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147A - 커튼 에어백용 봉제장치 - Google Patents

커튼 에어백용 봉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147A
KR20180082147A KR1020170003474A KR20170003474A KR20180082147A KR 20180082147 A KR20180082147 A KR 20180082147A KR 1020170003474 A KR1020170003474 A KR 1020170003474A KR 20170003474 A KR20170003474 A KR 20170003474A KR 20180082147 A KR20180082147 A KR 20180082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sewing
moving
sewing machine
mo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6741B1 (ko
Inventor
강상모
Original Assignee
에이비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에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비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3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7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82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05B35/04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with movable too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10B2505/124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용 봉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 봉제용 패턴 재봉기의 베드 보다 상당히 긴 에어백 원단에 다수의 체결수단을 봉제하기 위해서 다수의 패턴 봉제기에 두 개의 에어백 원단을 교대로 봉제기에 접근시켜 빠르고 신속하게 봉제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커튼 에어백용 봉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개의 체결수단을 두 개의 봉제기로 작업하므로 전체 봉제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면적이 넓은 두 개의 에어백 원단을 두 개의 파레트에 각각 안착시켜 다수의 패턴 봉제기 방향으로 이동시켜 신속한 봉제작업을 할 수 있으며, 작업이 끝난 에어백 원단은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파레트에 의해 간섭없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하고 신속한 봉제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튼 에어백용 봉제장치{A SEWING MACHINE FOR A CURTAIN AIR BAG}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용 봉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 봉제용 패턴 재봉기의 베드 보다 상당히 긴 에어백 원단에 다수의 체결수단을 봉제하기 위해서 다수의 패턴 봉제기에 두 개의 에어백 원단을 교대로 봉제기에 접근시켜 빠르고 신속하게 봉제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커튼 에어백용 봉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은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사고시에 순식간에 부풀어 오르면서 탑승객의 안전을 보장해주는 필수 보호장치이다.
에어백은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핸들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것이 기본이며, 조수석이나 뒷자리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서 실내의 측면 상부에 커튼처럼 펼쳐지는 에어백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 중에서 측면부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펼쳐지는 에어백을 커튼 에어백(Curtain Air Bag; CAB)이라고 하는데, 커튼 에어백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투입되는 공기에 의해 부풀어 오르는 에어챔버(Air Chamber)를 형성하도록 원단을 재봉하고, 원단의 가장자리에 체결도구(자동차의 장착 위치에 고정하는 수단)를 봉제하여 자동차 내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커튼형 에어백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에어백 원단과 체결수단이 분리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 에어백(1)은 에어백 원단(2)과 체결수단(3)으로 이루어지며, 체결수단(3)은 에어챔버가 형성된 에어백 원단(2)에 재봉기에 의해 봉제되어 완성된다.
에어백 원단(2)에 체결수단을 봉제하기 위해서는 대형 재봉기가 사용된다.
재봉기는 위실과 밑실이 서로 감기면서 땀을 형성하여 천이나 가죽 등을 박음 연결하는데, 위실은 바늘의 수직 운동에 의하여 바늘의 하단부 구멍을 통해 공급되어지고, 밑실은 가마에 감겨져서 가마 집에 들어간 상태로 회전 운동을 하면서 위실과 밑실이 서로 감기어 땀을 형성하게 된다.
재봉기는 수동 재봉기와 패턴 재봉기로 나뉘는데, 패턴 재봉기는 미리 입력되어 동일 반복이 가능한 일정한 형상으로 자동 봉제하여 주는 재봉기로서, 봉제 물을 고정시켜주는 재봉기 지그와, 그 지그를 움직여주는 실린더장치로 구성되어있다. 특히 작업을 위한 종래의 재봉기 지그는 여러 개의 봉제 부분을 한번에 하나씩 고정시켜 여러 번 작업을 하였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재봉기의 수틀 이송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의 수틀을 구비한 재봉기는(1)는 미싱헤드(10), 제 1,2 상판(미도시), 재봉기의 몸체부(13), 주 테이블(14), 구조물 프레임(15), 제 1 상판 이동기구 레일(16), 제 2 상판 이동기구 레일(17), 팔레트(수틀)(18), 팔레트 흡입 공압 장치부(19), 조작패널(미도시), 대기테이블(30) 등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재봉기(1)는 커튼 에어백과 같은 대형의 봉제물(원단)을 시퀀스(Sequence) 제어에 의해 재봉 가능하고, 상기 봉제물을 재봉시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봉제물이 자동으로 교체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 속도를 향상시켜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재봉기(1)는 상기 제1, 제2상판, 구조물 프레임(15), 제1, 제2 상판 이동기구 레일(16)(17), 팔레트 흡입 공압 장치부(19)와 같은 여러 구조물이 필요하므로 재봉기(1)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상기 여러 구조물의 설치 및 유지에 따른 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면적이 넓고 길이가 긴 커튼 에어백을 봉제하기 위해서는 에어백 원단(2)을 재봉기 위에서 이동시키면서 체결수단(3)을 봉제하여야 하기 때문에 재봉기가 대형일 수밖에 없으며, 한 대의 재봉기로 여러 개의 체결수단(3)을 봉제하므로 봉제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소형 재봉기를 이용해서 봉제를 하는 경우에는 에어백 원단(2)의 일부를 고정시켜 여러 번 봉제하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많아져서 작업인원의 투입이 많아지고 불량의 발생빈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09-0008947 A KR 10-2012-0064010 A KR 10-0894449 B1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 및 전후로 이동하는 두 개의 파레트를 구비하여 에어백 원단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두 개의 봉제기가 각각의 에어백 원단에 체결수단을 순차적으로 봉제하도록 하는 커튼 에어백용 봉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두 개의 파레트 중에서 하나는 전후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두 개의 에어백 원단을 간섭없이 봉제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튼 에어백용 봉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Curtain Air Bag; CAB)을 자동차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3)을 에어백 원단(2)에 봉제하는 공정에서 복수의 에어백 원단(2)을 봉제수단에 교대로 접근시키는 봉제장치로서, 봉제기몸체(102)와; 상기 봉제기몸체(102)의 상단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된 좌우이동레일(108)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봉제기(104)와; 상기 봉제기몸체(102)의 상부 내측 벽면에 설치된 이동장치레일(118)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장치레일(118)을 따라 좌우로 움직이면서 상기 봉제기(104)의 밑면에 부착된 밑판(106)을 움직이는 제1이동장치(110)와; 상기 봉제기(104)의 일측에 연결되는 봉제기이동실린더(114)를 신축시키면서 상기 봉제기(104)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이동장치(112)와; 상기 봉제기몸체(102)의 앞쪽에 설치되는 파레트몸체(120)와; 상기 파레트몸체(120)의 내부에서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파레트(122)와; 상기 파레트몸체(120)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파레트(124);를 포함한다.
상기 파레트몸체(120)의 내부 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레일(134)과; 상기 하부레일(134)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착되는 제1파레트이동장치(130)와; 상기 제1파레트(122)의 밑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파레트이동장치(130)의 동작에 따라 신축하면서 상기 제1파레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파레트이동실린더(132);를 포함한다.
상기 파레트몸체(120)의 내부 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레일(138)과; 상기 제2파레트(124)의 밑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레일(138)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착되는 제2파레트이동장치(13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개의 체결수단을 두 개의 봉제기로 작업하므로 전체 봉제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면적이 넓은 두 개의 에어백 원단을 두 개의 파레트에 각각 안착시켜 다수의 패턴 봉제기 방향으로 이동시켜 신속한 봉제작업을 할 수 있으며, 작업이 끝난 에어백 원단은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파레트에 의해 간섭없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하고 신속한 봉제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커튼형 에어백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에어백 원단과 체결수단이 분리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재봉기의 수틀 이송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두 개의 파레트를 각각 이동시키는 가이드와 레일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8은 두 개의 파레트의 상대적인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내지 11은 두 개의 에어백 원단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에어백 원단을 누름판으로 누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용 봉제장치"(이하, '봉제장치'라 함)를 설명한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두 개의 파레트를 각각 이동시키는 가이드와 레일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봉제장치(100)는 에어백 원단(2)에 다양한 형태의 체결수단(3)을 고정시키는 봉제수단과, 에어백 원단(2)을 봉제수단에 올려놓거나 빼내는 이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동수단은 복수의 에어백 원단(2)을 순차적으로 봉제수단에 올려놓고, 봉제수단은 복수의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체결수단(3)을 동시에 에어백 원단(2)에 결합시킨다. 봉제가 완료된 에어백 원단(2)은 이동수단에 의해 배출되고, 새로운 에어백 원단(2)이 봉제수단에 제공된다.
봉제수단은 봉제기몸체(102)의 윗면에 복수의 봉제기(104)가 전후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봉제기(104)에 의해 체결수단(3)이 에어백 원단(2)의 정해진 위치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봉제기(104)가 설치되어 동시에 두 개의 체결수단(3)을 봉제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봉제기(104)의 수는 이보다 더 늘어날 수도 있다.
봉제기(104)의 밑면에는 밑판(106)이 부착되는데, 밑판(106)을 전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봉제기(104)를 이동시킬 수 있다.
봉제기몸체(102)의 상단에는 좌우이동레일(108)이 좌우 방향으로 설치된다. 좌우이동레일(108)은 봉제기(104)가 부착된 밑판(106)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정확한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두 개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된다. 밑판(106)은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좌우이동레일(108)을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에서는 봉제수단과 이동수단이 설치된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에어백 원단(2)은 이동수단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평면상에서 전후 방향과 직각인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두 개의 봉제기(104)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봉제기(104)는 좌우이동레일(108)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밑판(106)의 일측에는 제1이동장치(110)가 설치되는데, 제1이동장치(110)의 내부에는 모터나 구동수단이 설치된다. 모터나 구동수단의 동작에 따라 밑판(106)이 좌우이동레일(108)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밑판(106)의 표면에는 제2이동장치(112)가 설치되며, 제2이동장치(112)에는 봉제기이동실린더(114)가 연결된다. 봉제기이동실린더(114)는 봉제기(104)의 일측에 연결되는데, 봉제기이동실린더(114)의 중심축이 전후 방향이 되도록 한다. 제2이동장치(112)의 동작에 따라 봉제기이동실린더(114)가 신축되면서 봉제기(104)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봉제기(104)가 전후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봉제기(104)의 밑면과 밑판(106)의 표면 사이에는 전후이동레일(116)이 설치된다.
봉제기몸체(102)의 상부 내측의 벽면에는 이동장치레일(118)이 설치된다. 이동장치레일(118)은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이동장치레일(118)에는 제1이동장치(110)가 연결된다. 제1이동장치(110)는 이동장치레일(118)을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한편, 봉제기몸체(102)의 앞쪽에는 파레트몸체(120)가 설치된다. 파레트몸체(120)에는 제1파레트(122)와 제2파레트(124)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파레트(122)와 제2파레트(124)는 에어백 원단(2)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파레트몸체(120)의 상측에는 부품보관대(126)가 아치모양으로 설치되는데, 부품보관대(126)에는 소형 부품이나 공작도구를 보관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부품보관대(126)에는 카메라(128)가 설치된다. 카메라(128)는 에어백 원단(2)에 표시된 마크를 인식하여 에어백 원단(2)의 위치를 파악하고, 에어백 원단(2)이 정확한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제1파레트(122)와 제2파레트(124)의 윗면에는 에어백 원단(2)을 고정하는 수단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1파레트(122)와 제2파레트(124)는 봉제기(104)쪽으로 이동하면서 봉제공정이 진행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봉제기(104)에 더 가까운 곳에 설치된 것을 제1파레트(122)라고 하고, 더 먼 곳에 설치된 것을 제2파레트(124)라고 한다. 그리고 제1파레트(122)는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모두 움직이며, 제2파레트(124)는 전후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파레트몸체(120)의 내부에는 제1파레트이동장치(130)와 제1파레트이동실린더(132)가 설치된다. 제1파레트이동실린더(132)는 제1파레트(122)의 밑면에 설치되며, 제1파레트이동장치(130)의 동작에 따라 신축하면서 제1파레트(12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1파레트이동장치(130)는 파레트몸체(120)의 내부 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된 하부레일(134)에 안착된다. 제1파레트이동장치(130)에는 하부레일(134)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수단이 구비된다. 제1파레트이동장치(130)가 하부레일(134)을 따라 평행 이동하면 제1파레트(122) 역시 전후 방향으로 평행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2파레트(124)의 밑면에는 제2파레트이동장치(136)가 설치되며, 제2파레트이동장치(136)는 상부레일(138)에 안착된다. 상부레일(138)은 하부레일(134)과 동일하게 파레트몸체(120)의 내부 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레일(138)이 하부레일(134) 보다 윗쪽에 설치된다.
제2파레트이동장치(136)의 내부에도 구동수단이 구비되어 상부레일(138)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평행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봉제장치(100)의 세부적인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은 두 개의 파레트의 상대적인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 내지 11은 두 개의 에어백 원단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봉제장치(100)가 동작하지 않는 동안에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파레트(122)와 제2파레트(124)가 앞쪽과 뒤쪽에 각각 정지한 상태가 된다. 일반적으로는 제1파레트(122)와 제2파레트(124)가 같은 높이에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제1파레트(122)와 제2파레트(124)의 윗면에 각각 에어백 원단(200)을 놓고 체결수단(3)을 적절한 위치에 올려놓는다.(도 9 참조) 에어백 원단(200)은 전후 방향 길이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제1파레트(122)와 제2파레트(124)의 폭을 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에어백 원단(200)을 접어서 길이를 줄여서 파레트 위에 올려놓는다.
이 상태에서 제1파레트(122)는 봉제기(104)에 접근한 상태이기 때문에 봉제기(104)의 동작에 의해 봉제공정이 진행된다. 이로 인해 제1파레트(122) 위에 놓여있는 에어백 원단(200)에 체결수단(3)이 결합된다.
봉제공정이 완료되면, 도 10과 같이 제1파레트이동장치(130)의 구동에 의해 제1파레트이동실린더(132)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제1파레트(122)도 같이 아래로 내려간다. 바람직하게는 제2파레트(124)의 밑면 보다 더 아래로 내려가서 제1파레트(122)와 제2파레트(124)의 간섭이 없도록 해준다.
제1파레트(122)가 아래쪽 끝까지 내려가면, 도 11과 같이 제1파레트이동장치(130) 내부의 구동수단이 동작하면서 하부레일(134)을 따라 뒤쪽으로 평행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제2파레트이동장치(136) 내부의 구동수단이 동작하면서 상부레일(138)을 따라 앞쪽으로 평행이동한다. 결국, 제2파레트(124)는 봉제기(104)에 접근하게 되고, 제1파레트(122)는 반대쪽으로 멀어지게 된다. 그리고 봉제기(104)는 제2파레트(124)에 놓여진 에어백 원단(200)에 체결수단(3)을 결합한다.
결합이 끝나면, 작업자는 제1파레트(122) 위에 놓인 에어백 원단(200)을 빼내고, 새로 작업을 할 에어백 원단(200)을 올려놓는다. 그러면 제1파레트(122)가 다시 앞쪽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제2파레트(124)는 제2파레트이동장치(136)의 동작에 의해 뒤쪽으로 물러난다. 제1파레트(122)는 제1파레트이동장치(130)의 동작에 의해 앞쪽으로 이동한 후 위로 올라간다. 작업자는 제2파레트(124) 위에 놓여진 봉제가 끝난 에어백 원단(200)을 빼내고, 새로운 에어백 원단(200)을 올려놓는다.
봉제기(104)는 접근한 제1파레트(122) 위에 놓여진 에어백 원단(200)을 봉제하고, 다시 순차적으로 제2파레트(124) 위에 놓여진 에어백 원단(200)을 봉제한다.
이와 같은 공정이 반복되면서 에어백 원단(200)에 대한 신속한 봉제공정이 진행된다.
한편, 도 12는 에어백 원단을 누름판으로 누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파레트(122)와 제2파레트(124)의 표면에는 봉제공정 중의 에어백 원단(200)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체결수단(3)이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누름판(140)이 설치된다. 누름판(140)은 경첩(142)에 의해 회전하면서 에어백 원단(200)을 강하게 눌러준다. 누름판(140)은 자석이나 회전모터 등에 의해 파레트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에어백 원단(200)과의 결합력을 높여준다.
그리고 누름판(140)에는 누름판 봉제구멍(140a)이 형성된다. 누름판 봉제구멍(140a)은 봉제가 이루어지는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체결수단(3)의 봉제용 구멍과 일치하도록 하여 봉제기(104)의 바늘이 통과하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커튼 에어백 2, 200 : 에어백 원단
3 : 체결수단 100 : 봉제장치
102 : 봉제기몸체 104 : 봉제기
106 : 밑판 108 : 좌우이동레일
110 : 제1이동장치 112 : 제2이동장치
114 : 봉제기이동실린더 116 : 전후이동레일
118 : 이동장치레일 120 : 파레트몸체
122 : 제1파레트 124 : 제2파레트
126 : 부품보관대 128 : 카메라
130 : 제1파레트이동장치 132 : 제1파레트이동실린더
134 : 하부레일 136 : 제2파레트이동장치
138 : 상부레일 140 : 누름판
142 : 경첩

Claims (3)

  1. 커튼 에어백(Curtain Air Bag; CAB)을 자동차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3)을 에어백 원단(2)에 봉제하는 공정에서 복수의 에어백 원단(2)을 봉제수단에 교대로 접근시키는 봉제장치로서,
    봉제기몸체(102)와;
    상기 봉제기몸체(102)의 상단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된 좌우이동레일(108)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봉제기(104)와;
    상기 봉제기몸체(102)의 상부 내측 벽면에 설치된 이동장치레일(118)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장치레일(118)을 따라 좌우로 움직이면서 상기 봉제기(104)의 밑면에 부착된 밑판(106)을 움직이는 제1이동장치(110)와;
    상기 봉제기(104)의 일측에 연결되는 봉제기이동실린더(114)를 신축시키면서 상기 봉제기(104)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이동장치(112)와;
    상기 봉제기몸체(102)의 앞쪽에 설치되는 파레트몸체(120)와;
    상기 파레트몸체(120)의 내부에서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파레트(122)와;
    상기 파레트몸체(120)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파레트(124);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용 봉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몸체(120)의 내부 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레일(134)과;
    상기 하부레일(134)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착되는 제1파레트이동장치(130)와;
    상기 제1파레트(122)의 밑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파레트이동장치(130)의 동작에 따라 신축하면서 상기 제1파레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파레트이동실린더(132);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용 봉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몸체(120)의 내부 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레일(138)과;
    상기 제2파레트(124)의 밑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레일(138)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착되는 제2파레트이동장치(136);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용 봉제장치.
KR1020170003474A 2017-01-10 2017-01-10 커튼 에어백용 봉제장치 KR101966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474A KR101966741B1 (ko) 2017-01-10 2017-01-10 커튼 에어백용 봉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474A KR101966741B1 (ko) 2017-01-10 2017-01-10 커튼 에어백용 봉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147A true KR20180082147A (ko) 2018-07-18
KR101966741B1 KR101966741B1 (ko) 2019-08-13

Family

ID=63048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474A KR101966741B1 (ko) 2017-01-10 2017-01-10 커튼 에어백용 봉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9415A4 (en) * 2018-09-20 2022-06-15 Matsuya R&D Co., Ltd SEWING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7793A (ja) * 1987-10-21 1989-04-25 Takatori Hightech:Kk ミシン
KR20090008947A (ko) 2007-07-19 2009-01-22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재봉기의 수틀 이송장치
KR100894449B1 (ko) 2008-12-19 2009-04-22 조세제 재봉기의 에어백 접착부 안내장치
KR20120064010A (ko) 2010-12-08 2012-06-18 주식회사 썬스타 재봉기 및 그의 구동 제어방법
KR20120130562A (ko) * 2011-05-23 2012-12-03 주식회사 썬스타 봉제틀 교환장치, 그 구동방법 및 봉제틀 교환장치를 포함한 재봉기
KR101410585B1 (ko) * 2013-03-19 2014-06-20 강상모 커튼 에어백 봉제용 지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7793A (ja) * 1987-10-21 1989-04-25 Takatori Hightech:Kk ミシン
KR20090008947A (ko) 2007-07-19 2009-01-22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재봉기의 수틀 이송장치
KR100894449B1 (ko) 2008-12-19 2009-04-22 조세제 재봉기의 에어백 접착부 안내장치
KR20120064010A (ko) 2010-12-08 2012-06-18 주식회사 썬스타 재봉기 및 그의 구동 제어방법
KR20120130562A (ko) * 2011-05-23 2012-12-03 주식회사 썬스타 봉제틀 교환장치, 그 구동방법 및 봉제틀 교환장치를 포함한 재봉기
KR101410585B1 (ko) * 2013-03-19 2014-06-20 강상모 커튼 에어백 봉제용 지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9415A4 (en) * 2018-09-20 2022-06-15 Matsuya R&D Co., Ltd SEWING DEVICE
US11427944B2 (en) 2018-09-20 2022-08-30 Matsuya R&D Co., Ltd. Sew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741B1 (ko)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5581B2 (en) Apparatus for punching and welding or bonding workpieces
US20210140084A1 (en) Sewing device, workpiece holding jig, and sewing method
JP2019137924A (ja) 剣ボロ折込み縫着方法
EP1331298A2 (en) Machine for attaching pockets or the like with two templates or multiple templates and the related sewing method
KR101966741B1 (ko) 커튼 에어백용 봉제장치
KR930008389B1 (ko) 자동봉제장치
KR102323092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7015924B2 (ja) 縫製装置及び縫製方法
JP2019209582A (ja) 表皮材の溶着方法とその装置
JP6982055B2 (ja) 縫製装置
EP3789526A1 (en) Sewing device
KR101353675B1 (ko) 자동차 내장재 플로어 카펫트의 홀 천공장치
KR101410585B1 (ko) 커튼 에어백 봉제용 지그
JP2002019561A (ja) エアバッグの折畳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CN217997539U (zh) 一种气囊袋工装自动推拉装置及应用该推拉装置的系统
CN219621376U (zh) 一种缝纫设备
JPH11235488A (ja) ポケットセッターにおける折込み装置
JP2021041013A (ja) 縫製装置
JP3333100B2 (ja) 重ね生地の位置合わせ装置
JPH08141254A (ja) 自動ミシンの送り治具に対する布地の供給装置
JP3382531B2 (ja) ポケットセッター及びポケットの縫着方法
JP6603905B1 (ja) 縫製装置
JP3219406U (ja) 縫製装置
KR102187191B1 (ko) 자동차 내장재 성형용 원단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단이송방법
JP2018153535A (ja) 縫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