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639B1 - 물티슈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물티슈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639B1
KR101578639B1 KR1020150114291A KR20150114291A KR101578639B1 KR 101578639 B1 KR101578639 B1 KR 101578639B1 KR 1020150114291 A KR1020150114291 A KR 1020150114291A KR 20150114291 A KR20150114291 A KR 20150114291A KR 101578639 B1 KR101578639 B1 KR 101578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water
carding
water jet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욱
Original Assignee
김범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욱 filed Critical 김범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3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fluid current, e.g. air-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티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단단하고 서로 엉켜있는 뭉치(Bale) 상태의 원료를 얇은 시트(sheet) 상의 섬유인 웹(web)을 형성하기 위하여 손틀처럼 풀어주는 오프닝(Opening) 공정과, 상기 오프닝 공정을 통해 얻어진 섬유를 빗질을 하면서 서로 결합시켜 원하는 평량으로 웹을 형성하는 1차 카딩(Carding) 공정과, 상기 1차 카딩 공정을 거쳐 부풀어 오른 웹을 워터 제트(Water jet)를 이용하여 50~80bar의 수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웹을 다져주는 웹 다짐 공정과, 상기 웹 다짐 공정을 통해 다져진 웹 위에 3~5mm 길이의 펄프(Pulp)를 하드박스(Hard box)를 통해 분사한 후 와이어 상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석션박스(Suction box)를 이용하여 웹을 형성시킨 후 2번의 카딩기(소면기)에서 형성된 웹 위에 붙이는 습윤 펄프(Wet pulp) 공정과, 상기 습윤 펄프 공정을 통해 카딩기에서 나온 웹을 습윤 펄프 웹(Wet pulp web)에 픽업(Pick up)시키는 2차 카딩(Carding) 공정과, 상기 2차 카딩 공정을 거친 웹을 50~80bar의 수압으로 워터 제트(Water jet)를 통해 웹의 표면에 요철을 만드는 1차 워터 제트 공정과, 상기 1차 워터 제트 공정 후에 웹의 인장강도를 높이고 섬유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100~300bar의 수압으로 워터 제트(Water jet)를 통해 물을 분사시키는 2차 워터 제트 공정과, 상기 2차 워터 제트 공정 후에는 석션롤(Suction Roll)과 박스를 이용하여 웹의 수분을 제거하는 예비 건조공정과, 상기 예비 건조공정을 거친 웹에서 수분을 더욱 제거하기 위하여 웹 원재료의 융점을 파악하여 드라이어(Dryer)를 통해 140~180℃의 뜨거운 바람으로 웹을 건조하는 건조공정과, 상기 건조공정을 통해 건조된 웹을 원하는 크기로 감는 와인딩(Winding) 공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물티슈는 천연 목재 펄프를 많이 사용하여 촉감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고 친수성이 좋아 흡수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고, 적당한 인장력으로 처지지 않고, 옆 방향으로의 강도가 좋아 쉽게 찢어지지 않으며, 저렴한 원자재 가격으로 인해 대중적으로 널리 보급할 수 있어 경제성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물티슈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non-woven fabric for wet tissue}
본 발명은 물티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목재 펄프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친수성이 좋으며, 적당한 인장력으로 처지지 않고, 옆 방향으로의 강도가 좋아 쉽게 찢어지지 않으며, 흡수력이 우수한 경제성 있는 물티슈 제조용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물티슈나 물수건은 대중음식점 등에서 고객들에게 손이나 음식물 등을 닦아 더욱 청결함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재질과 형태를 가진다.
상기 물수건이나 물티슈는 주방이나 식탁 등을 청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오염물질 등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통상적인 물티슈는 종이 재질이거나 섬유재로 제작되는 것이고, 제작되는 형태에 따라 일회용으로 사용되거나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일회용 물티슈는 제작원가가 저렴한 반면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근래에 들어서는 종이 사이에 얇은 박판형 비닐을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찢어지는 문제점은 극복한 것도 있다.
한편, 부직포란 직물과 같이 실을 이용하여 제,직편하는 것이 아니라, 섬유집합체로서 실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직접 직물과 같은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다.
부직포를 넓은 뜻으로 해석하면 “단섬유 또는 필라멘트를 기계적, 열적, 화학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접착 또는 교락 시켜 만든 시이트(sheet)상 또는 웹(web)구조로 한 것”이라고 하며, 펠트(felt)또는 종이를 포함하느냐에 따라서 3,4종으로 나눌 수 있다.
이제까지는 직물이나 편물의 대용품으로만 이용되었지만, 오늘날에는 부직포의 특성을 살린 다양한 용도의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이들 부직포의 특징은 복합화가 용이하고 생산성이 높으며,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제조원가가 낮으며, 다종다양한 재질, 형상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새로운 제법들이 개발되고 있어 향후 많은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소재이다.
부직포의 제조방법으로 기본적인 공정은 웹(web)(섬유를 얇은 sheet상으로 한 것)의 형성공정과 웹의 접착공정, 가공공정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웹의 형성과 접착을 한 공정으로 하는 방법도 있다. 웹의 형성이나 접착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다양한 방법들을 혼합하여 새로운 제품들을 생산하고 있다.
상기 부직포에는 천연섬유에서부터 화학섬유까지 다양한 섬유들이 이용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면,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등이며, 그 외 아크릴, 비닐론, 유리섬유, 펄프, 탄소섬유 등도 사용되고 있다. 면이나 레이온은 니들 펀치(needle punch), 케미컬 본드(chemical bond), 스펀 레이스(spun lace)법 등이 이용되며,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필라멘트는 주로 스펀 본드(spun-bond),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스테이플(staple)은 니들 펀치, 나일론 스테이플은 케미컬 본드, 아크릴은 니들 펀치, 비닐론, 유리섬유, 펄프는 주로 습식을 하고 있다.
특히, 웹을 형성하는 방법을 크게 나누면 습식, 건식, 및 직접식이 있다. 습식법은 종이를 만드는 공정과 유사하며, 수중에 단섬유를 균일하게 물과의 중량비가 0.01~0.5% 정도로 현탁시켜 이것을 철판 위에 펼치거나 또는 2본의 벨트 사이를 통과시켜 웹을 만든다. 이 상태로는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로울러로 압착함과 동시에 건조기에서 수분을 증발시킨다.
이러한 각종 방법으로 만들어진 웹은 섬유 상호간 접착성이 약하여 내구성이 없다. 따라서 웹 중 섬유 상호 간의 집속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방법으로 접착시켜 강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에는 접착제를 사용하기도 하고, 기계적으로 섬유를 결속시키거나 열융착 또는 제봉 등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다.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에는 용제접착, 라텍스(latex)접착 또는 바인더(binder)접착법 등 접착용의 바인더를 웹에 주입하여 섬유 상호간을 접착시키는 방법이다. 접착제를 부여하는 방법에 따라 침지접착법, 그라비아(gravure)인쇄법, 로타리 스크린(rotary screen)법, 스프레이(spray)법, 포말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방법들은 웹을 건조시키거나 바인더를 섬유에 집착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열이 필요하다.
웹의 섬유를 熱로 접착시키는 방법을 총칭하여 thermal bond라고 하며, 섬유의 표면을 용융하여 섬유의 표면 상호간을 접착시킨다던가 또는 분말상, 입상 혹은 섬유상의 용융첨가제를 웹에 혼입하여 이 첨가제를 용융시켜 웹상의 섬유를 접착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웹을 가열시킬 필요가 있으며, 가열방법에 따라 스루에어 본드법(고온공기에 의한 가열)과 캘린더(calender)법(고온 철판 캘린더에 의한 가열)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극초단파를 이용한 방법도 제시되고 있다.
부직포의 가공은 접착제를 처리한 웹을 건조, 열처리하는 공정과 용도에 따라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공정이 있다. 건조, 열처리 공정에서는 웹을 네트 컨베이어(net conveyer)를 이용한 방식(vat식 건조기)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웹의 변형이나 구김, 뜯김 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 외 석션(suction)식 건조기도 이용되고 있다.
부직포라고 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섬유 상호간의 접착이나 교략에 의하여 하나의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는 다종다양한 제조기술이 개발되어 많은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구조나 성질도 다르다. 일반적으로 부직포의 구조나 성질은 사용한 섬유, 접착방식, 섬유의 배열상태나 가공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부직포는 직물에 비하여 강도가 약하며, 전단강성이나 굴곡 강성이 크며, 신축성이 떨어진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직물과 거의 유사한 물리적 특징을 지닌 부직포를 생산할 수 있는 것도 있다.
한편, 종래의 물티슈용 부직포 제조 공정은 아래와 같다.
단단하고 서로 엉켜있는 뭉치(Bale) 상태의 원료를 얇은 시트(sheet) 상의 섬유인 웹(web)을 형성하기 위하여 손틀처럼 풀어주는 오프닝(Opening) 공정;과,
상기 오프닝 공정을 통해 얻어진 섬유를 빗질을 하면서 서로 결합시켜 원하는 평량으로 웹을 형성하는 1차 카딩(Carding) 공정;과,
1차 카딩 공정을 통해 카딩기(소면기)에서 나온 웹을 2차로 카딩하는 2차 카딩(Carding) 공정;과,
상기 2차 카딩 공정을 거친 웹을 50~80bar의 수압으로 워터 제트(Water jet)를 통해 웹의 표면에 요철을 만드는 1차 워터 제트 공정;과,
상기 1차 워터 제트 공정 후에 웹의 인장강도를 높이고 섬유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100~300bar의 수압으로 워터 제트(Water jet)를 통해 물을 분사시키는 2차 워터 제트 공정;과,
상기 2차 워터 제트 공정 후에는 석션롤(Suction Roll)과 박스를 이용하여 웹의 수분을 제거하는 예비 건조공정;과,
상기 예비 건조공정을 거친 웹에서 수분을 더욱 제거하기 위하여 웹 원재료의 융점을 파악하여 드라이어(Dryer)를 통해 140~180℃의 뜨거운 바람으로 웹을 건조하는 건조공정;과,
상기 건조공정을 통해 건조된 웹을 원하는 크기로 감는 와인딩(Winding) 공정;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물티슈용 부직포 제조방식은 석유화학제품의 원료인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으로 제조되다 보니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합성고분자의 특성상 친수성이 부족하다.
또한, 원재료의 특성상 전량 수입에 의존해야 하고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기 위하여 고가인 원재료가 많이 소비되므로 원가가 상승 되어 제조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이고, 친수성이 좋으며, 강도가 좋아 쉽게 찢어지지 않고, 경제성 있는 물수건 제조용 부직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7644호, 2007년 10월 25일 공고.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촉감이 뛰어나고 친환경적이며 친수성이 좋은 물티슈용 부직포를 제공하는 데 있고, 두 번째 목적은 강도가 좋아 쉽게 찢어지지 않고 경제성 있는 물티슈용 부직포는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단하고 서로 엉켜있는 뭉치(Bale) 상태의 원료를 얇은 시트(sheet) 상의 섬유인 웹(web)을 형성하기 위하여 손틀처럼 풀어주는 오프닝(Opening) 공정과, 상기 오프닝 공정을 통해 얻어진 섬유를 빗질을 하면서 서로 결합시켜 원하는 평량으로 웹을 형성하는 1차 카딩(Carding) 공정과, 상기 1차 카딩 공정을 거쳐 부풀어 오른 웹을 워터 제트(Water jet)를 이용하여 50~80bar의 수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웹을 다져주는 웹 다짐 공정과, 상기 웹 다짐 공정을 통해 다져진 웹 위에 3~5mm 길이의 펄프(Pulp)를 하드박스(Hard box)를 통해 분사한 후 와이어 상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석션박스(Suction box)를 이용하여 웹을 형성시킨 후 2번의 카딩기(소면기)에서 형성된 웹 위에 붙이는 습윤 펄프(Wet pulp) 공정과, 상기 습윤 펄프 공정을 통해 카딩기에서 나온 웹을 습윤 펄프 웹(Wet pulp web)에 픽업(Pick up)시키는 2차 카딩(Carding) 공정과, 상기 2차 카딩 공정을 거친 웹을 50~80bar의 수압으로 워터 제트(Water jet)를 통해 웹의 표면에 요철을 만드는 1차 워터 제트 공정과, 상기 1차 워터 제트 공정 후에 웹의 인장강도를 높이고 섬유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100~300bar의 수압으로 워터 제트(Water jet)를 통해 물을 분사시키는 2차 워터 제트 공정과, 상기 2차 워터 제트 공정 후에는 석션롤(Suction Roll)과 박스를 이용하여 웹의 수분을 제거하는 예비 건조공정과, 상기 예비 건조공정을 거친 웹에서 수분을 더욱 제거하기 위하여 웹 원재료의 융점을 파악하여 드라이어(Dryer)를 통해 140~180℃의 뜨거운 바람으로 웹을 건조하는 건조공정과, 상기 건조공정을 통해 건조된 웹을 원하는 크기로 감는 와인딩(Winding) 공정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물티슈는 천연 목재 펄프를 많이 사용하여 촉감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고 친수성이 좋아 흡수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적당한 인장력으로 처지지 않고, 옆 방향으로의 강도가 좋아 쉽게 찢어지지 않으며, 저렴한 원자재 가격으로 인해 대중적으로 널리 보급할 수 있어 경제성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블럭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블럭도로서,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오프닝(Opening) 공정과, 카딩(Carding) 공정과, 웹 다짐 공정과, 습윤 펄프(Wet pulp) 공정과, 1차 워터 제트 공정과, 2차 워터 제트 공정과, 예비 건조공정과, 건조공정과, 와인딩(Winding) 공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오프닝(Opening) 공정은 38~51mm 길이의 단단하고 서로 엉켜있는 뭉치(Bale) 상태의 원료를 얇은 시트(sheet) 상의 섬유인 웹(web)을 형성하기 위하여 손틀처럼 풀어주는 공정이다.
상기 오프닝 공정을 통해 얻어진 섬유는 빗질을 하면서 서로 결합시켜 원하는 평량으로 웹을 형성하는 카딩(Carding) 공정을 거친다.
상기 카딩 공정을 거쳐 부풀어 오른 웹은 다음 공정인 습윤 펄프 공정의 펄프 웹(Pulp web)과의 픽업(Pick Up)을 고려하여 0.12~0.15mm 구경의 노즐이 구비된 워터 제트(Water jet)를 이용하여 50~80bar의 수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웹을 다져주는 웹 다짐 공정을 거친다.
상기 웹 다짐 공정을 통해 다져진 웹 위에 3~5mm 길이의 펄프(Pulp)를 0.03~0.1%의 농도로 와이어(Wire) 위에 하드박스(Hard box)를 통하여 분사하며, 이때 분사 압력은 평량에 따라 2~5bar로 조절한다.
그런 후에 와이어 상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석션박스(Suction box)를 이용하여 웹을 형성시킨 후 2번의 카딩기(소면기)에서 형성된 웹 위에 붙이는 습윤 펄프(Wet pulp) 공정을 거친다.
이때 펄프 웹(Pulp Web)이 미끄러지거나 절단될 수 있기 때문에 카딩 와이어(Carding Wire)와 펄프 와이어(Pulp Wire)의 속도가 일정하여야 하며, 웹(Web) 픽업(Pick up) 시 석션박스(Suction box)의 진공도를 평량과 함수율에 따라 2~5bar로 조정해야 한다.
상기 습윤 펄프 공정을 통해 카딩기에서 나온 웹은 50~80bar의 수압으로 워터 제트(Water jet)를 통해 웹의 표면에 요철을 만드는 1차 워터 제트 공정;과,
상기 1차 워터 제트 공정 후에 웹의 인장강도를 높이고 섬유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100~300bar의 수압으로 워터 제트(Water jet)를 통해 물을 분사시키는 2차 워터 제트 공정을 거치게 되며, 이때 워터 제트의 노즐 박스는 5~7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워터 제트 공정 후에는 건조 공정에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석션 롤(Suction Roll)과 박스를 이용하여 웹의 수분을 제거하는 예비 건조공정을 거치게 되며, 상기 예비 건조공정을 거친 웹에서 수분을 더욱 제거하기 위하여 웹 원재료의 융점을 파악하여 드라이어(Dryer)를 통해 140~180℃의 뜨거운 바람으로 웹을 건조하는 건조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건조공정을 통해 건조된 웹은 원하는 크기로 감는 와인딩(Winding) 공정을 거쳐 마무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블럭도로서,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오프닝(Opening) 공정과, 1차 카딩(Carding) 공정과, 웹 다짐 공정과, 습윤 펄프(Wet pulp) 공정과, 2차 카딩(Carding) 공정과, 1차 워터 제트 공정과, 2차 워터 제트 공정과, 예비 건조공정과, 건조공정과, 와인딩(Winding) 공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오프닝(Opening) 공정은 38~51mm 길이의 단단하고 서로 엉켜있는 뭉치(Bale) 상태의 원료를 얇은 시트(sheet) 상의 섬유인 웹(web)을 형성하기 위하여 손틀처럼 풀어주는 공정이다.
상기 오프닝 공정을 통해 얻어진 섬유는 빗질을 하면서 서로 결합시켜 원하는 평량으로 웹을 형성하는 1차 카딩(Carding) 공정을 거친다.
상기 1차 카딩 공정을 거쳐 부풀어 오른 웹은 다음 공정인 습윤 펄프 공정의 펄프 웹(Pulp web)과의 픽업(Pick Up)을 고려하여 0.12~0.15mm 구경의 노즐이 구비된 워터 제트(Water jet)를 이용하여 50~80bar의 수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웹을 다져주는 웹 다짐 공정을 거친다.
상기 웹 다짐 공정을 통해 다져진 웹 위에 3~5mm 길이의 펄프(Pulp)를 0.03~0.1%의 농도로 와이어(Wire) 위에 하드박스(Hard box)를 통하여 분사하며, 이때 분사 압력은 평량에 따라 2~5bar로 조절한다.
그런 후에 와이어 상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석션박스(Suction box)를 이용하여 웹을 형성시킨 후 2번의 카딩기(소면기)에서 형성된 웹 위에 붙이는 습윤 펄프(Wet pulp) 공정을 거친다.
이때 펄프 웹(Pulp Web)이 미끄러지거나 절단될 수 있기 때문에 카딩 와이어(Carding Wire)와 펄프 와이어(Pulp Wire)의 속도가 일정하여야 하며, 웹(Web) 픽업(Pick up) 시 석션박스(Suction box)의 진공도를 평량과 함수율에 따라 2~5bar로 조정해야 한다.
상기 습윤 펄프 공정을 통해 카딩기에서 나온 웹을 습윤 펄프 웹(Wet pulp web)에 픽업(Pick up)시키는 2차 카딩(Carding) 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2차 카딩 공정을 거친 웹은 50~80bar의 수압으로 워터 제트(Water jet)를 통해 웹의 표면에 요철을 만드는 1차 워터 제트 공정;과,
상기 1차 워터 제트 공정 후에 웹의 인장강도를 높이고 섬유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100~300bar의 수압으로 워터 제트(Water jet)를 통해 물을 분사시키는 2차 워터 제트 공정을 거치게 되며, 이때 워터 제트의 노즐 박슨느 5~7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워터 제트 공정 후에는 건조 공정에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석션 롤(Suction Roll)과 박스를 이용하여 웹의 수분을 제거하는 예비 건조공정을 거치게 되며, 상기 예비 건조공정을 거친 웹에서 수분을 더욱 제거하기 위하여 웹 원재료의 융점을 파악하여 드라이어(Dryer)를 통해 140~180℃의 뜨거운 바람으로 웹을 건조하는 건조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건조공정을 통해 건조된 웹은 원하는 크기로 감는 와인딩(Winding) 공정을 거쳐 마무리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물티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상기 웹 다짐 공정과 습윤 펄프 공정을 통해 제조된 펄프가 상기 제 1차 카딩공정과 제 2차 카딩공정을 통해 제조된 부직포 사이에 적층 된 샌드위치 형상인 것이 특징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블럭도로서,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오프닝(Opening) 공정과, 1차 카딩(Carding) 공정과, 웹 다짐 공정과, 1차 습윤 펄프(Wet pulp) 공정과, 2차 카딩(Carding) 공정과, 2차 습윤 펄프 공정과, 3차 카딩 공정과, 1차 워터 제트 공정과, 2차 워터 제트 공정과, 예비 건조공정과, 건조공정과, 와인딩(Winding) 공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오프닝(Opening) 공정은 38~51mm 길이의 단단하고 서로 엉켜있는 뭉치(Bale) 상태의 원료를 얇은 시트(sheet) 상의 섬유인 웹(web)을 형성하기 위하여 손틀처럼 풀어주는 공정이다.
상기 오프닝 공정을 통해 얻어진 섬유는 빗질을 하면서 서로 결합시켜 원하는 평량으로 웹을 형성하는 1차 카딩(Carding) 공정을 거친다.
상기 1차 카딩 공정을 거쳐 부풀어 오른 웹은 다음 공정인 습윤 펄프 공정의 펄프 웹(Pulp web)과의 픽업(Pick Up)을 고려하여 0.12~0.15mm 구경의 노즐이 구비된 워터 제트(Water jet)를 이용하여 50~80bar의 수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웹을 다져주는 웹 다짐 공정을 거친다.
상기 웹 다짐 공정을 통해 다져진 웹 위에 3~5mm 길이의 펄프(Pulp)를 0.03~0.1%의 농도로 와이어(Wire) 위에 하드박스(Hard box)를 통하여 분사하며, 이때 분사 압력은 평량에 따라 2~5bar로 조절한다.
그런 후에 와이어 상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석션박스(Suction box)를 이용하여 웹을 형성시킨 후 2번의 카딩기(소면기)에서 형성된 웹 위에 붙이는 1차 습윤 펄프(Wet pulp) 공정을 거친다.
이때 펄프 웹(Pulp Web)이 미끄러지거나 절단될 수 있기 때문에 카딩 와이어(Carding Wire)와 펄프 와이어(Pulp Wire)의 속도가 일정하여야 하며, 웹(Web) 픽업(Pick up) 시 석션박스(Suction box)의 진공도를 평량과 함수율에 따라 2~5bar로 조정해야 한다.
상기 1차 습윤 펄프 공정을 통해 카딩기에서 나온 웹을 습윤 펄프 웹(Wet pulp web)에 픽업(Pick up)시키는 2차 카딩(Carding) 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2차 카딩 공정을 거친 웹 위에 3~5mm 길이의 펄프(Pulp)를 0.03~0.1%의 농도로 와이어(Wire) 위에 하드박스(Hard box)를 통하여 분사하며, 이때 분사 압력은 평량에 따라 2~5bar로 조절한다.
그런 후에 와이어 상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석션박스(Suction box)를 이용하여 웹을 형성시킨 후 2번의 카딩기(소면기)에서 형성된 웹 위에 붙이는 2차 습윤 펄프(Wet pulp) 공정을 거친다.
상기 2차 습윤 펄프 공정을 통해 카딩기에서 나온 웹을 습윤 펄프 웹(Wet pulp web)에 픽업(Pick up)시키는 3차 카딩(Carding) 공정을 거친다.
그런 다음 상기 3차 카딩 공정을 거친 웹은 50~80bar의 수압으로 워터 제트(Water jet)를 통해 웹의 표면에 요철을 만드는 1차 워터 제트 공정을 거치게 되며, 상기 1차 워터 제트 공정 후에 웹의 인장강도를 높이고 섬유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100~300bar의 수압으로 워터 제트(Water jet)를 통해 물을 분사시키는 2차 워터 제트 공정을 거치게 되며, 이때 워터 제트의 노즐 박스는 5~7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워터 제트 공정 후에는 건조 공정에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석션 롤(Suction Roll)과 박스를 이용하여 웹의 수분을 제거하는 예비 건조공정을 거치게 되며, 상기 예비 건조공정을 거친 웹에서 수분을 더욱 제거하기 위하여 웹 원재료의 융점을 파악하여 드라이어(Dryer)를 통해 140~180℃의 뜨거운 바람으로 웹을 건조하는 건조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건조공정을 통해 건조된 웹은 원하는 크기로 감는 와인딩(Winding) 공정을 거쳐 마무리된다.
즉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물티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상기 웹 다짐 공정과 1, 2차 습윤 펄프 공정을 통해 제조된 펄프가 상기 제 1차 카딩공정 및 제 2차 카딩공정과 제 3차 카딩공정을 통해 제조된 부직포 사이에 적층 된 샌드위치 형상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부직포 제조방식은 물티슈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고가인 원재료가 많이 소요되지만 본 발명에 의한 물티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종래의 방식에서 카딩(Carding)과 카딩(Carding) 부직포 사이에 천연소재인 목재 펄프를 50~60% 정도 샌드위치처럼 집어넣어 제조함으로써 값 비싼 원자재의 소요량을 줄여 종래의 방법보다 약 50% 정도 저렴한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재 펄프가 많이 사용되어 촉감이 뛰어나고 친환경적이며 친수성이 좋아 흡수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적당한 인장력으로 처지지 않고, 옆 방향으로의 강도가 좋아 쉽게 찢어지지 않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8)

  1. 단단하고 서로 엉켜있는 뭉치(Bale) 상태의 원료를 얇은 시트(sheet) 상의 섬유인 웹(web)을 형성하기 위하여 손틀처럼 풀어주는 오프닝(Opening) 공정;과,
    상기 오프닝 공정을 통해 얻어진 섬유를 빗질을 하면서 서로 결합시켜 원하는 평량으로 웹을 형성하는 카딩(Carding) 공정;과,
    상기 1차 카딩 공정을 거쳐 부풀어 오른 웹을 워터 제트(Water jet)를 이용하여 50~80bar의 수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웹을 다져주는 웹 다짐 공정;과,
    상기 웹 다짐 공정을 통해 다져진 웹 위에 3~5mm 길이의 펄프(Pulp)를 하드박스(Hard box)를 통해 분사한 후 와이어 상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석션박스(Suction box)를 이용하여 웹을 형성시킨 후 2번의 카딩기(소면기)에서 형성된 웹 위에 붙이는 습윤 펄프(Wet pulp) 공정;과,
    상기 습윤 펄프 공정을 통해 카딩기에서 나온 웹을 50~80bar의 수압으로 워터 제트(Water jet)를 통해 웹의 표면에 요철을 만드는 1차 워터 제트 공정;과,
    상기 1차 워터 제트 공정 후에 웹의 인장강도를 높이고 섬유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100~300bar의 수압으로 워터 제트(Water jet)를 통해 물을 분사시키는 2차 워터 제트 공정;과,
    상기 2차 워터 제트 공정 후에는 석션롤(Suction Roll)과 박스를 이용하여 웹의 수분을 제거하는 예비 건조공정;과,
    상기 예비 건조공정을 거친 웹에서 수분을 더욱 제거하기 위하여 웹 원재료의 융점을 파악하여 드라이어(Dryer)를 통해 140~180℃의 뜨거운 바람으로 웹을 건조하는 건조공정;과,
    상기 건조공정을 통해 건조된 웹을 원하는 크기로 감는 와인딩(Winding)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2. 제 1항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물티슈를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용 부직포.
  3. 단단하고 서로 엉켜있는 뭉치(Bale) 상태의 원료를 얇은 시트(sheet) 상의 섬유인 웹(web)을 형성하기 위하여 손틀처럼 풀어주는 오프닝(Opening) 공정;과,
    상기 오프닝 공정을 통해 얻어진 섬유를 빗질을 하면서 서로 결합시켜 원하는 평량으로 웹을 형성하는 1차 카딩(Carding) 공정;과,
    상기 1차 카딩 공정을 거쳐 부풀어 오른 웹을 워터 제트(Water jet)를 이용하여 50~80bar의 수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웹을 다져주는 웹 다짐 공정;과,
    상기 웹 다짐 공정을 통해 다져진 웹 위에 3~5mm 길이의 펄프(Pulp)를 하드박스(Hard box)를 통해 분사한 후 와이어 상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석션박스(Suction box)를 이용하여 웹을 형성시킨 후 2번의 카딩기(소면기)에서 형성된 웹 위에 붙이는 습윤 펄프(Wet pulp) 공정;과,
    상기 습윤 펄프 공정을 통해 카딩기에서 나온 웹을 습윤 펄프 웹(Wet pulp web)에 픽업(Pick up)시키는 2차 카딩(Carding) 공정;과,
    상기 2차 카딩 공정을 거친 웹을 50~80bar의 수압으로 워터 제트(Water jet)를 통해 웹의 표면에 요철을 만드는 1차 워터 제트 공정;과,
    상기 1차 워터 제트 공정 후에 웹의 인장강도를 높이고 섬유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100~300bar의 수압으로 워터 제트(Water jet)를 통해 물을 분사시키는 2차 워터 제트 공정;과,
    상기 2차 워터 제트 공정 후에는 석션롤(Suction Roll)과 박스를 이용하여 웹의 수분을 제거하는 예비 건조공정;과,
    상기 예비 건조공정을 거친 웹에서 수분을 더욱 제거하기 위하여 웹 원재료의 융점을 파악하여 드라이어(Dryer)를 통해 140~180℃의 뜨거운 바람으로 웹을 건조하는 건조공정;과,
    상기 건조공정을 통해 건조된 웹을 원하는 크기로 감는 와인딩(Winding)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4. 제 3항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물티슈를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용 부직포.
  5. 단단하고 서로 엉켜있는 뭉치(Bale) 상태의 원료를 얇은 시트(sheet) 상의 섬유인 웹(web)을 형성하기 위하여 손틀처럼 풀어주는 오프닝(Opening) 공정;과,
    상기 오프닝 공정을 통해 얻어진 섬유를 빗질을 하면서 서로 결합시켜 원하는 평량으로 웹을 형성하는 1차 카딩(Carding) 공정;과,
    상기 1차 카딩 공정을 거쳐 부풀어 오른 웹을 워터 제트(Water jet)를 이용하여 50~80bar의 수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웹을 다져주는 웹 다짐 공정;과,
    상기 웹 다짐 공정을 통해 다져진 웹 위에 3~5mm 길이의 펄프(Pulp)를 하드박스(Hard box)를 통해 분사한 후 와이어 상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석션박스(Suction box)를 이용하여 웹을 형성시킨 후 2번의 카딩기(소면기)에서 형성된 웹 위에 붙이는 1차 습윤 펄프(Wet pulp) 공정;과,
    상기 1차 습윤 펄프 공정을 통해 카딩기에서 나온 웹을 습윤 펄프 웹(Wet pulp web)에 픽업(Pick up)시키는 2차 카딩(Carding) 공정;과,
    상기 2차 카딩 공정을 거친 웹 위에 3~5mm 길이의 펄프(Pulp)를 하드박스(Hard box)를 통해 분사한 후 와이어 상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석션박스(Suction box)를 이용하여 웹을 형성시킨 후 2번의 카딩기(소면기)에서 형성된 웹 위에 붙이는 2차 습윤 펄프(Wet pulp) 공정;과,
    상기 2차 습윤 펄프 공정을 통해 카딩기에서 나온 웹을 습윤 펄프 웹(Wet pulp web)에 픽업(Pick up)시키는 3차 카딩(Carding) 공정;과,
    상기 3차 카딩 공정을 거친 웹을 50~80bar의 수압으로 워터 제트(Water jet)를 통해 웹의 표면에 요철을 만드는 1차 워터 제트 공정;과,
    상기 1차 워터 제트 공정 후에 웹의 인장강도를 높이고 섬유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100~300bar의 수압으로 워터 제트(Water jet)를 통해 물을 분사시키는 2차 워터 제트 공정;과,
    상기 2차 워터 제트 공정 후에는 석션롤(Suction Roll)과 박스를 이용하여 웹의 수분을 제거하는 예비 건조공정;과,
    상기 예비 건조공정을 거친 웹에서 수분을 더욱 제거하기 위하여 웹 원재료의 융점을 파악하여 드라이어(Dryer)를 통해 140~180℃의 뜨거운 바람으로 웹을 건조하는 건조공정;과,
    상기 건조공정을 통해 건조된 웹을 원하는 크기로 감는 와인딩(Winding)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6. 제 5항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물티슈를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용 부직포.
  7.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카딩 공정에서 웹(Web)을 습윤 펄프 웹(Wet pulp web)에 픽업(Pick up) 시 석션박스(Suction box)의 진공도를 평량과 함수율에 따라 2~5bar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웹 다짐 공정과 습윤 펄프 공정을 통해 제조된 펄프는 상기 제 1차 카딩공정과 제 2차 카딩공정을 통해 제조된 부직포 사이에 적층된 샌드위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20150114291A 2015-05-26 2015-08-13 물티슈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KR101578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72720 2015-05-26
KR1020150072720 2015-05-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639B1 true KR101578639B1 (ko) 2015-12-17

Family

ID=5508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291A KR101578639B1 (ko) 2015-05-26 2015-08-13 물티슈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6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872A (ko) * 2017-01-24 2018-08-01 주식회사 천우글로텍스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958B1 (ko) 2006-05-29 2007-09-06 이권혁 대나무 섬유용 펄프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공정
KR101403885B1 (ko) 2013-05-30 2014-06-09 (주)태봉 천연섬유 및 안티몬이 포함되지 않은 극세사 부직포의 기능성 테라피 가공 방법 및 이를 통해서 제조된 친환경 기능성 테라피 부직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958B1 (ko) 2006-05-29 2007-09-06 이권혁 대나무 섬유용 펄프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공정
KR101403885B1 (ko) 2013-05-30 2014-06-09 (주)태봉 천연섬유 및 안티몬이 포함되지 않은 극세사 부직포의 기능성 테라피 가공 방법 및 이를 통해서 제조된 친환경 기능성 테라피 부직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872A (ko) * 2017-01-24 2018-08-01 주식회사 천우글로텍스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
KR101887950B1 (ko) * 2017-01-24 2018-08-13 주식회사 천우글로텍스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5166B2 (en) Hydroentangled airlaid process and industrial wipe products
US9394637B2 (en) Method for production of a hydroentangled airlaid web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FI97629B (fi) Vesikietomisprosessi ja -tuote
CN101619520B (zh) 可降解复合水刺非织造布及生产方法
US63781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nstituting fibers from recyclable waste material
US20110057346A1 (en) Art of using regenerated fibers in multi process non-wovens
CN104884696B (zh) 水刺成形的复合无纺布
CN1252109A (zh) 可分散非织造布及其制法
JP2009507141A (ja) 不織乾式堆積型クレープ材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RU2717928C2 (ru) Рисунчатый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JP2005536645A (ja) 抗菌性処理布
US20190242055A1 (en) Blended chitosan-latex binder for high performance nonwoven fabrics
CN103088553A (zh) 可降解生物纤维擦拭材料及其制备方法
JP2015048569A (ja) 不織布及び該不織布の製造方法
WO2013129298A1 (ja) 不織布、及び、この不織布の製造方法
KR101611887B1 (ko) 한지부직포 제조방법
CN115103937A (zh) 复合无纺织物以及用于制造复合无纺织物的方法
CA2583914A1 (en) Method of making a filamentary laminate and the products thereof
CN203530608U (zh) 环保型多层纤维复合材料毡的针刺/热熔粘合加工系统
US20070056674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towel, tissue, and wipers on an air carding or air lay line utilizing hydrogen bonds
KR101578639B1 (ko) 물티슈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CN104884695B (zh) 压花复合无纺幅材料
CN104908405B (zh) 一种皱纹仿布纸的生产设备及方法
KR101050831B1 (ko) 세척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WO2015002555A1 (en) Biodegradable, combustible or noncombustible nonwoven, process of manufacture and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