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009A - 소음기용 흡음모듈 - Google Patents

소음기용 흡음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009A
KR20180086009A KR1020170009841A KR20170009841A KR20180086009A KR 20180086009 A KR20180086009 A KR 20180086009A KR 1020170009841 A KR1020170009841 A KR 1020170009841A KR 20170009841 A KR20170009841 A KR 20170009841A KR 20180086009 A KR20180086009 A KR 20180086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reduction unit
noise reduction
soun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순
김승평
김승국
김준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월드
Priority to KR1020170009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6009A/ko
Publication of KR20180086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24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sound-absorb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흡음형 중앙 흡음모듈의 형태나 각도에 따라 유속이 자유로이 흘러가게 적용되면서 배출되는 소음을 반복적으로 흡음하여 저감시켜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소음기용 흡음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소음기용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유입되는 유속의 흐름에 지장 없이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모듈로서, 흡음모듈(10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하우징(10)의 입구에서 하우징(10)의 출구로 안내하면서 저감시키는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1소음저감부(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제1소음저감부(110)로 안내하면서 내측으로 수용되는 소음을 흡음하여서 저감시키는 제2소음저감부(120)를 포함하며, 제1소음저감부(110)는 소음이 유입되어서 이동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제1흡음통부(111)와, 제1흡음통부(111)의 일단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소음이 유입되는 제1소음유입부(112)와, 제1흡음통부(111)의 타단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소음이 배출되는 제1소음배출부(113)를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의 소음기는 리듀서(확대이음관)나 호퍼 없이 사용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리듀서(확대이음관)나 호퍼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흡음형 중앙의 흡음모듈을 이용하여 유속이 자유로이 흘러감과 동시에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소음기용 흡음모듈{NOISE ABSORPTION MODULE FOR SILENCER}
본 발명은 중앙 흡음모듈의 모형과 각도를 활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자유롭게 하면서 배출되는 소음을 반복적으로 흡음하여 감쇠시킬 수 있는 소음기용 흡음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음기는 공조장비에서 배출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흡음형, 간섭형, 팽창형, 공명형 등의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서 사용되고 있다.
흡음형은 흡음재료를 사용하여 소음하는 것이다. 간섭형은 음파의 통로를 나누어 각각의 경로의 길이로 바꾸어 음파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거나 합류시켜서 소음하는 것이다. 팽창형은 음파의 통로를 확대한 뒤에 축소시킴으로써 소음하는 것이다. 공명형은 공명 작용을 이용하여 음에너지를 소모시켜 소음하는 것이다.
종래의 소음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리듀서(확대 이음관)나 호퍼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리듀서(확대 이음관)나 호퍼가 없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특허공보 10-1481707호가 2015.01.06.일자로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소음이 흡음재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흡음되므로 흡음 효율성이 높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공조장비에서 배출되는 소음을 반복적으로 흡음하여 저감시켜서 소음저감에 대한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듀서(확대이음관)나 호퍼 없이 중앙 흡음모듈의 모형과 각도를 활용하여 제작 및 설치과정이 용이하고 유체의 흐름을 자유롭게 하면서 배출되는 소음을 반복적으로 흡음하여 감쇠시킬 수 있는 소음기용 흡음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소음기용 흡음모듈은, 소음기용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유입되는 유속의 흐름에 지장 없이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모듈로서, 흡음모듈(10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하우징(10)의 입구에서 하우징(10)의 출구로 안내하면서 저감시키는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1소음저감부(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제1소음저감부(110)로 안내하면서 내측으로 수용되는 소음을 흡음하여서 저감시키는 제2소음저감부(120)를 포함하며, 제1소음저감부(110)는 소음이 유입되어서 이동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제1흡음통부(111)와, 제1흡음통부(111)의 일단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소음이 유입되는 제1소음유입부(112)와, 제1흡음통부(111)의 타단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소음이 배출되는 제1소음배출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소음유입부(112)는 제1흡음통부(111)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점점 좁혀지게 돌출되면서 끝단에 소음이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제1소음배출부(113)는 제1흡음통부(111)의 타단을 마감하면서 소음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거나, 제1흡음통부(111)의 타단에서 외측으로 점점 좁혀지게 돌출되면서 끝단에 소음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2소음저감부(120)는 유입되는 유속 및 소음을 외측으로 확산시키면서 내측으로 침투되는 소음을 수용시켜서 저감시키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점점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타단에 소음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와,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의 타단에 일단이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소음수용공간을 연장시키는 제2소음연장부(123)와, 제2소음연장부(123)의 타단에 마감되어 소음수용공간을 폐쇄하는 제2마감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2마감부(122)는 제2소음연장부(123)의 소음수용공간을 폐쇄하면서 일단에서 타단까지 점점 좁혀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2소음저감부(120)는 유입되는 일부의 소음이 내측으로 통과되면서 분산되고 나머지 소음이 외측으로 반사되도록 다수의 타공홀이 형성되는 타공판(b)으로 구성되는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와, 소음이 흡음되어서 저감되는 흡음재(a) 및 흡음재(a)를 감싸는 상태로 소음이 관통되도록 다수의 타공홀이 형성되는 타공판(b)으로 구성되는 제2마감부(122)와, 제2소음/유속확장부(121) 및 제2마감부(122)의 사이에 구비되고, 제2소음/유속확장부(121)를 통과하는 소음을 분산시키도록 소음이 흡음되어서 저감되는 흡음재(a) 및 흡음재(a)를 감싸는 상태로 소음이 관통되도록 다수의 타공홀이 형성되는 타공판(b)으로 구성되어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제2소음분산부(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2소음저감부(120)는 제2마감부(122)에 연이어지게 구비되어 제2마감부(122)를 통과하는 소음을 흡음하여 저감하는 제2소음후방연속부(125)와, 제2소음후방연속부(125)에 연이어지게 구비되어 제2소음후방연속부(125)에서 저감되는 소음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흡음하여 저감하는 제2소음후방연장부(126)와, 제2소음후방연장부(126)에 연이어지면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어, 제2소음후방연장부(126)에서 저감되는 소음을 분산시켜서 배출시키도록 타공판으로 구성되는 제2소음후방마감부(1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흡음모듈(100)은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소음이 유입되는 입구 및 소음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어, 유입구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소음을 제1소음저감부(110)로 안내하면서 저감시키고,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제2소음저감부(120)로 안내하면서 저감시키는 제3소음저감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3소음저감부(130)는 입구에서부터 점점 확장되게 형성되어 소음을 확산시키는 제3소음/유확장소부(131)와, 제3소음/유확장소부(131)에서 연이어지게 형성되는 제3소음연장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3소음저감부(130)는 제3소음연장부(132)에서 출구까지 점점 좁혀지게 형성되어 소음을 축소시키는 제3소음/유속축소부(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3소음저감부(130)는 적어도 2개로 구성되어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2소음저감부(120)는 제3소음저감부(130)보다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서 위치되고, 제3소음저감부(130)는 제1소음저감부(110)보다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2소음저감부(120)의 일단은 제3소음저감부(130)의 입구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소음저감부(120)의 타단은 제3소음저감부(130)의 출구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며, 제3소음저감부(130)의 일단은 제1소음저감부(110)의 일단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3소음저감부(130)의 타단은 제1소음저감부(110)의 타단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용 흡음모듈은, 리듀서(확대이음관)나 호퍼 없이 중앙 흡음모듈의 모형과 각도를 활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자유롭게 하면서 배출되는 소음을 반복적으로 흡음하여 감쇠시킬 수 있어서, 소음저감에 대한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중앙의 흡음통에 의해 리듀서(확대이음관)나 호퍼가 필요없이 소음저감량을 줄이면서 유속을 현속도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음저감부의 유입부나 배출부의 각도를 설정하여 유속이나 소음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소음저감부의 유입부가 점점 확장되게 형성됨에 따라 유입되는 소음이 급격히 확장되면서 이동되므로 소음에 대한 흡음 및 저감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소음저감부의 배출부가 점점 좁아지게 형성됨에 따라 배출되는 소음이 자연적으로 축소되면서 배출되므로 소음에 대한 흡음 및 저감과정이 반복되므로 흡음 및 저감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소음저감부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다수로 구성되므로 소음이 유입 및 배출되는 통로가 균일하게 세분화되므로 소음이 분산될 수 있어서 소음의 저감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소음저감부의 유입부 및 저감부에 대한 단면의 형상이 각각 V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소음의 유입량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소음저감부를 양쪽으로 대칭되게 형성할 수 있어서 흡음성이 증대됨과 동시에 조립작업의 편리함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3은 소음측정테스트에 사용된 종래의 소음기를 보인 도면.
도 14(a)~(d)는 종래의 소음기에 대한 저주파 테스트 결과를 보인 도면.
도 15는 소음측정테스트에 사용된 본 발명의 소음기를 보인 도면.
도 16(a)~(d)는 본 발명의 소음기에 대한 저주파 소음측정결과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소음기용 흡음모듈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리듀서(확대이음관)나 호퍼 없이 소음기용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유입되는 유속의 흐름에 지장 없이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모듈로서, 흡음모듈(10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하우징(10)의 입구에서 하우징(10)의 출구로 안내하면서 저감시키는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1소음저감부(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제1소음저감부(110)로 안내하면서 내측으로 수용되는 소음을 흡음하여서 저감시키는 제2소음저감부(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일단에 소음이 유입되도록 홀이 형성되고, 타단에도 유입된 소음이 배출되는 홀이 형성되며, 일단 및 타단으로 개방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다.
제1소음저감부(110)는 소음이 일단으로 유입되어서 타단으로 배출되도록 관체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이 하우징(10)의 내주면에 볼팅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2소음저감부(120)는 제1소음저감부(11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제1소음저감부(110)나 하우징(10)에 연결된 샤프트와 같은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소음저감부(120)의 외주면이 제1소음저감부(110)의 내주면에 이격되어 소음이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어서, 제2소음저감부(120)의 외주면 및 제1소음저감부(110)의 내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는 소음이 흡음되어서 저감되는 흡음재(a) 및 흡음재(a)를 감싸는 상태로 소음이 관통되는 타공판(b)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흡음재(a)는 통상적인 유리솜이나 유리섬유 등 이외에 소리를 흡수하여 울리는 현상을 제거하는 공지된 어떠한 종류의 흡음재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소음이 타공판(b)에 형성된 각각의 타공홀을 통과되면서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소음이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를 구성하는 타공판(b)을 관통하면서 분산되고 흡음재(a)에 의해 흡음될 수 있다. 그리고, 타공판(b)에 반사되는 소음은 다른 타공판(b)들 및 흡음재(a)들에 의해 순차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를 따라 유속 및 소음이 이동되면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에 의해 유속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음이 흡음되면서 감쇠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소음저감부(110)는 소음이 유입되어서 이동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제1흡음통부(111)와, 제1흡음통부(111)의 일단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소음이 유입되는 제1소음유입부(112)와, 제1흡음통부(111)의 타단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소음이 배출되는 제1소음배출부(113)를 포함한다.
제1흡음통부(111)는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는 관체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되는 소음이 제1흡음통부(111)에 의해 흡음되면서 저감될 수 있다.
제1소음유입부(112)는 제1흡음통부(111)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점점 좁혀지게 돌출되면서 끝단에 소음이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된다.
제1소음배출부(113)는 제1흡음통부(111)의 타단을 마감하면서 소음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좁혀진 제1소음유입부(112)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이 제1흡음통부(111)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1소음배출부(113)의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제2소음저감부(120)는 유입되는 유속 및 소음을 외측으로 확산시키면서 내측으로 침투되는 소음을 수용시켜서 저감시키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점점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타단에 소음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와,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의 타단에 일단이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소음수용공간을 연장시키는 제2소음연장부(123)와, 제2소음연장부(123)의 타단에 마감되어 소음수용공간을 폐쇄하는 제2마감부(122)를 포함한다.
제2소음/유속확장부(121)는 제1소음유입부(112)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속 및 소음을 외측으로 확산시키므로, 확산되는 소음이 제1소음유입부(112)의 내주면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제2소음/유속확장부(121)는 원뿔, 사각뿔, 각뿔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소음연장부(123)는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의 타단에 일단이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소음수용공간을 연장시킨다. 즉, 소음수용공간을 연장되므로 많은 양의 소음이 수용될 수 있다.
제2마감부(122)는 출구가 형성되는 판재로 구성되거나 타공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마감부(122)가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의 타단을 마감하므로 소음수용공간은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소음유입부(112)의 입구를 통해 소음이 유입되면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의 외측면에 1차로 충돌되어서 확산되어 제1소음유입부(112)의 내측면에 2차로 충돌된 후에, 제1흡음통부(111) 및 제2소음연장부(123)의 사이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1소음배출부(113)에 3차로 충돌되어 제1소음배출부(113)의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소음이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의 외측면에 충돌되어서 소음수용공간으로 통과되는 과정에서 흡음되어서 저감된다.
이와 같이, 소음이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의 사이를 통해 분산되는 상태로 이동되면서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에 연속적으로 충돌되어서 저감되는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유속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유속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음모듈(100)은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 및 제3소음저감부(130)를 포함한다.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제3소음저감부(130)는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소음이 유입되는 입구 및 소음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어, 유입구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소음을 제1소음저감부(110)로 안내하면서 저감시키고,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제2소음저감부(120)로 안내하면서 저감시킨다.
제3소음저감부(130)는 입구에서부터 점점 확장되게 형성되어 소음을 확산시키는 제3소음/유확장소부(131)와, 제3소음/유확장소부(131)에서 연이어지게 형성되는 제3소음연장부(132)를 포함한다.
제3소음/유확장소부(131)는 제1소음유입부(112) 및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의 사이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분산시켜서 제1소음유입부(112) 및 제2소음/유속확장부(121)로 안내할 수 있다.
제3소음연장부(132)는 제1흡음통부(111) 및 제2소음연장부(123)의 사이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분산시켜서 제1흡음통부(111) 및 제2소음연장부(123)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소음저감부(130)는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의 사이에 구비됨에 따라, 소음과 유속이 이동되는 통로가 균일하게 세분화되어서 분할되므로 소음의 저감효과가 증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이 분산되면서 유입됨에 따라 유속이 자유롭게 중앙의 흡음모듈 형태에 따라 흐름이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제3소음저감부(130)는 제3소음저감부(130)는 적어도 2개로 구성되어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소음저감부(130)들에 의해 소음이 유입되는 공간이 더욱 균일하게 세분화될 수 있어서, 유입되는 소음이 미세하게 세분화되어서 분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음모듈(100)은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 및 제3소음저감부(130)를 포함한다.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 및 제3소음저감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제2소음저감부(120)는 제3소음저감부(130)보다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서 위치되고, 제3소음저감부(130)는 제1소음저감부(110)보다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서 위치된다.
따라서, 제3소음저감부(130)이 제1소음저감부(110)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소음저감부(120)가 제3소음저감부(130)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므로, 전체적인 단면의 형상이 하우징(10)의 입구측에서 "V"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의해,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3소음저감부(130)의 폭은 확장되지 않으면서,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 및 제3소음저감부(130)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가 확장될 수 있어서, 많은 양의 소음이 유입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음모듈(100)은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를 포함한다.
제1소음저감부(110)는 제1흡음통부(111)와, 제1소음유입부(112)와, 제1소음배출부(113)를 포함한다.
제1흡음통부(111)와, 제1소음유입부(1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제1소음배출부(113)는 제1흡음통부(111)의 타단에서 외측으로 점점 좁혀지게 돌출되면서 끝단에 소음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흡음통부(111) 및 제1소음유입부(112)를 일체화되게 제조하고 제1흡음통부(111) 및 제1소음배출부(113)를 일체화되게 제조하여, 각각을 대칭되는 상태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이 규격화될 수 있고 조립작업의 편리함과 동시에 유속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소음이 제1소음유입부(112)를 통해 유입되어서 확장된 후에 제1흡음통부(111)를 이동하면서 제1소음배출부(113)에 충돌되면서 흡음 및 감소가 이루어진 후에 다시 축소되어서 배출될 수 있다.
제2소음저감부(120)는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와, 제2소음연장부(123)와, 제2마감부(122)를 포함한다.
제2소음/유속확장부(121) 및 제2소음연장부(12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제2마감부(122)는 제2소음연장부(123)의 소음수용공간을 폐쇄하면서 일단에서 타단까지 점점 좁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소음수용공간에 수용된 소음이 점점 좁혀지는 형태로 형성된 제2마감부(122)를 통과하면서 흡음되면서 저감될 수 있어서, 저감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와, 제2소음연장부(123)와, 제2마감부(122)는 서로 연이어져 있어서 전체적인 단면의 형상이 6각 형태를 이루게 되면서, 내부에 형성되는 소음수용공간이 전체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소음/유속확장부(121) 및 제2소음연장부(123)를 일체화되게 제조하고 제2마감부(122) 및 제2소음연장부(123)를 일체화되게 제조하여, 각각을 대칭되는 상태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이 규격화될 수 있고 조립작업의 편리함과 동시에 유속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소음이 제2소음/유속확장부(121)를 통해 유입되는 과정에서 흡음 및 저감되면서 소음수용공간으로 수용된 후에, 다시 제2마감부(122)를 통해 자연적으로 축소되어서 배출되는 과정에서 흡음 및 저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소음유입부(112)의 입구를 통해 소음이 유입되면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의 외측면에 1차로 충돌되어서 확산되어 제1소음유입부(112)의 내측면에 2차로 충돌된 후에, 제1흡음통부(111) 및 제2소음연장부(123)의 사이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1소음배출부(113)에 3차로 충돌되어 제1소음배출부(113)의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소음이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의 외측면에 충돌되어서 소음수용공간으로 통과되는 과정에서 흡음되어서 저감된다. 또한, 제2마감부(122)가 점점 좁혀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소음수용공간의 소음이 제2마감부(122)를 통과하면서 흡음되면서 저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소음배출부(113)에 3차로 충돌된 소음이 제2마감부(122)의 외측면에 4차로 충돌되어서 저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음이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의 사이를 통해 분산되는 상태로 이동되면서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에 연속적으로 충돌되어서 저감되는 상태로 배출되므로, 흡음 및 저감되는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그리고, 유속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유속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음모듈(100)은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 및 제3소음저감부(130)를 포함한다.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제3소음저감부(130)는 제3소음/유확장소부(131)와, 제3소음연장부(132)와, 제3소음/유속축소부(133)를 포함한다.
제3소음/유확장소부(131)와, 제3소음연장부(1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제3소음/유속축소부(133)는 제3소음연장부(132)에서 출구까지 점점 좁혀지게 형성되어 소음을 축소시킨다.
여기서, 제3소음/유확장소부(131) 및 제3소음연장부(132)를 일체화되게 제조하고 제3소음/유속축소부(133) 및 제3소음연장부(132)를 일체화되게 제조하여, 각각을 대칭되는 상태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이 규격화될 수 있고 조립작업의 편리함과 동시에 유속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소음이 제3소음유입부(131)를 통해 유입되면서 확산된 후에, 제3소음연장부(132)를 따라 이동하다가 제3소음/유속축소부(133)에 의해 자연적으로 축소되면서 많은 양의 흡음 및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3소음/유속축소부(133)에 의해 소음의 저감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음모듈(100)은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 및 제3소음저감부(130)를 포함한다.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 및 제3소음저감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제2소음저감부(120)의 일단은 제3소음저감부(130)의 입구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소음저감부(120)의 타단은 제3소음저감부(130)의 출구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며, 제3소음저감부(130)의 일단은 제1소음저감부(110)의 일단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3소음저감부(130)의 타단은 제1소음저감부(110)의 타단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3소음저감부(130)의 양단이 제1소음저감부(110)의 양단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소음저감부(120)의 양단이 제3소음저감부(130)의 양단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므로, 전체적인 단면의 형상이 하우징(10)의 입구측에서 "V"형태를 이루게 되고, 하우징(10)의 출구측에서도 "V"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의해,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3소음저감부(130)의 폭은 확장되지 않으면서,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 및 제3소음저감부(130)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가 확장될 수 있어서, 많은 양의 소음이 유입되어서 배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음모듈(100)은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 및 제3소음저감부(130)를 포함한다.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3소음저감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제2소음저감부(120)는 제2소음/유속확장부(121), 제2마감부(122), 제2소음분산부(124)를 포함한다.
제2소음/유속확장부(121)는 유입되는 일부의 소음이 내측으로 통과되면서 분산되고 나머지 소음이 외측으로 반사되도록 다수의 타공홀이 형성되는 타공판(b)으로 구성된다.
제2마감부(122)는 소음이 흡음되어서 저감되는 흡음재(a) 및 흡음재(a)를 감싸는 상태로 소음이 관통되도록 다수의 타공홀이 형성되는 타공판(b)으로 구성되어 판재형태로 형성된다.
제2소음분산부(124)는 제2소음/유속확장부(121) 및 제2마감부(122)의 사이에 구비되고, 제2소음/유속확장부(121)를 통과하는 소음을 분산시키도록 소음이 흡음되어서 저감되는 흡음재(a) 및 흡음재(a)를 감싸는 상태로 소음이 관통되도록 다수의 타공홀이 형성되는 타공판(b)으로 구성되어 격자형태로 형성된다.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인 타공판(b)에서 반사되는 소음은 제3소음저감부(130)으로 안내되고, 타공판(b)을 통과하는 소음은 소음수용공간에 수용된다.
제2마감부(122)는 판재형태로 형성되어 소음수용공간을 폐쇄하고 통과되면서 배출되는 소음을 흡음하면서 저감시킨다.
제2소음분산부(124)는 격자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소음수용공간으로 수용되는 소음을 세분화시켜서 분산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음모듈(100)은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 및 제3소음저감부(130)를 포함한다.
제2소음저감부(120)는 제2소음/유속확장부(121), 제2마감부(122), 제2소음분산부(124), 제2소음후방연속부(125), 제2소음후방연장부(126), 제2소음후방마감부(127)를 포함한다.
제2소음/유속확장부(121), 제2마감부(122), 제2소음분산부(12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제2소음후방연속부(125)는 제2마감부(122)에 연이어지게 구비되어 제2마감부(122)를 통과하는 소음을 흡음하여 저감한다. 이러한, 제2소음후방연속부(125)는 판재형태로 형성되면서 전술한 흡음재(a) 및 타공판(b)으로 구성된다.
제2소음후방연장부(126)는 제2소음후방연속부(125)에 연이어지게 구비되어 제2소음후방연속부(125)에서 저감되는 소음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흡음하여 저감한다. 이러한, 제2소음후방연장부(126)는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는 관체형태로 형성되면서 전술한 흡음재(a) 및 타공판(b)으로 구성된다.
제2소음후방마감부(127)는 제2소음후방연장부(126)에 연이어지면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어, 제2소음후방연장부(126)에서 저감되는 소음을 분산시켜서 배출시킨다. 이러한, 제2소음후방마감부(127)는 원뿔, 사각뿔, 각뿔대의 형태로 형성되는 타공판(b)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2소음분산부(124)를 통과하면서 저감되는 소음이 제2소음후방연속부(125), 제2소음후방연장부(126), 제2소음후방마감부(127)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저감되거나 소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 및 제3소음저감부(130)들이 균일하게 세분화되어서 배치되므로, 하우징(10)의 넓은 내부공간이 확보될 수 있어서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10)의 부피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어서 종래의 부피가 커짐으로 인한 리듀서(확대이음관)이나 갤러리(빗물받이) 및 샌드필터 등과 같은 주변자재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 및 본 발명에 대해 각각의 Hz 별로 테스트에 대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먼저, 도 13에 도시된 종래의 소음기를 이용하여 저주파에 대한 소음감소율을 테스트 하였다.
첫 번째 테스트에서는 도 14(a)에서와 같이, 소음기의 테스트가 이루어지기 전의 원소음은 110.0 dB이고, 도 14(b)에서와 같이, 테스트가 이루어진 후에 소음이 93.3 dB로 감소되었다. 도면에서 평균값(Leq)의 All-pass 참조.
두 번째 테스트에서는 도 14(c)에서와 같이, 이루어지기 전의 원소음은 110.0 dB이고, 도 14(b)에서와 같이, 테스트가 이루어진 후에 소음이 88.3 dB로 감소되었다. 도면에서 평균값(Leq)의 All-pass 참조.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소음기를 이용하여 저주파에 대한 소음감소율을 테스트 하였다.
첫 번째 테스트에서는 도 16(a)에서와 같이, 테스트가 이루어지기 전의 원소음은 109.4 dB이고, 도 16(b)에서와 같이, 테스트가 이루어진 후에 소음이 90.6 dB로 감소되었다. 도면에서 평균값(Leq)의 All-pass 참조.
두 번째 테스트에서는 도 16(c)에서와 같이, 이루어지기 전의 원소음은 109.2 dB이고, 도 16(b)에서와 같이, 테스트가 이루어진 후에 소음이 83.9 dB로 감소되었다. 도면에서 평균값(Leq)의 All-pass 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소음기에 대한 측정결과가 종래의 소음기에 대한 측정결과보다 소음감소율이 현저히 월등함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입되는 소음을 흡음 및 저감시키는 상태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유속을 흡음형 중앙 흡음모듈의 형태나 각도에 따라 자유로이 흘러가도록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흡음모듈
110 : 제1소음저감부
111 : 제1저흡음통부
112 : 제1소음유입부
113 : 제1소음배출부
120 : 제2소음저감부
121 : 제2소음/유속확장부
122 : 제2마감부
123 : 제2소음연장부
124 : 제2소음분산부
125 : 제2소음후방연속부
130 : 제3소음저감부
131 : 제3소음/유확장소부
132 : 제3소음연장부
133 : 제3소음/유속축소부

Claims (12)

  1. 소음기용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유입되는 유속의 흐름에 지장 없이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모듈로서,
    흡음모듈(10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하우징(10)의 입구에서 하우징(10)의 출구로 안내하면서 저감시키는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1소음저감부(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제1소음저감부(110)로 안내하면서 내측으로 수용되는 소음을 흡음하여서 저감시키는 제2소음저감부(120)를 포함하며,
    제1소음저감부(110)는
    소음이 유입되어서 이동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제1흡음통부(111)와,
    제1흡음통부(111)의 일단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소음이 유입되는 제1소음유입부(112)와,
    제1흡음통부(111)의 타단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소음이 배출되는 제1소음배출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용 흡음모듈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소음유입부(112)는 제1흡음통부(111)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점점 좁혀지게 돌출되면서 끝단에 소음이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제1소음배출부(113)는 제1흡음통부(111)의 타단을 마감하면서 소음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거나,
    제1흡음통부(111)의 타단에서 외측으로 점점 좁혀지게 돌출되면서 끝단에 소음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용 흡음모듈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소음저감부(120)는
    유입되는 유속 및 소음을 외측으로 확산시키면서 내측으로 침투되는 소음을 수용시켜서 저감시키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점점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타단에 소음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와,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의 타단에 일단이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소음수용공간을 연장시키는 제2소음연장부(123)와,
    제2소음연장부(123)의 타단에 마감되어 소음수용공간을 폐쇄하는 제2마감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용 흡음모듈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2마감부(122)는 제2소음연장부(123)의 소음수용공간을 폐쇄하면서 일단에서 타단까지 점점 좁혀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용 흡음모듈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소음저감부(120)는
    유입되는 일부의 소음이 내측으로 통과되면서 분산되고 나머지 소음이 외측으로 반사되도록 다수의 타공홀이 형성되는 타공판(b)으로 구성되는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와,
    소음이 흡음되어서 저감되는 흡음재(a) 및 흡음재(a)를 감싸는 상태로 소음이 관통되도록 다수의 타공홀이 형성되는 타공판(b)으로 구성되는 제2마감부(122)와,
    제2소음/유속확장부(121) 및 제2마감부(122)의 사이에 구비되고, 제2소음/유속확장부(121)를 통과하는 소음을 분산시키도록 소음이 흡음되어서 저감되는 흡음재(a) 및 흡음재(a)를 감싸는 상태로 소음이 관통되도록 다수의 타공홀이 형성되는 타공판(b)으로 구성되어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제2소음분산부(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용 흡음모듈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2소음저감부(120)는
    제2마감부(122)에 연이어지게 구비되어 제2마감부(122)를 통과하는 소음을 흡음하여 저감하는 제2소음후방연속부(125)와,
    제2소음후방연속부(125)에 연이어지게 구비되어 제2소음후방연속부(125)에서 저감되는 소음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흡음하여 저감하는 제2소음후방연장부(126)와,
    제2소음후방연장부(126)에 연이어지면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어, 제2소음후방연장부(126)에서 저감되는 소음을 분산시켜서 배출시키도록 타공판으로 구성되는 제2소음후방마감부(1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용 흡음모듈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흡음모듈(100)은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소음이 유입되는 입구 및 소음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어, 유입구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소음을 제1소음저감부(110)로 안내하면서 저감시키고,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제2소음저감부(120)로 안내하면서 저감시키는 제3소음저감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용 흡음모듈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3소음저감부(130)는
    입구에서부터 점점 확장되게 형성되어 소음을 확산시키는 제3소음/유확장소부(131)와,
    제3소음/유확장소부(131)에서 연이어지게 형성되는 제3소음연장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용 흡음모듈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3소음저감부(130)는 제3소음연장부(132)에서 출구까지 점점 좁혀지게 형성되어 소음을 축소시키는 제3소음/유속축소부(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용 흡음모듈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제3소음저감부(130)는 적어도 2개로 구성되어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용 흡음모듈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제2소음저감부(120)는 제3소음저감부(130)보다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서 위치되고,
    제3소음저감부(130)는 제1소음저감부(110)보다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용 흡음모듈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제2소음저감부(120)의 일단은 제3소음저감부(130)의 입구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소음저감부(120)의 타단은 제3소음저감부(130)의 출구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며,
    제3소음저감부(130)의 일단은 제1소음저감부(110)의 일단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3소음저감부(130)의 타단은 제1소음저감부(110)의 타단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용 흡음모듈의 제조방법.
KR1020170009841A 2017-01-20 2017-01-20 소음기용 흡음모듈 KR20180086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841A KR20180086009A (ko) 2017-01-20 2017-01-20 소음기용 흡음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841A KR20180086009A (ko) 2017-01-20 2017-01-20 소음기용 흡음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009A true KR20180086009A (ko) 2018-07-30

Family

ID=6304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841A KR20180086009A (ko) 2017-01-20 2017-01-20 소음기용 흡음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60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0083A (zh) * 2019-12-31 2020-03-31 天津丽茂源松节能技术有限公司 一种新风系统的消音装置
CN110986264A (zh) * 2019-11-21 2020-04-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低频共振噪声识别控制方法及空调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6264A (zh) * 2019-11-21 2020-04-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低频共振噪声识别控制方法及空调
CN110986264B (zh) * 2019-11-21 2020-11-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低频共振噪声识别控制方法及空调
CN110940083A (zh) * 2019-12-31 2020-03-31 天津丽茂源松节能技术有限公司 一种新风系统的消音装置
CN110940083B (zh) * 2019-12-31 2023-10-24 天津丽茂源松节能技术有限公司 一种新风系统的消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4791B2 (en) Acoustic dispersing airflow passage
EP0475398B1 (en) Muffler assembly for engine
DE212665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ämpfung von durch Gasexpansion in die Atmosphäre verursachten Geräuschen (Schalldämpfung)
US7854297B2 (en) Muffler and related systems
EP1205645A1 (en) Refractive wave muffler
JPS62237039A (ja) 消音装置
US7350620B2 (en) Compact silencer
KR20180086009A (ko) 소음기용 흡음모듈
DE10121582C2 (de) Luftversorgungs-Aggregat für Fahrzeuge mit einem Kompressor und einem Schalldämpfer
US3286786A (en) Gas turbine exhaust silencer and acoustical material therefor
JP2009531582A (ja) 特に自動車用の排ガス消音装置
US4113048A (en) Method of and device for attenuating the noise radiated by gas jets
FI113892B (fi) Reaktiivinen äänenvaimennin teollisuuden ilmakanavia varten ja sen käyttö
RU2281405C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многосекционный
KR20180086008A (ko)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
KR101400382B1 (ko) 보일러용 소음기
CN109341051A (zh) 空调用消声器和空调器
US20020117224A1 (en) Conduit bundle for controlling fluid flow
CN101578431A (zh) 具有吸声构件的消声器组件
KR101937343B1 (ko) 소음기
CN209688334U (zh) 一种高压气体管道阀门的排气消声装置
RU196363U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ыхлопных газов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200393141Y1 (ko) 차량용 소음기
RU2391521C2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газового потока (варианты)
CN210195844U (zh) 一种消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