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169A - 패스너 집게 - Google Patents

패스너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169A
KR20180085169A KR1020170008456A KR20170008456A KR20180085169A KR 20180085169 A KR20180085169 A KR 20180085169A KR 1020170008456 A KR1020170008456 A KR 1020170008456A KR 20170008456 A KR20170008456 A KR 20170008456A KR 20180085169 A KR20180085169 A KR 20180085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grating
post
grip portion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915B1 (ko
Inventor
이동배
Original Assignee
엠티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티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엠티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70008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915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5Gully gratings with elastic locking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레이팅을 데크부재에 연결할 때 사용되는 패스너를 간편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하는 패스너 집게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구체적으로는 제1부재와 제2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핀으로 연결되어 집게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일단은 손잡이가 되고, 타단은 파지부가 되되, 상기 파지부의 끝단면에 형성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에 포스트의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포스트의 상단은 상기 포스트 보다 큰 외경을 가짐으로써 걸림턱을 형성하게 되는 갖는 헤더로 이루어지는 걸쇠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패스너 집게{fastner nipper}
본 발명은 그레이팅을 데크부재에 연결할 때 사용되는 패스너를 간편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하는 패스너 집게에 관련되는 기술이다.
사각형의 격자구조를 이루어 배수가 가능한 바닥재를 흔히 그레이팅이라 한다. 그레이팅은 도로, 아파트, 선박, 공장 등의 바닥 중 배수가 필요한 부분에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용접으로 완전히 데크부재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경우도 있고, 탈부착이 가능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설치되기도 한다.
그레이팅은 규격제품들이 많이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로 부담없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그레이팅을 데크부재에 연결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치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90016호의 "그레이팅 고정장치가 알려져 있으며,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그레이팅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것처럼 종래기술은 그레이팅을 빔 부재에 고정하기 위해 베어링바와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는 본체부, 프레임 또는 베어링바의 일면에 걸릴 수 있도록 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후크부, 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빔 부재에 접촉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기술에서는 소정의 브라켓을 만든 후 볼트를 이용하여 그레이팅을 빔 부재에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그레이팅 고정구조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부재(20) 위에 인접하게 좌우로 그레이팅(10)을 올려두고 두 그레이팅(10)을 연결 구속되게 하면서 데크부재(20)에 고정시키기 위해 금속판재를 절곡한 좌우대칭의 패스너(30)를 이용하도록 한다.
패스너(30)의 양단을 그레이팅(10)의 상단에 걸고 패스너(30)의 중앙에 볼트(40)를 체결하여 데크부재(20)와 고정 연결 시키도록 한다.
종래의 패스너(30)는 볼트(40)를 이용해서 체결해야 했으므로 작업성이 나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90016호
따라서 본 발명은 그레이팅을 데크부재에 고정 설치함에 있어서 간단한 조작으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패스너 집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패스너 집게는, 그레이팅을 데크부재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패스너를 다루기 위한 패스너 집게로서, 제1부재와 제2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핀으로 연결되어 집게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일단은 손잡이가 되고, 타단은 파지부가 되되, 상기 파지부의 끝단면에 형성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에 포스트의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포스트의 상단은 상기 포스트 보다 큰 외경을 가짐으로써 걸림턱을 형성하게 되는 갖는 헤더로 이루어지는 걸쇠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구는 상기 파지부의 끝단면에 형성되는 탭이며, 상기 걸쇠부재는 상기 포스트의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탭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끝단면과 상기 헤더의 걸림턱과는 상기 패스너의 두께에 따라 이격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지부의 끝단은 내측방향으로 굽어져 상기 끝단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상기 각 파지부는 서로 비대칭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상기 각 파지부의 상단은 탄성체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 집게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조작이 용이하여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패스너를 집어 벌린 상태로 그레이팅을 데크부재에 연결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패스너의 파지에 적합한 형상 및 구조의 전용 패스너 집게를 활용함으로써 작업 중 뜻하지 않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그레이팅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그레이팅 고정구조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 집게로 패스너를 이용하여 그레이팅을 데크부재에 고정 설치한 예시도.
도 5는 제1패스너의 사시도와 측면도.
도 6은 제2패스너의 사시도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패스너 집게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패스너 집게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연결구와 걸쇠부재의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 집게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 집게는 그레이팅을 소정의 데크부재에 연결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며, 선박을 비롯한 그레이팅이 사용되는 다양한 장소에서 활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 집게로 패스너를 이용하여 그레이팅을 데크부재에 고정 설치한 예시도이며, 도 5는 제1패스너의 사시도와 측면도이며, 도 6은 제2패스너의 사시도와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패스너 집게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패스너 집게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레이팅(10)은 사각 테두리(11)의 내부에 격자를 형성하도록 가로재(12) 및 세로재(13)가 결합되어 있으며, 사각 테두리(11) 내부의 가로재(12) 및 세로재(13)는 다양한 형상 및 사이즈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스너 집게(100)는 그레이팅(10)의 사각 테두리(11) 부위를 구속하여 데크부재(20)에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데크부재(20)는 ㄱ 자 앵글과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스너 집게(100)는 크게 제1부재(100a)와 제2부재(100b)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제1부재(100a)와 제2부재(100b)는 연결핀(101)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다.
제1부재(100a)와 제2부재(100b)는 연결핀(101)에 의해 집게운동 되도록 회동 동작하게 된다.
제1부재(100a)와 제2부재(100b)는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형상 및 사이즈를 가질 수도 있다. 제1,2부재(100a,100b)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크기는 패스너(30)의 형상 및 사이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부재(100a)와 제2부재(100b)의 일단은 손잡이(110)가 되며, 타단은 파지부(120)가 된다.
손잡이(110)는 길다란 직선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파지부(120)는 도 7 또는 도 8과 같이 외측으로 벌어진 형상이 되어 좌우측 파지부 (120) 사이로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파지부(120)의 끝단면(122)에는 연결구(121)가 형성되며, 연결구(121)에 걸쇠부재(1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걸쇠부재(130)는 포스트(131)와 포스트(131)의 상단을 이루는 헤더(133)로 이루어지며, 헤더(133)는 포스트(131) 보다 큰 외경을 가지게 되고 헤더(133)의 하부면은 걸림턱(134)이 된다.
걸쇠부재(130)는 연결구(121)에 체결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구(121)는 탭으로 하고, 이에 따라 포스트(131)의 하단에는 탭(121)에 체결될 수 있는 나사산(132)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헤더(133)를 제외한 포스트(131) 전체에 나사산(132)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규격품으로 제공되는 적합한 사이즈의 볼트를 걸쇠부재(130)로 활용할 수 있다.
연결구(121)에 체결되는 걸쇠부재(130)는 조임정도에 따라 파지부(120)의 끝단면(122)과 헤더(133)의 걸림턱(134)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데, 그레이팅(10)의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패스너(30)의 소재 두께에 따라 끝단면(122)과 걸림턱(134)간의 이격거리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레이팅(10)의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패스너(30)는 금속판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금속판재의 두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패스너(30)의 소재로 두꺼운 판재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고 혹은 얇은 금속판재를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패스너(30)의 소재가 되는 금속판재의 두께변화에 따라 걸쇠부재(130)를 조정하여 끝단면(122)과 걸림턱(134) 사이에 패스너(30)가 걸릴 수 있도록 한다.
패스너(30)가 파지부(120)의 끝단면(122)과 걸림턱(134) 사이에 걸리게 되는 구체적인 사용 상태에 대해서는 후술될 실시예를 참조하도록 한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 파지부(120)의 끝단은 내측방향으로 굽어진 형상이 되게 함이 좋고 따라서 파지부(120)의 끝단면(122)은 비스듬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한다.
사용할 패스너(30)의 형상에 따라 제1부재(100a)와 제2부재(100b)는 대칭을 이루는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로 제작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제1부재(100a)와 제2부재(100b)의 각 파지부(120)는 서로 비대칭적인 형상을 가질수 도 있다.
그리고 사용상 편의성을 고려하여 제1부재(100a)와 제2부재(100b)의 각 파지부(120) 상단을 탄성체(140)로 연결하여 손잡이(11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파지부(120)가 외측으로 벌어진 후 외력 제거시에는 탄성체(140)로 인해 자연스럽게 내측으로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패스너 집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 집게로 패스너를 이용하여 그레이팅을 데크부재에 고정 설치한 예시도이며, 도 5는 제1패스너의 사시도와 측면도이며, 도 6은 제2패스너의 사시도와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패스너 집게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패스너 집게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연결구와 걸쇠부재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도 6과 같은 패스너(30)를 이용하여 그레이팅(10)을 데크부재(20)에 고정 연결하고자 할 때 본 발명의 패스너 집게(100)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패스너(30)의 형상에 따라 패스너 집게(100)의 파지부(120) 형상은 달라질 수 있는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로 각각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1실시예는 도 7과 같이 패스너 집게(100)의 파지부(120) 형상이 좌우 비대칭을 이루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다.
도 5와 같이 상부 일측이 높게 돌출되나 하단 좌우단부는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패스너(30)를 제1패스너(30a)라 부르도록 한다. 제1패스너(30a)는 그레이팅(10)의 외측 테두리(11)를 데크부재(20)에 연결할 때 사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스너(30a)의 좌우측 표면에 걸림홀(31)이 각각 형성된다. 걸림홀(31)은 걸쇠부재(130)의 헤더(133)가 관통될 수 있는 정도이어야 하며, 원형 혹은 길다란 트랙형 홀이 될 수도 있다.
제1패스너(30a)에 형성된 걸림홀(31)에 좌우측 파지부(120)의 걸쇠부재(130)를 삽입하도록 하고 헤더(133)의 걸림턱(134)에 걸림홀(31)의 일측이 걸리게 한 후 손잡이(110)를 오므리게 되면 파지부(120)는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제1패스너(30a)의 하부도 외측으로 벌어져 좌우단부간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도 7의 에이(a)와 같이 제1패스너(30a)의 걸림홀(31)에 걸쇠부재(130)를 끼워 손잡이(110)를 오므려 파지부(120)가 벌어지게 하면 걸쇠부재(130) 및 파지부(120)의 끝단면(122)에 대해 제1패스너(30a)가 경사를 이루면서 걸림홀(31) 상측 상면은 끝단면(122)의 일측에 지지되고, 걸림홀(31) 하측 하면은 걸림턱(134)에 지지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힘의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1패스너(30a)의 하단 좌우단부간 간격이 넓어지게 되면 데크부재(20)와 그레이팅(10)을 통과하도록 제1패스너(30a)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내려 제1패스너(30a)의 하단 좌우단부가 데크부재(20)의 하단에 도달되게 한다.
작업자는 패스너 집게(100)의 손잡이(110)를 오므려서 제1패스너(30a)가 벌어지게 한 후 제1패스너(30a)의 하단 좌우단부가 데크부재(20)의 하면에 위치되게 한 다음 손잡이(110)에 가한 외력을 제거하면 제1패스너(30a)의 하단 좌우단부는 데크부재(20)의 하면에 구속된다. 제1패스너(30a)가 데크부재(20)에 연결되면 걸림홀(31)에 끼워진 걸쇠부재(130)를 이탈시키도록 한다.
제1패스너(30a)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재로 성형된 것이므로 패스너 집게(100)를 이용하여 벌려진 후 오므려지면 하단 좌우단부가 데크부재(20)의 하면을 물어 고정되게 하므로 간단하게 제1패스너(30a)를 이용하여 그레이팅(10)을 데크부재(20)와 연결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경우 이웃하게 배치된 두 개의 그레이팅(10)을 서로 연결되게 하면서 데크부재(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패스너 집게(100)를 보여준다.
도 6과 같이 제2패스너(30b)는 두 개의 그레이팅(10)을 연결할 수 있는 형상을 이루는데, 하단 좌우단부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즉 제2패스너(30b)의 일측 단부는 타측 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이에 따라 패스너 집게(100)의 좌우 파지부(120)의 길이도 비대칭으로 일측 파지부(120)의 길이는 짧고 타측 파지부(120)의 길이는 길게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패스너(30b)의 좌우측 표면에 형성되는 걸림홀(31)에 파지부(120)에 결합된 걸쇠부재(130)를 걸리게 한 다음 손잡이(110)를 오므리면 파지부(120)가 벌어지면서 제2패스너(30b)의 하단 좌우단부도 벌어져 두 그레이팅(10)을 통과할 수 있게 되고 제2패스너(30b)의 위치를 잡은 후 손잡이(110)에 작용된 외력을 제거하면 제2패스너(30b)의 하단 좌우단부는 데크부재(20)의 하면을 물어 고정되게 하고 동시에 두 그레이팅(10)도 제2패스너(30b)에 의해 구속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 집게(100)를 사용하게 되면 사람의 손으로 다루기 어려운 패스너(30)를 어떠한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 없이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다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파지부(120)에 결합되는 걸쇠부재(130)는 볼트와 같은 것을 이용함으로써 간편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잦은 사용에 의해 걸쇠부재(130)가 마모되면 간단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은 그레이팅의 설치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100 : 패스너 집게
100a: 제1부재 100b: 제2부재
101 : 연결핀 110 : 손잡이
120 : 파지부 121 : 연결구(탭)
122 : 끝단면
130 : 걸쇠부재 131 : 포스트
132 : 나사산 133 : 헤더
134 : 걸림턱 140 : 탄성체
10 : 그레이팅 11 : 테두리
12 : 가로재 13 : 세로재
20 : 데크부재
30 : 패스너 30a : 제1패스너
30b : 제2패스너 31 : 걸림홀

Claims (5)

  1. 그레이팅을 데크부재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패스너를 다루기 위한 패스너 집게로서,
    제1부재와 제2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핀으로 연결되어 집게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일단은 손잡이가 되고, 타단은 파지부가 되되,
    상기 파지부의 끝단면에 형성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에 포스트의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포스트의 상단은 상기 포스트 보다 큰 외경을 가짐으로써 걸림턱을 형성하게 되는 갖는 헤더로 이루어지는 걸쇠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집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파지부의 끝단면에 형성되는 탭이며, 상기 걸쇠부재는 상기 포스트의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탭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끝단면과 상기 헤더의 걸림턱과는 상기 패스너의 두께에 따라 이격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집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끝단은 내측방향으로 굽어져 상기 끝단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집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상기 각 파지부는 서로 비대칭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집게.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상기 각 파지부의 상단은 탄성체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집게.



KR1020170008456A 2017-01-18 2017-01-18 패스너 집게 KR101967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456A KR101967915B1 (ko) 2017-01-18 2017-01-18 패스너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456A KR101967915B1 (ko) 2017-01-18 2017-01-18 패스너 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169A true KR20180085169A (ko) 2018-07-26
KR101967915B1 KR101967915B1 (ko) 2019-04-10

Family

ID=63047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456A KR101967915B1 (ko) 2017-01-18 2017-01-18 패스너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91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5962U (ko) * 1983-03-08 1986-05-22
JPS61151875U (ko) * 1985-03-13 1986-09-19
JPH06159514A (ja) * 1992-11-26 1994-06-07 Honda Motor Co Ltd キャップシールの装着方法および装着工具
EP0579562B1 (fr) * 1992-07-08 1998-01-21 STMicroelectronics S.A. Outil de préhension de nacelles pour plaquettes de silicium
JP3148607U (ja) * 2008-08-05 2009-02-26 昇 松田 鋏機能付きローラー型絞り器具。
KR20110028406A (ko) * 2009-09-12 2011-03-18 안준범 스냅링 플라이어
KR20120011146A (ko) * 2010-07-28 2012-02-07 동광리어유한회사 부쉬 및 링크 핀 조립툴
KR20130014863A (ko) * 2011-08-01 2013-02-12 손동욱 다기능 플라이어
KR20160090016A (ko) 2015-01-21 2016-07-29 주식회사 벧엘엔지니어링 그레이팅 고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8607B2 (ja) 1995-11-27 2001-03-19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5962U (ko) * 1983-03-08 1986-05-22
JPS61151875U (ko) * 1985-03-13 1986-09-19
EP0579562B1 (fr) * 1992-07-08 1998-01-21 STMicroelectronics S.A. Outil de préhension de nacelles pour plaquettes de silicium
JPH06159514A (ja) * 1992-11-26 1994-06-07 Honda Motor Co Ltd キャップシールの装着方法および装着工具
JP3148607U (ja) * 2008-08-05 2009-02-26 昇 松田 鋏機能付きローラー型絞り器具。
KR20110028406A (ko) * 2009-09-12 2011-03-18 안준범 스냅링 플라이어
KR20120011146A (ko) * 2010-07-28 2012-02-07 동광리어유한회사 부쉬 및 링크 핀 조립툴
KR20130014863A (ko) * 2011-08-01 2013-02-12 손동욱 다기능 플라이어
KR20160090016A (ko) 2015-01-21 2016-07-29 주식회사 벧엘엔지니어링 그레이팅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915B1 (ko)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590B2 (en) Attachment device for fixing various elements to a support
US6516498B2 (en) Clamps
US20100303543A1 (en) Wedge clamp
US20150322669A1 (en) Construction beam connection device
US1877781A (en) Hanger
JP2008530403A (ja) ファスナー
KR20140115596A (ko) 파이프용 클램프
US10975998B2 (en) Safety plate
KR101967915B1 (ko) 패스너 집게
US4417713A (en) Safety belt clamp apparatus
US7228937B2 (en) Scaffold safety railing device
KR200480191Y1 (ko) 농작물 고정용 집게
WO2013152428A1 (en) Sheet securing scaffold clamp
AU2022263602A1 (en) Strainer
KR101767417B1 (ko) 가설용 발끝막이판 고정구
JP4034795B2 (ja) 接触し合うパイプ同志の交叉部結束金具
KR101483922B1 (ko) 다목적 클램프
JP6918349B2 (ja) 命綱係合装置
JP2005220930A (ja) クランプ
EP3406825A1 (en) Lifting-apparatus
US20180161963A1 (en) Strain Device Tool
KR200492322Y1 (ko) 다점식 토글클램프
JP2020139292A (ja) 足場板用固定具および足場板の固定方法
KR200389353Y1 (ko)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
US20230279970A1 (en) Ratcheting cable c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