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379A - 붕해 시간이 단축된 생약 추출물 함유 정제 - Google Patents

붕해 시간이 단축된 생약 추출물 함유 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379A
KR20110009379A KR1020090066752A KR20090066752A KR20110009379A KR 20110009379 A KR20110009379 A KR 20110009379A KR 1020090066752 A KR1020090066752 A KR 1020090066752A KR 20090066752 A KR20090066752 A KR 20090066752A KR 20110009379 A KR20110009379 A KR 20110009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weight
extract
starch
tab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형
신종만
김선이
이재영
유성균
이계원
Original Assignee
한국맥널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맥널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맥널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379A/ko
Publication of KR20110009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3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09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61K36/428Trichosan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6Clematis (leather flow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는 붕해 시간이 단축되고, 정제마다의 붕해 시간 편차가 적으며, 통상적인 분석방법에 있어 지표 성분인 로스마린산과 올레아놀린산의 높은 회수율을 나타내어 첨가제와 활성 성분 간의 상호작용(분해, 결합체 형성 등)이 적고, 제조가 용이하다.
위령선, 괄루근, 하고초, 추출물, 크로스카멜로오스 소디움, 무수인산수소칼슘, 붕해, 회수율

Description

붕해 시간이 단축된 생약 추출물 함유 정제{Galenical extract-containing tablet having shortened disintergration time}
본 발명은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에 관한 것이다.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추출물은 혈액순환촉진, 면역조절활성 및 관절보호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골관절증, 퇴행성 관절질환,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에 대한 효과가 확인되어 상기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또 월경통, 치통 등 통증에 대한 상기 추출물의 효과가 연구되고 있다. 현재 상기 추출물 200 mg을 함유하는 정제(조인스정, SK제약)가 시판되고 있다.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추출물 함유 정제는 천연물 제제로 기존 관절염 치료제의 단점으로 지적되어온 위장 및 전신 부작용을 극소화하면서도 연골조직을 보호하는 효과로 인해 최근 시장에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추출물 함유 정제는 정제의 붕해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신속한 흡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통증의 억제를 위해 사용되는 진통제는 그 효과가 빨리 발현되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관점에서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추출물 함유 정제의 오랜 붕해 시간은 큰 단점이 될 수 있다.
또한 주성분 이외에 붕해, 용출, 제조용이성 등의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제에 첨가되는 붕해제, 부형제, 결합제 등의 여러 첨가제들은 활성 성분의 분해를 야기하거나, 활성 성분과 결합하여 활성 성분의 흡수를 방해하지 말아야 하는데, 이는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추출물 함유 정제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붕해 시간이 빠르며, 제조가 용이하고, 첨가제들이 활성 성분(지표 성분)을 분해하거나, 활성 성분과 결합체를 형성하거나, 활성 성분의 분석을 방해하지 않는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추출물 함유 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에 있어 붕해제로 크로스카멜로오스 소디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붕해제로 크로스카멜로오스 소디움을 함유하고, 부형제로 무수 인산 수소칼슘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해 시간이 개선되고, 통상적인 시험법에서 활성 성분(지표 성분)의 함량이 저하되지 않는 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제제학적 붕해제 중 크로스카멜로오스 소디움이 본 발명에 따른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추출물 함유 정제의 붕해(disintegration) 시간 개선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또한 활성 성분(지표 성분)의 분해, 결합체 형성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바람직한 성분이라는 놀라운 발견에 기초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붕해 시간이 개선되고, 통상적인 시험법에서 활성 성분(지표 성분)의 함량 저하가 없는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추출물 함유 정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정제는 활성 성분으로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추출물 또는 위령선 추출물, 괄루근 추출물 및 하고초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추출물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알코올; 또는 이들은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추출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과 정제수의 혼합 용매를 이용한 추출물을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 추출물 함유 정제는 붕해제로 크로스카멜로오스 소디움을 함유한다. 크로스카멜로오스는 크로스-링크된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를 의미한다.
크로스카멜로오스 소디움은 전분, 유당,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글리콘산전분나트륨, 크로스포비돈, 미결절셀룰로오스,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전호화전분,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소디움, 알긴산, 말토오스, 폴라크릴린칼륨 등 다른 붕해제들과 비교하여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추출물 함유 정제의 붕해 개선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보관 중 또는 분석 과정 중에 활성 성분(지표 성분)의 분해, 결합체 형성 등을 야기하지 않고, 따라서 보관 또는 복용 시 약효가 제대로 발현되지 않을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물론 붕해제의 양을 늘리는 방법으로 붕해 시간을 줄일 수 있으나, 이 경우 정제의 부피가 너무 커져 복용이 어려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추출물 함유 정제는 붕해제로 크로스카멜로오스 소디움을 함유하며, 부형제로 무수 인산 수소칼슘을 함유한다.
붕해제인 크로스카멜로오스와 함께 무수 인산 수소칼슘을 부형제로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 정제의 붕해 시간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한편, 혼합물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타정 공정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정제는 약효 성분인 추출물, 붕해제인 크로스카멜로오스, 부형제인 무수 인산 수소칼슘을 포함하며, 이외에 락토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분말셀룰로오스, 카올린, 덱스트린, 만니톨, 소르비톨, 경질무수규산, 전분, 글리콘산전분나트륨, 전호화전분 등의 부형제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혼합 용이성, 타정 분말의 유동성, 타정성 등의 목적으로 포함하며, 이러한 측면에서 락토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분말셀룰로오스, 전분, 전호화전분이 바람직하며, 락토오스와 미결정셀룰로오스의 혼합물(셀락토오스)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정제는 정제 총 중량 대비 30-70 중량%의 추출물; 7-15 중량%의 크로스카멜로오스; 6-14 중량%의 무수 인산 수소칼슘; 및 15-45 중량%의 추가 부형제를 포함하며, 이러한 중량 비율로 각 성분이 함유될 경우 정제의 붕해 시간이 효율적으로 단축되고, 통상적인 분석 과정에서 활성 성분(지표 성분)의 함량 저하가 없으며, 제조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의 붕해 시간은 대한약전 붕해시험법에 따라 정제수에서 시험할 때 60분 이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분 이내이다.
본 발명은 붕해 시간이 단축되고, 정제의 첨가제에 따른 활성 성분의 분해 또는 결합체 형성이 없으며, 정제에 따른 붕해 시간 편차가 적은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추출물 함유 정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4> 생약 추출물 함유 정제의 제조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제외한 하기 표 1의 성분들을, 기재된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과립을 제조한 후(직타법 이용), 1정당 400 mg이 되도록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이후, 필름 코팅 물질로 히프로멜로오스, 폴리에칠렌글리콜, 산화티탄, 탈크 및 착색제로 황색 산화철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코팅 용매로 정제수를 사용하여 나정 중량의 약 5 중량%만큼 일반적인 정제 코팅법에 따라 코팅하여 필름코팅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생약 추출물 50.00% 50.00% 50.00% 50.00%
경질무수규산 2.50% × × ×
미결정셀룰로오스 28.25% × × ×
옥수수전분 12.50% × × ×
글리콜산전분나트륨 5.75% × 11.25% ×
셀락토오스 × 28.25% 28.25% 28.25%
무수인산수소칼슘 × 9.50% 9.50% 9.50%
크로스포비돈 × 11.25% × ×
크로스카멜로오스 소디움 × × × 11.25%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00% 1.00% 1.00% 1.00%
질량비 합계 100.00% 100.00% 100.00% 100.00%
상기 표 1 중 생약 추출물은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30% 에탄올엑스(40:1, 갈색의 분말)로, 추출물 제조에 사용된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중량 비율은 1:2:1이었으며, Hunan Guohua Pharmaceutical Co., Ltd.(중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붕해 평가
대한약전의 붕해시험법에 따라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정제의 붕해 정도를 평가하였다. 붕해 평가 매질은 정제수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붕해시간 약 45~60분 약 15~17분 약 30~45분 약 20~23분
상기 표 2의 결과와 같이, 실시예 2 및 4의 붕해가 양호하였다.
<실험예 2> 회수율 평가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정제의 로즈마린산과 올레아놀린산 함량을 HPLC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제조 전의 함량과 비교한 퍼센트 값(회수율)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올레아놀린산과 로즈마린산의 정량을 위한 HPLC 조건은 아래와 같았다.
올레아놀린산
유속: 0.8 mL/min
이동상: 정제수:아세토니트릴(30:70)의 혼합용매
검출파장: UV 213nm
칼럼: μBondapak-C18, 10㎛, 3.9×300mm
로즈마린산
유속: 1.0 mL/min
이동상: 아세토니트릴과 O.1N 인산용액의 기울기 용매
검출파장: UV 330nm
칼럼: Novopak-C18, 4㎛, 3.9×150mm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로즈마린산 100.1 % 25.1 % 99.8 % 100.3 %
올레아놀린산 99.9 % 26.6 % 98.7 % 100.1 %
상기 표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붕해제로 크로스포비돈을 사용한 실시예 2의 경우 비록 붕해 정도는 양호하였으나, 활성 성분인 로즈마린산과 올레아놀린산의 회수율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낮은 회수율은 로즈마린산 등이 제조 또는 분석 과정 중에 분해되거나, 또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분리되기 어려운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양 경우 모두 약효 발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laims (4)

  1. 위령선, 괄루근 및 하고초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에 있어서,
    붕해제로 크로스카멜로오스 소디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2. 제 1항에 있어서,
    부형제로 무수 인산 수소칼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정제 총 중량 대비 30-70 중량%의 추출물; 7-15 중량%의 크로스카멜로오스 소디움; 6-14 중량%의 무수 인산 수소칼슘; 및 15-45 중량%의 락토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분말셀룰로오스, 전분 및 전호화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의 붕해 시간이 대한약전 붕해시험법에 따라 정제수에서 시험할 때 25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KR1020090066752A 2009-07-22 2009-07-22 붕해 시간이 단축된 생약 추출물 함유 정제 KR20110009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752A KR20110009379A (ko) 2009-07-22 2009-07-22 붕해 시간이 단축된 생약 추출물 함유 정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752A KR20110009379A (ko) 2009-07-22 2009-07-22 붕해 시간이 단축된 생약 추출물 함유 정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79A true KR20110009379A (ko) 2011-01-28

Family

ID=43615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752A KR20110009379A (ko) 2009-07-22 2009-07-22 붕해 시간이 단축된 생약 추출물 함유 정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37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7892A (zh) * 2012-05-02 2012-10-03 蒋正霞 一种治疗类风湿性关节炎的药物
KR20150062919A (ko) * 2013-11-29 2015-06-08 (주) 네추럴웨이 판두라틴 함유 정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26451A (ko) * 2014-09-01 2016-03-09 주식회사 인트로팜텍 타다라필을 포함하는 휴대용 구강붕해정,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108329A (ja) * 2014-12-05 2016-06-20 大正製薬株式会社 固形組成物
CN108096493A (zh) * 2017-12-29 2018-06-01 湖南三五二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女性痛经的中药汤剂及其加工方法
CN108403874A (zh) * 2018-05-16 2018-08-17 陈朗 一种活力润肤泥及其制备方法
KR20220071956A (ko) * 2020-11-24 2022-05-31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고함량의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22114796A1 (ko) * 2020-11-24 2022-06-02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고함량의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7892A (zh) * 2012-05-02 2012-10-03 蒋正霞 一种治疗类风湿性关节炎的药物
KR20150062919A (ko) * 2013-11-29 2015-06-08 (주) 네추럴웨이 판두라틴 함유 정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26451A (ko) * 2014-09-01 2016-03-09 주식회사 인트로팜텍 타다라필을 포함하는 휴대용 구강붕해정,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108329A (ja) * 2014-12-05 2016-06-20 大正製薬株式会社 固形組成物
CN108096493A (zh) * 2017-12-29 2018-06-01 湖南三五二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女性痛经的中药汤剂及其加工方法
CN108403874A (zh) * 2018-05-16 2018-08-17 陈朗 一种活力润肤泥及其制备方法
KR20220071956A (ko) * 2020-11-24 2022-05-31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고함량의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22114796A1 (ko) * 2020-11-24 2022-06-02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고함량의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22114795A1 (ko) * 2020-11-24 2022-06-02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고함량의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3622B2 (ja) 生薬等含有医薬組成物(陸)
KR20110009379A (ko) 붕해 시간이 단축된 생약 추출물 함유 정제
Mutalik et al. Preparation, in vitro, preclinical and clinical evaluations of once daily sustained release tablets of aceclofenac
JP2021080279A (ja) トウガラシ含有医薬組成物(さん)
KR101712524B1 (ko) 타달라필 및 두타스테라이드를 포함하는 복합제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764264A (zh) 一种具高溶出度的塞来昔布固体组合物、制备方法及应用
CN1274300C (zh) 用于改善姜黄素溶出度和生物利用度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426754B1 (ko) 한방 엑기스 함유 정제 조성물
CN101062167B (zh) 一种用于治疗妇科疾病的中药组合物的制备方法
CN110141653B (zh) 一种含总姜酚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40095169A (ko) 후박 연조엑스를 함유하는 경구용 고형제제
CN109512847B (zh) 白花丹在用于制备治疗肺纤维化疾病药物中的用途
CN113712931A (zh) 一种富马酸丙酚替诺福韦片剂及其制备方法
CN102813661B (zh) 一种甘草次酸衍生物的用途
CN101411747B (zh) 一种丹参多酚酸口腔崩解片及其制备方法
CN104435384A (zh) 一种抗菌消炎缓释制剂及其制备方法
WO2017219453A1 (zh) 一种缬沙坦分散片及其制备方法
CN103083367B (zh) 一种氯沙坦银杏叶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KR102146724B1 (ko) 벤즈이미다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61102A (ko) 안정성이 개선된 한방 엑기스 함유 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455724A (zh) 一种治疗皮肤瘙痒、湿疹、妇科炎症的药用组合物
BG65553B1 (bg) Фармацевтичен състав и неговото получаване
CN103860573B (zh) 一种具有协同抑制肿瘤作用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CN103655663A (zh) 一种含类叶牡丹的总皂苷和总生物碱的药物组合物
JP2023084101A (ja) 固形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