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022A -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살균 탈취 방법 - Google Patents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살균 탈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022A
KR20180082022A KR1020170003054A KR20170003054A KR20180082022A KR 20180082022 A KR20180082022 A KR 20180082022A KR 1020170003054 A KR1020170003054 A KR 1020170003054A KR 20170003054 A KR20170003054 A KR 20170003054A KR 20180082022 A KR20180082022 A KR 20180082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pochlorous acid
gas
sterilization
tank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9898B1 (ko
Inventor
이창규
이상균
김재량
Original Assignee
김재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량 filed Critical 김재량
Priority to KR1020170003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8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82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유효염소농도의 차아염소산을 함유한 pH 3.0 ~ 7.0으로 조정한 약액에 공기주입기로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켜 약액과 계속 접촉 시켜서 만들어진 차아염소산을 함유한 가스를 생성하여 살균, 탈취하는 장치로서 통상의 습식방식의 비효율적인 살균방식을 대체 할 수 있는 가스방식의 살균, 탈취를 동시에 이르는 간편하고 효율적인 장치이며 차아염소산 가스를 생산하는 약액희석 조 약액반응 조, 약액을 일정량 공급하는 주입펌프,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기, 미세한 기포를 생성하는 기포발생기, 발생한 차아염소산을 함유한 공기를 살균, 탈취장소까지 송풍하는 송풍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살균 탈취 방법{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EQUIPMENT USING HYPOCHLOROUS ACID GAS,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양계, 양돈의 가축사육장 하수처리장, 음식물 쓰레기장, 등에 가스화한 차아염소산을 함유한 공기를 공급하여 해당 장소를 살균 및 탈취하는, 차아염소산가스를 이용한 살균 탈취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살균 탈취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양돈, 양계 등의 가축사육장 하수처리장, 음식물 쓰레기장, 등에 살균, 소독하는 데는 액상인 소독용 알코올 등을 분무기로 분무하는 간단한 방법도 있고, 오존가스법, 자외선 조사법 등의 비교적 고가의 장치를 사용하여 살균하는 방법도 있다.
오존가스법은 밀폐된 무인의 실내에 오존가스발생장치에 의해 오존가스를 공급하는 방법으로, 오존가스의 강력한 산화작용에 의해 실내공기 중에 떠도는 세균이나 사육시설 등에 부착되어 있는 세균이 살균된다.
자외선조사법은 자외선조사장치에 의해 사용시설 내의 기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자외선의 살균작용에 의해 자외선이 조사된 부분이 살균되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이들의 살균방법에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소독용 알코올을 분무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소독용 알코올의 분무직후는 살균효과가 얻어지지만 밀폐된 실내에 증발한 알코올이 체류되고 있으면, 알코올 자체가 세균이나 곰팡이의 영양이 되어버려 오히려 세균이나, 곰팡이를 증식하게 한다는 문제가 있다.
오존가스 방법에 있어서는 오존가스는 산화작용이 강력하기 때문에 실내를 비운 후에 공급하지 아니하면 안 되므로 불편하고, 강력한 산화작용으로 사업장내의 제반시설이 부식되어버리는 중대한 문제도 있다.
자외선 조사법에 있어서는 자외선이 직접 가축에 조사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그늘 부분은 살균이 안 되므로 충분한 살균효과를 얻을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가축용 시설의 내부에 분무하기 위한 살균수 및 그 살균수를 사용하는 가축용 시설의 내부의 살균방법"(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3706호, 특허문헌 1)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차염소산나트륨 수용액과 산을 혼합 희석하여 유효 염소 농도가 25ppm 이상이고, pH를 6.0 ~ 7.5 로 한정하여 가축용 시설의 내부에 분무하여 가축이나 작업자에게 안전하면서 살균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방식은 약액을 액상상태로 분무하면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즉 이와 같은 약액에는 차아염소산의 생산 시에 필요한 염화나트륨이 불순물로 함유되고, 약액의 pH을 조절하는 염산이 소정의 비율로 함유되고 있다. 그러면 불순물의 염화나트륨이나 염산도 액상으로 분무되어 분무장 내부에 있는 금속류가 녹 쓸게 된다. 더욱이 차아염소산이 자기 분해하여 생산하는 염소산나트륨(NaClO3) 등의 독성이 강한 물질이 약액 중에 포함되어 있어 이것을 그대로 분무하면 인체나 가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07-0103706 (2007.10.24)
본 발명의 차아염소산 가스를 이용한 살균 탈취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살균 탈취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아염소산을 함유한 공기를 살균 탈취하고자 하는 곳 즉 가축사육사 및 사업장 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혼합하여 불어 넣어 줌으로 축사 및 사업장 구석구석까지 완전히 살균, 탈취하고자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정한 차아염소산을 함유하고 pH가 3.0 ~ 7.0으로 조정된 약액에 공기를 불어 넣어 차아염소산 가스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특히 공기 중에 차아염소산 의외의 불순물이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불순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설비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설비에 있어서, 유량계(1a)가 설치된 수도관(1)이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는 약품조정변(2a)이 설치된 약품공급관(2)이 연결되어 수도수와, 약품으로 차아염소산 수용액이 정량 공급되고, 내부에 교반기(3)가 설치되어 유입된 약품과 수도수가 교반 되는 약품희석조(21)와; 상기 약품희석조(21)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관로상에 희석액이송펌프(4a) 및 유입조정변(4b)이 설치된 희석액공급관(4)과; 일측에 상기 희석액공급관(4)이 가스발생조(22)와 연결되어 약품희석액이 내부로 공급되고, 공기주입기(6)와 연결된 기포발생기(7)가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약품희석액에 미세기포를 공급하여 약품희석액과 연속으로 접촉시켜 차아염소산을 가스 형태로 생성시켜 가스 형태의 차아염소산은 액상의 약품희석액이 저장된 기액분리부(8)의 수면 위 공간인 가스저장부(9)로 저장시키는 가스발생조(22)와; 상기 가스발생조(22)의 상부에 가스유입관(10)이 배관 연결되어 있고, 가스유입관(10)의 단부에 연결되어 차아염소산가스를 송풍하는 송풍기(10a)와; 일측이 상기 가스발생조(22)의 하부인 기액분리부(8)와 연결되어 있고, 관로상에 순환배출변(11a)이 설치되어 있는 순환배출관(11)과; 상기 순환배출관(11)과 연결되어 차아염소산의 유효염소농도가 낮아진 약품희석액이 저장되는 순환조(23)와; 일측은 상기 순환조(23)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가스발생조(22) 중간에 연결되어 있으며, 관로상에 순환펌프(5a)가 설치되어 있어 차아염소산의 유효염소농도가 낮아진 약품희석액을 상기 가스발생조(22)로 재공급하는 순환관(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0a)는, 가축사육장, 하수처리장, 음식물쓰레기처리장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공기순환송풍기의 송풍구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방법은 상기 살균 탈취 설비를 이용하여, 상기 수도관(1) 및 약품공급관(2)을 통해 정량의 수도수와 약품을 상기 약품희석조(21)로 공급하고, 교반기(3)로 교반하여 약품희석조(21) 내부의 약품희석액의 pH를 3.0 ~ 7.0으로 조정하는 약품희석액제조단계와; 상기 희석액이송펌프(4a) 및 유입조정변(4b)을 통해 상기 가스발생조(22)로 일정량의 약품희석액을 연속공급 저장하여 약품희석액 수면 아래 공간인 기액분리부(8)와, 수면 위 공간인 가스저장부(9)를 형성하는 희석액저장단계와; 상기 공기주입기(6) 및 기포발생기(7)를 작동시켜 상기 가스발생조(22)의 기액분리부(8)로 미세 기포를 공급하여 약품희석액과 연속 접촉시켜 차아염소산을 가스 형태로 생성시켜 가스저장부(9)에 저장하는 가스생성단계와; 상기 송풍기(10a)을 작동시켜 상기 가스저장부(9)에 저장된 차아염소산을 함유한 기체를 살균 탈취 대상에 공급하는 송풍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배출변(11a)을 개방시켜 차아염소산 유효염소 농도가 낮아진 약품희석액을 상기 배출관(11)을 통해 상기 순환조(23)에 일시 저장한 순환수를 순환펌프(5a)를 가동시켜 차아염소산 유효염소 농도가 낮아진 약품희석액을 순환관(5)을 통해 상기 가스발생조(22)로 연속 공급하는 순환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차아염소산을 함유한 공기를 살균 탈취하고자 하는 곳 즉 가축사육사, 하수처리장, 음식물쓰레기처리장 내로 송풍기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에 혼합하여 불어 넣어 줌으로 축사 및 사업장 구석구석까지 완전히 살균, 탈취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정한 차아염소산을 함유하고 pH가 3.0 ~ 7.0으로 조정된 약액을 공기에 접촉시켜 차아염소산가스를 생성 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특히 약액을 안개와 같은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고, 액상 상태를 유지한 채 공기에 접촉시켜 차아염소산가스 의외의 불순물이 혼합하는 것을 방지하여 불순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액상 상태를 유지한 채 공기에 접촉됨으로써 염화나트륨, 염산, 염소산나트륨 등의 불순물이 없게 되어 순수한 차아염소산만을 함유되고 있어 인체나 가축 등에 하등에 영향이 없이 안전하게 살균, 뿐만 아니라 악취까지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조류독감, 구제역과 같은 유행성 병역의 예방에 이바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설비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방법을 나타낸 공정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설비, 이를 이용한 살균 탈취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차아염소산 가스를 이용한 살균 탈취 설비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약품희석조(21), 희석액공급관(4), 가스발생조(22), 공기주입기(6), 기포발생기(7), 송풍기(10a), 순환조(23), 순환관(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약품희석조(21)는 도시된 것처럼 유량계(1a)가 설치된 수도관(1)이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는 약품조정변(2a)이 설치된 약품공급관(2)이 연결되어 수도수와 약품(고농도의 차아염소산 수용액)이 일정량 공급되고, 내부에 교반기(3)가 설치되어 유입된 약품과 수도수가 교반되어 약품희석액(저농도의 차아염소산)이 제조된다.
약품은 미도시된 별도의 약품저장탱크에 저장될 수 있으며, 약품은 수용액 상태의 차아염소산이 수용액 상태로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희석액공급관(4)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약품희석조(21) 하부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관로상에 희석액이송펌프(4a) 및 유입조정변(4b)이 설치되어 있다.
즉, 희석액이송펌프(4a)에 의해 약품희석조(21) 내부의 약품희석액이 가스발생조(22)로 이송되고 유입조정변(4b)은 밸브 조정을 통해 가스발생조(22)로의 약품희석액을 일정량을 주입하고, 순환펌프(5a) 작동으로 순환되는 약액은 순환관(5)을 통하여 순환수조정변(5b)에 의해 일정량으로 조정, 가스발생조(22)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가스발생조(22)는 희석액이송펌프(4a) 및 유입조정변(4b)의 작동에 의해 내부에 정량의 약품희석액이 공급되어 일정 수위로 저장되게 된다.
더불어 가스발생조(22)는 컴프레셔와 같은 공기주입기(6)와 연결된 기포발생기(7)가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약품희석액에 미세기포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공기주입기(6)와 기포발생기(7) 사이를 연결하는 관로상에는 공기조정변(6a)이 설치되어 공기량을 조절하게 된다.
미세기포는 내부에서 약품희석액과 연속으로 접촉되어 차아염소산을 가스 형태로 생성하게 된다.
이때, 가스 형태의 차아염소산은 액상의 약품희석액이 저장된 기액분리부(8)의 수면 위 공간인 가스저장부(9)로 저장되게 된다.
송풍기(10a)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가 상기 가스발생조(22)의 상부와 연결된 닥트 형태의 송풍관(10)과 배관 연결되어, 살균 탈취 대상으로 가스저장부(8)의 차아염소산가스를 공급하게 된다.
즉, 축사, 하수처리장, 음식쓰레기 처리장 등의 내부의 공기를 순환 또는 환기를 위하여 설치된 환풍기 공기주입구에 송풍기(10a)에 연결된 호스(13)로 차아염소산가스를 살균,탈취장소로 들어가는 환풍기 주입구로 공급하여 환풍되는 공기와 혼합 유입시켜 소정의 장소를 완전하게 살균, 탈취케 한다.
한편, 배출관(11)은 일측이 상기 가스발생조(22)의 하부인 기액분리부(8)와 연결되어 있고, 관로상에 배출변(11a)이 설치되어 있고, 순환조(23)는 상기 배출관(11)과 연결되어 차아염소산의 유효염소농도가 낮아진 약품희석액이 저장된다.
또한, 순환관(5)은 일측은 상기 순환조(23)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가스발생조(22)과 연결되어 있으며, 관로상에 순환펌프(5a) 와 순환수조정변(5b)이 설치되어 있어 차아염소산의 유효염소농도가 낮아진 약품희석액을 상기 가스발생조(22)로 재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설비를 이용하여 살균 탈취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약품희석액 제조단계
먼저, 상기 수도관(1) 및 약품공급관(2)을 통해 정량의 수도수와 약품을 상기 약품희석조(21)로 공급하고, 교반기(3)로 교반하여 약품희석조(21) 내부의 약품희석액의 pH를 3.0 ~ 7.0으로 유효염소 200mg/L로 조정한다.
2. 희석액 저장단계
상기 희석액이송펌프(4a) 및 유입조정변(4b)을 통해 상기 가스발생조(22)로 일정량의 약품희석액을 공급 저장하여 약품희석액 수면 아래 공간인 기액분리부(8)와, 수면 위 공간인 가스저장부(9)를 형성한다.
3. 가스발생단계
상기 공기주입기(6) 및 기포발생기(7)를 작동시켜 상기 가스발생조(22)의 기액분리부(8)로 미세 기포를 공급하여 약품희석액과 연속 접촉시켜 차아염소산을 가스 형태로 증발시켜 가스저장부(9)에 저장한다.
4. 송풍단계
상기 송풍기(10a)을 작동시켜 상기 가스저장부(9)에 저장된 차아염소산을 함유한 기체를 닥트 형태의 송풍관(10)에 설치된 송풍기(10a) 또는 송풍기(10a)에 연결되고 송풍 대상 장소와 연결되어 해당 장소의 송풍기와 연결된 송풍호스(13)를 통하여 살균 탈취 대상에 공급한다.
5. 순환, 방류단계
이 때 배출변(11a)으로 일정량으로 조정되어 배출되는 유효염소가 낮아진 약품희석액은 순화조(23)에 일시저장 되기 전 또는 일시저장된 후 순환수로 재사용되고 나머지는 폐액방류관(12)를 통하여 방류된다.
순환조 하단에 접촉된 순환관(5)에 설치된 순환펌프(5a)를 가동하고 순환수조정변(5b)으로 일정량으로 조정된 조정수는 연속적으로 가스발생조(22)로 순환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먼저 소정의 유효염소농도의 차아염소산을 함유하고, pH가 3.0에서 ~7.0으로 조정된 약액을 약품희석조(21)에 일정량 주입하고 수도수를 유량계(1a)에 의하여 함유염소가 200mg/L가 되도록 수도수를 넣고 교반기(3)를 가동하여 희석한다.
희석된 약액은 이송펌프(4a)로 가스발생조(22)에 유입조정변(4b)에 의하여 일정량을 연속 주입한다.
가스발생조(22) 내의 기액분리부(8)로 들어간 약액은 공기주입기(6)에 의하여 주입된 가압된 공기가 기포발생기(7)에 의해 미세한 기포로 형성하여 약액과 연속으로 접촉하는 기액분리부(8)에서 차아염소산 가스를 생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약액은 안개상태가 아닌 액상상태로 유지하면서 미세기포와 접촉되어 공기 중에 차아염소산 이외의 불순물을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얻어진 차아염소산을 함유한 공기는 가스저장부(9)에 일시저장 후 송풍기(10a)에 의해 살균, 탈취하고자 하는 곳 즉 양계장, 양돈장 등의 가축사육장,하수처리장, 음식물쓰레기처리장 등에 설치된 환풍기 FAN의 공기주입구로 이송하여 순환공기와 희석되어 밀폐된 공간이나, 일부개방 된 반개방공간을 완벽하게 24시간 살균 탈취한다.
한편 기액분리부(8)의 일부 약액은 순환펌프(5a)가 설치된 순환관(5)을 통하여 기액분리부(8)로 주입되어 공기와 재접촉하여 가스발생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차아염소산의 유효염소농도가 낮아진 약액은 폐액방류관(12)을 통하여 방류된다.
본 발명은 양계, 양돈의 사육장, 하수처리장, 음식물쓰레기처리장 등 다양한 곳의 살균 또는 탈취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본 처리기에서 배출하는 차아염소산가스를 호스와 연결하여 살균, 탈취의 소정에 장소에 설치된 공조기, 온풍기, 공기청정기의 유입구에 공급하여 공조기, 온풍기, 공기청정기로 유입되는 공기에차아염소산 가스가 혼합된 공기로 전체를 살균, 탈취하는 심풀하고 저렴한 비용과 유지관리비가 저렴한 구성이 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1 : 수도관 1a : 유랑계
2 : 약품공급관 2a : 약품유입조정변
3 : 교반기 4 : 희석액공급관
4a : 희석액이송펌프 4b : 희석액유입조정변
5 ; 순환관 5a : 순환펌프
5b : 순환수조정변 6 : 공기주입기
6a : 공기조정변 7 : 기포발생기
8 : 기액분리부 9 : 가스저장부
10 : 송풍기공급관 10a : 송풍기
11 : 순환수배출관 11a : 순환수배출변
12 : 폐액방류관 13 : 송풍호스
21 : 약품회석조 22 : 가스발생조
23 : 순환수조

Claims (4)

  1.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설비에 있어서,
    유량계(1a)가 설치된 수도관(1)이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는 약품조정변(2a)이 설치된 약품공급관(2)이 연결되어 수도수와, 약품으로 차아염소산 수용액이 정량 공급되고, 내부에 교반기(3)가 설치되어 유입된 약품과 수도수가 교반 되는 약품희석조(21)와;
    상기 약품희석조(21)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관로상에 희석액이송펌프(4a) 및 유입조정변(4b)이 설치된 희석액공급관(4)과;
    일측에 상기 희석액공급관(4)이 가스발생조(22)와 연결되어 약품희석액이 내부로 공급되고, 공기주입기(6)와 연결된 기포발생기(7)가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약품희석액에 미세기포를 공급하여 약품희석액과 연속으로 접촉시켜 차아염소산을 가스 형태로 생성시켜 가스 형태의 차아염소산은 액상의 약품희석액이 저장된 기액분리부(8)의 수면 위 공간인 가스저장부(9)로 저장시키는 가스발생조(22)와;
    상기 가스발생조(22)의 상부에 가스유입관(10)이 배관 연결되어 있고, 가스유입관(10)의 단부에 연결되어 차아염소산가스를 송풍하는 송풍기(10a)와;
    일측이 상기 가스발생조(22)의 하부인 기액분리부(8)와 연결되어 있고, 관로상에 순환배출변(11a)이 설치되어 있는 순환배출관(11)과;
    상기 순환배출관(11)과 연결되어 차아염소산의 유효염소농도가 낮아진 약품희석액이 저장되는 순환조(23)와;
    일측은 상기 순환조(23)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가스발생조(22)중간에 연결되어 있으며, 관로상에 순환펌프(5a)가 설치되어 있어 차아염소산의 유효염소농도가 낮아진 약품희석액을 상기 가스발생조(22)로 재공급하는 순환관(5);을 포함하여 구성된,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설비.
  2.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방법에 있어서,
    제 1항의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설비를 이용하여,
    상기 수도관(1) 및 약품공급관(2)을 통해 정량의 수도수와 약품을 상기 약품희석조(21)로 공급하고, 교반기(3)로 교반하여 약품희석조(21) 내부의 약품희석액의 pH를 3.0 ~ 7.0으로 조정하는 약품희석액제조단계와;
    상기 희석액이송펌프(4a) 및 유입조정변(4b)을 통해 상기 가스발생조(22)로 일정량의 약품희석액을 연속공급 저장하여 약품희석액 수면 아래 공간인 기액분리부(8)와, 수면 위 공간인 가스저장부(9)를 형성하는 희석액저장단계와;
    상기 공기주입기(6) 및 기포발생기(7)를 작동시켜 상기 가스발생조(22)의 기액분리부(8)로 미세 기포를 공급하여 약품희석액과 연속 접촉시켜 차아염소산을 가스 형태로 생성시켜 가스저장부(9)에 저장하는 가스생성단계와;
    상기 송풍기(10a)을 작동시켜 상기 가스저장부(9)에 저장된 차아염소산을 함유한 기체를 살균 탈취 대상에 공급하는 송풍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배출변(11a)을 개방시켜 차아염소산 유효염소 농도가 낮아진 약품희석액을 상기 배출관(11)을 통해 상기 순환조(23)에 일시 저장한 순환수를 순환펌프(5a)를 가동시켜 차아염소산 유효염소 농도가 낮아진 약품희석액을 순환관(5)을 통해 상기 가스발생조(22)로 연속 공급하는 순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0a)는,
    가축사육장, 하수처리장, 음식물쓰레기처리장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공기순환송풍기의 송풍구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설비.
KR1020170003054A 2017-01-09 2017-01-09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살균 탈취 방법 KR101899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054A KR101899898B1 (ko) 2017-01-09 2017-01-09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살균 탈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054A KR101899898B1 (ko) 2017-01-09 2017-01-09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살균 탈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022A true KR20180082022A (ko) 2018-07-18
KR101899898B1 KR101899898B1 (ko) 2018-09-18

Family

ID=6304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054A KR101899898B1 (ko) 2017-01-09 2017-01-09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살균 탈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8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776B1 (ko) * 2019-03-26 2020-03-13 덕인환경주식회사 악취제거장치
WO2022264656A1 (ja) * 2021-06-14 2022-12-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469B1 (ko) 2020-07-29 2022-10-3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축산용 차아염소산 음용 조성물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689A (ja) * 1998-11-04 2000-07-18 Okazaki Tatsuo 次亜塩素酸含有水溶液による室内殺菌・脱臭方法及び装置
KR20040072303A (ko) * 2003-02-10 2004-08-18 보성환경산업(주) 와류 믹스식 탈취장치 및 상기 탈취장치를 이용한 탈취방법
JP2006192097A (ja) * 2005-01-14 2006-07-27 Tohoku Univ 空気殺菌脱臭装置
KR20070114119A (ko) * 2005-02-23 2007-11-29 비타 인코포레이티드 차아염소산 또는 아염소산을 주성분으로 한 살균수의생성방법 및 장치
KR20090048952A (ko) * 2007-11-12 2009-05-15 주식회사 호국이엔지 차아염소산적용 살균자화시스템
JP2011050702A (ja) * 2009-09-04 2011-03-17 Es Technology Kk 除菌・消臭方法および除菌・消臭装置
KR20120109259A (ko) * 2011-03-28 2012-10-08 (주) 테크윈 복합 전해 살균 소독 장치 및 그 방법
JP2014033955A (ja) * 2012-08-08 2014-02-24 Cleancare Inc 二酸化塩素ガス滅菌装置/純粋二酸化塩素溶液生成装置
WO2016189757A1 (ja) * 2015-05-22 2016-12-01 株式会社 東芝 空間殺菌装置及び空間除臭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689A (ja) * 1998-11-04 2000-07-18 Okazaki Tatsuo 次亜塩素酸含有水溶液による室内殺菌・脱臭方法及び装置
KR20040072303A (ko) * 2003-02-10 2004-08-18 보성환경산업(주) 와류 믹스식 탈취장치 및 상기 탈취장치를 이용한 탈취방법
JP2006192097A (ja) * 2005-01-14 2006-07-27 Tohoku Univ 空気殺菌脱臭装置
KR20070114119A (ko) * 2005-02-23 2007-11-29 비타 인코포레이티드 차아염소산 또는 아염소산을 주성분으로 한 살균수의생성방법 및 장치
KR20090048952A (ko) * 2007-11-12 2009-05-15 주식회사 호국이엔지 차아염소산적용 살균자화시스템
JP2011050702A (ja) * 2009-09-04 2011-03-17 Es Technology Kk 除菌・消臭方法および除菌・消臭装置
KR20120109259A (ko) * 2011-03-28 2012-10-08 (주) 테크윈 복합 전해 살균 소독 장치 및 그 방법
JP2014033955A (ja) * 2012-08-08 2014-02-24 Cleancare Inc 二酸化塩素ガス滅菌装置/純粋二酸化塩素溶液生成装置
WO2016189757A1 (ja) * 2015-05-22 2016-12-01 株式会社 東芝 空間殺菌装置及び空間除臭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776B1 (ko) * 2019-03-26 2020-03-13 덕인환경주식회사 악취제거장치
WO2022264656A1 (ja) * 2021-06-14 2022-12-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898B1 (ko) 201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520B2 (en) Livestock sterilizing method, livestock sterilizing apparatus, and livestock or livestock meat
JP4588104B1 (ja) 除菌・消臭方法および除菌・消臭装置
US5824243A (en) Water ozonating system
KR100937065B1 (ko) 이산화염소 제조장치
KR101899898B1 (ko)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 탈취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살균 탈취 방법
KR101793957B1 (ko) 이산화염소가스 발생 장치 및 방법
JP2007167053A (ja) 家畜消毒方法及び家畜消毒装置
KR20100011542U (ko) 살균수 분무 장치
US20140178543A1 (en) Ozone-Based Disinfecting Device and Mixer Therefor
KR100867427B1 (ko) 축사 내,외부 소독 및 가축 음용수 생성장치
KR102002781B1 (ko) 플라즈마 오존 살균장치
JP2007006956A (ja) 除菌及び脱臭機能を備えた空気清浄機
JP4305582B2 (ja) 冷却塔のオゾン殺菌装置
KR101839844B1 (ko) 이산화염소의 농도 유지와 순환 기능을 가진 공기 살균 소독 및 탈취 장치 및 방법
JP2008036061A (ja) 遺体処理過程における廃液等排出物質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US200500791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crobial decontamination
CN200985295Y (zh) 水箱自洁消毒器
KR101938121B1 (ko) 차아염소산 나트륨을 이용한 돈사 내,외부 및 주변 악취 제거겸 살균소독 시스템
JPH10155887A (ja) 空気及び水の殺菌・浄化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200373329Y1 (ko) 냉온풍이 발생되는 공기 소독 정화 장치
JP2007245106A (ja) ガス処理システム
JP7229463B2 (ja) 食品機械とその除菌方法
KR20090078892A (ko) 오존살균수 및 산소수 제조장치
CN209702367U (zh) Mods消毒系统
JP2017164260A (ja) オゾン殺菌方法およびオゾン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