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309A - 하우스 완구 - Google Patents

하우스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309A
KR20180082309A KR1020170161550A KR20170161550A KR20180082309A KR 20180082309 A KR20180082309 A KR 20180082309A KR 1020170161550 A KR1020170161550 A KR 1020170161550A KR 20170161550 A KR20170161550 A KR 20170161550A KR 20180082309 A KR20180082309 A KR 20180082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all portion
connection
house
to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8422B1 (ko
Inventor
리에 사카타
유코 에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ublication of KR20180082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52Dolls' houses, furniture or other equipment; Dolls' clothing or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42Toy models or toy scenery not otherwise covered

Landscapes

  • Toy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개폐 시의 우려를 최대한 해소할 수 있는 하우스 완구를 제공한다.
하우스 완구(10)는,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12)와, 제2 케이스(12)를 제1 케이스(11)의 개구를 폐쇄한 폐색 상태와 제1 케이스(11)의 개구를 개방한 개방 상태로 변화할 수 있도록 제1 케이스(1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접속 기구 JM을 구비하고 있다. 접속 기구 JM은, 제2 케이스(12)를 폐색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화시킬 때의 회동 각도가 상한 각도를 초과했을 때에 상기 접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하우스 완구{HOUSE TOY}
본 발명은 인형 완구 등을 사용한 유희에 사용되는 하우스 완구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하우스 완구에 관한 것이며, 후기 특허문헌 1에는, 프레임체와 그 전후부 각각에 설치된 벽체를 가지며, 또한 적어도 한쪽의 벽체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상자형의 하우스 본체를 구비한 하우스 완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후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하우스 완구는, 벽체를 프레임체와의 경계 부분에서 꺾어 구부림으로써 당해 벽체의 개폐가 행해지기 때문에, 벽체의 개폐 시에 부적당한 조작에 기초하는 힘이 경계 부분에 걸리면, 동일 경계 부분이 손상되어 그 후의 벽체의 개폐에 지장을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소) 60-07360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폐 시의 우려를 최대한 해소할 수 있는 하우스 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하우스 완구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의 개구를 폐쇄한 폐색 상태와 상기 제1 케이스의 개구를 개방한 개방 상태로 변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접속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속 기구는,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폐색 상태로부터 상기 개방 상태로 변화시킬 때의 회동 각도가 상한 각도를 초과했을 때에 상기 접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하우스 완구에 의하면, 개폐 시의 우려를 최대한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하우스 완구의 폐색 상태의 정면도.
도 2은 도 1에 도시한 하우스 완구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하우스 완구의 배면도.
도 4은 도 1에 도시한 하우스 완구의 우측면도.
도 5은 도 1에 도시한 하우스 완구의 개방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하우스 완구의 개방 상태의 우측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한 하우스 완구가 구비하는 접속 기구의 설명도.
도 8의 (A) 내지 도 8의 (C)는 도 1에 도시한 하우스 완구가 구비하는 접속 기구의 설명도.
도 9의 (A) 및 도 9의 (B)는 도 8에 도시한 접속 기구의 변형예의 설명도.
도 10의 (A) 내지 도 10의 (D)는 도 1에 도시한 하우스 완구가 구비하는 로크 기구의 설명도.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하우스 완구에 적용 가능한 계단상 물품의 설명도.
도 12의 (A) 및 도 12의 (B)는 도 1에 도시한 하우스 완구에 적용 가능한 보조 적재부의 설명도.
먼저, 도 1 내지 도 10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하우스 완구(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의 「폐색 상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상태를 나타내고, 「개방 상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상태를 나타낸다.
하우스 완구(10)는,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12)와, 접속 기구 JM과, 로크 기구 LM(로크 조작부(13))과, 파지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스 완구(10)는, 일부의 금속 부품(로크 기구 LM의 탄성 부재(13d) 등)을 제외하고, ABS 수지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케이스(11)는 개방 상태에서 설명하면 외형이 직사각 형상을 이루는 저부(11a)와, 저부(11a)의 주위에 설치된 벽부, 구체적으로는 제1 벽 부분(11b)과, 제1 벽 부분(11b)과 마주 향하는 제2 벽 부분(11c)과, 제3 벽 부분(11d)과, 제3 벽 부분(11d)과 마주 향하는 제4 벽 부분(11e)이 연속된 벽부(부호 생략)를 갖고 있다. 제1 벽 부분(11b)의 외형과 제2 벽 부분(11c)의 외형은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2 벽 부분(11c)의 높이(제2 높이)는 제1 벽 부분(11b)의 높이(제1 높이)보다도 높다. 또한, 제3 벽 부분(11d)과 제4 벽 부분(11e)의 각각은, 제1 높이로부터 제2 높이로 변화하는 형태의 상부 에지, 구체적으로는 측방으로부터 보아 오목 곡선과 볼록 곡선을 조합한 형태의 상부 에지를 갖고 있다. 또한, 제1 벽 부분(11b)의 상부 에지와 제2 벽 부분(11c)의 상부 에지와 제3 벽 부분(11d)의 상부 에지와 제4 벽 부분(11e)의 상부 에지에 의해, 제1 케이스(11)의 개구(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케이스(11)는 개방 상태에 있어서, 저부(11a)의 내면이, 유희용의 각종 물품, 예를 들어 미니어처 가구나 미니어처 인형이나 미니어처 식료품 등을 적재 가능한 면으로서 사용된다.
제2 케이스(12)는 제1 케이스(11)와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즉, 제2 케이스(12)는 개방 상태에서 설명하면 외형이 직사각 형상을 이루는 저부(12a)와, 저부(12a)의 주위에 설치된 벽부, 구체적으로는 제1 벽 부분(12b)과, 제1 벽 부분(12b)과 마주 향하는 제2 벽 부분(12c)과, 제3 벽 부분(12d)과, 제3 벽 부분(12d)과 마주 향하는 제4 벽 부분(12e)이 연속된 벽부(부호 생략)를 갖고 있다. 제1 벽 부분(12b)의 외형과 제2 벽 부분(12c)의 외형은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2 벽 부분(12c)의 높이(제2 높이: 제1 케이스(11)의 제2 벽 부분(11c)의 높이와 대략 동일)는 제1 벽 부분(12b)의 높이(제1 높이: 제1 케이스(11)의 제1 벽 부분(11b)의 높이와 대략 동일)보다도 높다. 또한, 제3 벽 부분(12d)과 제4 벽 부분(12e)의 각각은 제1 높이로부터 제2 높이로 변화하는 형태의 상부 에지, 구체적으로는 제1 케이스(11)의 제3 벽 부분(11d)과 제4 벽 부분(11e)과 마찬가지로, 측방으로부터 보아 오목 곡선과 볼록 곡선을 조합한 형태의 상부 에지를 갖고 있다. 또한, 제1 벽 부분(12b)의 상부 에지와 제2 벽 부분(12c)의 상부 에지와 제3 벽 부분(12d)의 상부 에지와 제4 벽 부분(12e)의 상부 에지에 의해, 제2 케이스(12)의 개구(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케이스(12)는 개방 상태에 있어서, 저부(12a)의 내면이, 유희용의 각종 물품을 적재 가능한 면으로서 사용된다.
접속 기구 JM은, 제2 케이스(12)가 제1 케이스(11)의 개구를 폐쇄한 폐색 상태와 제1 케이스(11)의 개구를 개방한 개방 상태로 변화할 수 있도록, 제1 케이스(11)에 대하여 제2 케이스(12)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또한, 접속 기구 JM은, 제2 케이스(12)를 폐색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화시킬 때의 회동 각도 RA(도 8의 (B) 및 도 8의 (C)를 참조)가 상한 각도를 초과했을 때에, 접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속 기구 JM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에 설치된 제1 접속부 JM1과, 제2 케이스(12)에 설치된 제2 접속부 JM2를 포함하고, 제2 케이스(12)를 폐색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화시킬 때의 회동 각도가 상한 각도를 초과했을 때에, 제1 접속부 JM1로부터 제2 접속부 JM2를 이반시켜 상기 접속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제1 접속부 JM1은, 개방 상태에서 설명하면 제1 케이스(11)의 제2 벽 부분(11c)의 외면 상부에 설치된 좌우 1쌍의 축 지지부(11f)와, 1쌍의 축 지지부(11f)의 사이에 설치된 종단면이 원 형상인 축부(11g)와, 각 축 지지부(11f)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좌우 1쌍의 보조 접속부(11h)를 갖고 있다. 축부(11g)의 중심선은 제2 벽 부분(11c)의 상부 에지와 평행하고, 축부(11g)와 제2 벽 부분(11c)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 또한, 1쌍의 축 지지부(11f)와 1쌍의 보조 접속부(11h)는, 종단면이 반원상인 상부와 종단면이 직사각 형상인 하부가 연속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도 8의 (A)를 참조). 또한, 1쌍의 보조 접속부(11h)는 탄성이 얻어지는 두께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부 외측면에는 반구상의 볼록부(11h1)가 형성되어 있다. 각 보조 접속부(11h)의 볼록부(11h1)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은, 축부(11g)의 중심선과 일치한다.
도 7에 도시한 제2 접속부 JM2는, 개방 상태에서 설명하면 제2 케이스(12)의 제1 벽 부분(12b)의 외면 상부에 설치된 접속 유지부(12f)와, 접속 유지부(12f)의 좌우 양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좌우 1쌍의 보조 접속부(12g)를 갖고 있다. 접속 유지부(12f)는, 종단면이 원호상인 형태, 구체적으로는 내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축부(11g)의 외면의 곡률 반경보다도 약간 크며, 또한 두께가 상기 축부(11g)와 상기 제2 벽 부분(11c)의 간극보다도 약간 작고, 게다가 중심각이 대략 90도인 형태를 이루고 있다(도 8의 (A)를 참조). 또한, 접속 유지부(12f)의 곡률 반경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은 제1 벽 부분(12b)의 상부 에지와 평행하고, 그 폭은 상기 축부(11g)의 길이보다도 작다. 또한, 1쌍의 보조 접속부(12g)는 종단면이 대략 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각각의 내측면에는 상기 볼록부(11h1)의 끼워맞춤 및 그 해제를 가능하게 한 반구상의 오목부(12g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1쌍의 보조 접속부(12g)의 간격은 상기 1쌍의 보조 접속부(11h)의 상부 외측면의 간격보다도 약간 크고, 각 오목부(12g1)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은, 접속 유지부(12f)의 곡률 반경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과 일치한다.
도 7에 도시한 제1 접속부 JM1과 제2 접속부 JM2는, 제2 접속부 JM2의 접속 유지부(12f)를, 제1 접속부 JM1의 축부(11g)와 제2 벽 부분(11c)의 간극에 위로부터 삽입함과 함께, 제2 접속부 JM2의 각 보조 접속부(12g)의 오목부(12g1)를, 제1 접속부 JM1의 각 보조 접속부(11h)의 볼록부(11h1)에 각각 끼워 넣음으로써, 제1 케이스(11)에 대하여 제2 케이스(12)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접속 기구 JM이 된다.
즉, 폐색 상태에서는, 제2 케이스(12)의 접속 유지부(12f)가 제1 케이스(11)의 축부(11g)의 외주면의 하측에 달하고 있으며(도 8의 (A)를 참조), 또한 제2 케이스(12)의 각 보조 접속부(12g)의 오목부(12g1)가 제1 케이스(11)의 각 보조 접속부(11h)의 볼록부(11h1)에 각각 끼워 넣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접속은 유지되어 있다. 즉, 이 폐색 상태에서는, 제2 케이스(12)의 접속 유지부(12f)의 상방 변위가 제1 케이스(11)의 축부(11g)의 외주면에 의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케이스(12)의 제1 벽 부분(12b)에 상향의 힘이 작용해도 상기 접속은 유지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12)가 대략 동일한 형상이기 때문에, 폐색 상태에서는 서로의 개구가 폐쇄되어 전체 형상이 대략 직육면체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폐색 상태의 제2 케이스(12)의 제1 벽 부분(12b)를 제외한 부분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제2 케이스(12)의 접속 유지부(12f)가 제1 케이스(11)의 축부(11g)의 외주면을 따라 회동함과 함께, 제2 케이스(12)의 각 보조 접속부(12g)가 각각의 오목부(12g1)를 중심으로 하여 제1 케이스(11)의 각 보조 접속부(11h)에 대하여 회전한다(도 8의 (B)를 참조). 즉, 제2 케이스(12)는 접속 기구 JM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한다. 이때의 제2 케이스(12)의 회동 각도 RA가 상한 각도(180도)에 달하면, 제2 케이스(12)의 제1 벽 부분(12b)의 외면 하부가 제1 케이스(11)의 축 지지부(11f)의 하부 외면(11f1)에 맞닿아 그 이상의 회동이 억제된다. 즉, 제2 케이스(12)의 회동 각도 RA가 상한 각도(180도)에 달할 때까지는, 접속 기구 JM의 접속 유지부(12f) 등에 의해 상기 접속은 유지된다.
한편, 제2 케이스(12)의 회동 각도 RA가 상한 각도(180도)를 초과하면(도 8의 (C)를 참조), 제2 케이스(12)의 제1 벽 부분(12b)의 외면 하부가 제1 케이스(11)의 축 지지부(11f)의 하부 외면(11f1)에 압박되고, 이 압박에 의한 지레 작용에 의해, 제2 케이스(12)의 접속 유지부(12f)가 제1 케이스(11)의 축부(11g)로부터 이격됨과 함께, 제2 케이스(12)의 각 보조 접속부(12g)의 오목부(12g1)가 제1 케이스(11)의 각 보조 접속부(11h)의 볼록부(11h1)로부터 빠져, 상기 접속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2 케이스(12)를 폐색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화시킬 때의 회동 각도 RA가 상한 각도(180도)를 초과해도, 바꾸어 말하면 제2 케이스(12)의 개방 시에 부적당한 조작에 기초하는 힘이 접속 기구 JM에 걸려도, 당해 접속 기구 JM에 의한 접속이 해제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접속 기구 JM에 손상을 발생시키는 일은 없다. 가령, 부적당한 조작에 의해 상기 접속이 해제되어 버린 경우에도, 제2 케이스(12)의 접속 유지부(12f)를, 제1 케이스(11)의 축부(11g)와 제2 벽 부분(11c)의 간극에 위로부터 삽입함과 함께, 제2 케이스(12)의 각 보조 접속부(12g)의 오목부(12g1)를, 제1 케이스(11)의 각 보조 접속부(11h)의 볼록부(11h1)에 각각 끼워 넣음으로써, 접속 기구 JM을 복원하여, 제1 케이스(11)에 대하여 제2 케이스(12)를 회동 가능하게 다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접속 기구 JM으로서, 도 8의 (A)에는 중심각이 대략 90도인 접속 유지부(12f)를 갖는 것을 나타냈지만, 이 접속 유지부(12f) 대신에 중심각이 90도를 초과하는 접속 유지부(12f), 예를 들어 중심각을 대략 135도로 한 접속 유지부(12f-1)(도 9의 (A)를 참조)나, 중심각을 대략 180도로 한 접속 유지부(12f-2)(도 9의 (B)를 참조)를 채용해도, 상기 마찬가지의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축부(11g)의 강도가 높으며, 또한 접속 유지부(12f)의 강도나 탄성 등이 높은 경우에는, 그 중심각이 180도를 초과하는 접속 유지부(12f)도 채용 가능하다.
또한, 접속 기구 JM으로서, 보조 접속부(11h)에 볼록부(11h1)를 마련하며, 또한 보조 접속부(12g)에 이 볼록부(11h1)의 끼워맞춤 및 그 해제를 가능하게 한 오목부(12g1)를 마련한 것을 나타냈지만, 보조 접속부(11h)측에 오목부를 마련하며, 또한 보조 접속부(12g)측에 오목부를 마련해도 된다. 또한, 접속 기구 JM으로서, 그 중심각이 180도를 초과하는 접속 유지부(12f)를 채용한 경우에는, 이 접속 유지부(12f)만으로, 제1 케이스(11)에 대한 제2 케이스(12)의 회동 가능한 접속 및 그 해제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제1 접속부 JM1로부터 보조 접속부(11h)를 배제하며, 또한 제2 접속부 JM2로부터 보조 접속부(12g)를 배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접속 기구 JM으로서, 제2 케이스(12)를 폐색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화시킬 때의 회동 각도 RA의 상한값을 180도로 한 것을 나타냈지만, 개방 상태에 있어서 제2 케이스(12)의 저부(12a)의 내면에 유희용의 각종 물품을 적재 가능하면, 회동 각도 RA의 상한값은 180도 이외의 수치, 예를 들어 185도나 175도로 해도 된다.
로크 기구 LM은, 제2 케이스(12)의 폐색 상태의 유지 및 그 해제를 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로크 기구 LM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의 제1 벽 부분(11b)의 외면 상부에 형성된 대략 직육면체상의 제1 걸림 결합 볼록부(11i)와, 제2 케이스(12)의 제2 벽 부분(12c)의 외면 하부에 설치된 대략 직육면체상의 제2 걸림 결합 볼록부(12h)와, 제2 케이스(12)의 제2 벽 부분(12c)의 외면 하부에 설치된 대략 직육면체상의 가이드부(12i)와, 대략 원기둥상의 로크 조작부(13)를 포함한다. 로크 조작부(13)의 일면에는, 제1 걸림 결합 볼록부(11i)의 삽입 및 발출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일단부를 개방한 대략 직육면체상의 제1 걸림 결합 오목부(13a)와, 제2 걸림 결합 볼록부(12h)의 삽입 및 발출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일단부를 개방한 대략 직육면체상의 제2 걸림 결합 오목부(13b)와, 가이드부(12i)의 장착을 가능하게 한 대략 직육면체상의 가이드 홈(13c)과, 가이드 홈(13c) 내에 배치되며, 또한 가이드부(12i)의 가압을 가능하게 한 탄성 부재(13d)가 설치되어 있다(도 10의 (C)를 참조).
도 10의 (A) 및 도 10의 (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크 조작부(13)는, 그 가이드 홈(13c) 내에 가이드부(12i)가 장착되며, 또한 탄성 부재(13d)에 의해 가이드부(12i)가 도면 중 좌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제2 케이스(12)의 제2 벽 부분(12c)의 외면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했지만, 로크 조작부(13)의 가이드부(12i)와 가이드 홈(13c)에는, 로크 조작부(13)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 예를 들어 장착 시에 서로 걸림 결합 가능한 요철부 등이 형성되어 있다.
폐색 상태에서는, 로크 조작부(13)의 제1 걸림 결합 오목부(13a)에 제1 케이스(11)의 제1 걸림 결합 볼록부(11i)가 삽입되며, 또한 제2 걸림 결합 오목부(13b)에 제2 케이스(12)의 제2 걸림 결합 볼록부(12h)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케이스(12)의 폐색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도 10의 (A)를 참조).
로크 조작부(13)를 도 10의 (A)에 도시한 유지 상태로부터 도면 중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로크 조작부(13)의 제1 걸림 결합 오목부(13a)로부터 제1 케이스(11)의 제1 걸림 결합 볼록부(11i)를 발출하며, 또한 제2 걸림 결합 오목부(13b)로부터 제2 케이스(12)의 제2 걸림 결합 볼록부(12h)를 발출하면, 상기 유지가 해제되기 때문에, 제2 케이스(12)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도 10의 (D)를 참조).
또한, 제2 케이스(12)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색 상태로 변화시킬 때에 로크 조작부(13)를 상기 마찬가지로 이동시키고, 폐색 완료 후에 로크 조작부(13)를 탄성 부재(13d)의 가압력에 의해 복귀시키면, 로크 조작부(13)의 제1 걸림 결합 오목부(13a)에 제1 케이스(11)의 제1 걸림 결합 볼록부(11i)가 삽입되며, 또한 제2 걸림 결합 오목부(13b)에 제2 케이스(12)의 제2 걸림 결합 볼록부(12h)가 삽입되기 때문에, 제2 케이스(12)가 폐색 상태에서 다시 유지되게 된다(도 10의 (A) 및 도 10의 (D)를 참조).
또한, 로크 기구 LM으로서, 제2 케이스(12)의 제2 벽 부분(12c)에 제2 걸림 결합 볼록부(12h)를 형성하며, 또한 로크 조작부(13)의 일면에 제2 걸림 결합 볼록부(12h)의 삽입 및 발출을 가능하게 한 제2 걸림 결합 오목부(13b)를 형성한 것을 나타냈지만, 로크 조작부(13)가 제2 케이스(12)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걸림 결합 볼록부(12h)와 제2 걸림 결합 오목부(13b)를 배제해도 상기 마찬가지의 유지 및 그 해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로크 기구 LM으로서, 로크 조작부(13) 등을 갖는 것을 나타냈지만, 제2 케이스(12)의 폐색 상태의 유지 및 해제가 가능하면, 간이한 로크 기구, 예를 들어 스냅 정이나 크레센트 정 등을 대신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파지부(14)는 폐색 상태에 있는 하우스 완구(10)를 들어 나를 때에 사용되는 것이며, 폐색 상태에서 설명하면 외관이 대략 コ자상이며, 제2 케이스(12), 구체적으로는 제2 케이스(12)의 저부(12a)의 외면의 대략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이 파지부(14)는 제2 케이스(12)를 폐색 상태로부터 개방했을 때에 당해 제2 케이스(12)를 지지하는 부재를 겸용하고 있다.
즉, 파지부(1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면 FS 위에 제1 케이스(11)를 놓고 제2 케이스(12)를 폐색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화시킬 때의 회동 각도 RA(도 8의 (B)를 참조)가 상한 각도(180도)에 달했을 때에, 적재면 FS에 맞닿아 제2 케이스(12)를 지지하는 역할을 다한다. 바꾸어 말하면, 파지부(14)의 형상 및 높이는, 도 6에 도시한 개방 상태에 있어서, 제2 케이스(12)의 저부(12a)의 내면이, 제1 케이스(11)의 저부(11a)의 내면과 마찬가지로, 유희용의 각종 물품을 적재 가능한 면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조정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제2 케이스(12)의 저부(12a)의 내면을, 유희용의 각종 물품을 적재 가능한 면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당해 저부(12a)의 내면은, 제1 케이스(11)의 저부(11a)의 내면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제2 케이스(12)의 저부(12a)의 내면과 제1 케이스(11)의 저부(11a)의 내면이 적재면 FS에 대하여 상이한 높이 위치로 되도록 함으로써, 제1 케이스(11)의 저부(11a)의 내면을 1층 플로어와 비슷하게 하며, 또한 제2 케이스(12)의 저부(12a)의 내면을 2층 플로어와 비슷하게 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하우스 완구(10)의 유희 방법을, 상기 하우스 완구(10)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개재시켜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하는 유희 방법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상기 하우스 완구(10)의 유희 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폐색 상태의 하우스 완구(10)는, 로크 기구 LM에 의해 제2 케이스(12)가 폐색 상태에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파지부(14)를 손으로 쥐고 목적지에 들어 나를 수 있다. 또한, 폐색 상태의 하우스 완구(10)는 그 내측에 공간이 있기 때문에, 유희용의 각종 물품을 동일 공간에 수납한 채 들어 나르는 것도 가능하다.
폐색 상태의 하우스 완구(10)를 목적지에 들어 나른 후는 제1 케이스(11)의 저부(11a)의 외면이 가능한 한 평평한 면(적재면)에 접하도록 하우스 완구(10)를 놓고, 로크 기구 LM에 의한 폐색 상태의 유지를 해제하고(도 10의 (D)를 참조), 제2 케이스(12)를 폐색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화시킨다(도 6 및 도 8의 (B)를 참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12)를 폐색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화시킬 때, 제2 케이스(12)의 회동 각도 RA가 상한 각도(180도)에 달하면, 제2 케이스(12)의 그 이상의 회동은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도 8의 (B)를 참조). 만일, 제2 케이스(12)의 회동 각도 RA가 상한 각도(180도)를 초과했을 때에는 접속 기구 JM에 의한 접속이 해제되기 때문에(도 8의 (C)를 참조), 제2 케이스(12)의 개방 시에 부적당한 조작에 기초하는 힘이 접속 기구 JM에 걸려도 당해 접속 기구 JM에 손상을 발생시키는 일은 없다. 또한, 부적당한 조작에 의해 상기 접속이 해제되어 버린 경우에도, 접속 기구 JM을 복원함으로써 제1 케이스(11)에 대하여 제2 케이스(12)를 회동 가능하게 다시 접속할 수 있다.
유희용의 각종 물품을 폐색 상태의 하우스 완구(10) 내에 수납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2 케이스(12)를 폐색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화시킨 후에 이들 물품을 취출하여 개방 상태의 하우스 완구(10)의 근처에 놓는다. 또한, 유희용의 각종 물품을 하우스 완구(10)와 따로 들어 나른 경우도, 이들 물품을 하우스 완구(10)의 근처에 놓는다. 제2 케이스(12)를 폐색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화시키면, 제2 케이스(12)는 파지부(14)에 의해 개방 상태 그대로 지지되기 때문에, 제2 케이스(12)를 개방 상태에서 유지하기 위하여 다른 도구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또한, 개방 상태의 하우스 완구(10)는, 제1 케이스(11)의 저부(11a)의 내면과 제2 케이스(12)의 저부(12a)의 내면의 각각을, 유희용의 각종 물품을 적재 가능한 면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게다가, 제1 케이스(11)의 저부(11a)의 내면을 1층 플로어와 비슷하게 하며, 또한 제2 케이스(12)의 저부(12a)의 내면을 2층 플로어와 비슷하게 한 외관으로 되어 있다(도 6을 참조). 즉, 제1 케이스(11)의 저부(11a)의 내면과 제2 케이스(12)의 저부(12a)의 내면의 각각에 각종 물품을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물품이 놓인 방을 만들어 내어 유희를 즐길 수 있다.
유희를 종료할 때에는, 제2 케이스(12)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색 상태로 변화시킴과 함께 로크 기구 LM에 의해 폐색 상태의 유지를 행한다(도 10의 (A)를 참조). 유희용의 각종 물품은 제2 케이스(12)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색 상태로 변화시킬 때에, 그 내측 공간에 수납해도 되고, 외부로 꺼내도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폐색 상태의 하우스 완구(10)는 파지부(14)를 손으로 쥐고 들어 나를 수 있기 때문에, 유희 종료 후는 폐색 상태의 하우스 완구(10)를 상기 목적지와는 상이한 장소로 운반 또는 보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1을 사용하여, 상기 하우스 완구(10)에 유용한 계단상 물품(15)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계단상 물품(15)은, 개방 상태의 하우스 완구(10)의 제1 케이스(11)의 저부(11a)의 내면을 1층 플로어와 비슷하게 하며, 또한 제2 케이스(12)의 저부(12a)의 내면을 2층 플로어와 비슷한 외관으로 한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도 11에 도시한 계단상 물품(15)은, 외관이 대략 L자상을 이루는 2개의 지주(15a) 사이에 복수의 평판상의 디딤판(15b)을 등간격으로 설치한 것이다. 제2 케이스(12)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색 상태로 변화시킨 후에 계단상 물품(15)의 일단부측의 굴곡 부분을 접속 기구 JM 위에 걸며, 또한 타단부를 제1 케이스(11)의 저부(11a)의 내면에 접하도록 배치하면, 1층 플로어(제1 케이스(11)의 저부(11a)의 내면)로부터 2층 플로어(제2 케이스(12)의 저부(12a)의 내면)를 연락하는 계단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또한, 계단상 물품(15)은, 도 11에 도시한 형태에 한하지 않고, 마찬가지의 배치가 가능한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사다리를 모방한 형태나 줄사닥다리를 모방한 형태 등으로 변경해도 된다.
이어서, 도 12를 사용하여, 상기 하우스 완구(10)에 유용한 보조 적재부(16)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보조 적재부(16)는 제2 케이스의 제4 벽 부분(12e)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외부에 개방함으로써 물품을 적재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보조 적재부(16)는 제2 케이스의 제4 벽 부분(12e)에 마련한 원 형상의 구멍(12e1)에 대한 끼워맞춤 및 그 해제를 가능하게 한 외형이 원 형상인 삽입부(16a)와, 삽입부(16a)보다도 외형이 큰 원 형상인 플랜지부(16b)와, 삽입부(16a)에 일단부를 연결되며, 또한 제2 케이스의 제4 벽 부분(12e)에 설치한 규제부(12e2)에 의해 인출량이 제한된 띠 형상의 개폐 제어부(16c)를 갖고 있다.
보조 적재부(16)를 사용할 때는, 보조 적재부(16)의 삽입부(16a)를 구멍(12e1)으로부터 발출하고, 개폐 제어부(16c)의 인출량이 제한될 때까지 보조 적재부(16)를 외부에 개방하면 된다. 보조 적재부(16)의 개방 각도는 대략 90도가 바람직하고, 이 개방 각도는 규제부(12e2)와 개폐 제어부(16c)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개방한 후의 보조 적재부(16)에는 유희용의 각종 물품 중 원하는 물품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스의 제4 벽 부분(12e)에 형성한 구멍(12e1)은, 보조 적재부(16)를 개방한 후에 창 구멍과 비슷한 것이 되기 때문에, 창이 개방된 방과 같은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보조 적재부(16)는 도 12에 도시한 형태에 한하지 않고, 마찬가지의 개폐 및 물품의 적재가 가능한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삽입부(16a)와 플랜지부(16b)의 외형을 직사각 형상으로 하며, 또한 제2 케이스의 제4 벽 부분(12e)에 형성한 구멍(12e1)을 직사각 형상으로 한 형태나, 제2 케이스의 제4 벽 부분(12e)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으며, 또한 제4 벽 부분(12e)의 외면에 외형이 원 형상 또는 직사각 형상인 보조 적재부(16)를 약 90도의 개폐가 되도록 배치한 형태 등으로 변경해도 된다. 또한, 보조 적재부(16)는 상기한 다른 형태의 보조 적재부를 포함하고, 제2 케이스의 제4 벽 부분(12e) 이외의 개소,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벽 부분(12b 내지 12d)의 어느 것에 설치해도 되고, 제2 케이스(12)의 벽부와 제1 케이스(11)의 벽부 양쪽에 설치해도 되고, 제1 케이스(11)의 벽부에만 설치해도 된다.
이어서, 상기 하우스 완구(10)에 관한 다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형예 1) 상기 하우스 완구(10)로서,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12)가 대략 동일 형상임을 나타냈지만, 제1 케이스(11)의 제1 벽 부분(11b)의 높이(제1 높이)를 증가시키며, 또한 제2 케이스(12)의 제2 벽 부분(12c)의 높이(제2 높이)를 이 증가분만큼 감소시킨 비동일 형상인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사용해도, 접속 기구 JM에 의해 제2 케이스를 폐색 상태와 개방 상태로 변화할 수 있음과 함께, 접속 기구 JM의 접속 해제 기능에 의한 작용 효과를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다.
(변형예 2) 상기 하우스 완구(10)로서, 제1 케이스(11)의 제3 벽 부분(11d)과 제4 벽 부분(11e)의 각각의 상부 에지와, 제2 케이스(12)의 제3 벽 부분(12d)과 제4 벽 부분(12e)의 각각의 상부 에지를, 측방으로부터 보아 오목 곡선과 볼록 곡선을 조합한 형태로 한 것을 나타냈지만, 제1 높이로부터 제2 높이로 변화하는 형태의 상부 에지라면, 제각기 제3 벽 부분의 상부 에지와 제각기 제4 벽 부분의 상부 에지를, 측방으로부터 보아 사선이 되는 형태로 해도 되고, 측방으로부터 보아 제1 높이의 직선과 제2 높이의 직선과 제1 높이로부터 제2 높이를 향하는 직선을 조합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10: 하우스 완구
11: 제1 케이스
11a: 저부
11b: 제1 벽 부분
11c: 제2 벽 부분
11d: 제3 벽 부분
11e: 제4 벽 부분
12: 제2 케이스
12a: 저부
12b: 제1 벽 부분
12c: 제2 벽 부분
12d: 제3 벽 부분
12e: 제4 벽 부분
JM: 접속 기구
JM1: 제1 접속부
11g: 축부
11h: 보조 접속부
11h1: 볼록부
JM2: 제2 접속부
12f, 12f-1, 12f-2: 접속 유지부
12g: 보조 접속부
12g1: 오목부
RA: 회동 각도
LM: 로크 기구
14: 파지부
15: 계단상 물품
16: 보조 적재부

Claims (20)

  1.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의 개구를 폐쇄한 폐색 상태와 상기 제1 케이스의 개구를 개방한 개방 상태로 변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접속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속 기구는,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폐색 상태로부터 상기 개방 상태로 변화시킬 때의 회동 각도가 상한 각도를 초과했을 때에 상기 접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우스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구는, 상기 제1 케이스에 설치된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케이스에 설치된 제2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의 해제는, 상기 제1 접속부로부터의 상기 제2 접속부의 이반에 기초하여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우스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폐색 상태로부터 상기 개방 상태로 변화시킬 때의 상기 회동 각도가 상기 상한 각도에 달할 때까지 상기 접속을 유지하는 접속 유지부를 갖고 있는,
    하우스 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는, 축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2 접속부의 상기 접속 유지부는, 상기 제1 접속부의 상기 축부의 외주면을 따라 회동 가능한 형태를 이루고 있는,
    하우스 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 각각은, 보조 접속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접속의 해제는, 상기 축부로부터의 상기 접속 유지부의 이반과, 상기 보조 접속부 상호의 이반 양쪽에 기초하여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우스 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의 상기 보조 접속부는, 끼워맞춤 및 그 해제가 가능한 볼록부 및 오목부의 한쪽을 갖고,
    상기 제2 접속부의 상기 보조 접속부는,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의 다른 쪽을 갖고 있는,
    하우스 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각각은, 저부와, 상기 저부의 주위에 설치된 벽부를 갖고 있는,
    하우스 완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벽부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벽부 각각은, 제1 벽 부분과, 상기 제1 벽 부분과 마주 향하는 제2 벽 부분과, 제3 벽 부분과, 상기 제3 벽 부분과 마주 향하는 제4 벽 부분을 연속하여 갖고 있는,
    하우스 완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제2 벽 부분의 높이는 상기 제1 벽 부분의 높이보다도 높고,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제2 벽 부분의 높이는 상기 제1 벽 부분의 높이보다도 높은,
    하우스 완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제3 벽 부분과 상기 제4 벽 부분의 각각은,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제1 벽 부분의 높이로부터 상기 제2 벽 부분의 높이로 변화하는 형태의 상부 에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제3 벽 부분과 상기 제4 벽 부분의 각각은,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제1 벽 부분의 높이로부터 상기 제2 벽 부분의 높이로 변화하는 형태의 상부 에지를 갖고 있는,
    하우스 완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의 형상과 상기 제2 케이스의 형상은 대략 동일한 형상인,
    하우스 완구.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제1 벽 부분에,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제1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제2 벽 부분에,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제2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스 완구.
  13.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폐색 상태의 유지 및 그 해제가 가능한 로크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는,
    하우스 완구.
  14.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에 설치된 파지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하우스 완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폐색 상태로부터 상기 개방 상태로 변화시켰을 때에 상기 제2 케이스를 지지하는 부재를 겸용하고 있는,
    하우스 완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적재면 위에 상기 제1 케이스를 놓고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폐색 상태로부터 상기 개방 상태로 변화시킬 때의 상기 회동 각도가 상기 상한 각도에 달했을 때에 상기 적재면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우스 완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저부의 내면과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저부의 내면의 각각은 물품을 적재 가능한 면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우스 완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저부의 내면과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저부의 내면이 상기 적재면에 대하여 상이한 높이 위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우스 완구.
  19.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저부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저부를 연락하는 계단상 물품을 더 구비하고 있는,
    하우스 완구.
  20.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벽부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벽부의 적어도 한쪽은, 개폐 가능한 보조 적재부를 갖고 있는,
    하우스 완구.
KR1020170161550A 2017-01-10 2017-11-29 하우스 완구 KR1019684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01754A JP6165371B1 (ja) 2017-01-10 2017-01-10 ハウス玩具
JPJP-P-2017-001754 2017-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309A true KR20180082309A (ko) 2018-07-18
KR101968422B1 KR101968422B1 (ko) 2019-04-11

Family

ID=5935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550A KR101968422B1 (ko) 2017-01-10 2017-11-29 하우스 완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65371B1 (ko)
KR (1) KR101968422B1 (ko)
CN (2) CN111643912B (ko)
HK (1) HK1249472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3600U (ja) 1983-10-27 1985-05-23 株式会社タカラ ハウス玩具
JPS6357929U (ko) * 1986-10-03 1988-04-18
JP2001241220A (ja) * 2000-02-28 2001-09-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開閉扉
JP2002179114A (ja) * 2000-12-14 2002-06-26 Hosiden Corp 蓋体の開閉構造
JP3100062U (ja) * 2003-08-26 2004-04-30 株式会社ハシモト 携帯用ハウス玩具
JP2004168422A (ja) * 2002-10-30 2004-06-17 Carl-Zeiss-Stiftung 感受性板状物の保管及び運搬用の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688Y2 (ko) * 1975-09-02 1981-03-10
JPS53100321U (ko) * 1977-01-19 1978-08-14
JPS5617104Y2 (ko) * 1979-05-02 1981-04-21
JPH0432159Y2 (ko) * 1985-10-31 1992-07-31
JPS63117755U (ko) * 1987-01-22 1988-07-29
AT402366B (de) * 1992-03-09 1997-04-25 Michl Ilse Dr Ein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kontraktionsfähigkeit der beckenbodenmuskulatur
JPH10148052A (ja) * 1996-11-18 1998-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蓋の着脱構成
US20040266316A1 (en) * 2003-06-30 2004-12-30 Josiah Li Combination playhouse and doll carrying case
CN201664517U (zh) * 2010-03-05 2010-12-08 廖复新 一种玩具房
CN201806502U (zh) * 2010-10-11 2011-04-27 浙江理工大学 翻折型炊具
JP5314212B1 (ja) * 2013-04-01 2013-10-16 株式会社バンダイ ハウス玩具、及びハウス玩具を備える遊戯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3600U (ja) 1983-10-27 1985-05-23 株式会社タカラ ハウス玩具
JPS6357929U (ko) * 1986-10-03 1988-04-18
JP2001241220A (ja) * 2000-02-28 2001-09-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開閉扉
JP2002179114A (ja) * 2000-12-14 2002-06-26 Hosiden Corp 蓋体の開閉構造
JP2004168422A (ja) * 2002-10-30 2004-06-17 Carl-Zeiss-Stiftung 感受性板状物の保管及び運搬用の容器
JP3100062U (ja) * 2003-08-26 2004-04-30 株式会社ハシモト 携帯用ハウス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10644A (ja) 2018-07-19
JP6165371B1 (ja) 2017-07-19
CN107930155B (zh) 2020-06-19
KR101968422B1 (ko) 2019-04-11
CN107930155A (zh) 2018-04-20
CN111643912A (zh) 2020-09-11
CN111643912B (zh) 2022-12-06
HK1249472A1 (zh)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77698A1 (en) Pill container
WO2007084457A3 (en) Portable digital media player case
KR101968422B1 (ko) 하우스 완구
CN103144826A (zh) 物品收纳容器
JP2014094761A (ja) 収納用ケース
CA2604126A1 (en) Article storing structure for small boat
TW201733864A (zh) 收納箱
JP2018110835A (ja) ハウス玩具
KR200495583Y1 (ko) 쌓기놀이가 가능한 자동차 완구
US9474982B2 (en) Tower track play set
IES20010822A2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 case for a disc-like article
JP3973562B2 (ja) 物品取出容器
JP6228074B2 (ja) 駒体移送玩具
CN210698738U (zh) 一种智力拼图七巧板
JP2004131105A (ja) 輸送用折畳コンテナ
JP6888208B2 (ja) 蓋付き収納ケース
JPWO2010073910A1 (ja) 携帯装飾品及び装飾玩具
US20230140639A1 (en) Toy for figure play
JP5030437B2 (ja) カーテンランナー
JP3127189U7 (ko)
TWI713622B (zh) 抽屜式收納櫃
KR20190004219A (ko) 하우스 완구
JP5474639B2 (ja) 搬送台車
JP3203069U (ja) スロープ玩具
EP1616815A1 (en) Storage case for disk-like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