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011A - 광원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원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3011A
KR20180083011A KR1020170004022A KR20170004022A KR20180083011A KR 20180083011 A KR20180083011 A KR 20180083011A KR 1020170004022 A KR1020170004022 A KR 1020170004022A KR 20170004022 A KR20170004022 A KR 20170004022A KR 20180083011 A KR20180083011 A KR 20180083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light source
light
guide plate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혜
권용훈
김원진
서우석
송시준
최광욱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4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3011A/ko
Priority to US15/863,878 priority patent/US10578790B2/en
Publication of KR20180083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30Elements containing photoluminescent material distinct from or spaced from the light source
    • F21V9/38Combination of two or more photoluminescent elements of different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5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e.g. plate or foi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8Light guide, e.g. tap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in the pack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1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광원 유닛, 상기 광원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광원 유닛은 광원 회로 기판, 상기 광원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어 광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상기 광원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된 파장 변환부, 상기 광원과 상기 파장 변환부 사이에 배치된 제1 글라스, 및 상기 파장 변환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글라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제2 글라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원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LIGHT SOURCE UNI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광원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기판과 그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 유닛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화소 내의 액정을 재배열하고, 이를 통해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 표시를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원 유닛은 광을 방출하는 광원 및 광원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와 전원을 제공하는 광원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의 예로는 백색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들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의 색 순도를 더욱 개선하기 위한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 광원이 방출하는 백색 광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고유 파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의 발광 다이오드가 방출하는 백색 광 내에는 의도치 않은 파장 대역의 광이 혼합된 상태이며 이는 표시 장치의 색 순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장 변환부를 이용하여 고순도의 백색 광을 방출할 수 있고,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광원과 상기 파장 변환부 사이의 정렬(align) 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하여 광원과 파장 변환부 사이에서의 광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광원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색 순도가 더욱 개선됨과 동시에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 수를 간소화하여 박형화와 경량화가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색 순도가 더욱 개선됨과 동시에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간소화하여 제조 공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은, 광원 회로 기판, 상기 광원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어 광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상기 광원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된 파장 변환부, 상기 광원과 상기 파장 변환부 사이에 배치된 제1 글라스, 및 상기 파장 변환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글라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제2 글라스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하고,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 사이의 밀착면은,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 간의 물리적 계면이 존재하는 제1 부분,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 간의 물리적 계면이 존재하지 않는 제2 부분, 및 상기 파장 변환부와 중첩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1 글라스 또는 상기 제2 글라스와 맞닿아 접하고, 상기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1 글라스 및 상기 제2 글라스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며,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제2 글라스와 대면하는 일면은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파장 변환부는 상기 오목홈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과 상기 제1 글라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글라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제3 글라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글라스는 상기 광원 회로 기판과 직접 맞닿아 접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제3 글라스 및 상기 광원 회로 기판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장 변환부와 상기 제2 글라스 사이에 개재된 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글라스의 상기 제1 글라스와 대면하는 일면은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파장 변환부는 상기 오목홈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과 상기 제1 글라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글라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제3 글라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글라스는 상기 광원 회로 기판과 직접 맞닿아 접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제3 글라스 및 상기 광원 회로 기판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파장 변환부 사이에 개재된 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부분에는 씨드 형상의 구조물이 존재하고, 상기 씨드 형상의 구조물은 장축과 단축을 갖는 형상이며, 상기 단축은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 사이의 밀착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2 부분의 폭은 60㎛ 이상 12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이고, 상기 파장 변환부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광원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의 1.2배 이상 2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청색 파장의 광을 방출하고, 상기 파장 변환부는 수지 물질 및 상기 수지 물질 내에 분산된 파장 변환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파장 변환부 내의 상기 파장 변환 물질은 적색 파장 변환 물질 및 녹색 파장 변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글라스 내에 분산된 녹색 파장 변환 물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광원은 청색 파장의 광을 방출하고, 상기 파장 변환부는 수지 물질 및 상기 수지 물질 내에 분산된 파장 변환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파장 변환부 내의 상기 파장 변환 물질은 적색 파장 변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입광면과 출광면을 갖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광면 측에 배치된 광원 유닛, 및 상기 도광판의 상기 출광면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광원 유닛은,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광원,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상기 광원과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된 파장 변환부, 상기 광원과 상기 파장 변환부 사이에 배치된 제1 글라스, 및 상기 파장 변환부와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글라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제2 글라스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도광판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 상기 도광판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도광판과 상기 표시 패널을 결합하는 접합 패턴을 더 포함하되, 평면 시점에서, 상기 접합 패턴은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광면 측 가장자리부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광면과 상기 광원 유닛의 상기 제2 글라스는 직접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글라스와 상기 도광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하고, 상기 제2 글라스와 상기 도광판 사이의 밀착면은, 상기 제2 글라스와 상기 도광판 간의 물리적 계면이 존재하는 제1 부분, 상기 제2 글라스와 상기 도광판 간의 물리적 계면이 존재하지 않는 제2 부분, 및 상기 파장 변환부와 중첩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3 부분과 상이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입광면과 출광면을 갖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광면 측에 배치된 광원 유닛, 및 상기 도광판의 상기 출광면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이 일체화된 모듈과, 수납 공간을 갖는 하부 커버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도광판과 상기 광원 유닛이 상기 하부 커버의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모듈과 상기 하부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 유닛은,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광원,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상기 광원과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된 파장 변환부, 상기 광원과 상기 파장 변환부 사이에 배치된 제1 글라스, 및 상기 파장 변환부와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글라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제2 글라스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융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레이저의 펄스폭은 10 펨토초(femto second) 이상 50 펨토초 이하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은 파장 변환부를 이용하여 고순도의 백색 광을 방출할 수 있고,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광원과 상기 파장 변환부 사이의 정렬 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하여 광원과 파장 변환부 사이에서의 광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색 순도가 더욱 개선됨과 동시에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 수를 간소화하여 박형화와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색 순도가 더욱 개선됨과 동시에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 수를 간소화하여 제조 공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의 단면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C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는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X)은 평면 내 임의의 일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Y)은 상기 평면 내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3 방향(Z)은 상기 평면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0)은 광원 회로 기판(100a), 광원 회로 기판(100a) 상에 실장되어 광을 방출하는 광원(100b) 및 광원(100b) 상에 배치되는 파장 변환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회로 기판(100a)은 외부 전원(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광원(100b)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 및 전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원 회로 기판(100a)은 대략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광원(100b)은 광원 회로 기판(100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100b)은 제1 방향(X)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복수개일 수 있다. 광원(100b)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원(100b)은 청색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430nm 내지 470nm 파장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일 피크 파장을 갖는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광원(100b)이 방출하는 광의 약 80% 이상은 430nm 내지 470nm 파장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원(100b)은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일 수도 있다.
광원(100b) 상에는 제1 글라스(1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글라스(110)는 광 투과율이 높은 유리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글라스(11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글라스(110)는 광원 회로 기판(100a) 및 광원(100b) 상에 배치되어 광원(100b)을 밀봉하고 위치를 고정하는 밀봉 부재일 수 있다. 제1 글라스(110)의 타면(도면상 하면)은 함몰홈이 형성되어 광원(100b)이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글라스(110)와 광원(100b)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될 수도 있다. 또, 제1 글라스(110)는 광원(100b)과 파장 변환부(150) 사이에 배치되어 광원(100b)과 파장 변환부(15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글라스(110)는 파장 변환부(150)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글라스(110)의 일면(도면상 상면)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트렌치(trench) 형상의 오목홈(110r)을 가질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0)는 광원(100b)과 제3 방향(Z)으로 이격되어 광원(100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0)는 제1 글라스(110)의 오목홈(110r)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0)는 제1 글라스(11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접할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원(100b)과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0)는 평면상 광원(100b)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장 변환부(150)의 제2 방향(Y)으로의 폭(W150)은 광원(100b)의 제2 방향(Y)으로의 폭(W100b)보다 클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0)의 폭(W150)은 광원(100b)의 폭(W100b)의 약 1.2배 이상 2배 이하 일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0)의 폭(W150)이 광원(100b)의 폭(W100b)의 1.2배 이상이면 광원(100b)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파장 변환부(150)를 투과하지 않고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0)는 투과광의 파장을 변환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장 변환부(150)는 투과광의 피크 파장을 시프트(shift)시키는 파장 시프트 부재일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0)는 베이스 수지(150a) 및 베이스 수지(150a) 내에 분산된 파장 변환 입자들(150b, 150c)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수지(150a)는 파장 변환부(150)의 부피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베이스 수지(150a)는 파장 변환 입자들(150b, 150c)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투광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수지(150a)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계 수지일 수 있다. 또, 베이스 수지(150a)는 열 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일 수 있다.
파장 변환 입자들(150b, 150c)은 적색 광을 방출하는 제1 파장 변환 입자(150b) 및 녹색 광을 방출하는 제2 파장 변환 입자(150c)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100b)이 청색 광을 방출하는 광원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장 변환 입자들(150b, 150c)은 제1 파장 변환 입자(150b) 및 제2 파장 변환 입자(150c)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 입자(150b) 및 제2 파장 변환 입자(150c)는 양자점 물질 또는 형광체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장 변환 입자(150b) 및 제2 파장 변환 입자(150c)는 양자점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양자점 물질은 전자가 전도대에서 가전자대로 전이하면서 특정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 물질은 코어-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어는 반도체 나노 결정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양자점 물질의 코어의 예로는 Si계 나노 결정, II-VI족계 화합물 나노 결정, III-V족계 화합물 나노 결정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 제1 파장 변환 입자(150b) 및 제2 파장 변환 입자(150c)는 각각 카드뮴셀레나이드(CdSe), 카드뮴텔루라이드(CdTe), 황화카드뮴(CdS), 또는 인화인듐(InP)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코어와 황화아연(ZnS)으로 이루어진 외부 쉘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파장 변환 입자(150b)의 평균 직경은 제2 파장 변환 입자(150c)의 평균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 광을 방출하는 전체 제1 파장 변환 입자(150b)의 평균 직경은 약 55 Å 내지 65 Å이고 녹색 광을 방출하는 전체 제2 파장 변환 입자(150c)의 평균 직경은 약 40 Å 내지 50 Å일 수 있다.
광원(100b)이 약 430nm 내지 470nm 파장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일 피크 파장을 갖는 청색 광을 방출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원(100b)이 방출하는 청색 광은 제1 글라스(110)와 파장 변환부(150)를 순차적으로 투과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100b)이 방출하는 청색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파장 변환 입자(150b)에 의해 약 610nm 내지 650nm 파장 범위 내에 위치하는 피크 파장을 갖는 적색 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 광원(100b)이 방출하는 청색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파장 변환 입자(150c)에 의해 약 530nm 내지 570nm 파장 범위 내에 위치하는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 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광원(100b)이 방출하는 청색 광 중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 수지(150a)를 그대로 투과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 입자(150c)가 방출하는 녹색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파장 변환 입자(150b)에 의해 적색 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 제1 파장 변환 입자(150b)가 방출하는 적색 광 및 제2 파장 변환 입자(150c)가 방출하는 녹색 광 중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 수지(150a)를 투과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 입자(150b) 및 제2 파장 변환 입자(150c)는 좁은 파장 범위에서 강한 강도를 갖는 광을 방출하기 때문에 제1 파장 변환 입자(150b) 및 제2 파장 변환 입자(150c)에 의해 변환된 광은 특정 색의 고유 파장을 가지고 색 순도가 극히 우수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광원(100b)이 방출하여 파장 변환부(150)를 투과한 광은 적색 고유 파장의 피크, 녹색 고유 파장의 피크 및 청색 고유 파장의 피크만을 갖는 고순도의 백색 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광원(100b)이 자외선 광을 방출하는 광원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장 변환 입자들(150b, 150c)은 적색 광을 방출하는 제1 파장 변환 입자(150b), 녹색 광을 방출하는 제2 파장 변환 입자(150c) 및 청색 광을 방출하는 제3 파장 변환 입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파장 변환 입자(미도시)의 평균 직경은 제2 파장 변환 입자(150c)의 평균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0) 상에는 제2 글라스(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글라스(12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제2 글라스(120)는 광 투과율이 높은 유리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글라스(120)는 제1 글라스(110)와 동종 또는 이종의 유리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글라스(120)는 제1 글라스(110) 및 파장 변환부(150) 상에 배치되어 파장 변환부(150)를 밀봉하는 커버 부재일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0)는 제1 글라스(110) 및 제2 글라스(120)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 밀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의 수분 또는 불순물에 의해 파장 변환부(150)가 오염 및/또는 변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순도의 백색 광을 방출하는 광원 유닛(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글라스(120)의 일면과 타면(예컨대, 도 2의 상면과 하면)은 모두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제2 글라스(1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장 변환부(150)와 직접 맞닿아 접할 수 있다. 또, 제2 글라스(120)는 제1 글라스(11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함으로써 일체화될 수 있다.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 사이의 밀착면(S1)은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 간의 물리적 계면이 존재하는 제1 부분(P1),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 간의 물리적 계면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제2 부분(P2) 및 파장 변환부(150)와 중첩하는 제3 부분(P3)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양 구성 간의 물리적 계면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접촉면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 사이의 밀착면(S1)의 제2 부분(P2)에서, 제1 글라스(110)의 유리 재료와 제2 글라스(120)의 유리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혼합되어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 사이의 경계가 사라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 제1 글라스(110)의 유리 재료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글라스(120) 측으로 침투하여 제2 글라스(120)의 유리 재료와 혼합되거나, 및/또는 제2 글라스(120)의 유리 재료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글라스(110) 측으로 침투하여 제1 글라스(110)의 유리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 사이의 밀착면(S1)의 제2 부분(P2), 즉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 사이의 접합 영역의 폭(WP2)은 약 60㎛ 이상 120㎛ 이하, 또는 약 7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접합'은 양 구성이 서로 맞닿아 접하여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부분(P2)의 부근에는 씨드 형상의 구조물(D1)이 존재할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1)은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1)은 장축(도 3의 세로 방향 축)과 단축(도 3의 가로 방향 축)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1)은 상기 단축을 기준으로 비대칭 형상일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1)은 상기 단축이 밀착면(S1)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1)의 상기 단축의 길이는 약 10㎛ 이상 20㎛ 이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부분(P1), 제2 부분(P2) 및 제3 부분(P3)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고, 제1 부분(P1)은 제2 부분(P2)과 제3 부분(P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 간의 물리적 경계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제2 부분(P2), 즉 접합 영역은 파장 변환부(15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제2 부분(P2)과 파장 변환부(150) 간의 최단 이격 거리는 약 50㎛ 이상일 수 있다. 제2 부분(P2), 즉 접합 영역과 파장 변환부(150)를 50㎛ 이상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에 의해 파장 변환부(15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광원 유닛(100)이 평면상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접합 영역은 광원 유닛(100)의 한 쌍의 장변측 및 한 쌍의 단변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한 쌍의 장변측에만 위치하거나, 또는 한 쌍의 단변측만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접합 영역의 평면상 형상은 대략 'ㅁ'자 형상이거나, 대략 '='자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0)은 광원(100b) 상에 배치된 광원(100b) 밀봉 부재인 제1 글라스(110)에 오목홈(110r)을 형성하고 오목홈(110r) 내에 파장 변환부(150)를 수용한 후 제2 글라스(120)를 이용하여 파장 변환부(150)를 완전히 밀폐시킴으로써 광원(100b)과 파장 변환부(150)를 일체화한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원 유닛(100)에 외부 충격 등이 가해지더라도 광원(100b)과 파장 변환부(150) 간의 오정렬이 일어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광원(100b)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파장 변환부(150)를 투과하지 않고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광원 유닛(100)이 의도한 색 변환율을 달성하여 고순도의 백색을 나타내지 못하고 특정 색의 고유 파장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나는 불량, 즉 색 밸런스가 붕괴되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파장 변환부(150)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질적으로 물리적인 경계 없이 결합됨에 따라 파장 변환부(150)를 외부로부터 완벽하게 고립시킬 수 있고, 광원(100b)이 방출하는 광에 의해 광원 유닛(100)의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의 접합 부위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어 광원 유닛(100)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는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1)은 파장 변환부(151)가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이되, 제1 방향(X)으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개인 점이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0)과 상이한 점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글라스(111)는 파장 변환부(151)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글라스(111)의 일면(도면상 상면)은 제2 방향(Y)으로의 폭보다 제1 방향(X)으로의 폭이 더 긴 형상의 복수의 오목홈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오목홈들은 제1 방향(X)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오목홈들 사이에는 격벽이 존재하여 제1 글라스(111)의 최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1)들은 제1 글라스(111)의 오목홈 내에 삽입 배치되되, 파장 변환부(151)들은 광원(100b)과 제3 방향(Z)으로 이격되어 광원(100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인접한 파장 변환부(151)들은 상기 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원(100b)과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장 변환부(151)는 제2 방향(Y)으로의 폭보다 제1 방향(X)으로의 폭이 더 긴 형상일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1)는 평면상 광원(100b)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도 4는 두 개의 광원(100b)에 대응하여 하나의 파장 변환부(151)가 배치되어 반복 단위를 형성하고 상기 반복 단위가 제1 방향(X)으로 반복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광원(100b)에 대응하여 하나의 파장 변환부(151)가 배치될 수도 있고, 세 개 이상의 광원(100b)에 대응하여 하나의 파장 변환부(151)가 배치될 수도 있다.
파장 변환부(151)는 투과광의 파장을 변환시킬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1)는 베이스 수지 및 상기 베이스 수지 내에 분산된 파장 변환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1)에 대해서는 도 1 등의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파장 변환부(151)들 상에는 제2 글라스(120)가 배치될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1)들은 제1 글라스(111) 및 제2 글라스(120)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 밀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글라스(120)의 일면과 타면(예컨대, 도면상 상면과 하면)은 모두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제2 글라스(1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장 변환부(151)들과 직접 맞닿아 접할 수 있다. 또, 제2 글라스(120)는 제1 글라스(111)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2)은 파장 변환부(152)와 제2 글라스(120) 사이에 갭(AG)이 형성된 점이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0)과 상이한 점이다.
파장 변환부(152)는 제1 글라스(110)의 오목홈(110r)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2)는 제1 글라스(11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접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장 변환부(152)는 제1 글라스(110)의 오목홈(110r)을 완전히 충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파장 변환부(152)가 차지하는 부피는 제1 글라스(110)의 오목홈(110r)이 제공하는 공간의 부피보다 작을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2) 상에는 제2 글라스(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글라스(120)는 제1 글라스(110) 및 파장 변환부(152) 상에 배치되어 파장 변환부(152)를 밀봉하는 커버 부재일 수 있다. 제2 글라스(120)의 일면과 타면은 모두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제2 글라스(120)는 제1 글라스(11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글라스(120)는 파장 변환부(152)와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2)의 제2 글라스(120)와 대면하는 일면(도면상 상면)의 레벨은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 사이의 밀착면(S1)의 레벨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글라스(120)와 파장 변환부(152) 사이에는 갭(AG)이 형성될 수 있다. 갭(AG) 내에는 질소 가스(N2) 또는 공기층이 개재될 수 있다. 갭(AG)은 파장 변환부(152) 및 제2 글라스(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낮은 저굴절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2)은 파장 변환부(152)에 의해 색 변환된 고순도의 백색 광이 제2 글라스(120)를 투과하기 전에 저굴절 영역인 갭(AG)을 투과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백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즉, 파장 변환부(152)와 제2 글라스(120) 사이에 갭을 형성함으로써 색 변환 효율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파장 변환부(152)의 상면의 형상을 이용하여 색 변환된 백색 광의 출광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3)의 제1 글라스(113)는 내부에 분산된 파장 변환 변환 입자를 포함하는 점이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0)과 상이한 점이다.
제1 글라스(113)는 글라스 몸체(113a) 내부에 분산된 제2 파장 변환 입자(113b)를 포함한다. 제2 파장 변환 입자(113b)는 녹색 광을 방출하는 양자점 물질 또는 형광체 물질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글라스(113) 내부의 파장 변환 입자는 녹색 광을 방출하는 제2 파장 변환 입자(113b)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3)는 제1 글라스(113)의 오목홈(113r)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3)는 베이스 수지(153a) 및 베이스 수지(153a) 내에 분산된 제1 파장 변환 입자(153b)를 포함한다. 제1 파장 변환 입자(153b)는 적색 광을 방출하는 양자점 물질 또는 형광체 물질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장 변환부(153) 내부의 파장 변환 입자는 적색 광을 방출하는 제1 파장 변환 입자(153b)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3) 내의 제1 파장 변환 입자(153b)의 평균 직경은 제1 글라스(113) 내부에 분산된 제2 파장 변환 입자(113b)의 평균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 광을 방출하는 전체 제1 파장 변환 입자(153b)의 평균 직경은 약 55 Å 내지 65 Å이고 녹색 광을 방출하는 전체 제2 파장 변환 입자(113b)의 평균 직경은 약 40 Å 내지 50 Å일 수 있다.
광원(100b)이 약 430nm 내지 470nm 파장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일 피크 파장을 갖는 청색 광을 방출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원(100b)이 방출하는 청색 광은 제1 글라스(113)와 파장 변환부(153)를 순차적으로 투과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100b)이 방출하는 청색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글라스(113) 내부에 분산된 제2 파장 변환 입자(113b)에 의해 약 530nm 내지 570nm 파장 범위 내에 위치하는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 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 광원(100b)이 방출하는 청색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글라스(113)를 그대로 투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원(100b)이 방출하여 제1 글라스(113)를 투과한 광은 녹색 고유 파장의 피크 및 청색 고유 파장의 피크만을 갖는 시안색(cyan color) 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제1 글라스(113)를 투과한 청색 광 중 적어도 일부는 파장 변환부(153) 내의 제1 파장 변환 입자(153b)에 의해 약 610nm 내지 650nm 파장 범위 내에 위치하는 피크 파장을 갖는 적색 광으로 변환되고, 다른 적어도 일부는 파장 변환부(153)를 그대로 투과할 수 있다. 또, 제1 글라스(113)를 투과한 녹색 광 중 적어도 일부는 파장 변환부(153) 내의 제1 파장 변환 입자(153b)에 의해 약 610nm 내지 650nm 파장 범위 내에 위치하는 피크 파장을 갖는 적색 광으로 변환되고, 다른 적어도 일부는 파장 변환부(153)를 그대로 투과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광원(100b)이 방출하여 제1 글라스(113)와 파장 변환부(153)를 투과한 광은 적색 고유 파장의 피크, 녹색 고유 파장의 피크 및 청색 고유 파장의 피크만을 갖는 고순도의 백색 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4)의 파장 변환부(154)는 제2 글라스(124)의 오목홈(124r) 내에 삽입 배치된 점이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0)과 상이한 점이다.
광원(100b) 상에는 제1 글라스(114)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글라스(114)는 광원 회로 기판(100a) 및 광원(100b) 상에 배치되어 광원(100b)을 밀봉하고 위치를 고정하는 밀봉 부재일 수 있다. 제1 글라스(114)의 타면(도면상 하면)은 함몰홈이 형성되어 광원(100b)이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글라스(114)의 일면(도면상 상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4)는 광원(100b)과 제3 방향(Z)으로 이격되어 광원(100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장 변환부(154)는 제1 글라스(114)와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4)의 제1 글라스(114)와 대면하는 타면(도면상 하면)의 레벨은 제1 글라스(114)의 일면(도면상 상면)의 레벨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즉, 파장 변환부(154)의 상기 타면의 레벨은 제1 글라스(114)와 제2 글라스(124) 사이의 밀착면(S2)의 레벨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글라스(114)와 파장 변환부(154) 사이에는 갭(AG)이 형성될 수 있다. 갭(AG) 내에는 질소 가스(N2) 또는 공기층이 개재될 수 있다. 갭(AG)은 파장 변환부(154) 및 제2 글라스(124)에 비해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낮은 저굴절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4) 상에는 제2 글라스(124)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글라스(124)는 제1 글라스(114) 및 파장 변환부(154) 상에 배치되어 파장 변환부(154)를 밀봉하는 커버 부재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글라스(124)는 파장 변환부(154)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글라스(124)의 타면(도면상 하면)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트렌치 형상의 오목홈(124r)을 가질 수 있다.
제2 글라스(124)는 제1 글라스(11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글라스(114)와 제2 글라스(12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제1 글라스(114)와 제2 글라스(124) 사이의 밀착면(S2)은 제1 글라스(114)와 제2 글라스(124) 간의 물리적 계면이 존재하는 부분 및 제1 글라스(114)와 제2 글라스(124) 간의 물리적 계면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부분(즉, 접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접합 영역 부근에는 씨드 형상의 구조물(미도시)이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4)의 제1 글라스(114)와 제2 글라스(124) 간의 접합 영역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0)의 접합 영역의 형상 및 크기 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원 유닛(105)은 제1 글라스(115)와 광원 회로 기판(100a) 사이에 배치된 제3 글라스(135)를 더 포함하는 점이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2)과 상이한 점이다.
광원(100b) 상에는 제3 글라스(135)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글라스(135)는 광 투과율이 높은 유리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글라스(135)는 제1 글라스(115) 및 제2 글라스(120)와 동종 또는 이종의 유리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글라스(135)는 광원 회로 기판(100a) 및 광원(100b) 상에 배치되어 광원(100b)을 밀봉하고 위치를 고정하는 밀봉 부재일 수 있다. 제3 글라스(135)의 타면(도면상 하면)은 함몰홈이 형성되어 광원(100b)이 삽입 배치되고 제3 글라스(135)의 일면(도면상 상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제1 글라스(115)는 제3 글라스(13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글라스(115)는 제3 글라스(135)와 파장 변환부(155) 사이에 배치되어 광원(100b)과 파장 변환부(155) 사이의 이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글라스(115)의 타면(도면상 하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글라스(115)는 파장 변환부(155)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글라스(115)의 일면(도면상 상면)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트렌치 형상의 오목홈(115r)을 가질 수 있다. 파장 변환부(155)는 제1 글라스(115)의 오목홈(115r)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제1 글라스(115)는 제3 글라스(135)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글라스(115)와 제3 글라스(13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 글라스(115)와 제3 글라스(13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함으로써 일체화될 수 있다.
제1 글라스(115)와 제3 글라스(135) 사이의 밀착면(S3)은 제1 글라스(115)와 제3 글라스(135) 간의 물리적 계면이 존재하는 제4 부분(P4) 및 제1 글라스(115)와 제3 글라스(135) 간의 물리적 계면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제5 부분(P5)을 포함한다. 제1 글라스(115)와 제3 글라스(135) 사이의 밀착면(S3)의 제5 부분(P5)에서, 제1 글라스(115)의 유리 재료와 제3 글라스(135)의 유리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혼합되어 제1 글라스(115)와 제3 글라스(135) 사이의 경계가 사라질 수 있다.
제1 글라스(115)와 제3 글라스(135) 사이의 밀착면(S3)의 제5 부분(P5), 즉 제1 글라스(115)와 제3 글라스(135) 사이의 접합 영역의 폭(WP5)은 약 60㎛ 이상 120㎛ 이하, 또는 약 7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제5 부분(P5)은 파장 변환부(155)와 중첩하지 않고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5 부분(P5)의 부근에는 씨드 형상의 구조물(D2)이 존재할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2)은 제1 글라스(115)와 제3 글라스(135)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2)에 대해서는 도 3 등과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원 유닛(106)은 제1 글라스(116)와 광원 회로 기판(100a) 사이에 배치된 제3 글라스(136)를 더 포함하는 점이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4)과 상이한 점이다.
광원(100b) 상에는 제3 글라스(136)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글라스(136)는 광원 회로 기판(100a) 및 광원 상에 배치되어 광원(100b)을 밀봉하고 위치를 고정하는 밀봉 부재일 수 있다. 제3 글라스(136)의 타면(도면상 하면)은 함몰홈이 형성되어 광원(100b)이 삽입 배치되고 제3 글라스(136)의 일면(도면상 상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제1 글라스(116)는 제3 글라스(13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글라스(116)의 일면(도면상 상면)과 타면(도면상 하면)은 모두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제1 글라스(116)는 제3 글라스(136)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글라스(116)와 제3 글라스(13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 글라스(116)와 제3 글라스(13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함으로써 일체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6)의 제1 글라스(116)와 제2 글라스(124) 간의 접합 영역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4)의 접합 영역의 형상 및 크기 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1 글라스(116)와 제3 글라스(136) 간의 접합 영역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도 8 등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5)의 접합 영역의 형상 및 크기 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도광판(200), 도광판(200)의 입광면 측에 배치된 광원 유닛(100) 및 도광판(200)의 출광면 측에 배치된 표시 패널(300)을 포함하고, 도광판(200)과 표시 패널(300)을 결합시키는 접합 패턴(400), 도광판(200)의 하면 측에 배치된 반사 시트(500) 및 반사 시트(500)의 하면 측에 배치된 하부 커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200)은 표시 패널(300)과 대략 중첩하여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광판(200)은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제공받은 광을 가이드하여 표시 패널(300) 측으로 출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판(200)의 광원 유닛(100)과 인접한 측면은 입광면을 형성하고, 도광판(200)의 표시 패널(300)과 대향하는 상면은 출광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광판(200)의 상기 측면을 통해 입사된 광은 전반사를 통해 도광판(200) 내부를 진행하고, 전반사를 통해 가이드된 광의 적어도 일부는 도광판(200)의 상기 상면을 통해 출사할 수 있다. 도광판(200)은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제공받은 광의 손실 없이 가이드할 수 있도록 광 투과율이 높은 물질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유리 재질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광원 유닛(100)은 도광판(2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 유닛(100)은 도광판(200)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원 유닛(100)은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0)이고 백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광원 유닛(100)은 광원(도 1의 도면 부호 '100b')으로부터 방출된 청색 광이 파장 변환부(도 1의 도면 부호 '150')를 투과하여 백색 광으로 변환된 후 도광판(200)에 입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원 유닛(100)에 대해서는 도 1 등과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 패널(300)은 도광판(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영상 표시를 구현할 수 있는 소자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300)은 액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30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기영동 표시 패널 등일 수도 있다.
표시 패널(300)은 제1 베이스 기판(301) 및 제2 베이스 기판(302)을 포함하고 제1 베이스 기판(301)과 제2 베이스 기판(302)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 공통 전극(미도시) 및 화소 전극(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기판(301)의 평면상 면적은 제2 베이스 기판(302)의 평면상 면적보다 더 클 수 있다.
제1 베이스 기판(301) 및 제2 베이스 기판(302)은 투명한 절연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기판(301) 및/또는 제2 베이스 기판(302)은 유리 재질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베이스 기판(301), 제2 베이스 기판(302) 및 도광판(200)이 유리 재질로 구성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 기판(301), 제2 베이스 기판(302) 및 도광판(200)은 상호 동종 또는 이종의 유리 재질일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도광판(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300)과 도광판(200)은 접합 패턴(400)을 개재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접합 패턴(400)은 표시 패널(300)의 제1 베이스 기판(301) 및 도광판(200)과 직접 맞닿아 접할 수 있다. 접합 패턴(400)을 이용하여 도광판(200)과 표시 패널(300)을 직접 결합시킴으로써 표시 패널(300)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미들 몰드와 같은 부재를 생략할 수 있고 표시 장치(1000)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간소화할 수 있다.
접합 패턴(400)은 열 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일 수 있다. 제1 베이스 기판(301)과 도광판(200)이 모두 유리 재질로 구성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합 패턴(400)이 접합되는 양 구성의 재질을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함으로써 이들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표시 장치(1000)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접합 패턴(400)은 도광판(200)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접합 패턴(400)은 표시 장치(1000)의 테두리측 비표시영역에 배치되어 도광판(200)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표시 패널(300)로 입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도광판(200)이 평면상 사각형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광판(200)은 네 개의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접합 패턴(400)은 광원 유닛(100) 측 가장자리부, 즉 상기 입광면 측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세 개의 가장자리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즉, 접합 패턴(400)은 평면 시점에서 대략 'ㄷ'자 형상일 수 있다.
접합 패턴(400)이 도광판(200)의 상면 상에 직접 부착되는 경우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제공된 광 및/또는 전반사를 통해 도광판(200) 내부를 진행하는 광의 적어도 일부는 접합 패턴(400)에 의해 흡수되어 광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접합 패턴(400)을 도광판(200)의 상기 입광면 측 가장자리부에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이러한 광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반사 시트(500)는 도광판(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시트(500)는 도광판(200)으로부터 하측으로 누설된 광을 표시 패널(300) 측으로 반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제공된 광의 이용 효율을 증가시키고 표시 장치(1000)의 휘도를 개선할 수 있다. 반사 시트(500)는 광 반사율이 높은 물질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 시트(500)의 일면은 티타늄 산화물 등의 금속 산화물 또는 은(Ag) 등의 금속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하부 커버(600)는 광원 유닛(100)과 도광판(200) 등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 커버(600)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하여 대략 상자 형상일 수 있다. 하부 커버(600)는 광원 유닛(100)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 유닛(100)의 광원 회로 기판(도 1의 도면 부호 '100a')는 하부 커버(600)의 측벽부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하부 커버(600)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고 열 전도성이 우수한 물질, 예컨대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의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커버(600)는 광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반사 시트(500)와 하부 커버(600)의 바닥부는 소정 거리 이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300)이 도광판(200)과 결합하고 도광판(20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표시 장치(1000)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시 장치(1000)의 테두리측 비표시영역, 예를 들어 베젤 영역을 축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시 장치(1000)의 제조 공정성을 개선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원과 파장 변환부가 일체화된 광원 유닛(10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광원과 상기 파장 변환부 간의 오정렬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색 순도가 우수한 백색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광원 유닛(100)의 광원을 밀봉하는 제1 글라스(도 1의 도면 부호 '110') 및 상기 제1 글라스와 함께 파장 변환부를 수용하는 제2 글라스(도 1의 도면 부호 '120')를 직접 결합시킴으로써 광원이 방출하는 광에 의해 광원 유닛(100)의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제1 글라스와 제2 글라스의 접합 부위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광원 유닛(100)으로서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0)이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00)의 광원 유닛은 도 4 내지 도 10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C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1)는 광원 유닛(107)과 도광판(201)이 이격되지 않고 광원 유닛(107)과 도광판(201)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접하는 점이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와 상이한 점이다.
광원 유닛(107)은 광원 회로 기판, 상기 광원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광원, 상기 광원 상에 배치된 파장 변환부(150) 및 파장 변환부(150)를 밀봉하는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7)를 포함한다. 제2 글라스(127)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글라스(127)는 도광판(201)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접할 수 있다. 또, 제2 글라스(127)는 도광판(201)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글라스(127)와 도광판(20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즉, 제2 글라스(127)와 도광판(20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함으로써 일체화될 수 있다.
제2 글라스(127)와 도광판(201) 사이의 밀착면(S4)은 제2 글라스(127)와 도광판(201) 간의 물리적 계면이 존재하는 제6 부분(P6), 제2 글라스(127)와 도광판(201) 간의 물리적 계면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제7 부분(P7) 및 파장 변환부(150)와 중첩하는 제8 부분(P8)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광판(201)은 유리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2 글라스(127)와 도광판(201) 사이의 밀착면(S4)의 제7 부분(P7)에서, 제2 글라스(127)의 유리 재료와 도광판(201)의 유리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혼합되어 제2 글라스(127)와 도광판(201) 사이의 경계가 사라질 수 있다.
제2 글라스(127)와 도광판(201) 사이의 밀착면(S4)의 제7 부분(P7), 즉 제2 글라스(127)와 도광판(201) 사이의 접합 영역의 폭(WP7)은 약 60㎛ 이상 120㎛ 이하, 또는 약 7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7 영역(P7)의 부근에는 씨드 형상의 구조물(D3)이 존재할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3)은 제2 글라스(127)와 도광판(201)을 접합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3)은 장축(도 13의 가로 방향 축)과 단축(도 13의 세로 방향 축)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3)은 상기 단축을 기준으로 비대칭 형상일 수 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3)은 상기 단축이 밀착면(S4)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씨드 형상의 구조물(D3)의 상기 단축의 길이는 약 10㎛ 이상 20㎛ 이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6 부분(P6), 제7 부분(P7) 및 제8 부분(P8)은 서로 상이한 레벨에 위치하되, 제6 부분(P6)은 제7 부분(P7)과 제8 부분(P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글라스(127)와 도광판(201) 간의 물리적 경계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제7 부분(P7), 즉 접합 영역은 파장 변환부(150)와 수평 방향으로 중첩하지 않고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접합 영역의 형상은 대략 'ㅁ'자 형상이거나, 대략 '='자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1)는 광원 유닛(107)과 도광판(201)을 직접 결합시킴으로써 광원 유닛(107)과 도광판(201) 간의 커플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1)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광원 유닛(107)의 출광면과 도광판(201)의 입광면 간에 오정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광원 유닛(107)과 도광판(201) 사이에서의 광 손실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 등은 광원 유닛(107)으로서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107)이 적용되어 도광판(201)과 결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01)의 광원 유닛은 도 4 내지 도 10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이 적용되어 도광판(201)과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우선 도 14를 참조하면, 광원 회로 기판(100a), 광원 회로 기판(100a) 상에 실장되어 광을 방출하는 광원(100b), 광원 회로 기판(100a)과 광원(100b) 상에 배치되어 광원(100b)을 밀봉하고 위치를 고정하는 제1 글라스(110'), 제1 글라스(110') 상에 배치된 파장 변환부(150) 및 제1 글라스(110')와 파장 변환부(150) 상에 배치된 제2 글라스(120')를 준비한다. 광원 회로 기판(100a), 광원(100b), 제1 글라스(110') 및 파장 변환부(150)는 도 1 등과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글라스(120')의 일면(도면상 상면)과 타면(도면상 하면)은 모두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제2 글라스(120')는 제1 글라스(11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닿아 접하도록 배치되되,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는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어서 도 15를 참조하면,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 사이의 밀착면(S1)에 레이저(L1)를 조사하여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시킨다. 예를 들어, 레이저(L1)를 조사하여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시켜 결합시킨다. 즉, 레이저(L1)를 조사하여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시켜 결합시킴으로써 일체화한다.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 사이의 밀착면(S1)은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 간의 물리적 계면이 존재하는 부분과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 간의 물리적 계면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부분, 즉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레이저(L1) 조사에 의해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 사이의 밀착면(S1)에서 제1 글라스(110)의 유리 재료와 제2 글라스(120)의 유리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혼합되어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 사이의 경계가 사라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 사이의 밀착면(S1)의 상기 접합 영역에는 씨드 형상의 구조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씨드 형상의 구조물은 레이저(L1) 조사에 의해 제1 글라스(110) 및/또는 제2 글라스(12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 간의 접합 영역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도 1 등과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를 접합하는 레이저(L1)의 펄스폭은 10 펨토초(femto second) 이상 50 펨토초 이하일 수 있다. 또, 레이저(L1)는 제2 글라스(120)를 투과하여 제1 글라스(110)와 제2 글라스(120)의 밀착면(S1) 부근에 조사될 수 있다. 레이저(L1)의 펄스폭을 상기 범위 내에 있도록 하여 레이저(L1)가 예컨대, 제2 글라스(120) 등을 투과하여 조사되는 경우에도 의도한 접합 영역 외의 제2 글라스(120)의 다른 부분에 형상, 구조, 물성 등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광원 유닛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도광판(201)의 측면에 광원 유닛(107)을 배치하고 도광판(201)과 광원 유닛(107)의 제2 글라스(120) 사이의 밀착면에 레이저(L2)를 조사하여 제2 글라스(120)와 도광판(20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시킨다. 예를 들어, 레이저(L2)를 조사하여 제2 글라스(120)와 도광판(20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시켜 결합시킨다. 즉, 레이저(L2)를 조사하여 제2 글라스(120)와 도광판(20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시켜 결합시킴으로써 일체화한다.
제2 글라스(120)와 도광판(201) 사이의 밀착면은 제2 글라스(120)와 도광판(201) 간의 물리적 계면이 존재하는 부분과 제2 글라스(120)와 도광판(201) 간의 물리적 계면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부분, 즉 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레이저(L2) 조사에 의해 제2 글라스(120)와 도광판(201) 사이의 밀착면에서 제2 글라스(120)의 유리 재료와 도광판(201)의 유리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혼합되어 제2 글라스(120)와 도광판(201) 사이의 경계가 사라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글라스(120)와 도광판(201) 사이의 밀착면의 상기 접합 영역에는 씨드 형상의 구조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씨드 형상의 구조물은 레이저(L2) 조사에 의해 제2 글라스(120) 및/또는 도광판(201)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2 글라스(120)와 도광판(201) 간의 접합 영역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도 13과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글라스(120)와 도광판(201)을 접합하는 레이저(L2)의 펄스폭은 10 펨토초 이상 50 펨토초 이하일 수 있다. 또, 레이저(L2)는 사선 방향으로 조사되고 광원 유닛(107)의 제2 글라스(120)를 투과하여 제2 글라스(120)와 도광판(201)의 밀착면 부근에 조사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7을 참조하면, 도광판(201)의 상면 측에 표시 패널(300)을 결합하고 도광판(201)의 하면 측에 반사 시트(500)를 배치한다. 표시 패널(300)은 도광판(201)에 의해 지지되고, 표시 패널(300)과 도광판(201)은 접합 패턴(400)을 개재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즉, 광원 유닛(107), 도광판(201) 및 표시 패널(300)은 일체화된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접합 패턴(400)은 표시 패널(300)의 제1 베이스 기판(301) 및 도광판(201)과 직접 맞닿아 접할 수 있다. 접합 패턴(400)은 열 또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표시 패널(300), 접합 패턴(400) 및 반사 시트(500)에 대해서는 도 12 등과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도 18을 참조하면, 수납 공간을 갖는 하부 커버(600)를 준비하고, 하부 커버(600)의 내부 수납 공간에 광원 유닛(107)과 도광판(201)이 삽입되도록 광원 유닛(107), 도광판(201) 및 표시 패널(300)이 일체화된 모듈을 하부 커버(600)와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간소화하여 조립 공정을 간략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표시 패널(300)과 도광판(201) 및 광원 유닛(107)을 일체화한 모듈을 미리 형성한 후 상기 일체화된 모듈을 하부 커버(600)에 삽입함으로써 표시 패널(300)과 도광판(201) 등 간의 배치 관계를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고, 오정렬에 의한 광 누설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광원 유닛
100a: 광원 회로 기판
100b: 광원
110: 제1 글라스
120: 제2 글라스
150: 파장 변환부

Claims (20)

  1. 광원 회로 기판;
    상기 광원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어 광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상기 광원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된 파장 변환부;
    상기 광원과 상기 파장 변환부 사이에 배치된 제1 글라스; 및
    상기 파장 변환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글라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제2 글라스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하고,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 사이의 밀착면은,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 간의 물리적 계면이 존재하는 제1 부분,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 간의 물리적 계면이 존재하지 않는 제2 부분, 및
    상기 파장 변환부와 중첩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광원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1 글라스 또는 상기 제2 글라스와 맞닿아 접하고,
    상기 파장 변환부는 상기 제1 글라스 및 상기 제2 글라스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며,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광원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라스의 상기 제2 글라스와 대면하는 일면은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파장 변환부는 상기 오목홈 내에 수용된 광원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제1 글라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글라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제3 글라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글라스는 상기 광원 회로 기판과 직접 맞닿아 접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제3 글라스 및 상기 광원 회로 기판에 의해 밀봉되는 광원 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변환부와 상기 제2 글라스 사이에 개재된 갭을 더 포함하는 광원 유닛.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글라스의 상기 제1 글라스와 대면하는 일면은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파장 변환부는 상기 오목홈 내에 수용된 광원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제1 글라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글라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제3 글라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글라스는 상기 광원 회로 기판과 직접 맞닿아 접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제3 글라스 및 상기 광원 회로 기판에 의해 밀봉되는 광원 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파장 변환부 사이에 개재된 갭을 더 포함하는 광원 유닛.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에는 씨드 형상의 구조물이 존재하고,
    상기 씨드 형상의 구조물은 장축과 단축을 갖는 형상이며,
    상기 단축은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 사이의 밀착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2 부분의 폭은 60㎛ 이상 120㎛ 이하인 광원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이고,
    상기 파장 변환부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광원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의 1.2배 이상 2배 이하인 광원 유닛.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청색 파장의 광을 방출하고,
    상기 파장 변환부는 수지 물질 및 상기 수지 물질 내에 분산된 파장 변환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파장 변환부 내의 상기 파장 변환 물질은 적색 파장 변환 물질 및 녹색 파장 변환 물질로 이루어진 광원 유닛.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라스 내에 분산된 녹색 파장 변환 물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광원은 청색 파장의 광을 방출하고,
    상기 파장 변환부는 수지 물질 및 상기 수지 물질 내에 분산된 파장 변환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파장 변환부 내의 상기 파장 변환 물질은 적색 파장 변환 물질로 이루어진 광원 유닛.
  14. 입광면과 출광면을 갖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광면 측에 배치된 광원 유닛; 및
    상기 도광판의 상기 출광면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광원 유닛은,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광원,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상기 광원과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된 파장 변환부,
    상기 광원과 상기 파장 변환부 사이에 배치된 제1 글라스, 및
    상기 파장 변환부와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글라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제2 글라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도광판에 의해 지지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도광판과 상기 표시 패널을 결합하는 접합 패턴을 더 포함하되,
    평면 시점에서, 상기 접합 패턴은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광면 측 가장자리부에 배치되지 않는 표시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광면과 상기 광원 유닛의 상기 제2 글라스는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글라스와 상기 도광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결합하고,
    상기 제2 글라스와 상기 도광판 사이의 밀착면은,
    상기 제2 글라스와 상기 도광판 간의 물리적 계면이 존재하는 제1 부분,
    상기 제2 글라스와 상기 도광판 간의 물리적 계면이 존재하지 않는 제2 부분, 및
    상기 파장 변환부와 중첩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3 부분과 상이한 레벨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9. 입광면과 출광면을 갖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광면 측에 배치된 광원 유닛, 및 상기 도광판의 상기 출광면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이 일체화된 모듈과, 수납 공간을 갖는 하부 커버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도광판과 상기 광원 유닛이 상기 하부 커버의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모듈과 상기 하부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 유닛은,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광원,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상기 광원과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된 파장 변환부,
    상기 광원과 상기 파장 변환부 사이에 배치된 제1 글라스, 및
    상기 파장 변환부와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글라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제2 글라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글라스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융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레이저의 펄스폭은 10 펨토초(femto second) 이상 50 펨토초 이하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70004022A 2017-01-11 2017-01-11 광원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80083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022A KR20180083011A (ko) 2017-01-11 2017-01-11 광원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5/863,878 US10578790B2 (en) 2017-01-11 2018-01-06 Light source uni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light source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022A KR20180083011A (ko) 2017-01-11 2017-01-11 광원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011A true KR20180083011A (ko) 2018-07-20

Family

ID=62781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022A KR20180083011A (ko) 2017-01-11 2017-01-11 광원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78790B2 (ko)
KR (1) KR201800830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16873A (ja) * 2019-01-04 2022-03-03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0357B (zh) * 2019-09-04 2021-01-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11732C (zh) * 2003-06-18 2009-07-08 丰田合成株式会社 发光器件
JP5219331B2 (ja) * 2005-09-13 2013-06-26 株式会社住田光学ガラス 固体素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09206459A (ja) * 2008-02-29 2009-09-10 Sharp Corp 色変換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
US10158057B2 (en) * 2010-10-28 2018-12-18 Corning Incorporated LED lighting devices
KR101210158B1 (ko) * 2010-11-04 2012-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광 변환 부재
US8754440B2 (en) * 2011-03-22 2014-06-17 Tsmc Solid State Lighting Ltd. Light-emitting diode (LED) package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9412905B2 (en) * 2011-04-01 2016-08-09 Najing Technology Corporation Limited White light emitting device
JP6192897B2 (ja) * 2012-04-11 2017-09-06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発光装置、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CN103681990B (zh) * 2013-12-11 2017-09-0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Led封装件及其制作方法
KR20150092810A (ko) * 2014-02-05 2015-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150093890A (ko) * 2014-02-07 2015-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자점 충진 튜브, 양자점 충진 튜브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025142A (ko) 2014-08-26 2016-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퀀텀 도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TWI790177B (zh) * 2015-09-04 2023-01-11 美商康寧公司 包括透明密封件的裝置及製作該等密封件的方法
CN105676535A (zh) * 2016-04-01 2016-06-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KR20180087487A (ko) * 2017-01-23 2018-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파장 변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16873A (ja) * 2019-01-04 2022-03-03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1700743B2 (en) 2019-01-04 2023-07-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96183A1 (en) 2018-07-12
US10578790B2 (en)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07835B (zh) 照明装置、显示装置以及电视接收装置
JP6532179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10423031B2 (en)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unit
US20180095329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KR102312522B1 (ko) 표시 장치
US10222543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CN102537780B (zh) 发光器件模块和包括发光器件模块的背光单元
KR20210151225A (ko) 색상 변환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과 표시 패널
JP2020107584A (ja) 発光モジュール
US10775543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televis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avelength converter
KR20170004205A (ko)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면광원 장치
US11421856B2 (en) Light emitting module, surface light sour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module
US9405051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3236201U (ja) 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及び表示装置
CN114464604B (zh) 显示装置、电子设备及背光模组的封装方法
US10386024B2 (en) Wavelength conversion member having two different wavelength converting materials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KR20180083011A (ko) 광원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814807B1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624015B1 (ko) 표시 장치
US20170315289A1 (en) Light source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7037092B2 (ja) 発光モジュール
KR10267042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70015580A (ko) 광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면광원 장치
KR20190066100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