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976A -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976A
KR20180082976A KR1020180003652A KR20180003652A KR20180082976A KR 20180082976 A KR20180082976 A KR 20180082976A KR 1020180003652 A KR1020180003652 A KR 1020180003652A KR 20180003652 A KR20180003652 A KR 20180003652A KR 20180082976 A KR20180082976 A KR 20180082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layer
display device
conductive
touch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395B1 (ko
Inventor
시아오-랑 린
주이-젠 유에
Original Assignee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82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976A/ko
Priority to KR1020220111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6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 H01L25/167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comprising optoelectronic devices, e.g. LED, photo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발광 요소, 발광 요소를 덮는 제1 절연층, 제1 터치부 및 제1 전송부를 포함한다. 기판은 디스플레이 영역과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발광 요소는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배치된다. 제1 절연층은 디스플레이 영역과 주변 영역 상에 배치된다. 제1 터치부는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제1 터치부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위치된다. 제1 전송부는 제1 절연층과 주변 영역 상에 배치되며, 제1 터치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전송부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처리 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Description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TOUCH DISPLAY DEVIC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1월 11일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710019694.7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전술한 특허 출원 전체는 참조로 여기에 포함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기술 분야
본 실시예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보다 구체적으로, 발광 부품을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정보 기술, 무선 휴대 통신 및 정보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더 편리하고 더 부피가 작고 및 더 사용자 친화적인 것을 달성하기 위해 다수의 정보 제품의 입력 장치는 전통적인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부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로 변화되고 있다. 보통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 패널을 개별 제조하고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 패널을 함께 설치 또는 조립하는 것을 통해 터치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의 통합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제조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피는 감소될 수 없고, 그에 따라 장치는 전자 제품 시장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터치 부품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통합하는 기술이 이미 제시된 바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르면,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발광 요소, 제1 절연층, 제1 터치부 및 제1 전송부를 포함한다. 기판은 디스플레이 영역과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발광 요소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배치된다. 제1 절연층은 디스플레이 영역과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발광 요소를 덮는다. 제1 터치부는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제1 터치부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위치된다. 제1 전송부는 제1 절연층과 주변 영역 상에 배치되며, 제1 터치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전송부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처리 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상을 기초로 하여 본 개시 내용의 실시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터치부와 발광 요소는 동일한 기판 상에 배치되며, 따라서 터치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의 통합을 달성한다. 제1 절연층이 발광 요소 상에 배치되고 제1 전송부가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됨으로써, 터치 신호의 전송을 달성하게 된다.
첨부 도면은 본 개시 내용을 더 이해하기 위해 포함되며,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첨부 도면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 형태들을 예시하며, 설명 부분과 함께 본 개시 내용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도 1a는 본 개시 내용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상면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b는 I-I 선을 따라 취한 도 1a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c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가 점선 프레임 C의 발광 요소로서 사용되는, 도 1a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의 대안적인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a, 3b 및 3c는 본 개시 내용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 내용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 내용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 내용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 내용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 내용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 내용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a는 본 개시 내용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상면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b는 II-II 선을 따라 취한 도 11a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c는 본 개시 내용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2a는 도 11b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2b는 도 11c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3a는 본 개시 내용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상면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3b는 III-III 선을 따라 취한 도 13a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 내용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 내용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추가적인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6a는 본 개시 내용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상면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6b는 IV-IV 선을 따라 취한 도 16a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 내용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첨부 도면에 그 예들이 예시된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가능하다면,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지칭하기 위해 도면과 설명 부분에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추가로, 실시 형태들은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개념 또는 프로세스들의 설명은 일부 실시 형태에서 생략된다.
본 실시 형태의 개시 내용에서,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B 요소 위에 위치된 A 요소"라는 표현은 A 요소와 B 요소 사이에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물론, A 요소와 B 요소 사이에 하나 또는 다수의 다른 요소가 배치될 가능성을 포함한다.
도 1a는 본 개시 내용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상면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b는 I-I 선을 따라 취한 도 1a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동시에 참조하면,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판(102), 발광 요소(108), 제1 절연층(110), 제1 터치부(148)를 포함하는 터치 요소(122) 및 제1 전송부(126)를 포함하는 터치 신호 전송선(124)을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기판(102)의 엣지에 가장 가까이 위치된 발광 요소(108)의 발광 영역의 경계는 기판의 디스플레이 영역(104)과 주변 영역(106) 간의 경계로 사용될 수 있다. 기판(102)은 연성 기판 또는 경질 기판일 수 있다. 연성 기판의 재료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라스틱 또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경질 기판의 재료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리 또는 실리콘 웨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요소(108)는 디스플레이 영역(104) 상에 배치된다. 제1 절연층(110)은 디스플레이 영역(104)과 주변 영역(106)에 배치되며, 발광 요소(108)를 덮는다. 제1 터치부(148)는 제1 절연층(110) 상에 배치되며 제1 터치부(148)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영역(104)에 위치된다. 제1 전송부(126)는 제1 절연층(110) 상에 배치되며, 주변 영역(106)에 배치된다. 제1 전송부(126)는 제1 터치부(148)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서 제1 터치부(148)의 신호를 처리 유닛(10)과 같은 외부 장치에 전송하게 된다.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송부(126)는 신호의 전송을 위해 접합부(158)를 통해 처리 유닛(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 유닛(10)은 집적 회로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전송부(126)와 제1 터치부(148)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송부(126)와 제1 터치부(148)는 동일한 원재료 층을 패턴화하는 것을 통해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송부(126)와 제1 터치부(148)는 동일한 층을 가질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판(102)의 디스플레이 영역(104)에 배치된 능동 소자 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능동 소자 어레이와 발광 요소(108) 사이에 배치되어 능동 소자 어레이를 발광 요소(108)로부터 분리시키는 제2 절연층(1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능동 소자 어레이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132)를 포함할 수 있다. 능동 소자 어레이의 실시 형태는 박막 트랜지스터(132)를 제외하고 캐패시터 및 전송선과 같은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박막 트랜지스터(132)는 반도체 층(138), 게이트(G), 소스(S) 및 드레인(D)에 의해 형성된 요소이다. 게이트(G)는 반도체 층(138)의 채널 영역(미도시)과 중첩되며, 소스(S)와 드레인(D)은 반도체 층(138)의 채널 영역의 다른 부분들과 접촉된다. 게이트(G)는 제1 도전층(134)에 의해 형성되며, 소스(S)와 드레인(D)은 제2 도전층(136)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도전층(134)은 제2 도전층(136)과 기판(102) 사이에 위치된다. 제2 절연층(163)은 박막 트랜지스터(132)와 발광 요소(108) 사이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절연층(163)은 박막 트랜지스터(132)의 제1 도전층(134)과 발광 요소(108) 사이에 배치되며, 박막 트랜지스터(132)의 제2 도전층(136)과 발광 요소(108) 사이에 배치된다.
도 1b는 박막 트랜지스터(132)가 바닥 게이트 구조체(즉, 게이트(G)가 반도체 층(138)과 기판(102) 사이에 위치됨)를 가지는 박막 트랜지스터인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반도체 층(138)은 게이트(G)와 기판(102) 사이에 위치되어 상부 게이트 구조체를 가지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도전층(134) 또는 제2 도전층(136)의 재료는 능동 소자 어레이의 제조에 적합한 임의의 공지된 재료 또는 적절한 도전 재료일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한다. 능동 소자 어레이는 게이트 또는 소스와 드레인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 요소를 포함함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132)에서 상이한 금속 요소들은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제1 유전체 층(140)과 제2 유전체 층(142)과 같은 하나 또는 다수의 유전체 층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제1 유전체 층(140)은 제1 도전층(134)과 반도체 층(138) 사이에 위치되며, 제2 유전체 층(142)은 제2 도전층(136)과 반도체 층(138) 사이에 위치된다.
발광 요소(108)는 능동 소자 어레이를 피복하는 제2 절연층(163)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발광 요소(108)의 영역은 화소 정의층(164; pixel definition layer)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발광 요소(108)는 제1 전극(109), 반대 전극(156) 및 발광층(111)을 포함한다. 발광층(111)은 반대 전극(156)과 제1 전극(109) 사이에 배치된다. 발광 요소(108)는 능동 소자 어레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 1b를 예로서 참조하면, 능동 소자 어레이의 제2 도전층(136)은 제1 전극(109)에 대한 접속부로서 사용되는 전극(168)을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제1 전극(109)은 제2 절연층(163)을 관통하는 도전 접속 구조체(263)에 의해 전극(168)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극(109)은 양극일 수 있고, 예컨대 반대 전극(156)은 음극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전극(109)은 음극일 수 있고, 반대 전극(156)은 양극일 수 있다. 예컨대 발광 요소(108)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마이크로-LED) 등일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반대 전극 와이어(170)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데, 이것은 예컨대 제2 도전층(136)에 의해 형성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b를 예로서 참조하면, 반대 전극(156)은 예컨대 도전 접속 구조체(272)와 도전 접속 구조체(172)를 통해 제2 도전층(136)에 의해 형성된 반대 전극 와이어(170)에 접속될 수 있다. 도전 접속 구조체(272)는 화소 정의층(164) 내에 위치되며, 도전 접속 구조체(172)는 제2 절연층(163) 내에 위치된다.
제1 절연층(110)은 발광 요소(108)와 능동 소자 어레이를 덮고, 발광 요소를 보호하기 위해 물과 산소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10)은 무기 재료 및/또는 유기 재료가 교대로 적층되어 다층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기 재료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Al2O3, SiNx 또는 SiOx를 포함한다. 유기 재료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크릴계 재료 또는 파릴렌계 재료를 포함한다. 제1 절연층(110)의 수분 및 산소 차단 효과가 유지될 수 있는 한, 무기 재료와 유기 재료의 층들의 적층 순서 및 갯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절연층(110)은 제1 무기층(112)과 해당 제1 무기층(112)에 배치된 제2 무기층(116)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절연층(110)은 제1 무기층(112)과 제2 무기층(116) 사이에 위치된 유기층(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무기층(112)과 제2 무기층(116)은 주변 영역(106)에서 서로 직접 접촉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영역(104)에서 유기층(114)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 각각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유기층(114)은 비교적 두껍고 유기층(114)의 엣지를 완만한 경사 구조체로 배열하는 것을 통해 유기층(114)의 엣지에서의 연속층의 와이어 파열 현상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터치부(150)와 제3 절연층(1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부(148), 제2 터치부(150) 및 제3 절연층(152)은 터치 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터치부(148)와 유사하게, 제2 터치부(150)도 역시 신호 전송을 위해 처리 유닛(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2 터치부(150)는 제1 터치부(148)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예컨대, 전송부를 포함하는 터치 신호 전송선을 통해 처리 유닛(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여기서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호 정전용량형(mutual-capacitance)일 수 있으며, 제1 터치부(148)는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구동 전극일 수 있고, 제2 터치부(150)는 감지 신호를 다시 처리 유닛으로 통과시키는 감지 전극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터치부(148)는 감지 전극일 수 있고, 제2 터치부(150)는 구동 전극일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 방식은 자기-정전용량형(self-capacitance)일 수 있다.
제1 터치부(148)는 다중 제1 터치 전극(147)과 다중 제1 접속부(149)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제1 터치 전극(147)은 제1 방향(x)을 따라 배열되며, 다중 제1 접속부(149)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2 터치부(150)는 다중 제2 터치 전극(151)과 다중 제2 접속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제2 터치 전극(151)은 제1 방향(x)과 다른 제2 방향(y)(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은 예컨대 서로 직교하지만, 직교하지 않는 방식으로 서로 교차될 수도 있다)을 따라 배열된다. 다중 제2 터치 전극(151)은 다중 제2 접속부(153)(즉, 브릿지(BR))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중 제1 접속부(149) 중 적어도 하나는 다중 제2 접속부(153) 중 적어도 하나를 가로지른다. 도 1a에서, 예시를 위해, 오직 하나의 제1 접속부(149)와 오직 하나의 제2 접속부(153)가 예시되며, 제1 접속부(149)는 제1 접속부(153)를 가로지른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제1 접속부(149)와 다른 제2 접속부(153)도 역시 서로 교차될 수 있다. 제3 절연층(152)이 다중 제1 접속부(149)와 다중 제2 접속부(153)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다중 제1 접속부(149)와 다중 제2 접속부(153)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3 절연층(152)은 다중의 섬형(island-like) 절연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섬형 절연 구조체는 대응하는 제1 접속부(149)와 제2 접속부(153) 사이에 위치된다. 예시를 위해, 오직 하나의 섬형 절연 구조체가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다. 제1 터치 전극(147)과 제2 터치 전극(151)의 재료는 투명 도전 재료, 금속 메쉬, 은 나노와이어 또는 탄소 나노와이어일 수 있다. 투명 도전 재료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ITO(인듐 주석 산화물) 또는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예시를 위해, 오직 하나의 제1 터치부(148)와 하나의 제2 터치부(150)만이 도 1a에 예시되어 있다. 당업자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다중 제1 터치부(148)와 다중 제2 터치부(150)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중 제1 터치부(148)는 병렬 배치되어 각각이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다중 제2 터치부(150)도 역시 병렬 배치되어 각각이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여기서 생략한다.
본 개시 내용의 제1 실시 형태에서,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 브릿지 구조체가 예시되어 있는 데, 즉, 제2 접속부(153)가 제1 터치부(148) 위에 위치된다. 더욱이, 제1 접속부(149)와 제1 터치 전극(147)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접속부(153)와 제2 터치 전극(151)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터치 전극(147), 제1 접속부(149) 및 제2 터치 전극(151)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동일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투명 도전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속부(153)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터치 요소(122)는 오직 하나의 도전 재료층, 즉 일층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요소(122)는 단일 터치층을 가지는 상호 정전용량 감지형일 수 있거나 단일 터치층을 가지는 자기-정전용량 감지형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터치 신호 전송선(124)은 제1 전송부(126), 제1 도전 접속 구조체(130) 및 제2 전송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 접속 구조체(130)는 제1 절연층(110)을 관통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전송부(126)는 제1 도전 접속 구조체(130)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터치부(148)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전송부(128)와 제1 전극(109)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터치부(148), 제1 전송부(126) 및 제1 도전 접속 구조체(130)는 동일한 제조 절차에 의해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터치부(148), 제1 전송부(126) 및 제1 도전 접속 구조체(130)는 동일한 원재료층을 패턴화하는 것에 의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터치부(148), 제1 전송부(126) 및 제1 도전 접속 구조체(130)는 동일한 층을 가질 수 있고,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전송부(126)와 제1 도전 접속 구조체(130)는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송부(126)는 투명 도전층(예, ITO)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도전 접속 구조체(13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전송부(128)와 제1 전극(109)은 동일한 공정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전송부(128)와 제1 전극(109)은 동일한 원재료층을 패턴화하는 것에 의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송부(128)와 제1 전극(109)은 동일한 층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송부(126)는 제1 터치부(14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전송부(126)는 제1 도전 접속 구조체(130)를 통해 제2 전송부(128)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터치 신호 전송선(124)은 접합부(158)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158)는 터치 신호 전송선(124)의 단부에 위치되므로, 제1 전송부(126), 제2 전송부(128) 및 접합부(158)는 연속적인 전송선을 형성한다. 접합부(158)는 외부 처리 유닛(10)과 접속되도록 주변 영역(106)에 위치된다. 따라서, 터치 신호 전송선(124)은 터치 요소(122)의 신호를 외부 요소로 전송하도록 터치 요소(122)와 외부 처리 유닛(10)을 접속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b에 예시된 버퍼층(166), 커버층(160) 및 커버 플레이트(162)와 같은 다른 층 또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능동 소자 어레이, 발광 요소(108), 제1 절연층(110), 터치 요소(122) 및 제1 전송부(126)는 커버층(160)과 기판(102) 사이에 위치된다. 버퍼층(166)은 능동 소자 어레이와 기판(102) 사이에 위치되며, 커버층(160)은 커버 플레이트(162)와 터치 요소(122) 사이에 위치된다. 그러나, 본 개시 내용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 흔히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층 또는 모듈을 본 개시 내용에 대해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층 또는 요소는 실제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전송부(126)와 제1 터치부(148)는 동일한 층을 가질 수 있으며,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송부(128)와 제1 전극(109)은 동일한 층을 가질 수 있으며(도 1b 참조),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요소(122)의 신호 전송은 추가적인 금속 트레이스 제조 없이 실현될 수 있다. 결국,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를 들면, 제1 전송부(126)의 재료로서 ITO를 취하는 경우, 제1 전송부(126)는 제1 도전 접속 구조체(130)를 통해 금속 재료의 제2 전송부(128)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신호 전송선(124)의 전체 임피던스는 감소될 수 있고 터치 신호의 전송 및 피드백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터치 효과가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금속 재료의 제2 전송부(128)를 형성하는 패턴화 공정이 제1 절연층(110)의 형성 이전에 수행된다. 따라서, 제2 전송부(128)의 패턴화에 기인하여 있을 수 있는 제1 절연층(110)에 대한 손상을 피할 수 있어서 제1 절연층(110)의 수분 및 산소 차단 효과가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도전 접속 구조체(130)는 제1 무기층(112)의 엣지부(118)(유기층(114) 외부로 연장되는 부분)와 제2 무기층(116)의 엣지부(120)(유기층(114)의 외부로 연장되는 부분)를 관통하지만 유기층(114)을 관통하지 않으므로 수분 및 산소의 침투에 대해 충분한 보호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c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가 도 1b의 점선 프레임 C의 발광 요소(108)로서 사용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여기에서의 각각의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178)는 예컨대 마이크로 레벨 크기의 발광 다이오드이다.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178)가 발광 요소로서 사용되는 경우,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178)를 구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132)는 게이트(G)(예, 제1 금속층(134)에 의해 형성됨), 반도체 층(138), 소스(S) 및 드레인(D)(예, 소스와 드레인은 제2 금속층(136)으로 형성됨)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층(138)과 게이트(G)는 제1 유전체 층(140)에 의해 서로 분리되며, 제2 절연층(163)은 박막 트랜지스터(132)를 피복하며, 평탄화 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2 절연층(163) 위에 유전체 층(264)이 배치되며, 유전체 층(264)은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178)의 배열 공간을 형성하는 개구를 구비한다. 즉,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178)는 유전체 층(264)의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263) 상에 제3 금속층(174)이 배치되는 데, 유전체 층(264)의 개구 내에 위치되며,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178)는 예컨대 제3 금속층(174)에 부착된다. 제3 금속층(174)은 제2 절연층(163)을 관통하는 도전 접속 구조체(176)에 의해 드레인(D)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178) 사이에 절연 재료(180)가 추가로 배치된다.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178) 상에 반대 도전층(192)이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의 설계가 도 1b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시, 예컨대 제1 절연층(110)과 터치 요소(122)는 반대 도전층(192) 상에 배치되는 데, 여기서 제1 절연층(110)과 터치 요소(122)는 도 1c에 개략적으로만 예시되어 있으며, 이들 요소의 세부적인 설계는 상기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층(110)은 단층형 절연층일 수 있고, 다층형 절연층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제1 절연층(110)은 하나의 유기층과 하나의 무기층의 적층을 가지는 구조의 채용으로 한정될 필요가 없으며, 제1 절연층(110)은 단일 무기층 또는 다중 무기층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터치 요소(122)가 바닥 브릿지 구조를 가져서, 즉 제2 접속부(153)가 제1 터치부(148)의 아래에 위치되고 제1 터치부(148)에 비해 제1 절연층(110)에 더 가깝다는 점에서 본 개시 내용의 제1 실시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르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나머지 구조는 상기 제1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여기서 생략한다.
도 3a는 본 개시 내용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a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 1b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본적인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달리 언급이 없으면 상기 제1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제2 절연층(163)을 관통하는 제2 도전 접속 구조체(146)와 제3 전송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전송부(144)와 제2 도전층(136)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전송부(128)는 제2 도전 접속 구조체(146)를 통해 제3 전송부(14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3 전송부(144)는 소스(S)와 드레인(D)을 형성하는 제2 도전층(136)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제3 전송부(133), 소스(S) 및 드레인(D)은 동일한 공정에서 제조될 수 있으며 동일한 층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절연층(163)은 제2 도전 접속 구조체(146)에 의해 관통되므로 제2 전송부(128)는 제2 도전 접속 구조체(146)에 의해 제3 전송부(144)에 접속된다. 또한, 기판(102) 상의 제1 도전 접속 구조체(130)의 돌출부의 영역(A1)과 기판(102) 상의 제2 도전 접속 구조체(146)의 돌출부의 영역(A2)은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중첩되지 않음을 도 3a로부터 알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컨대 도 3b의 실시 형태에서, 제3 전송부(144)는 게이트(G)를 형성하는 제1 금속층(134)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도전 접속 구조체(146)는 제2 절연층(163)을 관통하고 유전체 층(140, 142)도 관통한다. 그렇지 않으면, 예컨대 도 3c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제4 전송부(145)가 게이트(G)를 형성하는 제1 금속층(134)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유전체 층(140, 142)을 관통하는 제2 도전 접속 구조체(155)가 배치되며, 제2 도전층(136)에 의해 형성된 제3 전송부(144)가 제3 도전 접속 구조체(155)에 의해 제4 전송부(145)에 접속될 수 있다. 즉, 터치 신호 전송선(124)은 제1 금속층(134)과 제2 금속층(136)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된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전송부(128)와 발광 요소의 제1 전극(109)은 동일한 층을 가질 수 있으며, 제3 전송부(144)는 제1 또는 제2 금속층(134 또는 136)과 동일한 층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제3 전송부(144)와 제2 금속층(136)은 동일한 층을 가질 수 있고, 제4 전송부(145)와 제1 금속층(134)은 동일한 층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요소(122)의 신호 전송은 추가적인 금속 트레이스 제조 없이 실현된다. 결국,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르면, 터치 신호 전송을 위한 전송부는 발광 요소의 하나의 전극 또는 능동 소자의 적어도 하나의 도전층의 동일층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요소를 제조하는 공정 후에, 터치 요소의 신호를 외부 요소에 연결하는 금속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추가 공정이 필요치 않다. 결국, 추가적인 금속 회로 제조에 따라 발광 요소에 야기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르면, 터치 요소의 제1 터치부는 터치 신호 전송선에 의해 금속 재료로 된 제2 전송부 또는 제3 전송부에 접속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터치 신호 전송선의 전체 임피던스가 감소될 수 있고, 터치 신호의 전송 및 피드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터치 효과가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터치 요소(122)가 바닥 브릿지 구조를 갖는다는 점, 즉 제2 접속부(153)가 제1 터치부(148)의 아래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본 개시 내용의 제2 실시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상이하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나머지 구조는 상기 제2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여기서 생략한다.
도 5는 본 개시 내용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 3a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기본적인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달리 언급이 없으면 상기 제1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500)에서, 기판(102) 상의 제1 도전 접속 구조체(130)의 돌출부의 영역(A1)과 기판(102) 상의 제2 도전 접속 구조체(146)의 돌출부의 영역(A2)은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도 6은 본 개시 내용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터치 요소(122)가 바닥 브릿지 구조를 갖는다는 점, 즉 제2 접속부(153)가 제1 터치부(148)의 아래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본 개시 내용의 제3 실시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500)와 상이하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나머지 구조는 상기 제3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여기서 생략한다.
도 7은 본 개시 내용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 3a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기본적인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달리 언급이 없으면 상기 제2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700)에서, 제1 전송부(126)와 제2 접속부(153)는 동일한 층을 가질 수 있지만, 제1 전송부(126)와 제1 터치부(148)는 다른 층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송부(126)와 다중 브릿지(제2 접속부(153))가 동일한 공정 중에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동시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 전송부(126)와 제2 접속부(153)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예컨대 도 7의 터치 요소(122)는 상부 브릿지 구조를 가지므로, 제1 전송부(126)는 일부가 터치부(148)와 중첩되어 터치부(148)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접속부(153), 제1 전송부(126) 및 제2 도전 접속 구조체(130)는 동일한 공정으로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접속부(153), 제1 전송부(126) 및 제1 도전 접속 구조체(130)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동일한 층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 내용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터치 요소(122)가 바닥 브릿지 구조를 갖는다는 점, 즉 제2 접속부(153)가 제1 터치부(148)의 아래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본 개시 내용의 제4 실시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700)와 상이하다. 따라서, 제1 터치부(148)는 일부가 제1 전송부(126)와 중첩되어 제1 전송부(126)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나머지 구조는 본 개시 내용의 제4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여기서 생략한다.
도 9는 본 개시 내용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900)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 3a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기본적인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달리 언급이 없으면 상기 제2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900)에서, 터치 신호 전송선(124)은 보조 전송선부(154)를 더 포함한다. 보조 전송선부(154)와 제1 전송부(126)는 중첩될 수 있으며, 보조 전송선부(154)와 제2 접속부(153)는 동일한 층을 가질 수 있고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전송선부(154)를 제1 전송부(126) 상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터치 신호 전송선(124)의 전체 임피던스가 감소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1 전송부(126)의 일부에 생길 수 있는 라인 파손을 수리하는 지원 구조가 제공됨으로써 공정 수율을 증가시키고 터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 내용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주요하게는, 터치 요소(122)가 바닥 브릿지 구조(즉 제2 접속부(153)가 제1 터치부(148)의 아래에 위치됨)를 가지고 제1 전송부(126)와 제2 접속부(153)가 동일한 층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 9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900)와 상이하다. 도 10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 8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기본적인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달리 언급이 없으면 상기 제2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서, 다중 브릿지(제2 접속부(153))와 제1 전송부(126)가 제1 터치부(148)의 형성 이전에 동일한 공정 중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1 터치부(148)가 제1 전송부(126) 상에 적층되어 제1 전송부(126)를 피복하게 된다.
도 11a는 본 개시 내용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상면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b는 II-II 선을 따라 취한 도 11a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동시에 참조하면,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00)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 1b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본적인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달리 언급이 없으면 상기 제1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00)에서, 제1 전송부(126)와 제2 접속부(153)는 동일한 층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송부(126)와 다중 브릿지(제2 접속부(153))가 동시에 형성되며,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 내용의 제6 실시 형태의 터치 요소(122)는 상부 브릿지 구조를 가지므로, 제1 전송부(126)는 일부가 제1 터치부(148)와 중첩되어 제1 터치부(14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전송부(126)는 직접적으로 터치 신호 전송선(124)으로서 기능하고 예컨대 처리 유닛(10)과 같은 외부 장치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전송부(126)는 접합부(158)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처리 유닛(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 방식은 상호-정전용량형이며, 제1 터치부(148)는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구동 전극일 수 있으며, 제2 터치부(150)는 감지 신호를 다시 처리 유닛으로 통과시키는 감지 전극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터치부(148)는 구동 전극일 수 있고, 제2 터치부(150)는 감지 전극일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형은 자기-정전용량형일 수도 있다.
도 11c는 본 개시 내용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00')는 터치 요소(122)가 바닥 브릿지 구조를 가진다는 점, 즉 제2 접속부(153)가 제1 터치부(148)의 아래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00)와 상이하다. 따라서, 제1 터치부(148)는 일부가 제1 전송부(126)와 중첩되어 제1 전송부(12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1 전송부(126)는 직접적으로 터치 신호 전송선(124)으로서 기능하고 접합부(158)로 연장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00')의 나머지 구조는 전술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00)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여기서 생략한다.
도 12a는 도 11b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2a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200)는 제2 도전층(136)과 동일한 층의 제2 전송부(128)를 더 포함하고, 제2 전송부(128)의 단부는 접합부(158)에 접속될 수 있다. 즉, 제2 전송부(128), 소스(S) 및 드레인(D)은 동일한 공정 중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도전 접속 구조체(130)는 제1 무기층(112)과 제2 무기층(116)을 관통하며 제2 절연층(163)도 관통할 수 있으므로, 제1 전송부(126)는 제2 전송부(128)에 접속된다. 도 12a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200)의 기본적인 구조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00)의 기본적인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달리 언급이 없으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00)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2b는 도 11c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2b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200')는 제2 도전층(136)과 동일한 층의 제2 전송부(128)를 더 포함하고, 접합부(158)는 제2 전송부(128)의 단부에 접속된다. 제2 전송부(128), 소스(S) 및 드레인(D)은 동일한 공정 중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도전 접속 구조체(130)는 제1 무기층(112)과 제2 무기층(116)을 관통하며 제2 절연층(163)도 관통할 수 있으므로, 제1 전송부(126)는 제2 전송부(128)에 접속된다. 도 12b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200')의 기본적인 구조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00')의 기본적인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달리 언급이 없으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100')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3a는 본 개시 내용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상면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3b는 III-III 선을 따라 취한 도 13a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동시에 참조하면, 도 13a 및 도 13b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300)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 5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기본적인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달리 언급이 없으면 상기 제3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3a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300)에서, 전체가 아닌 일부의 층이 예시되며; 도 13b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300)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132)의 완전한 구조가 생략되고 박막 트랜지스터 층(3000)만이 대표로 도시되어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132)의 나머지 구조는 전술한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예컨대 터치 요소(122)는 이중 인듐 주석 산화물(DITO) 구조를 가진다. 제1 터치부(148)와 제2 터치부(150) 사이에 제4 절연층(254)이 배치된다. 예컨대 제1 터치부(148)는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되며, 예컨대 제2 터치부(150)는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되며,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은 다르다(예,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은 서로 직교하며, 또한 직교하지 않는 방식으로 서로 교차될 수도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300)는 다중 제1 터치부(148)와 다중 제2 터치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제1 터치부(148)는 제2 방향(y)을 따라 배열되며, 다중 제2 터치부(150)는 제1 방향(x)을 따라 배열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형은 상호-정전용량형인 데; 제1 터치부(148)는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구동 전극일 수 있고 제2 터치부(150)는 감지 신호를 다시 처리 유닛으로 통과시키는 감지 전극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터치부(148)는 감지 전극일 수 있고 제2 터치부(150)는 구동 전극일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제7 실시 형태에서, 제1 무기층(112)과 제2 무기층(116)은 제1 도전 접속 구조체(130)의 엣지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04)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테이퍼 구조를 가진다. 제1 무기층(112)과 제2 무기층(116)은 부분적으로 제2 전송부(128)를 덮으며 제2 전송부(128)의 프로파일을 따라 변화된다. 결국, 제2 무기층(116) 상에 배치된 제1 전송부(126)는 제2 전송부(128)에 대응하는 돌출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 내용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400)는, 제1 무기층(112)의 두께와 제2 전송부(128)의 두께가 대략 동일하고 제1 무기층(112)이 제2 전송부(128)와 중첩되지 않으므로 제1 무기층(112)과 제2 전송부(128)가 대략 평탄한 표면을 형성하며, 제2 무기층(116)이 부분적으로 제2 전송부(128)를 덮는다는 점에서 본 개시 내용의 제7 실시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300)와 상이하다. 따라서, 제2 무기층(116)은 제2 전송부(128)에 대응하는 분명한 변동을 가지지 않으므로 제1 전송부(126)는 유기층(114)의 엣지 외부에 평탄한 표면을 가진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400)의 나머지 구조는 본 개시 내용의 제7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여기서 생략한다.
도 15는 본 개시 내용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추가적인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500)는, 제4 절연층(254)이 제1 전송부(126)를 피복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본 개시 내용의 제7 실시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300)와 상이하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500)의 나머지 구조는 본 개시 내용의 제7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여기서 생략한다.
도 16a는 본 개시 내용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상면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6b는 IV-IV 선을 따라 취한 도 16a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를 동시에 참조하면, 도 16a 및 도 16b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600)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 5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기본적인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달리 언급이 없으면 상기 제3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600)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132)의 완전한 구조가 생략되고 박막 트랜지스터 층(3000)만이 대표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예컨대 터치 요소(122)는 단층 방식의 층의 형태의 터치 요소를 포함하는 데, 즉, 터치 요소(122)는 오직 하나의 터치부, 즉 터치부(148)를 포함한다. 추가로, 제1 터치부(148)와 발광층(111)이 엇갈림 방식으로 배치되므로, 제1 터치부(148)는 발광층(111)을 피복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형은 자기-정전용량형일 수 있으며, 제1 터치부(148)는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감지 신호를 다시 처리 유닛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 내용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안적인 예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700)는, 제1 터치부(148)와 발광층(111)이 중첩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즉 제1 터치부(148)가 발광층(111)과 중첩되면서 피복한다는 점에서 본 개시 내용의 제7 실시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600)와 상이하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700)의 나머지 구조는 본 개시 내용의 제8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여기서 생략한다.
이상을 기초로 하여 본 개시 내용의 실시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제1 절연층이 발광 요소 상에 배치되고 제1 터치부와 제1 전송부가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제1 전송부가 신호 전송을 위해 제1 터치부와 처리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르면, 주변 영역 상의 터치 신호 전송선의 전송부와 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터치부, 도전층 또는 전극은 동일한 층의 일부일 수 있으므로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실시 형태들은 오직 본 개시 내용의 기술적 해법들을 예시하고 이들을 한정하지 않도록 사용됨을 알아야 하며; 본 개시 내용은 전술한 실시 형태를 참조로 상세히 예시하고 있지만, 당업자들은 실시 형태에 기록된 기술적 해법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거나 기술적 해법의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 등가적인 교체가 가능하고; 대응하는 기술적 해법의 특성이 이들 변형 또는 대체에 의해 본 개시 내용의 실시 형태의 기술적 해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5)

  1.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영역과 주변 영역을 가지는 기판;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배치된 발광 요소;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주변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요소를 덮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1 터치부로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위치하는 것인 제1 터치부;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제1 터치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전송부로서, 신호를 전송하도록 처리 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인 제1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부와 상기 제1 터치부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을 관통하는 제1 도전 접속 구조체;
    제2 전송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송부는 상기 제1 도전 접속 구조체를 통해 상기 제2 전송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부와 상기 제1 도전 접속 구조체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요소는 제1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송부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배치된 도전층;
    상기 도전층과 상기 발광 요소 사이에 배치된 제2 절연층;
    상기 제2 절연층을 관통하는 제2 도전 접속 구조체;
    상기 도전층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제3 전송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송부는 상기 제2 도전 접속 구조체를 통해 상기 제3 전송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과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된 다른 도전층;
    상기 도전층과 상기 다른 도전층 사이에 배치된 유전체 층;
    상기 유전체 층을 관통하는 제3 도전 접속 구조체;
    상기 다른 도전층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제4 전송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전송부는 상기 제3 도전 접속 구조체를 통해 상기 제4 전송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의 상기 제1 도전 접속 구조체의 돌출부(projection)와 상기 기판 상의 상기 제2 도전 접속 구조체의 돌출부는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과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된 다른 도전층;
    상기 도전층과 상기 다른 도전층 사이에 배치된 유전체 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전 접속 구조체는 상기 제2 절연층과 상기 유전체 층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부의 단부에는 접합부가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제2 터치부와 제3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부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중 제1 터치 전극, 및 다중 제1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제1 터치 전극은 상기 다중 제1 접속부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2 터치부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중 제2 터치 전극, 및 다중 제2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제2 터치 전극은 상기 다중 제2 접속부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다중 제1 접속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다중 제2 접속부 중 적어도 하나와 교차하며, 상기 제3 절연층은 상기 다중 제1 접속부와 상기 다중 제2 접속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다중 제1 접속부와 상기 다중 제2 접속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송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보조 전송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전송선부와 상기 제2 접속부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부와 상기 제2 접속부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은:
    제1 무기층;
    상기 제1 무기층 상에 배치된 제2 무기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무기층과 상기 제2 무기층 사이에 위치된 유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무기층과 상기 제2 무기층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003652A 2017-01-11 2018-01-11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2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959A KR102545431B1 (ko) 2017-01-11 2022-09-05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19694.7A CN108304086B (zh) 2017-01-11 2017-01-11 触控显示装置
CN201710019694.7 2017-01-1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959A Division KR102545431B1 (ko) 2017-01-11 2022-09-05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976A true KR20180082976A (ko) 2018-07-19
KR102442395B1 KR102442395B1 (ko) 2022-09-08

Family

ID=627823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652A KR102442395B1 (ko) 2017-01-11 2018-01-11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111959A KR102545431B1 (ko) 2017-01-11 2022-09-05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959A KR102545431B1 (ko) 2017-01-11 2022-09-05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4) US10606391B2 (ko)
KR (2) KR102442395B1 (ko)
CN (2) CN1119662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66241B (zh) * 2017-01-11 2023-05-30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KR102593459B1 (ko) * 2018-04-18 2023-10-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28266B1 (ko) 2018-11-16 2023-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562807B1 (ko) 2018-11-23 2023-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0950809B2 (en) * 2018-12-21 2021-03-1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having a photoresist supporting element
CN112768502B (zh) 2019-03-29 2022-08-0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0286795B (zh) * 2019-06-27 2022-11-22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装置
CN111142714B (zh) * 2020-01-21 2021-12-2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326565B (zh) * 2020-04-10 2022-11-15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20210145026A (ko) * 2020-05-22 2021-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1640210B2 (en) * 2020-11-27 2023-05-02 Tpk Advanced Solutions Inc. Touch panel and touch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184A (ko) * 2015-01-28 2016-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7396B2 (en) * 2004-07-30 2012-07-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electrode layer contacting wiring in the connection region and extending to pixel region
EP3229066A1 (en) 2005-12-05 2017-10-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 horizontal electric field configuration
JP5400904B2 (ja) * 2011-07-15 2014-01-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一体型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40012803A (ko) * 2012-07-23 2014-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50033468A (ko) * 2013-09-24 2015-04-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CN104571655B (zh) * 2013-10-15 2017-09-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KR102187911B1 (ko) * 2013-11-13 2020-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2144084B1 (ko) * 2013-11-19 2020-08-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KR102192035B1 (ko) 2013-12-02 2020-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162912B1 (ko) * 2013-12-06 2020-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을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02811B1 (ko) * 2013-12-16 2021-09-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2276330B1 (ko) 2014-03-10 2021-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4123054B (zh) * 2014-07-22 2017-10-20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KR101676770B1 (ko) * 2014-10-22 2016-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891769B2 (en) * 2014-11-25 2018-02-13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KR102289934B1 (ko) * 2014-11-28 2021-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535522B2 (en) * 2014-12-22 2017-01-03 Lg Display Co., Ltd.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9508681B2 (en) * 2014-12-22 2016-11-29 Google Inc. Stacked semiconductor chip RGBZ sensor
KR102312260B1 (ko) * 2015-01-09 2021-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4777637B (zh) * 2015-05-08 2018-01-02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阵列基板、触控显示装置及其测试方法
TWI581149B (zh) * 2015-11-02 2017-05-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面板
CN105655378A (zh) * 2016-01-04 2016-06-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和oled显示面板、制备方法及显示装置
TWI563652B (en) * 2016-02-26 2016-12-21 Au Optronics Corp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CN105810716A (zh) * 2016-04-01 2016-07-27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制备方法
KR102601207B1 (ko) * 2016-07-29 2023-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066099B1 (ko) * 2016-07-29 2020-0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430000B2 (en) * 2016-08-05 2019-10-01 Innolux Corporation Touch display device
KR102648415B1 (ko) * 2016-11-30 2024-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8183120B (zh) * 2016-12-08 2022-04-26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80070218A (ko) * 2016-12-16 2018-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76006A (ko) * 2016-12-27 2018-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76689A (ko) * 2016-12-28 2018-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966241B (zh) * 2017-01-11 2023-05-30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184A (ko) * 2015-01-28 2016-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92512A1 (en) 2020-06-18
US11907458B2 (en) 2024-02-20
CN111966241B (zh) 2023-05-30
CN111966241A (zh) 2020-11-20
US20180196564A1 (en) 2018-07-12
KR102545431B1 (ko) 2023-06-20
US10606391B2 (en) 2020-03-31
US20210397287A1 (en) 2021-12-23
US11567596B2 (en) 2023-01-31
KR20220126285A (ko) 2022-09-15
US20230111761A1 (en) 2023-04-13
KR102442395B1 (ko) 2022-09-08
US11144145B2 (en) 2021-10-12
CN108304086A (zh) 2018-07-20
CN108304086B (zh)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5431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US1072743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85286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15332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80076689A (ko) 표시 장치
KR2016009318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812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948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7119180B2 (ja) 表示装置
US20160204184A1 (en) Display device
KR20150108480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0797352B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2569341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WO2021218428A1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20200027600A (ko)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66050A (ko) 표시 장치
CN113892182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7240597B (zh) 具有触控功能的显示面板、oled模组和显示器
CN113900537A (zh) 电子装置
US10761626B2 (en) Touch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3272965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625273A (zh) 触控显示面板及电子设备
US11805684B2 (en) Display device
KR20220022513A (ko) 전자 장치
CN114610178A (zh) 触控基板和触控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