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748B1 - 허리 조절이 가능한 바지 - Google Patents

허리 조절이 가능한 바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748B1
KR102049748B1 KR1020190054613A KR20190054613A KR102049748B1 KR 102049748 B1 KR102049748 B1 KR 102049748B1 KR 1020190054613 A KR1020190054613 A KR 1020190054613A KR 20190054613 A KR20190054613 A KR 20190054613A KR 102049748 B1 KR102049748 B1 KR 102049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pants
front plate
pocket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명섭
Original Assignee
송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명섭 filed Critical 송명섭
Priority to KR1020190054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2Free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2Foldable
    • A41D2400/422Foldable into a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2Foldable
    • A41D2400/424Foldable forming a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허리 조절이 가능한 바지는 바지의 앞판을 형성하는 앞판 부재; 상기 앞판 부재와 연결되어 바지의 뒷판을 형성하는 뒷판 부재; 상기 바지의 앞판부재의 앞주머니 형성위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뒷판 부재와 연결되며, 상부가 상기 앞판 부재와 분리되어 상기 앞판부재와의 겹친 영역에 따라 바지의 허리 둘레가 결정되는 앞주머니 부재; 일측은 상기 앞주머니 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앞판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앞주머니 부재와 상기 앞판 부재와의 겹친 영역에 따라 유동적으로 앞주머니를 형성하는 주머니 연결부재; 상기 앞판 부재의 상부 허리위치에 구비되는 앞 허리띠재; 상기 뒷판 부재 및 상기 앞주머니 부재의 상부 허리위치에 구비되는 뒷 허리띠재; 및 상기 앞 허리띠재와 상기 뒷 허리띠재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앞주머니 부재와 상기 앞판 부재와의 겹친 영역에 따른 허리 둘레에 따라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띠부;를 포함하고,
상기 뒷 허리띠재는 적어도 외면측 제1겹 및 내면측 제2겹의 2중의 겹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겹에는 상기 탄성띠부가 관통하여 상기 제1겹 및 제2겹의 사이로 진입하도록 형성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띠부의 일 단부는 상기 제1겹 및 제2겹 사이에 고정된다.

Description

허리 조절이 가능한 바지{Pants with adjustable waist size}
본 발명은 허리 조절이 가능한 바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허리의 사이즈 및 밴드 탄성을 조절할 수 있는 바지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섭취량이 많은 반면에 운동량이 적어 허리의 뱃살증가로 인한 비만이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성장기에 있는 청ㆍ장년층은 성장에 따라 키와 함께 허리 둘레가 증가되어 바지를 구입할 때와 구입 후 착용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허리크기의 증가로 바지를 입지 못하거나 또는 비용을 지불하면서 바지의 허리 둘레를 확장시키게 된다.
바지는 착용에서 크게 허리크기와 길이의 크기가 신체적 크기와 적합하면 적당한 크기로 분류되고 또한 이러한 크기로 바지를 구입하고 있다.
이때 바지의 길이는 쉽게 줄이거나 늘릴 수 있고 대개는 키 크기가 어느 한 순간에 급격히 자라나지는 않기에 한번의 교정된 상태에서 바지가 낡을 때까지 거의 변함이 없게 된다.
그러나, 허리는 상술한바와 같이 비만에 의한 허리 둘레의 증가가 불규칙적이고도 빠르게 발생되며 또한 성장에 따라서도 쉽게 증가되고 있어 바지를 구입한 후 오랜기간을 입을 수 없는 문제가 매우 많고 빠르게 발생되어 바지를 재구입하여야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수선점에서 허리크기를 늘리게 되나 이때에 허리 확장에는 한계가 있으며 또한 재단에서 추구한 옷맵시를 잃게 되어 바지가 소망하는 멋을 추구할 수가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지의 허리에 탄성밴드 등을 구비하여 일정한 범위 내에서 허리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바지들이 제안되었다.
다만, 하루 동안에도 식사 전후 등 허리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사이즈는 지속적으로 변동하기도 하며, 허리 밴드가 갖는 탄성력이 너무 강한 경우 허리 및 복부에 불편함이 느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지의 바지의 허리 사이즈 자체의 조절뿐 아니라 허리 밴드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바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허리 조절이 가능한 바지는 바지의 앞판을 형성하는 앞판 부재; 상기 앞판 부재와 연결되어 바지의 뒷판을 형성하는 뒷판 부재; 상기 바지의 앞판부재의 앞주머니 형성위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뒷판 부재와 연결되며, 상부가 상기 앞판 부재와 분리되어 상기 앞판부재와의 겹친 영역에 따라 바지의 허리 둘레가 결정되는 앞주머니 부재; 일측은 상기 앞주머니 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앞판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앞주머니 부재와 상기 앞판 부재와의 겹친 영역에 따라 유동적으로 앞주머니를 형성하는 주머니 연결부재; 상기 앞판 부재의 상부 허리위치에 구비되는 앞 허리띠재; 상기 뒷판 부재 및 상기 앞주머니 부재의 상부 허리위치에 구비되는 뒷 허리띠재; 및 상기 앞 허리띠재와 상기 뒷 허리띠재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앞주머니 부재와 상기 앞판 부재와의 겹친 영역에 따른 허리 둘레에 따라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띠부;를 포함하고,
상기 뒷 허리띠재는 적어도 외면측 제1겹 및 내면측 제2겹의 2중의 겹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겹에는 상기 탄성띠부가 관통하여 상기 제1겹 및 제2겹의 사이로 진입하도록 형성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띠부의 일 단부는 상기 제1겹 및 제2겹 사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관통구는 상기 앞 허리띠재와 상기 뒷 허리띠재의 겹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띠부는, 이중의 겹으로 형성되어 일 단부가 상기 뒷 허리띠재에 고정되는 제1부분 탄성띠재; 사각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 탄성띠재의 타측 자유단부에 일측이 걸린 상태로 구비되는 걸이링; 내측띠재와 외측띠재의 이중의 겹으로 접힌 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띠재의 단부는 상기 앞 허리띠재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걸이링에 걸린 상태로 폴딩되어 상기 내측띠재의 단부가 상기 앞 허리띠재의 내측면에 탈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2부분 탄성띠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앞 허리띠재의 내측면에는 제1 체결단추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부분 탄성띠재의 내측띠재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체결단추에 체결되는 제2 체결단추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띠재의 단부에는 상기 내측띠재의 폭에 비하여 큰 폭을 갖는 탈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체결단추는 상기 탈부착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각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띠재와 외측띠재가 관통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탈부착부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관통되어 상기 탈부착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외측띠재의 일 지점에 고정되는 고정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앞 허리띠재와 상기 뒷 허리띠재의 겹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지는 가변적인 허리 밴드를 이용함으로써 허리 사이즈의 조절뿐 아니라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허리 사이즈의 조절 뿐 아니라 그와 동시에 허리 및 복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의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바지를 상부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바지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지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지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조절이 가능한 바지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의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바지를 상부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바지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100)는 앞판부재(110), 뒷판부재(130), 앞주머니 부재(120), 주머니 연결부재(140)를 포함한다.
앞판부재(110)는 바지의 앞판을 형성한다. 뒷판 부재(130)는 앞판 부재(110)와 연결되어 바지의 뒷판을 형성한다. 앞주머니 부재(120)와 주머니 연결부재(140)는 앞판 부재(110)와 함께 앞 주머니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앞주머니 부재(120)는 바지의 앞판부재(110)의 앞주머니 형성위치 내측에 구비되고, 뒷판 부재(130)와 연결된다. 앞주머니 부재(120)의 상부가 앞판 부재(110)와 분리되도록 구비되고, 앞주머니 부재(120)와 앞판부재(110)와의 겹친 영역에 따라 바지의 허리 둘레 사이즈가 결정된다.
또한 주머니 연결부재(140)의 일측은 앞주머니 부재(120)와 연결되고, 타측은 앞판 부재(110)에 연결된다. 주머니 연결부재(140)의 하부는 주머니의 형태로 구비되어 앞주머니의 주요 형태를 결정한다. 다만, 주머니 연결부재(140)는 앞주머니 부재(120)와 앞판 부재(110)와의 겹친 영역에 따라 앞주머니 부재(120)가 허리띠의 일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동적으로 앞주머니(145)를 형성한다.
한편, 앞판 부재의 상부 허리위치에는 앞 허리띠재(115)가 구비되어 허리띠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며, 뒷판 부재(130)와 앞주머니 부재(120)의 상부인 허리위치에는 뒷 허리띠재(135)가 구비된다.
탄성띠부(160)는 앞 허리띠재(115)와 뒷 허리띠재(135)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앞주머니 부재(120)와 앞판 부재(110)와의 겹친 영역에 따른 허리 둘레에 따라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덮개 부재(137)는 탄성띠부(160)와 뒷 허리띠재(135)와의 연결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덮개 부재(137)는 뒷 허리띠재(135)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탄성띠부(160)와 뒷 허리띠재(135)와의 연결 지점을 덮을 수 있다.
덮개 부재(137)에는 체결용 부재(1371)이 구비되며, 바지의 뒷판(130)에는 이에 체결되는 체결용 부재(1301)가 구비되어, 덮개 부재(137)가 뒷판 부재(130) 측으로 하향 폴딩되는 경우 체결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지의 모습을 설명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지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띠부(160a)는 다음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 탄성띠재(162)는 이중의 겹으로 형성되어 일 단부가 뒷 허리띠재(135)에 고정된다.
걸이링(163)은 사각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부분 탄성띠재(162)와 제2 부분 탄성띠재(161a, 161b)가 걸린 형태로 연결되도록 한다. 걸이링(163)의 일측은 제1 부분 탄성띠재(162)가 걸린 형태로 고정되고, 타측은 제2 부분 탄성띠재(161a, 161b)가 폴딩형 형태로 걸리게 된다.
제2 부분 탄성띠재(161a, 161b)는 내측띠재(161b)와 외측띠재(161a)의 이중의 겹으로 접힌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외측띠재(161a)의 단부는 앞 허리띠재(115)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외측띠재(161a)와 내측띠재(161b)는 걸이링(163) 측에서 폴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내측띠재(161b)의 단부는 앞 허리띠재(115)의 내측면에 탈부착되도록 구비된다. 이 때 앞 허리띠재(115)의 내측면에는 제1 체결단추(1151)가 구비되고, 내측띠재(161b)의 단부에는 제1 체결단추(1151)에 체결되는 제2 체결단추(1651)가 구비된다.
내측띠재의 단부(161b)에는 내측띠재(161b)의 폭에 비하여 큰 폭을 갖는 탈부착부(165)가 구비된다. 이 때 제2 체결단추(1651)는 탈부착부(165)에 구비된다.
고정링(164)는 외측띠재(161a)의 일 지점에 고정되어 상술한 탈부착부(165)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구성부이다. 고정링(164)은 사각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띠재(161b)와 외측띠재(161a)가 관통되도록 구비된다. 이 때 고정링(164)은 탈부착부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관통 형성됨으로써 탈부착부(16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지의 모습을 설명한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지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허리 조절이 가능한 바지(100b)는 덮개부가 생략되면서도 탄성띠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구(1359)는 뒷 허리띠재(135)에 형성된다. 뒷 허리띠재(135)는 적어도 외면측 제1겹 및 내면측 제2겹의 2중의 겹으로 구성된다. 이 때 관통구(1359)는 제1겹, 즉 뒷 허리띠재(136)의 외측겹에 형성된다. 관통구(1359)로는 탄성띠부(160b)가 관통하여 뒷 허리띠재(135)의 내부, 즉 제1겹 및 제2겹의 사이로 진입하고, 탄성띠부(160b)의 단부는 제1겹 및 제2겹, 즉 뒷 허리띠재(136)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 때 관통구(1359)는 앞 허리띠재(115)와 뒷 허리띠재(135)의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링(164)도 마찬가지로 앞 허리띠재(115)와 뒷 허리띠재(135)의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관통구(1359)와 고정링(164)가 앞 허리띠재(115)에 의하여 가려지도록 함으로써 미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10: 앞판부재
115: 앞 허리띠재
120: 앞주머니 부재
130: 뒷판부재
135: 뒷 허리띠재
140: 주머니 연결부재
160, 160a, 160b: 탄성띠부

Claims (7)

  1. 바지의 앞판을 형성하는 앞판 부재;
    상기 앞판 부재와 연결되어 바지의 뒷판을 형성하는 뒷판 부재;
    상기 바지의 앞판부재의 앞주머니 형성위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뒷판 부재와 연결되며, 상부가 상기 앞판 부재와 분리되어 상기 앞판부재와의 겹친 영역에 따라 바지의 허리 둘레가 결정되는 앞주머니 부재;
    일측은 상기 앞주머니 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앞판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앞주머니 부재와 상기 앞판 부재와의 겹친 영역에 따라 유동적으로 앞주머니를 형성하는 주머니 연결부재;
    상기 앞판 부재의 상부 허리위치에 구비되는 앞 허리띠재;
    상기 뒷판 부재 및 상기 앞주머니 부재의 상부 허리위치에 구비되는 뒷 허리띠재; 및
    상기 앞 허리띠재와 상기 뒷 허리띠재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앞주머니 부재와 상기 앞판 부재와의 겹친 영역에 따른 허리 둘레에 따라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띠부;를 포함하고,
    상기 뒷 허리띠재는 적어도 외면측 제1겹 및 내면측 제2겹의 2중의 겹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겹에는 상기 탄성띠부가 관통하여 상기 제1겹 및 제2겹의 사이로 진입하도록 형성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띠부의 일 단부는 상기 제1겹 및 제2겹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구는 상기 앞 허리띠재와 상기 뒷 허리띠재의 겹치는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띠부는,
    이중의 겹으로 형성되어 일 단부가 상기 뒷 허리띠재에 고정되는 제1부분 탄성띠재;
    사각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 탄성띠재의 타측 자유단부에 일측이 걸린 상태로 구비되는 걸이링;
    내측띠재와 외측띠재의 이중의 겹으로 접힌 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띠재의 단부는 상기 앞 허리띠재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걸이링에 걸린 상태로 폴딩되어 상기 내측띠재의 단부가 상기 앞 허리띠재의 내측면에 탈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2부분 탄성띠재;를 포함하고,
    상기 앞 허리띠재의 내측면에는 제1 체결단추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부분 탄성띠재의 내측띠재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체결단추에 체결되는 제2 체결단추가 구비되며,
    상기 내측띠재의 단부에는 상기 내측띠재의 폭에 비하여 큰 폭을 갖는 탈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체결단추는 상기 탈부착부에 구비되며,
    사각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띠재와 외측띠재가 관통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탈부착부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관통되어 상기 탈부착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외측띠재의 일 지점에 고정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앞 허리띠재와 상기 뒷 허리띠재의 겹치는 영역에 구비되는 허리 조절이 가능한 바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54613A 2019-05-10 2019-05-10 허리 조절이 가능한 바지 KR102049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613A KR102049748B1 (ko) 2019-05-10 2019-05-10 허리 조절이 가능한 바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613A KR102049748B1 (ko) 2019-05-10 2019-05-10 허리 조절이 가능한 바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748B1 true KR102049748B1 (ko) 2019-11-28

Family

ID=6873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613A KR102049748B1 (ko) 2019-05-10 2019-05-10 허리 조절이 가능한 바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7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479B1 (ko) * 2021-07-16 2022-05-13 주식회사 트리디아 체형 보정용 하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5062U (ja) * 1995-11-21 1996-06-07 オリエント株式会社 被服におけるウエスト調整構造
JP2000080501A (ja) * 1998-07-01 2000-03-21 Toyo Rubber Shokufu Kk 帯状物
JP3124744U (ja) * 2006-03-09 2006-08-31 ハシメ 尾崎 総ゴムパンツのウエスト調節構造
KR20180078795A (ko) * 2016-12-30 2018-07-10 김민지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5062U (ja) * 1995-11-21 1996-06-07 オリエント株式会社 被服におけるウエスト調整構造
JP2000080501A (ja) * 1998-07-01 2000-03-21 Toyo Rubber Shokufu Kk 帯状物
JP3124744U (ja) * 2006-03-09 2006-08-31 ハシメ 尾崎 総ゴムパンツのウエスト調節構造
KR20180078795A (ko) * 2016-12-30 2018-07-10 김민지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479B1 (ko) * 2021-07-16 2022-05-13 주식회사 트리디아 체형 보정용 하의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8338B1 (en) Trouser suspenders
US6146240A (en) Garment accessory
US8695114B2 (en) Adjustable bathing suit
US5167566A (en) Minimizing brassiere
US4893358A (en) Garments having an adjustable waist
US6922849B1 (en) Man's trouser
US10645977B2 (en) Undergarment with adjustable features
KR102049745B1 (ko) 허리 조절이 가능한 바지
US3430632A (en) Brassiere
JP2015200059A (ja) 指定物に適合するバンド
US3035586A (en) Foundation garment
KR102049748B1 (ko) 허리 조절이 가능한 바지
US3087495A (en) Foundation garments for women
US3723993A (en) Trousers waistband structure
US5752873A (en) Abdominal support and slimming garment
US2521373A (en) Brassiere
US2027622A (en) Shirt suspensory
US4480339A (en) Variably extensible waistband structure
US2794187A (en) Swim suit, incluiding puffed shirring
US2530132A (en) Orthopedic corset or girdle
US2596765A (en) Undergarment waistline midriff girdle
WO2018221721A1 (ja) 機能性下着
US2504718A (en) Trousers
US2326380A (en) Garment
US2021033A (en) Combined foundation bandeau and apr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