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008A -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 - Google Patents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008A
KR20180086008A KR1020170009840A KR20170009840A KR20180086008A KR 20180086008 A KR20180086008 A KR 20180086008A KR 1020170009840 A KR1020170009840 A KR 1020170009840A KR 20170009840 A KR20170009840 A KR 20170009840A KR 20180086008 A KR20180086008 A KR 20180086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reduction unit
noise reduction
housing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순
김승평
김승국
김준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월드
Priority to KR1020170009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6008A/ko
Publication of KR20180086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장비에서 배출되는 소음을 반복적으로 흡음하여 저감시켜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흡음형 소음기용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모듈로서, 흡음모듈은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하우징(10)의 입구에서 하우징(10)의 출구로 안내하면서 저감시키는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1소음저감부(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제1소음저감부(110)로 안내하면서 내측으로 수용되는 소음을 흡음하여서 저감시키는 제2소음저감부(1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NOISE ABSORPTION MODULE FOR SOUND ABSORBING TYPE SILENCER}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중앙 흡음모듈의 모형과 각도를 활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자유롭게 하면서 배출되는 소음을 반복적으로 흡음하여 감쇠시킬 수 있는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음기는 공조장비에서 배출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흡음형, 간섭형, 팽창형, 공명형 등의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서 사용되고 있다.
흡음형은 흡음재료를 사용하여 소음하는 것이다. 간섭형은 음파의 통로를 나누어 각각의 경로의 길이로 바꾸어 음파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거나 합류시켜서 소음하는 것이다. 팽창형은 음파의 통로를 확대한 뒤에 축소시킴으로써 소음하는 것이다. 공명형은 공명 작용을 이용하여 음에너지를 소모시켜 소음하는 것이다.
종래의 소음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리듀서(확대 이음관)나 호퍼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리듀서(확대 이음관)나 호퍼가 없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특허공보 10-1481707호가 2015.01.06.일자로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소음이 흡음재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흡음되므로 흡음 효율성이 높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공조장비에서 배출되는 소음을 반복적으로 흡음하여 저감시켜서 소음저감에 대한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듀서(확대이음관)나 호퍼 없이 중앙 흡음모듈의 모형과 각도를 활용하여 제작 및 설치과정이 용이하고 유체의 흐름을 자유롭게 하면서 배출되는 소음을 반복적으로 흡음하여 감쇠시킬 수 있는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은, 흡음형 소음기용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유입되는 유속의 흐름에 지장 없이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모듈로서, 흡음모듈(10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하우징(10)의 입구에서 하우징(10)의 출구로 안내하면서 저감시키는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1소음저감부(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제1소음저감부(110)로 안내하면서 내측으로 수용되는 소음을 흡음하여서 저감시키는 제2소음저감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2소음저감부(120)는 유입되는 유속 및 소음을 외측으로 확산시키면서 내측으로 침투되는 소음을 수용시켜서 저감시키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점점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타단에 소음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와,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의 타단에 마감되어 소음수용공간을 폐쇄하는 제2마감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소음저감부(11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확장되게 형성되어 일단으로 소음이 유입되는 제1소음유입부(112)와, 제1소음유입부(112)의 타단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혀지게 형성되어 타단으로 소음이 배출되는 제1소음배출부(113)를 포함하며, 제2소음저감부(120)는 유입되는 유속 및 소음을 외측으로 확산시키면서 내측으로 침투되는 소음을 수용시켜서 저감시키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점점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타단에 소음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와,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소음수용공간을 폐쇄하면서 일단에서 타단까지 점점 좁혀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소음/유속축소부(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흡음모듈(100)은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소음이 유입되는 입구 및 소음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되 입구에서 출구까지 점점 확장되게 형성되어, 유입구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소음을 제1소음저감부(110)로 안내하면서 저감시키고,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제2소음저감부(120)로 안내하면서 저감시키는 제3소음저감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2소음저감부(120)는 제3소음저감부(130)보다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서 위치되고, 제3소음저감부(130)는 제1소음저감부(110)보다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3소음저감부(13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확장되게 형성되어 일단으로 소음이 유입되는 제3소음유입부(131)와, 제3소음유입부(131)의 타단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혀지게 형성되어 타단으로 소음이 배출되는 제3소음배출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2소음저감부(120)의 일단은 제3소음저감부(130)의 입구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소음저감부(120)의 타단은 제3소음저감부(130)의 출구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며, 제3소음저감부(130)의 일단은 제1소음저감부(110)의 일단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3소음저감부(130)의 타단은 제1소음저감부(110)의 타단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은, 리듀서(확대이음관)나 호퍼 없이 중앙 흡음모듈의 모형과 각도를 활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자유롭게 하면서 배출되는 소음을 반복적으로 흡음하여 감쇠시킬 수 있어서, 소음저감에 대한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중앙의 흡음통에 의해 리듀서(확대이음관)나 호퍼가 필요없이 소음저감량을 줄이면서 유속을 현속도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음저감부의 유입부나 배출부의 각도를 설정하여 유속이나 소음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소음저감부의 유입부가 점점 확장되게 형성됨에 따라 유입되는 소음이 급격히 확장되면서 이동되므로 소음에 대한 흡음 및 저감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소음저감부의 배출부가 점점 좁아지게 형성됨에 따라 배출되는 소음이 자연적으로 축소되면서 배출되므로 소음에 대한 흡음 및 저감과정이 반복되므로 흡음 및 저감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소음저감부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다수로 구성되므로 소음이 유입 및 배출되는 통로가 균일하게 세분화되므로 소음이 분산될 수 있어서 소음의 저감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소음저감부의 유입부 및 저감부에 대한 단면의 형상이 각각 V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소음의 유입량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소음저감부를 양쪽으로 대칭되게 형성할 수 있어서 흡음성이 증대됨과 동시에 조립작업의 편리함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소음측정테스트에 사용된 종래의 소음기를 보인 도면.
도 11(a)~(d)는 종래의 소음기에 대한 저주파 테스트 결과를 보인 도면.
도 12는 소음측정테스트에 사용된 본 발명의 소음기를 보인 도면.
도 13(a)~(d)는 본 발명의 소음기에 대한 저주파 소음측정결과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리듀서(확대이음관)나 호퍼 없이 흡음형 소음기용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유입되는 유속의 흐름에 지장 없이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모듈로서, 흡음모듈(10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하우징(10)의 입구에서 하우징(10)의 출구로 안내하면서 저감시키는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1소음저감부(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제1소음저감부(110)로 안내하면서 내측으로 수용되는 소음을 흡음하여서 저감시키는 제2소음저감부(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일단에 소음이 유입되도록 홀이 형성되고, 타단에도 유입된 소음이 배출되는 홀이 형성되며, 일단 및 타단으로 개방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다.
제1소음저감부(110)는 소음이 일단으로 유입되어서 타단으로 배출되도록 관체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이 하우징(10)의 내주면에 볼팅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2소음저감부(120)는 제1소음저감부(11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제1소음저감부(110)나 하우징(10)에 연결된 샤프트와 같은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소음저감부(120)의 외주면이 제1소음저감부(110)의 내주면에 이격되어 소음이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어서, 제2소음저감부(120)의 외주면 및 제1소음저감부(110)의 내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는 소음이 흡음되어서 저감되는 흡음재(a) 및 흡음재(a)를 감싸는 상태로 소음이 관통되는 타공판(b)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흡음재(a)는 통상적인 유리솜이나 유리섬유 등 이외에 소리를 흡수하여 울리는 현상을 제거하는 공지된 어떠한 종류의 흡음재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소음이 타공판(b)에 형성된 각각의 타공홀을 통과되면서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소음이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를 구성하는 타공판(b)을 관통하면서 분산되고 흡음재(a)에 의해 흡음될 수 있다. 그리고, 타공판(b)에 반사되는 소음은 다른 타공판(b)들 및 흡음재(a)들에 의해 순차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를 따라 유속 및 소음이 이동되면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에 의해 유속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음이 흡음되면서 감쇠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소음저감부(110)는 소음이 유입되어서 이동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제1흡음통부(111)와, 제1흡음통부(111)의 일단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소음이 유입되는 제1소음유입부(112)와, 제1흡음통부(111)의 타단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소음이 배출되는 제1소음배출부(113)를 포함한다.
제1흡음통부(111)는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는 관체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되는 소음이 제1흡음통부(111)에 의해 흡음되면서 저감될 수 있다.
제1소음유입부(112)는 제1흡음통부(111)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점점 좁혀지게 돌출되면서 끝단에 소음이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된다.
제1소음배출부(113)는 제1흡음통부(111)의 타단을 마감하면서 소음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좁혀진 제1소음유입부(112)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이 제1흡음통부(111)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1소음배출부(113)의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제2소음저감부(120)는 유입되는 유속 및 소음을 외측으로 확산시키면서 내측으로 침투되는 소음을 수용시켜서 저감시키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점점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타단에 소음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와,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의 타단에 마감되어 소음수용공간을 폐쇄하는 제2마감부(122)를 포함한다.
제2소음/유속확장부(121)는 제1소음유입부(112)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속 및 소음을 외측으로 확산시키므로, 확산되는 소음이 제1소음유입부(112)의 내주면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제2소음/유속확장부(121)는 원뿔, 사각뿔, 각뿔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마감부(122)는 출구가 형성되는 판재로 구성되거나 타공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마감부(122)가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의 타단을 마감하므로 소음수용공간은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소음유입부(112)의 입구를 통해 소음이 유입되면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의 외측면에 1차로 충돌되어서 확산되어 제1소음유입부(112)의 내측면에 2차로 충돌된 후에, 제1흡음통부(111)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1소음배출부(113)에 3차로 충돌되어 제1소음배출부(113)의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소음이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의 외측면에 충돌되어서 소음수용공간으로 통과되는 과정에서 흡음되어서 저감된다.
이와 같이, 소음이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의 사이를 통해 분산되는 상태로 이동되면서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에 연속적으로 충돌되어서 저감될 수 있다. 이때, 유속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유속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음모듈(100)은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 및 제3소음저감부(130)를 포함한다.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제3소음저감부(130)는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소음이 유입되는 입구 및 소음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되 입구에서 출구까지 점점 확장되게 형성되어, 유입구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소음을 제1소음저감부(110)로 안내하면서 저감시키고,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제2소음저감부(120)로 안내하면서 저감시킨다.
이러한, 제3소음저감부(130)는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의 사이에 구비됨에 따라, 소음이 이동되는 통로가 균일하게 세분화되어서 분할되므로 소음이 분산되면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음의 저감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음모듈(100)은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 및 제3소음저감부(130)를 포함한다.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 및 제3소음저감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제2소음저감부(120)는 제3소음저감부(130)보다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서 위치되고, 제3소음저감부(130)는 제1소음저감부(110)보다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서 위치된다.
따라서, 제3소음저감부(130)이 제1소음저감부(110)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소음저감부(120)가 제3소음저감부(130)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므로, 전체적인 단면의 형상이 하우징(10)의 입구측에서 "V"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의해,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3소음저감부(130)의 폭은 확장되지 않으면서,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 및 제3소음저감부(130)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가 확장될 수 있어서, 많은 양의 소음이 유입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음모듈(100)은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를 포함한다.
제1소음저감부(11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확장되게 형성되어 일단으로 소음이 유입되는 제1소음유입부(112)와, 제1소음유입부(112)의 타단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혀지게 형성되어 타단으로 소음이 배출되는 제1소음배출부(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소음유입부(112) 및 제1소음배출부(113)를 대칭되는 상태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이 규격화될 수 있고 조립작업의 편리함과 동시에 유속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소음이 제1소음유입부(112)를 통해 유입되어서 확장된 후에 제1소음배출부(113)에 의해 자연적으로 축소되어서 배출될 수 있다.
제2소음저감부(120)는 유입되는 유속 및 소음을 외측으로 확산시키면서 내측으로 침투되는 소음을 수용시켜서 저감시키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점점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타단에 소음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와,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소음수용공간을 폐쇄하면서 일단에서 타단까지 점점 좁혀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소음/유속축소부(123)를 포함한다.
제2소음/유속확장부(121) 및 제2소음/유속축소부(123)는 서로 연이어져 있어서 전체적인 단면의 형상이 마름모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제2소음/유속축소부(123)는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와 대칭되는 형상이므로 제2소음/유속축소부(123)에도 소음수용공간이 형성되므로 전체적인 소음수용공간이 2배로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소음/유속확장부(121) 및 제2소음/유속축소부(123)를 대칭되는 상태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이 규격화될 수 있고 조립작업의 편리함과 동시에 유속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소음이 제2소음/유속확장부(121)를 통해 유입되는 과정에서 흡음 및 저감되면서 소음수용공간으로 수용된 후에, 다시 제2소음/유속축소부(123)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흡음 및 저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되는 소음이 제2소음/유속확장부(121)의 외측면에 1차로 충돌되어서 제1소음유입부(112)의 내측면에 2차로 충돌된 후에, 제1소음배출부(113)의 내측면에 3차로 충돌되어서 제2소음/유속축소부(123)의 외측면에 4차로 충돌되면서 저감되는 상태로 배출된다. 이때, 소음이 제2소음저감부(120)을 통과하여 소음수용공간으로 수용되면서 저감될 수 있다.
특히, 소음이 확장된 후에 제1소음배출부(113) 및 제2소음/유속축소부(123)에 의해 자연적으로 축소되므로 흡음 및 저감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그리고, 유속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유속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음모듈(100)은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 및 제3소음저감부(130)를 포함한다.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제3소음저감부(130)는 제1소음저감부(11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소음저감부(13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확장되게 형성되어 일단으로 소음이 유입되는 제3소음유입부(131)와, 제3소음유입부(131)의 타단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혀지게 형성되어 타단으로 소음이 배출되는 제3소음배출부(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소음유입부(131) 및 제3소음배출부(132)를 대칭되는 상태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이 규격화될 수 있고 조립작업의 편리함과 동시에 유속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소음이 제3소음유입부(131)를 통해 유입되면서 확산된 후에 제3소음배출부(132)에 의해 자연적으로 축소되면서 많은 양의 흡음 및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소음저감부(130)는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2소음저감부(120)의 사이에 구비됨에 따라, 소음과 유속이 이동되는 통로가 균일하게 세분화되어서 분할되므로 소음이 분산되면서 유입되고 유속은 자유롭게 중앙의 흡음모듈 형태에 따라 흐름을 유도하면서 소음의 저감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음모듈(100)은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 및 제3소음저감부(130)를 포함한다.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 및 제3소음저감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제2소음저감부(120)의 일단은 제3소음저감부(130)의 입구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소음저감부(120)의 타단은 제3소음저감부(130)의 출구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며, 제3소음저감부(130)의 일단은 제1소음저감부(110)의 일단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3소음저감부(130)의 타단은 제1소음저감부(110)의 타단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3소음저감부(130)의 양단이 제1소음저감부(110)의 양단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소음저감부(120)의 양단이 제3소음저감부(130)의 양단보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므로, 전체적인 단면의 형상이 하우징(10)의 입구측에서 "V"형태를 이루게 되고, 하우징(10)의 출구측에서도 "V"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의해, 제1소음저감부(110) 및 제3소음저감부(130)의 폭은 확장되지 않으면서,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 및 제3소음저감부(130)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가 확장될 수 있어서, 많은 양의 소음이 유입되어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 및 제3소음저감부(130)들이 균일하게 세분화되어서 배치되므로, 하우징(10)의 넓은 내부공간이 확보될 수 있어서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10)의 부피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어서 종래의 부피가 커짐으로 인한 리듀서(확대이음관)이나 갤러리(빗물받이) 및 샌드필터 등과 같은 주변자재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 및 본 발명에 대해 각각의 Hz 별로 테스트에 대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종래의 소음기를 이용하여 저주파에 대한 소음감소율을 테스트 하였다.
첫 번째 테스트에서는 도 11(a)에서와 같이, 소음기의 테스트가 이루어지기 전의 원소음은 110.0 dB이고, 도 11(b)에서와 같이, 테스트가 이루어진 후에 소음이 93.3 dB로 감소되었다. 도면에서 평균값(Leq)의 All-pass 참조.
두 번째 테스트에서는 도 11(c)에서와 같이, 이루어지기 전의 원소음은 110.0 dB이고, 도 11(b)에서와 같이, 테스트가 이루어진 후에 소음이 88.3 dB로 감소되었다. 도면에서 평균값(Leq)의 All-pass 참조.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소음기를 이용하여 저주파에 대한 소음감소율을 테스트 하였다.
첫 번째 테스트에서는 도 13(a)에서와 같이, 테스트가 이루어지기 전의 원소음은 109.4 dB이고, 도 13(b)에서와 같이, 테스트가 이루어진 후에 소음이 90.6 dB로 감소되었다. 도면에서 평균값(Leq)의 All-pass 참조.
두 번째 테스트에서는 도 13(c)에서와 같이, 이루어지기 전의 원소음은 109.2 dB이고, 도 13(b)에서와 같이, 테스트가 이루어진 후에 소음이 83.9 dB로 감소되었다. 도면에서 평균값(Leq)의 All-pass 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소음기에 대한 측정결과가 종래의 소음기에 대한 측정결과보다 소음감소율이 현저히 월등함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입되는 소음을 흡음 및 저감시키는 상태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유속을 흡음형 중앙 흡음모듈의 형태나 각도에 따라 자유로이 흘러가도록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흡음모듈
110 : 제1소음저감부
111 : 제1저감통부
112 : 제1소음유입부
113 : 제1소음배출부
120 : 제2소음저감부
121 : 제2소음/유속확장부
122 : 제2마감부
123 : 제2소음/유속축소부
130 : 제3소음저감부
131 : 제3소음유입부
132 : 제3소음배출부

Claims (7)

  1. 흡음형 소음기용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모듈로서,
    흡음모듈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하우징의 입구에서 하우징의 출구로 안내하면서 저감시키는 제1소음저감부와,
    제1소음저감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제1소음저감부로 안내하면서 안내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제2소음저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소음저감부는
    유입되는 유속 및 소음을 외측으로 확산시키면서 내측으로 침투되는 소음을 수용시켜서 저감시키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점점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타단에 소음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소음/유속확장부와,
    제2소음/유속확장부의 타단에 마감되어 소음수용공간을 폐쇄하는 제2마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소음저감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확장되게 형성되어 일단으로 소음이 유입되는 제1소음유입부와,
    제1소음유입부의 타단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혀지게 형성되어 타단으로 소음이 배출되는 제1소음배출부를 포함하며,
    제2소음저감부는
    유입되는 유속 및 소음을 외측으로 확산시키면서 내측으로 침투되는 소음을 수용시켜서 저감시키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점점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타단에 소음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소음/유속확장부와,
    제2소음/유속확장부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소음수용공간을 폐쇄하면서 일단에서 타단까지 점점 좁혀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소음/유속축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흡음모듈은 제1소음저감부 및 제2소음저감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소음이 유입되는 입구 및 소음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되 입구에서 출구까지 점점 확장되게 형성되어, 유입구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소음을 제1소음저감부로 안내하면서 저감시키고,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제2소음저감부로 안내하면서 저감시키는 제3소음저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2소음저감부는 제3소음저감부보다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서 위치되고,
    제3소음저감부는 제1소음저감부보다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의 제조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제3소음저감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확장되게 형성되어 일단으로 소음이 유입되는 제3소음유입부와,
    제3소음유입부의 타단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혀지게 형성되어 타단으로 소음이 배출되는 제3소음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2소음저감부의 일단은 제3소음저감부의 입구보다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소음저감부의 타단은 제3소음저감부의 출구보다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며,
    제3소음저감부의 일단은 제1소음저감부의 일단보다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3소음저감부의 타단은 제1소음저감부의 타단보다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의 제조방법.
KR1020170009840A 2017-01-20 2017-01-20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 KR20180086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840A KR20180086008A (ko) 2017-01-20 2017-01-20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840A KR20180086008A (ko) 2017-01-20 2017-01-20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008A true KR20180086008A (ko) 2018-07-30

Family

ID=63048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840A KR20180086008A (ko) 2017-01-20 2017-01-20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60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85614A (en) Method and device for attenuating the noise generated by the expansion of gases into the atmosphere
TWI548808B (zh) 多階段低壓降消音器
US6415887B1 (en) Refractive wave muffler
US7350620B2 (en) Compact silencer
JPS62237039A (ja) 消音装置
KR930016660A (ko) 압축기의 배출측 소음기
KR101005229B1 (ko) 저 소음형 송풍기
KR20180086009A (ko) 소음기용 흡음모듈
KR101840277B1 (ko) 머플러의 구조
US4113048A (en) Method of and device for attenuating the noise radiated by gas jets
KR101400382B1 (ko) 보일러용 소음기
CN113160785B (zh) 用于降低空气传声和固体传声的设备
JP2009531582A (ja) 特に自動車用の排ガス消音装置
KR102182473B1 (ko) 덕트 또는 챔버를 위한 음향 감쇠 장치
KR20180086008A (ko)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
RU2281405C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многосекционный
RU2151889C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газовых струй
CN109341051A (zh) 空调用消声器和空调器
CN212724716U (zh) 消声装置和具有其的静音管道
KR20170100896A (ko) 소음기
US4196793A (en) Method of and device for attenuating the noise radiated by gas jets
US3888332A (en) Exhaust silencers
KR101934802B1 (ko) 엠보형 타공을 포함하는 소음기
KR20180070161A (ko) 흡음형 소음기용 흡음모듈
RU2391521C2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газового потока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