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711A - 엘리베이터 카의 지진 감지장치 및 지진 감지신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카의 지진 감지장치 및 지진 감지신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711A
KR20180082711A KR1020170003693A KR20170003693A KR20180082711A KR 20180082711 A KR20180082711 A KR 20180082711A KR 1020170003693 A KR1020170003693 A KR 1020170003693A KR 20170003693 A KR20170003693 A KR 20170003693A KR 20180082711 A KR20180082711 A KR 20180082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quake
unit
elevator car
sensing
occur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4559B1 (ko
Inventor
유승주
Original Assignee
(주) 태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두 filed Critical (주) 태두
Priority to KR1020170003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559B1/ko
Publication of KR20180082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 natural event, e.g. earthqu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지진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지진 발생을 감지하고, 이러한 지진 감지장치들을 이용하여 지진이 발생한 진앙지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지진 감지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X, Y, Z의 3축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가속도 검출부(102)가 검출한 정보를 연산부(110)가 연산하여 가속도 및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 거리 정보를 연산한다. 이러한 연산된 정보는 판단부(112)가 저장부(114)에 미리 저장된 엘리베이터 카의 정상 주행정보와 비교하고 지진 발생을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판단부(112)는 카의 도어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지진 감지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진 감지신호의 처리장치에는 복수 개의 지진 감지장치(100)들이 보내온 지진 감지신호와 발생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지진이 일어난 진앙지를 확인할 수 있는 관제센터(140)가 더 포함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카의 지진 감지장치 및 지진 감지신호 처리장치{Earthquake detection device of Elevator car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f earthquake detection signal thereof}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지진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지진 감지장치를 통해 지진 발생을 감지하면서 엘리베이터 카의 관제 운전을 실행하고 그 지진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진 감지장치 및 지진 감지신호를 처리하는 시스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적 교통운반 수단인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고층화에 따라 그 역할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안전에 대한 필요성이 최우선적으로 요구되는데, 이러한 안전장치의 예로 지진 발생시 관제 운전을 하여 승객의 안전과 기기의 기능을 보호하도록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지진 감지장치를 들 수 있다. 즉 지진 감지장치는 지진으로 인한 진동 발생 시 자동 관제시스템이 작동되게 하여 실질적으로 운행 중인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거나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하여 승객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지진 발생에 대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종래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10-2009-0009683호(선행문헌 1)가 있다. 상기 선행문헌 1은 휴대전화에 의한 긴급 지진 속보의 일제 통보 배포 서비스를 활용하여 지진 발생시 엘리베이터를 더욱 빨리 관제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일본 특개소 60-204588호(선행문헌 2)에는 2개의 지진 감지기를 구비하고 각 지진 감지기가 동작한 경우에 흔들림의 레벨에 따라 관제운전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1은 휴대전화망이 단절된 경우 지진 대응운전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문헌 2는 2개의 감지기가 각각 고 레벨과 저 레벨의 흔들림을 구분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경우 레벨 측정이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 정상적인 관제 운전이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승객의 출입이나 움직임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카가 움직일 경우 레벨 발생으로 인하여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잘못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종래기술은 지진으로 인한 진동 발생시 어느 정도의 관제운전을 통해 승객들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었지만 여전히 지진 감지의 측정 방법에 있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불필요하게 엘리베이터 카를 중지시키게 되어 카의 이용을 불편하게 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엘리베이터에 아직까지 지진 발생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되지 않아 지진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카의 화재 발생 및 추락 등의 2차 사고로 승객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물론 엘리베이터 카에 지진 감지기를 설치하여 지진 등의 재해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종래 지진 감지기는 고가이고, 특히 현재 운영중인 엘리베이터 카에는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 카에 지진 감지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지진 발생 판단을 더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지진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지진 감지장치를 활용하여 지진 발생의 진앙지를 알 수 있도록 지진감지신호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목적도 제공한다. 즉 종래 진앙지의 확인은 기상청 산하 각각의 관측소에서 지진파를 감지한 시간정보를 통해 진앙지를 계산하는데, 이 경우에도 관측소의 위치에 따라 정밀도가 많이 떨어져서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지진 감지장치를 활용하여 더 편리하게 진앙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의 지진 감지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X, Y, Z의 3축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가속도 검출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 열림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가속도 검출부 및 감지부가 보내는 정보를 수집하는 신호 수집부; 상기 신호 수집부가 수집한 정보를 연산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가 연산한 정보와 미리 저장된 엘리베이터 카의 정상 주행정보를 비교하고 지진 발생을 판단하는 판단부; 그리고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지진 감지신호를 승강기 제어반으로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 및 상기 지진 감지신호와 지진 감지신호의 발생시간 정보를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감지부가 도어 열림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지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가속도를 적분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 및 거리 정보를 추출하는 적분기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지진 감지장치는 소정 모양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설치 브라켓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신호 출력부와 인터페이스부가 외부와 연결되도록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진 감지신호 처리장치는,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지진 감지장치와, 복수 개의 상기 지진 감지장치가 전달하는 지진 감지신호와 지진 발생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지진이 발생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관제센터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관제센터는, 상기 지진 감지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지진 감지장치를 체크한 후 그 지진 감지장치로 지진 발생사실을 통보하며, 상기 지진 발생사실을 통보받은 지진 감지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제어하도록 대응하는 승강기 제어반에 지진 발생사실을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관제센터는 상기 지진 감지장치가 전송하는 지진 감지신호의 전체 비율을 분석하여 상기 지진 감지신호를 오동작 신호로 판단하거나 상기 지진 발생과 상관없는 신호로 판단하기도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한 지진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지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지진 발생시 승강기 제어반과의 협력을 통해 즉각적인 관제운행이 가능하다. 그만큼 지진 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진 감지장치는 기존의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은 엘리베이터 카에 지진 감지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실질적인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지진 발생으로 인한 사고를 막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역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설치된 다수 개의 지진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지진이 일어난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존의 관측소보다 더 많은 지진 감지신호를 분석할 수 있어 지진의 진앙지를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진 감지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진 감지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지진 발생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지진 감지장치는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통상 육면체 모양의 케이스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되는 설치 브라켓에 장착되어 각종 신호들의 분석을 통해 지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지진 감지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진 감지장치(100)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X, Y, Z의 3축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가속도 검출부(102)와,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 열림을 감지하는 감지부(104)가 구비된다. 여기서 감지부(104)는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에 설치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정보를 받거나 또는 승강기 제어반(130)의 도어 열림신호를 받아 도어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속도 검출부(102) 및 감지부(104)가 보내는 정보를 수집하는 신호 수집부(106)가 구비된다. 상기 감지부(104)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판단부(112)로 직접 도어 열림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신호 수집부(106)가 수집한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부(110)가 구비된다. 연산부(110)는 상기 가속도 정보 이외에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 및 거리 정보를 함께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가속도 정보를 적분하는 적분기(108)가 포함된다. 이러한 적분기(108)의 적분 동작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 및 거리 정보를 연산할 수 있게 된다. 즉 검출된 가속도를 적분하면 카의 속도가 추출되고, 카의 속도를 다시 적분하면 카의 이동 거리가 추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산부(110)가 연산한 정보와 저장부에(114) 저장된 엘리베이터 카의 정상 주행정보를 비교하고 지진 발생을 판단하는 판단부(1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정상 주행정보란 것은 지진이 발생하지 않은 일반적인 조건에서 엘리베이터 카가 통로를 따라 이동할 때의 속도나 거리, 진동 등을 정보를 모두 포함한 정보를 말한다. 또한, 일반적인 조건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정상 주행에 대한 가감속 패턴 정보도 포함한다. 따라서 판단부(112)는 저장된 정상주행정보와 현재 운행중인 카의 주행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지진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부(112)는 상기 감지부(104)가 감지한 도어 열림신호에 따라 도어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지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지 않도록 셋팅되어 있다. 즉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승객이 승차하고 하차할 때 또는 짐을 실을 때 엘리베이터 카의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로 인하여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잘못 판단할 수 있는 소지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판단부(11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지진 감지신호를 승강기 제어반(130)으로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113)가 구비된다. 이러한 신호 출력부(113)는 지진 감지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승강기 제어반(130)과의 통신로를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승강기 제어반(130)은 상기 지진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키거나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진 감지장치(100)에는 판단부(112)가 판단한 지진 감지신호와 발생시간 정보를 외부의 관제센터(140)로 전송하도록 인터페이스부(115)가 구비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15)는 외부의 입출력 모듈 또는 통신모듈(122)과 연결되고, 이러한 모듈(122)이 관제센터(140)와 연결되는 것이다. 물론, 지진 감지장치(100)에 통신모듈이 구비된다면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15)는 불필요하지만,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지진 감지장치의 크기나 제조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 통신모듈 대신 인터페이스부(115)를 마련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진 감지장치(100)는 구동 전원으로 배터리 전원부(117) 및 상시 전원부(118)를 사용하도록 전원부(116)가 구비되는데, 상시 전원부(118)는 엘리베이터 카에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며, 배터리 전원부(117)는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한다. 상기 배터리는 평상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공급하는 전원으로 충전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진 감지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에는 상기 신호 출력부(113)와 인터페이스부(115)가 각각 승강기 제어반(130), 외부 입출력 모듈 또는 통신모듈(122)과 연결되도록 커넥터(120)가 구비된다. 아울러 엘리베이터 카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부(116)도 커넥터(12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의 전원과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커넥터(120)들에 의해 지진 감지장치(100)는 각종 신호라인이나 모듈과 분리할 수 있고, 또한 지진 감지장치(100)의 케이스 자체도 브라켓에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진 감지장치(100)의 고장 발생시 작업자는 손쉽게 분리하여 보수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만큼 기존의 지진 감지기에 비해 제작 단가를 저렴하게 하면서도 지진 발생을 더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한층 더 간단하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지진 감지장치(100)에 구비된 커넥터(120)를 통해 각종 라인들을 연결하면서 케이스를 브라켓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진 감지장치가 없는 엘리베이터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어 기존의 엘리베이터도 지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과 관련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하는 관제센터(140)가 마련된다. 상기 관제센터(140)는 지진 감지장치(100)가 설치된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와 연결되며, 이러한 관제센터(140)는 지역별이나 빌딩별 또는 관리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개수에 따라 별도의 관제센터를 가질 수 있거나 둘 이상의 서브 관제센터를 관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관제센터(140)는 각각의 지진 감지장치(100)가 보내는 지진 감지신호와 발생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진앙지의 위치를 알아내는 기능도 수행한다. 또한, 지진 발생시점에 지진 발생을 확인할 수 없었던 엘리베이터 카에 지진 발생여부를 통보하는 기능과 지진 감지신호의 분석에 따라 지진 발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들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지진 감지장치를 작용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지진 발생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지진 감지장치(100)는 모든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되고, 지진 감지장치(100)는 승강기 제어반(130) 및 관제센터(140)와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평상시에는 엘리베이터 카는 정상적인 운행을 하게 될 것이다(S100).
그리고 이렇게 정상적으로 운행하는 조건에서 지진 감지장치(100)의 가속도 검출부(102)는 검출한 가속도 정보를 신호 수집부(106)를 통해 연산부(110)로 전달한다(S102). 그러면 연산부(10에 마련된 적분기(108)는 상기 가속도를 적분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 및 거리 정보를 연산한다. 이렇게 연산된 가속도, 속도 및 거리 정보가 실질적으로 지진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가 된다. 따라서 판단부(112)는 상기 연산된 가속도, 속도 및 거리 정보를 전달받고 지진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게 될 것이다(S104).
상기 판단부(112)가 지진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은 판단 데이터와 저장부(114)에 저장된 엘리베이터 카의 정상 주행정보를 비교하면 된다(S106). 즉 상기 연산부(110)는 상기 판단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전송하게 되고, 그러면 상기 판단부(112)는 전송받은 판단 데이터, 즉 가속도, 속도 및 거리정보와 상기 정상 주행정보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판단 데이터가 정상 주행정보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나타나면(S108), 판단부(112)는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지진 감지신호를 승강기 제어반(130)으로 출력한다(S110). 그 결과 승강기 제어반(130)은 탑승객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일시 정지시키거나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하도록 관제 운전을 한다(S112). 그러나 상기 비교결과 상기 판단 데이터가 정상 주행정보의 범위 내에 있다면 승강기 제어반(130)는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않고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적으로 운행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판단부(112)는 도어가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지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지는 않는다. 즉, 도어 열림상태는 승객들이 타고 내리는 조건일 수 있고, 상기 승객들의 승하차로 인해 엘리베이터 카에 어느 정도의 진동이나 가속도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진동이나 가속도까지 지진 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데이터로 활용하게 되면 실제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잘못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지진 감지장치(100)를 이용하면 지진의 진앙지를 쉽게 알 수도 있는데, 지진 발생의 진앙지를 확인하는 과정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지역별로 분포되어 설치되는 모든 엘리베이터 카의 지진 감지장치(100)는 지진을 감지하게 된다(S120). 그리고 지진 감지장치(100)는 이러한 지진 감지신호와 지진 발생시간 정보를 인터페이스부(115)를 통해 관제센터(140)로 전송하게 된다(S122). 따라서 상기 관제센터(140)는 지진 감지장치(100)에서 보내온 지진 감지신호와 발생시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센터(140)는 이렇게 수집된 지진 감지신호와 발생시간 정보를 이용하면 어느 하나의 위치를 지도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즉, 지진 발생시 지진파가 도달하는 시간은 모두 다르기 때문에 복수 개의 지진 감지장치(100)들이 보내온 지진파를 모두 표시하면 상호 중복되는 위치가 나타날 것이고, 이러한 위치가 실제 지진이 발생한 진앙지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지역별로 설치 운영되는 관측소를 이용하지 않고 단지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지진 감지장치를 이용하더라도 쉽게 진앙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S124).
이때, 모든 지진 감지장치(100)가 지진 감지신호를 관제센터(140)로 전송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지진 감지장치(100)는 지진 감지신호를 전송하지 않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엘리베이터 카는 지진이 실제 발생한 경우에도 지진을 감지하지 못하고 정상 운행하려고 할 것이고, 그 결과 사고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자 관제센터(140)는 지진 발생시 지진 감지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지진 감지장치(100)를 실시간 체크하게 되고(S126), 지진 감지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지진 감지장치(100)로 지진 발생사실을 알린다(S128). 상기 지진 발생사실은 지진 감지장치(100)에 설치된 알람을 통해 이루어진다(S130). 따라서 승객은 지진 발생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진 감지장치(100)는 관제센터(140)에서 지진 발생사실을 통보받으면 이러한 지진 발생사실을 해당 승강기 제어반(130)에 즉시 통보해서, 상기 승강기 제어반(130)이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제어하도록 한다(S132). 여기서, 관제센터(140)가 지진 감지장치(100)에는 지진 발생사실만을 알리고, 승강기 제어반(130)에 직접 지진 발생사실을 통보하여 그 승강기 제어반(130)이 바로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관제센터(140)는 지진 감지장치(100)가 전송하는 지진 감지신호를 통해 진앙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지진 발생을 감지하지 못한 엘리베이터 카에도 지진 발생을 통보할 수 있어 해당 엘리베이터 카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관제센터(140)는 이처럼 지진 감지장치(100)가 전송하는 지진 감지신호의 비율을 통해 지진 감지장치(100)의 오동작 여부도 판별할 수 있다. 지진 발생시 대부분의 지진 감지장치(100)가 지진 감지신호를 관제센터(140)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실제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나, 반대로 관제센터(140)가 극소수의 지진 감지장치에서만 지진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경우에는 오동작 신호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100대의 지진 감지장치가 있는 조건에서 1 ~ 2대의 지진 감지장치에서만 지진 감지신호가 전달된 경우라면, 실제 지진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이고, 따라서 그 지진 감지신호를 전달한 지진 감지장치의 오동작, 또는 지진 발생과는 상관없는 진동이 엘리베이터 카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지진감지장치 102: 가속도 검출부
104: 감지부 106: 신호수집부
110: 연산부 112: 판단부
113: 신호출력부 114: 저장부
115: 인터페이스부 116: 전원부
120: 커넥터 122: 외부 입/출력모듈, 통신모듈
130: 승강기 제어반 140: 관제센터

Claims (7)

  1. 엘리베이터 카의 X, Y, Z의 3축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가속도 검출부(102)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 열림을 감지하는 감지부(104);
    상기 가속도 검출부(102) 및 감지부(104)가 보내는 정보를 수집하는 신호 수집부(106);
    상기 신호 수집부(106)가 수집한 정보를 연산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부(110);
    상기 연산부(110)가 연산한 정보와 미리 저장된 엘리베이터 카의 정상 주행정보를 비교하고 지진 발생을 판단하는 판단부(112); 그리고
    상기 판단부(11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지진 감지신호를 승강기 제어반(130)으로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113) 및 상기 지진 감지신호와 지진 감지신호의 발생시간 정보를 관제센터(140)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115)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112)는 상기 감지부(104)가 도어 열림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지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지진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110)는, 상기 가속도를 적분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 및 거리 정보를 추출하는 적분기(108)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지진 감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진 감지장치(100)는 소정 모양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설치 브라켓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신호 출력부와 인터페이스부가 외부와 연결되도록 커넥터(120)가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지진 감지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적어도 하나의 항을 포함하는 지진 감지장치(100);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지진 감지장치(100)가 전달하는 지진 감지신호와 지진 발생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지진이 발생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관제센터(140)를 포함하는 지진 감지신호 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센터(140)는,
    상기 지진 감지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지진 감지장치(100)를 체크한 후 그 지진 감지장치(100)로 지진 발생사실을 통보하는 지진 감지신호 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진 발생사실을 통보받은 지진 감지장치(100)는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제어하도록 대응하는 승강기 제어반(130)에 지진 발생사실을 전달하는 지진 감지신호 처리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센터(140)는,
    상기 지진 감지장치(100)가 전송하는 지진 감지신호의 전체 비율을 분석하여 상기 지진 감지신호를 오동작 신호로 판단하거나 상기 지진 발생과 상관없는 신호로 판단하는 지진 감지신호 처리장치.
KR1020170003693A 2017-01-10 2017-01-10 엘리베이터 카의 지진 감지장치 및 지진 감지신호 처리장치 KR101924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693A KR101924559B1 (ko) 2017-01-10 2017-01-10 엘리베이터 카의 지진 감지장치 및 지진 감지신호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693A KR101924559B1 (ko) 2017-01-10 2017-01-10 엘리베이터 카의 지진 감지장치 및 지진 감지신호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711A true KR20180082711A (ko) 2018-07-19
KR101924559B1 KR101924559B1 (ko) 2018-12-04

Family

ID=6305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693A KR101924559B1 (ko) 2017-01-10 2017-01-10 엘리베이터 카의 지진 감지장치 및 지진 감지신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066B1 (ko) * 2019-08-05 2020-10-28 주식회사 라온컨버전스 딥 러닝을 적용한 지진파형 탐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4509A (zh) * 2019-05-28 2019-10-08 浙江新再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九轴陀螺仪的电梯平台定位系统
KR102129014B1 (ko) 2019-08-23 2020-07-02 주식회사 에너지파트너즈 엘리베이터 비상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066B1 (ko) * 2019-08-05 2020-10-28 주식회사 라온컨버전스 딥 러닝을 적용한 지진파형 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559B1 (ko)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559B1 (ko) 엘리베이터 카의 지진 감지장치 및 지진 감지신호 처리장치
KR101394380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406031B1 (ko) 2차 충돌사고 방지를 위한 사고알림 시스템
CN112509270A (zh) 一种列车车厢的火灾监控联动方法、装置及系统
CN109748170A (zh) 电梯故障告警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6463059A (zh) 障碍物信息管理装置
US20190077633A1 (en) Elevator device
KR101934777B1 (ko)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학습 기반의 스크린도어 관리시스템
US20220264081A1 (en) Sensing performance evaluation and diagnosis system and sensing performance evaluation and diagnosis method for external-environment recognition sensor
WO2016208914A1 (ko) 차량 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콜 시스템
US499860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operation of an elevator system at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KR100627603B1 (ko) 열차자동후부감지장치
EP3872018B1 (en) An elevator monitoring system
JP2003194576A (ja) 車両情報取得方法、車載センサ装置、および車両監視システム
KR101612867B1 (ko) 돌발상황발생 차량정보 인식을 통한 돌발상황 감시시스템 및 방법
KR102348615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CN110481318A (zh) 一种防酒驾监测与控制系统
CN115009951A (zh) 一种电梯轿厢运行监测装置及方法
US20220063957A1 (en) Elevator smoke and fire detection system
EP3945335A1 (en)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of infrastructure sensor apparatus, infrastructure sensor apparatus, infrastructure sensor system, and abnormality detection program
KR101944068B1 (ko) 승강장안전문 이중화 동작감시시스템
KR20120014092A (ko) 열차 탈선 검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29250A (ko) 터널 내 교통사고 및 사고검지 시스템
KR20170133592A (ko) 승강장 추락방지 시스템
CN214879310U (zh) 一种电梯冲顶和蹲底的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