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551A - 방범 방충망 프레임 - Google Patents

방범 방충망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551A
KR20180078551A KR1020160183410A KR20160183410A KR20180078551A KR 20180078551 A KR20180078551 A KR 20180078551A KR 1020160183410 A KR1020160183410 A KR 1020160183410A KR 20160183410 A KR20160183410 A KR 20160183410A KR 20180078551 A KR20180078551 A KR 20180078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rame
screen
profil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3955B1 (ko
Inventor
이지연
Original Assignee
이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연 filed Critical 이지연
Priority to KR1020160183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955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4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of wing type, e.g. revolving or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 방충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그리고 양쪽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을 각각 두 개의 프로파일을 조합하여 하나의 프레임으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고, 특히 이 과정에서 방범과 방충 작용을 하는 스크린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이 실외에서 노출되지 않게 구성하여 실외에서는 스크린을 고정한 고정 수단을 파손하거나 이완하지 못하게 하여 안전과 방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방범 방충 프레임을 창호 프레임에 시공하여 닫았을 때 외부에 노출되는 측면 프레임에, 마감 부재를 끼워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면서 이 마감 부재를 실내 측에서 고정 수단으로 체결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실외에서는 체결 부분이 풀 수 없게 하여 안전 기능과 방범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방범 방충망 프레임{SAFELY SCREEN FRAME FOR PROTECTION AGAINST CRIMES AND INSECTS}
본 발명은 방범 방충망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린을 고정할 때 사용하는 비스(Vis)와 같은 고정 수단이 실외에 노출되지 않게 하고, 게다가 방범 방충망을 닫았을 때 실외에 노출되는 측면 프레임의 노출 부분을 마감 부재로 마감하여 체결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시공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실외에서는 스크린을 고정한 고정 수단을 풀거나 파손하지 못하게 하여 방범과 방충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방충망은 통상 창호나, 개구부에 장착하여 모기나 해충 등이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게 막을 수 있게 구성한 스크린을 말한다. 이러한 방충망은 이처럼 모기 등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 외에도 바람이 통하게 하여 통풍 기능을 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방충망은,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방범 기능을 추가하여 제작하기도 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517098호
미닫이 창문이 개폐되는 창호의 양측 전면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펼쳐지거나 말아 올려질 수 있게 된 방충 및 방범시설을 구비한 틀을 설치하여, 외부로 부터 곤충이나 벌레들의 실내 유입을 손쉽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사용시 또는 사용이 불필요한 시기에는 가시성(visibility)을 저해하지 않게 보관할 수 있고, 도둑이나 강도의 침입 또한 막을 수 있고, 더불어 부주의로 인한 추락 사고까지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한 공동주택 창호용 방범 방충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570860호
다단의 단위유닛이 프레임의 상,하단부로 이동할 때, 다단의 단위유닛의 이탈 방지 홈이 프레임의 이탈 방지 돌기에 걸려 이동하기 때문에 프레임으로부터 단위 유닛의 이탈을 차단하므로 사용자의 추락을 방지하면서 방범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안전 방충망이 필요한 경우와 안전 방충망이 필요 없는 경우를 선택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상된 단위 유닛만을 교체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한 손상된 단위유닛의 교체가 가능한 추락방지용 안전 방범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01643646호
창문틀의 외측단에 끼워져 구비되는 방충창이 잠긴 상태로 외부에서 분리하지 못하도록 하면서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방범 및 안전성을 높이도록 하는 창문용 방범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방범 방충망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방충과 방범 기능을 하는 스크린을 고정하는 작업이 어렵다.
(2) 또한, 스크린을 고정하는 비스와 같은 고정 수단이 실외에 노출되므로, 스크린 자체를 훼손하지 않고 이 고정 수단을 이완하여 스크린을 제거함에 따라 방범 기능을 상실하여 강력 범죄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
(3) 특히, 이러한 문제는 하나의 프로파일로 통상 격자 모양으로 제작하는 방범 방충망 프레임을 제작함에 따라 실내에서는 노출되지 않을 고정 수단이 외부에서 노출됨에 따라 발생한다.
(4)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방충망 프레임에 덮개를 추가할 수 있으나, 이는 덮개를 제작하는 비용과 이를 장착하는 공정 등의 추가로 제조비용과 제작 효율을 떨어뜨린다.
한국등록특허 제1517098호 (등록일 : 2015.04.27) 한국등록특허 제1570860호 (등록일 : 2015.11.16) 한국등록특허 제01643646호 (등록일 : 2016.07.22)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방범 방충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그리고 양쪽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을 각각 두 개의 프로파일을 조합하여 하나의 프레임으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고, 특히 이 과정에서 방범과 방충 작용을 하는 스크린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이 실외에서 노출되지 않게 구성하여 실외에서는 스크린을 고정한 고정 수단을 파손하거나 이완하지 못하게 하여 안전과 방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방범 방충망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방범 방충 프레임을 창호 프레임에 시공하여 닫았을 때 외부에 노출되는 측면 프레임에, 마감 부재를 끼워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면서 이 마감 부재를 실내 측에서 고정 수단으로 체결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실외에서는 체결 부분이 풀 수 없게 하여 안전 기능과 방범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한 방범 방충망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망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100), 제1측면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100"), 그리고 제2측면 프레임(200)의 각 끝을 연결한 방범 방충망 프레임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100), 제1측면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100"), 그리고 제2측면 프레임(200)은 각각, 스크린(S)을 고정한 면과 마주하는 한 면을 바깥으로 돌출 성형하여 제1 벽체(111)를 돌출 성형하고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112)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벽체(111)의 바깥 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 제1체결 홈(113)을 형성한 제1 프로파일(110); 및 제1 벽체(111)와 나란하게 형성하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공간(121a)으로 이루어진 제2 벽체(121), 상기 제1 벽체(111)와 마주하는 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한 모 헤어 홀(123), 이 제2 벽체(121)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성형하여 스크린(S)을 고정한 제1 프로파일(110) 면과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지게 설치하는 덮개 부분(124), 그리고 상기 제1 벽체(111)와 덮개 부분(124) 사이에서 바깥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1 프로파일(100)에 고정 수단(F)으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 부분(125)을 포함하는 제2 프로파일(1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측면 프레임(200)에는, 서로 마주하는 제1 벽체(111)와 제2 벽체(121) 사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마감하여 고정 수단(F)으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마감 부재(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공간(112)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제1 벽체(111)가 돌출한 형상의 제1 프로파일(110)이 미리 정한 두께를 갖도록 같은 형상으로 하나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112)은 내부에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한쪽이 꺾여서 제1 벽체(111) 안으로 끼워지게 보강 부재(112a)를 삽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프로파일(120)은, 폭 단면 형상이 "ㅏ"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긴 변의 세로 변 상부를 구성하는 덮개 부분(124)의 끝이 스크린(S)과 접촉하게 꺾인 플랜지(122)를 형성하고, 폭 단면에서 긴 변의 하부가 내부에 공간(121a)을 갖춰서 제2 벽체(12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감 부재(210)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제1 벽체(111) 끝과 제2 벽체(121) 끝 사이를 마감하는 마감 부분(211); 및 상기 마감 부분(211)에서 바깥으로 돌출하여 제1 벽체(111)와 제2 벽체(121)가 마주하는 면에 각각 밀착하게 설치하는 두 개의 장착 부분(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 프로파일(110)은 알루미늄 합금 또는 PVC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프로파일(120)은 알루미늄 합금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망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실제 방범과 방충 작용을 하는 스크린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이 실외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실외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망을 파손하거나 특히 스크린을 고정한 부분을 해제할 수 없어 방범과 방충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2) 특히, 방범 방충망은, 창호 등에 장착했을 때 하나의 측면 프레임이 외부에 노출되는 데, 본 발명은 이처럼 노출된 측면 프레임에는 마감 부재로 마감하여 실내 측에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측면 프레임이 마치 하나처럼 보이게 조립 구성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망을 파손하거나 특히 스크린을 고정한 부분을 해제할 수 없어 방범과 방충 기능을 한층더 강화할 수 있다.
(3) 이처럼 두 개의 프로파일을 이용하는 기술을, 방범 방충망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등에도 적용하여 일부 프로파일을 교환함에 따라 스크린을 고정한 고정 수단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가려주므로 방범 방충 기능을 높일 수 있다.
(4) 또한, 이처럼 두 개로 구성한 프로파일을 알루미늄 합금이나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므로, 원하는 길이만큼 쉽게 잘라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효과와 더불어 눈으로 볼 때도 견고함과 미감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망을 창호에 장착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프로파일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프로파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프로파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프레임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망 프레임은,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상부 프레임(100), 제1측면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100"), 그리고 제2측면 프레임(200)의 각 끝을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100), 제1측면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100"), 그리고 제2측면 프레임(200)은 각각 제1 및 제2 프로파일(110, 120)을 조립하여 스크린(S)을 고정하는 데 이용한 고정 수단(F)이 실외에서 보이지 않게 조립하여 방범 기능을 강화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측면 프레임(200)은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을 마감 부재(210)로 체결 고정하여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게 하여 방범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망 프레임은, [도 1]과 같이, 창호에 장착하는 통상 사각 격자 형태로 제작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때, 방범 방충망 프레임은 사각형으로 자른 스크린(S)의 각 가장자리를 고정할 수 있게 상부 프레임(100), 제1측면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100"), 그리고 제2측면 프레임(200)의 각 끝을 연결하여 격자 형태로 조립한다.
제1 프로파일(11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공간(112)을 구성하고, 이 공간(112)을 이루는 바깥 면의 한쪽 면에는 스크린(S)을 고정한다. 여기서, 스크린(S)은 방충 기능뿐만 아니라 방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금속 와이어 등으로 제작한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이때, 스크린(S)은 통상 소정의 지름, 예를 들어 8㎜ 이하인 나사못과 같은 고정 수단(F)을 통해 제1 프로파일(110)에 고정한다. 이러한 공간(112)은 여러 개의 격자 구조를 통해 구조적 강성을 높일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로파일(11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1 벽체(111)를 돌출 성형한다. 제1 벽체(111)는 스크린(S)을 고정한 면과 마주하는 제1 프로파일(110) 면에서 바깥으로 연장하여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벽체(111)는 미닫이 창호에 장착하여 잘 여닫을 수 있게 하는 호차(戶車) 등을 지지하거나 창틀 프레임에 형성한 가이드에 끼워져서 여닫을 수 있게 안내하는 벽체로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제1 벽체(111)는 속이 꽉 찬 솔리드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고, 내부를 공간 구조로 형성하여 구조적 강성을 가질 수 있게 제작할 수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112)에는, [도 3(b)]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쪽에 제1 벽체(111) 돌출 성형한 제1 프로파일(110) 내부에 이 제1 프로파일(110)이 미리 정한 두께를 갖도록 제1 프로파일(110)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공간(112)에는 보강 부재(112a)를 장착하여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강 부재(112a)는 폭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한쪽이 꺾여서 제1 벽체(111) 안으로 끼워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벽체(111)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바깥 면에 제1체결 홈(113)을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한다. 여기서, 바깥 면은 창호 프레임을 마주하는 면을 말하고, 이 제1체결 홈(113)을 통해 종류가 다른 프로파일을 고정할 때 사용하거나 모 헤어 등을 삽입하여 창호 프레임과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게 하는 데 이용한다.
제2 프로파일(120)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제2 벽체(121)를 포함한다. 제2 벽체(121)는 상술한 제1 벽체(111)와 나란하게 돌출 성형하여 이들 두 개의 벽체 사이에 호차를 설치하거나 창호 틀의 가이드가 끼워져서 여닫을 때 안내를 하게 하는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제2 벽체(121)는 제1 벽체(111)와 마찬가지로 속이 꽉 찬 솔리드 형태로 제작하거나 내부가 빈 적어도 하나의 공간(121a)을 갖춘 격자 형태 등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벽체(121)에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그 길이 방향으로 덮개 부분(124)을 더 돌출 성형한다. 덮개 부분(124)은 스크린(S)을 고정한 제1 프로파일(110) 면을 덮을 수 있는 폭으로 형성한다. 이때, 덮개 부분(124)은 이 제1 프로파일(110) 면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구성하여 스크린(S)을 고정한 고정 수단(S)과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 부분(124)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가장자리를 미리 정한 폭으로 꺾어서 스크린(S)과 밀착하게 플랜지(122)를 형성함으로써, 제2 프로파일(120)과 스크린(S) 사이의 틈새를 없앨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벽체(121)에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제1 벽체(111)와 마주하는 면에 모 헤어 홀(123)을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한다. 여기에는 모 헤어를 장착하여 창틀과 틈새를 없애 이물과 빗물 등이 실내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준다.
이처럼 이루어진 제1 프로파일(110)과 제2 프로파일(120)은 서로 접하는 부분을 고정 수단(F)을 이용하여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하여 하나로 조립할 수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2 프로파일(120)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고정 부분(125)을 포함한다. 고정 부분(125)은 제1 벽체(111)와 덮개 부분(124) 사이에서 바깥으로 돌출하여 형성한다. 이때, 이 고정 부분(125)은 상술한 제1 프로파일(100)에 밀착하게 돌출 성형하여, 비스나 스크루와 같은 고정 수단(F)을 통해 제2프로파일(120)을 제1 프로파일(110)에 고정하므로, 외부에서 이처럼 체결 고정한 부분이 노출되지 않게 한다. 이때, 상기 고정 부분(125)은 그 끝이 제1 벽체(111)와 밀착하도록 꺾인 형태가 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은 알루미늄 합금이나 PVC 또는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프로파일(110)은 알루미늄 합금 또는 PVC로 제작하고, 상기 제2 프로파일(120)은 알루미늄 합금 또는 금속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측면 프레임(200)은, [도 5]와 같이, 상술한 상부 프레임(100), 제1측면 프레임(100'), 그리고 하부 프레임(100")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나,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을 마감할 수 있도록 마감 부재(210)를 더 포함한다. 이에, 여기서는, 추가 구성인 마감 부재(210)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마감 부재(21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마감 부분(211), 그리고 이 마감 부분(211)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한 두 개의 장착 부분(21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마감 부분(211)은, [도 5]와 같이, 제1 벽체(111)와 제2 벽체(121) 사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한다, 도면에서는 제1 벽체(111)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제2 벽체(121)의 바깥쪽 가장자리 사이의 폭으로 제작한 예를 보여준다.
또한, 상기 장착 부분(212)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마감 부분(211)의 한쪽 면에서 바깥으로 돌출하게 두 개를 형성한다. 이때, 장착 부분(212)은 제1 벽체(111)와 제2 벽체(121) 사이에 끼워지는 데, 여기에 끼울 때 각 장착 부분(212)이 서로 마주하는 제1 벽체(111)와 제2 벽체(121)에 밀착하게 하여 장착력을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장착한 마감 부재(210)는, [도 5]와 같이, 제1체결 홈(113)을 통해 고정 수단(F)으로 제1 프로파일에 체결 방식으로 고정될 뿐만 아니라 고정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방범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방범 방충망 프레임을 구성하는 4개의 프레임을 각각 두 개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스크린을 고정한 고정 수단이 실외에 노출되는 것을 막고, 특히 통상 방범 방충망 프레임을 닫았을 때 실외에 노출되는 측면 프레임의 경우 호차 등을 장착하기 위해 형성하는 벽체 부분을 마감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구성함으로써 방범 기능을 한층더 강화할 수 있다.
100 : 상부 프레임 100' : 제1측면 프레임
100" : 하부 프레임 110 : 제1 프로파일
111 : 제1 벽체 112 : 공간
112a : 보강 부재 113 : 제1체결 홈
120 : 제2 프로파일 121 : 제2 벽체
122 : 플랜지 123 : 모 헤어 홀
124 : 덮개 부분 200 : 제2측면 프레임

Claims (5)

  1. 상부 프레임(100), 제1측면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100"), 그리고 제2측면 프레임(200)의 각 끝을 연결한 방범 방충망 프레임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100), 제1측면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100"), 그리고 제2측면 프레임(200)은 각각, 스크린(S)을 고정한 면과 마주하는 한 면을 바깥으로 돌출 성형하여 제1 벽체(111)를 돌출 성형하고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112)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벽체(111)의 바깥 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 제1체결 홈(113)을 형성한 제1 프로파일(110); 및 제1 벽체(111)와 나란하게 형성하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공간(121a)으로 이루어진 제2 벽체(121), 상기 제1 벽체(111)와 마주하는 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한 모 헤어 홀(123), 이 제2 벽체(121)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성형하여 스크린(S)을 고정한 제1 프로파일(110) 면과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지게 설치하는 덮개 부분(124), 그리고 상기 제1 벽체(111)와 덮개 부분(124) 사이에서 바깥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1 프로파일(100)에 고정 수단(F)으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 부분(125)을 포함하는 제2 프로파일(1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측면 프레임(200)에는, 서로 마주하는 제1 벽체(111)와 제2 벽체(121) 사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마감하여 고정 수단(F)으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마감 부재(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충망.
  2. 제1 항에서,
    상기 공간(112)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제1 벽체(111)가 돌출한 형상의 제1 프로파일(110)이 미리 정한 두께를 갖도록 같은 형상으로 하나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112)은 내부에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한쪽이 꺾여서 제1 벽체(111) 안으로 끼워지게 보강 부재(112a)를 삽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충망.
  3. 제1 항에서,
    상기 제2 프로파일(120)은,
    폭 단면 형상이 "ㅏ"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긴 변의 세로 변 상부를 구성하는 덮개 부분(124)의 끝이 스크린(S)과 접촉하게 꺾인 플랜지(122)를 형성하고,
    폭 단면에서 긴 변의 하부가 내부에 공간을 갖춰서 제2 벽체(12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충망.
  4. 제1 항에서,
    상기 마감 부재(210)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제1 벽체(111) 끝과 제2 벽체(121) 끝 사이를 마감하는 마감 부분(211); 및
    상기 마감 부분(211)에서 바깥으로 돌출하여 제1 벽체(111)와 제2 벽체(121)가 마주하는 면에 각각 밀착하게 설치하는 두 개의 장착 부분(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충망.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프로파일(110)은 알루미늄 합금 또는 PVC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프로파일(120)은 알루미늄 합금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충망.
KR1020160183410A 2016-12-30 2016-12-30 방범 방충망 프레임 KR101933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410A KR101933955B1 (ko) 2016-12-30 2016-12-30 방범 방충망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410A KR101933955B1 (ko) 2016-12-30 2016-12-30 방범 방충망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551A true KR20180078551A (ko) 2018-07-10
KR101933955B1 KR101933955B1 (ko) 2019-04-05

Family

ID=62916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410A KR101933955B1 (ko) 2016-12-30 2016-12-30 방범 방충망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9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569B1 (ko) * 2020-06-25 2020-09-24 한국유리산업(주) 버드 스크린이 탈부착되는 갤러리창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806B1 (ko) * 2007-03-19 2007-08-20 이성일 방범창
KR20100010520U (ko) * 2009-04-17 2010-10-27 (주)맥스 방충창 프레임
KR20130000118U (ko) * 2011-06-27 2013-01-04 이영숙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
KR101517098B1 (ko) 2015-01-05 2015-05-15 (주) 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창호용 방범 방충 시설물
KR101570860B1 (ko) 2015-09-21 2015-11-23 (주)일국기업 손상된 단위유닛의 교체가 가능한 추락방지용 안전방범방충망
KR101643646B1 (ko) 2015-01-05 2016-08-10 주식회사 세론공영 창문용 방범 방충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806B1 (ko) * 2007-03-19 2007-08-20 이성일 방범창
KR20100010520U (ko) * 2009-04-17 2010-10-27 (주)맥스 방충창 프레임
KR20130000118U (ko) * 2011-06-27 2013-01-04 이영숙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
KR101517098B1 (ko) 2015-01-05 2015-05-15 (주) 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창호용 방범 방충 시설물
KR101643646B1 (ko) 2015-01-05 2016-08-10 주식회사 세론공영 창문용 방범 방충창
KR101570860B1 (ko) 2015-09-21 2015-11-23 (주)일국기업 손상된 단위유닛의 교체가 가능한 추락방지용 안전방범방충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569B1 (ko) * 2020-06-25 2020-09-24 한국유리산업(주) 버드 스크린이 탈부착되는 갤러리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955B1 (ko)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76650B (zh) 安全屏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628714B1 (ko) 방충망 고정프레임
US20150284994A1 (en) Window including hinged security screen
KR101643646B1 (ko) 창문용 방범 방충창
KR101933955B1 (ko) 방범 방충망 프레임
KR102200708B1 (ko) 롤방충망 타입 유리난간대
KR20150002067U (ko)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KR102053623B1 (ko) 방범 및 방충 창호
KR20180027207A (ko) 방범 방충망 프레임
KR101565961B1 (ko) 창호용 미들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창호 프레임
KR101047349B1 (ko) 외동형 창틀의 방폭창
KR101754956B1 (ko) 방범방충창
KR101916378B1 (ko) 문틀과 방범방충망의 결속구조
KR200206313Y1 (ko) 방충망 및 방범창이 설치된 개폐식 창문
KR101825824B1 (ko) 방범 방충망용 프로파일
KR101201616B1 (ko) 창호용 구조보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20160020856A (ko) 방범방충창
KR101561266B1 (ko) 방범방충창
KR200486677Y1 (ko)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KR102323674B1 (ko) 이중 프레임 구조를 갖는 방충망
DE102015110172A1 (de) Blendrahmen mit int. Magnethalteanordnung für Vorsatzelemente
KR102235129B1 (ko) 방범창살 및 방충망 일체형 창호
JP7225035B2 (ja)
KR102629333B1 (ko) 기밀성능이 구비된 방재 창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