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239A - 리마프로스트 또는 리마프로스트 알파엑스를 함유한 경구용 서방성 제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리마프로스트 또는 리마프로스트 알파엑스를 함유한 경구용 서방성 제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3239A
KR20180083239A KR1020170072457A KR20170072457A KR20180083239A KR 20180083239 A KR20180083239 A KR 20180083239A KR 1020170072457 A KR1020170072457 A KR 1020170072457A KR 20170072457 A KR20170072457 A KR 20170072457A KR 20180083239 A KR20180083239 A KR 20180083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composition
alfadex
limaprost
fr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403B1 (ko
Inventor
김기탁
Original Assignee
(주) 넥스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넥스팜코리아 filed Critical (주) 넥스팜코리아
Publication of KR20180083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57Eicosanoids, e.g. leukotrienes or prostaglandins
    • A61K31/5575Eicosanoids, e.g. leukotrienes or prostaglandins having a cyclopentane, e.g. prostaglandin E2, prostaglandin F2-alph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77Tablets comprising drug-containing microparticles in a substantial amount of supporting matrix; Multiparticulate tab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마프로스트 또는 리마프로스트 알파엑스를 함유한 경구용 서방성 제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2회 복용이 가능함으로써 투약 횟수의 감소에 따른 복약의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약물의 방출 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속방성 제제에 비해 안면 홍조 등의 부작용 발생 가능성을 낮춰 환자 순응도를 개선시킬 가능성을 가진다.

Description

리마프로스트 또는 리마프로스트 알파엑스를 함유한 경구용 서방성 제제 조성물{Oral composition of sustained-release formular containing limaprost or limaprost alfadex}
본 발명은 리마프로스트 또는 리마프로스트 알파엑스를 함유한 경구용 서방성 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리마프로스트(limaprost), 즉 (E)-7-[(1R, 2R, 3R)-3-히드록시-2-[(3S, 5S)-(E)-3-히드록시-5-메틸-1-노네닐]-5-옥소시클로펜틸]-2-헵탄산은 하기의 구조식을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리마프로스트 알파덱스(limaprost alfadex)는 리마프로스트가 α-시클로덱스트린으로 포접된 화합물로서, 하기의 구조식을 가지며, 공정서(제16개정 일본약국방)에 기재되어 있는 리마프로스트 알파덱스와 같은 약물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리마프로스트 또는 리마프로스트 알파덱스는 프로스타글란딘 E1 유도체로서 말초순환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며, 특히 만성질환인 폐색성 혈전혈관염(버거병) 또는 요부척추관협착증의 증상의 개선에 유용하다.
리마프로스트는 경구용 제제로서 리마프로스트 알파덱스 형태로 주로 사용되며, 리마프로스트 알파덱스 166.67㎍(리마프로스트로서 5㎍)의 용량으로 1일 3회 투여되는 속방성 제제(immediated release, IR)로서 개발·판매되어 왔다. 리마프로스트의 1일 3회 투여되는 경구용 속방성 제제로서 상표명 동아오팔몬정(동아에스티), 리마몬정(한미약품), 오마리스정(종근당) 등이 승인되어 있다.
이러한 속방성 제제는 대상체에게 리마프로스트의 효과적인 혈중농도 수준을 제공하지만, 초기 투여 후 1시간 이내에 급격한 최고혈중농도(Cmax)를 보이기 때문에 프로스타글란딘 제제의 단점인 복용 시 초기에 발진, 소양감 및 안면 홍조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경구용 서방성 제제는 일반적으로 안전성과 내약성(tolerability) 프로파일의 개선을 위하여 개발되는데, 속방성 제제(IR)에서의 최고혈중농도보다 감소된 최고혈중농도를 나타낼 수 있지만, 최고혈중농도를 나타내는 시간(Tmax)은 속방성 제제보다 연장되어야 하며, 가능한 긴 약물의 방출시간을 나타내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리마프로스트 경구 투여 형태에 대한 선행 연구는 아래의 선행기술 문헌과 같이 리마프로스트의 경구 제제에서의 수분에 대한 안정성 개선에 집중되어 왔으며, 현재까지 리마프로스트의 경구용 서방성 제제는 보고된 바 없다.
리마프로스트 경구용 서방성 제제가 개발될 수 있다면, 투여 횟수를 감소시켜 복약의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속방성 제제에 비해 전술한 바의 안면 홍조 등의 부작용 발생 가능성을 낮춰 환자 순응도를 개선시킬 가능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관점에서 리마프로스트 경구용 서방성 제제를 개시한다.
선행기술 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특허 제10-1504862호(명칭: 리마프로스트와 β-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는 정제)
특허문헌 2: 대한민국특허 제10-1242039호(명칭: 리마프로스트를 함유하는 경구용 정제 형태의 약학 조성물)
특허문헌 3: 대한민국특허 제10-1432244호(명칭: 안정성이 개선된 리마프로스트 함유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리마프로스트 경구용 서방성 제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리마프로스트의 경구용 서방성 제제를 개발하고자, 아래의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리마프로스트 알파덱스를 소수성 방출 제어 기제 5 내지 30 중량%와 친수성 방출 제어 기제 5 중량% 내지 30 중량%를 사용하여 서방성 제제로 제조하고(아래 실시예 1 내지 12), 그 서방성 제제의 In virto 용출률을, 대한민국약전 붕해시험법 제2액(pH 6.8)을 사용하여 대한민국약전 용출시험 제2법(패들법, 분당 50회전)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2시간 경과 시 30 내지 60% 정도 용출률을 보이고 4시간 경과시 60 내지 80% 정도 용출률을 보이며 8시간 경과시 80 내지 100% 용출률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방출 제어 기재로서 친수성 방출 제어 기재만이 16.3 중량% 포함된 속방성 제제(아래 비교예 1)는 2시간 만에 100% 용출률 보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용출 시간을 더 연장하기 위하여 소수성 방출 제어 기재를 50 중량% 이상으로 사용하고 친수성 방출 제어 기재를 사용하지 않거나 극히 소량(1.5 중량%)으로 사용하여 서방성 제제(아래 비교예 2 및 3)를 제조하였는데, 이 서방성 제제의 경우 8시간 경과시 40 내지 50% 정도의 용출률을 보이면서 24시간 경과시 90% 정도의 용출률을 보여 24시간까지 용출 시간이 연장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용출 시험 결과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들은 용출 시간이 8시간 정도인 본 발명의 서방성 제제 중 하나(아래 실시예 9, "8시간 제제")와 용출 시간이 24시간 정도인 상기 다른 서방성 제제(아래 비교예 3, "24시간 제제")를 시험약으로 하고, 속방성 제제인 동아오팔몬정을 대조약으로 하여 비글견을 이용한 In vivo 약동학적 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는데, 상기 8시간 제제는 그 최고혈중농도도달시간(Tmax)이 약 4시간, 최고혈중농도(Cmax)가 약 3.69 pg/ml, AUC가 약 17.06 pg hr/ml로서, 최고혈중농도도달시간은 대조약의 최고혈중농도도달시간인 0.75시간 보다 5.33배 느리고, 투약량 정규화(dose-nomalized)한 최고혈중농도는 대조약의 최고혈중농도인 7.92 pg/ml의 47% 수준이며, AUC는 대조약의 17.38 pg.hr/ml의 90% 정도의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24시간 제제(아래 비교예 3)는 최고혈중농도도달시간이 2시간으로 대조약보다 지연되었으나 최고혈중농도와 AUC는 각각 2 pg/ml, 10.73 pg.hr/ml로서 대조약의 약 25%, 61%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등에서 시험약의 최고혈중농도, AUC 등의 평가치는 대조약의 80~125% 이내이어야 동등 의약품으로 보는 점(식약처 고시 「의약품동등성시험기준」참조), 비열등성 임상시험에서 시험약과 대조약의 차이 (delta)값이 일반적으로 20% (0.2)이내이고, 제2종오류(β)가 0.8인점 (정정조 등,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35:125-132, 2007; Knee Surg Relat Res 2014;26(1):33-42) 등을 고려할 때, 1일 1회 투여 제제인 상기 24시간 제제는 대조약에 비해 최고혈중농도가 25%, 생체이용율 지표인 AUC(혈중농도-시간곡선하면적)도 61%로 매우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이는 로마프로스트의 소실 속도가 흡수 속도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으로 판단됨). 그러나 상기 8시간 제제의 경우 1회 2회 투여 제제로 복약의 편리성은 1일 1회 투여 제제보다 떨어지지만 최고혈중농도나 AUC가 대조약의 각각 47%, 90% 수준인 점에서 서방성 제제로서 상기 24시간 제제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리마프로스트 경구용 서방성 제제 조성물은 (a) 활성성분으로 리마프로스트, 그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리마프로스트 알파덱스를 포함하고, (b) 방출 제어 기재로 소수성 방출 제어 기제 5 내지 30 중량% 및 친수성 방출 제어 기제 5 중량% 내지 30 중량%을 포함하며, (c)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리마프로스트 경구용 서방성 제제 조성물은 1일 2회 투여 제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속방성 제제에 비해 복약의 편리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활성성분으로 리마프로스트 알파덱스가 사용될 경우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 0.05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아래의 실시예를 고려할 때 0.01 중량% 내지 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0.05 중량% 미만이 포함될 경우 의도한 약리학적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1.0 중량%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발진, 소양감 및 안면 홍조 등 리마프로스트가 가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활성성분으로 리마프로스트나 그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사용될 경우, 상기 범위는 리마프로스트 알파덱스의 분자량 대비 라마프로스트 또는 그 제약상 허용 염의 분자량을 고려하여 환산된 값의 범위가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리마프로스트 제약상 허용 염은 제약적으로 허용 가능한 비독성 염을 형성하는 염기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약적 허용 염은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등에 의해 형성된 금속염, 라이신, 아르지닌, 구아니딘 등의 아미노산 염, 디시클로핵실아민N-메틸-D-글루카민, 메틸아민, 디에탄올아민콜린 및 트리에틸아민 등과 같은 유기염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러한 제약적 허용 염과 관련해서 더 구체적인 것은 문헌[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Properties, Selection, and Use by Stahl and Wermuth (Wiley-VCH, Weinheim, Germany, 2002)] 등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문헌은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다른 모든 문헌들과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소수성 방출 제어 기재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기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에틸셀룰로오스(ethyl ecllulose, E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CA),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석시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류,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류, 지방산 알코올류,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소수성 방출 제어 기재는 활성성분의 방출을 제어하는 작용을 하는 이외에 친수성 방출 제어 기재(팽윤성 고분자)가 산화되어 분해됨으로써 점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소수성 방출 제어 기재는 아래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에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수성 방출 제어 기재 중 특히 에틸셀룰로오스와 폴리비닐아세테이트는 서방성 제제에서 매우 널리 쓰이는 부형제로 활성성분인 활성성분인 리마프로스트 등과 과립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일정 시간 경과 후 기공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pH에 상관없이 일정한 방출 양상을 나타내고, 수중 방치 시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지속적인 방출을 가능하게 한다.
폴리비닐아세테이트의 경우, 제한없이 임의의 폴리비닐아세테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 특히 평균 분자량이 100,000 내지 500,000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폴리비닐아세테이트는 아래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친수성 방출 제어 기재 중 하나인 폴리비닐피롤리돈와 8:2(w/w)(폴리비닐아세테이트:폴리비닐피롤리돈)의 비율로 혼합되어 분무 건조된 제품인 콜리돈 에스알(Kollidon® SR, BASF) 등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소수성 방출 제어 기재는 본 발명의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 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아래의 실시예를 고려할 때 특히 5 중량% 내지 24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친수성 방출 제어 기재(팽윤성 고분자)도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기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 propyl cellulose),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 또는 그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분자량 90, 상품명 포비돈 K-90),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olyethylene glycol),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류, 폴리비닐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polyvinylacetate phthalate), 폴리메타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 폴리메타크릴레이트의 중합체(상업적으로 Eudragit),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메타크릴레이트의 유도체(대표적으로 카보머),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 폴록사머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며,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가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친수성 방출 제어 기재는 물과 접촉 시 팽창하여 겔층을 형성하여 약물의 방출을 지연시키는 작용을 한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는 의도한 용출률 등을 고려하여 그 점도가 10,000 cPs 이상 것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점도가 10,000 내지 140,000 cps의 것, 더 바람직하게는 점도가 15,000~120,000 cps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점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으면 많은 양의 친수성 고분자가 필요해 정제의 크기가 커지고 제조 단가가 높아질 수 있으며, 점도가 상기 범위보다 크면 활성성분과의 균일한 혼합이 어려워 활성성분의 불균일한 용출률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도 신에츠사(ShinEtsu, Co.)의 메톨로세(METOLOSE)TM 60SH, 65SH, 90SH 시리즈 등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고점도의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사용과 더불어 저점도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소량 사용하는 것이, 후반부(4시간 이후) 약물 용출 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저점도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가 고점도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와 함께 사용될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 0.5 중량% 내지 5.0 중량%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점도는 5~30 cps 범위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는 분자량이 100,000~8,000,000인 것 중에서 의도한 용출률 등을 고려하여 적정 분자량을 갖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2,000,000~7,000,000의 분자량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분자량이 다른 둘 이상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의도한 용출률 등에 있어 유리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다우코닝사(Dow Corning Co.)의 POLYOX Water soluble-resins NF POLYOX WSR 등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친수성 방출 제어 기재는 본 발명의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 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나, 아래의 실시예를 고려할 때 특히 9 중량% 내지 25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활성성분, 방출 제어 기재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안전성이 입증된 첨가제를 포함하며, 그러한 첨가제로서 희석제, 결합제, 활택제, 붕해제 등을 들 수 있다.
사용 가능한 희석제로서 전분,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유당, 포도당, 만니톨, 알기네이트, 알칼리토류금속염, 클레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칼슘포스페이트, 무수규산,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게이트, 이들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사용 가능한 결합제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과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잔탄검, 알긴산염, 아라비아검 등의 검류, 전분, 전호화 전분, 수크로오스 등의 당류,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사용 가능한 붕해제로서 글리콘산 전분 나트륨,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예비 젤라틴화 전분 등의 전분이나 변성 전분,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비검(veegum) 등의 클레이,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와,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등의 알긴류와, 크로스카멜로스(croscarmellose) 나트륨 등의 가교 셀룰로오스류와, 구아검, 잔탄검 등의 검류와, 크로스포비돈(crospovidone) 등의 가교 중합체, 중탄산나트륨, 시트르산 등의 비등성 제제,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사용 가능한 활택제로서는 탈크,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린산 아연, 라우릴 설페이트, 수소화 식물성 오일, 나트륨 벤조에이트, 소디움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글리세릴 팔미토스테아레이트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4000,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전술한 바의 첨가제 이외에도 제제나 활성성분의 유효성을 저해하거나 품질 관리상 지장을 주지 않는 한 착색제, 향료 등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기타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첨가제는 「대한민국약전」이나 공정서 등에 수재되어 있어 의약품 첨가제로서 당업계에 공인된 것 중 임의의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의 첨가제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그 첨가 목적에 따라 적량으로 포함될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하게 제제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정, 코팅정, 다층정 또는 유핵정 등의 정제, 분말제, 과립제 또는 캡슐제 등으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제, 캡슐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제제화 방법은 모두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데, 예컨대 정제의 제제화는 아래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활성성분인 리마프로스트를 정제수와 혼합하여 주성분액을 제조하고, 결합제를 에탄올 등에 용해시켜 결합액을 제조한 후, 유동층과립기를 이용하여 상기 주성분액과 결합액을 혼합한 용액을 분사하여 과립물을 제조하고, 이 과립물에 소수성 방출 제어 기재와 친수성 방출 제어 기재의 혼합물을 분사시켜 다중입자를 제조하고 여기에 다른 부형제를 첨가하여 타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정제로 제조될 경우 필요에 따라 그 정제의 표면에 필름상의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코팅층은 피막제, 피막 보조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피막제로서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당 유도체, 폴리비닐 유도체, 왁스류, 지방류 및 젤라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피막 보조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셀룰로오스, 글리세라이드류, 산화티탄 및 디에틸프탈레이트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유동층 코팅법, 팬 코팅법 등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 중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약물의 제제화와 관련해서는 예컨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 등을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활성성분으로 리마프로스트나 그 제약상 허용염 또는 리마프로스트 알파엑스를 함유한 서방성 약학적 제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2회 복용이 가능함으로써 투약 횟수의 감소에 따른 복약의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약물의 방출 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속방성 제제에 비해 안면 홍조 등의 부작용 발생 가능성을 낮춰 환자 순응도를 개선시킬 가능성을 가진다.
도 1 내지 3은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3의 pH 6.8 용출액에서 수행한 리마프로스트 용출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9의 서방성 제제와 동아에스티 동아오팔몬정(대조약)의 In vivo 약동학적 특성 평가 결과, 및 비교예 3의 약동학적 시뮬레이션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8>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리마프로스트를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표 1에서 달리 표기하지 않는 한, 각 성분의 함량은 1정당 중량%를 의미한다. Kollidon VA64를 에탄올과 아세톤의 혼합용매에 용해시켜 결합액을 조제하였으며, 리마프로스트 알파덱스와 정제수를 혼합한 주성분액을 조제하였다. 주성분액과 결합액 및 무수유당을 고속교반형혼합기(high speed mixer)내에 투입하여 과립화하였다. 얻어진 습식과립물은 60℃에서 건조한 후, 다른 부형제를 첨가하여 타정하였다.
Figure pat00003
<실시예 9 내지 12>
하기 표 2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리마프로스트를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표 2에서 달리 표기하지 않는 한, 각 성분의 함량은 1정당 중량%를 의미한다. Kollidon VA64를 에탄올과 아세톤의 혼합용매에 용해시켜 결합액을 조제하였으며, 리마프로스트 알파덱스와 정제수를 혼합한 주성분액을 조제하였다. 무수유당을 유동층과립기(Fluid bed coater)에 넣고, 유동을 시키면서 주성분액과 결합액을 혼합한 용액을 분사하여 과립물을 조제하였다. 건조된 과립물과 Kollidon SR을 잘 혼합하여 유동층과립기에 넣고, 유동을 시키면서 ehtylcellulose와 HPMC 혼합액을 분사시켜 다중입자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습식과립물은 60℃에서 건조한 후, 다른 부형제를 첨가하여 타정하였다.
Figure pat00004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3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리마프로스트를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표 3에서 달리 표기하지 않는 한, 각 성분의 함량은 1정당 중량%를 의미한다. Kollidon VA64를 에탄올과 아세톤의 혼합용매에 용해시켜 결합액을 조제하였으며, 리마프로스트 알파덱스와 정제수를 혼합한 주성분액을 조제하였다. 주성분액과 결합액 및 무수유당을 고속교반형혼합기(high speed mixer)내에 투입하여 과립화하였다. 얻어진 습식과립물은 60℃에서 건조한 후, 다른 부형제를 첨가하여 타정하였다.
Figure pat00005
실험예 1. 리마프로스트 용출시험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하여 용출율을 평가하였다. 용출 시험액은 대한민국약전 붕해시험법 제2액(pH 6.8) 900㎖을 사용하였고, 시험 온도는 37±0.5℃로 하였으며, 용출 방법은 대한민국약전 용출시험 제2법(패들법, 분당 50회전)으로 하였다. 다음 용출시험시료 1 mL를 취하여 0.2㎛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내부표준희석액 1 mL를 가하고 희석하고 이 희석액을 초산에칠 2.5 mL씩으로 2 회 추출하여 초산에칠추출액을 합하여 무수황산나트륨 칼럼(하부에 글라스 필터를 부착한 직경 1 cm, 길이 15 cm의 유리재질 칼럼에 무수황산나트륨을 높이 3 cm로 충진하여 초산에칠로 세척한다)을 통과하여 탈수하였다. 칼럼은 약 5 mL의 초산에칠로 세척하고 세척액은 전의 초산에칠추출액에 합하여 감압 하에 초산에칠을 제거하였다. 잔류물에 아세토니트릴 0.2 mL를 넣어 진탕혼화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검액으로 하였다.
리마프로스트 농도의 정량은 아래의 검출 조건 하에서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HPLC는 애질런트1100 시리즈를, 질량분석기는 Thermo-Finigan Discovery Max tandem mass spectrometroy를 사용하였다. 컬럼은 Capcellpak C18 UG120 (3.5um, 2.0x150mm, Shiseido, Japan)을 사용하였고, 이동상은 40%아세토니트릴을 포함하는 1mM ammonium formate buffer를, tandem mass검출기는 negative ion mode에서 379 → 299에서 리마프로스트를 검출하였으며, 시료주입량은 2uL로 하였다.
용출률을 도 1 내지 도 3과 아래의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8시간 경과시, 실시예 1 내지 9는 용출률이 적어도 86.5%(실시예 1)를 보이나, 비교예 1은 1시간 경과시 100% 용출률을 보였으며, 비교예 2는 40% 용출률을 보였다. 24시간까지 용출률을 측정한 비교예 3의 경우 24시간 기준 대략 90% 정도의 용출률을 보였다.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실험예 2. in vivo 약동학적 특성 평가
실시예 중 대표적으로 상기 실시예 9를 시험약으로 하고, 동아에스티 동아오팔몬정(리마프로스트알파-시클로덱스트린포접화합물)을 대조약(비교예)으로 하여 In vivo 약동학적 특성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상기 비교예 3에 대하여 약동학적 시뮬레이션 평가를 실시하여 비교평가하였다.
In vivo 약동학적 특성 평가는 구체적으로 건강한 비글견(약 12kg) 총 6마리를 각각 3마리씩 2군으로 나누고, 제1군에는 대조약(비교예)을, 제2군에는 시험약(실시예 9)를 각각 리마프로스로서 20 ㎍ 및 30 ㎍을 물 20~30 mL와 함께 경구투여 하였다. 투약 후 정해진 시간 간격 동안 정맥혈을 채혈하고, 채혈즉시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취한 후 냉동보관하였다. 혈장 중 리마프로스트의 분석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LC-MS/MS)를 이용하여 정량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 LC-MS/MS: Agilent UPLC-ThermoFiningan TSQ Quantum Ultra.
- 검출방법: MRM, negative ion mode, limaprost (379 299), limparost-d3 (382302)
- 이동상 조건: 0.2% 포름산과 아세토니트릴의 혼합용매, 기울기 용리법
- 컬럼: Capcellpak MF (4.0 x 2.0 mm, Shiseido) 및 Capcellpak UG120 (3um, 2.0 x 150mm, Shiseido)를 이용한 컬럼스위칭법
- 검량선의 범위: 0.5~50 pg/mL
정량분석 결과에 따라 계산된 혈중농도로부터 최고혈중농도(Cmax), 최고혈중농도 도달시간(Tmax)를 구하였고, 곡석하면적(AUCt)는 사다리꼴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또 약동학적 시뮬레이션 평가는 속방성 제제(비교예) 및 서방성 제제(실시예 9)에서 계산된 약동학적 파라미터 (Cmax, Tmax, AUCt, 소실속도상수, 흡수속도상수) 및 투여량을 기초자료로 하여 Wagner-Nelson법, 잔차법(Residual method) 등으로 1차로 약동학적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동력학적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인 Berkeley MadonnaTM (University of Califonia, Berkeley)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컴파트먼트 모델은 비구획모델(non-compartment)을, 소실기는 β상까지를 사용하였다.
In vivo 약동학적 특성 평가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투여용량을 정규화한(normalized) 대조약의 최고혈중농도도달시간(Tmax)는 약 0.75 시간이며, 최고혈중농도(Cmax)는 약 7.92 pg/ml인 반면에, 실시예 9의 경우에는 최고혈중농도도달시간(Tmax)는 약 4시간이며, 최고혈중농도(Cmax)는 약 3.69 pg/ml로서 최고혈중농도는 대조약에 비하여 약 0.47 비율로 감소되었으며, 최고혈중농도도달시간은 약 5.33 비율로 느려졌다. 한편, 실시예 9의 AUC는 약 17.06 pg hr/ml로서 대조약의 AUC인 17.38 pg.hr/ml의 약 90% 이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용출률 결과상 1일 1회 복용 가능성을 가지는 비교예 3의 약동학적 특성을 시뮬레이션하여 평가한 결과, 최고혈중농도 도달시간은 약 2시간 정도로 지연되었으나, Cmax는 약 2 pg/ml, AUC는 약 10.73 pg.hr/ml로서 동아오팔몬정의 약 25%, 61%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리마프로스트를 함유한 서방성 제제는 리마프로스트의 약동학적 특성상 1일 2회가 적합한 설계임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a) 활성성분으로 리마프로스트, 그 제약상 허용 염 또는 리마프로스트 알파덱스를 포함하고,
    (b) 방출 제어 기재로 소수성 방출 제어 기제와 친수성 방출 제어 기제를 포함하며,
    (c)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1일 2회 복용을 위한 리마프로스트 경구용 서방성 제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방출 제어 기제는 5 중량% 내지 30 중량%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고,
    상기 친수성 방출 제어 기제는 5 중량% 내지 30 중량%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마프로스트 경구용 서방성 제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성분은 리마프로스트 알파덱스이고, 그 리마프로스트 알파덱스는 상기 조성물에 0.05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성분은 리마프로스트 알파덱스이고, 그 리마프로스트 알파덱스는 상기 조성물에 0.01 중량% 내지 0.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방출 제어 기재는 에틸셀룰로오스(ethyl ecllulose, EC),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방출 제어 기재는 상기 조성물에 5 중량% 내지 24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방출 제어 기재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방출 제어 기재는 상기 조성물에 9 중량% 내지 25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희석제, 결합제, 활택제 및 붕해제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분말제, 과립제 또는 캡슐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70072457A 2017-01-12 2017-06-09 리마프로스트 또는 리마프로스트 알파엑스를 함유한 경구용 서방성 제제 조성물 KR101923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263 2017-01-12
KR20170005263 2017-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239A true KR20180083239A (ko) 2018-07-20
KR101923403B1 KR101923403B1 (ko) 2018-11-29

Family

ID=63103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457A KR101923403B1 (ko) 2017-01-12 2017-06-09 리마프로스트 또는 리마프로스트 알파엑스를 함유한 경구용 서방성 제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4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1941A1 (ko) * 2020-05-28 2021-12-02 연성정밀화학(주) 리마프로스트 함유 서방성 제제
KR20220000093A (ko) * 2020-06-25 2022-01-03 (주) 넥스팜코리아 날트렉손 서방형 매트릭스 제제와 부프로피온 서방형 매트릭스 제제의 단층정 복합제제와 그 제조 방법
WO2022114796A1 (ko) * 2020-11-24 2022-06-02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고함량의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22114795A1 (ko) * 2020-11-24 2022-06-02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고함량의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3276A (ko) * 2009-10-09 2012-07-25 영진약품공업주식회사 속효성과 지속성을 동시에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120121944A (ko) * 2011-04-27 2012-11-07 영진약품공업주식회사 안정성이 개선된 리마프로스트 함유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55986A (ko) * 2013-11-14 2015-05-22 한올바이오파마주식회사 보센탄 제어방출성 경구제제
KR20150130916A (ko) * 2014-05-14 2015-11-24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방출제어된 위체류 서방성 제제
KR20160141044A (ko) * 2015-05-27 2016-12-08 한올바이오파마주식회사 실데나필 제어방출성 경구제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3276A (ko) * 2009-10-09 2012-07-25 영진약품공업주식회사 속효성과 지속성을 동시에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120121944A (ko) * 2011-04-27 2012-11-07 영진약품공업주식회사 안정성이 개선된 리마프로스트 함유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55986A (ko) * 2013-11-14 2015-05-22 한올바이오파마주식회사 보센탄 제어방출성 경구제제
KR20150130916A (ko) * 2014-05-14 2015-11-24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방출제어된 위체류 서방성 제제
KR20160141044A (ko) * 2015-05-27 2016-12-08 한올바이오파마주식회사 실데나필 제어방출성 경구제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1941A1 (ko) * 2020-05-28 2021-12-02 연성정밀화학(주) 리마프로스트 함유 서방성 제제
KR20210147229A (ko) * 2020-05-28 2021-12-07 연성정밀화학(주) 리마프로스트 함유 서방성 제제
CN115666532A (zh) * 2020-05-28 2023-01-31 研成精密化学株式会社 含有利马前列素的缓释制剂
KR20220000093A (ko) * 2020-06-25 2022-01-03 (주) 넥스팜코리아 날트렉손 서방형 매트릭스 제제와 부프로피온 서방형 매트릭스 제제의 단층정 복합제제와 그 제조 방법
WO2022114796A1 (ko) * 2020-11-24 2022-06-02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고함량의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22114795A1 (ko) * 2020-11-24 2022-06-02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고함량의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403B1 (ko)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3467B2 (en) Method for treating depression
JP5816091B2 (ja) ナトリウムオキシベートの即時放出投薬形態
US20110218216A1 (en) Extend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donepezil
KR101923403B1 (ko) 리마프로스트 또는 리마프로스트 알파엑스를 함유한 경구용 서방성 제제 조성물
WO2009034541A9 (en)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dosage forms of trimetazidine
JP5911969B2 (ja) 心臓血管障害の治療方法
EP2444087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olubility
JP2010519201A (ja) シロスタゾールを含む制御放出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7057365B2 (ja) ミドドリンの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9387166B2 (en) Controlled release oral dosage form comprising oxycodone
US20100136119A1 (en) Controlled-release preparation containing cilostazol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HUE026681T2 (en) A slow release aceclofenac formulation that provides optimal pharmacological clinical effects even when administered once a day
JP2018538289A (ja) アプレミラスト徐放性製剤
CA2833115C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raltegravir,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thereof
MX2013010598A (es) Composiciones farmaceuticas de liberacion controlada de inhibidor de recaptacion de serotonina selectivo.
WO2014193528A1 (en) Amorphous dosage forms and methods
RU2616263C2 (ru) Таблетка с замедленным высвобождением, содержащая леводропропизин,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EP3796908B1 (en) Controlled release propiverine formulations
KR20170086053A (ko) 디메틸 푸마르산염을 포함하는 제약학적 매트릭스 제제
WO202110600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s-adenosylmethionine
AU2007258325A1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and compositions of a selective antagonist of either CXCR2 or both CXCR1 and CXCR2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for treating inflammatory disorders
WO2016005934A1 (en) Capsule dosage form of metoprolol succinate
JP6995463B2 (ja) 末梢血管疾患を有する患者における間欠跛行の症状を軽減するために用いられるキノリノン誘導体シロスタゾールの新規製剤
JP2016098230A5 (ko)
SK50222004A3 (sk) Kompozície matrice s modifikovaným uvoľňovaním, s dlhodobým účink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