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001A -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집단적 획득을 위한 방법과 데이터 획득 컴퓨터 및 방법에서 이용하기 위한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 - Google Patents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집단적 획득을 위한 방법과 데이터 획득 컴퓨터 및 방법에서 이용하기 위한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001A
KR20180081001A KR1020180001150A KR20180001150A KR20180081001A KR 20180081001 A KR20180081001 A KR 20180081001A KR 1020180001150 A KR1020180001150 A KR 1020180001150A KR 20180001150 A KR20180001150 A KR 20180001150A KR 20180081001 A KR20180081001 A KR 20180081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bile
data acquisition
wireless network
mobile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3666B1 (ko
Inventor
슈테펜 슈미츠
안드레아스 크보체크
테오도르 부부루잔
토르슈텐 헨
에른스트 질린스키
로만 알리아이에브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80081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2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the vehicle, e.g. floating car data [FC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2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other sources than vehicle or roadside beacons, e.g. mobile netwo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G08G1/0133Traffic data processing for classifying traffic si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5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ctive traffic flow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차량(30)의 모바일 통신 분야에서 연계 및 자율 주행과 같은 차량 관련 응용예들이 공개되어 있다. 이를 위해 그리고 중앙의 교통 모니터링을 위해 도로 교통 유저의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도로 교통 유저들로부터 데이터의 집단적 획득을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제안한다. 해결 방법은, 획득되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획득 컴퓨터(50)에 전달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가진 모바일 기기들의 선택이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내 모바일 기기들(30, 32, 33, 34)의 적어도 연결 상태에 의존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는 집단적 데이터 획득을 위한 데이터 전송의 효율을 높이고, 데이터 획득 동안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의 부하를 감소시킨다.

Description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집단적 획득을 위한 방법과 데이터 획득 컴퓨터 및 방법에서 이용하기 위한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METHOD FOR COLLECTIVE ACQUISITION OF DATA IN A MOBILE NETWORK AS WELL AS DATA ACQUISITION COMPUTER, AND MOBILE NETWORK-ADMINISTRATIVE UNIT FOR USE IN THE METHOD}
본 발명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집단적 획득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획득 컴퓨터 및 방법에서 이용을 위한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에 관한 것이다.
연계 및 자율 주행을 위해서든, 또는 모바일 무선 통신에 참여 및 인터넷에 접속 또는 다른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든 공공 도로 교통에서 직접 서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들이 설치된 차량들의 경우에 높은 신뢰성은 안전 필수 애플리케이션에서 또는 고객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범위에서 차량 통신의 경우 현재에는 차량 통신을 위해 다음과 같은 모바일 무선 통신 기술이 적용 가능하다: 3GPP-기반 UMTS, HSPA, LTE 및 차세대 5G 표준. 차량 직접 통신의 경우에 LTE-V 및 5G D2D가 언급된다.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순환적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즉시, 이러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전송 리소스들을 예약하고 이러한 전송 리소스를 송신 스테이션에 할당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이러한 과제는 현재의 모바일 무선 표준에서 관리 유닛이 담당하고, 상기 관리 유닛은 스케줄러라는 용어로도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관리 유닛은 현재에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무선-기지국 내에 배치된다. LTE-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Evolved Node Basis", 간단히 eNodeB라고도 한다.
특히 - 모바일 무선 통신에서 - 기지국의 하나의 셀 내의 사용자의 모든 활동이 조율된다. 일반적으로 기지국 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인 스케줄러는 어떤 시점에 및 전송 프레임의 어떤 주파수에서 가입자가 특정한 데이터를 전송해도 좋은지 각각의 가입자에게 통지한다. 상기 스케줄러의 주요 과제는 예컨대 다양한 가입자에 전송 리소스의 적절한 할당이다. 이로 인해 충돌이 방지되고, 가입자(업링크)와 가입자(다운링크) 사이의 2개의 전송 방향으로 데이터 트래픽이 조절되고, 다수의 사용자를 위한 효율적인 액세스가 가능해진다. 차량-직접 통신을 위해 스케줄러는, 어떤 시점에 어떤 주파수 리소스가 직접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지 결정한다.
지금까지 네트워크 리소스들은 모바일 무선-가입자 스테이션의 현재 요구와 현재 위치에 의존해서 예약된다.
논문 "연계 통신 시스템"(도로와 교통, 제3 집, 2012년 3월, M. Mohr 및 B. Oehry)에 연계 주행(Car to Car Communication C2C) 및 교통 관리(Car to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C2I)를 위한 다양한 응용 시나리오가 기술된다. C2I 분야에서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언급된다:
"C2I-통신의 예는 무선 통신 노드를 통해 노변, 소위 노변 장치(RSUs)에 속도, 가속 또는 슬립(slip)에 관한 차량의 센서 데이터 및 위치의 전송이다. 그 대신 차량은 블랙 아이스 경고 또는 사고 신고와 같은 도로 상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받는다."
최근의 차량들에 예컨대 회전 속도 센서, 온도 센서, 가속 센서, 유해 물질 방출 센서, 타이어 압력 센서, 시트 점유 센서, 카메라, 레이더, 라이더, 초음파 등과 같은 다수의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들은 교통 관리 또는 다른 용도를 위해서도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수의 차량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로써 예를 들어 차도 상태에 관한 가급적 최신의 포괄적인 이미지가 얻어질 수 있다. 하나의 구역에서 이동 중인 모든 차량으로부터 데이터의 획득은 그러나 어려움이 있다. 한편으로 데이터의 획득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 매우 심한 부하를 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모든 차량이 똑같이 양호하게 모바일 무선 통신에 접속되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차량이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의 차단 또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의 과부하가 존재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일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데이터의 중복 전송이 필요할 수 있고, 이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 더욱 부하를 가할 수 있다.
JP-A-201382490호에 관련 구역에서 이동 중인 차량의 센서 데이터가 획득되는 교통 정보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획득된 데이터는 각각 차량의 현재 위치 및 획득 시점으로 마킹된다. 교통 모니터링 시스템의 컴퓨터는 획득된 데이터를 평가하여 소정의 교통 정보, 정체 메시지, 다른 경고 메시지 등을 형성하고, 정보의 신뢰성과 관련한 표시를 갖는 이러한 정보를 도로 교통 유저에게 제공한다.
US 2013/0275214 A1호에 차량 내에 설치된 센서들의 종류와 관련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로써 그것으로부터 편성된 광고를 차량에 다시 송출하는 것이 공개되어 있다. 광고는 추가 특수 장비와 관련될 수 있고, 상기 장비는 개장이 바람직할 수 있다.
DE 10 2013 205 392 A1호에 데이터 뱅크를 가진 차량들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을 위한 백앤드(backend)가 공개되어 있다. 백앤드 장치는 다수의 차량으로부터 플로팅 차량 데이터(Floating Car Data)를 수신한다. 백앤드는 이 경우 차량들 중 적어도 하나의 차량에 대한 명령을 이용해서 플로팅 차량 데이터의 범위 또는 데이터 획득률을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의 용량 이용률/가용성 또는 대역폭에 의존해서 제어한다.
DE 101 33 387 A1호에 차량을 위한 교통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이 공개되어 있고, 상기 방법에서 차량들은 통신 유닛을 통해 위치 데이터를 통제 센터에 제공하고, 이 경우 다수의 차량의 위치 데이터로부터 교통 상태 메시지가 작성된다. 방법에서, 메시지 발생을 조절하기 위해, 보고자로서 차량들의 선택적 접속/차단은 통제 센터의 통보에 의해 이루어진다.
공개된 해결 방법들과 달리,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해결 방법들의 단점들을 방지하는 더 효율적인 데이터 획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것이다. 도로 위에 점점 더 많은 차량들이 이동하고, 차량들은 연계적 또는 자율적으로 제어된다. 이는 통신 발생을 급격하게 증가시킨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의 조종 임무로부터 자유로워지면, 차량의 승객의 미디어 이용 및 정보 요구는 증가한다.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는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추가로 부하를 받는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집단적 획득을 위한 방법, 청구항 제11항에 따른 데이터 획득 컴퓨터 및 청구항 제12항과 제13항에 따른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상기 조치들의 하기 설명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개선예들을 포함한다.
해결 방법은 모바일 기기들로부터 데이터의 더욱 집중적인 획득이고, 이 경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내 모바일 기기들의 연결 상태가 고려된다. 즉, 데이터 획득이 효율적으로 가능함을 나타내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내 연결 상태를 갖는 모바일 기기들이 데이터 획득을 위해 선택된다. 데이터의 집단적 획득이 양호하게 접속된 스테이션에 데이터의 전송으로 제한되면, 오전송 및 이로 인해 야기되며 연결 문제로 인한 중복 전송이 방지된다.
연결 상태는 모바일 기기들 자체 및 모바일 무선 통신 사업자에게만 공개되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는 모바일 기기들 자체 또는 모바일 무선 통신 사업자에 의해 조회될 수 있다. 개별 모바일 기기들에 의한 연결 상태의 개별 조회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 심하게 부하를 가할 수 있고,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비실용적이다. 또한, 개별 모바일 기기들은 연결 상태에 관한 정보의 일부를 모바일 무선 통신 사업자에게 통지하므로, 이러한 정보의 추가의 전용 조회는 비효율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제안에 따라 연결 상태 데이터의 조회는 따라서 모바일 무선 통신 사업자 측에서 이루어진다. 모바일 무선 통신 사업자는 이러한 데이터를 예를 들어 공급자 네트워크의 EPC(Evolved Packet Core)에 제공한다. 데이터 획득 컴퓨터(50) 측에서 이러한 데이터에 액세스는 이 경우 예를 들어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은 필요 없다.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는 이 경우 더 부하를 받지 않는다. 인터넷을 통해 연결 데이터는 통합되어 다운로드에 의해 로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개별 질의는 필요 없다.
모바일 기기들의 연결 상태의 조회 시 모바일 기기가 이동하는 모바일 무선 셀의 용량 이용률이 얼마나 높은지 검출되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보는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서 프리 네트워크 용량이 얼마나 많이 아직 남아 있는지 반영한다. 이러한 경우에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용량에 따라 선택된 모바일 기기들의 개수가 의도대로 조정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들의 연결 상태의 조회 시 각각의 측정된 연결 품질이 검출되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오류율이 검출될 수 있다.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작은 오류율을 갖는 모바일 기기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상태의 조회 시 모바일 기기가 모바일 무선 셀의 셀 경계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검출되면, 바람직하다. 기기가 기지국으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데이터의 신뢰적인 전달은 어려워진다. 또한, 데이터의 전송 시 에너지 효율이 감소한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의 연결 상태는 어떤 스펙트럼 효율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지 또는 어떤 에너지 효율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지에 의존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의 스펙트럼 효율 또는 데이터 전송의 에너지 효율의 기준이 연결 상태로서 이용되면, 바람직하다.
연결 상태의 검출을 위한 다른 기준은 모바일 기기의 핸드 오버 상태이다. 모바일 기기가 셀 경계에서 이동하는 경우 및 획득할 데이터의 전달 시 기기가 현재 로그온 된 셀 내에 여전히 남아 있을 것인지 여부가 매우 불명확하면, 핸드 오버 상태는 임계적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모바일 기기들이 경로를 모바일 무선 통신 서비스 공급자에게 전달하면 바람직하다. 모바일 무선 통신 서비스 공급자에게 모바일 기기의 경로에 관해 알려지면, 모바일 무선 통신 서비스 공급자는 데이터 획득을 위한 모바일 기기가 어떤 셀에 있을 것인지 예측이 더 정확하게 고려되는 예측적 연결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의 연결 상태로서 획득할 데이터의 필요한 정확성도 조회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는 예를 들어 카메라 데이터의 획득이다. 카메라 데이터를 이용해서 차도 상태가 검출되어야 하는 경우, 기록된 비디오 이미지의 품질 및 상기 이미지의 시간 분해능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물론, 차량이 어떤 속도로 이동 중인지에 크게 의존한다. 따라서 연결 상태는 서행 중인 차량의 경우 매우 양호한 한편, 고속 주행 중인 차량의 경우에 불량하다.
데이터의 집단적 획득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변형예에서, 데이터가 획득되어야 하는 모바일 기기들의 선택을 위한 기준 및/또는 개수와 관련해서 데이터 획득 컴퓨터로부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에 요구가 전송되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데이터가 획득되어야 하는 모바일 기기들의 선택은 선택을 위한 기준 및/또는 전송된 개수의 고려하에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 자체에 의해 이루어지고, 선택된 모바일 기기들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는 데이터 획득 컴퓨터에 전달된다. 데이터 획득 컴퓨터 측에서 이러한 획득된 데이터에 액세스는 이 경우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또는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예를 들어 다운로드에 의해 이루어진다.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는 이러한 경우에 더 이상 부하를 받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변형예에서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에 의해 원격 액세스를 통해 데이터 획득 컴퓨터에 모바일 기기들의 연결 상태가 제공되고, 데이터가 획득되어야 하는 모바일 기기들의 선택은 데이터 획득 컴퓨터에 의해 이루어진다. 데이터가 획득되어야 하는 모바일 기기들의 선택은 데이터 획득 컴퓨터로부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에 전달되고, 선택된 모바일 기기들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으로부터 데이터 획득 컴퓨터에 전달된다. 이 경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은 실제로 예를 들어 API(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형태의 인터페이스만을 이용하지만, 데이터가 획득되어야 하는 모바일 기기들의 선택의 과제는 갖지 않는다. 인터넷을 통해 연결 상태 데이터들은 통합되어 다운로드에 의해 로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개별 질의는 필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고, 계속해서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모바일 무선 통신을 통한 차량 통신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용량 이용률이 상이한 몇 개의 모바일 무선 셀의 경우에 모바일 기기들의 개수의 선택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 실시예에서 데이터 획득 컴퓨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 및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가입자 스테이션 사이의 메시지 교환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2 실시예에서 데이터 획득 컴퓨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 및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가입자 스테이션 사이의 메시지 교환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LTE-기지국 eNodeB의 전형적인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자동차의 차량 전자장치의 블록선도.
본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개 내용의 원리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물론, 당업자들은 여기에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공개 내용의 원리들을 구체화하며 또한 공개 내용의 범위에서 보호되어야 하는 다양한 요구들을 구상할 수 있다.
도 1은 모바일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통신의 원리를 도시한다. 차량들은 도면부호 30을 갖는다.
용어 차량은, 내연기관 또는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자동차, 또는 전기 모터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자전거, 또는 근력으로 작동되는 다른 차량, 또는 한 개, 두 개, 네 개 또는 더 많은 휠을 가진 차량을 위한 집합적 용어로서 파악된다. 모터바이크, 승용차, 화물차, 버스, 농용차량 또는 건설 기계를 위해서도 사용된다. 이 목록이 전부는 아니고, 다른 차량 범주들도 포함한다.
도 1의 차량들에 각각 차량 탑재 장치(31)가 설치되고, 상기 차량 탑재 장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위한 송신-및 수신 유닛으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차량 탑재 장치는 본 발명의 공개 내용과 관련해서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가입자 스테이션의 부분이다.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가입자 스테이션은 이하 간단히 모바일 기기라고 한다. 차량(업링크)으로부터 차량(다운링크)으로 모든 메시지는 모바일 무선 셀을 관장하는 기지국(20)을 통해 전달되거나 차량 직접 통신(사이드링크)의 경우에는 차량들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교환된다.
이러한 모바일 무선 셀 내에 차량들이 위치하면, 상기 차량들은 기지국(20)에 등록되고 또는 로그온 된다. 차량들이 모바일 무선 셀을 벗어나면, 상기 차량들은 인접한 셀로 옮겨가고(Handover) 또는 따라서 탈퇴되고 또는 로그아웃된다. 기지국(20)은 인터넷에 액세스도 제공하므로, 모바일 무선 셀 내의 차량들(30) 또는 다른 모든 모바일 기기들에 인터넷 데이터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기지국(20)은 소위 S1-인터페이스를 통해 EPC(진화형 패킷 코어; 40)에 접속된다. 인터넷(10) 또는 다른 광역 네트워크(WAN)를 통해 데이터 획득 컴퓨터(50)에도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획득 컴퓨터(50)는 교통 모니터링을 위한 센터에 할당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데이터 획득 컴퓨터는 업체, 예를 들어 차량 제조사, 물류 업체, 자동차 렌트 업체 등의 차량군 모니터링을 위해 이용된다. 제안과 관련해서 데이터 획득 컴퓨터는 집단적 데이터 획득의 과제를 갖는다. 즉, 차량이 제공할 수 있는 특정한 데이터가 획득되어 후속 처리를 위해 저장된다. 현재의 차량들에 다수의 센서가 설치되고, 회전 속도 센서, 온도 센서, 가속 센서, 유해 물질 방출 센서, 타이어 압력 센서, 시트 점유 센서, 카메라, 레이더, 라이더, 초음파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 목록이 전부는 아니다. 그러나 센서에 의해 직접 측정될 수 없는 데이터도, 즉 예를 들어 소비값, 마모값과 같은 도출된 변수들, 보안 시스템의 상태 또는 계획된 경로, 차량-군집 주행에 관여, 차량 내에 설치된 센서들의 개수 및 종류 등이 획득된다. 획득된 데이터의 후속 처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속 처리는 통계적 평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후속 처리는 차량군 관리를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후속 처리는 교통 모니터링을 위해 이용될 수 있거나, 환경 보호, 사고 예방, 범죄 추적 등과 같은 다른 공공의 목적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무선 통신-기술은 표준화되어 있고, 이와 관련해서 모바일 무선 표준의 해당하는 사양이 참조된다. 모바일 무선 표준의 최근의 예로서 3GPP Initiative 및 LTE(롱 텀 에볼루션)-표준이 관련되어 있다. 관련된 ETSI 사양들 중 많은 사양은 현재 버전 13이다. 예를 들자면, ETSI TS 136 213 V13.0.0(2016년 5월);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Physical layer procedures(3GPP TS 36.213 version 13.0.0 Release 13).
LTE는 특히 높은 전송률과 짧은 반응 시간을 나타낸다. 전송률의 증가는 LTE의 경우에 더 양호한 변조 방법, 더 유연한 주파수 이용 및 더 큰 채널 대역폭에 의해 달성된다. 현재 LTE의 경우 사양에 따라 20-㎒-대역마다 계산상으로 오버헤드를 제외하고 다운링크 시 300 MBit/s 이상 및 업링크 시 75 Mbit/s의 전송률이 달성된다.
LTE의 전송 속도는 실질적으로 주파수 범위, 채널폭, 기지국(20)에 대한 거리 및 모바일 무선 셀 내 가입자 수에 의존한다. 더 많은 사용자가 대역폭을 동시에 이용할수록, 가입자 당 전송률은 감소한다.
대략 800 ㎒의 주파수 범위는 처음에는 아날로그 UHF-텔레비전 채널을 위해 제공되었다. DVB-T/DVB-T2로 지상파 TV-수신의 전환 및 이에 따라 무선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의 중단에 의해 상기 주파수 범위는 유휴화되었다. 이러한 주파수 범위는 따라서 디지털 디비던드(digital dividend)라고도 한다. 또한, 모든 네트워크 사업자에게 대략 1,800 ㎒의 주파수 범위에서 LTE를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주파수가 제공된다.
대략 2,600 ㎒의 주파수는 주로 대도시의 방문 빈도가 매우 높은 지역(핫스팟)에서 이용될 수 있는 한편, 모바일 무선 통신 사업자는 광대역-확장의 특별한 이용 계획이 없는 지역(white areas) (비 공급 지역)에 800 ㎒의 주파수 범위를 제공할 의무를 갖는다. 요구 및 수요에 따라, 상기 주파수 범위는 언젠가는 채워지고 농촌에서도 틀림없이 대략 2,600 ㎒의 주파수를 이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더 높은 주파수 범위는 더 낮은 수신 범위를 갖는다. 800-㎒-대역은 3개의 모든 주파수 범위로부터 최대 수신 범위를 제공하고, 소수의 기지국 기반 네트워크 범위로 충분하다.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거리는 LTE의 경우 10 ㎞를 넘어서는 안 된다.
더 많은 모바일 무선 기기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위해, LTE는 조정 가능한 개별 채널들로 작동한다. 즉, 구체적으로는, 리소스 예약 시 주파수 스펙트럼이 분할되고, 스펙트럼의 부분들은 특정한 시간 동안 개별 기기들에 할당된다.
다운링크를 위해 OFDMA(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기술이 사용된다. 거기에서 공개된 다중 반송파 전송 기술 OFDM(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이 사용되고, 상기 기술에서 데이터 기호는 QPSK(직각 위상 편이 변조) 또는 QAM(직교 진폭 변조)에 의해 개별 반송파로 변조된다. OFDMA의 경우 가용 주파수 대역은 다수의 협대역(채널)으로 분할된다. 주파수로부터 최대 전송 출력을 얻기 위해, 대역폭은 유연하게 이용된다.
10, 15 또는 20 ㎒ 대역폭을 갖는 주파수 대역은 각각 15 ㎑의 부반송파로 분할된다. 각각의 12개의 부반송파는 통합되어 리소스 블록(RB)을 형성하고, 이는 LTE-기기에 할당될 수 있는 것의 최소 단위이다. 기기는 방향마다 하나 내지 다수의 리소스 블록을 예약할 수 있다. 개수는 셀의 용량 이용률 및 신호 품질에 의존한다. 상한선은 기지국이 이용하는 주파수 블록의 폭으로부터 얻어진다. 10-㎒-주파수 블록의 경우 이는 50개의 리소스 블록이다. 20 ㎒의 경우 이는 100개의 리소스 블록이다.
시간적으로 블록의 전송은 10 ㎳로 정해져 있다(frame). 이는 초당 100개의 블록이다. 각각의 프레임은 다시 10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서브 프레임당 하나의 전송 블록이 전송될 수 있다. 신호 품질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은 크기가 다르다. 전송 블록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신호 품질에 의존한다. 신호 품질은 어떤 변조가 이용되는지, 사용 데이터와 오류 보정 사이의 비율(code rate)이 얼마인지 그리고 몇 개의 리소스 블록이 사용되는지를 결정한다. 또한, 이러한 3개의 파라미터는 직접 서로 관련된다.
특수한 알고리즘들이 적합한 채널들을 선택하고, 또한 주변의 영향을 고려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관련 위치의 사용자에게 가장 바람직한 반송파만이 전송을 위해 이용된다.
업링크의 경우에 SC-FDMA(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기술이 이용된다. 이는 단일 반송파 액세스 방법이고, 이는 또한 OFDMA와 매우 유사하다. SC-FDMA는 더 경미한 전력 변동을 갖고, 더 간단한 전력 증폭기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특히 모바일 기기들의 배터리를 보호한다.
LTE는 공간적으로 분리된 데이터 스트림으로도 작동한다. LTE-사양은 기지국 내 4개의 안테나와 단말기 내 2개의 안테나를 규정한다. 송신 신호는 전송을 위해 다수의 송신 안테나에 전달된다. 수신 신호들은 2개의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다. 이러한 기술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이라고 한다. 이 경우 2개의 신호로부터 더 양호한 신호가 추출된다. 따라서, 개선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달성되는데, 그 이유는 2개의 송신- 및 수신 경로에 동시에 장애가 (손실 및 간섭)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추가로 LTE, 다른 기술들, 예를 들어 공용 채널(Shared-Channel) 원리,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HARQ) 및, 적응 변조 및 코딩(AMC)이 이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응용예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몇 개의 모바일 무선 셀(60)이 도시되고, 상기 모바일 무선 셀들은 각각 육각형으로 도시된다. 각각의 모바일 무선 셀(60) 내 모바일 기기들(30)의 위치는 각각 십자형으로 마킹된다. 모바일 기기란 여기에서, 모바일 무선 셀에 로그온 될 수 있는 기기, 즉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 태블릿 컴퓨터, 모바일 무선 통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되는 IoT(사물 인터넷)-기기, 모바일 무선 통신 모뎀(31)이 설치된 차량(30) 등이다. 도 2는 개별 셀 내의 모바일 기기들(30)의 지리적 분포를 도시한다. 소수의 모바일 기기는 원테두리로 표시된다. 이로써 관련 모바일 기기가 데이터 획득을 위해 선택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기기들은 도면부호 32를 갖는다. 데이터가 획득되어야 하는 모바일 기기들(30)의 결정을 위한 선택 프로세스는 하기에 설명된다.
제안에 따라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내 모바일 기기들의 연결 상태는 선택 기준으로서 이용된다. 연결 상태는 모바일 기기들(31) 자체에 및 모바일 무선 통신 사업자에게만 공개되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는 모바일 기기들(31) 자체 또는 모바일 무선 통신 사업자에 의해 조회된다. 개별 모바일 기기들(31)의 연결 상태의 개별 조회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 심하게 부하를 가할 수 있고, 따라서 비실용적이다. 또한, 개별 모바일 기기들은 연결 상태와 관련한 몇 가지 정보를 모바일 무선 통신 사업자에게 통지하므로, 이러한 정보의 추가의 전용 조회는 비효율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연결 상태와 관련해서 모바일 기기(31)가 모바일 무선 통신 사업자에게 통지하는 정보에 관하여 하기에 더 자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조회는 따라서 모바일 무선 통신 사업자 측에서 선호된다. 모바일 무선 통신 사업자는 이러한 데이터를 예를 들어 EPC(40)에 제공한다. 데이터 획득 컴퓨터(50) 측에서 이러한 데이터에 액세스는, 이 경우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또는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진다.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는 이 경우 더 부하를 받지 않는다. 연결 데이터는 통합되어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에 의해 로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개별 질의는 필요 없다.
도 3은 이러한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상기 도면에서 데이터 획득 컴퓨터(50)는 모바일 무선 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된 연결 데이터에 액세스한다. 먼저, 데이터 획득 컴퓨터(50)는 인터넷을 통해 http GET VD 질의를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의 웹 서버에 송신한다. 이러한 질의에 응답해서 단계 DWL VD에서 연결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이루어진다. 데이터 획득 컴퓨터(50)에서 연결 데이터의 분석이 이루어진다. 평가는 하기 기준들 중 하나 또는 다수의 기준을 고려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 모바일 무선 셀의 용량 이용률
- 연결 품질
- 셀 경계에 대한 간격
- 핸드 오버 상태
- 제공할 센서 데이터의 정확성
-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스펙트럼 효율
-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에너지 효율
도 2에서, 예를 들어 셀(61)의 용량 이용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무선 셀(61) 내 모바일 기기들의 데이터의 전송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 과부하를 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셀 내의 모바일 기기들의 일부만이 데이터 획득을 위해 선택된다. 모바일 기기들(33)은 셀 경계에 위치한다. 상기 모바일 기기들은 따라서 특히 효율적으로 접속되지 않는다. 이는 에너지 효율은 물론 데이터 전송의 스펙트럼 효율과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 기기들은 데이터 획득을 위해 선택되지 않는다. 모바일 기기들(33)은 도 2에서 마름모 테두리에 의해 식별된다. 모바일 기기들(34)은 임계적 핸드 오버-상태를 갖고, 또한 선택되지 않는다. 상기 모바일 기기들은 사각형 테두리로 마킹된다. 수용 셀이 높은 용량 이용률을 갖거나 다른 이유로 핸드 오버 과정이 많은 시간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음이 예상되는 경우에, 임계적 핸드 오버-상태가 존재한다.
모바일 기기에 내비게이션 기능이 설치되고 모바일 무선 통신 사업자 측에 상기 기기의 경로가 등록되면, 이러한 정보 또한 데이터 획득 컴퓨터(50)에 전달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거기에서 선택을 위해 고려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모바일 기기(34)가 임계적 핸드 오버-상태에도 불구하고 선택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예측된 연결 상태는 충분히 양호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데이터 획득 컴퓨터(50)는 차량의 선택과 관련한 정보를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에 전달한다. 이는 해당하는 http POST AF 메시지를 이용해서 이루어진다.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은, 선택된 차량들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이러한 정보를 이용한다. 이를 위해 상기 관리 유닛은 해당하는 메시지 RQ FD를 선택된 차량에 송신한다. 상기 메시지에 소정의 데이터 종류가 정확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언제 그리고 얼마나 오래 소정의 데이터가 제공되어야 하는지 시점과 시간 범위가 규정될 수 있다. 가능한 응용예는 예를 들어 카메라 센서를 이용한 차도 상태(예를 들어 포트홀에 대한 경고를 위해)의 모니터링이다. 선택된 차량들은 요구되는 데이터를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에 제공한다. 이러한 단계는 도 3에서 RP FD로 언급된다. 카메라 센서를 위해 이 경우 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림이 제공된다. 이는 또한 선택 기준의 예, 센서 데이터의 정확성과 관련되어 있다. 차량이 매우 빠르게 이동 중이면, 비디오 이미지들의 시간 분해능은 신뢰적인 포트홀 인식을 위해 충분하지 않다. 그 경우에 차량은 포트홀 인식과 관련한 데이터 획득을 위해 선택되지 않는다.
도 4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에서 차량의 선택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선택을 위한 기준들은 데이터 획득 컴퓨터(50)로부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에 전송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차량들의 연결 상태는 데이터 획득 컴퓨터(50)에 전송되지 않아도 된다. 먼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에 선택 기준들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해당하는 http POST 메시지는 도 4에서 POST AK로 표시된다.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은 전달된 선택 기준들을 참고로 선택을 실시한다. 개별 모바일 기기들의 필수적인 연결 상태 데이터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에 존재한다. 그리고 나서 선택된 차량(32)에서 요구 RQ FD 가 후속한다. 선택된 차량들(32)은 요구되는 데이터를 단계 RP FD에서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에 통지한다. 계속해서 데이터 획득 컴퓨터(50) 측에서 획득된 데이터의 액세스도 앞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GET Request GET FD 및 단계 DWL FD에서 요구된 데이터의 제공에 따라 후속한다.
전송 리소스의 예약은 LTE-표준에 따라 소위 "스케줄러"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스케줄러는 전송 리소스를 관리하는 관리 유닛에 상응한다. 스케줄러는 LTE-표준에 따라 기지국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기지국은 LTE-표준에서 eNodeB라고 하고, 그에 따라 명시된다. 이와 같은 기지국 eNodeB의 프로토콜 스택은 도 5에 도시된다. 도면부호 200은 실행된 다양한 프로토콜 전체를 나타낸다. 도면부호 205는 비트 전송 계층, 즉 데이터 통신의 ISO/OSI 계층 모델의 계층(1; 물리적 계층)을 나타낸다. 네트워크 계층, 계층(2; 데이터 링크 계층)은 LTE에서 계층들 미디어 액세스 제어 계층(210; Medium Access Control Layer), 무선 링크 제어 계층(215; Radio Link Control Layer) 및 무선 리소스 제어 계층(220; Radio Resource Control Layer)에 의해 구현된다. 그 위에 스케줄러, 즉 리소스 예약을 실행하는 관리 유닛의 전술한 기능이 배치된다. 이러한 유닛은 도면부호 225로 표시된다. 그 위에 계층(230)이 배치되고, 상기 계층은 측정의 평가 및 기지국 eNodeB를 위한 환경 설정의 사전 처리를 실행한다. 이러한 계층에서 연결 품질 데이터가 수집되어 처리되고, 상기 데이터는 연결 상태의 결정에 필요하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들로부터 채널 품질 표시기(CQI) 보고, 수신 신호 강도 표시기(RSSI) 보고 및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보고가 제공된다. 개별 유닛들에 대해 여기에서 또한 본 발명의 공개 내용과 관련해서 명시적으로 LTE-표준이 참조된다.
도면부호 235로 무선 수락 제어(RAC) 계층이 표시된다. 무선 베어러 제어(RBC)에 해당하는 계층 RBC는 도면부호 240을 갖는다. 그 위에 또한 계층들 CMC(연결 이동성 제어; 245)와 Inter Cell RRM(무선 리소스 관리; 250)이 배치된다. 네트워크 관리 유닛(20)의 개별 계층들은 선행기술에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은 측정의 평가 및 환경 설정의 사전 처리를 실행하는 계층(230)이다. 이러한 이유로 하기에 상기 계층(230)에 관한 더 상세한 설명이 제시된다. 열거된 다른 계층들에 대해 상기 계층들의 공개 내용을 고려해서 명시적으로 LTE-표준이 참조된다.
이를 위해, 이러한 형태의 도 5가 LTE-표준에서 추측되었음이 참조된다. 사양은 ETSI TS 136 211 V13.1.0이다. 상기 사양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 LTE;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3 GPP TS 36.211 Virgin 13.1.0 Release 13).
계층(230)은 QoS 모니터링의 본 발명을 위해 제공된 제2 단계를 실시한다. 즉, 네트워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의 제공이다. 이러한 정보는 모바일 무선 통신 가입자에게 전송된다. 이 경우, 정보는 이러한 특수한 QoS-모니터링-서비스를 위해 등록한 가입자에게만 전송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도 6은 최근의 자동차(30)의 자동차-전자장치(100)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면부호 151은 엔진 제어부를 나타낸다. 도면부호 152는 ESP-제어부에 해당하고, 도면부호 153은 ABS-제어부를 나타낸다. 다른 제어부들, 예컨대 트랜스미션 제어부, 에어백 제어부 등이 자동차 내에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들의 네트워킹은 일반적으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버스 시스템(104)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버스 시스템은 ISO 표준, ISO 11898로서 표준화되어 있다. 자동차 내에 다양한 센서들이 설치되고 상기 센서들은 더 이상 개별 제어부에 접속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센서 데이터는 또한 버스 시스템(104)을 통해 개별 제어부들에 전송된다. 자동차 내 센서들의 예는 휠 회전 속도 센서, 스티어링 각도 센서, 가속 센서, 요 레이트(yaw rate) 센서, 타이어 압력 센서, 간격 센서 등이다. 차량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들은 도 6에서 도면부호 161, 162, 163으로 표시된다.
최근의 자동차는 예를 들어 후방 카메라 또는 운전자 모니터링 카메라 또는 교통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전방 카메라로서 비디오 카메라(105)와 같은 다른 구성 요소들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 요소들의 예로서 또한, 간격 경고- 또는 충돌 경고 장치의 구현을 위한 또는 레이더 크루즈 컨트롤의 구현을 위한 레이더 장치도 들 수 있다.
수년 전부터 레이더-, 라이더- 또는 비디오 센서로 주행 환경을 검출하고, 이러한 센서 데이터의 해석에 의해 주행 상황의 내부 표현 방식을 형성하며, 이러한 정보에 기반해서 점차적으로 요구되는 기능들을 차량 운행에 의도적인 개입에 이르기까지 운전자의 경고와 정보에 의해 실행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이 제공되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잘 조직된 도로, 예컨대 고속도로에서 선형 주행은 레이더 센서가 설치된 ACC(적응형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에 의해 높은 시간 구획으로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자동차에 이 경우 또한 다른 전자 장치들도 배치된다. 상기 전자 장치들은 차량 객실의 영역 내에 더 많이 배치고, 종종 운전자에 의해서도 조작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에 의해 운전자는 주행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전형적인 부품들을 조작할 수 있다. 여기에 기어 선택 및 점멸등-제어, 윈도우 와이퍼 제어, 라이트 제어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도면부호 130을 갖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30)에 종종 회전/누름 스위치도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에 의해 운전자는 조종석 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다양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접촉 감응식 디스플레이도 이러한 범주에 포함된다. 조작 지원을 위한 음성 입력도 이러한 범위에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조종석의 영역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시스템(120)은 대개 이와 구별된다. 맵에 표시되는 경로는 물론 조종석 내의 디스플레이에도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즈프리 모듈처럼 제공될 수 있는 다른 구성 요소들은 그러나 상세히 도시되지 않는다. 도면부호 110은 또한 차량 탑재 장치를 나타낸다. 이러한 차량 탑재 장치(110)는 통신 모듈에 해당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은 모바일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예를 들어 LTE 및 LTE-V-표준에 따른 모바일 무선-통신 모듈일 수 있다.
차량 객실의 기기들은 또한, 도면부호 102로 표시된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네트워크화된다. 그러나 인포테인먼트 기기들 사이에서 더 높은 데이터율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변형예에서, 예를 들어 ISO 11898-2 표준에 따른 고속 CAN-버스 시스템일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을 통해 다른 차량 또는 다른 중앙 컴퓨터에 차량 관련 센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목적을 위해 게이트웨이(140)가 제공된다. 이러한 게이트웨이는 2개의 상이한 버스 시스템(102, 104)에 연결된다. 게이트웨이(140)는, CAN-버스(104)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가 고속 CAN-버스(102)의 전송 포맷으로 변환되고, 따라서 거기에서 지정된 패킷으로 분할될 수 있도록 변환하도록 설계된다. 외부로 이러한 데이터의 전달을 위해 통신 모듈(110)은,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다시 적절하게 사용되는 통신 표준의 전송 포맷으로 변환하도록 설치된다. 게이트웨이(140)는 다른 과제를 위한 컴퓨팅 수단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제안된 방법 및 관련 장치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특수 프로세서 또는 이들의 조합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수 프로세서는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s), 축소 명령 집합 컴퓨터(RISC) 및/또는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s)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안된 방법 및 장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된다. 소프트웨어는 바람직하게 프로그램 메모리 장치에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예컨대 하나 이상의 중앙 유닛(CPU),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들)와 같은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플랫폼 기반의 머신이다. 컴퓨터 플랫폼에 일반적으로 또한, 운영 시스템이 설치된다.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프로세스와 기능들은 응용 프로그램의 부분일 수 있거나 운영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부분일 수 있다.
공개 내용은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가 전문 지식을 기초로 공개 내용에 관련된 것으로서 고려할 수도 있는 다양한 조정과 변형을 위한 여지가 있다.
명시적으로 제시된 변형예는, 데이터 획득 컴퓨터(50)가 인터넷(10)을 통해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엣지 클라우드(Edge Cloud)-애플리케이션으로서 EPC(40)의 부분이다.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 위치에 다른 데이터 획득 컴퓨터(50)가 제공되고, 상기 컴퓨터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 영역마다 관련 영역 내에 위치 설정된 모바일 기기들로부터 데이터의 데이터 획득 권한을 갖는다.

Claims (13)

  1. 데이터의 집단적 획득을 위한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모듈(31)이 설치된 모바일 기기들(30, 32, 33, 34)로부터 데이터가 획득되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31)을 이용해서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획득 컴퓨터(50)에 전송되는 방법에 있어서,
    획득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획득 컴퓨터(50)에 전송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가진 모바일 기기들(30, 32, 33, 34)의 선택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내 상기 모바일 기기들(30, 32, 33, 34)의 적어도 연결 상태에 의존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30, 32, 33, 34)의 연결 상태는 상기 모바일 기기(30, 32, 33, 34)가 이동하는 모바일 무선 셀(60, 61)의 용량 이용률이 얼마나 높은지에 의존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30, 32, 33, 34)의 연결 상태는 측정된 연결 품질에 의존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결 상태는 상기 모바일 무선 셀(60, 61)의 셀 경계와 상기 모바일 기기(30, 32, 33, 34)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에 의존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결 상태는 상기 모바일 기기(30, 32, 33, 34)의 핸드 오버 상태에 의존하는 것인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30, 32, 33, 34)의 연결 상태는 획득할 데이터의 필요한 정확성에 의존하는 것인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30, 32, 33, 34)의 연결 상태는 어떠한 스펙트럼 효율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지 또는 어떠한 에너지 효율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지에 의존하는 것인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30, 32, 33, 34)는 그것의 경로를 모바일 무선 통신 서비스 공급자에게 전송하고, 연결 상태는 전달된 경로에 기초해서 예측된 연결 상태인 것인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데이터가 획득되어야 하는 상기 모바일 기기들(30, 32, 33, 34)의 선택을 위한 기준 또는 개수 또는 양자 모두와 관련해서 상기 데이터 획득 컴퓨터(50)로부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에 요구가 전송되고, 데이터가 획득되어야 하는 상기 모바일 기기들(30, 32, 33, 34)의 선택은 선택을 위한 기준 또는 전달된 개수 또는 양자 모두의 고려하에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에 의해 상기 모바일 기기(30, 32, 33, 34) 자체의 적어도 연결 상태에 의존해서 이루어지고, 선택된 모바일 기기(32)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획득 컴퓨터(50)에 전달되는 것인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은 상기 모바일 기기들(30, 32, 33, 34)의 연결 상태를 원격 액세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 획득 컴퓨터(50)에 제공하고, 데이터가 획득되어야 하는 상기 모바일 기기들(30, 32, 33, 34)의 선택은 상기 데이터 획득 컴퓨터(50)에 의해 상기 모바일 기기들(30, 32, 33, 34)의 적어도 연결 상태에 의존해서 이루어지고, 데이터가 획득되어야 하는 상기 모바일 기기들(30, 32, 33, 34)의 선택은 상기 데이터 획득 컴퓨터(50)로부터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에 전달되고, 선택된 모바일 기기(32)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획득 컴퓨터(50)에 전달되는 것인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방법에서 이용을 위한 데이터 획득 컴퓨터(50)로서,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과 메시지 교환을 위한 송신- 및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 컴퓨터(50)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획득 컴퓨터(50)는,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에 의해 제공되는 모바일 기기들(30, 32, 33, 34)의 연결 상태에 원격 액세스를 통해 액세스하도록, 상기 모바일 기기들(30, 32, 33, 34)의 적어도 연결 상태에 의존해서 선택을 실시하도록, 데이터가 획득되어야 하는 상기 모바일 기기들(30, 32, 33, 34)의 선택을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에 전달하도록 및 선택된 상기 모바일 기기들(30, 32, 33, 34)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설계되는 것인 데이터 획득 컴퓨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방법에서 이용을 위한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으로서, 데이터 획득 컴퓨터(50)와 메시지 교환을 위한 송신- 및 수신 유닛과 모바일 기기들(30, 32, 33, 34)과 메시지 교환을 위한 송신- 및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은, 상기 데이터 획득 컴퓨터(50) 측에서 원격 액세스 동안 상기 모바일 기기들(30, 32, 33, 34)의 연결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데이터가 획득되어야 하는 상기 모바일 기기들(30, 32, 33, 34)의 연결 상태 의존적인 선택을 상기 데이터 획득 컴퓨터(50)로부터 수신하도록 및, 선택된 모바일 기기(3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획득 컴퓨터(50)에 전달하도록 설계되는 것인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방법에서 이용을 위한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으로서, 데이터 획득 컴퓨터(50)와 메시지 교환을 위한 송신- 및 수신 유닛과 상기 모바일 기기(30, 32, 33, 34)와 메시지 교환을 위한 송신- 및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40)은, 데이터가 획득되어야 하는 상기 모바일 기기들(30, 32, 33, 34)의 선택을 위한 기준 또는 개수 또는 양자 모두와 관련한 요구를 상기 데이터 획득 컴퓨터(50)로부터 수신하도록, 그로 인해서 상기 모바일 기기들(30, 32, 33, 34)의 선택을 상기 모바일 기기(30, 32, 33, 34) 자체의 적어도 연결 상태에 의존해서 실시하도록 및 선택된 모바일 기기(3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획득 컴퓨터(50)에 전달하도록 설계되는 것인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
KR1020180001150A 2017-01-05 2018-01-04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집단적 획득을 위한 방법과 데이터 획득 컴퓨터 및 방법에서 이용하기 위한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 KR102023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00100.3 2017-01-05
DE102017200100.3A DE102017200100B3 (de) 2017-01-05 2017-01-05 Verfahren zur kollektiven Erfassung von Daten in einem Mobilfunknetz sowie Datenerfassungsrechner und Mobilfunknetz-Verwaltungseinheit zur Verwendung bei dem Verfah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001A true KR20180081001A (ko) 2018-07-13
KR102023666B1 KR102023666B1 (ko) 2019-09-23

Family

ID=61247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150A KR102023666B1 (ko) 2017-01-05 2018-01-04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집단적 획득을 위한 방법과 데이터 획득 컴퓨터 및 방법에서 이용하기 위한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94294B2 (ko)
JP (1) JP6608973B2 (ko)
KR (1) KR102023666B1 (ko)
CN (1) CN108282787B (ko)
DE (1) DE102017200100B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5961A1 (ko) * 2018-10-08 2020-04-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에 탑재된 단말 장치가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예상 경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7014A1 (de) * 2017-04-26 2018-10-31 Audi Ag Verfahren zur Datenerhebung
EP3567565A1 (en) * 2018-05-09 2019-11-13 Volkswagen AG Apparatus, method, computer program, base station and vehicle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approaching vehicle
EP3654698B1 (en) 2018-11-16 2022-01-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 method for performing a handover process for a mobile radio network terminal in a mobile radio network, corresponding apparatuses for performing steps in the method, vehicle and core network management device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s
JP7331734B2 (ja) 2020-03-02 2023-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端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4480A (ko) * 2008-09-24 2010-04-01 주식회사 케이티 펨토 셀에서의 이동 단말의 접속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KR20120122424A (ko) * 2011-04-29 2012-11-07 팅크웨어(주) 전자기기, 그 제어방법 및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서버
KR20130100716A (ko) * 2012-03-02 2013-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기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9313B2 (ja) * 2000-06-13 2005-08-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体情報の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DE10133387B4 (de) * 2001-07-10 2019-01-0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Erfassung von Verkehrsdaten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ein Kraftfahrzeug, und Einrichtung
CN1447128A (zh) * 2003-02-18 2003-10-08 何征 公交车辆实时定位通信方法及其系统实现
CA2581982C (en) * 2004-09-27 2013-06-18 Nielsen Media Research,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location information to manage spillover in an audience monitoring system
US8306556B2 (en) * 2006-02-08 2012-11-06 Telenav, Inc. Intelligent real-time distributed traffic sampling and navigation system
JP4715659B2 (ja) * 2006-07-19 2011-07-06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ローブ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その収集装置ならびに収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077143A (ja) * 2006-09-19 2008-04-03 Kddi Corp プローブ情報収集装置、プローブ情報送信装置およびプローブ情報収集方法
US8843110B2 (en) * 2007-07-03 2014-09-23 General Motors Llc Method of providing data-related services to a telematics-equipped vehicle
CN103688245A (zh) * 2010-12-30 2014-03-26 安比恩特兹公司 利用一群数据获取装置进行信息处理
RU2595784C2 (ru) * 2011-03-31 2016-08-27 Нек Корпорейшн Радиотерминал, радиостанция,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в системе радиосвязи
JP5910153B2 (ja) * 2012-02-20 2016-04-2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サーバ装置、サー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クライアント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20130275214A1 (en) * 2012-04-13 2013-10-17 Automatic Labs, Inc. Vehicle Referral System and Service
JPWO2013161278A1 (ja) * 2012-04-26 2015-12-21 日本電気株式会社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装置、情報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989070B2 (en) * 2012-07-02 2015-03-24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efficiently send device trigger messages
US9713014B2 (en) * 2013-01-30 2017-07-18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program, and terminal apparatus
US8977212B2 (en) * 2013-03-15 2015-03-10 DGS Global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lectronic spectrum management with remote access to data in a virtual computing network
DE102013205392A1 (de) * 2013-03-27 2014-10-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ackend für Fahrerassistenzsysteme
JP6025681B2 (ja) * 2013-09-09 2016-1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制御装置
US9843647B2 (en) * 2014-02-25 2017-12-12 Here Global B.V.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lection and prioritization of sensor data
JP2016032232A (ja) * 2014-07-30 2016-03-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中継搬送装置及び無線中継搬送方法
JP6339951B2 (ja) * 2015-03-04 2018-06-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収集システム、データ収集方法、サーバ及びゲートウェイ
JP2016171472A (ja) * 2015-03-13 2016-09-23 富士通株式会社 中継装置の選択方法、中継装置の選択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WO2016150494A1 (en) * 2015-03-25 2016-09-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mmunication network resource along a navigational route
US20160345165A1 (en) * 2015-05-22 2016-11-24 Qualcomm Incorporated Collecting data from a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of mobile devices
US11040725B2 (en) * 2015-09-04 2021-06-22 Inrix Inc. Manual vehicle control notification
US9565625B1 (en) * 2015-09-09 2017-02-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protocol vehicle communications
US9817403B2 (en) * 2016-03-31 2017-11-14 Intel Corporation Enabling dynamic sensor discovery in autonomous devices
US10104498B2 (en) * 2016-11-08 2018-10-16 Ca, Inc. Providing run time signal loss insights to us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4480A (ko) * 2008-09-24 2010-04-01 주식회사 케이티 펨토 셀에서의 이동 단말의 접속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KR20120122424A (ko) * 2011-04-29 2012-11-07 팅크웨어(주) 전자기기, 그 제어방법 및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서버
KR20130100716A (ko) * 2012-03-02 2013-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기 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5961A1 (ko) * 2018-10-08 2020-04-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에 탑재된 단말 장치가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예상 경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US11546795B2 (en) 2018-10-08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predicted route information vi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y terminal device mounted on autonomous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82787A (zh) 2018-07-13
JP6608973B2 (ja) 2019-11-20
KR102023666B1 (ko) 2019-09-23
US20180192270A1 (en) 2018-07-05
DE102017200100B3 (de) 2018-03-15
US10194294B2 (en) 2019-01-29
JP2018110400A (ja) 2018-07-12
CN108282787B (zh)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666B1 (ko)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집단적 획득을 위한 방법과 데이터 획득 컴퓨터 및 방법에서 이용하기 위한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관리 유닛
US10271246B2 (en) Method for transferring a mobile network subscriber station in a handover process in a mobile network, mobile network subscriber station, and mobile network management unit for use in the method and vehicle
US113433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vehicle OBD data in a network of moving things, for example including autonomous vehicle data
US202300139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in a network
US202202106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2x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receiving device
CN109863778B (zh) 用于监控数据连接的质量的方法以及用于在该方法中使用的订户站和网络管理单元
US20230300226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lay server
KR102555082B1 (ko) 셀룰러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이동 통신 파트너 사이의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상기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차량
US20230199636A1 (en)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DE102016226050B4 (de) Verfahren zur vorausschauenden Buchung von Netzwerkressourcen in einem Mobilfunknetz sowie Mobilfunknetz-Teilnehmerstation und Mobilfunknetz-Verwaltungseinheit zur Verwendung bei dem Verfahren, sowie Kraftfahrzeug
GB2592277A (en) Method and network
US20230199609A1 (en)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20230199447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5696256A (zh) 车联网消息自适应发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