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090A - 빨대 및 이를 이용한 용기 - Google Patents

빨대 및 이를 이용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090A
KR20180086090A KR1020170010064A KR20170010064A KR20180086090A KR 20180086090 A KR20180086090 A KR 20180086090A KR 1020170010064 A KR1020170010064 A KR 1020170010064A KR 20170010064 A KR20170010064 A KR 20170010064A KR 20180086090 A KR20180086090 A KR 20180086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straw
container
tubular member
tub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엽
Original Assignee
박해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해엽 filed Critical 박해엽
Priority to KR1020170010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6090A/ko
Publication of KR20180086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9Drinking straws or the like telesco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빨대 및 이를 이용한 용기가 개시된다.
액체를 담을 있는 용기 몸체부와;
상기 용기 몸체부에 결합된 뚜껑과;
상기 용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된 빨대를 포함하되,
상기 빨대는,
하부가 상기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1 관부재와;
상기 제1 관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에서 상기 용기 몸체부의 입구부까지의 높이 보다 긴 길이의 제2 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관부재는 주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용기부 몸체부의 입구부에 상기 뚜껑을 결합할 경우 상기 주름부가 수축하여 상기 제2 관부재가 상기 용기 몸체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빨대 및 이를 이용한 용기{straw and container using it}
본 발명은 빨대 및 이를 이용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물이나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음료수가 담겨진 용기의 뚜껑을 개방하여 마시는 경우가 있다. 이때, 빨대가 준비된다면 보다 용이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 빨대를 용기의 외벽에 붙일 수도 있으나, 간혹 운반이나 보관 중에 빨대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아울러, 용기의 외벽에 빨대를 부착하는 것은 용기의 미관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실용 제20-0466313호(멀티 빨대 컵)
본 발명은 이중구조의 빨대와, 이러한 빨대를 내부에 삽입한 구조의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액체를 담을 있는 용기 몸체부와;
상기 용기 몸체부에 결합된 뚜껑과;
상기 용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된 빨대를 포함하되,
상기 빨대는,
하부가 상기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1 관부재와;
상기 제1 관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에서 상기 용기 몸체부의 입구부까지의 높이 보다 긴 길이의 제2 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관부재는 주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용기부 몸체부의 입구부에 상기 뚜껑을 결합할 경우 상기 주름부가 수축하여 상기 제2 관부재가 상기 용기 몸체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체를 담을 있는 용기 몸체부와;
상기 용기 몸체부에 결합된 뚜껑과;
상기 용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된 빨대를 포함하되,
상기 빨대는,
하부가 상기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에서 상기 용기 몸체부의 입구부의 높이 보다 긴 길이의 제1 관부재와;
상기 제1 관부재에 삽입되는 제2 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관부재는 주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용기부 몸체부의 입구부에 상기 뚜껑을 결합할 경우 상기 주름부가 수축하여 상기 제1 관부재가 상기 용기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뚜껑에는 상기 제2 관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 관부재의 직경보다 큰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상부에는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보조캡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제1 관부재의 하부에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이중구조의 빨대와, 이러한 빨대를 내부에 삽입한 구조의 용기로서, 용기의 뚜껑을 개방시 빨대가 자동으로 인출되어 쉽게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빨대가 내장된 상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빨대가 유출된 상태).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에에 따른 용기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빨대가 유출된 상태).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빨대(10)는 제1 관부재(11)와 제2 관부재(12)로 구성된다. 제1 관부재(11)의 내부에 제2 관부재(12)가 삽입된다. 제2 관부재(12)를 잡아당길 경우 제2 관부재(12)가 제1 관부재(11)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제2 관부재(12)의 말단의 외경은 제1 관부재(11)의 입구부의 내경보다 커서, 빠져나오지 못한다.
제2 관부재(12)의 말단에는 턱(121)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2 관부재(12)가 제1 관부재(11) 속으로 모두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사용자는 턱(121)부분을 손톱 끝으로 걸어 당길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제2 관부재(12)가 제1 관부재(11)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된다.
제1 관부재(11)의 외부에는 주름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관부재(12) 후술할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입구부의 높이보다 길다. 제1 관부재(11)를 상부에서 누를 경우 주름부(111)가 수축되어, 제1 관부재(11)가 용기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한편, 주름부(111)에 대한 수축이 해제될 경우, 주름부(111)가 늘어나면서 제1 관부재(11)의 상부 일부가 용기의 입구부 위로 돌출된다.
제1 관부재(11)의 하부 측면에는 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관부재(11)의 말단이 용기의 바닥면에 고정되면, 홀(112)을 통하여 액체가 제1 관부재(11) 내부로 유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대의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의 빨대(20)는 제1 관부재(21)와 제2 관부재(22)로 구성된다. 제1 관부재(21)의 내부에 제2 관부재(22)가 삽입된다. 제2 관부재(22)를 잡아당길 경우 제2 관부재(22)가 제1 관부재(21)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제2 관부재(22)의 말단의 외경은 제1 관부재(21)의 입구부의 내경보다 커서, 빠져나오지 못한다.
제2 관부재(22)의 길이는 후술할 용기의 바닥면에서부터 입구부의 높이보다 길다. 제2 관부재(22)에는 주름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주름부(221)가 수축시에는 제2 관부재(22)의 길이가 용기의 바닥면에서부터 입구부의 높이보다 짧게 된다.
제2 관부재(22)의 상단의 말단에는 턱(222)이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제2 관부재(22)가 제1 관부재(21) 속으로 모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1 관부재(211)의 하단에는 관통홀(211)이 형성되어 있어서, 관통홀(211) 을 통하여 액체가 유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빨대가 내장된 상태)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빨대가 유출된 상태)이며,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에에 따른 용기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용기(30)는,
액체를 담을 있는 용기 몸체부(31)와;
상기 용기 몸체부(31)에 결합된 뚜껑(32)과;
상기 용기 몸체부(31)의 내부에 삽입된 빨대(20)를 포함한다.
용기 몸체부(31)는 물이나 음료수를 담을 수 있는 형태이다. 뚜껑(32)은 용기 몸체부(31)의 입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뚜껑(32)에는 관통홀(321)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홀(321)은 보조캡(322)으로 열고 닫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빨대(20)는 도 2의 제2 실시예의 빨대(20)와 동일한 구조이다.
본 실시예의 빨대(20)는,
하부가 상기 용기 몸체부(31)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제1 관부재(21)와;
상기 제1 관부재(21)에 삽입되며, 상기 용기 몸체부(31)의 바닥면에서 상기 용기 몸체부(31)의 입구부까지의 높이 보다 긴 길이의 제2 관부재(22)를 포함한다. 제2 관부재(22)의 상단에는 턱(222)이 형성되어 제1 관부재(21)의 내부로 제2 관부재(22)가 빠져들어가지 않게 된다. 손톱 끝으로 턱(222)을 잡아당기면 제2 관부재(22)가 제1 관부재(22)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제2 관부재(22)는 주름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부 몸체부(31)의 입구부에 뚜껑(32)을 결합할 경우 상기 주름부(221)가 수축하여 도 3과 같이, 상기 제2 관부재(22)가 용기 몸체부(31)의 내부로 삽입된다.
뚜껑(32)에는 제2 관부재(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관부재(22)의 직경보다 큰 관통홀(321)이 형성된다. 뚜껑(32)의 상부에는 관통홀(321)을 커버하는 보조캡(322)이 더 결합된다. 관통홀(321)의 아래에 제2 관부재(22)가 위치한다. 보조캡(322)을 열면, 주름부(221)가 펼쳐지면서 도 4와 같이, 제2 관부재(22)가 외부로 돌출된다.
제1 관부재(21)의 하부에는 홀(211)이 형성되어 있어서, 액체가 제1 관부재(21)로 유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빨대가 유출된 상태)이다.
본 실시예의 용기(40)는,
액체를 담을 있는 용기 몸체부(41)와;
상기 용기 몸체부(41)에 결합된 뚜껑(42)과;
상기 용기 몸체부(41)의 내부에 삽입된 빨대(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빨대(10)는 도 1과 같은 제1 실시예의 빨대(10)와 동일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빨대(10)는,
하부가 상기 용기 몸체부(41)의 바닥면에 위치하며, 용기 몸체부(41)의 바닥면에서 상기 용기 몸체부(41)의 입구부의 높이 보다 긴 길이의 제1 관부재(11)와;
상기 제1 관부재(11)에 삽입되는 제2 관부재(12)를 포함한다.
제1 관부재(11)에는 주름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부 몸체부(41)의 입구부에 뚜껑(42)을 결합할 경우 주름부(111)가 수축하여 제1 관부재(11)가 상기 용기 몸체부(41)의 내부로 삽입된다.
제1 관부재(11)의 하부에는 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홀(112)을 통하여 액체가 제1 관부재(11) 내부로 유입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용기(30) 용기 몸체부(31)
뚜껑(32) 빨대(20)
제1 관부재(21) 제2 관부재(22)
주름부(221) 턱(222)

Claims (4)

  1. 액체를 담을 있는 용기 몸체부와;
    상기 용기 몸체부에 결합된 뚜껑과;
    상기 용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된 빨대를 포함하되,
    상기 빨대는,
    하부가 상기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제1 관부재와;
    상기 제1 관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에서 상기 용기 몸체부의 입구부까지의 높이 보다 긴 길이의 제2 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관부재는 주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용기부 몸체부의 입구부에 상기 뚜껑을 결합할 경우 상기 주름부가 수축하여 상기 제2 관부재가 상기 용기 몸체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액체를 담을 있는 용기 몸체부와;
    상기 용기 몸체부에 결합된 뚜껑과;
    상기 용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된 빨대를 포함하되,
    상기 빨대는,
    하부가 상기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에 위치하며, 상기 용기 몸체부의 바닥면에서 상기 용기 몸체부의 입구부의 높이 보다 긴 길이의 제1 관부재와;
    상기 제1 관부재에 삽입되는 제2 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관부재는 주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용기부 몸체부의 입구부에 상기 뚜껑을 결합할 경우 상기 주름부가 수축하여 상기 제1 관부재가 상기 용기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1항 또는 제2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제2 관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 관부재의 직경보다 큰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상부에는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보조캡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제1 관부재의 하부에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170010064A 2017-01-20 2017-01-20 빨대 및 이를 이용한 용기 KR20180086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064A KR20180086090A (ko) 2017-01-20 2017-01-20 빨대 및 이를 이용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064A KR20180086090A (ko) 2017-01-20 2017-01-20 빨대 및 이를 이용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090A true KR20180086090A (ko) 2018-07-30

Family

ID=6304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064A KR20180086090A (ko) 2017-01-20 2017-01-20 빨대 및 이를 이용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60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313Y1 (ko) 2013-02-01 2013-04-08 김광현 멀티 빨대 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313Y1 (ko) 2013-02-01 2013-04-08 김광현 멀티 빨대 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7928B1 (en) Straw with plug
JP4753239B2 (ja) 計量スプーン付き容器
US20160100703A1 (en) Universal threaded bottle cap and straw
US4265363A (en) Container with drinking tube
JP6501699B2 (ja) 注出容器
US6431382B1 (en) Beverage container having a self-contained pop-up drinking straw or tube
KR20180086090A (ko) 빨대 및 이를 이용한 용기
JP2007145353A (ja) キャップ
KR20180086091A (ko) 빨대 및 이를 이용한 캔용기
JP2013121850A (ja) ストロー装着用アタッチメント
JP4312396B2 (ja) プルリング付口栓
CN104943971A (zh) 限位台吸嘴式可扳动吸嘴盖
JP4962953B2 (ja) 計量注出容器
CN204750896U (zh) 限位台吸嘴式可扳动吸嘴盖
KR20180086092A (ko) 빨대 및 이를 이용한 일회용기
CN205682888U (zh) 一种便于饮料储存的杯子结构
KR102347354B1 (ko) 오뚝이 컵
JP4458337B2 (ja) 飲料容器
JP3068268U (ja) ペットボトル用キャップ
JP3665912B2 (ja) 液体収納容器
JP5384243B2 (ja) ブロー成形容器
CN105747769A (zh) 一种储存式水杯
JPH0518286Y2 (ko)
JP3303207B2 (ja) 傘の水滴捕捉用具とそれを用いた傘
US831074A (en) Fla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