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795A -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 Google Patents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795A
KR20180078795A KR1020160183937A KR20160183937A KR20180078795A KR 20180078795 A KR20180078795 A KR 20180078795A KR 1020160183937 A KR1020160183937 A KR 1020160183937A KR 20160183937 A KR20160183937 A KR 20160183937A KR 20180078795 A KR20180078795 A KR 20180078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adjustment band
pants
wais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3465B1 (ko
Inventor
김민지
Original Assignee
김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291622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07879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지 filed Critical 김민지
Priority to KR1020160183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465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41F9/025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02Convertible garments in their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4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허릿단의 정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절개되며 양측에 주머니가 각각 형성된 신축성 바지에 있어서,
착용자의 허리 후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 측 단부에서 폭 방향으로 절개된 제 1 개방홈 및, 외측 단부 인근의 표면 일 측에서 폭 방향으로 절개된 제 2 개방홈을 포함하는 고정허릿단부; 및,
상기 고정허릿단부와 일정 길이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착용자의 상기 중앙 부위를 감싸는 것으로서,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 1 개방홈에 삽입되어 단부가 재봉되는 탄성 재질의 제 1 조절밴드 및, 내측 표면 일 측에 일 단이 재봉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개방홈에 삽입되어 타 단이 재봉되는 탄성 재질의 제 2 조절밴드를 포함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허릿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A Pants With Adjustable Waist Measure}
본 발명은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바지 착용자의 체형변화에 따라 허리단의 사이즈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바지를 제공함으로서, 과식 등으로 인한 복부팽창시 자체 신축성으로 압박감을 해소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신축 변형되는 허릿단이 외부에서 인식할 수 없도록 하여 허리사이즈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외관의 변형이 노출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내부에 삽입되는 밴드의 신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인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에서 성인 남녀에 이르기까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가장 다양한 형태의 의류는 바지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바지는 제작되는 재질 및 착용하고자 하는 착용자의 연령 및 성별에 따라 그 외형적인 디자인에 다양한 형태를 갖는다.
상기된 것과 같이 다양한 바지의 형태 중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부분은, 착용되었을 때 착용자의 허리부위에 위치되어 바지의 시작단을 의미하는 허릿단이며, 이 허릿단은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다양한 치수(둘레의 길이를 인치로 표기함이 통상적임)로 제작되기 마련이며, 이 치수는 판매하고자 하는 대상의 연령 및 성별에 따라 가장 표준적인 치수에 기인하여 제작되기 마련이다.
그러나, 상기된 표준적인 치수는 통계치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는 다양한 세대 및 많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른 요구에 대해 부응하지 못하는 폐단이 발생되었다. 이로 인해, 허리체형이 다소 큰 사용자 및 작은 사용자가 동일한 바지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동일한 연령대 및 성별의 사용자에 대해 불균형을 해소시키고자 바지의 허릿단에 신축이음이 적용된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270959호 ‘바지용 허리단 신축이음 구조’,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42596호 ‘바지의 숨김형 허리사이즈 조절구조’, 한국 등록특허 제 10-0345347호 ‘프리 사이즈 바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12019호 ‘바지 허리길이 조절구조’, 및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80598호 ‘신축성 바지’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신축성 바지들은 탄성밴드를 내부에 삽입하되, 내부에 삽입된 탄성밴드가 쉽게 변형되어 신축에 의한 허릿단 사이즈 조절 효과가 미비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바지 착용자의 체형변화에 따라 허리단의 사이즈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바지를 제공함으로서, 과식 등으로 인한 복부팽창시 자체 신축성으로 압박감을 해소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신축 변형되는 허릿단이 외부에서 인식할 수 없도록 하여 허리사이즈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외관의 변형이 노출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내부에 삽입되는 밴드의 신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인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지 착용자의 체형변화에 따라 허리단의 사이즈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바지를 제공함으로서, 과식 등으로 인한 복부팽창시 자체 신축성으로 압박감을 해소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신축 변형되는 허릿단이 외부에서 인식할 수 없도록 하여 허리사이즈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외관의 변형이 노출되지 않도록 한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축에 의해 늘어난 밴드가 바지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밴드의 신축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밴드의 신축성을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바지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되는 허릿단과 바지에 구비되는 주머니를 연동하여 신축되게 함으로써 바지 허릿단 신축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밴드의 신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부재를 구비하여 신축 길이 조절 효과를 보다 높임과 동시에 밴드의 내구성을 강화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는, 허릿단의 정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절개되며 양측에 주머니가 각각 형성된 신축성 바지에 있어서, 착용자의 허리 후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 측 단부에서 폭 방향으로 절개된 제 1 개방홈 및, 외측 단부 인근의 표면 일 측에서 폭 방향으로 절개된 제 2 개방홈을 포함하는 고정허릿단부; 및, 상기 고정허릿단부와 일정 길이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착용자의 상기 중앙 부위를 감싸는 것으로서,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 1 개방홈에 삽입되어 단부가 재봉되는 탄성 재질의 제 1 조절밴드 및, 내측 표면 일 측에 일 단이 재봉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개방홈에 삽입되어 타 단이 재봉되는 탄성 재질의 제 2 조절밴드를 포함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허릿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 2 조절밴드는, 상기 제 1 조절밴드에 비해 길이가 짧아, 상기 제 2 조절밴드에 의해 상기 제 1 조절밴드의 신축 길이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제 2 조절밴드는, 상기 제 1 조절밴드에 비해 탄성계수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조절밴드는, 상기 슬라이드허릿단부와의 결합부위부터 길이 방향 일 측까지 상기 바지와 동일 재질로 커버 처리된 커버링파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조절밴드의 신장에 따라 상기 커버링파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주머니는, 상부 일 면은 상기 슬라이드허릿단부와, 타 면은 상기 고정허릿단부와 재봉되되, 상기 제 1 조절밴드 및 상기 제 2 조절밴드의 신축력 발생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하도록 상기 중앙 측 상단 일 측에서 절개된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주머니는, 탄성 재질로서 상기 절개부를 커버하도록 재봉 처리된 탄성가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탄성가림부는, 망체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조절밴드는, 상기 커버링파트의 종결부위 일 측에 구비된 것으로서 폭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개방홈은, 개방 부위 내측 양 단에서 상기 걸림파트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걸림고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조절밴드의 신축에 따라 상기 걸림파트가 상기 걸림고리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절개부는, 둘레를 따라 재봉된 탄성 재질의 신축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2 조절밴드는, 상기 슬라이드허릿단부와의 결합 부위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조절밴드를 감싸 밀착 고정하는 신축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신축방지부재는, 상기 제 2 조절밴드의 상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편과, 상기 한 쌍의 고정편을 연결하면서 상기 제 2 조절밴드의 일 측면을 감싸는 라운드부 및, 상기 고정편의 양 단부에서 절곡 연장된 것으로서 종결부위에 형성된 복수개의 톱니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편 사이에 상기 제 2 조절밴드가 끼움식으로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가 상기 톱니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는,
1) 바지 착용자의 체형변화에 따라 허리단의 사이즈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바지를 제공함으로서, 과식 등으로 인한 복부팽창시 자체 신축성으로 압박감을 해소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신축 변형되는 허릿단이 외부에서 인식할 수 없도록 하여 허리사이즈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외관의 변형이 노출되지 않는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를 제공하고,
2) 신축에 의해 늘어난 밴드가 바지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밴드의 신축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밴드의 신축성을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바지의 내구성을 높임과 동시에,
3) 분리되는 허릿단과 바지에 구비되는 주머니를 연동하여 신축되게 함으로써 바지 허릿단 신축을 보다 용이하게 하며,
4) 밴드의 신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부재를 구비하여 신축 길이 조절 효과를 보다 높임과 동시에 밴드의 내구성을 강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지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허릿단을 확대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조절밴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고정허릿단부 및 슬라이드허릿단부와 주머니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절개부를 커버하는 탄성가림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걸림파트 및 걸림고리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제 2 조절밴드에 구비되는 신축방지부재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지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허릿단(10)을 확대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는, 허릿단(10)의 정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절개되며 양측에 주머니(300)가 각각 형성된 통상의 신축성 바지에 있어서, 착용자의 허리 후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 측 단부에서 폭 방향으로 절개된 제 1 개방홈(110) 및, 외측 단부 인근의 표면 일 측에서 폭 방향으로 절개된 제 2 개방홈(120)을 포함하는 고정허릿단부(100); 및, 상기 고정허릿단부(100)와 일정 길이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착용자의 상기 중앙 부위를 감싸는 것으로서,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 1 개방홈(110)에 삽입되어 단부가 재봉되는 탄성 재질의 제 1 조절밴드(210) 및, 내측 표면 일 측에 일 단이 재봉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개방홈(120)에 삽입되어 타 단이 재봉되는 탄성 재질의 제 2 조절밴드(220)를 포함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허릿단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중앙이라 함은 착용자의 허리 정면 중앙을 일컬으며, 중앙 측이나 중앙 방향일 경우 착용자의 허리 정면 중앙, 즉 허릿단(10)이 하측으로 절개된 절개 방향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는 착용자의 허리 후면 및 측면을 고정허릿단부(100)가, 착용자의 허리 정면 중앙 부위를 한 쌍의 슬라이드허릿단부(200)가 감싸게 되며, 이 때 슬라이드허릿단부(200)는 표면에 각각 클립이나 단추 등의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어 한 쌍의 슬라이드허릿단부(200) 사이의 체결에 의해 바지의 허릿단(10) 정면 중앙 절개 부위의 여밈이 가능하다. 고정허릿단부(100) 및 슬라이드허릿단부(200) 각각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허릿단부(100)는 착용자의 허리 후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 측 단부에서 폭 방향으로 절개된 제 1 개방홈(110) 및, 외측 단부 인근의 표면 일 측에서 폭 방향으로 절개된 제 2 개방홈(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개방홈(110)은 상술한 제 1 조절밴드(210)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제 1 개방홈(110)의 형성을 위해 천을 덧대어 재봉하거나 재봉된 천을 절개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 1 개방홈(110)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개방홈(110)은 고정허릿단부(100)의 양 단부에서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개방홈(120)은 상술한 제 2 조절밴드(220)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제 1 개방홈(110) 형성 방법과 동일하게 천을 덧대어 재봉하거나 재봉된 천을 절개하는 방식 등을 통해 제 2 개방홈(120)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개방홈(120)은 고정허릿단부(100) 양 단부 인근의 외측 표면에서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이드허릿단부(200)는 상기 고정허릿단부(100)와 일정 길이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착용자의 상기 중앙 부위를 감싸는 것으로서, 탄성 재질의 제 1 조절밴드(210) 및 제 2 조절밴드(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조절밴드(210)는 상기 슬라이드허릿단부(200)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 1 개방홈(110)에 삽입되며, 제 1 개방홈(110)의 내측에 단부가 재봉된다. 이 때 제 1 조절밴드(210)의 단부가 재봉되는 위치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제 1 개방홈(110)의 절개 부위 중 가장 내측, 즉 절개된 내부 부위의 가장 안 쪽에 재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조절밴드(220)는 상기 슬라이드허릿단부(200)의 내측 표면 일 측에서 일 단이 재봉되고, 타 단은 상기 제 2 개방홈(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재봉된다. 이 때 제 2 조절밴드(220)의 타 단부가 재봉되는 위치 역시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제 2 개방홈(120)의 절개 부위 중 가장 내측, 즉 절개된 내부 부위의 가장 안 쪽에 재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착용자가 바지의 허릿단(10) 길이에 비해 긴 허리둘레를 갖고 있을 경우, 슬라이드허릿단부(200)에 구비된 제 1 조절밴드(210) 및 제 2 조절밴드(220)가 늘어나 신축성 있게 바지의 사이즈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며,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 1 조절밴드(210) 및 제 2 조절밴드(220)가 각각 제 1 개방홈(110) 및 제 2 개방홈(12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수려한 미관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를 통해,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신축성 있게 늘어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허릿단(10)으로는 고무줄 등이 티나지 않으므로, 보다 깔끔한 외관을 제공함과 동시에 착용자가 별도의 벨트를 착용하지 않아도 사이즈가 신축성 있게 조절되므로 보다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 때 상술한 제 1 조절밴드(210)와 제 2 조절밴드(220)의 길이를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조절밴드(220)를 상기 제 1 조절밴드(210)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 개방홈(110)에 비해 제 2 개방홈(120)의 절개 깊이 역시 짧게 구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조절밴드(210)보다 제 2 조절밴드(220)를 짧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 2 조절밴드(220)에 의해 상기 제 1 조절밴드(210)의 신축 길이를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제 1 조절밴드(210)가 과도하게 늘어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착용하지 않을 경우 제 1 조절밴드(210) 및 제 2 조절밴드(220)가 원 상태로 빠르게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또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제 1 조절밴드(210)와 제 2 조절밴드(220)를 구성하는 탄성재의 탄성계수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조절밴드(220)가 상기 제 1 조절밴드(210)에 비해 높은 탄성계수를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2 조절밴드(220)에 의한 상기 제 1 조절밴드(210)의 신축 길이 제어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조절밴드(210)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기 도 2와 함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제 1 조절밴드(21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조절밴드(220)는, 상기 제 1 조절밴드(210)에 비해 길이가 짧아 상기 제 2 조절밴드(220)에 의해 상기 제 1 조절밴드(210)의 신축 길이가 제어된다고 하였다.
이 때 제 1 조절밴드(210)의 신축에 따라 제 1 조절밴드(210) 중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드러나게 되는데, 이 때 미관을 보다 수려하게 하고자 상기 제 1 조절밴드(210)는, 상기 슬라이드허릿단부(200)와의 결합부위부터 길이 방향 일 측까지 상기 바지와 동일 재질로 커버 처리된 커버링파트(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링파트(211)는 상기 제 1 조절밴드(210)와 상기 제 1 슬라이드허릿단부(200) 사이의 결합 부위부터 제 1 조절밴드(210)의 길이 방향 일 측까지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신축성 바지와 동일 재질로 커버 처리되어 외부로 드러나더라도 외관을 해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조절밴드(220)에 의해 상기 제 1 조절밴드(210)의 신축 길이가 조절되는 경우, 신축에 의해 외부로 드러나는 부분에 커버링파트(211)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조절밴드(210)의 신장에 따라 상기 커버링파트(21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외관을 보다 수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고정허릿단부(100) 및 슬라이드허릿단부(200)와 주머니(300)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술한 도 1, 도 2와 함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인 바지에는 주머니(300)가 함께 구비되어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에 있어 고정허릿단부(100) 및 슬라이드허릿단부(200)에 의한 허리 길이 신축 구성을 주머니(300)와 함께 연동시킬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주머니(300)는, 상부 일 면은 상기 슬라이드허릿단부(200)와, 타 면은 상기 고정허릿단부(100)와 재봉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허릿단부(200)에 의한 허리 길이 신축 시 주머니(300)가 함께 이동하면서 신축에 필요한 여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주머니(300)와 연동되는 허리 길이 신축 구성에 있어 주머니(300)의 파손을 방지할 뿐 아니라 보다 신축이 자유롭도록 하기 위해, 상기 주머니(300)는 상기 제 1 조절밴드(210) 및 상기 제 2 조절밴드(220)의 신축력 발생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하도록 상기 중앙 측 상단 일 측에서 절개된 절개부(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절개부(310)는 상기 주머니(300)의 중앙 측 상단, 즉 착용자의 허리 정면 중앙 방향 측 상단에서 절개되어 상기 제 1 조절밴드(210) 및 상기 제 2 조절밴드(220)의 신축력 발생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주머니(300)에 형성된 절개부(310)가 상기 슬라이드허릿단부(200)에 구비된 제 1 조절밴드(210) 및 제 2 조절밴드(220)의 신축에 대응하여 벌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바지의 신축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절개부(310)의 절개 부위 둘레를 따라 탄성 재질의 신축밴드(311)를 재봉 처리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 1 조절밴드(210) 및 제 2 조절밴드(220)의 신축 시 절개부(31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절개부(310)가 찢어져 주머니(3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탄성력 있게 늘어나는 신축밴드(311)에 의해 신축력을 보다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절개부(310)를 커버하는 탄성가림부(320)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술한 도 4와 함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주머니(300)는, 탄성 재질로서 상기 절개부(310)를 커버하도록 재봉 처리된 탄성가림부(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절개부(310)에 의해 주머니(300)에 수용된 물품 등이 빠져나오는 문제점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드허릿단부(200)에 의한 허리 길이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절개부(310)를 커버하는 탄성가림부(320)에 의해 절개부(310)로부터 물건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탄성 재질의 탄성가림부(320)가 슬라이드허릿단부(200)에 구비된 제 1 조절밴드(210) 및 제 2 조절밴드(220)의 신축 시 함께 신축되어 허리 길이 신축을 방해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가림부(320)를 망체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신축에 보다 유리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절개부(310)로 인해 절개된 면적보다 탄성가림부(320)를 더 큰 면적으로 준비한 상태에서 절개부(310) 둘레를 따라 탄성가림부(320)를 재봉하여 신축에 보다 유리하게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걸림파트(212) 및 걸림고리(111)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술한 도 3과 함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 1 조절밴드(210)는, 상기 슬라이드허릿단부(200)와의 결합부위부터 길이 방향 일 측까지 상기 바지와 동일 재질로 커버 처리된 커버링파트(211)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조절밴드(210)의 신장에 따라 상기 커버링파트(211)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탄성 재질의 제 1 조절밴드(210)가 외부로 쉽게 노출되지 않으나, 착용자로부터 과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커버링파트(211)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제 1 조절밴드(210)가 외부로 노출될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조절밴드(210)는, 상기 커버링파트(211)의 종결부위 일 측에 구비된 것으로서 폭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파트(21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개방홈(110)은, 개방 부위 내측 양 단에서 상기 걸림파트(212)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걸림고리(111)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상기 제 1 조절밴드(210)의 신축에 따라 상기 걸림파트(212)가 상기 걸림고리(111)에 수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져 제 1 고정밴드가 신축되는 경우, 커버링파트(211)로 인해 커버되지 않은 부분까지 신축되는 것을 걸림파트(212) 및 걸림고리(111)를 통해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걸림파트(212) 및 걸림고리(111)의 재질에 있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걸림고리(111)의 경우 제 1 고정밴드에 가해지는 힘이 걸림파트(212)에 의해 전달되어 걸림고리(111)를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적당하며, 의류에 이용되므로 부식에 강한 재질을 이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파트(212) 역시 쉽게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걸림고리(111)와의 결합 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재와 같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걸림파트(212) 및 걸림고리(111)로 인해, 커버링파트(211)로 인해 커버되지 않은 제 1 고정밴드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관을 보다 수려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일정 수준 이상으로 제 1 고정밴드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제 1 고정밴드에 강한 힘이 가해져 제 1 고정밴드의 단부와 제 1 개방홈(110) 내측 사이의 재봉이 풀리거나 찢어지는 것을 함께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제 2 조절밴드(220)에 구비되는 신축방지부재(221)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 2 조절밴드(220)는, 상기 슬라이드허릿단부(200)와의 결합 부위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조절밴드(220)를 감싸 밀착 고정하는 신축방지부재(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축방지부재(221)는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조절밴드(220)의 상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편(222)과, 상기 한 쌍의 고정편(222)을 연결하면서 상기 제 2 조절밴드(220)의 일 측면을 감싸는 라운드부(223) 및, 상기 고정편(222)의 양 단부에서 절곡 연장된 것으로서 종결부위에 형성된 복수개의 톱니(225)를 포함하는 고정부(224)를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편(222) 사이에 상기 제 2 조절밴드(220)가 끼움식으로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224)가 상기 톱니(225)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신축방지부재(221)에 포함된 고정편(222)에 의해 제 2 조절밴드(220)가 밀착 고정됨과 동시에 압박되어 부분적인 신축 방지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라운드부(223)를 포함하고 있으며 끼움 결합이 보다 편리하며, 끼움 결합된 고정편(222)은 각각 양 단에서 절곡 연장된 고정부(224)의 톱니(225)에 의해 상호 맞물리게 되므로 착용자로부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쉽게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허릿단 100 : 고정허릿단부
110 : 제 1 개방홈 111 : 걸림고리
120 : 제 2 개방홈 200 : 슬라이드허릿단부
210 : 제 1 조절밴드 211 : 커버링파트
212 : 걸림파트 220 : 제 2 조절밴드
221 : 신축방지부재 222 : 고정편
223 : 라운드부 224 : 고정부
225 : 톱니 300 : 주머니
310 : 절개부 311 : 신축밴드
320 : 탄성가림부

Claims (11)

  1. 허릿단의 정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절개되며 양측에 주머니가 각각 형성된 신축성 바지에 있어서,
    착용자의 허리 후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 측 단부에서 폭 방향으로 절개된 제 1 개방홈 및, 외측 단부 인근의 표면 일 측에서 폭 방향으로 절개된 제 2 개방홈을 포함하는 고정허릿단부; 및,
    상기 고정허릿단부와 일정 길이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착용자의 상기 중앙 부위를 감싸는 것으로서,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 1 개방홈에 삽입되어 단부가 재봉되는 탄성 재질의 제 1 조절밴드 및, 내측 표면 일 측에 일 단이 재봉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개방홈에 삽입되어 타 단이 재봉되는 탄성 재질의 제 2 조절밴드를 포함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허릿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절밴드는,
    상기 제 1 조절밴드에 비해 길이가 짧아,
    상기 제 2 조절밴드에 의해 상기 제 1 조절밴드의 신축 길이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절밴드는,
    상기 제 1 조절밴드에 비해 탄성계수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절밴드는,
    상기 슬라이드허릿단부와의 결합부위부터 길이 방향 일 측까지 상기 바지와 동일 재질로 커버 처리된 커버링파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조절밴드의 신장에 따라 상기 커버링파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는,
    상부 일 면은 상기 슬라이드허릿단부와, 타 면은 상기 고정허릿단부와 재봉되되,
    상기 제 1 조절밴드 및 상기 제 2 조절밴드의 신축력 발생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하도록 상기 중앙 측 상단 일 측에서 절개된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는,
    탄성 재질로서 상기 절개부를 커버하도록 재봉 처리된 탄성가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림부는,
    망체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절밴드는,
    상기 커버링파트의 종결부위 일 측에 구비된 것으로서 폭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개방홈은,
    개방 부위 내측 양 단에서 상기 걸림파트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걸림고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조절밴드의 신축에 따라 상기 걸림파트가 상기 걸림고리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둘레를 따라 재봉된 탄성 재질의 신축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절밴드는,
    상기 슬라이드허릿단부와의 결합 부위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조절밴드를 감싸 밀착 고정하는 신축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방지부재는,
    상기 제 2 조절밴드의 상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편과, 상기 한 쌍의 고정편을 연결하면서 상기 제 2 조절밴드의 일 측면을 감싸는 라운드부 및, 상기 고정편의 양 단부에서 절곡 연장된 것으로서 종결부위에 형성된 복수개의 톱니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편 사이에 상기 제 2 조절밴드가 끼움식으로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가 상기 톱니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KR1020160183937A 2016-12-30 2016-12-30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KR101883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937A KR101883465B1 (ko) 2016-12-30 2016-12-30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937A KR101883465B1 (ko) 2016-12-30 2016-12-30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795A true KR20180078795A (ko) 2018-07-10
KR101883465B1 KR101883465B1 (ko) 2018-08-24

Family

ID=6291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937A KR101883465B1 (ko) 2016-12-30 2016-12-30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4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748B1 (ko) * 2019-05-10 2019-11-28 송명섭 허리 조절이 가능한 바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753Y1 (ko) 2019-03-08 2019-08-01 신용 신축성 바지
KR102463110B1 (ko) 2020-07-24 2022-11-02 김선일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바지
KR102416505B1 (ko) 2021-11-18 2022-07-05 (주)더원티앤엠 허리벨트 및 이러한 허리벨트가 일체로 구비된 하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967U (ko) * 1998-09-07 2000-04-06 장철호 바지의 허리밴드구조
KR200342596Y1 (ko) * 2003-11-24 2004-02-18 주식회사 우원어패럴 바지의 숨김형 허리사이즈 조절구조
KR20060066700A (ko) * 2006-05-29 2006-06-16 송수만 바지의 허리사이즈 조절구조
KR200480598Y1 (ko) * 2015-07-10 2016-06-13 (주) 우리유니폼 신축성 바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967U (ko) * 1998-09-07 2000-04-06 장철호 바지의 허리밴드구조
KR200342596Y1 (ko) * 2003-11-24 2004-02-18 주식회사 우원어패럴 바지의 숨김형 허리사이즈 조절구조
KR20060066700A (ko) * 2006-05-29 2006-06-16 송수만 바지의 허리사이즈 조절구조
KR200480598Y1 (ko) * 2015-07-10 2016-06-13 (주) 우리유니폼 신축성 바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748B1 (ko) * 2019-05-10 2019-11-28 송명섭 허리 조절이 가능한 바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465B1 (ko) 2018-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3910A (en) Expandable and retractable garment
KR101883465B1 (ko)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US20050210561A1 (en) Expandable garment closure
EP2441336A1 (en) Leg cover
JP4390088B2 (ja) 男性用のパンツ
KR101103480B1 (ko) 바지 허리단의 신축 구조
KR101713957B1 (ko) 조임 분리 영역을 가진 남성용 팬티
JPH08113805A (ja) ズボン等のウエスト伸縮構造
CN209846221U (zh) 可调节裤腰及具有该裤腰的服装
US1729265A (en) Contracting construction for garments and other articles
KR200485760Y1 (ko) 신축성 허리벨트
US9955743B2 (en) Structural arrangement for clothing waistband
KR20210001982U (ko) 연장형 허리벨트 구조체
US2994884A (en) Garment with expansible neck
US1886642A (en) Catamenial garment
JP6273630B1 (ja) サイズ融通性を有するショーツ
US2749556A (en) Adjustable elastic waist for trousers and other garments
KR101511911B1 (ko) 신축성 바지
KR200342596Y1 (ko) 바지의 숨김형 허리사이즈 조절구조
CN219288810U (zh) 一种可调节松紧的裤腰
JP2518803B2 (ja) ズボン等のウエスト伸縮構造
KR102350975B1 (ko) 드로즈 팬티
JP5805292B1 (ja) 違和感解消型ズボン
CN210407133U (zh) 一种具有束腰调节功能的衣服
KR101805902B1 (ko) 허리 사이즈 조절 기능을 갖는 바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1036;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00331

Effective date: 2020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