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895A -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895A
KR20180078895A KR1020160184153A KR20160184153A KR20180078895A KR 20180078895 A KR20180078895 A KR 20180078895A KR 1020160184153 A KR1020160184153 A KR 1020160184153A KR 20160184153 A KR20160184153 A KR 20160184153A KR 20180078895 A KR20180078895 A KR 20180078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resin
copolymer
vinyl
heat resistanc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1595B1 (ko
Inventor
정혁진
김명환
신승식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60184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595B1/ko
Priority to CN201711143292.4A priority patent/CN108264747A/zh
Priority to US15/833,335 priority patent/US10358553B2/en
Priority to EP17206945.2A priority patent/EP3351588B1/en
Publication of KR20180078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2/00
    • C08F25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2/00 on to polymers of styrene or alkyl-substituted sty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4Vinyl aromatic monomers and nitril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6Vinyl aromatic monomers and methacrylat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08K5/523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with hydroxyar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7Phosphonic compounds, e.g. R—P(:O)(OR')2
    • C08K5/5333Esters of phosphon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00/00Copolymer characterised by the proportions of the comonomers expressed
    • C08F2800/20Copolymer characterised by the proportions of the comonomers expressed as weight or mass percent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4Antist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84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비닐계 공중합체, (C) 불소화 폴리올레핀 및 (D)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8

(상기 식에서,
각각의 R6, R7,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C6 내지 C20인 아릴기 또는 알킬치환 아릴기이고,
R8은 바이페놀(biphenol) 이며,
n은 1 내지 5의 정수임)

Description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RESIN COMPOSITION EXHIBITING GOOD HEAT RESISTANCE AND ELECTRICLA PROPERTIES, AND PRODUCT USING SAME}
본 발명은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 높은 내열성, 투명성 등을 가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사무 자동화(Office Automation) 기기, 전기/전자 부품, 건축자재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수지이다.
특히, 전기/전자 부품의 하우징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높은 난연도 및 내충격성과 함께 우수한 절연성 및 내열성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난연성 향상을 위하여,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난연성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내열성 및 절연성이 큰 폭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우수한 난연성 및 내충격성을 가지면서도 절연성 및 내열성이 향상된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일 실시예는 우수한 난연성 및 내충격성을 가지면서도 절연성 및 내열성이 향상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구현예는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비닐계 공중합체, (C) 불소화 폴리올레핀 및 (D)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각각의 R6, R7,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C6 내지 C20인 아릴기 또는 알킬치환 아릴기이고,
R8은 바이페놀(biphenol) 이며,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상기 (D)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계 화합물은, 바이페닐-4-4'-디일 테트라페닐 비스포스페이트(Biphenyl-4,4'-diyl tetraphenyl bis(phosphate))일 수 있다.
상기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상기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은 65 중량% 내지 94 중량%, 상기 (B) 비닐계 공중합체의 함량은 1 중량% 내지 20 중량%, 상기 (C) 불소화 폴리올레핀의 함량은 0.01 중량% 내지 2 중량%, 상기 (D)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의 함량은 1.5 중량% 내지 15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서로 다른 (A-1) 제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A-2) 제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1) 제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5,000 g/mol 내지 32,000 g/mol 범위이고, 상기 (A-2) 제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0 g/mol 내지 25,000 g/mol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A-1) 제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은 25 중량% 내지 65 중량%이고, 상기 (A-2) 제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은 35 중량% 내지 75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비닐계 공중합체는, (B-1)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B-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B-3)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g-ABS)일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MBS)일 수 있다.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ASTM D3638-12에 따라 측정한 비교 트래킹 지수(CTI, Comparative tracking index) 등급이 0 내지 2 범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난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면서도 절연성 및 내열성이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이란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의 수소가 C1 내지 C30 알킬기; C1 내지 C10 알킬실릴기;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C6 내지 C30 아릴기; C2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C1 내지 C10 알콕시기; 플루오로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등의 C1 내지 C10 트리플루오로알킬기;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헤테로"란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하나의 화합물 또는 치환기 내에 N, O, S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를 1개 내지 3개 포함하고, 나머지는 탄소인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알킬(alkyl)기"란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어떠한 알켄기(alkene)나 알킨기(alkyne)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포화 알킬(saturated alkyl)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알켄기 또는 알킨기를 포함하고 있는 "불포화 알킬(unsaturated alkyl)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알켄기"는 적어도 두 개의 탄소원자가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이루고 있는 치환기를 의미하며, "알킨기" 는 적어도 두 개의 탄소원자가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이루고 있는 치환기를 의미한다. 상기 알킬기는 분지형, 직쇄형 또는 환형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는 C1 내지 C20 알킬기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C1 내지 C6 저급 알킬기, C7 내지 C10 중급 알킬기, C11 내지 C20 고급 알킬기일 수 있다.
"방향족"은 환형인 치환기의 모든 원소가 p-오비탈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p-오비탈이 공액(conjugation)을 형성하고 있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 아릴기와 헤테로아릴기가 있다.
"아릴(aryl)기"는 단일고리 또는 융합고리(즉, 탄소원자들의 인접한 쌍들을 나눠 가지는 복수의 고리) 치환기를 포함한다.
"헤테로아릴(heteroaryl)기"는 아릴기 내에 N, O, S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를 1 내지 3개 포함하고, 나머지는 탄소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헤테로아릴기가 융합고리인 경우, 각각의 고리마다 상기 헤테로 원자를 1개 내지 3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또한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의미하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공중합"이란 블록 공중합, 랜덤 공중합, 그래프트 공중합 또는 교호 공중합을 의미할 수 있고, "공중합체"란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또는 교호 공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비닐계 공중합체, (C) 불소화 폴리올레핀, 및 (D)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각각의 R6, R7,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C6 내지 C20인 아릴기 또는 알킬치환 아릴기이고, R8은 바이페놀(biphenol) 이며,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이하, 상기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카보네이트 결합을 가진 폴리에스테르로서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수지 조성물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임의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디페놀류와 포스겐, 할로겐산 에스테르, 탄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2에서,
A는 단일 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5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5 알킬리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할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6 사이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6 사이클로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10 사이클로알킬리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실렌기, 할로겐산 에스테르기, 탄산 에스테르기, CO, S 및 S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연결기이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기이며, n1 및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디페놀류는 2종 이상이 조합되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반복단위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디페놀류의 구체적인 예로는, 히드로퀴논, 레조시놀, 4,4'-디히드록시디페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A'라고도 함),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페놀류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2종 이상의 디페놀류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분지형(branched)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트리멜라틱 무수물, 트리멜리틱산 등과 같은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을 디페놀류 및 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되는 수지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는 이관능성 카르복실산을 디페놀류 및 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되는 카보네이트는 디페닐카보네이트와 같은 디아릴카보네이트 또는 에틸렌 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본 발명의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65 중량% 내지 94 중량% 함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70 중량% 내지 93 중량%일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6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외관 특성, 기계적 강도 및 내열특성이 좋지 않으며, 94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동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서로 다른 (A-1) 제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A-2) 제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1) 제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5,000 g/mol 내지 32,000 g/mol 범위일 수 있고, 상기 (A-2) 제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0 g/mol 내지 25,000 g/mol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A-1) 제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은 25 중량% 내지 65 중량%이고, 상기 (A-2) 제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은 35 중량% 내지 75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제1 및 제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과 함량이 각각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이 각각 상기 범위 내에 속하는 제1 및 제2 폴리카보네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원하는 유동성을 충족할 수 있다.
(B) 비닐계 공중합체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은 비닐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계 공중합체는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비닐계 공중합체로는, 예를 들면,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고무 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닐계 공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20 중량%일 수 있고, 3 중량% 내지 15 중량% 범위 일 수 있다. 상기 비닐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1 중량% 이상인 경우 우수한 내충격성을 확보할 수 있고, 20 중량% 이하인 경우 난연성 및 내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비닐계 공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비닐계 공중합체의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B-1)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상기 (B-1)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의 삼원 공중합체(EPDM)고무, 및 폴리오르가노실록산/폴리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고무로부터 선택된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함량은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체 중량(100 중량%) 중 5 내지 65 중량%, 예를 들면 10 내지 60 중량%, 구체적으로 20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가 상기 함량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은 수지의 내충격성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표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0.1 내지 10㎛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입경은, 0.15 내지 6 ㎛, 예를 들어, 0.15 내지 4 ㎛, 예를 들어, 0.25 내지 3.5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의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충격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고무질 공중합체에 그라프트 공중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스티렌, C1 내지 C10 알킬기로 치환된 스티렌, 할로겐 치환 스티렌,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o-에틸 스티렌, m-에틸 스티렌, p-에틸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B-1)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94 중량%, 예를 들어, 20 내지 80 중량%, 예를 들어, 30 내지 6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가 상기 함량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범위에서의 내충격성,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일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B-1)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예를 들어 5 내지 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가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유화 중합, 현탁 중합, 괴상 중합, 또는 이들의 조합의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B-1)의 함량은, 상기 수지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1 중량% 내지 6중량% 포함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2 중량% 내지 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나타낸다.
(B-2) (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상기 (B-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코어(core)가 고무질 중합체이고, 쉘(shell)이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및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들의 공중합체인 코어-쉘 형태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중합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 자명하게 공지된 방법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괴상중합, 현탁중합 및 유화중합 등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무질 중합체 40 중량% 내지 60중량% 존재 하에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및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혼합물 40 중량% 내지 60중량%를 유화 중합법으로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와 상기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및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혼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및 내열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무질 중합체는 코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는 평균입경이 200nm 내지 400nm 범위일 수 있다.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입경이 200nm 미만일 경우에는 내충격 특성이 감소할 우려가 있으며, 400nm를 초과일 경우에는 가공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질 중합체는 폴리부타디엔 고무, 아크릴계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공중합체(EPDM) 및 폴리오가노실록산/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복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쉘을 형성하는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은 스티렌, C1-C10의 알킬 치환 스티렌, 할로겐 치환 스티렌, 비닐 톨루엔, 비닐 나프탈렌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 치환 스티렌의 구체적인 예로는 α-메틸 스티렌, p-메틸 스티렌, o-에틸 스티렌, m-에틸 스티렌, p-에틸 스티렌, p-t-부틸 스티렌, 2,4-디메틸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로 스티렌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쉘을 형성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C1-C10)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또는 (C1-C10)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의 중합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쉘 층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셀 층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스티렌의 함량은, 예를 들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각각 70 중량% 내지 83 중량% 및 17 중량%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B-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MBS)일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15 중량%일 수 있고, 예를 들면, 2 중량% 내지 13 중량% 또는 3 중량% 내지 10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나타낸다.
(B-3) 방향족 비닐 화합물- 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시안화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이 공중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는 할로겐 또는 C1 내지 C10 알킬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SAN)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는 60,000 g/mol 내지 350,000 g/mol, 예를 들어 70,000 g/mol 내지 180,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광 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는, 수지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12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2중량% 내지 7 중량%의 함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상용성이 저하되어 내열성이 떨어질 수 있다.
(C) 불소화 폴리올레핀
일 실시예에서, 상기 (C) 불소화 폴리올레핀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 폴리플루오로에틸렌 수지, 폴리플루오로프로필렌 수지, 폴리플루오로부티렌 수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비닐리덴플루오로라이드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C) 불소화 폴리올레핀의 함량은,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2 중량%범위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0.1 중량%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불소화 폴리올레핀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난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D) 인계 난연제
일 실시예서, 상기 (D) 인계 난연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식에서,
각각의 R6, R7,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C6 내지 C20인 아릴기 또는 알킬치환 아릴기이고,
R8은 바이페놀(biphenol)이며,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상기 알킬치환 아릴기의 알킬 치환기는 C1 내지 C14의 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는, 예를 들면,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05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4이다.
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는, 예를 들면, 바이페닐-4-4'-디일 테트라페닐 비스포스페이트(Biphenyl-4,4'-diyl tetraphenyl bis(phosphat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는 올리고머 형태의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로는 위에서 예시한 것 이외의 모든 바이페놀 인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난연제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복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계 난연제(D)은, 예를 들면, 포스포네이트, 포스파젠 등의 다른 인 함유 난연제를 추가로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 (D)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는 상기 수지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1.5 중량% 내지 1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2 중량% 내지 13 중량%의 함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를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에서 다른 물성의 저하 없이,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E) 첨가제
상기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은 그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산화 방지제, 이형제, 활제, 가소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또는 착색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최종 성형품의 특성에 따라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전술한 수지 조성물과 산소와의 화학적 반응을 억제 또는 차단시킴으로써 수지 조성물이 분해되어 고유 물성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질로, 페놀형, 포스파이트형, 티오에테르형 또는 아민형 산화방지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산화방지제는 제1 산화방지제 및 제2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제는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 및 안정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불소 함유 중합체, 실리콘 오일, 스테아릴산의 금속염, 몬탄산의 금속염, 몬탄산 에스테르 왁스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활제는 가공성형압출 중에 저광 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과 접촉하는 금속 표면을 윤활시켜 수지 조성물의 흐름 또는 이동을 도와주는 물질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수지 조성물의 유연성, 가공 작업성 또는 팽창성을 증가시키는 물질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고온에서 혼련 또는 성형할 경우 저광 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의 열적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안정제는 자외선으로부터 저광 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이 분해되어 색이 변하거나 기계적 성질이 상실되는 것을 억제 또는 차단시키는 물질로, 구체적으로 힌드더 페놀형, 벤조페논형 또는 벤조트리아졸형 광안정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착색제는 통상적인 안료 또는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제는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구성 성분과 기타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 압출기 내에서 용융 혼련하는 방법에 의하여 펠렛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의한 성형품은 상술한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우수하면서도, 난연성, 절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압출 등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다양한 전기, 전자 제품의 부품이나, 또는 복잡한 형상을 가진 사출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성형품은 우수한 수준의 절연성 및 난연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성형품은 비교 트래킹 인덱스(CTI, Comparative tracking index) 등급이 2이하일 수 있고, UL94 수직 난연성 시험에서 V-0 등급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성형품은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성형품은 1/8"의 두께에서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60 내지 90kgfㆍcm/cm일 수 있다. 또한, 250℃/10kg 조건에서 ASTM D 1238에 따라 측정한 용융지수는 25 내지 30 범위일 수 있고, 220℃/10kg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는 10 내지 15 범위일 수 있다. 아울러, ASTM D1525 규격에 따라 Vicat 연화온도는 110℃ 내지 140℃ 범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과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내충격성 및 난연성이 우수하면서도 내열성 및 절연성도 향상되었는 바 이러한 특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전기ㆍ전자 제품의 외장재 및 부품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각 구성 성분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1) 중량평균 분자량이 28,000 g/mol인 비스페놀-A형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제조사: 롯데첨단소재 SC-1080)
(A-2) 중량평균 분자량이 23,000 g/mol인 비스페놀-A형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제조사: 롯데첨단소재 SC-1190)
(B) 비닐계 공중합체
(B-1) 45 중량%의 Z-평균이 310nm인 부타디엔 고무에 55 중량%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중량비: 75/25)가 그라프트 공중합된 g-ABS를 사용하였다.
(B-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MBS, 제조사: 미쯔비시 레이온, METABLEN C-223A)
(B-3) 스티렌 82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19 2ndfid%가 중합된 SAN 수지 (중량평균 분자량: 130,000g/mol)를 사용하였다.
(C) 불소화 폴리올레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 (Polytetrafluoroethylene), (제조사: 퍼시픽인터내셔날, 상품명: AD 001)
( 난연제 )
(D)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
[화학식 1-1]
Figure pat00006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4임 (제조사: 아데카, 상품명: FP900, 바이페닐-4-4'-디일 테트라페닐 비스포스페이트(Biphenyl-4,4'-diyl tetraphenyl bis(phosphate))
(1) 난연제 1: 비스페놀 A 디페닐포스페이트(Bisphenol-A diphosphate), (제조사: 다이하치, 상품명: CR741)
(2) 난연제 2: 레소시놀 디페닐포스페이트(Resorcinol diphenyl phosphate), (제조사: 다이하치, 상품명: CR733S)
(3) 난연제 3: 포타시움 디페닐 술폰 술포네이트(Potassium diphenylsulfone sulfonate), (제조사: 아리켐, 상품명: KSS)
(4) 난연제 4: 포타시움 퍼플루오로부탄 술포네이트(Potassium perfluorobutane sulfonate) (제조사: 3M, 상품명: FR-2025)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내지 5 및 참고예 1
상기에서 언급된 구성 성분들을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각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내지 5 및 참고예 1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제조 방법으로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각 성분을 혼합하여 45파이 이축 아불기로 압출한 후 압출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때, 압출 온도 260℃, RPM 250, 생산량은 80kg/hr이였다. 상기 제조된 펠렛은 120톤 사출기로 사출온도 260℃, 금형 온도 60℃로 세팅하여 사출 시편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참고예1
PC
(A-1) 37 37 57 57 37 37 37 57 57 37
(A-2) 55.5 55.5 20.4 20.4 55.5 55.5 55.5 20.4 20.4 55.5
(B-1) g-ABS 4 - 5 - 4 - - 5 5 4
(B-2) MBS - 4 - 5 - 4 4 - - -
(B-3) SAN - - 6 6 - - - 6 6 -
(C) PTFE 0.6 0.6 1 1 0.6 0.6 0.6 1 1 0.6


(D)FP900 2.3 2.3 10 10 - - - - - 20
난연제1 - - - - 2.3 - - 10 - -
난연제2 - - - - - - - - 10 -
난연제3 - - - - - 0.3 - - - -
난연제4 - - - - - - 0.1 - - -
제1 산화방지제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제2 산화방지제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이형제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단위: 중량%)
평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5 및 참고예 1에서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1) 아이조드(Izod) 충격 강도(kgf·cm/cm): ASTM D256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거하여, 1/8" 두께, 3.2mm 길이의 아이조드 시편에 노치(Notch)를 만들어 측정하였다.
(2) 용융지수 (melt flow index, MI): ASTM D 1238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거하여, 250℃/10kg 또는 220℃/10kg 조건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3) Vicat 연화온도: ASTM D1525 규격에 따라 Vicat 연화온도를 측정하였다. ISO 306/B50에 따라 5kgf, 50℃/hr의 승온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4) 난연도: 가로×세로×높이가 125×12.5×1.5mm인 크기로 시편을 제조하여, UL-94 수직 테스트(vertical test) 규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5) BPT(Ball Pressure Test): 3.0mm 시편에 대하여 KS C2006-1998규정으로 125℃를 통과하는지 측정한 것으로서, 고온에서 스트레스를 가했을 때, 수치 안정성을 측정할 수 있는 실험으로, 통과하면 수치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름 5mm인 강구를 125℃로 가열된 시편에 20 ± 4N의 정하중을 1시간 동안 가한 후, 움푹 패인 구멍의 지름이 2mm 미만인 경우를 통과(pass)로 하여 측정하였다.
(6) CTI (Comparative tracking index): 3.0mm 시편에 대하여 ASTM D3638-12 규정에 의하여 측정한 것으로서, 시편 표면에 0.1 중량% 농도의 NH4Cl 수용액을 30초 간격으로 1방울씩 50방울을 떨어뜨려서, 탄화가 발생하지 않을 때의 전압을 측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측정된 전압 값에 따른 등급을 하기 표 2의 기준으로 평가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CTI 등급이 낮을수록 절연 특성이 우수한 것이다.
Range tracking index(volts) Assigned PLC
600 ≤ TI 0
400 ≤ TI < 600 1
250 ≤ TI < 400 2
175 ≤ TI < 250 3
100 ≤ TI < 175 4
0 ≤ TI < 100 5
구분 실시예 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참고예1
IZOD
(kgfㆍcm/cm)
75 80 60 65 65 70 70 60 45 21
MI 250℃/10kg 29 27 - - 29 12 12 - - 65
220℃/10kg -- - 12 11 - - - 14 16 -
VST(℃) 137 137 115 115 134 141 141 108 105 85
UL94 V-0 V-0 V-0 V-0 V-1 V-1 V-1 V-0 V-0 V-0
BPT pass pass pass pass pass pass pass pass fail fail
CTI 등급 2 1 1 0 3 3 3 3 3 0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난연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유동 지수를 가지며, 내열성, 충격강도, 난연성 및 절연 특성이 모두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난연성 및 절연성을 모두 높은 등급으로 획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비스페놀, 레소시놀 및 술폰산 금속염계난연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과 내충격성이 저하되거나 난연성이 우수하더라도 절연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바이페놀 인계 난연제를 사용하더라도 그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즉, 참고예 1에 따라 제조된 수지 조성물은 난연도 및 절연성은 우수하나 충격강도 및 내열특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비닐계 공중합체 및 불소화 폴리올레핀과 함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페놀 인계 난연제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난연성 및 내충격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내열성 및 절연성도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2)

  1.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비닐계 공중합체;
    (C) 불소화 폴리올레핀; 및
    (D)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상기 식에서,
    각각의 R6, R7,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C6 내지 C20인 아릴기 또는 알킬치환 아릴기이고,
    R8은 바이페놀(biphenol)이며, n은 1 내지 5의 정수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계 화합물은, 바이페닐-4-4'-디일 테트라페닐 비스포스페이트(Biphenyl-4,4'-diyl tetraphenyl bis(phosphate))인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상기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은 65 중량% 내지 94 중량%;
    상기 (B) 비닐계 공중합체의 함량은 1 중량% 내지 20 중량%;
    상기 (C) 불소화 폴리올레핀의 함량은 0.01 중량% 내지 2 중량%;
    상기 (D)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의 함량은 1.5 중량% 내지 15 중량%인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서로 다른 (A-1) 제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A-2) 제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1) 제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5,000 g/mol 내지 32,000 g/mol 범위이고,
    상기 (A-2) 제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0 g/mol 내지 25,000 g/mol 범위인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A-1) 제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은 25 중량% 내지 65 중량%이고,
    상기 (A-2) 제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은 35 중량% 내지 75 중량%인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공중합체는,
    (B-1)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B-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B-3)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g-ABS)인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MBS)인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인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ASTM D3638-12에 따라 측정한 비교 트래킹 지수(CTI, Comparative tracking index) 등급이 0 내지 2 범위인 성형품.
KR1020160184153A 2016-12-30 2016-12-30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041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153A KR102041595B1 (ko) 2016-12-30 2016-12-30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201711143292.4A CN108264747A (zh) 2016-12-30 2017-11-16 表现出良好的耐热和绝缘性能的树脂组合物及使用其的产品
US15/833,335 US10358553B2 (en) 2016-12-30 2017-12-06 Resin composition exhibiting good heat resistance and insulation properties, and product using same
EP17206945.2A EP3351588B1 (en) 2016-12-30 2017-12-13 Resin composition exhibiting good heat resistance and insulation properties, and product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153A KR102041595B1 (ko) 2016-12-30 2016-12-30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895A true KR20180078895A (ko) 2018-07-10
KR102041595B1 KR102041595B1 (ko) 2019-11-06

Family

ID=60888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153A KR102041595B1 (ko) 2016-12-30 2016-12-30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58553B2 (ko)
EP (1) EP3351588B1 (ko)
KR (1) KR102041595B1 (ko)
CN (1) CN1082647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432A1 (ko) * 2018-10-31 2020-05-07 에스케이씨코오롱피아이 주식회사 폴리이미드 필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폴리이미드 전구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이미드 필름
US11697731B2 (en) 2018-11-29 2023-07-11 Lotte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9745A4 (en) * 2019-09-30 2023-11-15 Lotte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MADE THEREFROM
KR20240037983A (ko) * 2021-08-04 2024-03-22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높은 cti를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WO2023180227A1 (de) * 2022-03-25 2023-09-28 Covestro Deutschland Ag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mit hohem cti
WO2023180228A1 (de) * 2022-03-25 2023-09-28 Covestro Deutschland Ag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mit hohem cti
EP4345136A1 (de) * 2022-09-29 2024-04-03 Covestro Deutschland AG E/e-bauteil enthaltend polycarbonat-material mit hoher kriechstromfestigke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191A (ko) * 2001-12-11 2003-06-19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04002750A (ja) * 2002-03-25 2004-01-08 Asahi Kasei Corp 難燃化された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
KR20040004959A (ko) * 2002-07-08 2004-01-16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40058809A (ko) * 2002-12-27 2004-07-05 주식회사 삼양사 내열성 및 난연성을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25E (fr) 1902-12-27 1903-11-24 Hugo Brinkhaus Perfectionnements aux pince-nez
US6780917B2 (en) 2001-03-02 2004-08-24 Teijin Chemicals, Ltd.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JP3779623B2 (ja) 2001-08-30 2006-05-31 帝人化成株式会社 難燃性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0427531B1 (ko) 2001-09-13 2004-04-30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442938B1 (ko) 2001-12-10 2004-08-04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03089442A1 (en) 2002-04-22 2003-10-30 Songwon Industrial Co., Ltd. A method of preparing phosphoric ester
KR100463960B1 (ko) 2002-07-11 2004-12-30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JP4469149B2 (ja) 2003-08-07 2010-05-26 ダイセルポリマー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EP1634896A1 (en) 2004-09-10 2006-03-15 Borealis Technology Oy Polymer composition
KR100560151B1 (ko) 2004-12-30 2006-03-10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5040224B2 (ja) 2005-09-14 2012-10-03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成形体
JP5360259B2 (ja) 2012-04-23 2013-12-04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系複合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US20150099845A1 (en) * 2013-10-07 2015-04-09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compositions with improved properties
KR20150127929A (ko) 2014-05-07 2015-11-18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191A (ko) * 2001-12-11 2003-06-19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04002750A (ja) * 2002-03-25 2004-01-08 Asahi Kasei Corp 難燃化された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
KR20040004959A (ko) * 2002-07-08 2004-01-16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40058809A (ko) * 2002-12-27 2004-07-05 주식회사 삼양사 내열성 및 난연성을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432A1 (ko) * 2018-10-31 2020-05-07 에스케이씨코오롱피아이 주식회사 폴리이미드 필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폴리이미드 전구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이미드 필름
WO2020091146A1 (ko) * 2018-10-31 2020-05-07 에스케이씨코오롱피아이 주식회사 폴리이미드 필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폴리이미드 전구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이미드 필름
US11697731B2 (en) 2018-11-29 2023-07-11 Lotte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595B1 (ko) 2019-11-06
CN108264747A (zh) 2018-07-10
EP3351588B1 (en) 2020-02-19
US20180187003A1 (en) 2018-07-05
US10358553B2 (en) 2019-07-23
EP3351588A1 (en)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1588B1 (en) Resin composition exhibiting good heat resistance and insulation properties, and product using same
US7659332B2 (en)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good extrusion moldability and impact resistance
KR100722149B1 (ko) 압출가공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계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5237511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WO2007119920A1 (en) Scratch-resistant flameproof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EP1799766B1 (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EP2660290B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US20070155874A1 (en) Flame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255325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0462530B1 (ko) 내약품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200710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0471388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201871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2007169616A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2004059898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KR101261452B1 (ko) 유동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43330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10669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32723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012078B1 (ko) 비할로겐계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847249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0340998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367827B1 (ko) 유동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30047384A (ko)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344895B1 (ko) 난연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