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755A - Rx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Rx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755A
KR20180077755A KR1020160182419A KR20160182419A KR20180077755A KR 20180077755 A KR20180077755 A KR 20180077755A KR 1020160182419 A KR1020160182419 A KR 1020160182419A KR 20160182419 A KR20160182419 A KR 20160182419A KR 20180077755 A KR20180077755 A KR 20180077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lex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present
ac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8476B1 (ko
Inventor
정윤주
전상훈
Original Assignee
정윤주
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주, 전상훈 filed Critical 정윤주
Priority to KR1020160182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4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윌로우박 추출물과 베타인 살리실레이트로 이루어진 RX 컴플렉스를 일정 비율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패드나 화장솜에 침습시켜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RX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RX COMPLEX}
본 발명은 윌로우박 추출물과 베타인 살리실레이트를 일정 비율로 함유하는 RX 콤플렉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패드나 화장솜에 침습시켜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드름은 사춘기 시기에 발생하는 피부 질환으로 사춘기 청소년의 가장 큰 피부 고민 중 하나이다. 여드름 발생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호르몬의 과잉 분비로 인한 피지 생성 증가, 이로 인한 피부 여드름 균의 과 성장에 따른 염증 발생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여드름 치료 방법으로는 여드름 균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피지 분비를 억제 또는 생성된 피지를 씻어내거나 닦아냄으로써 피지 분비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들의 경우 이러한 기능을 가진 제품들이 대부분이다.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다양한 문헌들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56697호에서는 3-요오도-2-프로피날부틸카바마이트, 생귀나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여 여드름의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균의 생육을 억제함으로써 여드름 치료에 효과적인 항여드름균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437574호에서는 살리실산, 트리클로산, 티트리오일 및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여 여드름 피부에 적합한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과, 부직포의 표면에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코팅 처리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효율적인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코팅된 부직포를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은 우수한 여드름 개선 효과를 갖는 동시에 피부에 적용하기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조합 비율로 윌로우박 추출물과 베타인 살리실레이트를 섞었을 때 피부 여드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뛰어난 지 연구하였으며 이들을 사용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들을 찾아 본 결과 패드와 같은 부직포에 침습하여 사용하였을 때 그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한 과제는 윌로우박 추출물과 베타인 살리실레이트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윌로우박 추출물과 상기 베타인 살리실레이트를 30:1 내지 50: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윌로우박 추출물과 베타인 살리실레이트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0 ~ 70.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윌로우박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한 용매추출물, (b)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및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된 추출물을 발효시켜 얻은 것 또는 (c)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된 추출물을 발효시켜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부직포 패드에 함침시켜서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RX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피부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RX 컴플렉스는 피지 과잉 분비로 인해 발생하는 여드름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RX 컴플렉스를 패드에 침적하여 사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을 패드에 침적시켜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피부의 여드름을 개선해주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윌로우박 추출물과 베타인 살리실레이트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하나의 복합체(이하 ‘RX 컴플렉스’라고 함)로 만들고, 피부에 사용하기 편리하게 패드 형태의 부직포에 침습시켜 피부에 적용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윌로우박 추출물을 용매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초임계 추출을 실시한 후 발효 공정을 거침으로서, 우수한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여드름 개선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패드, 예를 들면 부직포 패드나 화장솜 패드에 침적시켜 사용함으로써 사용성을 개선하고 여드름 개선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윌로우박(Wollow Bark, 버드나무 껍질, 학명:Salix alba)은 전국 각처에서 자라며 특히 냇가에서 흔히 자라며, 높이 20m, 지름 80㎝에 달하는 큰 나무로서 수피는 검은 갈색이고 가지는 황록색이며 원줄기에서 잘 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버드나무 껍질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윌로우박 추출물은 용매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초임계 추출을 실시한 후 발효 공정을 거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매 추출은, 다양한 추출용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70%(v/v) 에탄올 또는 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용매 추출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상기 초임계 추출은 초임계 유체 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초임계 유체는 기체가 고온 고압 조건에서 임계점에 도달하였을 때 갖는 액체 및 기체의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화학적으로 비극성 용매와 유사한 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초임계 유체는 지용성 물질의 추출에 사용되고 있다(J. Chromatogr. A. 1998;479:200-205).
이산화탄소는 초임계 유체기기의 작동으로 압력 및 온도가 임계점까지 이르는 과정을 거치면서 액체 및 기체 성질을 동시에 지닌 초임계 유체가 되고 그 결과 지용성 용질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일정량의 시료를 함유한 추출 용기를 통과하게 되면 시료에 함유된 지용성 물질은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추출되어 나온다.
지용성 물질을 추출한 후 추출 용기에 남아있는 시료에 다시 소량의 공용매가 함유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흘려 통과시키면 순수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으로는 추출되지 않았던 성분들이 추출되어 나오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임계추출법에 사용되는 초임계 유체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에 추가적으로 공용매를 혼합한 혼합유체를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유효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공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된 시료는 대부분 이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산화탄소는 실온에서 공기 중으로 휘발되므로 상기 방법으로 얻은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공용매는 감압증발기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추출은 초음파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추출방법으로, 초음파가 수용성 용매 속에서 시료에 포함된 불용성인 용매를 파괴시킬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높은 국부 온도로 인하여 주위에 위치하는 반응물 입자들의 운동에너지를 크게 하기 때문에 반응에 필요한 충분한 에너지를 얻게 되고, 초음파 에너지의 충격효과로 높은 압력을 유도하여 시료에 함유된 물질과 용매의 혼합 효과를 높여주어 추출 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초음파 추출법에 사용할 수 있는 추출 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된 시료는 진공 여과하여 여과액을 회수한 후 감압증발기로 제거하고, 동결 건조하는 통상의 추출물 제조방법을 통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윌로우박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방법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에 추가로 발효 과정을 거쳐 추출한 것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100~500메쉬 정도로 미세하게 파쇄한 다음 상기한 용매 추출, 초임계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로 추출된 추출물을 준비한다. 이를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액에 1~50g/L로 첨가하고 효모균주 또는 유산균등의 미생물을 10,000~100,000 cfu/L의 양으로 첨가한다. 배양온도는 30~37℃의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조건으로 배양한다. pH는 5~7로 호기적 또는 통상 혐기(anaerobic)적인 조건으로 약 5내지 10일간 배양한다. 이후 숙성 및 여과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미생물은 유산균, 효모균 또는 고초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obacillus bulgaricus), 효모균으로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Saccharomyces cerevisiae), 고초균으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es)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이 상온에서 냉침, 가열 여과하여 얻어진 액상물, 추가로 용매를 감압농축 또는 동결 건조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베타인 살리실레이트는 베타인과 살리실산을 결합하여 얻은 물질로서 주로 여드름, 염증 개선 등의 효능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X 컴플렉스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중량 기준으로 30.0 ~ 70.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RX 컴플렉스는 윌로우박 추출물과 베타인 살리실레이트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그 효능을 분석하고 최적의 조합을 찾아 이를 화장품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윌로우박과 베타인 살리실레이트를 각각 30:1, 50:1, 70:1의 다양한 중량비로 만들어 그 효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RX 컴플렉스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 개선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RX 컴플렉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화장방법을 수행하면, 피부 여드름이 개선되어 피부가 깨끗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윌로우박 발효 추출물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윌로우박 100g을 70% (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25.8g의 윌로우박 용매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물에 용해시켜 50% 농도로 조절하였다. 이어 120℃에서 15분간 멸균하였다.
LB 배지(Difco, USA)에 상기 윌로우박 용매 추출물을 10 g/L로 첨가하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es)를 10,000 cfu/L로 접종시키고, 37℃에서 pH 7.5로 호기적 조건에서 10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액을 0.25 μM의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액을 4℃에서 10일간 저온 숙성시킨 후 다시 상기 여과지로 여과하여 건조시켜서, 본 발명의 윌로우박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건조 감량이 1%(W/V)이 되도록 녹여서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제조예 2 : 윌로우박 초임계 발효 추출물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윌로우박 100g을 초임계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먼저 초임계 추출조에서 이산화탄소하에서 압력은 150bar, 온도는 50℃로 조정한 후 50분간 압력을 유지하며 마지막에 알코올을 6mL/min로 넣어준 후 압력을 400 bar로 높여 120분간 유지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이를 물에 용해시켜 50% 농도로 조절하였다. 이어 120℃에서 15분간 멸균하였다. LB 배지(Difco, USA)에 상기 윌로우박 용매 추출물을 10 g/L로 첨가하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es)를 10,000 cfu/L로 접종시키고, 37℃에서 pH 7.5로 호기적 조건에서 10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액을 0.25 μM의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액을 4℃에서 10일간 저온 숙성시킨 후 다시 상기 여과지로 여과하여 건조시켜서, 본 발명의 윌로우박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건조 감량이 1%(W/V)되게 녹여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제조예 3 :윌로우박 초음파 발효 추출물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윌로우박 100g을 초음파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을 진행하였다. 먼저, 초음파 추출기의 온도를 35℃로 유지하며 초음파의 출력을 300와트까지 올려 약 3시간 추출하여 이를 물에 용해시켜 50% 농도로 조절하였다. 이어 120℃에서 15분간 멸균하였다. LB 배지(Difco, USA)에 상기 윌로우박 용매 추출물을 10 g/L로 첨가하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es)를 10,000 cfu/L로 접종시키고, 37℃에서 pH 7.5로 호기적 조건에서 10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액을 0.25 μM의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액을 4℃에서 10일간 저온 숙성시킨 후 다시 상기 여과지로 여과하여 건조시켜서, 본 발명의 윌로우박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건조 감량이 1%(W/V)되게 녹여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비교제조예 1
세건하여 음건한 윌로우박 100g을 70% (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25.8g의 윌로우박 추출물을 수득하으며 이 추출액을 다시 1,3-부틸렌 글리콜과 물이 각 5:5로 함유된 용매에 건조 감량이 1%(W/V)되게 녹여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RX 컴플렉스 제조예
제조예 1 내지 3 및 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한 윌로우박 추출물과 베타인 살리실레이트를 표 1에서 나타낸 중량비로 혼합하여 10g의 RX 컴플렉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5는 제조예 1 내지 3과 비교제조예 1의 윌로우박 추출물만 포함한 것이고, 비교예 5는 윌로우박 추출물 없이 베타인 살리실레이트만을 사용한 것이고, 비교예 6은 윌로우박의 에탄올 추출물(비교제조예 1)과 베타인 살리실레이트를 70: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것이다.
RX컴플렉스 제조예 1 RX컴플렉스
제조예 2
RX컴플렉스
제조예 3
RX컴플렉스
제조예 4
RX컴플렉스
제조예 5
RX컴플렉스
제조예 6
제조예 1의 윌로우박 추출물 30 50 - - - -
제조예 2의 윌로우박 추출물 - - 30 50 - -
제조예 3의 윌로우박 추출물 - - - - 30 50
비교 제조예 1의 윌로우박 추출물 - - - - - -
베타인 살리실레이트 1 1 1 1 1 1
RX컴플렉스
비교예 1
RX컴플렉스
비교예 2
RX컴플렉스
비교예 3
RX컴플렉스
비교예 4
RX컴플렉스
비교예 5
RX컴플레스
비교예 6
제조예 1의 윌로우박 추출물 100 - - - - -
제조예 2의 윌로우박 추출물 - 100 - - - -
제조예 3의 윌로우박 추출물 - - 100 - - -
비교 제조예 1의 윌로우박 추출물 - - - 100 - 70
베타인 살리실레이트 - - - - 100 1
실험예 1 : RX 컴플렉스의 여드름 균 억제 효과
여드름 균(Propionibacterium acnes)을 배양하여 플레이트에 도포한 후 플레이트에 원형의 페이퍼를 올려 놓는다. 여기에 RX 컴플렉스 제조예 1 내지 6 및 RX COMPLEX Ⅰ 비교 제조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RX 컴플렉스 용액을 올려 놓은 후 배양을 통해 페이퍼 주위의 환이 생기는 정도를 (+)로 하기 표 3에 표시하였다.
RX 컴플렉스의 여드름 균 개선 효과
구분 환의 크기
RX 컴플렉스
제조예 1
++++
RX 컴플렉스
제조예 2
+++++
RX 컴플렉스
제조예 3
++++
RX 컴플렉스
제조예 4
+++++
RX 컴플렉스
제조예 5
+++++
RX 컴플렉스
제조예 6
+++++
RX 컴플렉스
비교 제조예 1
+
RX 컴플렉스
비교 제조예 2
+
RX 컴플렉스
비교 제조예 3
+
RX 컴플렉스
비교 제조예 4
++
RX 컴플렉스
비교 제조예 5
+++++
RX 컴플렉스
비교 제조예 6
+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X 컴플렉스는 그 조성에 따라 여드름균에 효과를 나타내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처방으로 아래 표와 같이 처방을 제조한다.
RX C컴플렉스 제조예 및 RX 컴플렉스 비교제조예를 활용한 처방 실시예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RX 컴플렉스
제조예 1
50 - - - - -
RX 컴플렉스
제조예 2
- 50 - - - -
RX 컴플렉스
제조예 3
- - 50 - - -
RX 컴플렉스
제조예 4
- - - 50 - -
RX 컴플렉스
제조예 5
- - - - 50 -
RX 컴플렉스
제조예 6
- - - - - 50
RX 컴플렉스
비교예 1
- - - - - -
RX 컴플렉스
비교예 5
- - - - - -
RX 컴플렉스
비교예 6
- - - - - -
글리세린 6 6 6 6 6 6
1,3-부틸렌글리콜 3 3 3 3 3 3
PEG 1500 1 1 1 1 1 1
알란토인 0.1 0.1 0.1 0.1 0.1 0.1
DL-판테놀 0.3 0.3 0.3 0.3 0.3 0.3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벤조페논-9 0.04 0.04 0.04 0.04 0.04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 5 5 5 5 5
에탄올 10 10 10 10 10 10
옥틱도데세스-16 0.2 0.2 0.2 0.2 0.2 0.2
폴리솔베이트 20 0.2 0.2 0.2 0.2 0.2 0.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증류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RX 컴플렉스
비교예 1
50 - -
RX 컴플렉스
비교예 5
- 50 -
RX 컴플렉스
비교예 6
- - 50
글리세린 6 6 6
1,3-부틸렌글리콜 3 3 3
PEG 1500 1 1 1
알란토인 0.1 0.1 0.1
DL-판테놀 0.3 0.3 0.3
EDTA-2Na 0.02 0.02 0.02
벤조페논-9 0.04 0.04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 5 5
에탄올 10 10 10
옥틱도데세스-16 0.2 0.2 0.2
폴리솔베이트 20 0.2 0.2 0.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미량
증류수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실험예 2: 피부 여드름 개선효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제형을 20~30대의 건강한 피험자 중 여드름이 많이 있는 60명(각 10명/실시예)에 대하여 각 제품을 60일간 사용하여 여드름 개선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구분 사용 전 사용 후
실시예 1 +++++ ++
실시예 2 +++++ +
실시예 3 +++++ ++
실시예 4 +++++ +
실시예 5 +++++ ++
실시예 6 +++++ +
비교예 1 +++++ ++++
비교예 2 +++++ +
비교예 3 +++++ +
* (+)는 피부 여드름 상태로 (+)가 많을수록 여드름이 많은 상태임
표 4의 실험결과를 검토하면 RX 컴플렉스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보다 본 발명에 따른 RX 컴플렉스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2가 여드름 개선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RX 컴플렉스를 침습한 패드의 피부 여드름 개선효과
상기 실시예 1~6,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제형과 이를 침습시킨 패드(비교예2)를 20~30대의 건강한 피험자 중 여드름이 많이 있는 40명(각 20명)에 대하여 각 제품을 60일간 사용하여 여드름 개선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사용 전 사용 후
실시예 1 +++++ ++
실시예 1 (패드 사용) +++++ +
실시예 2 +++++ +
실시예 2 (패드 사용) +++++ +
실시예 3 +++++ ++
실시예 3 (패드 사용) +++++ +
실시예 4 +++++ +
실시예 4 (패드 사용) +++++ +
실시예 5 +++++ ++
실시예 5 (패드 사용) +++++ +
실시예 6 +++++ +
실시예 6 (패드 사용) +++++ +
비교예 1 +++++ ++++
비교예 1 (패드 사용) +++++ +++
비교예 2 +++++ +
비교예 2 (패드 사용) +++++ +
비교예 3 +++++ +++
비교예 3 (패드 사용) +++++ ++
* (+)는 피부 여드름 상태로 (+)가 많을수록 여드름이 많은 상태임
실험예 4: RX COMPLEX Ⅰ를 침습한 패드의 피부 여드름 개선효과
상기 실시예 1~6,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제형과 이를 침습시킨 패드(비교예2)를 20~30대의 건강한 피험자 중 여드름이 많이 있는 40명(각 20명)에 대하여 각 제품을 1주일 사용하면서 발생한 피부 자극 여부를 피검자 설문으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자극 여부
사용 전 사용 후
실시예 1 + +
실시예 1 (패드 사용) + +
실시예 2 + +
실시예 2 (패드 사용) + +
실시예 3 + +
실시예 3 (패드 사용) + +
실시예 4 + +
실시예 4 (패드 사용) + +
실시예 5 + +
실시예 5 (패드 사용) + +
실시예 6 + +
실시예 6 (패드 사용) + +
비교예 1 + +
비교예 1 (패드 사용) + +
비교예 2 + +++++
비교예 2 (패드 사용) + ++++
비교예 3 + +
비교예 3 (패드 사용) + +
위의 피부 안전성 실험결과 특별한 자극증상을 보인 사례는 없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윌로우박 추출물과 베타인 살리실레이트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윌로우박 추출물과 상기 베타인 살리실레이트를 30:1 내지 50: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윌로우박 추출물과 베타인 살리실레이트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0 ~ 70.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윌로우박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한 용매추출물, (b)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및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된 추출물을 발효시켜 얻은 것 또는 (c)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된 추출물을 발효시켜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부직포 패드에 함침시켜서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82419A 2016-12-29 2016-12-29 Rx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8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419A KR101908476B1 (ko) 2016-12-29 2016-12-29 Rx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419A KR101908476B1 (ko) 2016-12-29 2016-12-29 Rx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755A true KR20180077755A (ko) 2018-07-09
KR101908476B1 KR101908476B1 (ko) 2018-10-16

Family

ID=6291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419A KR101908476B1 (ko) 2016-12-29 2016-12-29 Rx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4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080B1 (ko) * 2018-09-18 2020-02-13 (주)코스알엑스 Rx 콤플렉스 피를 함유하는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CN111110619A (zh) * 2020-02-14 2020-05-08 广州市科能化妆品科研有限公司 一种控油祛痘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9998A (ko) * 2004-07-09 2006-05-19 죤슨 앤드 죤슨 게엠베하 하나 이상의 흡수 시트를 포함하는 화장용 및/또는 피부용흡수성 신체 관리 및/또는 세정 제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9998A (ko) * 2004-07-09 2006-05-19 죤슨 앤드 죤슨 게엠베하 하나 이상의 흡수 시트를 포함하는 화장용 및/또는 피부용흡수성 신체 관리 및/또는 세정 제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로그]윌로우박추출물 (2016.11.12.) (인터넷URL: https://blog.naver.com/munlig/220860000883) *
[네이버블로그]화장품 성분,여드름관리, 트러블케어: 베타인살리실레이트/민감성 피부, 저자극 화장품, 천연기능성화장품 (2016.10.11.) (인터넷URL: https://blog.naver.com/freshvieco/220833491656)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080B1 (ko) * 2018-09-18 2020-02-13 (주)코스알엑스 Rx 콤플렉스 피를 함유하는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CN111110619A (zh) * 2020-02-14 2020-05-08 广州市科能化妆品科研有限公司 一种控油祛痘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CN111110619B (zh) * 2020-02-14 2022-06-28 广州市科能化妆品科研有限公司 一种控油祛痘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476B1 (ko)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0022B2 (ja) ニキビ予防・改善剤および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868507B1 (ko) 효소처리 그라비올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7362B1 (ko) 상황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25092B1 (ko) 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58B1 (ko) 홍삼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8476B1 (ko) Rx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5500A (ko) 강화사자발쑥, 어성초, 익모초, 눈연꽃, 함초로 구성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3412B1 (ko) 유기농 에버라스팅의 미생물 발효를 통한 저분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30001842A (ko) 쪽동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방법
KR101542490B1 (ko) 야로우, 보리지, 에버라스팅, 레이디스맨틀 및 유칼립투스로 구성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3676B1 (ko) 악마의 발톱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2420B1 (ko) Rx 콤플렉스 엠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3324A (ko) 대두, 겨우살이, 모근으로 구성된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보습과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90424B1 (ko) 영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생물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5118A (ko) 대두, 겨우살이, 모근의 혼합 발효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보습 및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2645B1 (ko) 천궁 및 황금 혼합 추출물 또는 이들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및 비듬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4599B1 (ko)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1107A (ko) 명월초 추출물 및 부아 메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9373B1 (ko) 소두구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1238B1 (ko) 동과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1871577B1 (ko) 고산지역에서 자란 로즈마리 오일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985380B1 (ko) 타이거넛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4496B1 (ko) 노박덩굴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122A (ko)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4176B1 (ko) 인삼잎을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f1 및 f2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된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