240788A (ja) 顔用マスク
JP2006175207A (ja) 液体で含浸するための媒体及び該媒体を含むキット
US20200086099A1 (en) Dermal adhesive patch
JP2005289997A (ja) 肌の手入れ用製品
KR102597677B1 (ko)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35208A (ko) 다기능성 표면 고체 지지체
KR20130050175A (ko) 천연잎 마스크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78014B1 (ko) 마스크 팩
KR102278638B1 (ko) 수분 함유능이 향상된 마스크팩
JP2002142861A (ja) 顔面パック用シート及び顔面パック用化粧料シート
CN203954489U (zh) 立体型抗菌防微尘口罩滤片
CN213227843U (zh) 一种包含花瓣的面膜膜布及所得面膜
CN210991937U (zh) 一种海藻凝胶面膜
KR20090104780A (ko) 안면 마스크
KR20100013108U (ko) 고 기능성 한지 마스크 시트
KR101808701B1 (ko) 천연오일이 함유된 폴리우레탄 재료를 이용한 화장용 시트 제조방법
KR20120006370U (ko) 천연 단백질섬유 마스크 시트
KR101712023B1 (ko) 한지에 홍삼을 적층시킨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43973A (ko) 색상을 갖는 천연섬유 마스크팩
KR102442515B1 (ko) 미용 시트
KR101925896B1 (ko) 우레탄 라미네이팅 시트를 이용한 마스크 팩 및 기능성 패치
JPH11228344A (ja) 化粧用パックシート
WO2005012618A1 (en) Handkerchiefs in non-woven fab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