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599B1 -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599B1
KR102064599B1 KR1020180008912A KR20180008912A KR102064599B1 KR 102064599 B1 KR102064599 B1 KR 102064599B1 KR 1020180008912 A KR1020180008912 A KR 1020180008912A KR 20180008912 A KR20180008912 A KR 20180008912A KR 102064599 B1 KR102064599 B1 KR 102064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ir los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0255A (ko
Inventor
홍재화
김재영
이광식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80008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599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방자(Arctium lappa seed)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및 멘틸피씨에이(Menthyl PCA)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헤어용품 본연의 기능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탈모를 방지하고 두피를 보호함과 동시에 두피의 혈액순환을 자극하여 발모를 촉진 시킬 수 있도록 한 탈모 방지용 헤어용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CONTAINING ARCTIUM LAPPA SEED EXTRACT, NIACINAMIDE AND METHYL PCA}
본 발명은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포함하는 헤어샴푸, 헤어컨디셔너 또는 헤어에센스와 같은 헤어용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회의 발달에 따른 환경적인 요인과 사회적인 요인 등 다양한 원인요소들에 의해 다양한 연령층 및 여성에게서도 탈모의 증상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탈모 현상은 환경 및 사회적인 요인에 의한 것으로, 특히 잦은 퍼머, 염색, 스트레스, 심한 다이어트 등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남성에게만 국한되지 않고 여성에게서도 그 증상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발생 연령 또한 점차 낮아지고 있다.
두피는 근본적으로 체내의 모든 기관을 기계적 외력, 화학적 독물의 침해, 미생물의 침입, 일광 등의 외적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과 흡수작용, 호흡 및 배설 작용, 감각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두피는 체내의 유해물질과 노폐물들을 배설하기도 하는데, 두피에 각질 및 노폐물들이 피지와 섞여 표면에 쌓이게 되면, 두피 모공을 막아, 피부 호흡을 막고, 두피에 염증을 발생시키기도 하고, 모발이 가늘어지게 된다. 피부 호흡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면, 체내에 축적되어 결국에 신체 균형을 흩뜨리게 되어 다른 기능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쳐 이상 두피 현상이 생기기도 한다.
모발의 세척을 위해 일반적으로 비누 또는 샴푸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일반 소비자의 모발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단순한 세척만이 아니라 두피와 모발의 건강을 통한 탈모를 예방하기 위한 기능성 샴푸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전개되는 추세이다. 또한, 실제 생활 속에서 샴푸 등 모발용 화장품류를 70% 이상 사용하고 있고, 의약 외용품까지 포함할 경우 80% 이상을 차지하여 생활에 유용한 건강한 샴푸의 개발은 중요하다 할 것이다.
현재 한방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용 샴푸에 대해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지만, 이들 대부분은 탈모 또는 발모에 대한 기능성을 강화하여 샴푸의 기본기능인 세척기능이 떨어지거나, 또는 일부 한방기능이 탈모에 대한효과가 미미하거나, 탈모에 대한 효과가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 한약성분의 향이 너무 강하여 역한 냄새가 나거나 샴푸를 하고 나서 머릿결이 뻣뻣해지는 현상이 일어나 소비자들이 기호를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가 많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10970호는 황련, 황백, 황금 등을 포함하는 제1 탈모방지용 한방 추출물 및 우방자, 방풍 등을 포함하는 제2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용품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샴푸, 헤어컨디셔너 또는 헤어에센스와 같은 헤어용품 본연의 기능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혼합하여 탈모를 방지하고 동시에 두피의 혈액순환을 자극하여 발모를 촉진시키는 헤어용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방자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0 중량% 함유되고, 나이아신아마이드는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중량% 함유되고, 멘틸피씨에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 함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발모를 촉진하여 탈모를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 및 모근 주위의 혈액순환이 개선되어 탈모가 방지됨과 동시에 두피가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모발에 영양분이 제공되어 발모가 촉진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용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주로 천연물질로부터 유래한 헤어용품이 사용됨에 따라 종래의 헤어용품보다 두피의 자극을 완화시켜 탈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탈모방지, 두피치유 및 발모촉진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특히 우방자 추출물이 첨가됨에 따라 두피 및 모근 주위의 혈액순환이 개선되어 탈모가 방지됨과 동시에 두피가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모발에 영양분이 제공되어 발모가 촉진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방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식물로서 한국, 일본과 중국 등지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우방자(Arctii Fructus, Arctium lappa seed)는 우방의 열매를 의미한다. 우방자의 주성분은 리그난(lignan)으로서 악티게닌(arctigenin), 리그난배당체로서 악틴(arctiin) 등이 알려져 있으며(T. Namba, The encyclopedia of Wakan-Yaku withColor Pictures, Vol I, pp208, Hoikusha, Tokyo, 1993), 한방에서는 풍습은진, 인후풍열을 치료하며, 여러 종(腫)과 창양독(瘡瘍毒)에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우방자 추출물은 우방자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우방자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우방자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a)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b)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및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 또는 (c)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우방자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용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70%(v/v) 에탄올 또는 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우방자 추출물은 상기의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우방자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및 발효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계추출법에 의한 추출,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해 분리하거나 자연 상태나 각종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산물에 의한 추출물 등과 같이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및 추출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물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추출물이 상온에서 냉침, 가열 여과하여 얻어진 액상물을 포함한다.
상기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계추출법에 의한 추출법은 초임계 유체 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초임계 유체는 기체가 고온 고압 조건에서 임계점에 도달하였을 때 갖는 액체 및 기체의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화학적으로 비극성 용매와 유사한 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초임계 유체는 지용성 물질의 추출에 사용되고 있다(J. Chromatogr. A.1998; 479:200-205). 이산화탄소는 초임계 유체기기의 작동으로 압력 및 온도가 임계점까지 이르는 과정을 거치면서 액체 및 기체 성질을 동시에 지닌 초임계 유체가 되고 그 결과 지용성 용질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일정량의 시료를 함유한 추출 용기를 통과하게 되면 시료에 함유된 지용성 물질은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추출되어 나온다. 지용성 물질을 추출한 후 추출 용기에 남아있는 시료에 다시 소량의 공용매가 함유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흘려 통과시키면 순수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으로는 추출되지 않았던 성분들이 추출되어 나오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임계추출법에 사용되는 초임계 유체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에 추가적으로 공용매를 혼합한 혼합유체를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유효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공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된 시료는 대부분 이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산화탄소는 실온에서 공기 중으로 휘발되므로 상기 방법으로 얻은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공용매는 감압증발기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초음파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추출방법으로, 초음파가 수용성 용매 속에서 시료에 포함된 불용성인 용매를 파괴시킬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높은 국부온도로 인하여 주위에 위치하는 반응물 입자들의 운동에너지를 크게 하기 때문에 반응에 필요한 충분한 에너지를 얻게 되고, 초음파 에너지의 충격효과로 높은 압력을 유도하여 시료에 함유된 물질과 용매의 혼합 효과를 높여주어 추출 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초음파 추출법에 사용할 수 있는 추출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된 시료는 진공 여과하여 여과액을 회수한 후 감압증발기로 제거하고, 동결 건조하는 통상의 추출물 제조방법을 통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방자 추출물은 발효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하는데, 우방자의 발효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우방자를 100~500메쉬 정도로 미세하게 파쇄한 다음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액을 1~50g/L를 첨가하고 효모 또는 유산균등의 미생물을 10,000~100,000 cfu/L의 양으로 첨가한다. 배양온도는 30~37℃의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조건으로 배양한다. pH는 5~7로 호기적 또는 통상 혐기(anaerobic)적인 조건으로 약 5 내지 10일간 배양한다. 이후 숙성 및 여과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우방자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001 ~ 30.0 중량% 함유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방자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1 ~ 1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피부 개선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C6H6N2O)를 함유한다. 나이아신아마이드는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중량% 함유될 수 있다. 나이아신아마이드를 0.01 중량% 미만으로 함유하는 경우에는 실질적인 효과 증대가 미미한 문제가 있고, 10.0 중량% 초과하여 함유하는 경우에는 피부 자극에 대한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멘틸피씨에이(menthyl PCA, Menthyl pyrrolidone carboxylate, C15H25NO3)를 함유한다. 멘틸피씨에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멘틸피씨에이를 0.001 중량% 미만으로 함유한 경우에는 실질적인 효과 증대가 미미한 문제가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하는 경우에는 피부 자극에 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헤어용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헤어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팩, 헤어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헤어 토닉, 헤어 영양수, 헤어 마사지 크림, 헤어, 헤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헤어 샴푸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모발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화장방법을 수행하면 혈액 순환에 도움을 주어 탈모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s)의 활성화를 높일 뿐만 아니라 혈액 순환을 높여 탈모 방지에 우수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 제조예 1]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우방자 추출물의 제조
우방자를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시료 1 g을 초임계 추출용기(Supercritical fluid extractor, Jasco, Japan)에 넣고 액체크로마토그래피 펌프(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 Jasco, Japan)를 이용하여 순수한 이산화탄소를 온도 60℃ 및 압력 300 기압 조건에서 초임계 상태로 만들어 흘려보내면서 매 4분씩 40분까지 추출물을 10 ㎖ 용량의 유리 시험관에 받았다. 상기 추출액을 회전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중량 39 ㎎/g을 얻었다. 건조된 우방자 파우더를 50% 1,3-부틸렌 글리콜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제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13.00 13.00 13.00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4.00 4.00 4.00
디메치콘 2.60 2.60 2.60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 2.00 2.00 2.00
코카마이드엠이에이 1.00 1.00 1.00
판테놀 0.10 0.10 0.10
살리실릭애씨드 0.10 0.10 0.10
세틸알코올 0.60 0.60 0.60
소듐클로라이드 0.55 0.55 0.55
폴리쿼터늄-10 0.31 0.31 0.31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0.20 0.20 0.20
판테닐에칠에텔 0.20 0.20 0.20
p-아니식애씨드 0.10 0.10 0.10
글리세린 0.03 0.03 0.03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0.03 0.03 0.03
C12-15파레스-3 0.03 0.03 0.03
향료 적량 적량 적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10 0.10 0.10
우방자 추출물 ( 제조예 1) - 5.00 5.00
나이아신아마이드 - 1.0 1.0
멘틸피씨에이 - - 0.2
총량 100.00 100.00 100.00
[ 실험예 1] 관능평가
비듬과 두피가려움증이 있는 사람 10명을 포함하여 각각 25명씩 제1 그룹 내지 제3 그룹으로 나눈 다음, 제1 그룹에 속하는 25명에게는 본 발명에 따른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함유한 헤어샴푸(실시예 1)을 7주(45일)간 사용하게 하고, 제2 그룹에 속하는 25명에게는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함유하지 않은 헤어샴푸(비교예 1)를, 그리고 제3 그룹에 속하는 25명에게는 우방자 추출물과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헤어샴푸(비교예 2)를 7주간(45일)간 사용하게 하였다. 그 결과의 상태 변화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상태 변화 제1 그룹
(비교예 1)
제2 그룹
(비교예 2)
제3 그룹
(실시예 1)
발모 상태 매우 좋음 - 2 17
좋음 6 6 5
변화 없음 19 17 3
모발 영양 매우 좋음 - 3 18
좋음 5 5 5
변화 없음 20 17 2
두피 상태 매우 좋음 1 3 17
좋음 3 3 6
변화 없음 21 19 2
상기 평가에서, 발모 상태의 경우에는 두부 전체에 발모증상이 있으며 모발 수의 증가 현상이 있다면 '매우 좋음', 두부 일부에 발모증상이 있으며 두부 일부에서 모발 수의 증가 현상이 있다면 '좋음', 발모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변화없음'으로 하였다. 모발 영양상태의 경우에는 모발 손상상태가 거의 없고 매끄러운 상태로서 전체적으로 풍부한 경우에는 '매우 좋음', 모발 손상상태가 일부분에 국한되고 모발이 매끄러운 경우 '좋음', 사용전과 모발상태 개선이 없는 경우에는 '변화 없음'으로 하였다. 두피 상태의 경우에는 두피 전체적으로 피지가 없어지고 가려움증이 없으며 두피가 청결한 상태이면 '매우 좋음', 피지나 가려움증이 일부 개선되어 청결상태가 좋아진 경우에는 '좋음', 사용전과 두피 상태가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변화 없음'으로 하였다.
상기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용품(실시예 1)을 조성물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68% 이상의 사용자에게 탈모율 감소효과가 나타났으며, 모든 사용자에게 탈모방지효과가 나타날 뿐만 아니라, 가는 모발이나 잔털이 굵어지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모발 영양 상태는 대부분 좋은 변화가 있었으며 72% 이상 우수한 효과가 있었다. 두피 상태도 대부분 개선되었으며, 구체적으로 68% 이상의 사용자에게 좋은 평가를 얻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초임계 유체 추출법으로 추출된 우방자 추출물 0.0001 내지 30.0 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0.01 내지 10.0중량% 및 멘틸피씨에이 0.001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발모를 촉진하여 탈모를 방지하는 것인,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KR1020180008912A 2018-01-24 2018-01-24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4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912A KR102064599B1 (ko) 2018-01-24 2018-01-24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912A KR102064599B1 (ko) 2018-01-24 2018-01-24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255A KR20190090255A (ko) 2019-08-01
KR102064599B1 true KR102064599B1 (ko) 2020-01-09

Family

ID=67615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912A KR102064599B1 (ko) 2018-01-24 2018-01-24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076B1 (ko) 2020-11-27 2021-08-19 주식회사 뉴앤뉴 멘틸피씨에이와 생강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0005A1 (en) * 1997-05-09 1998-11-12 Medlogic Global Corporation Compositions for cosmetic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0005A1 (en) * 1997-05-09 1998-11-12 Medlogic Global Corporation Compositions for cosmetic applic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076B1 (ko) 2020-11-27 2021-08-19 주식회사 뉴앤뉴 멘틸피씨에이와 생강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255A (ko)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61915A (ja) 皮膚外用剤
KR101885199B1 (ko) 석류, 서양장미꽃, 홍화 및 해당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939563A1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nordic plant derived ingredients and a mild neutralizing agent
KR102221033B1 (ko) 개양귀비, 붉은토끼풀, 라케모사승마 및 칼메그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FR2829928A1 (fr)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soin de la peau et des cheveux de l'homme
US20080193399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rgan oil and a plant-based product of the aloe genus, and the cosmetic use thereof
KR20040065126A (ko) 아토피 피부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2064599B1 (ko)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5830B1 (ko) 밀싹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7040B1 (ko) 리보플라빈 및 안젤리카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7139B1 (ko) 아이리쉬모스, 마조람, 카룸 페트로셀리눔 및 둥근빗살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3397552B2 (ja) 化粧料
KR102252145B1 (ko) 병아리난초와 씀바귀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0820B1 (ko) 프로방스장미꽃잎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83236A (ko) 탈모 방지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2076179B1 (ko) 타래붓꽃과 참취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7755A (ko) Rx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69475B1 (ko) 엉겅퀴를 포함하는 복합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2420B1 (ko) Rx 콤플렉스 엠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56826B1 (ko) 프리클리페어열매, 서양측백나무잎 및 마돈나백합비늘줄기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3064B1 (ko) 감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수 제조방법
KR20200113904A (ko) 피부보호 조성물
KR102625741B1 (ko) 카퍼, 올리브나무, 당귤 및 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5577A (ko) 두피 및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