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354B1 - 오뚝이 컵 - Google Patents

오뚝이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354B1
KR102347354B1 KR1020200081908A KR20200081908A KR102347354B1 KR 102347354 B1 KR102347354 B1 KR 102347354B1 KR 1020200081908 A KR1020200081908 A KR 1020200081908A KR 20200081908 A KR20200081908 A KR 20200081908A KR 102347354 B1 KR102347354 B1 KR 102347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ap
upper body
lower body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주
김민선
정다영
정의영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1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2019/2294Self-righting drinking vessels, e.g. with means generating a moment to stay upr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제안기술은 오뚝이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을 오뚝이 형상으로 형성하여 외력에 의한 컵의 흔들림에도 컵이 쓰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쏟아짐을 방지할 수 있는 오뚝이 컵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오뚝이 컵{A Roly-Poly Cup}
제안기술은 오뚝이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을 오뚝이 형상으로 형성하여 외력에 의한 컵의 흔들림에도 컵이 쓰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쏟아짐을 방지할 수 있는 오뚝이 컵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컵을 잡는 것이 익숙지 않기 때문에 실수로 컵을 넘어뜨려 안에 담긴 내용물을 쏟을 수 있는 여지가 많다.
또한, 컵을 잡는다 하더라고 마실 때 내용물이 입 밖으로 흐르는 경우가 많아 일반적인 컵의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1766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컵을 오뚝이 형상으로 형성하여 외력에 의한 컵의 흔들림에도 컵이 쓰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쏟아짐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뚝이 컵에 있어서,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제1공간이 형성되는 상부바디;
상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제2공간이 형성되는 하부바디;
상부바디의 상단을 밀폐시키도록 씌워지는 골무 형상의 캡부;를 포함하며,
캡부의 내측에는 상부바디의 상단이 일정 길이 부분 삽입되고,
캡부의 상단 중앙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캡부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되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캡부는 하방으로 당겨지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캡부의 탄성 변형 시 절개부가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바디는 원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부바디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제1연장부;
제1연장부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의 단면적을 갖는 제2연장부;
제2연장부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제3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연장부의 일측과 타측은 서로 다른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바디는 하방으로 돌출된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바디의 상단은 상부바디의 하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바디와 하부바디의 결합 시 무게중심은 하부바디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바디와 하부바디는 폴리페닐설폰(polyphenylene sulfon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바디의 외측면에는 캡부와 동일한 재질의 덮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컵을 오뚝이 형상으로 형성하여 외력에 의한 컵의 흔들림에도 컵이 쓰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쏟아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입구가 개방되지 않으며, 필요 시 압력을 가하여 입구가 개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영유아의 사용 시에도 내용물의 쏟아짐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컵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컵의 상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컵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캡부가 제거된 오뚜기 컵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컵의 입구 개방 전후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캡부의 내측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컵의 흔들림 시 개념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오뚝이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을 오뚝이 형상으로 형성하여 외력에 의한 컵의 흔들림에도 컵이 쓰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쏟아짐을 방지할 수 있는 오뚝이 컵에 관한 발명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컵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컵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캡부가 제거된 오뚜기 컵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오뚝이 컵은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제1공간이 형성되는 상부바디(2)와, 상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제2공간이 형성되는 하부바디(10)와, 상기 상부바디(2)의 상단을 밀폐시키도록 씌워지는 골무 형상의 캡부(12)를 포함하며 구성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컵의 상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컵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부바디(2)는 호리병 형상인 것으로, 원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곡선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바디(2)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제1연장부(4)와, 상기 제1연장부(4)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의 단면적을 갖는 제2연장부(6)와, 상기 제2연장부(6)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제3연장부(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연장부(4)의 일측과 타측은 서로 동일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4)의 일측과 타측이 서로 동일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연장부(4)의 단면적은 상기 제1연장부(4)의 단면적 중심점으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선에 대해 대칭 형상을 갖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제1연장부(4)의 일측과 타측이 서로 다른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연장부(4)의 단면적 중심점을 기준으로 십자 형상의 가상의 선을 그었을 때, 상기 제1연장부(4)의 단면적은 상기 가상의 선 중 종방향 선에 대해서는 대칭 형상을 갖지만 횡방향 선에 대해서는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바디(10)는 하방으로 돌출된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바디(10)의 상단은 상기 상부바디(2)의 하단과 결합되며, 이때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은 연통된다.
상기 상부바디(2)와 상기 하부바디(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내부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분리되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바디(2)와 상기 하부바디(10)가 분리되어 제작되는 경우,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내부의 내용물이 상기 상부바디(2)와 상기 하부바디(10)의 결합부를 통해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부바디(2)와 상기 하부바디(10)의 결합은 상기 상부바디(2)와 상기 하부바디(10)의 내외부를 밀폐시키는 방식으로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바디(2)의 하단과 상기 하부바디(10)의 상단 중 어느 하나의 외경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내경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바디(10)가 나사 결합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상부바디(2)와 상기 하부바디(10)의 내외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상부바디(2)와 상기 하부바디(10)의 결합 시 상기 상부바디(2)의 외측면과 상기 하부바디(10)의 외측면은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부바디(2)와 상기 하부바디(10)는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페닐설폰(polyphenylene sulfon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컵의 입구 개방 전후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캡부(12)는 일측이 개방되어 내측에 공간을 갖는 골무 형상으로, 상기 캡부(12)의 상단 중앙부에는 절개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4)는 열십자 형상, 일자 형상, 별(*)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부(12)가 상기 상부바디(2)에 씌워질 때, 상기 캡부(12)의 내측면은 상기 상부바디(2)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상부바디(2)의 내외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바디(2)의 내부와 외부는 상기 절개부(14)에 의해서만 연통된다.
상기 캡부(12)가 상기 상부바디(2)에 씌워질 때, 상기 캡부(12)는 상기 상부바디(2) 상단의 개방된 부분, 상기 제3연장부(8) 및 상기 제2연장부(6)의 상단 일정 길이 부분을 감싸게 된다. 이때, 상기 절개부(14)의 중심점은 상기 상부바디(2) 상단의 단면적 중심점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부(12)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되는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캡부(12)는 하방으로 당겨지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것으로, 탄성 변형 시 상기 절개부(14)가 벌어지면서 상기 상부바디(2)와 상기 하부바디(10)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입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캡부(1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상기 절개부(14)를 통한 상기 내용물의 유출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유아 등의 사용자가 상기 캡부(12)를 포함한 상기 상부바디(2)의 상단 일정 길이 부분을 입에 넣고 입술 등을 이용하여 상기 캡부(12)를 하방으로 일정 길이 당기게 되면, 상기 캡부(12)는 상기 제3연장부(8)의 형상에 따라 형상 변형되며, 동시에 상기 절개부(14)가 점차 벌어지면서 홀 형상의 입구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바디(2)와 상기 하부바디(10) 내부의 내용물을 마실 수 있게 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캡부의 내측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부바디(2)의 내외부 밀폐를 보다 확실히 하기 위해 상기 캡부(12)의 하단 내측 둘레부에는 링 형상의 돌출부(16)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필요 시 상기 절개부(14)에는 빨대를 꽂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컵의 흔들림 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오뚝이 컵의 무게중심은 상기 하부바디(10)에 있으며, 따라서 상기 오뚝이 컵에 외력이 가해져 좌우로 진동할 때에도 중심을 잃지 않고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하부바디(10)의 외측면에는 상기 캡부(12)와 동일한 재질의 덮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오뚝이 컵을 바닥에 내려놓았을 때, 상기 하부바디(10)가 상기 바닥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오뚝이 컵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 상부바디
4 : 제1연장부
6 : 제2연장부
8 : 제3연장부
10 : 하부바디
12 : 캡부
14 : 절개부
16 : 돌출부

Claims (12)

  1.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제1공간이 형성되는 상부바디;
    상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제2공간이 형성되는 하부바디;
    상기 상부바디의 상단을 밀폐시키도록 씌워지는 골무 형상의 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바디의 상단이 일정 길이 부분 삽입되고,
    상기 캡부의 상단 중앙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바디는 원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바디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의 단면적을 갖는 제2연장부;
    상기 제2연장부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제3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되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캡부는 하방으로 당겨지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되, 상기 제3연장부의 형상에 따라 형상 변형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캡부의 변형에 의하여 홀 형상의 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의 일측과 타측은 서로 다른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컵.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는 하방으로 돌출된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컵.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의 상단은 상기 상부바디의 하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컵.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결합 시 무게중심은 상기 하부바디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컵.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는 폴리페닐설폰(polyphenylene sulfon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컵.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의 외측면에는 상기 캡부와 동일한 재질의 덮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컵.
KR1020200081908A 2020-07-03 2020-07-03 오뚝이 컵 KR102347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908A KR102347354B1 (ko) 2020-07-03 2020-07-03 오뚝이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908A KR102347354B1 (ko) 2020-07-03 2020-07-03 오뚝이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354B1 true KR102347354B1 (ko) 2022-01-04

Family

ID=7934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908A KR102347354B1 (ko) 2020-07-03 2020-07-03 오뚝이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340B1 (ko) 2021-03-12 2024-05-17 주식회사 디에스피앤피 젓가락 받침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229U (ko) * 1993-02-02 1994-09-15 이영희 오똑이 우유병
KR20010000704U (ko) * 1999-06-16 2001-01-15 김명렬 유아용 젖병
KR20120000011U (ko) * 2010-06-25 2012-01-02 박동영 유아용 오뚝이 컵
KR200466728Y1 (ko) * 2012-11-08 2013-05-09 김성진 유아용 다용도 컵
JP2015526109A (ja) * 2012-05-25 2015-09-10 ジップズ,インク. シングルサーブ飲料容器
KR20200017663A (ko) 2018-08-09 2020-02-19 최명지 다양한 충격이나 흔들림에 강한 오뚝이 컵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229U (ko) * 1993-02-02 1994-09-15 이영희 오똑이 우유병
KR20010000704U (ko) * 1999-06-16 2001-01-15 김명렬 유아용 젖병
KR20120000011U (ko) * 2010-06-25 2012-01-02 박동영 유아용 오뚝이 컵
JP2015526109A (ja) * 2012-05-25 2015-09-10 ジップズ,インク. シングルサーブ飲料容器
KR200466728Y1 (ko) * 2012-11-08 2013-05-09 김성진 유아용 다용도 컵
KR20200017663A (ko) 2018-08-09 2020-02-19 최명지 다양한 충격이나 흔들림에 강한 오뚝이 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340B1 (ko) 2021-03-12 2024-05-17 주식회사 디에스피앤피 젓가락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8527A (en) Drinking straws
US8025178B2 (en) Drinking vessel
ES2557468T3 (es) Tetina de biberón
JP2007508873A (ja) 瓶、特に哺乳瓶並びに作製法
RU2732421C1 (ru) Чашка для питья, обеспечивающая возможность питья под любым углом
US20160083154A1 (en) Beverage container for child
US9441748B2 (en) Flow control and training cup valve assemblies
KR102347354B1 (ko) 오뚝이 컵
CN103958364A (zh) 非溢出式阀
JP2008509858A (ja) 使い捨て飲料容器及び容器キャップ
US10993561B2 (en) Dispensing fluids from drinking containers
US8733565B1 (en) Nipple closure having flow control valve
GB2317608A (en) Spill resistant cup
JP2007145353A (ja) キャップ
JP6740337B2 (ja) 飲料缶から飲用するためのマウスピース
KR100749826B1 (ko) 밀폐용기
JP2002125831A (ja) ストロー
US20230270271A1 (en) Apparatus for Drinking
KR101540973B1 (ko) 유아용 컵
CN209346565U (zh) 一种新型的婴幼儿饮水杯
KR100641450B1 (ko) 구부접철부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및 그 구조
KR20180086090A (ko) 빨대 및 이를 이용한 용기
JP2007279132A (ja) リコーダー用抗菌キャップ
KR20180086091A (ko) 빨대 및 이를 이용한 캔용기
JP2020079097A (ja) 飲料容器およびキャップ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