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191Y1 - 농작물 고정용 집게 - Google Patents

농작물 고정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191Y1
KR200480191Y1 KR2020140002312U KR20140002312U KR200480191Y1 KR 200480191 Y1 KR200480191 Y1 KR 200480191Y1 KR 2020140002312 U KR2020140002312 U KR 2020140002312U KR 20140002312 U KR20140002312 U KR 20140002312U KR 200480191 Y1 KR200480191 Y1 KR 200480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legs
fixing
clamp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594U (ko
Inventor
김종만
Original Assignee
김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만 filed Critical 김종만
Priority to KR2020140002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191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5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5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1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농작물 고정용 집게는 지지체에 연결된 고정용 줄과 농작물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체결되어 농작물 구속공을 형성하는 제1 집게 다리와 제2 집게 다리,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다리에 체결되어 상기 농작물 구속공이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다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다리에 각각 고정되며 서로 맞물려서 상기 고정용 줄을 파지하는 제1 및 제2 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다리의 상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농작물 고정용 집게{Device for fixing agricultural crop}
본 발명은 농작물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농작물 고정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고추, 오이, 토마토 등의 농작물은 열매가 열리는 경우 그 무게에 의해 줄기가 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농작물을 재배할 때 여러 개의 말뚝을 박고 말뚝에 끈을 연결하여 농작물을 양측에서 고정하는 처리가 일반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법은 농작물의 양측을 따라 줄을 둘러야 하기 때문에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줄이 농작물의 라인의 양측을 따라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줄의 소비가 심하다. 이러한 줄의 소비는 경제적 손실 및 환경 오염의 문제를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말뚝에 하나의 줄을 연결하고 고정용 집게로 농작물을 끈에 고정하는 방식이 소개되었다. 예를 들어,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0-0006940호에서는 손잡이에 줄 클립부를 형성하여 농작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농작물 고정용 집게가 소개되었으며,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9395에서는 집게부가 본체부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비틀어서 형성한 농작물 고정용 집게가 소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농작물 고정용 집게는 농작물을 고정용 줄에 연결할 때 작업자가 집게를 많이 회전시킨 상태에서 설치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집게의 설치가 어려웠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0-0006940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9395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농작물과 고정용 줄을 쉽게 연결할 수 있는 농작물 고정용 집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고정용 집게는 지지체에 연결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용 줄과 농작물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체결되어 농작물 구속공을 형성하는 제1 집게 다리와 제2 집게 다리,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다리에 체결되어 상기 농작물 구속공이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다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다리에 각각 고정되며 서로 맞물려서 상기 고정용 줄을 파지하는 제1 및 제2 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다리의 상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가 서로 맞물려서 형성되는 파지면은 상기 농작물 고정용 집게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고정용 집게는 지지체에 연결된 고정용 줄과 농작물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체결되어 농작물 구속공을 형성하는 제1 집게 다리와 제2 집게 다리,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다리에 체결되어 상기 농작물 구속공이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다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다리에 각각 고정되며 서로 맞물려서 상기 고정용 줄을 파지하는 제1 및 제2 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가 서로 맞물려서 형성되는 파지면은 상기 농작물 고정용 집게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져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1 및 제2 집게 다리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 파지부가 제1 및 제2 집게 다리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파지면이 농작물 고정용 집게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설치 시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만큼 회전시켜 고정용 줄에 고정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이 쉬워진다.
나아가 본 고안에 의하면, 설치된 집게를 회수하는 것 역시 용이해지며 그에 따라 집게를 계속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농작물 고정용 집게의 설치가 쉬워지기 때문에 노동력을 줄일 수 있고 고정용 끈의 사용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고정용 집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고정용 집게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고정용 집게의 탄성 부재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고정용 집게가 농작물 고정용 줄과 농작물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고정용 집게는 농작물을 고정하여 넘어지는 방지하기 사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고정용 집게(10)는 지지 말뚝과 같은 지지체(100)에 연결된 고정용 줄(200)과 농작물(300)을 연결하여 농작물(300)이 넘어지지 않도록 작용한다. 지지체(100) 및 고정용 줄(200)의 형태 및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고정용 집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고정용 집게(10)는 서로 체결되어 농작물 구속공(11)을 형성하는 제1 집게 다리(13)와 제2 집게 다리(15)를 포함한다. 제1 집게 다리(13)의 일단에 대략 반원 형상의 곡선부(13a)가 구비되고 제2 집게 다리(15)의 일단에 대략 반원 형상의 곡선부(15a)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 두 개의 곡선부(13a, 15a)의 조합에 의해 농작물 구속공(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집게 다리(13, 15)가 도 2의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인 경우는 농작물 구속공(11)이 닫힌 상태이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이며, 제1 및 제2 집게 다리(13, 15)가 도 2의 점선으로 도시된 상태인 경우는 외력에 의해 농작물 구속공(11)이 열린 상태로 설치 시에 작업자가 손으로 힘을 가하여 벌린 상태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집게 다리(13, 15)는 피봇 점(17)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집게 다리(13, 1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21)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1)는 제1 및 제2 집게 다리(13, 15)에 각각 체결되어 농작물 구속공(11)이 닫히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 집게 다리(13, 15)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탄성 부재(21)의 힘에 의해 제1 및 제2 집게 다리(13, 15)가 도 2의 실선 상태를 유지하여 농작물 구속공(11)이 닫히게 되며, 탄성 부재(21)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집게 다리(13, 15)가 도 2의 점선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2의 점선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 부재(2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실선 상태로 복귀한다. 탄성 부재(21)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ㄷ'자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1)의 양 단(22)이 각각 제1 및 제2 집게 다리(13, 15)를 누르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고정용 줄(200)을 파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파지부(31, 35)가 구비된다. 제1 및 제2 파지부(31, 35)는 제1 및 제2 집게 다리(13, 15)에 각각 고정되며 서로 맞물려서 고정용 줄(200)을 파지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파지부(31, 35)는 제1 및 제2 집게 다리(13, 15)의 상면에 상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파지부(31, 35)가 돌기 형태로 제1 및 제2 집게 다리(13, 15)의 상면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파지부(31, 35)가 제1 및 제2 집게 다리(13, 15)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용 줄(200) 및 농작물(300)에 쉽게 연결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파지부(31, 35)가 서로 맞물려서 고정용 줄(200)을 파지하는 파지면(34)을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파지부(31, 35)가 서로 맞물리면서 그 사이에 고정용 줄(200)이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제1 및 제2 파지부(31, 35)의 서로 접촉하는 면(즉, 파지면을 형성하는 면)에는 각각 복수의 돌기(31a, 35a)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 돌기(31a, 35a)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고정용 줄(200)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파지부(31, 35)가 서로 맞물려서 형성되는 파지면(34)은 농작물 고정용 집게(10)의 길이방향 축(LA)에 대해 일정 각도(A) 기울어질 수 있다. 파지면(34)이 농작물 고정용 집게(10)의 길이방향 축(LA)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농작물 고정용 집게(10)를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용 줄(200)에 연결하는 경우 작업자가 고정용 집게(10)를 조금만 회전시키면 되기 때문에 설치가 매우 쉽다. 즉, 종래와 같이 파지면이 고정용 집게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경우, 작업자가 고정용 집게를 18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설치해야 하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집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전 각도가 감소(180도 - A)하여 설치가 쉬워진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 농작물 고정용 집게
11: 농작물 구속공
13: 제1 집게 다리
15: 제2 집게 다리
33: 제1 파지부
35: 제2 파지부
34: 파지면

Claims (3)

  1. 지지체에 연결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용 줄과 농작물을 연결하기 위한 농작물 고정용 집게로서,
    서로 체결되어 농작물 구속공을 형성하는 제1 집게 다리와 제2 집게 다리,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다리에 체결되어 상기 농작물 구속공이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다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다리에 각각 고정되며 서로 맞물려서 상기 고정용 줄을 파지하는 제1 및 제2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다리의 상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가 서로 맞물려서 형성되는 파지면은 상기 농작물 고정용 집게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져 있는 농작물 고정용 집게.
  2. 삭제
  3. 삭제
KR2020140002312U 2014-03-24 2014-03-24 농작물 고정용 집게 KR200480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312U KR200480191Y1 (ko) 2014-03-24 2014-03-24 농작물 고정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312U KR200480191Y1 (ko) 2014-03-24 2014-03-24 농작물 고정용 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594U KR20150003594U (ko) 2015-10-02
KR200480191Y1 true KR200480191Y1 (ko) 2016-04-22

Family

ID=5434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312U KR200480191Y1 (ko) 2014-03-24 2014-03-24 농작물 고정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1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226A (ko) 2022-10-06 2024-04-15 (주) 중앙테크 고소 견인재배용 농작물 집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721A (ko) 2021-05-31 2022-12-07 허준식 식물재배용 고정클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226A (ko) 2022-10-06 2024-04-15 (주) 중앙테크 고소 견인재배용 농작물 집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594U (ko)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4001B2 (en) Retention apparatus for portions of adjustable wrench
US9248323B1 (en) Fall prevention apparatus
KR200480191Y1 (ko) 농작물 고정용 집게
US20090188200A1 (en) Clip as well as a method and a hook for use in the method for fastening reinforcement steel bars
US11101625B2 (en) Wire grip and live-wire distributing tool having the wire grip
KR20100006940U (ko) 농작물 지지용 집게
KR20180000042U (ko) 농작물 고정용 집게
US862908A (en) Can-closure.
US20110185545A1 (en) Utility hanger
CA2991927C (en) Tool supporting wrist brace
US476754A (en) Territory
US20010029698A1 (en) Plant support and container lifting devices
KR101967915B1 (ko) 패스너 집게
AU2017204418B2 (en) Strainer
KR20130035441A (ko) 체인 핀 보정 지그
JP5328450B2 (ja) 間接活線工具支持具
KR101841421B1 (ko) 농작물 고정을 위한 줄 고정집게
GB2540561A (en) A splitting device
US3377062A (en) Vise attachment
KR20200000090U (ko) 공구 낙하 방지 장치
CN112689696A (zh) 围栏装置以及围栏技术
JP5328451B2 (ja) 間接活線工具支持具
KR101694834B1 (ko) 줄기 고정 집게
KR102077275B1 (ko) 농기구용 보조 손잡이
KR200462468Y1 (ko) 고춧대 지지용 집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