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14795A1 - 고함량의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함량의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14795A1
WO2022114795A1 PCT/KR2021/017444 KR2021017444W WO2022114795A1 WO 2022114795 A1 WO2022114795 A1 WO 2022114795A1 KR 2021017444 W KR2021017444 W KR 2021017444W WO 2022114795 A1 WO2022114795 A1 WO 20221147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ormulation
release
tablet
minute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744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민석
정윤석
이수민
김도윤
문승관
정다희
정은하
김정훈
박여진
유헌승
최원재
송광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80091670.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744908A/zh
Publication of WO20221147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147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61K36/428Trichosan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6Prunella or Brunella (selfh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6Clematis (leather flow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27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formulation containing a herbal extract of Wiryungseon, Gwalugeun and Hagocho.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formulation that can be taken twice a day, and relates to a formulation that contains a high content and has a release pattern that exhibits excellent drug efficacy.
  • Osteoarthritis also called degenerative arthritis, is the most common arthritis in adults. Osteoarthritis patients are rapidly increasing as an aging society progresses, leading to a decrease in the individual patient's quality of life as well as social and economic losses.
  • Arthritis refers to a disease that causes inflammation in the joints, and there are many types. The most common arthritis is osteoarthritis, and other types include rheumatoid arthritis, gout, and psoriatic arthritis. The cause of each arthritis is different, but the destruction of cartilage tissue is the same.
  • Degenerative arthritis is a representative chronic joint disease that occurs most frequently among arthritis.
  • the cartilage tissue surrounding the ends of the bones is gradually worn, causing inflammation and severe pain in the joints, and abnormal hardening of the bones under the cartilage. Therefore, the cartilage that cushions the friction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t is worn away and severe pain and movement disorders appear when the joint is moved.
  • -Modifying osteoarthritis drug DMOAD
  • chondroprotectors such as hyaluronic acid, glucosamine, and chondroitin have been developed and marketed, but their therapeutic effects have not been established in cartilage protection and regeneration induction.
  • the complex herbal extracts of Wiryongseon, Gwalugeun, and Hagogi are known to have anti-inflammatory, analgesic, joint protective and immunosuppressive actions, and are widely used as therapeutic agents for osteoarthritis and rheumatoid arthritis.
  • These herbal extracts may be manufactured into tablets containing a high content, but if the dose is simply increased to increase the medicinal effect, an increase in side effects may appear.
  • the currently marketed formulations containing the complex herbal extracts of Wiryungseon, Gwalugeun, and Hagocho are to be taken three times a day, so the convenience of taking is inferior.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disclosure is that it contains a high content of Wiryungseon, Gwalugeun and Hagocho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while the formulation size is small, so it is convenient to take, and it has a release pattern that can show desirable medicinal effects, so that it is taken twice a day To provide possible formulations, in particular tablets.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280-320 mg of herbal extracts of Wiryungseon, Gwalugeun and Hagocho as active ingredients, and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is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before coating uncoated tablets or empty capsules. It is 40 to 90% by weight (preferably, 50-90% by weight, more preferably 60-90% by weight) compared to, and containing ethyl cellulose, ethyl acrylic acid methacrylate copolymer or a mixture thereof to control the release It provides a formulation, in particular a tablet, characterized in that.
  • the present inventors tried to prepare a twice-daily dosage formulation containing a high content of herbal extracts of Wiryungseon, Gwalugeun and Hagocho, but unexpected problems were revealed as a result of the study. Specifically, it was possible to delay or control the release by using various binders, but in this case, it was difficult to completely elute all the extracts included. In an additional study, it was possible to achieve delayed release and good release by reducing the relative content of the extract by using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excipients and disintegrants. However, in this case, the size of one preparation to be taken was too large, which made it inconvenient to take.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at these contradictory problems can be solved by using ethyl cellulose, methacrylate ethyl acrylic acid copolymer or a mixture thereof as a binder.
  • the extract of 'Wiryeongseon ⁇ Gwalugeun ⁇ Hagocho 30% ethanol extract (40 ⁇ 1)' which is a yellowish-brown-brown hygroscopic powder
  • the herbal extract of Wiryongseon, Gwalugeun and Hagocho may be a herbal extract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s. 0180567 and 0483707 (WO2002-094301 A1).
  • ethyl cellulose is more preferable, and therefor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280-320 mg of herbal extracts of Wiryungseon, Gwalugeun and Hagocho as active ingredients,
  • the content is 40 to 90% by weight (preferably, 50-90% by weight, more preferably 60-9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uncoated tablet before coating, and form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ease is controlled by including ethyl cellulose , in particular tablets.
  • ethyl cellulose those having a viscosity of 3-22 mPa.s when measuring the viscosity at room temperature by making a 5 wt% solution with a toluene/ethanol 80:20 (volume ratio) mixed solvent may be used.
  • the present inventors tried to develop a formulation containing 280-320 mg of herbal extracts of Wiryungseon, Gwalugeun and Hagocho, taken twice a day. Accordingly, formulations with various release patterns (rates) were manufactured and evaluat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if they have a specific release pattern, the therapeutic effect of arthritis (eg, osteoarthritis (degenerative joint disease), rheumatoid arthritis, etc.) is significantly superior it happened In the case of a formulation administered twice a day, it is common to control sustained release so that the active ingredient is released for a long time, similar to Example 4-4 to be described later. However, very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 arthritis eg, osteoarthritis (degenerative joint disease), rheumatoid arthritis, etc.
  • the release of the active ingredient should be slightly delayed (see Fig. 4) to be taken 3 times a day.
  • the arthritis treatment effect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formulation.
  •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dissolution pattern that contains 280-320 mg of herbal extracts of Wiryungseon, Gwalugeun and Hagocho, and exhibits a desirable arthritis treatment effect in a formulation taken twice a day.
  • the dissolution pattern that can achieve the excellent arthritis treatment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ddle test method at 37 ⁇ 0.5 ° C., 50 rpm.
  • the release of rosmarinic acid is 40 to 70 in 45 minutes. % (more preferably 45-65%, even more preferably 45-60%), at least 75% (preferably at least 80%) at 90 minutes, and at least 80% (preferably 85%) at 120 minutes above).
  • additives other than the binder or release retardant mentioned above or described later may be used. That i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ype of the specific additive described above or to be described later as long as it is a condition capable of achieving a specific emission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the specific additives described above or hereinafter are merely for achieving more preferred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ulation containing 280-320 mg of 'wiryyeongseon ⁇ gwalugeun ⁇ hagocho 30% ethanol extract (40 ⁇ 1)'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is a formulation that is taken twice a day,
  • the release of rosmarinic acid is 40-70% at 45 minutes, 75% or more at 90 minutes (more preferably preferably 40-70% at 45 minutes, 75% or more at 90 minutes, and 80% or more at 120 minutes)
  • a formulation for the treatment of arthritis in particular a tablet.
  • the content of the 'wiryyeongseon ⁇ gwalugeun ⁇ hagocho 30% ethanol extract (40 ⁇ 1)' extract is 40 to 9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before filling uncoated tablets or empty capsules (preferably preferably, 50-90% by weight, more preferably 60-90% by weight).
  • the preparation for treating arthritis is a tablet or capsule preparation containing 280-320 mg of herbal extracts of Wiryungseon, Gwalugeun and Hagocho as active ingredients, and is a preparation to be taken twice a day, 37 ⁇
  • the release of rosmarinic acid is 45-65% at 45 minutes, 80% or more at 90 minutes, 85% or more at 120 minutes (more Preferably, 45-60% at 45 minutes, 80% or more at 90 minutes, 85% or more at 120 minutes).
  • the content of the 'wiryyeongseon ⁇ gwalugeun ⁇ hagocho 30% ethanol extract (40 ⁇ 1)' extract is 40 to 90 weight compared to the total weight of the capsule filling excluding the weight of the uncoated tablet or empty capsule before coating % (preferably 50-90% by weight, more preferably 60-90% by weight).
  •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blet containing 280-320 mg of 'Wiryyeongseon ⁇ Gwalugeun ⁇ Hagocho 30% ethanol extract (40 ⁇ 1)'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is 40 to 90% by weight (preferably, 50-90% by weight, more preferably 60-9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it is a tablet to be taken twice a day, 37 ⁇ 0.5° C., a paddle at a speed of 50 rpm ( In the case of dissolution test under the conditions of 900 ml of water as a paddle test method, the release of rosmarinic acid is 40-70% at 45 minutes, 75% or more at 90 minutes (more preferably 40-70% at 45 minutes, 75 at 90 minutes) % or more, 80% or more at 120 minutes, even more preferably 45-65% at 45 minutes, 80% or more at 90 minutes, and 85% or more at 120 minutes), wherein the controlled release is ethyl cellulose, methacryl Provides a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blet containing 280-320 mg of herbal extracts of Wiryungseon, Gwalugeun and Hagocho as active ingredients, and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is 40 to 90% by weight (preferably, 50-90% by weight, more preferably 60-90% by weight), and it is a tablet taken twice a day, and dissolution test under the conditions of 900ml water medium by paddle test at 37 ⁇ 0.5°C and 50rpm speed hour, the release of rosmarinic acid is 40-70% at 45 minutes, 75% or more at 90 minutes, 80% or more at 120 minutes (more preferably 45-65% at 45 minutes, 80% or more at 90 minutes, 120 minutes to 85% or more), and provides a tab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ease is adjusted using ethyl cellulose.
  • the content of the ethyl cellulose is preferably 0.1-10% by weight, more preferably 0.4-5% by weight, even more preferably 0.8-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uncoated tablet before coating.
  • the tablet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 adsorbent, disintegrant, lubricant, and the like.
  • various materials such as polyvinylpyrrolidone, ethyl cellulose, methacrylate ethyl acrylic acid copolymer,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hydroxypropyl cellulose, and acrylic acid copolymer may be used as the release controlling agent.
  • the release controlling agent may be used as the release controlling agent.
  • ethyl cellulose, ethyl methacrylate copolymer, or a mixture thereof is preferable.
  • the controlled-release material is preferably 0.1-10 wt%, more preferably 0.4-5 wt%, even more preferably 0.8-3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uncoated tablet before coating.
  • Microcrystalline cellulose, lactose, mannitol, etc. can be used as the excipient, and the content of these excipients is preferably 5-40 wt%, more preferably 10-35 wt%, and 15-30 wt%, based on the weight of the uncoated tablet before coating. is even more preferable.
  • adsorbent As the adsorbent, light anhydrous silicic acid (including hydrophobic light anhydrous silicic acid), magnesium aluminum silicate, etc. can be used, and the content of this adsorbent is preferably 0.5-9 wt%, more preferably 1-7 wt%, based on the weight of the uncoated tablet before coating. preferred, 2-5% by weight is even more preferred.
  • croscarmellose sodium, sodium starch glycolate, crospovidone, low-substituted hydroxypropyl cellulose, etc. may be used.
  • croscarmellose sodium, low-substituted hydroxypropyl cellulose, or a mixture thereof is preferable in terms of reducing the size of the tablet and achieving good release properties.
  • croscarmellose sodium, low-substituted hydroxypropyl cellulose, or a mixture thereof good release property is achieved even under conditions where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is increased.
  • croscarmellose sodium or low-substituted hydroxypropyl cellulose is particularly preferred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ent of this disintegrant is preferably 1-10% by weight, more preferably 1-8% by weight, even more preferably 2-5%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uncoated tablet before coating.
  • stearyl fumarate, magnesium stearate, stearic acid, talc, etc. can be used, and the content of the lubricant is preferably 0.1-4 wt%, more preferably 0.2-2 wt%, based on the weight of the uncoated tablet before coating. do.
  • the tab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coat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protection from external impact, appearance, control of release, and the like.
  • the uncoated tablet may be coated using a coating composition including a film former, a plasticizer, an anti-adhesive body, and the like, and the content of the coating is 1-15 wt%, preferably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uncoated tablet prior to coating. can be coated in an amount of 3-10% by weight.
  • a coating composition including polyvinyl alcohol sold by ColorCon as a basic coating material may be used.
  •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blet containing 280-320 mg of herbal extracts of Wiryungseon, Gwalugeun and Hagocho as active ingredients, and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is 40 to 90% by weight (preferably compared to the total weight of the uncoated tablet before coating) , 50-90% by weight, more preferably 60-90% by weight), and is a tablet to be taken twice a day, and eluted under the conditions of 900ml of water by a paddle test at 37 ⁇ 0.5° C. and 50rpm speed.
  • the release of rosmarinic acid is 40-70% at 45 minutes, 75% or more at 90 minutes, 80% or more at 120 minutes (more preferably 45-65% at 45 minutes, 80% or more at 90 minutes, 120 85% or more per minute), controlled release using ethyl cellulose, and provides a tab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croscarmellose sodium as a disintegrant.
  • th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preparing granules by a wet granulation method using a solv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or a dry granulation method using compression force, and then mixing the granules with post-mixing components such as a disintegrant and a lubricant. It may be prepared as a tablet or capsule.
  • th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into tablets by a direct tapping method without a granule manufacturing process. However, the wet granulation method may be preferable in terms of maintaining the release pattern without deviation for achieving one of the various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pare granules using a herbal extract of Wiryungseon, Gwalugeun and Hagocho, an adsorbent, a binder, optionally an excipient, optionally a disintegrant; preparing a tablet by post-mixing a lubricant, a disintegrant, etc., which a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s, to the granules prepared above and tableting; and optionally coating the tablet.
  •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formulation containing a high content of herbal extracts of Wiryyeongseon, Gwalugeun and Hagocho, and can be taken twice a day.
  • th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specific release pattern and exhibits excellent arthritis treatment effect even when taken twice a day.
  • the formulation of one aspec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lso contains a high content of herbal extracts of Wiryungseon, Gwalugeun and Hagocho, and thus has a small size and excellent convenience in taking it.
  • 1 is a graph showing the dissolution pattern in a pH 1.2 medium for each type of binder.
  • 2 is a graph showing the dissolution pattern in a pH 6.8 medium for each viscosity of ethyl cellulose.
  • H&E Hematoxylin & Eosin
  • tablets containing 30% ethanol extract of Wiryungseon ⁇ Gwalugeun ⁇ Hagocho 30% (40 ⁇ 1) extract were prepared.
  • the extract, crospovidone, hydrophobic light silicic anhydride, and binder were mixed.
  • magnesium stearate was added, mixed, and tableted.
  • Example 1-1 Example 1-2
  • Example 1-3 Example 1-4
  • Example 1-5 Example 1-6 herbal extract 300
  • 300 300
  • Hydrophobic light anhydrous silicic acid 15 15 15 15 15 15 15 polyvinylpyrrolidone 10.5 ethyl cellulose 10.5
  • Polyvinylpyrrolidone Kollidon K30, viscosity about 5.5-8.5 cps (20°C, 10% w/v)
  • Ethyl methacrylate copolymer Eudragit L100-55, viscosity about 50 ⁇ 200cps
  •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Metolose, viscosity about 100cps (20°C/2% w/v)
  • Hydroxypropyl cellulose Nisso HPC-L, viscosity about 6 ⁇ 10cps (20°C/2% w/v)
  • Acrylic acid copolymer Carbomer 971, viscosity about 4000 ⁇ 11000 (0.5%w/w)
  • the dissolution test of the tablets prepared in Example 1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issolution test method of the 12th revision of the Korean Pharmacopoeia.
  • the paddle method was used, the stirring speed was 50 rpm, and the elution temperature was 37.0 ⁇ 0.5 °C.
  • the eluate was carried out at a pH of 1.2 900 ml.
  • the dissolution test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and FIG. 1 below.
  • the dissolution rate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content of rosmarinic acid, an active ingredient of the herbal extract, over time.
  • the content of rosmarinic acid is described in J. Sep. Sci. 2015, 0, 1-8 (“Quality evaluation of Salvia miltiorrhiza Bge. by ultr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photodiode array detection and chemical fingerprinting coupled with chemometric analysis”).
  • Example 1-1 Example 1-2
  • Example 1-3 Example 1-4
  • Example 1-5 Example 1-6 5 3 22 21 5 10 4 10 10 38 38 8 23 8 15 19 47 45 10 34 12 30 37 62 59 18 62 30 45 47 73 70 27 77 47 60 52 80 77 37 83 63 90 60 92 86 56 84 72 120 66 97 94 66 85 76 180 76 100 98 76 85 80 240 81 101 101 80 85 82
  • Examples 1-1, 1-4, and 1-6 showed a large dissolution delay effect, and Examples 1-2 and 1-3 showed a similar dissolution delay effect.
  • the dissolution delay effect was small.
  • Example 1 Less preferred than -2 ethyl cellulose.
  • the present inventors also performed various evaluations and judged that the dissolution pattern as in Examples 1-2 or 1-3 in a pH 1.2 medium is preferable as the dissolution pattern of the formulation containing 300 mg tablets twice taken, so in this aspect There is also the problem that binders other than Examples 1-2 and 1-3 delay the release too much.
  • ethyl cellulose and methacrylate ethyl acrylic acid copolymer are preferable than commonly used HPMC, etc.
  • ethyl cellulose was more preferable.
  • tablets containing 30% ethanol extract of Wiryungseon ⁇ Gwalugeun ⁇ Hagocho 30% (40 ⁇ 1) extract were prepared.
  • ethyl cellulose was dissolved in isopropyl alcohol to prepare a binding solution, and then the extract and hydrophobic light silicic anhydride were added to the binding solution to prepare wet granules.
  • Crospovidone and magnesium stearate were mixed with the prepared wet granules and tableted.
  • Example 2-1 Example 2-2
  • Example 2-3 Example 2-4 herbal extract 300 300 300
  • Hydrophobic light anhydrous silicic acid 15 15 15 15 15 15 Ethyl Cellulose 4cps 20 Ethyl Cellulose 7cps 20
  • Ethyl Cellulose 10cps 20
  • Ethyl Cellulose 20cps 20 crospovidone 15 15 15 15 magnesium stearate 2 2 2 2 tablet total weight 352 352 352 352 352 352 352 352 352 352 352
  • the dissolution of Examples 2-1 to 2-4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dissolution test method of the 12th revision of the Korean Pharmacopoeia.
  • the paddle method was used, the stirring speed was 50 rpm, and the elution temperature was 37.0 ⁇ 0.5 °C.
  • the eluate was carried out at pH 6.8 900ml. In order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sample solution, it was analyzed after pretreatment with acetonitrile.
  • the dissolution test results of rosmarinic acid are shown in Table 4 and FIG. 2 below.
  • Example 2-1 Example 2-2
  • Example 2-3 Example 2-4 5 12 10 9 6 10 13 12 14 11 15 17 17 17 16 30 27 25 25 25 45 34 33 32 33 60 43 39 39 90 65 60 52 56 120 92 85 72 78 180 96 95 94 92 240 96 95 95 93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ethyl cellulose exhibited a good release pattern even at pH 6.8, and could exhibit a release close to 100% even at pH 6.8.
  • the dissolution rate is a slower pattern,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increase in the viscosity of ethyl cellulose.
  •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1 Evaluation of dissolution according to various components
  • Example 3 was prepared by wet granulation of herbal extracts, hydrophobic light anhydrous silicic acid, and ethyl cellulose of Wiryungseon, Gwalugeun and Hagocho. Microcrystalline cellulose, croscarmellose sodium and stearyl fumarate were mixed in the prepared wet granules and tableted. The core thus prepared was coated with a coating base.
  • Comparative Example 1 was prepared by dry mixing of herbal extracts of Wiryungseon, Gwalugeun and Hagocho, light anhydrous silicic acid, corn starch, microcrystalline cellulose and sodium starch glycolate. Magnesium stearate was post-mixed with the prepared mixture, followed by tableting. The core thus prepared was coated with a coating base.
  •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1 herbal extract 300 200 Microcrystalline Cellulose 95 113 corn starch 50 Light anhydrous silicic acid 10 Hydrophobic light anhydrous silicic acid 10 Ethyl Cellulose 4cps 8 Croscarmellose Sodium 13 Sodium starch glycolate 25 magnesium stearate 2 Stearyl Fumarate 2 coating base 28 30 tablet total weight 456 430
  • Example 3 The dissolution patterns of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12th revision dissolution test method of the Korean Pharmacopoeia.
  • the paddle method was used, the stirring speed was 50 rpm, and the elution temperature was 37.0 ⁇ 0.5 °C.
  • the eluate was carried out in 900 ml of purified water. In order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sample solution, it was analyzed after pretreatment with acetonitrile and pH 1.2 buffer.
  • the dissolution test results of rosmarinic acid are shown in Table 6 and FIG. 3 below.
  •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1 5 5 6 10 14 24 15 20 39 30 40 67 45 57 81 60 71 82 90 88 84 120 94 85 180 98 86 240 99 86
  • th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ed a good release pattern even in water.
  • the present inventors performed various evaluations and when the dissolution medium is water, the dissolution pattern as in Example 3 (for example, 40 to 70% at 45 minutes, 75% or more at 90 minutes, more preferably 85% at 120 minutes % or more) was found to be desirable, but it was not easy to achieve the dissolution pattern as described above.
  • the dissolution result of Comparative Example 1 shows that the final dissolution rate is not high even though the initial dissolution rate is increased by using a lot of excipients and disintegrants and lowering the content of the extract.
  • Example 4-1 Example 4-2
  • Example 4-3 Example 4-4 200mg immediate release tablet 300mg immediate release tablet 300mg delayed release tablet 300mg sustained release tablet Gwalugeun, Wiryongseon, Hagocho 30% Ethanol Extract (40:1) 200 300 300 300 Light anhydrous silicic acid (glidant) 10 15 20 20 Corn Starch (Binder) 50 Povidone K30 (binder) 5 Ethyl Cellulose (Binder) 4 4 Microcrystalline Cellulose PH102 (Excipient) 113 85 115 115 Kollidon SR (sustained release agent) 50 Sodium starch glycolate (disintegrant) 25 Crospovidone (disintegrant) 15 Croscarmellose sodium (disintegrant) 25 10 10 10
  • Dissolution of 200 mg immediate-release tablet, 300 mg immediate-release tablet, 300 mg delayed-release tablet, and 300 mg sustained-release tablet was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3. That is, the paddle method was used, the stirring speed was 50 rpm, and the elution temperature was 37.0 ⁇ 0.5°C. The eluate was carried out in 900 ml of purified water. The dissolution results of rosmarinic acid are summarized in Table 8 and FIG. 4 below.
  • Example 4-1 Example 4-2
  • Example 4-3 Example 4-4 0 0 0 0 0 0 5 3 6 3 2 10 24 21 9 5 15 45 36 15 7 30 85 71 31 12 45 98 93 49 16 60 100 102 66 20 90 102 106 88 29 120 104 106 95 38 180 105 105 100 57 240 106 106 103 71 360 106 105 105 89
  • each dosage form has the characteristics of an immediate-release tablet, a delayed-release tablet, and a sustained-release tablet, respectively.
  • the treatment effect of osteoarthritis was evaluated using the beagle dog meniscectomy and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section (ACLT) models.
  • test substances 200 mg immediate-release tablet, 300 mg immediate-release tablet, 300 mg delayed-release tablet, and 300 mg sustained-release tablet prepared in Example 4 were used.
  • Pfizer's Celecoxib formulation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prescriptions shown in Table 9 below were used.
  • composition of the test group was shown in Table 10 below.
  • Beagle dog Xi'an Dilepu Biology & Medicine Co., Ltd
  • mice were placed in a cage with their mouths open, put the test substance inside the tongue, closed their mouths, and then swallowed by gently stroking the throat. After confirming that it was swallowed, about 10 mL of water was administered using a syringe.
  • Gait evalua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formulations prepared in Example 4 on an animal model of osteoarthritis. It was conducted twice/week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of the test substance. Gait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of Table 11 below, and images were taken using a digital camera.
  • results are shown in FIG. 5 .
  • the results of the 300 mg delayed-release tablet (G6) were the most favorable.
  • the 300 mg immediate-release tablet (G5) and the 300 mg sustained-release tablet (G7) only the 300 mg delayed-release tablet (G6) with a specific dissolution pattern showed good results, which was a very specific result.
  • the effect of the formulations prepared in Example 4 on weight bearing in an animal model of osteoarthritis was confirmed.
  • the hindlimb weight bearing was measured using a foot weight tester (Incapacitance tester (1029-S, Linton instrumentation, USA).
  • Incapacitance tester (1029-S, Linton instrumentation, USA).
  • osteoarthritis-induced Beagle dog had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section compared to the left hindlimb where only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section was performed.
  • the right hind limb was more severe pain when the medial meniscus was resected at the same time, I had to stand on the left hind limb, and accordingly, the weight load of the right hind limb was measured relatively lightly compared to the left hind limb weight.
  • the weight (g) of both feet was measured in a state where the dog's stomach did not touch the device sensor, and the weight load ratio (%) was calculated by the method of Equation 1 below using the measured weight of the feet. With the support and pressing force, the weight of both feet is balanced in normal cases, so that the weight-bearing rate (%) of one foot appears at 50%.
  • Weight bearing rate (%) [weight of osteoarthritis-induced hind limb / (weight of hind limb of both feet)] ⁇ 100
  • the level of the weight-bearing distribution ratio of the hind limbs was measured using an incapacitance tester once/week for 8 weeks.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6 .
  • the results of the 300 mg delayed-release tablet (G6) were the most favorable.
  • the 300 mg immediate-release tablet (G5) and the 300 mg sustained-release tablet (G7) only the 300 mg delayed-release tablet (G6) with a specific dissolution pattern showed good results, which was a very specific result.
  • the three types of cytokines IL-1 ⁇ , MMP-3 and TNF- ⁇ were analyzed as biomarkers in the joint fluid using the joint fluid collected on the day of autopsy.
  • a commercially available ELISA kit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7 .
  • One of the potent mechanisms inducing osteoarthritis is increase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 ⁇ , IL-1 ⁇ , and IL-6, and collagenase and stromelysin. It is said that the secretion of MMPs such as the back is increased, causing damage to articular cartilage. That is, the expression of MMP-3, MMP-9, and MMP-13 increases when osteoarthritis occurs, and it is known that the increase in MMPs damages the collagen matrix constituting the cartilage, thereby exacerbating degenerative arthritis. have. In addition,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ADAMTS5 and MMP13 play a decisive role in the progression of osteoarthritis in the degradation of aggrecan and type II collagen, which are representative chondrocyte extracellular matrix.
  • M1 macrophage which plays a role related to inflammation.
  • M1-macrophage secretes inflammatory cytokines (eg, IL-1B, IL-6, TNF- ⁇ ), growth factors, MMPs (ex: MMP1, MMP2, MMP3, MMP13) and TIMP, as a result Inflammation. Cartilage degradation and osteophyte formation are caused.
  • cytokines, MMPs, and secreted proteins maintain the activity of macrophage in the form of autocrine in the form of M1, and M1-macrophage in the form of TGF- ⁇ , JNK, Akt, NF- ⁇ B and beta-catenin It promotes degrad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ECM) components by altering signaling pathways.
  • ECM extracellular matrix
  • the decomposed ECM acts as a DAMP and stimulates macrophage activation and polarization to M1-macrophage again, resulting in repeated inflammation and cartilage degradation.
  • collagen type II and MMP-13 were analyzed a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HC) markers.
  • MMP13 R&D System, MAB511-500
  • Collagen II abcan, ab34712
  • MMP13 R&D System, MAB511-500
  • Collagen II abcan, ab34712
  • MMP13 DAKO
  • Envision+System-HRP labeled polymer anti-mouse K4001
  • Collagen II DAKO
  • Envision+System-HRP labeled polymer anti-rabbit K4003
  • 300mg delayed-release tablet (G6) showed good results.
  • the 300 mg immediate-release tablet (G5) and the 300 mg sustained-release tablet (G7) only the 300 mg delayed-release tablet (G6) with a specific dissolution pattern showed good results, which was a very specific result.
  • cartilage structure and chondrocyte levels were confirmed in the joint surface among OARSI score items, and synovial lining,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synovial hyperplasia levels were confirmed in the joint cavity.
  • the level of proteoglycan was confirmed in the joint surface among the OARSI score items. The corresponding evaluation method was scored by referring to The OARSI histopathology initiative - recommendations for histological assessments of osteoarthritis in the dog (Osteoarthritis Cartilage. 2010 Oct; 18 Suppl 3:S66-79.).
  • FIGS. 9 and 10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9 and 10 .
  • 300mg delayed-release tablet (G6) showed good results.
  • the 300 mg immediate-release tablet (G5) and the 300 mg sustained-release tablet (G7) only the 300 mg delayed-release tablet (G6) with a specific dissolution pattern showed good results, which was a very specific result.
  • the osteoarthritis-induced group increased the level of villi due to increased damage due to excessive infiltration of synovial cells around the joint.
  • 300 mg delayed-release tablet (G6) showed good results.
  • the 300 mg immediate-release tablet (G5) and the 300 mg sustained-release tablet (G7) only the 300 mg delayed-release tablet (G6) with a specific dissolution pattern showed good results, which was a very specific resul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유효성분으로 관절염 등의 치료 또는 개선에 유용한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 추출물을 고함량 포함하는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제제는 유효성분을 고함량 포함하면서도 크기가 작아 복약 편의성이 우수하고, 1일 2회 복용하더라도 우수한 관절염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방출 패턴 및 방출성을 가진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 추출물을 280-320 mg 포함하고, 1일 2회 복용하는 제제로 특정 방출 패턴을 가져 관절염 치료 효과가 뛰어난 제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함량의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본 출원은 2020년 11월 24일에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20-0159042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출원에 원용된다.
본 개시는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하루 2회 복용 가능한 제제에 관한 것으로, 고함량을 포함하면서도 뛰어난 약효를 나타내는 방출 패턴을 가진 제제에 관한 것이다.
골관절염은 퇴행성 관절염으로 불리는 성인에서 가장 흔한 관절염이다. 골관절염은 고령화사회가 진행되면서 환자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환자 개인의 삶의 질 저하뿐 아니라 사회 경제적인 손실로도 이어지고 있다.
관절염(arthritis)은 관절에 염증이 일어나는 질병을 말하며 매우 많은 종류가 있다. 가장 흔한 관절염은 퇴행성관절염 (osteoarthritis)이며 그외 류마티스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통풍, 건선관절염 등이 있다. 각 관절염은 그 발병원인이 다르지만 연골조직이 파괴되는 현상은 동일하다.
퇴행성관절염(골관절염)은 관절염 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대표적인 만성 관절질환이다. 퇴행성관절염은 뼈의 말단을 둘러싸고 있는 연골조직이 점차 마모되면서 관절 내 염증과 심한 통증을 일으키고 연골 밑 뼈가 비정상적으로 딱딱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관절의 움직임으로 일어나는 마찰의 완충하는 역할을 하는 연골이 닳아 없어지게 되어 관절을 움직일 때 심한 통증과 운동장애가 나타나게 된다.
퇴행성관절염을 제어하기 위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 질병의 병리적 원인을 기반으로 한 근본적인 치료법은 개발되지 못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수술적 방법 외에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NSAID), 질병 완화 골관절염치료제 (Disease-modifying osteoarthritis drug, DMOAD) 등 항염증 및 통증완화를 위한 약물요법이 주를 이룬다. 또한 히알루론산,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과 같은 연골보호제들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연골보호 및 재생유도 등에는 그 치료효과가 확립되지 않았다.
한편,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항염, 진통, 관절보호 및 면역억제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골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생약 추출물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정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약효를 높이고자 단순히 용량을 높일 경우 그로 인한 부작용의 증가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현재 시판되는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제제는 하루 3번 복용하도록 되어 있어 복용 편의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고함량 제제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하고, 복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방출이 지연된 제제를 고려할 수 있으나, 본 발명자들이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 제제의 경우 예상치 못한 여러 문제점이 드러났다.
따라서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효성분으로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 추출물을 고함량 함유하면서도, 제제 크기가 작아 복용하기 편하며, 바람직한 약효를 나타낼 수 있는 방출 패턴을 가져 1일 2회 복용 가능한 제제, 특히 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효성분으로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을 280-320 mg 포함하고, 유효성분의 함량은 코팅 전 나정 또는 공캡슐 충진 전 혼합물의 총 중량 대비 40 내지 90 중량%(바람직하게는, 50-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90 중량%)이며, 에틸셀룰로오스, 메타크릴산에틸아크릴산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방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특히 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1일 2회 복용 제제를 제조하고자 하였으나, 연구 결과 예상치 못한 문제점이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결합제를 사용하여 방출을 지연 또는 조절하는 것은 가능하였으나, 이 경우 포함된 모든 추출물을 완전히 용출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추가적인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부형제, 붕해제를 사용하여 추출물의 상대적 함량을 줄여 지연방출과 양호한 방출량을 달성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 복용해야 하는 1개 제제의 크기가 너무 커져 복용이 불편하였다. 즉,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의 특이적 물성으로 인하여, 고함량의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 생약 추출물을 제제 중량 대비 높은 중량%로 포함하면서, 양호한 방출 패턴과 높은 방출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이 용이치 않았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상호모순적인 문제점들을 결합제로 에틸셀룰로오스, 메타크릴산에틸아크릴산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해소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로는 황갈색-갈색의 흡습성이 있는 가루 상태인 ‘위령선·괄루근·하고초30%에탄올엑스(40→1)’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추출물은 예를 들어, 상기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은 한국 등록특허 제0180567호, 제0483707호 (WO2002-094301 A1) 등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생약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2가지 결합제 성분들 중에서는 에틸셀룰로오스가 좀 더 바람직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태양은 유효성분으로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을 280-320 mg 포함하고, 유효성분의 함량은 코팅 전 나정의 총 중량 대비 40 내지 90 중량%(바람직하게는, 50-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90 중량%)이며, 에틸셀룰로오스을 포함하여 방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특히 정제를 제공한다.
이러한 에틸셀룰로오스로는 toluene/ethanol 80:20(부피비) 혼합용매로 5 중량% 용액을 만들어 상온에서 점도 측정시 3-22 mPa.s의 점도를 가지는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을 280-320 mg 포함하며, 1일 2회 복용하는 제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다양한 방출 패턴(속도)를 가진 제제를 제조하여 평가하였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특정 방출 패턴을 가질 경우 관절염 (예를 들어, 골관절염(퇴행관절질환), 류마티스관절염 등)의 치료 효과가 월등히 뛰어났다. 통상적으로 1일 2회 투여 제제의 경우에는, 후술하는 실시예 4-4와 유사하게, 장시간 동안 약효성분이 방출되도록 서방성을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매우 특이하게도, 도 4 내지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의 관절염 치료 목적을 위해서는 약효 성분의 방출을 약간만 지연시키는 정도이어야 (도 4 참조) 하루 3번 복용하는 제제 대비 관절염 치료 효과가 상승하였다.
즉,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을 280-320 mg 포함하며, 1일 2회 복용하는 제제에 있어, 바람직한 관절염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용출 패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우수한 관절염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용출 패턴은 37±0.5 ℃, 50rpm 속도의 패들(paddle) 시험법으로 물 900ml 매질의 조건으로 용출시험 시, 로즈마린산의 방출이 45분에 40~70% (더욱 바람직하게는 45~65%,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5~60%), 90분에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및 120분에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다.
이러한 방출 패턴을 달성할 수 있다면 앞서 언급된 또는 후술하는 결합제 또는 방출지연제 이외의 다른 첨가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 따른 특정 방출 패턴을 달성할 수 있는 조건이라면 전술한 또는 후술하는 특정 첨가제의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또는 후술하는 특정 첨가제는 본 개시의 더욱 바람직한 측면을 달성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또한, 유효성분으로 ‘위령선·괄루근·하고초30%에탄올엑스(40→1)’ 추출물을 280-320 mg 포함한 제제이며, 1일 2회 복용하는 제제이고, 37±0.5 ℃, 50rpm 속도의 패들(paddle) 시험법으로 물 900ml 매질의 조건으로 용출시험 시,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의 방출이 45분에 40~70%, 90분에 75% 이상인(더욱 바람직하게는 45분에 40~70%, 90분에 75% 이상이고, 120분에 80% 이상인), 관절염 치료용 제제, 특히 정제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령선·괄루근·하고초30%에탄올엑스(40→1)’ 추출물의 함량은 코팅 전 나정 또는 공캡슐 충진 전 혼합물의 총 중량 대비 4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9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 상기 관절염 치료용 제제는 유효성분으로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을 280-320 mg 포함한 정제 또는 캅셀제인 제제이고, 1일 2회 복용하는 제제이고, 37±0.5 ℃, 50rpm 속도의 패들(paddle) 시험법으로 물 900ml 매질의 조건으로 용출시험 시, 로즈마린산의 방출이 45분에 45~65%, 90분에 80% 이상, 120분에 85% 이상(더욱 바람직하게는, 45분에 45~60%, 90분에 80% 이상, 120분에 85% 이상)이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령선·괄루근·하고초30%에탄올엑스(40→1)' 추출물의 함량은 코팅 전 나정 또는 공캅셀의 중량을 제외한 캅셀 충진물의 총 중량 대비 40 내지 90 중량%(바람직하게는, 50-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90 중량%)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태양은 유효성분으로 '위령선·괄루근·하고초30%에탄올엑스(40→1)' 추출물을 280-320 mg 포함한 정제이고, 유효성분의 함량은 코팅 전 나정의 총 중량 대비 40 내지 90 중량%(바람직하게는, 50-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90 중량%)이며, 1일 2회 복용하는 정제이고, 37±0.5 ℃, 50rpm 속도의 패들(paddle) 시험법으로 물 900ml 매질의 조건으로 용출시험 시, 로즈마린산의 방출이 45분에 40~70%, 90분에 75% 이상(더욱 바람직하게는 45분에 40~70%, 90분에 75% 이상이고, 120분에 80%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5분에 45~65%, 90분에 80% 이상이고, 120분에 85% 이상)이며, 상기 방출 조절은 에틸셀룰로오스, 메타크릴산에틸아크릴산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셀룰로오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유효성분으로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을 280-320 mg 포함한 정제이고, 유효성분의 함량은 코팅 전 나정의 총 중량 대비 40 내지 90 중량%(바람직하게는, 50-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90 중량%)이며, 1일 2회 복용하는 정제이고, 37±0.5 ℃, 50rpm 속도의 패들(paddle) 시험법으로 물 900ml 매질의 조건으로 용출시험 시, 로즈마린산의 방출이 45분에 40~70%, 90분에 75% 이상, 120분에 80% 이상(더욱 바람직하게는 45분에 45~65%, 90분에 80% 이상이고, 120분에 85% 이상)이며, 에틸셀룰로오스을 이용하여 방출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상기 에틸셀룰로오스의 함량은 코팅 전 나정의 총 중량 대비 0.1-10 중량%가 바람직하며, 0.4-5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0.8-3 중량%가 더욱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 상기 정제는 선택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흡착제, 붕해제, 활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 방출조절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에틸셀룰로오스, 메타크릴산에틸아크릴산공중합체, 히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아크릴산공중합체 등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정제의 크기를 줄이는 동시에 양호한 방출성을 달성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는 에틸셀룰로오스, 메타크릴산에틸아크릴산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방출조절 물질은 코팅 전 나정의 총 중량 대비 0.1-10 중량%가 바람직하며, 0.4-5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0.8-3 중량%가 더욱 더 바람직하다.
상기 부형제로는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만니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형제의 함량은 코팅 전 나정 중량 대비 5-40 중량%가 바람직하며, 10-35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15-30 중량%가 더욱 더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제로는 경질무수규산 (소수성 경질무수규산 포함),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흡착제의 함량은 코팅 전 나정 중량 대비 0.5-9 중량%가 바람직하고, 1-7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며, 2-5 중량%가 더욱 더 바람직하다.
상기 붕해제로는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 크로스포비돈,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정제의 크기를 줄이는 동시에 양호한 방출성을 달성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는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경우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아지는 조건에서도 양호한 방출성이 달성된다. 붕해제로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또는 저치환도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중에서도, 본 발명의 목적상 특히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붕해제의 함량은 코팅 전 나정 중량 대비 1-10 중량%가 바람직하고, 1-8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며, 2-5 중량%가 더욱 더 바람직하다.
상기 활택제로는 스테아릴퓨마레이트,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탈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활택제의 함량은 코팅 전 나정 중량 대비 0.1-4 중량%가 바람직하고, 0.2-2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정제는 또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 외관, 방출의 조절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정은 필름형성제, 가소제, 부착방지체 등을 포함하는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될 수 있으며, 코팅물의 함량은 코팅 전 나정 총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 바람직하게는 3-10 중량%의 양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코팅 조성물(제품)로는 칼라콘 사에서 판매하는 폴리비닐알코올을 기본 코팅물질로 포함하는 다양한 코팅기제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태양은, 유효성분으로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을 280-320 mg 포함한 정제이고, 유효성분의 함량은 코팅 전 나정의 총 중량 대비 40 내지 90 중량%(바람직하게는, 50-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90 중량%)이며, 1일 2회 복용하는 정제이고, 37±0.5 ℃, 50rpm 속도의 패들(paddle) 시험법으로 물 900ml 매질의 조건으로 용출시험 시, 로즈마린산의 방출이 45분에 40~70%, 90분에 75% 이상, 120분에 80% 이상(더욱 바람직하게는 45분에 45~65%, 90분에 80% 이상이고, 120분에 85% 이상)이며, 에틸셀룰로오스을 이용하여 방출을 조정하고, 붕해제로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제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를 이용한 습식과립법 또는 압축력을 이용한 건식과립법으로 과립을 제조한 후 이 과립을 붕해제, 활택제 등의 후혼합 성분들과 혼합하여 정제 또는 캡슐제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제는 과립 제조 과정없이 직타 방법으로 정제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여러 목적 중 하나를 달성하기 위한 방출 패턴을 편차 없이 유지한다는 측면에서 습식과립법 정제가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 흡착제, 결합제, 임의로 부형제, 임의로 붕해제 등을 이용하여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과립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인 활택제, 붕해제 등을 후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임의로 상기 정제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고함량의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을 함유하고, 1일 2회 복용이 가능한 제제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제제는 특정 방출 패턴을 가져 1일 2회 복용하더라도 우수한 관절염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본 개시에 따른 일 측면의 제제는 또한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을 고함량 함유함으로써 크기가 작아 복약 편의성이 우수하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결합제 종류별 pH 1.2 매질에서의 용출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에틸셀룰로오스 점도별 pH 6.8 매질에서의 용출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의 물에서의 용출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다양한 용출 패턴을 가진 제제들의 물에서의 용출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다양한 용출 패턴을 가진 제제들이 Meniscectomy 및 전십자인대 절제술 실시 후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6은 다양한 용출 패턴을 가진 제제들이 관절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로, 체중 부하 검사(Incapacitance test) 결과이다.
도 7은 다양한 용출 패턴이 가진 제제들이 관절염 내 사이토카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ELISA 분석 결과이다.
도 8은 다양한 용출 패턴이 가진 제제들이 관절염 내 바이오마커들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면적조직화학 염색 분석 결과이다.
도 9는 다양한 용출 패턴이 가진 제제들의 효과를 조직병리학적 분석으로 OARSI score로서 평가한 결과이다.
도 10은 면역조직화학 분석 결과로, 시험 완료 후 Joint surface, cartilage 및 synovium의 Hematoxylin & Eosin (H&E) 및 Safranin-O 염색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다양한 결합제를 이용한 용출 패턴 확인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 및 성분을 이용하여 위령선·괄루근·하고초30%에탄올엑스(40→1) 추출물 함유 정제를 제조하였다. 추출물, 크로스포비돈, 소수성경질무수규산, 및 결합제를 혼합하였다. 그 후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타정하였다.
성분 (단위: mg)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생약추출물 300 300 300 300 300 300
소수성경질무수규산 15 15 15 15 15 15
폴리비닐피롤리돈 10.5
에틸셀룰로오스 10.5
메타크릴산에틸아크릴산공중합체 10.5
히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10.5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0.5
아크릴산공중합체 10.5
크로스포비돈 20 20 20 20 20 20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5 2.5 2.5 2.5 2.5 2.5
정제 총 중량 348 348 348 348 348 348
폴리비닐피롤리돈: Kollidon K30, 점도 약 5.5~8.5 cps (20℃, 10% w/v)
메타크릴산에틸아크릴산공중합체: Eudragit L100-55, 점도 약 50~200cps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Metolose, 점도 약 100cps (20℃/2% w/v)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Nisso HPC-L, 점도 약 6~10cps (20℃/2% w/v)
아크릴산공중합체: Carbomer 971, 점도 약 4000~11000 (0.5%w/w)
실험예 1: 결합제 종류별 용출 평가
대한민국약전 12개정 용출시험법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정제들의 용출시험을 하였다. 패들법을 사용하고 교반속도는 50rpm, 용출온도는 37.0±0.5℃에서 수행하였다. 용출액은 pH 1.2 900ml에서 실시하였다. 검액 안정성 개선을 위해 아세토니트릴로 전처리 후 분석하였다. 용출시험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용출률은 생약추출물의 활성성분인 로즈마린산의 시간에 따른 함량을 측정하였다. 로즈마린산의 함량은 문헌 J. Sep. Sci. 2015, 0, 1-8 (“Quality evaluation of Salvia miltiorrhiza Bge. by ultr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photodiode array detection and chemical fingerprinting coupled with chemometric analysis”)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하게 측정하였다.
시간(분)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5 3 22 21 5 10 4
10 10 38 38 8 23 8
15 19 47 45 10 34 12
30 37 62 59 18 62 30
45 47 73 70 27 77 47
60 52 80 77 37 83 63
90 60 92 86 56 84 72
120 66 97 94 66 85 76
180 76 100 98 76 85 80
240 81 101 101 80 85 82
상기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 1-4, 1-6의 경우 용출 지연효과가 크고, 실시예 1-2와 1-3은 유사한 용출 지연효과를 보였다. 실시예 1-5는 용출 지연 효과가 적었다.그러나, 실시예 1-2 및 1-3을 제외한 나머지 실시예들의 경우 아주 충분한 시간 동안 방출을 평가하여도 용출량이 80% 정도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실질적으로 이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특정 추출물의 물성과 고분자의 특유의 물성의 조합에 기인한 것으로 추측되며, 예를 들어, 생약 추출물의 겔화 등을 방지하는 기능과도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나, 본 발명은 이러한 이론적 기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에서 사용된 메타크릴산에틸아크릴산공중합체의 경우 산성 매질에서는 바람직한 방출패턴을 보였으나, 다른 pH 매질에서 방출패턴이 달라져 방출을 조절하기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고, 결과적으로 실시예 1-2의 에틸셀룰로오스 보다는 덜 바람직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다양한 평가를 수행하여 pH 1.2 매질에서는 실시예 1-2 또는 1-3과 같은 용출 패턴이 300 mg 함유 정제를 2회 복용하는 제제의 용출 패턴으로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으며,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는 실시예 1-2 및 1-3 이외의 다른 결합제들은 방출을 너무 지연시킨다는 문제도 있다.
결과적으로, 놀랍게도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 300 mg을 포함하고, 하루 2회 복용하는 제제의 방출조절 성분으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HPMC 등보다 에틸셀룰로오스 및 메타크릴산에틸아크릴산공중합체이 바람직하며, 에틸셀룰로오스가 더욱 바람직하였다.
실시예 2: 에틸셀룰로오스를 이용한 지연 용출패턴 확인
하기 표 3에 기재된 함량 및 성분을 이용하여 위령선·괄루근·하고초30%에탄올엑스(40→1) 추출물 함유 정제를 제조하였다. 먼저 이소프로필알콜에 에틸셀룰로오스를 녹여 결합액을 제조 후 추출물과 소수성경질무수규산을 결합액에 넣고 습식과립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습식과립에 크로스포비돈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을 혼합하여 타정하였다.
성분 (단위: mg)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생약추출물 300 300 300 300
소수성경질무수규산 15 15 15 15
에틸셀룰로오스 4cps 20
에틸셀룰로오스 7cps 20
에틸셀룰로오스 10cps 20
에틸셀룰로오스 20cps 20
크로스포비돈 15 15 15 15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 2 2 2
정제 총 중량 352 352 352 352
실험예 2: pH 6.8 매질에서의 에틸셀룰로오스 점도별 용출 평가
대한민국약전 12개정 용출시험법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 2-1 내지 2-4의 용출을 평가하였다. 패들법을 사용하고 교반속도는 50rpm, 용출온도는 37.0±0.5℃에서 수행하였다. 용출액은 pH 6.8 900ml에서 실시하였다. 검액 안정성 개선을 위해 아세토니트릴로 전처리 후 분석하였다. 로즈마린산의 용출시험결과는 하기 표 4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시간(분)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5 12 10 9 6
10 13 12 14 11
15 17 17 17 16
30 27 25 25 25
45 34 33 32 33
60 43 39 39 39
90 65 60 52 56
120 92 85 72 78
180 96 95 94 92
240 96 95 95 93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틸셀룰로오스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제는 pH 6.8에서도 양호한 방출 패턴을 나타내었으며, pH 6.8에서도 100%에 가까운 방출을 나타낼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1에서 2-4로 갈수록 용출률이 느려지는 패턴이며 이는 에틸셀룰로오스의 점도가 높아지는 것과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1: 여러 성분에 따른 용출성 평가
하기 표 5에 기재된 함량 및 성분에 따라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은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 소수성경질무수규산 및 에틸셀룰로오스를 습식과립화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습식과립에 미결정셀룰로오스,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및 스테아릴퓨마레이트를 혼합하여 타정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코어에 코팅기제를 이용하여 코팅하였다. 비교예 1은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 경질무수규산, 옥수수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및 전분글리콜산나트륨을 건식 혼합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혼합물에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후혼합하여 타정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코어에 코팅기제를 이용하여 코팅하였다.
성분 (단위: mg) 실시예 3 비교예 1
생약추출물 300 200
미결정셀룰로오스 95 113
옥수수전분 50
경질무수규산 10
소수성경질무수규산 10
에틸셀룰로오스 4cps 8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13
전분글리콜산나트륨 25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
스테아릴퓨마레이트 2
코팅기제 28 30
정제 총 중량 456 430
실험예 3: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용출 평가
대한민국약전 12개정 용출시험법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 3,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용출패턴을 평가하였다. 패들법을 사용하고 교반속도는 50rpm, 용출온도는 37.0±0.5℃에서 수행하였다. 용출액은 정제수 900ml에서 실시하였다. 검액 안정성 개선을 위해 아세토니트릴 및 pH 1.2 완충액으로 전처리 후 분석하였다. 로즈마린산의 용출시험결과는 하기 표 6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시간(분) 실시예 3 비교예 1
5 5 6
10 14 24
15 20 39
30 40 67
45 57 81
60 71 82
90 88 84
120 94 85
180 98 86
240 99 86
상기 표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물에서도 양호한 방출패턴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평가를 수행하여 용출 매질이 물일 경우 상기 실시예 3과 같은 용출패턴 (예를 들어, 45분에 40~70%, 90분에 75% 이상이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분에 85% 이상)이 바람직한 것으로 파악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용출 패턴을 달성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예를 들어, 비교예 1의 용출결과는 부형제 및 붕해제를 많이 사용하고 추출물의 함량을 낮추어 초기 용출률을 높였음에도 불구하고 최종 용출률이 높지 않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4: 용출 패턴에 따른 약효 평가
하기 표 7과 같은 처방으로, 다양한 용출 패턴을 가진 위령선·괄루근·하고초 30% 에탄올엑스 (40→1) 정제들을 제조한 후에 용출 패턴이 약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200mg 속방정, 300mg 속방정, 300mg 지연방출정, 및 300mg 서방정을 제조하였다. 먼저 물,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중 적합한 용매에 결합제를 녹여 결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추출물, 경질무수규산, 부형제 등을 결합액에 넣고 습식과립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습식과립에 붕해제 및 활택제를 혼합하여 타정하였다. 이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필름코팅을 수행하였다.
성분 (단위: mg) 실시예
4-1
실시예
4-2
실시예
4-3
실시예
4-4
200mg 속방정 300mg 속방정 300mg 지연방출정 300mg 서방정
괄루근, 위령선, 하고초 30%에탄올엑스(40:1) 200 300 300 300
경질무수규산 (유동화제) 10 15 20 20
옥수수전분 (결합제) 50
포비돈 K30 (결합제) 5
에틸셀룰로오스 (결합제) 4 4
미결정셀룰로오스 PH102 (부형제) 113 85 115 115
콜리돈SR (서방화제) 50
글리콜산전분나트륨 (붕해제) 25
크로스포비돈 (붕해제) 15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붕해제) 25 10 10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활택제) 2 5
푸마르산스테아릴나트륨 (활택제) 5 5
필름코팅 30 27 29 30
정제 총 중량 430 477 483 534
실험예 4-1: 용출 평가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200mg 속방정, 300mg 속방정, 300mg 지연방출정, 및 300mg 서방정의 용출을 평가하였다. 즉, 패들법을 사용하고 교반속도는 50rpm, 용출온도는 37.0±0.5℃에서 수행하였다. 용출액은 정제수 900ml에서 실시하였다. 로즈마린산의 용출 결과를 하기 표 8 및 도 4에 종합하여 나타내었다.
시간/용출% (n=6) 실시예 4-1 실시예 4-2 실시예 4-3 실시예 4-4
0 0 0 0 0
5 3 6 3 2
10 24 21 9 5
15 45 36 15 7
30 85 71 31 12
45 98 93 49 16
60 100 102 66 20
90 102 106 88 29
120 104 106 95 38
180 105 105 100 57
240 106 106 103 71
360 106 105 105 89
평균 용출률이 80%에 도달하는 시점을 보았을 때 ‘200mg 속방정’ 30분, ‘300mg 속방정’ 45분, ‘300mg 지연방출정’ 90분, 및 ‘300mg 서방정’ 360분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각 제형은 각각 속방정, 지연방출정, 서방정의 특성을 갖는다고 판단된다.
실험예 4-2: 골관절염 치료 효과 평가
실험동물, 시험물질 및 시험 군
비글견(Beagle dog) 반월상 연골판 절제술 (meniscectomy) 및 전십자인대 절제술 (ACLT) 모델을 이용하여 골관절염 치료 효과를 평가하였다. 시험 물질로는 실시예 4에서 제조한, 200mg 속방정, 300mg 속방정, 300mg 지연방출정, 및 300mg 서방정을 이용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화이자 사의 Celecoxib 제제 (제조(로트)번호: EF6274, 캡슐제)를 이용하였다. 음성대조군(Vehicle)으로는 하기 표 9와 같은 처방으로 이루어진 정제를 이용하였다.
성분 (단위: mg) Vehicle (위약)
미결정셀룰로오스 PH102 (부형제) 319
옥수수전분(부형제) 47
글리콜산전분나트륨 (붕해제) 9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활택제) 5
필름코팅 29
정제 총 중량 409
시험군의 구성은 하기 표 10과 같았다.
성별 동물수
(마리)
동물번호 Meniscectomy 투여물질 투여횟수 투여량
(mg)
투여량
(정)
G1 M 4 1-4 N
G2 M 4 5-8 Y Vehicle b.i.d N/A 1T
G3 M 4 9-12 Y Celecoxib q.d. 200 1T
G4 M 4 13-16 Y 200mg 속방정 t.i.d 200 1T
G5 M 4 17-20 Y 300mg 속방정 b.i.d 300 1T
G6 M 4 21-24 Y 300mg 지연방출정 b.i.d 300 1T
G7 M 4 25-28 Y 300mg 서방정 b.i.d 300 1T
Beagle dog (Xi’an Dilepu Biology & Medicine Co., Ltd)에 상기 표 9의 투여 횟수에 따라 경구 투여하였으며, 8주 동안 투여하였다. 구체적으로 동물을 사육상자 내에서 자연스럽게 위치한 상태로 입을 벌린 후 시험물질을 혀의 안쪽에 넣고 입을 다물게 한 다음, 인후두부를 부드럽게 쓰다듬어 연하시켰다. 삼켰는지 확인하고, 주사기를 이용하여 물 약 10 mL을 먹였다.
Meniscectomy 및 전십자인대 절제
수술 전, clipper를 이용하여 동물의 양쪽 무릎 주변부를 제모하였다. 동물을 마취하고, Povidone 및 70 % alcohol을 이용하여 절개할 부위를 넓게 소독하였다. 그 다음, 우측 무릎의 피부를 절개하였다. 주변 조직을 둔성분리 (blunt dissection)하여, 대퇴부 말단의 관절면을 노출시켰다. 내측 관절면에 결손창을 만들고, 전십자인대를 절제하였다. 4-0 나일론을 사용하여 창상 봉합을 실시하였다. 좌측 무릎의 경우, 전십자인대 절제술만 실시하였다.
Meniscectomy 실시 1주 후, 해당 동물에 대하여 1회/일, 7일간 인위적 운동 (30 분/일)을 실시하였다.
관찰 및 검사 항목
(1) 보행평가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제형들이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의 효력을 평가하고자 보행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전, 이후 2회/주 실시하였다. 하기 표 11의 평가 기준에 따라 보행 평가를 실시하고,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였다.
Score Parameters
0 No observable lameness
1 Intermittent, mild weight-bearing lameness with little, if any, change in gait
2 Moderate weight-bearing lameness―obvious lameness with noticeable gait change
3 Severe weight-bearing lameness - "toe-touching" only
4 Non-weight-bearing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300mg 지연방출정 (G6)의 결과가 가장 바람직하였다. 특히, 300mg 속방정 (G5) 및 300mg 서방정 (G7)과 비교하여 특정 용출 패턴을 가진 300mg 지연방출정 (G6)만 좋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매우 특이적인 결과이었다.
(2) Incapacitance test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제형들이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의 체중 부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뒷다리 체중 부하는 발 무게 측정기 (Incapacitance tester (1029-S, Linton instrumentation,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시험에서 골관절염이 유발된 비글견은 전십자인대절제술만 실시한 좌 후지에 비해 전십자인대절제술 및 내측반월판 절제를 동시에 시행한 우 후지에 더 심한 통증이 발생하므로, 좌 후지에 의지하여 서게 되고, 이에 따라 좌 후지 체중 부하 대비 우 후지의 체중 부하가 상대적으로 가볍게 측정되었다. 발의 무게 측정시 비글견의 배가 기기 센서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 양쪽 발의 무게 (g)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상기 측정된 발의 무게를 이용하여, 체중 부하율(%)을 하기 계산식 1의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상기 체중부하는 발로 지탱하여 누르는 힘으로, 정상적인 경우 양쪽 발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어 한쪽 발의 체중 부하율(%) 은 50% 수준으로 나타나지만, 골관절염 유발에 의해 통증이 심해질수록 골관절염 유발 뒷다리의 체중 부하율 (%)이 낮아진다.
[계산식 1]
체중 부하율 (%) = [골관절염 유발 뒷다리의 무게 / (양발 뒷다리의 무게)] × 100
시험물질 투여 전 및 그 이후에는 1회/주, 8주간 Incapacitance tester를 이용하여 후지 체중 부하 분배율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300mg 지연방출정 (G6)의 결과가 가장 바람직하였다. 특히, 300mg 속방정 (G5) 및 300mg 서방정 (G7)과 비교하여 특정 용출 패턴을 가진 300mg 지연방출정 (G6)만 좋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매우 특이적인 결과이었다.
(3) ELISA 분석
관절염 발생과 관련된 바이오마커의 활성을 확인하고자 부검일에 채취한 관절액을 이용하여 관절액 내 바이오마커로 IL-1β, MMP-3 및 TNF-α 3종 Cytokine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상용화된 ELISA kit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골관절염이 유발되는 유력한 기전 중 하나는 TNF-α, IL-1β, IL-6와 같은 전염증성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의 생성이 증가하고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 스트로멜라이신(stromelysin) 등과 같은 MMP들의 분비가 증가되어 관절 연골의 손상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즉, 골관절염 발병시 MMP-3, MMP-9, 및 MMP-13 등의 발현이 증가하며, 이러한 MMP들의 증가로 인해 연골을 구성하는 콜라겐 기질(collagen matrix)를 손상시켜 퇴행성관절염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대표적 연골세포외기질인 aggrecan과 제 2형 콜라젠(type II collagen)의 분해에 있어 ADAMTS5와 MMP13이 퇴행성관절염의 진행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규명된 바 있다.
관절염 진행 경로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그 중에서 중요한 원인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macrophage (대식세포)의 활성에 관한 것이다. 활액에 존재하고 있는 macrophage가 PAMPs, DAMPs 및 inflammasome에 의하여 활성이 촉진이 되게 되면, 염증에 관련된 역할을 하는 M1 macrophage로 polarization 되게 된다. 이러한 M1-macrophage는 염증성 cytokine (예를 들어, IL-1B, IL-6, TNF-α), 성장인자, MMPs (ex: MMP1, MMP2, MMP3, MMP13) 및 TIMP를 분비하게 되며, 그 결과 인해 염증. 연골 분해 및 osteophyte formation이 야기된다. 이러한 cytokine, MMPs 및 분비성 단백질들은 autocrine 형태로 macrophage를 M1 형태로의 활성을 유지시키며, M1-macrophage는 TGF-β, JNK, Akt, NF-κB 및 beta-catenin의 신호전달을 포함한 연골세포의 신호전달 경로를 변경함으로써 세포외 기질 (ECM) 성분의 분해를 촉진시킨다. 이렇게 분해된 ECM은 DAMP 역할을 함으로써 다시 대식세포 활성화와 M1-macrophage로의 polarization을 자극하여, 염증과 연골 분해의 반복을 초래한다.
이러한 관절염에 원인이 되는 macrophage에서 분비하는 주된 cytokine (IL-1β, TNF-α)및 MMPs (MMP3)의 관절액 내에서 level을 ELISA 검사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유발군 (G2) 대비 G3, G4, G5, G6 및 G7에서 IL-1β의 level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TNF-α의 level은 유발군 (G2) 대비 시험군 G3, G4, G5 및 G6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MMP3의 관절액 내의 level은 유발군 (G2) 대비 시험군 G3, G4, G5, G6 및 G7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300mg 지연방출정 (G6)의 결과가 가장 바람직하였다. 특히, 300mg 속방정 (G5) 및 300mg 서방정 (G7)과 비교하여 특정 용출 패턴을 가진 300mg 지연방출정 (G6)만 좋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매우 특이적인 결과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염증성 cytokine 및 MMP3의 level이 감소하여 ELISA 검사상 관절염 완화에 도움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4) 면역조직화학 염색
또, 관절염 발생과 관련된 바이오마커로 MMP-13 저해 효과 및 Collagen type II의 생성 효과 확인을 위해 면역조직화학염색 (IHC) 마커로 Collagen type II 및 MMP-13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부검일에 관절액을 채취한 다음, 동물을 안락사시킨 후, 결손부의 육안 관찰을 실시하고 사진을 촬영하였다. 결손부를 적출하여 10 % 중성 완충포르말린용액에 고정하였다. 채취한 관절액은 분석 전까지 -70 ℃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고정된 조직은 탈회, 삭정, 탈수, 파라핀 포매, 박절 등 일반적인 조직처리 과정을 거쳐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위한 검체를 제작하였다. 그 뒤, Hematoxylin & Eosin (H&E), Safranin-O 및 면역조직화학염색 (Collagen type II 및 MMP-13)을 실시하고 염색을 실시하고, 광학 현미경 (Olympus BX53, Japan)을 이용하여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관찰하며, Image analyzer (Zen 2.3 blue edition, Carl Zeiss, Germany)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의 분석을 실시한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의 경우, MMP13 (R&D System, MAB511-500), Collagen II (abcan, ab34712)를 1 차 항체로 사용하며, MMP13의 경우, DAKO, Envision+System-HRP labelled polymer anti-mouse(K4001), Collagen II의 경우, DAKO, Envision+System-HRP labelled polymer anti-rabbit(K4003)를 2 차 항체로 사용하였다. 이후 DAB로 염색한 후, Hematoxylin으로 대비염색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300mg 지연방출정 (G6)은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300mg 속방정 (G5) 및 300mg 서방정 (G7)과 비교하여 특정 용출 패턴을 가진 300mg 지연방출정 (G6)만 좋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매우 특이적인 결과이었다.
(5) 조직 병리 분석 실험
H&E 염색 후 OARSI score 항목 중 관절면에서 Cartilage structure 및 chondrocyte 수준을 확인했으며, 관절강에서 synovial lining,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및 Synovial hyperplasia 수준을 확인했다. Safranin-O 염색 후 OARSI score 항목중 관절면에서 Proteoglycan 수준을 확인했다. 해당평가 방법은 The OARSI histopathology initiative - recommendations for histological assessments of osteoarthritis in the dog (Osteoarthritis Cartilage. 2010 Oct;18 Suppl 3:S66-79.)을 참고하여 점수화하였다.
결과를 도 9 및 10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300mg 지연방출정 (G6)은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300mg 속방정 (G5) 및 300mg 서방정 (G7)과 비교하여 특정 용출 패턴을 가진 300mg 지연방출정 (G6)만 좋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매우 특이적인 결과이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Safranin-O 염색 결과, 골관절염 유발군은 정상 연골 조직이 유발에 의해 파괴되어 프로테오글리칸 조직의 손상 수준이 증가하였다. 이에 반해 약물 투여군의 경우 염색된 프로테오글리칸 조직이 활막 주변에 많이 분포하였다. H&E 염색에서는 정상군의 연골 조직 대비 골관절염 유발된 군은 관절면의 균열 및 침식이 깊게 나타났으며 약물 투여군의 경우 이러한 관절면의 손상 수준이 감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정상군의 관절 활막 조직 대비 골관절염이 유도된 군은 관절 주변에 활막 세포의 과다 침투로 인한 손상 증가로 융모 수준이 증가 하였으며 약물 투여군의 경우 이러한 연골 및 뼈의 침윤이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300mg 지연방출정 (G6)은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300mg 속방정 (G5) 및 300mg 서방정 (G7)과 비교하여 특정 용출 패턴을 가진 300mg 지연방출정 (G6)만 좋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매우 특이적인 결과이었다.

Claims (10)

  1. 유효성분으로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을 280-320 mg 포함한 정제 또는 캅셀제인 제제이고, 1일 2회 복용하는 제제이고,
    37±0.5 ℃, 50rpm 속도의 패들(paddle) 시험법으로 물 900ml 매질의 조건으로 용출시험 시, 로즈마린산의 방출이 45분에 40~70%, 90분에 75% 이상, 120분에 80% 이상인 관절염 치료용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인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의 함량은 코팅 전 나정 또는 공캅셀의 중량을 제외한 캅셀 충진물의 총 중량 대비 40 내지 90 중량%인,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정제인 제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37±0.5 ℃, 50rpm 속도의 패들(paddle) 시험법으로 물 900ml 매질의 조건으로 용출시험 시, 로즈마린산의 방출이 45분에 45~65%, 90분에 80% 이상, 120분에 85% 이상인 제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에틸셀룰로오스, 메타크릴산에틸아크릴산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방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여 방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7. 유효성분으로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을 280-320 mg 포함하고, 유효성분의 함량은 코팅 전 나정 또는 공캡슐 충진 전 혼합물의 총 중량 대비 40 내지 90 중량%이며, 에틸셀룰로오스, 메타크릴산에틸아크릴산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방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제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유효성분의 함량이 코팅 전 나정 또는 공캡슐 충진 전 혼합물의 총 중량 대비 50 내지 90 중량%인, 정제.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정제인, 제제.
PCT/KR2021/017444 2020-11-24 2021-11-24 고함량의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2211479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91670.7A CN116744908A (zh) 2020-11-24 2021-11-24 包含高含量的天然物来源的有效成分的药物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042 2020-11-24
KR20200159042 2020-1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795A1 true WO2022114795A1 (ko) 2022-06-02

Family

ID=81754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7444 WO2022114795A1 (ko) 2020-11-24 2021-11-24 고함량의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618628B1 (ko)
CN (1) CN116744908A (ko)
WO (1) WO202211479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0567B1 (ko) * 1995-12-29 1999-03-20 김준웅 복방 생약제로부터 유효활성 성분의 추출.정제방법과 그 추출물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
KR20110009379A (ko) * 2009-07-22 2011-01-28 한국맥널티 주식회사 붕해 시간이 단축된 생약 추출물 함유 정제
KR20160025075A (ko) * 2014-08-25 2016-03-0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구강내 속붕해 필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3239A (ko) * 2017-01-12 2018-07-20 (주) 넥스팜코리아 리마프로스트 또는 리마프로스트 알파엑스를 함유한 경구용 서방성 제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707B1 (ko) 2001-05-18 2005-04-1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관절 보호용 생약조성물
KR101559339B1 (ko) * 2014-02-03 2015-10-1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고함량의 천연물 유래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속방성 정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0567B1 (ko) * 1995-12-29 1999-03-20 김준웅 복방 생약제로부터 유효활성 성분의 추출.정제방법과 그 추출물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
KR20110009379A (ko) * 2009-07-22 2011-01-28 한국맥널티 주식회사 붕해 시간이 단축된 생약 추출물 함유 정제
KR20160025075A (ko) * 2014-08-25 2016-03-0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구강내 속붕해 필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3239A (ko) * 2017-01-12 2018-07-20 (주) 넥스팜코리아 리마프로스트 또는 리마프로스트 알파엑스를 함유한 경구용 서방성 제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RTOG, A. ; HOUGEE, S. ; FABER, J. ; SANDERS, A. ; ZUURMAN, C. ; SMIT, H.F. ; VAN DER KRAAN, P.M. ; HOIJER, M.A. ; GARSSEN, J.: "The multicomponent phytopharmaceutical SKI306X inhibits in vitro cartilage degradation and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PHYTOMEDICINE, vol. 15, no. 5, 15 May 2008 (2008-05-15), AMSTERDAM, NL , pages 313 - 320, XP022609712, ISSN: 0944-7113, DOI: 10.1016/j.phymed.2007.09.00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628B1 (ko) 2023-12-27
KR20230153973A (ko) 2023-11-07
CN116744908A (zh) 2023-09-12
KR20220071956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169B1 (ko) 5-메틸-1-페닐-2-(1h)-피리돈을 활성 성분으로서함유하는 의약 제제
WO2011152652A2 (ko) 1일 1회 투여로 최적의 약리학적 임상 효과를 제공하는 아세클로페낙 서방성 제제
WO2013162114A1 (ko) 위체류 약물전달 시스템을 이용한 서방성 제제
EP2099430A2 (en) Ph sensitive matrix formulation
WO2020040438A1 (ko) 에스오메프라졸 및 탄산수소나트륨을 포함하는 우수한 방출특성을 갖는 약제학적 제제
WO2011053003A2 (en) Gastric-retentive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 containing pregabalin, polyethyleneoxide and pva-peg graft copolymer
WO2018030862A1 (ko) 탐수로신 염산염 함유 서방성 펠렛을 포함하는 용출률이 제어된 경구투여용 약제학적 제제
WO2017010706A1 (ko) 세레콕시브 및 트라마돌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16060365A1 (ko) 메트포르민 서방성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9108021A2 (ko) 토파시티닙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18021772A1 (ko)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포함하는, pH-의존성 약물 방출 특성이 개선된 제형
US20100178333A1 (en) Sustained release dosage form of phenothiazine derivatives containing channelizer
WO2018097629A1 (ko) 바레니클린 서방성 제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0006887A (ko) 아세트아미노펜을 함유하는 제어방출성의 경구용 제제
WO2012148181A2 (ko) 약물 방출제어용 조성물
WO2017146286A1 (ko) 친수성서방폴리머의 매트릭스를 이용한 은행잎 추출물의 약학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구용 서방성 제제
WO2022114795A1 (ko) 고함량의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13032206A1 (ko) 이토프라이드 염산염을 함유하는 제어 방출성 경구 제제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0022824A1 (ko) 에독사반을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75760A1 (ko) 아프레밀라스트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WO202116736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esomeprazole and sodium bicarbonate having excellent release properties
WO2021020771A1 (ko) 에스오메프라졸 및 탄산수소나트륨을 포함하는 안정한 약제학적 조성물
WO2021125824A1 (ko) 시벤졸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약학 제형
WO2016137266A2 (ko) 에페리손과 펠루비프로펜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19199132A1 (ko) 다양한 용량의 레날리도마이드의 경구용 정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986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0091670.7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986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