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149A -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149A
KR20180077149A KR1020187006405A KR20187006405A KR20180077149A KR 20180077149 A KR20180077149 A KR 20180077149A KR 1020187006405 A KR1020187006405 A KR 1020187006405A KR 20187006405 A KR20187006405 A KR 20187006405A KR 20180077149 A KR20180077149 A KR 20180077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odulation
section
signal
receptio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츠키 아미모토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77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49De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81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constraints
    • H04L27/2688Resistance to perturbation, e.g. noise, interference or f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는, 방송 신호의 복조를 행하는 복조부와, 복조부에서의 복조를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를 갖고 있다. 수신 제어부는, 방송 신호에서의 수신하고 싶은 PLP가 포함되지 않은 구간에서, 복조부를 제어하여, 서브프레임 단위 또는 OFDM 심볼 단위로 복조부에 의한 복조를 정지시킨다. 본 기술은 수신기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본 기술은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방송 규격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T2에서는, 콘텐츠를 전송하는 신호에 FEF(Future Extension Frame)라고 불리는 프레임이 삽입되고, FEF에 의거하여 수신기측에서 수신 대상이 아닌 프레임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프레임 전체에서 복조를 정지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DVB-T2에 대해, 새로운 방송 규격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3.0에서는, 서브프레임이라는 처리 단위가 추가되어, 서브프레임마다 다른 로버스트니스를 갖게 하여 콘텐츠를 송신할 수 있는 구조가 채용되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ATSC3.0 규격에서는 영상이나 음성, 메타데이터 등의 복수의 서비스가 다중화되어 송신되는 것이 시사되어 있다. 또한 ATSC3.0 규격에서는, 각 서비스는 PLP(Physical Layer Pipe)라고 불리는 단위로 다중화되어 전송되는데, 수신기에 대해 영상, 음성, 로버스트한 음성, 및 메타데이터의 PLP를 디코드(복호) 가능한 4PLP 디코드가 요구되는 것도 시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2012-191505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Candidate Standard : Physical Layer Protocol", Doc. S32-230r21, 28 September 2015
그런데, ATSC3.0 규격에 관해, 실제로는 서비스를 복수 동시에 수신하는 케이스는 드물다. 또한, 서비스를 디코드하는 측의 하드웨어의 정적인 제약이나 동적인 제약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콘텐츠 시청시에 영상만 시청하고 싶은 경우, 로버스트한 음성으로 시청하고 싶은 경우, 저(低)레이트의 영상으로 시청하고 싶은 경우 등, 수신한 PLP 중의 일부의 PLP가 이용되지 않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하드웨어의 정적인 제약이란, 예를 들면 PLP의 동시 디코드 가능수나, 영상, 음성, 메타데이터 등의 출력 IF(Interface)의 수와 그 유무 등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디코드측의 디바이스에서는, 스테레오의 음성 출력은 가능하지만 5.1ch의 음성 출력에는 대응하지 않는 등이라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하드웨어의 동적인 제약이란, 예를 들면 디코드측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배터리 상태나 처리 부하 상태 등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콘텐츠 시청을 위한 프로세스와는 다른 딴 프로세스가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공급 전력을 콘텐츠의 수신기에 할당할 여유가 없는 등이라는 경우가 있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더한층의 저소비전력화, 다시 말하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동적인 수요 변화에 대응할 것이 수신기에도 요구되어 오고 있다.
본 기술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한 측면의 신호 처리 장치는, 복수의 데이터가 다중화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수신 신호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을 단위로 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의 필요한 상기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구간의 상기 복조부에 의한 복조를 정지시키는 수신 제어부를 구비한다.
신호 처리 장치에는, 상기 수신 신호에서의 상기 데이터의 배치를 특정하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상기 수신 신호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를 또한 마련하고, 상기 수신 제어부에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구간을 결정시킬 수 있다.
상기 수신 제어부에는, 상기 복조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처리를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복조를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수신 제어부에는, 상기 복조부의 적어도 일부에 공급되는 클록에 관해, 상기 클록의 공급을 정지시키든지, 또는 상기 클록의 주파수를 저감시킴으로써, 상기 복조를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수신 제어부에는, 상기 복조부의 적어도 일부에 공급되는 전원에 관해, 상기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든지, 또는 상기 전원의 전압을 저감시킴으로써, 상기 복조를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수신 제어부에는,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구간에서, 자신(自身)에게 공급되는 클록의 주파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수신 제어부에는,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구간에서, 자신에게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수신 제어부에는, 상기 복조를 행하는 구간 직전에 있는, 필요한 상기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구간에서, 상기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처리 중, 적어도 상기 수신 신호의 위상 오차를 보정하는 처리, 및 상기 수신 신호의 전송로(傳送路) 특성을 추정하는 처리의 어느 일방을 복조 예비 동작으로서 상기 복조부에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수신 제어부에는, 상기 전송로 특성의 추정 결과 및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의 추정 결과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의거하여, 상기 복조 예비 동작을 시키는 구간의 길이를 결정시킬 수 있다.
상기 수신 제어부에는, 상기 복조부에 상기 복조 예비 동작을 실행시키는 경우, 상기 복조부 중의 상기 복조 예비 동작을 실행하는 블록의 후단에 있는 후단 블록에의 클록 공급을 정지시키든지, 또는 상기 후단 블록에 공급되는 클록의 주파수를 저감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제어부에는, 상기 복조부에 상기 복조 예비 동작을 실행시키는 경우, 상기 복조부 중의 상기 복조 예비 동작을 실행하는 블록의 후단에 있는 후단 블록에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키든지, 또는 상기 후단 블록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저감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제어부에는, 상기 복조부를 제어시켜서,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구간에서, 상기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처리 중의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해 행하여지는 처리를 정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제어부에는, 상기 복조부를 제어시켜서,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구간에서 상기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해 행하여지는 처리를 정지시킨 후,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구간의 종료까지의 소정 시간 길이의 구간에서, 상기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해 행하여지는 처리를 실행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기술의 한 측면의 신호 처리 방법 또는 프로그램은, 복수의 데이터가 다중화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수신 신호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을 단위로 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의 필요한 상기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구간의 상기 복조부에 의한 복조를 정지시키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기술의 한 측면에서는, 복수의 데이터가 다중화된 수신 신호가 복조되고, 상기 수신 신호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을 단위로 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의 필요한 상기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구간의 상기 복조부에 의한 복조가 정지된다.
본 기술의 한 측면에 의하면,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효과라도 좋다.
도 1은 방송 신호의 구조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ATSC3.0 프레임의 구조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PLP 구조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PLP와 수신하는 서비스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수신기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아날로그부 내지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시그널링 정보의 추출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복조 정지 모드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복조 예비 모드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복조 모드의 선택례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복조 모드의 선택례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복조 모드의 선택례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복조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4는 복조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5는 아날로그부 내지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복조 모드의 선택례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아날로그 정지 모드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복조 모드의 선택례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복조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20은 본 기술에 의한 저소비전력화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21은 컴퓨터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기술을 적용한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제1의 실시의 형태>
<본 기술에 관해>
본 기술은, 콘텐츠가 시간 다중되어 송신되어 오는 방송 신호 중의 소망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에서는, 복수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음성이나 영상, 메타데이터 등의 서비스가 다중화되어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때에, 수신하여야 할 콘텐츠가 격납되어 있는 서브프레임 또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심볼을 특정하고, 해당하는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 단위로 복조부를 동작시킨다. 또한, 수신하여야 할 콘텐츠가 격납되지 않은 불필요한 구간에서는, 적절하게 복조 기능 정지, 클록 차단이나 클록 주파수 저하, 전원 차단, 공급 전압 저하 등을 행함으로써,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의 저소비전력 구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에서는, 클록이나 전원의 차단부터의 복귀 전에 클록 오차 보정과 전송로 추정을 실시하는 복조 예비 동작 구간이 마련된다. 이에 의해, 클록이나 전원의 차단에 의해 생기는 칩내 온도 변화를 기인으로 하는 크리스탈의 특성 변화에 의한 클록 오차와, 클록이나 전원의 차단 중의 전송로 특성 변동에 의한 성능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래서,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본 기술에 관해 설명하여 간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기술을 ATSC3.0 규격에 준거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또한, 방송 신호가 OFDM 방식에 의해 변조되어 있는 예에 관해 설명하지만, 다른 디지털 변조 방식이라도 좋다.
ATSC3.0 규격에서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영상이나 음성, 메타데이터 등을 전송하기 위한 방송 신호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ATSC3.0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도 1에서는, 도면 중, 횡방향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고, 종방향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문자 「ATSC3.0 Frame」가 기재되어 있는 하나의 장방형이 하나의 ATSC3.0 프레임(이하, 단지 프레임이라고 칭한다)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프레임은 부트스트랩 신호, 프리앤블 신호, 및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 신호)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문자 「BootStrap」이 기재된 장방형이 부트스트랩 신호를 나타내고 있고, 문자 「Preamble」이 기재된 장방형이 프리앤블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문자 「SubFrame#0」 내지 「SubFrame#N-1」의 각각이 기재된 장방형이 각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각 프레임에서는, 선두에 부트스트랩 신호가 배치되고, 그 부트스트랩 신호에 계속해서 프리앤블 신호가 배치되고, 또한 프리앤블 신호의 후에 1 또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이 배치된다.
여기서, 부트스트랩 신호는, 방송 신호에서의 프레임의 선두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이고, 부트스트랩 신호에는, 프리앤블 신호가 어떤 정보 구성으로 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즉, 수신기에서는, 부트스트랩 신호를 해석함으로써, 프리앤블 신호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프리앤블 신호는, 각 서브프레임이 어떤 정보 구성으로 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술된 신호이다. 예를 들면, 수신기는 프리앤블 신호를 해석함으로써, 각 서브프레임이 어떤 파라미터로 변조되어 있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각 서브프레임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OFDM 심볼로 구성된다. 또한, 도 2에서 도 1에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문자가 기재되어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2에서는, 문자 「OFDM Symbol」이 기재된 장방형이 하나의 OFDM 심볼을 나타내고 있고, 서브프레임이, 시간 방향으로 나열하는 복수의 OFDM 심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서브프레임에서는, 각 시각(時刻)에 하나의 OFDM 심볼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OFDM 심볼은, 주파수 방향으로 나열된 각 주파수(서브캐리어)에 대응하는 데이터 셀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데이터 셀에 콘텐츠를 구성하는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메타데이터 등의 각종의 데이터가 격납된다.
특히, ATSC3.0 규격에서는, 영상이나 음성, 메타데이터 등의 서비스는, 복수의 데이터 셀로 이루어지는 PLP라고 불리는 단위로 다중화되어 서브프레임 내에 격납된다. 또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앤블 신호의 일부에도 PLP를 구성하는 데이터가 격납된다.
각 PLP는, 하나의 OFDM 심볼뿐만 아니라, 복수의 OFDM 심볼에 걸쳐서 설정되는 것도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서비스는 시간 다중되든지, 주파수 다중되든지, 또는 그것들을 조합시켜서 다중화되어 방송 신호에 의해 송신되다. 또한, 도 3에서 도 1에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문자가 기재되어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3에서는, 각 서브프레임 내의 문자 「PLP#0」 내지 「PLP#9」의 각각이 기재 영역이 복수의 데이터 셀로 이루어지는 PLP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프리앤블 신호의 최후미(最後尾)의 일부분과, 문자 「SubFrame#0」이기재된 서브프레임#0의 최초의 3개의 OFDM 심볼과, 서브프레임#0의 4번째의 OFDM 심볼의 일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영역(데이터)이 하나의 PLP인 PLP#0으로 되어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0에서는, PLP#0 이외의 부분이 PLP#1로 되어 있고, 서브프레임#0에서는, PLP(서비스)가 시간 다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문자 「SubFrame#1」이 기재된 서브프레임#1에서는, 소정폭의 주파수대역에서의 시간 방향으로 나열하는 데이터 셀로 이루어지는 영역(데이터)이 하나의 PLP가 되고, 서브프레임#1이 3개의 PLP#2 내지 PLP#4로 나뉘어져 있다. 따라서 각 OFDM 심볼에는 PLP#2를 구성하는 데이터 셀, PLP#3을 구성하는 데이터 셀, 및 PLP#4를 구성하는 데이터 셀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서브프레임#1에서는, PLP(서비스)가 주파수 다중되어 있다.
또한, 문자 「SubFrame#2」가 기재된 서브프레임#2에서는, 그 서브프레임#2 내의 모든 OFDM 심볼에 의해 하나의 PLP#5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문자 「SubFrame#3」이 기재된 서브프레임#3에서는, 선두의 3개의 OFDM 심볼에 의해 하나의 PLP#6이 구성되고, 나머지 OFDM 심볼로 이루어지는 부분이 3개의 대역으로 나뉘어지고, 그들의 각 대역의 부분이 PLP#7 내지 PLP#9로 되어 있다. 즉, 서브프레임#3에서는, PLP(서비스)가 시간 다중 및 주파수 다중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 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에서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복조한 후, 다중화된 PLP 중의 필요한 서비스가 격납된 PLP만을 선택적으로 복호하여 처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수신기에서는, 복호에서는 필요한 PLP만이 처리 대상이 되지만, 복조에 관해서는 프레임의 전 구간이 처리 대상이 된다. 즉, 프레임의 전 구간에 관해 복조 처리가 행하여진다.
그러나,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PLP를 서브프레임이나 OFDM 심볼이라는 단위로 보면,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요해지는 서비스, 즉 방송 신호로부터 취출하고 싶은 서비스가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 서브프레임이나 OFDM 심볼이 존재하다. 또한, 도 4에서 도 3에서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문자가 기재되어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10개의 PLP#0 내지 PLP#9 중, 사선이 그어진 PLP#0, 및 PLP#4 내지 PLP#6의 4개의 PLP가, 취출하고 싶은 서비스가 포함되지 않은 PLP로 되어 있다.
이 경우, PLP#0을 구성하는 OFDM 심볼만으로 이루어지는 구간(T1), PLP#5를 구성하는 OFDM 심볼만으로 이루어지는 구간(T2), 및 PLP#6을 구성하는 OFDM 심볼만으로 이루어지는 구간(T3)은, 수신하고 싶은 데이터, 즉 필요한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구간이다. 그때문에, 이들의 구간(T1) 내지 구간(T3)은, 반드시 복조할 필요가 없는 구간이 된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서브프레임#1에는, 불필요한 PLP#4가 포함되어 있지만, 수신하고 싶은 데이터가 격납된 PLP#2 및 PLP#3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서브프레임#1은 복조하여야 할 구간이 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이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각 서브프레임 내에서 서비스, 즉 PLP가 시간 다중이나 주파수 다중되는 ATSC3.0 규격에서는, 프레임 전체를 서브프레임이나 OFDM 심볼이라는 단위로 보면, 반드시 복조할 필요가 없는 구간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본 기술에서는, 서브프레임 단위 또는 OFDM 심볼 단위로, 방송 신호의 복조를 제어함으로써, 수신기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예를 들면 유럽용 지상 디지털 방송 규격인 DVB-T2에서는 방송 신호의 프레임 단위로 복조 정지 처리를 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기술에서는, 통상,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부에서는 이용하지 않는 프리앤블 신호 내에 포함되는 PLP의 매핑 정보를 복조부에서도 활용하여, DVB-T2에서의 경우보다도 더욱 미세한 서브프레임이나 OFDM 심볼을 단위로 하는 구간에서 복조 정지 처리를 행함으로써, 더한층의 저소비전력화를 실현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수신기에서 행하여지는 복조부의 복조 정지 처리는, 이하의 처리(PR1) 내지 처리(PR5) 중의 어느 하나의 처리, 또는 그들의 처리 중의 임의의 것을 조합시킨 처리로 한다. 환언하면, 수신기에서는, 복조 정지 처리로서 이하의 처리(PR1) 내지 처리(PR5)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처리가 실행된다.
(처리(PR1))
복조부 내의 소정 블록에의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진 데이터의 공급 정지나, 복조시의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시동 트리거의 발화(發火) 정지 등의 기능 정지 처리
(처리(PR2))
복조부의 적어도 일부에의 클록의 공급을 정지(차단)하는 클록 공급 정지 처리
(처리(PR3))
복조부의 적어도 일부에 공급되는 클록의 주파수를 저감(저하)시키는 클록 주파수 저감 처리
(처리(PR4))
복조부의 적어도 일부에의 전력(전원)의 공급을 정지(차단)하는 전원 공급 정지 처리
(처리(PR5))
복조부의 적어도 일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저감(저하)시키는 공급 전원 전압 저감 처리
기본적으로 복조부에서, 복조부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동작), 즉 일부의 처리를 정지시키는 기능 정지 처리를 실행하여 복조 정지시키면, 복조부가 통상 동작하고 있는 경우보다도, 복조부에서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기능 정지 처리에 더하여, 클록 공급 정지 처리나, 클록 주파수 저감 처리, 전원 공급 정지 처리, 공급 전원 전압 저감 처리 등을 적절히 행함에 의해, 복조부의 소비전력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복조 정지 처리의 실행에 의해 방송 신호의 복조가 행하여지지 않는 상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신호인 방송 신호에 대해 행하여지는 처리를 정지시킨 상태에서는, 복조시에 행하여지는 방송 신호의 전송로의 상태(특성)를 추정하는 처리가 실행되지 않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 전송로 특성의 추정 결과가 갱신되지 않기 때문에, 복조 정지 처리를 종료한 후, 복조 처리를 재개하는 시점에서, 전송로 특성의 추정 결과가 최신의 것으로 되어 있지 않는다. 즉, 복조 정지 처리 중에 전송로의 상태가 변화한 때에는, 정확한 전송로 상태를 파악할 때까지 시간이 걸려 버린다. 그래서, 복조 처리 재개 직후에 있어서의 복조 성능이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복조 정지 처리로서 클록 공급 정지 처리나, 클록 주파수 저감 처리, 전원 공급 정지 처리, 공급 전원 전압 저감 처리 등을 행한 경우, 복조 처리시부터의 소비전력의 변화에 수반하여 클록을 생성하는 발진기가 마련된 칩의 온도가 변화하여 버린다. 그래서, 발진기(크리스탈)의 온도 특성에 의해 클록의 발진 주파수가 변화하고, 그 결과, 클록 오차에 의해 복조 성능이 저하되어 버릴 우려도 있다.
그래서 본 기술에서는, 복조 정지 처리를 행하는 경우, 방송 신호로부터 취출하고 싶은 서비스가 격납된 OFDM 심볼 또는 서브프레임의 직전에 있는, 취출하고 싶은 서비스가 격납되지 않은, 몇개의 연속하는 OFDM 심볼의 구간에서 복조 예비 동작을 행하도록 하였다.
본 기술에서는, 수신기에 있어서, 복조 예비 동작으로서, 그 구간의 OFDM 심볼에 포함되는 파일럿 신호에 의거하여, 클록 오차 보정(위상 오차 보정)과 전송로 특성의 추정이 행하여진다. 이에 의해, 전송로 상태의 추종의 지연에 의한 복조 성능의 저하나, 칩의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클록 오차에 의한 복조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수신기의 구성례>
다음에, 본 기술을 적용한 수신기의 구성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기술을 적용한 수신기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수신기(11)는, 안테나(21), 아날로그부(22),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 오류 정정부(25), 수신 제어부(26), 클록 제어부(27), PLL(Phase Locked Loop)군(28), 전원 제어부(29), 및 레귤레이터군(30)을 갖고 있다.
안테나(21)는, 방송국의 송신 장치 등으로부터 무선에 의해 송신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아날로그부(22)에 공급한다. 아날로그부(22)는, 안테나(2)로부터 공급된 방송 신호인 RF(Radio Frequency)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는 변환 처리나, 방송 신호에 대한 A/D(Analog/Digital) 변환 처리를 행하여,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에 공급한다.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는, 아날로그부(22)로부터 공급된 방송 신호에 대해 직교 복조이나 위상 오차 보정, FFT(Fast Fourier Transform), 시간 방향의 전송로 추정 등을 행하여, 그들의 처리 결과를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 공급한다. 즉,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로부터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는, FFT에 의해 얻어진 주파수 영역의 OFDM 신호와, 시간 방향의 전송로 특성의 추정 결과가 공급된다.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는,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로부터 공급된 주파수 영역의 OFDM 신호 및 시간 방향의 전송로 특성의 추정 결과에 의거하여, 주파수 방향의 전송로 특성의 추정이나 등화(等化) 처리를 행하여, 그 결과 얻어진 주파수 영역의 OFDM 신호를 오류 정정부(25)에 공급한다.
여기서, 아날로그부(22),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및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 의해, 방송 신호의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부(41)가 실현되어 있다. 이들의 아날로그부(22) 내지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는, 수신 제어부(26)의 제어에 따라, 레귤레이터군(30)으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고, PLL군(28)으로부터 공급된 클록에 동기하여 각 동작을 행한다.
아날로그부(22)는 아날로그 신호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블록이고,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및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블록이다.
특히,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는, 복조 정지시에 복조 정지 처리의 대상이 되어 동작을 정지하고, 복조 예비 동작시에는 동작하는 블록이다. 이에 대해,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는,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의 후단에 있는 블록이고, 통상 동작시, 즉 통상의 복조 동작시에만 동작하고, 복조 정지시 및 복조 예비 동작시에는 동작을 정지한다.
오류 정정부(25)는,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로부터 공급된 OFDM 신호에 대해 오류 정정을 행하여, 그 결과 얻어진 신호를 후단의 블록에 공급한다.
또한, 오류 정정부(25)는 추출부(42)를 갖고 있고, 추출부(42)는, 오류 정정에 의해 얻어진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의 프레임 내의 전 PLP의 배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얻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하고, 수신 제어부(26)에 공급한다.
수신 제어부(26)는, 오류 정정부(25)로부터 공급된 시그널링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기(11)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수신 제어부(26)는, 통상의 복조 동작이나, 복조 정지 처리의 실행, 복조 예비 동작을 복조부(41)의 각 부분에 지시한다. 또한, 수신 제어부(26)는, 클록 공급 정지 처리나 클록 주파수 저감 처리의 실행을 클록 제어부(27)에 지시하거나, 전원 공급 정지 처리나 공급 전원 전압 저감 처리의 실행을 전원 제어부(29)에 지시하거나 한다.
클록 제어부(27)는, 수신 제어부(26)의 지시에 따라, 클록의 생성을 제어하기 위한 클록 제어 정보를 PLL군(28) 및 전원 제어부(29)에 공급하고, 클록 제어 정보에 의해 PLL군(28)에 의한 클록 생성을 제어한다.
PLL군(28)은, 예를 들면 1 또는 복수의 발진기나 PLL 회로 등으로 이루어지고, 클록 제어부(27)로부터 공급된 클록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클록(클록 신호)을 생성하고, 얻어진 클록을 수신기(11)의 각 부분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PLL군(28)으로부터는, 아날로그부(22),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 수신 제어부(26), 클록 제어부(27), 및 전원 제어부(29)에 클록이 공급된다. 특히, 이 예에서는 아날로그부(22),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및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는, 개별적으로 동일 또는 다른 클록이 공급되고, 수신 제어부(26), 클록 제어부(27), 및 전원 제어부(29)에는 같은 클록이 동시에 공급된다.
또한, PLL군(28)의 구성은, 수신기(11)의 각 부분에 클록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라면, 어떤 구성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PLL군(28)은, 하나의 클록원(발진기)의 클록만을 이용하여 각 부분에 공급하는 클록을 생성하여도 좋고, 복수의 클록원에서 분주 클록을 생성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PLL군(28)은, 복수의 클록원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도 좋고, 가변의 클록원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도 좋다.
전원 제어부(29)는, 수신 제어부(26)의 지시에 따라, 적절히, 클록 제어부(27)로부터 공급된 클록 제어 정보를 참조하면서,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정보를 레귤레이터군(30)에 공급하고, 전원 제어 정보에 의해 레귤레이터군(30)에 의한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레귤레이터군(30)은, 1 또는 복수의 레귤레이터로 이루어지고, 전원 제어부(29)로부터 공급된 전원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 전압의 전원(전력)을 생성하여 수신기(11)의 각 부분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레귤레이터군(30)으로부터는, 아날로그부(22),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 수신 제어부(26), 클록 제어부(27), 및 전원 제어부(29)에 전원이 공급된다. 특히, 이 예에서는 아날로그부(22),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및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는, 개별적으로 동일 또는 다른 전압의 전원이 공급되고, 수신 제어부(26), 클록 제어부(27), 및 전원 제어부(29)에는 같은 전압의 전원이 동시에 공급된다.
또한, 전원 제어부(29)에 의한 전원 공급 제어에서는, 수신기(11)의 각 부분에의 전원 공급이 계속해서 행하여지고, 전원 공급의 정지는 행하여지지 않도록 하여도 좋고, 전원 공급이 행하여지는 상태와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가 적절히 전환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레귤레이터군(30)을 구성하는 복수의 고정 전압 전원을 전환하여 공급 전원 전압 저감 처리를 실현하거나, 레귤레이터군(30)을 구성하는 가변 전압 전원에 의해 공급 전원 전압 저감 처리를 실현하거나 하도록 하여도 좋다.
<아날로그부,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 및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의 구성례>
또한, 도 5에 도시한 아날로그부(22),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및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의 각 부분은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된다. 또한, 도 6에서 도 5에서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6의 예에서는, 아날로그부(22)는, 튜너(71) 및 A/D 변환부(72)를 갖고 있다.
또한,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는, 직교 복조부(73), 위상 오차 보정부(74), FFT부(75), 시간 방향 전송로 추정부(76), 위상 오차 검출부(77), 및 FFT 구간 제어부(78)를 갖고 있다.
또한,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는, 주파수 방향 전송로 추정부(79), 등화부(80), 및 노이즈 추정부(81)를 갖고 있다.
튜너(71)는, 안테나(2)로부터 공급된 방송 신호인 RF 신호를 IF 신호에 주파수 변환하고, A/D 변환부(72)에 공급한다. A/D 변환부(72)는, 튜너(7)로부터 공급된 IF 신호에 대해 A/D 변환을 행하여, IF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직교 복조부(73)에 공급한다.
직교 복조부(73)는, 반송파를 이용하여, A/D 변환부(72)로부터 공급된 IF 신호를 직교 복조하고, 그 결과 얻어진 베이스밴드의 OFDM 신호를 위상 오차 보정부(74)에 공급한다. 이와 같은 베이스밴드의 OFDM 신호는, 실축 성분(I 성분)과 허축 성분(Q 성분)을 포함하는 시간 영역의 복소(複素) 신호이다.
위상 오차 보정부(74)는, 위상 오차 검출부(77)로부터 공급된 위상 오차, 즉 OFDM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오차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직교 복조부(73)로부터 공급된 OFDM 신호의 위상 오차를 보정하고, FFT부(75)에 공급한다. 여기서, 반송파 주파수 오차는, PLL군(28)으로부터 출력되는 클록의 오차 등에 기인하는 튜너(71)에서의 기준 주파수의 어긋남 등에 의해 생기는 OFDM 신호의 중심 주파수 위치의 오차이다.
FFT부(75)는, FFT 구간 제어부(78)로부터 공급된 FFT 트리거 펄스 신호에 의거하여, 위상 오차 보정부(74)로부터 공급된 OFDM 신호에 대해 FFT 연산을 행하여, 그 결과 얻어진 주파수 영역의 OFDM 신호를 등화부(80), 시간 방향 전송로 추정부(76), 노이즈 추정부(81), 및 위상 오차 검출부(77)에 공급한다. FFT 트리거 펄스 신호는, OFDM 신호에서의 FFT 연산을 행하는 구간, 보다 상세하게는 FFT 연산의 대상으로 하는 구간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시간 방향 전송로 추정부(76)는, FFT부(75)로부터 공급된 OFDM 신호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추출함과 함께, OFDM 신호의 각 주파수(서브캐리어)의 파일럿 신호의 시간 방향의 왜곡(어긋남)에 의거하여, 시간 방향의 전송로 특성을 추정한다. 시간 방향 전송로 추정부(76)는, 시간 방향의 전송로 특성의 추정 결과와 파일럿 신호의 추출 결과를 주파수 방향 전송로 추정부(79)에 공급한다.
위상 오차 검출부(77)는, FFT부(75)로부터 공급된 OFDM 신호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추출함과 함께, 그 추출 결과에 의거하여 OFDM 신호의 위상 오차(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위상 오차 보정부(74) 및 FFT 구간 제어부(78)에 공급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파일럿 신호의 회전 정도에 의거하여 위상 오차가 검출된다.
FFT 구간 제어부(78)는, 위상 오차 검출부(77)로부터 공급된 위상 오차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FFT 트리거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 FFT부(75)에 공급한다.
주파수 방향 전송로 추정부(79)는, 시간 방향 전송로 추정부(76)로부터 공급된 시간 방향의 전송로 특성의 추정 결과와 파일럿 신호의 추출 결과에 의거하여, 주파수 방향의 전송로 특성을 추정하고, 시간 방향 및 주파수 방향의 전송로 특성의 추정 결과를 나타내는 전송로 특성 데이터를 등화부(80)에 공급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OFDM 신호의 각 주파수(서브캐리어)의 파일럿 신호의 주파수 방향의 왜곡(어긋남)에 의거하여, 주파수 방향의 전송로 특성이 추정된다.
등화부(80)는, 주파수 방향 전송로 추정부(79)로부터 공급된 전송로 특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FFT부(75)로부터 공급된 OFDM 신호로부터 전송로에 의한 진폭과 위상의 왜곡의 성분을 제거(보정)하여, 왜곡 성분이 제거된 OFDM 신호를 오류 정정부(25)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OFDM 신호를 전송로 특성 데이터로 제산(除算)함에 의해 왜곡 성분의 제거, 즉 등화 처리가 행하여진다.
노이즈 추정부(81)는, FFT부(75)로부터 공급된 OFDM 신호에 의거하여, 그 OFDM 신호에 포함되는 파일럿 신호와, 본래 그러하여야 할 파일럿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OFDM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추정하고, 그 추정 결과를 오류 정정부(25)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노이즈 추정의 결과로서, 신호 성분과 노이즈 성분과의 비율(SN비(signal to noise ratio)) 등이 구하여진다.
오류 정정부(25)는, 노이즈 추정부(8)로부터 공급된 노이즈 추정의 결과에 의거하여, 등화부(80)로부터 공급된 OFDM 신호에 대해 오류 정정 처리, 예를 들면 디인터리브나 디펑처, 비터비 복호(復號),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복호, 리드솔로몬 복호 등을 행하여, 후단의 블록에 출력한다.
<수신기에서의 복조 정지 및 복조 예비 동작에 관해>
이상과 같이 구성된 수신기(1)에서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구성의 ATSC3.0 규격에 준거한 방송 신호가 수신되어, 처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방송 신호의 수신하는 프레임 중에 존재하는 모든 OFDM 심볼, 즉 방송 신호의 프레임 전체가 복조되고 있다. 그러나, 수신하는 콘텐츠이나, 프레임 내의 PLP의 구성에 따라서는, 반드시 복조를 행할 필요가 없는 OFDM 심볼이 존재한다.
그래서, 수신기(11)는, 방송 신호의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모든 PLP로 보내지 는 콘텐츠 정보에 의거하여, 프레임 내에 포함되는 PLP 중의 수신하여야 할 PLP(이하, 수신 PLP라고도 칭하기로 한다)를 결정하고, 그 결정 결과에 응하여 프레임의 복조를 제어하도록 하였다. 수신 PLP는, 취출하고자 하는 필요한 서비스가 격납되어 있는 PLP이다.
예를 들면 콘텐츠 정보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영상이나 음성의 데이터나 메타데이터 등의 각 서비스의 데이터가 어느 PLP에 격납되어 있는지, 즉 서비스와 PLP와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이 콘텐츠 정보는 PLP에 격납되어 있다. 또한, 프리앤블 신호에는 PLP에 콘텐츠 정보가 격납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포함되어 있다.
수신 제어부(26)는, 예를 들면 오류 정정부(25)나, 오류 정정부(25)의 후단의 복호를 행하는 블록 등으로부터, OFDM 신호로부터 추출된 콘텐츠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콘텐츠 정보에 의거하여, 지금부터 수신하려고 하는 방송 신호의 각 프레임에 관해 수신 PLP를 결정한다. 또한, 수신 PLP의 결정 방법은, 콘텐츠 정보로 한하지 않고, 수신 제어부(26)가 다른 정보 등으로부터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수신기(11)가 방송 신호의 프레임의 부트스트랩 신호와 프리앤블 신호를 복조하면, 그 프레임 내에서 PLP가 어떠한 배치로 격납되어 있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송 신호의 하나의 프레임은, 부트스트랩 신호(B11)와, 프리앤블 신호(B12)와, 그들에 계속되는 1 또는 복수의 서브프레임(B13)으로 구성된다. 또한, 프리앤블 신호(B12)에는 L1-Basic 신호(B21), L1-Detail 신호(B22), 및 페이로드(B23)가 포함되어 있다.
L1-Basic 신호(B21)를 복조함으로써 L1-Basic 시그널링 정보가 얻어지고, L1-Detail 신호(B22)를 복조함으로써 L1-Detail 시그널링 정보가 얻어진다. 또한, 페이로드(B23)에는, 서비스의 데이터 등이 격납된다. 즉, 최초의 서브프레임의 일부와, 페이로드(B23)로 PLP가 구성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PLP는 서브프레임 내의 데이터 셀만으로 구성된 것으로 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L1-Basic 시그널링 정보는, L1-Detail 시그널링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면 L1-Detail 시그널링 정보의 길이나 종별(種別) 등을 나타내는 정보로 이루어지고, L1-Basic 시그널링 정보에 의해 L1-Detail 시그널링 정보 내에 포함되는 정보를 올바르게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L1-Detail 시그널링 정보에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서브프레임 내에서 어느 PLP가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의 L1-Basic 시그널링 정보와 L1-Detail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방송 신호의 프레임 내의 전 PLP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배치 정보와, 데이터 셀의 시간 방향의 인터리브 배치를 나타내는 시간 인터리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L1-Basic 시그널링 정보나 L1-Detail 시그널링 정보, 그들의 정보로부터 생성되는 배치 정보, 시간 인터리브 정보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ATSC3.0의 규격서(candidate standard)인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Candidate Standard : Physical Layer Protocol", Doc. S32-230r21, 28 September 2015」 등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L1-Basic 시그널링 정보와 L1-Detail 시그널링 정보를 특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지 시그널링 정보라고도 칭하기로 한다.
수신 제어부(26)는, 추출부(42)로부터 공급된 시그널링 정보에 의거하여 배치 정보 및 시간 인터리브 정보를 생성하고, 배치 정보 및 시간 인터리브 정보와, 수신 PLP의 결정 결과로부터, 프레임 내의 수신 PLP가 포함되는 OFDM 심볼이나 서브프레임을 특정한다. 그리고, 수신 제어부(26)는, 그 특정 결과에 따라, 수신 PLP가 포함되지 않은 OFDM 심볼이나 서브프레임의 구간에서 복조를 정지시켜서, 수신기(11)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킨다.
수신 제어부(26)는, 복조 정지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PR1) 내지 처리(PR5)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실행시킨다.
예를 들면 수신 제어부(26)는, 아날로그부(22) 내지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의 동작을 제어하여 기능 정지 처리를 실행시켜, A/D 변환부(72)로부터 직교 복조부(73)에의 IF 신호의 공급을 정지시키거나, FFT 구간 제어부(78)로부터 FFT부(75)에의 FFT 트리거 펄스 신호의 공급을 정지시키거나 한다.
또한, 예를 들면 수신 제어부(26)는 클록 제어부(27)를 제어하여, PLL군(28)으로부터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나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 공급되는 클록에 관해, 클록의 공급의 차단 또는 공급 클록의 주파수 저감을 행하게 한다. 즉, 복조 정지 처리로서, 클록 공급 정지 처리 또는 클록 주파수 저감 처리의 실행이 제어된다.
기능 정지 처리나 클록 공급 정지 처리, 클록 주파수 저감 처리가 행하여지는 경우에는, 수신 제어부(26)는, 또한 예를 들면 전원 제어부(29)를 제어하여, 레귤레이터군(30)으로부터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나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 공급되는 전원에 관해, 전원 공급의 차단 또는 공급 전원의 전압 저감을 행하게 한다. 즉, 복조 정지 처리로서, 전원 공급 정지 처리 또는 공급 전원 전압 저감 처리의 실행이 제어된다.
이와 같은 복조 정지 처리에 의해, 보다 미세한 시간 제어 단위로 복조 처리를 제어하여, 복조시에 있어서의 수신기(11)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조 정지 처리를 행하면, PLL군(28)이나 레귤레이터군(30)의 온도가 변화하거나, 시간 방향 전송로 추정부(76)에 의한 전송로 특성의 추정의 추종이 충분하게 되지 않거나 하여, 복조 정지로부터의 복귀 직후에 있어서 복조 성능이 열화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수신 제어부(26)는, 수신 PLP가 포함되는 OFDM 심볼이나 서브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구간의 직전의 연속하는 복수의 OFDM 심볼로 이루어지는 구간에서, 복조 예비 동작을 실행시킨다. 이에 의해, 복조 정지가 해제된 직후로부터, 복조 정지 중의 전송로 특성의 변동이나, 온도 변화에 의한 클록 오차 등의 영향이 적은 복조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복조 예비 동작시에는,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의 각 부분에서 처리가 행하여진다. 즉, 예를 들면 시간 방향 전송로 추정부(76)에 의한 시간 방향의 전송로 특성의 추정, 즉 전송로 특성의 갱신이나, 위상 오차 검출부(77)에 의한 위상 오차의 검출, 위상 오차 보정부(74)에 의한 위상 오차의 보정이 행하여진다.
또한, 여기서는 복조 예비 동작으로서,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처리 중, 시간 방향의 전송로 특성의 추정이나, 위상 오차의 검출, 위상 오차의 보정 등이 행하여지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그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처리가 행하여지도록 하면 좋다. 즉, 적어도 복조 성능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처리가 행하여지도록 하면 좋다.
또한, 수신기(1)에서는, 복조 정지 처리와 복조 예비 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복조부가 그들의 동작에 필요한 블록(도메인)으로 분할되어 있다.
즉,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클록 공급 도메인이나 전원 공급 도메인이, 아날로그부(22),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 및 수신 제어부(26)로 나뉘어져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복조 정지시에는,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와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 대해 클록 공급 차단 및 전원 공급 차단을 행하여, 수신 제어부(26)에 대해서는 공급 클록 주파수의 저감 및 공급 전원의 전압 저감을 행한다는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복조 예비 동작시에는,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 대해 클록 공급 차단 및 전원 공급 차단을 행하여,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와 수신 제어부(26)에 대해서는 통상과 같이 클록 공급과 전원 공급을 행한다는 제어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도메인 분할을 행하여, 보다 미세한 클록 공급 제어와 전원 공급 제어를 행할 수가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기(11)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수신기에서의 복조 정지 및 복조 예비 동작의 구체례 1>
이하에서는, 수신기(11)에 의한 복조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복조 모드로서, 통상과 같이 복조를 행하는 통상 복조 모드, 복조를 정지시키는 복조 정지 모드, 및 복조 예비 동작을 행하는 복조 예비 모드의 3개의 모드가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통상 복조 모드에서는, 아날로그부(22),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및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서 통상과 같이 복조가 행하여진다.
또한, 복조 정지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날로그부(22)에서는 통상과 같이 복조 동작이 행하여지고,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및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서는, 복조 정지 처리에 의해 동작(복조 동작)이 정지된다. 또한, 도 8에서 도 6에서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8에서는, 사선이 그어진 블록이 동작을 정지시키는 블록을 나타내고 있고, 이 예에서는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및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가 동작을 정지하는 블록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복조 예비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날로그부(22) 및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에서는 통상과 같이 복조 동작이 행하여지고,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서는 동작(복조 동작)이 정지된다. 또한, 도 9에서 도 6에서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9에서는, 사선이 그어진 블록이 동작을 정지시키는 블록을 나타내고 있고, 이 예에서는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가 동작을 정지하는 블록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통상 복조 모드, 복조 정지 모드, 및 복조 예비 모드를 적절히, 전환하면서 수신한 방송 신호의 복조를 행하는 경우에, 수신기(11)에서,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하는 방송 신호의 프레임이 수신되었다고 하다. 또한, 도 10에서 도 2에서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문자가 기재되어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하나의 프레임에, 서브프레임#0 내지 서브프레임#3의 4개의 서브프레임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서브프레임 단위로 복조 동작을 제어하여, 서브프레임#1 및 서브프레임#3에 수신 PLP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서브프레임#0 및 서브프레임#2에는 수신 PLP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한다. 또한, 복조 예비 동작을 행하는 구간의 길이를 4OFDM 심볼 부분의 길이의 구간으로 하는 것으로 한다.
그와 같은 경우, 수신 제어부(26)는, 부트스트랩 신호와 프리앤블 신호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선두의 구간(T1)에서는 통상 복조 모드에 의해 복조 처리를 실행시킨다.
수신 제어부(26)는, 구간(T11)에 계속되는, 수신 PLP가 없는 서브프레임#0의 대부분의 OFDM 심볼로 이루어지는 구간(T12)에서는 복조 정지 모드로 한다. 또한, 수신 제어부(26)는 구간(T12)에 계속되는, 수신 PLP가 있는 서브프레임#1의 직전의 4개의 OFDM 심볼로 이루어지는 서브프레임#0 내의 구간(T13)에서는 복조 예비 모드로 한다.
또한, 수신 제어부(26)는 구간(T13)에 계속되는, 수신 PLP가 있는 서브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구간(T14)에서는 통상 복조 모드로 한다.
이후, 마찬가지로 하여 수신 제어부(26)는, 수신 PLP가 없는 서브프레임#2의 대부분의 OFDM 심볼로 이루어지는 구간(T15)에서 복조 정지 모드로 하고, 그 후의 4개의 OFDM 심볼로 이루어지는 구간(T16)에서는 복조 예비 모드로 하고, 수신 PLP가 있는 서브프레임#3으로 이루어지는 구간(T17)에서는 통상 복조 모드로 한다.
<수신기에서의 복조 정지 및 복조 예비 동작의 구체례 2>
또한, 예를 들면 OFDM 심볼 단위로 복조를 제어하여, 도 11에 도시하는 방송 신호의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 수신 제어부(26)는 다음과 같이 복조 모드를 전환하여 복조를 제어한다. 또한, 도 11에서, 도 2에서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문자가 기재되어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도 1에서는, 서브프레임#0을 구성하는 OFDM 심볼과, 각 OFDM 심볼을 구성하는 데이터 셀이 장방형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즉, 문자 「A00」 내지 문자 「F31」의 각각이 기재된 장방형은, 하나의 데이터 셀을 나타내고 있고, 도면 중, 종방향으로 나열하는 데이터 셀의 열로부터 하나의 OFDM 심볼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문자 「A00」 내지 문자 「A09」의 각각이 기록된 데이터 셀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셀의 열이 하나의 OFDM 심볼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 몇개의 OFDM 심볼의 상측에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OFDM 심볼을 구별하기 위한 심볼 번호가 기록되어 있고, 도면 중, 좌단(左端)의 OFDM 심볼에는, 심볼 번호#0이 부여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특정한 OFDM 심볼을 가리킬 때에는, 예를 들면 심볼 번호#0의 OFDM 심볼을 OFDM 심볼#0등이라고 말한 바와 같이, OFDM 심볼에 심볼 번호를 붙여서 기재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11에서는, 데이터 셀 내의 영문자는 PLP를 특정하는 PLPid를 나타내고 있고, 데이터 셀 내에서 영문자에 계속된 숫자는 PLP 내의 몇개째의 데이터 셀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문자 「A00」이 기재된 데이터 셀은, PLPid=A인 PLP 내의 최초의 데이터 셀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PLPid=A인 PLP는, OFDM 심볼#0을 구성하는 전 데이터 셀과, OFDM 심볼#1을 구성하는, 문자 「A10」 및 문자 「A11」의 각각이 기록된 2개의 데이터 셀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0에는, PLPid가 PLPid=A 내지 PLPid=F의 각각인 합계 6개의 PLP가 포함되어 있고, 서브프레임#0에서는 그들의 PLP가 시분할로 다중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데이터 셀을, 필요에 응하여, 예를 들면 데이터 셀(A00)과 같이, 그들의 데이터 셀 내에 기록된 문자를 이용하여 기재하는 것으로 하고, 마찬가지로 PLP도 필요에 응하여, 예를 들면 PLP A와 같이 PLPid를 이용하여 기재하는 것으로 한다.
서브프레임#0이 이와 같은 PLP 구성으로 되는 경우에서, PLP A, PLP C, 및 PLP F가 수신 PLP가 되고, 복조 예비 동작을 행하는 구간의 길이가 1OFDM 심볼 부분의 길이의 구간이 되는 것으로 한다.
그와 같은 경우, 수신 제어부(26)는, 수신 PLP인 PLP A가 포함되는, OFDM 심볼#0 및 OFDM 심볼#1로 이루어지는 구간(T21)을 통상 복조 모드로 하고, 그 구간(T21)에 계속되는, OFDM 심볼#2로 이루어지는 구간(T22)을 복조 예비 모드로 한다.
통상, 통상 복조 모드의 구간의 다음의 구간은 복조 정지 모드가 되지만, 이 예에서는, 통상 복조 모드가 된 구간(T21)과, 그 다음에 통상 복조 모드로 하여야 할 구간(T23)과의 사이에는, 복조 예비 동작을 행하여야 할 구간으로서 확보하여야 할 1OFDM 심볼분의 구간밖에 없다. 그때문에, 그 구간을 복조 정지 모드로 하면, 복조 예비 동작을 행하는 구간이 확보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여기서는, 구간(T21)에 계속된 구간(T22)에서는, 복조 예비 모드가 된다.
또한, 수신 제어부(26)는, 수신 PLP인 PLP C가 포함되는, OFDM 심볼#3 내지 OFDM 심볼#11로 이루어지는 구간(T23)을 통상 복조 모드로 하여, 그 구간(T23)에 계속되는, OFDM 심볼#12 내지 OFDM 심볼#20으로 이루어지는 구간(T24)을 복조 정지 모드로 한다. 또한 수신 제어부(26)는, 복조 정지 후의 OFDM 심볼#2로 이루어지는 구간(T25)을 복조 예비 모드로 하고, 그 후의 수신 PLP인 PLP F가 포함되는 구간(T26)을 통상 복조 모드로 한다.
이와 같이 서브프레임 내의 OFDM 심볼 단위라고 하는, 보다 미세한 시간 단위로 복조를 제어함에 의해, 수신기(11)의 저소비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수신기에서의 복조 정지 및 복조 예비 동작의 구체례 3>
또한, 예를 들면 OFDM 심볼 단위로 복조를 제어하여, 도 12에 도시하는 방송 신호의 서브프레임이 수신된 경우, 수신 제어부(26)는 다음과 같이 복조 모드를 전환하여 복조를 제어한다. 또한, 도 12에서, 도 11에서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문자가 기재되어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이 예에서는, 서브프레임 내에는, PLPid가 PLPid=A 내지 PLPid=F의 각각인 합계6개의 PLP가 포함되어 있고, 서브프레임에서는 그들의 PLP가 시분할과 주파수분할이 조합되어 다중화되어 있다.
서브프레임이 이와 같은 PLP 구성이 되는 경우에서, PLP A, PLP D, 및 PLP F가 수신 PLP가 되고, 복조 예비 동작을 행하는 구간의 길이가 4OFDM 심볼 부분의 길이의 구간이 되는 것으로 한다.
그와 같은 경우, 수신 제어부(26)는, 수신 PLP인 PLP A 및 PLP D가 포함되는, OFDM 심볼#0 내지 OFDM 심볼#8로 이루어지는 구간(T31)을 통상 복조 모드로 한다. 또한, 수신 제어부(26)는 구간(T31)에 계속되는, 수신 PLP가 포함되지 않고, 또한 복조 예비 동작도 불필요한 OFDM 심볼#9 내지 OFDM 심볼#11로 이루어지는 구간(T32)을 복조 정지 모드로 한다.
또한 수신 제어부(26)는, 수신 PLP인 PLP F가 포함되는 OFDM 심볼#16의 직전에 있는 4개의 OFDM 심볼로 이루어지는 구간(T33)을 복조 예비 모드로 하고, 그 후의 수신 PLP인 PLP F가 포함되는 구간(T34)을 통상 복조 모드로 한다.
이와 같이 시분할과 주파수분할을 조합시켜서 서브프레임 내에 PLP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서도, 보다 미세한 시간 단위로 복조를 제어함에 의해, 수신기(11)의 저소비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복조 처리의 설명>
다음에, 수신기(11)의 구체적인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수신기(11)는, 방송 신호가 송신되어 오면, 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복조 처리를 행한다. 이하, 도 13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수신기(11)에 의한 복조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 복조 처리는, 안테나(21)에 의해 방송 신호인 RF 신호가 수신되고 튜너(71)에 공급되면 시작된다. 또한, 복조 처리는 프레임마다 행하여진다.
스텝 S11에서, 튜너(71)는, 안테나(2)로부터 공급된 RF 신호를 IF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고, A/D 변환부(72)에 공급한다.
스텝 S12에서 A/D 변환부(72)는, 튜너(7)로부터 공급된 IF 신호를 A/D 변환하여 직교 복조부(73)에 공급한다. 또한, 예를 들면 A/D 변환된 IF 신호는, A/D 변환부(72)로부터 수신 제어부(26)에도 공급된다. 수신 제어부(26)는, A/D 변환부(72)로부터 공급된 IF 신호의 샘플의 수를 카운트하여 감으로써, 방송 신호의 프레임의 어느 부분을 수신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스텝 S13에서, 직교 복조부(73)는, A/D 변환부(72)로부터 공급된 IF 신호를 직교 복조하고, 그 결과 얻어진 베이스밴드의 OFDM 신호를 위상 오차 보정부(74)에 공급한다. 그리고, 스텝 S14에서, 위상 오차 보정부(74)는, 위상 오차 검출부(77)로부터 공급된 위상 오차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직교 복조부(73)로부터 공급된 OFDM 신호의 위상 오차를 보정하고, FFT부(75)에 공급한다.
스텝 S15에서, FFT부(75)는, FFT 구간 제어부(78)로부터 공급된 FFT 트리거 펄스 신호에 의거하여, 위상 오차 보정부(74)로부터 공급된 OFDM 신호에 대해 FFT 연산을 행하여, 그 결과 얻어진 주파수 영역의 OFDM 신호를 등화부(80), 시간 방향 전송로 추정부(76), 노이즈 추정부(81), 및 위상 오차 검출부(77)에 공급한다.
스텝 S16에서, 위상 오차 검출부(77)는, FFT부(75)로부터 공급된 OFDM 신호에 의거하여 OFDM 신호의 위상 오차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위상 오차 보정부(74) 및 FFT 구간 제어부(78)에 공급한다.
스텝 S17에서, FFT 구간 제어부(78)는, 위상 오차 검출부(77)로부터 공급된 위상 오차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FFT 트리거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 FFT부(75)에 공급한다.
스텝 S18에서, 시간 방향 전송로 추정부(76)는, FFT부(75)로부터 공급된 OFDM 신호에 의거하여, 시간 방향의 전송로 특성을 추정하고, 그 추정 결과와, OFDM 신호로부터의 파일럿 신호의 추출 결과를 주파수 방향 전송로 추정부(79)에 공급한다.
스텝 S19에서, 주파수 방향 전송로 추정부(79)는, 시간 방향 전송로 추정부(76)로부터 공급된 시간 방향의 전송로 특성의 추정 결과와 파일럿 신호의 추출 결과에 의거하여, 주파수 방향의 전송로 특성을 추정하고, 그 결과 얻어진 전송로 특성 데이터를 등화부(80)에 공급한다.
스텝 S20에서, 등화부(80)는, 주파수 방향 전송로 추정부(79)로부터 공급된 전송로 특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FFT부(75)로부터 공급된 OFDM 신호로부터 전송로에 의한 진폭과 위상의 왜곡 성분을 제거하고, 오류 정정부(25)에 공급한다.
스텝 S21에서, 노이즈 추정부(81)는, FFT부(75)로부터 공급된 OFDM 신호에 의거하여 노이즈 추정을 행하여, 그 추정 결과를 오류 정정부(25)에 공급한다.
스텝 S22에서, 오류 정정부(25)는, 노이즈 추정부(8)로부터 공급된 노이즈 추정의 결과에 의거하여, 등화부(80)로부터 공급된 OFDM 신호에 대해 오류 정정 처리를 행한다.
스텝 S23에서, 추출부(42)는, 오류 정정 처리된 OFDM 신호로부터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하고, 수신 제어부(26)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추출부(42)는, OFDM 신호 선두의 부트스트랩 신호를 판독함으로써, 프리앤블 신호로부터 L1-Basic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하고, 또한 L1-Basic 시그널링 정보에 의거하여 프리앤블 신호 내로부터 L1-Detail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부(42)는, 이들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 제어부(26)에 공급한다.
또한, 오류 정정부(25)는, 오류 정정 처리된 OFDM 신호를 후단의 블록에 출력하고, 복조 처리는 종료한다.
<복조 제어 처리의 설명>
이상과 같이 하여 수신기(11)는,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복조한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복조 처리는, 통상 복조 모드시에 있어서의 처리이다. 수신 제어부(26)에 의해 복조 모드가 전환되면, 수신기(11)의 각 부분은, 전환 후의 복조 모드에 응한 처리를 행한다.
이하, 도 14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수신기(11)가 복조 모드를 적절히, 전환하여 복조를 제어하는 복조 제어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 복조 제어 처리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복조 처리가 시작된 때에 시작된다. 또한, 복조 제어 처리도 방송 신호의 프레임마다 행하여진다.
스텝 S51에서, 수신 제어부(26)는, 추출부(42)로부터 시그널링 정보를 취득한다. 이 스텝 S51의 처리에서는, 도 13의 스텝 S23에서 추출된 시그널링 정보가 추출부(42)로부터 취득된다.
스텝 S52에서, 수신 제어부(26)는, 미리 오류 정정부(25) 또는 오류 정정부(25)의 후단의 복호를 행하는 블록으로부터 취득한 콘텐츠 정보와, 시그널링 정보에 의거하여, 처리 대상의 프레임 전체에서의 수신 PLP의 배치 위치를 특정한다.
즉, 예를 들면 수신 제어부(26)는, 콘텐츠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 PLP를 결정한다. 또한, 수신 제어부(26)는, 시그널링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 신호의 프레임 내의 전 PLP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배치 정보와 시간 인터리브 정보를 생성하고, 그들의 배치 정보와 시간 인터리브 정보로부터, 수신 PLP의 배치 위치를 특정한다.
스텝 S53에서, 수신 제어부(26)는, 수신 PLP의 배치 위치의 특정 결과에 의거하여, 방송 신호의 프레임의 각 구간에서의 복조 모드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10이나, 도 11,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 내에서의, 서브프레임이나 OFDM 심볼을 단위로 하는 각 구간에서, 어느 복조 모드로 하는지가 결정된다.
스텝 S54에서, 수신 제어부(26)는, 통상 복조 모드로 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수신 제어부(26)는, 도 13의 스텝 S12에서 얻어진 IF 신호의 공급을 받아, 그 IF 신호의 샘플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프레임 내의 어느 부분, 즉 몇 번째의 서브프레임 내의 몇 번째의 OFDM 심볼을 수신하고 있는지를 특정한다. 그리고, 수신 제어부(26)는, 그 특정 결과와, 스텝 S53에서 얻어진 복조 모드의 결정 결과에 의거하여, 통상 복조 모드로 한 구간의 신호가 수신된 타이밍이 된 경우에, 통상 복조 모드로 한다고 판정한다.
스텝 S54에서, 통상 복조 모드로 한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5에서, 수신 제어부(26)는 아날로그부(22) 내지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를 제어하여, 복조 처리를 실행시키고, 그 후, 처리는 스텝 S59로 진행한다.
이에 의해,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복조 처리가 계속해서 행하여진다. 또한, 이때 수신 제어부(26)는, 클록 제어부(27) 및 전원 제어부(29)를 제어하여, 통상과 같이, 클록 공급과 전원 공급을 행하게 한다.
이에 대해, 스텝 S54에서 통상 복조 모드로 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6에서, 수신 제어부(26)는, 복조 정지 모드로 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56에서 복조 정지 모드로 한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7에서, 수신 제어부(26)는, 아날로그부(22) 내지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를 제어하여 복조를 정지시키고, 그 후, 처리는 스텝 S59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수신 제어부(26)는, 아날로그부(22)를 통상과 같이 동작시킴과 함께,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및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 기능 정지 처리를 실행시켜, 복조를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방송 신호의 프레임의 복조 정지 모드가 된 구간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복조 처리의 스텝 S13 내지 스텝 S22의 처리의 실행이 정지되게 된다.
또한, 수신 제어부(26)는 클록 제어부(27)를 제어하여, 수신기(11)의 각 부분에 대해, 각각 개별적으로 통상과 같이 클록 공급을 시키든지, 클록 공급 정지 처리를 시키든지, 또는 클록 주파수 저감 처리를 시킨다.
또한, 이때 클록 공급 정지 또는 공급 클록 주파수 저감의 대상이 되는 것은,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및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가 되고, 수신 제어부(26)도 공급 클록 주파수 저감의 대상이 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에의 공급 클록 주파수가 저감되고,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의 클록 공급이 정지된 등으로 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수신 제어부(26)는 전원 제어부(29)를 제어하여, 수신기(11)의 각 부분에 대해, 각각 개별적으로 통상과 같이 전원 공급을 시키든지, 전원 공급 정지 처리를 시키든지, 또는 공급 전원 전압 저감 처리를 시킨다.
또한, 이때 전원 공급 정지 또는 공급 전원 전압 저감의 대상이 되는 것은,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및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가 되고, 수신 제어부(26)도 공급 전원 전압 저감의 대상이 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에의 공급 전원 전압이 저감되고,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의 전원 공급이 정지되는 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스텝 S56에서, 복조 정지 모드로 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즉 복조 예비 모드로 한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8에서, 수신 제어부(26)는, 아날로그부(22) 내지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를 제어하여 복조 예비 동작을 시키고, 그 후, 처리는 스텝 S59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수신 제어부(26)는, 아날로그부(22) 및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에 통상과 같이 동작시켜서 복조 예비 동작을 시킴과 함께,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 기능 정지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방송 신호의 프레임의 복조 예비 모드가 된 구간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복조 처리의 스텝 S11 내지 스텝 S18의 처리가 행하여지지만, 그 후의 스텝 S19 내지 스텝 S22의 처리의 실행은 정지되게 된다.
또한, 수신 제어부(26)는 클록 제어부(27)를 제어하여,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 대해 통상과 같이 클록 공급을 시키든지, 클록 공급 정지 처리를 시키든지, 또는 클록 주파수 저감 처리를 시킨다. 마찬가지로 수신 제어부(26)는, 전원 제어부(29)를 제어하여,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 대해 통상과 같이 전원 공급을 시키든지, 전원 공급 정지 처리를 시키든지, 또는 공급 전원 전압 저감 처리를 시킨다.
또한, 이때 아날로그부(22)나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수신 제어부(26) 등, 통상과 같이 동작하는 블록에 대해서는 통상과 같이 클록 공급 및 전원 공급이 행하여진다.
스텝 S55, 스텝 S57, 또는 스텝 S58의 처리가 행하여져서 각 복조 모드에서의 동작이 행하여지면, 스텝 S59에서 수신 제어부(26)는, 방송 신호의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프레임의 전 구간을 처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59에서, 아직 모든 구간을 처리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54로 되돌아와, 상술한 처리가 반복해서 행하여진다.
이에 대해 스텝 S59에서, 모든 구간을 처리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프레임의 복조가 종료되었기 때문에 복조 제어 처리는 종료한다. 이 경우, 다음의 프레임이 있는 경우에는, 그 다음의 프레임에 관해 복조 제어 처리가 시작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수신기(11)는, 시그널링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 신호의 프레임의 각 구간에 관해, 서브프레임이나 OFDM 심볼을 단위로 하여 복조 모드를 결정하고, 그 결정에 따라, 적절히, 복조를 정지시키거나, 복조 예비 동작을 행하거나 한다. 이에 의해, 수신기(11)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킴과 함께, 복조 성능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1의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 1>
<복조 모드의 결정에 관해>
그런데, 수신기(1)에서는, 복조시에 방송 신호의 전송로 특성의 추정이나,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의 상태의 추정인 노이즈 추정이 행하여진다.
복조 예비 동작을 행하는 경우, 복조 성능의 열화를 억제하는데 충분한 복조 예비 동작 구간의 길이는, 채널 상태, 즉 전송로 특성의 변화의 유무라는 전송로의 상태나,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량이라는 노이즈 상태에 의해서도 변화한다. 그래서, 수신기(11)에서, 복조 동작시에 얻어진 전송로 특성의 추정 결과나 노이즈 추정 결과에 의거하여, 복조 예비 동작을 행하는 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와 같은 경우, 수신기(11)에서의 아날로그부(22) 내지 수신 제어부(26)의 부분의 구성은,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이 된다. 또한, 도 15에서, 도 6에서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아날로그부(22) 내지 수신 제어부(26)의 구성은, 도 6에 도시한 구성과 기본적으로는 같지만, 시간 방향 전송로 추정부(76) 및 노이즈 추정부(81)와, 수신 제어부(26)와의 접속 관계만이 다르다.
즉, 도 1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시간 방향 전송로 추정부(76)는 시간 방향의 전송로 특성의 추정 결과를, 주파수 방향 전송로 추정부(79)뿐만 아니라 수신 제어부(26)에도 공급한다. 또한, 노이즈 추정부(81)는, 노이즈 추정의 결과를 오류 정정부(25)뿐만 아니라 수신 제어부(26)에도 공급한다.
그리고, 수신 제어부(26)는,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얻어진 수신 PLP의 프레임 내에서의 배치 위치의 특정 결과와, 시간 방향 전송로 추정부(76)로부터 공급된 시간 방향의 전송로 특성의 추정 결과와, 노이즈 추정부(8)로부터 공급된 노이즈 추정 결과에 의거하여 각 구간에서의 복조 모드를 결정한다.
따라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복조 제어 처리에서의 스텝 S53에서는, 수신 제어부(26)는, 수신 PLP의 배치 위치의 특정 결과뿐만 아니라, 시간 방향의 전송로 특성의 추정 결과와 노이즈 추정 결과도 이용하여 방송 신호의 프레임의 각 구간에서의 복조 모드를 결정한다.
이때, 예를 들면 전송로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즉 예를 들면 각 파일럿 신호의 시간 방향의 위치의 왜곡이나 변동량이 큰 경우나,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가 많은 경우, 즉 예를 들면 SN비가 낮은 경우 등에 복조 예비 모드로 하는 구간의 길이가 통상의 길이보다도 길어지도록 된다.
예를 들면 전송로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도 복조 예비 동작을 행하는 구간을 길게 함으로써, 전송로 특성의 변동에 대한 추종이 가능해지고, 복조 성능의 열화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방송 신호의 SN비가 낮은 경우에도 복조 예비 동작을 행하는 구간을 길게 함으로써, 보다 많은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로 특성이나 노이즈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어서, 복조 성능의 열화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복조 정지 모드로 하는 구간도 마련하면서 복조 예비 모드로 하는 구간을 길게 하도록 하여도 좋고, 통상시에는 복조 정지 모드로 하는 구간이 전부 복조 예비 모드가 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시간 방향의 전송로 특성의 추정 결과 및 노이즈 추정 결과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거하여 복조 예비 모드로 하는 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면 좋고, 반드시 그들의 양쪽의 정보를 이용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여기서는 시간 방향의 전송로 특성의 추정 결과나 노이즈 추정의 결과를 복조 모드의 결정에 이용하는 경우, 시그널링 정보가 취득된 시점에서 프레임 전체의 각 구간의 복조 모드가 결정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복조 정지 모드나 복조 예비 모드의 구간의 직전의 통상 복조 모드의 구간에서의 시간 방향의 전송로 특성의 추정 결과나 노이즈 추정의 결과에 의거하여, 그 통상 복조 모드의 구간에 계속되는 복조 정지 모드나 복조 예비 모드의 구간의 길이가 결정되어도 좋다.
여기서, 시간 방향의 전송로 특성의 추정 결과나 노이즈 추정의 결과를 이용하여 복조 모드를 결정한` 경우에 있어서`, 방송 신호의 서브프레임 내의 복조 모드 선택의 구체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PLP 구성의 서브프레임이 수신된다고 한다. 또한, PLP A, PLP D, 및 PLP F가 수신 PLP가 되고, 통상시에는 복조 예비 모드로 하는 구간의 길이가 4OFDM 심볼분의 길이가 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수신 제어부(26)는, 통상시, 즉 전송로의 상태가 좋고. 또한 노이즈 상태로서의 SN비가 높은 때에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구간의 복조 모드를 결정한다. 즉, 구간(T31)이 통상 복조 모드가 되고, 구간(T32)이 복조 정지 모드가 되고, 구간(T33)이 복조 예비 모드가 되고, 구간(T34)이 통상 복조 모드가 된다.
이에 대해, 수신 제어부(26)는 전송로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또는 노이즈 상태로서의 SN비가 낮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간(T33)뿐만 아니라 구간(T32)도 복조 예비 모드로 한다. 또한, 도 16에서, 도 12에서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문자를 기재하여 두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통상시에는 복조 정지 모드로 되어 있던 구간(T32)도 복조 예비 모드로 되어 있다. 즉, 통상 복조 모드가 되는 구간(T31)과, 마찬가지로 통상 복조 모드가 되는 구간(T34)과의 사이의 구간이다, 구간(T32) 및 구간(T33)으로 이루어지는 구간이 전부 복조 예비 모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전송로 상태가 나쁜 경우나, SN비가 낮은 경우에는, 복조 예비 모드로 한 구간의 길이를 통상보다도 길게 하거나, 통상시에는 복조 정지 모드가 되는 구간을 전부 복조 예비 모드로 하거나 함으로써, 복조 성능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2의 실시의 형태>
<복조 모드에 관해>
또한, 이상에서는, 복조 모드로서 통상 복조 모드, 복조 정지 모드, 및 복조 예비 모드를 준비하고, 복조시에는 그들 3개의 모드의 어느 하나로 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와 같은 경우, 복조 정지 모드시에도 아날로그부(22)에서 방송 신호의 복조를 위한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다.
이에 대해, 복조를 정지시킬 때에, 적절히, 아날로그부(22)에서의 처리도 정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그와 같은 경우, 예를 들면 복조 모드는 통상 복조 모드, 아날로그 정지 모드, 아날로그 재기동 대기 모드, 및 복조 예비 모드 중의 어느 하나가 된다.
여기서 아날로그 정지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날로그부(22),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및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서 복조 정지 처리에 의해 동작(복조 동작)이 정지된다. 또한, 도 17에서 도 6에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7에서는, 사선이 그어진 블록이 동작을 정지시키는 블록을 나타내고 있고, 이 예에서는 아날로그부(22),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및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가 동작을 정지하는 블록으로 되어 있다.
아날로그 정지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아날로그부(22)에의 전원 공급 및 클록 공급이 정지되고, 이에 의해 아날로그부(22)에서, 아날로그 신호인 방송 신호에 대해 행하여지는 각 처리가 정지된다.
또한, 아날로그 정지 모드에서는,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및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서 기능 정지 처리가 행하여진다. 그 밖에, 아날로그 정지 모드에서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및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 대해, 적절히, 개별적으로 클록 공급 정지 처리나, 클록 주파수 저감 처리, 전원 공급 정지 처리, 공급 전원 전압 저감 처리가 행하여져도 좋다. 또한, 수신 제어부(26)에 대해 클록 주파수 저감 처리나, 공급 전원 전압 저감 처리가 행하여져도 좋다.
또한, 아날로그 재기동 대기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복조 정지 모드와 마찬가지로, 아날로그부(22)는 통상과 같이 동작하고,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및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서 복조 정지 처리에 의해 동작(복조 동작)이 정지된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상술한 복조 정지 모드가, 또한 아날로그 정지 모드와 아날로그 재기동 대기 모드로 나뉘어져서 복조 제어가 행하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각 구간에서, 통상 복조 모드, 아날로그 정지 모드, 아날로그 재기동 대기 모드, 또는 복조 예비 모드에 의해 정하여진 동작이 행하여지는 경우,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구간의 복조 모드가 결정된다. 또한, 도 18에서 도 10에서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문자가 기재되어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예에서, 서브프레임#1 및 서브프레임#3에 수신 PLP가 포함되어 있고, 서브프레임#0 및 서브프레임#2에는 수신 PLP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한다. 또한, 복조 예비 동작을 행하는 구간의 길이를 4OFDM 심볼분의 길이의 구간으로 하는 것으로 한다.
그와 같은 경우, 수신 제어부(26)는, 부트스트랩 신호와 프리앤블 신호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선두의 구간(T4)에서는 통상 복조 모드에 의해 복조 처리를 실행시킨다.
수신 제어부(26)는, 구간(T41)에 계속되는, 수신 PLP가 없는 서브프레임#0의 일부분의 OFDM 심볼로 이루어지는 구간(T42)에서는 아날로그 정지 모드로 하고, 그 구간(T42)에 계속되는, 구간(T43)을 아날로그 재기동 대기 모드로 한다.
즉, 복조를 정지시키는 구간 중, 아날로그부(22)의 기능 정지를 해제한 시점부터, 그 복조를 정지시키는 구간의 종료까지의 소정 시간 길이의 구간(T43)이, 아날로그부(22)를 안정하게 동작시키기 위한 대기 기간인 아날로그 재기동 대기 모드의 구간이 된다.
이 아날로그 재기동 대기 모드가 되는 구간(T43)의 길이는, 예를 들면 아날로그부(22)의 기능을 정지시킨 상태, 즉 전원 공급을 차단한 상태로부터 복귀(재기동)시킨 때에, 재차 아날로그부(22)가 안정하게 동작할 수 있게 되는데 필요한 길이의 시간 등으로 된다. 이와 같은 아날로그 재기동 대기 모드가 되는 구간의 길이는, OFDM 심볼 단위가 아니라, 예를 들면 미리 정하여진 고정 길이의 시간이 된다.
또한, 수신 제어부(26)는 구간(T43)에 계속되는, 수신 PLP가 있는 서브프레임#1의 직전의 4개의 OFDM 심볼로 이루어지는 서브프레임#0 내의 구간(T44)에서는 복조 예비 모드로 하고, 그 후의 수신 PLP가 있는 서브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구간(T45)에서는 통상 복조 모드로 한다.
이후, 마찬가지로 하여 수신 제어부(26)는, 수신 PLP가 없는 서브프레임#2의 일부의 OFDM 심볼로 이루어지는 구간(T46)에서 아날로그 정지 모드로 하고, 그 후의 고정 시간 길이의 구간(T47)에서 아날로그 재기동 대기 모드로 한다. 또한, 수신 제어부(26)는, 구간(T47) 후의 4개의 OFDM 심볼로 이루어지는 구간(T48)에서는 복조 예비 모드로 하고, 수신 PLP가 있는 서브프레임#3으로 이루어지는 구간(T49)에서는 통상 복조 모드로 한다.
또한, 예를 들면 통상 복조 모드로 하는 구간과, 복조 예비 모드로 하는 구간과의 사이의 구간이 충분한 길이의 구간이 아닌 경우에는, 그 구간 내에 아날로그 정지 모드로 하는 구간과, 아날로그 재기동 대기 모드로 하는 구간을 마련하는 것이 아니고, 그 구간 전체를 아날로그 재기동 대기 모드의 구간으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복조 제어 처리의 설명>
다음에, 도 19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각 구간에서 통상 복조 모드, 아날로그 정지 모드, 아날로그 재기동 대기 모드, 및 복조 예비 모드 중의 어느 하나가 복조 모드로서 선택된 경우에 수신기(11)에 의해 행하여지는 복조 제어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수신기(1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구성으로 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경우, 복조 제어 처리는 방송 신호의 프레임마다 행하여지고,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복조 처리도 행하여진다.
복조 제어 처리가 시작되면, 스텝 S91 내지 스텝 S95의 처리가 행하여지는데, 이들의 스텝 S91 내지 스텝 S95의 처리는, 도 14의 스텝 S51 내지 스텝 S55의 처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 스텝 S93에서는, 예를 들면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 내에서의 각 구간에서, 통상 복조 모드, 아날로그 정지 모드, 아날로그 재기동 대기 모드, 및 복조 예비 모드 중의 어느 모드로 하는지가 결정된다.
또한, 스텝 S94에서 통상 복조 모드로 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96에서, 수신 제어부(26)는, 아날로그 정지 모드로 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96에서 아날로그 정지 모드로 한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97에서, 수신 제어부(26)는, 수신기(11)의 각 부분을 제어하여 복조를 정지시키고, 그 후, 처리는 스텝 S10으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수신 제어부(26)는, 클록 제어부(27) 및 전원 제어부(29)를 제어하여, 아날로그부(22)에의 클록 공급 및 전원 공급을 정지시킴에 의해, 아날로그부(22)의 기능을 정지시킨다. 또한, 수신 제어부(26)는,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및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 기능 정지 처리를 실행시켜, 복조를 정지시킨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방송 신호의 프레임의 아날로그 정지 모드가 되는 구간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복조 처리의 스텝 S11 내지 스텝 S22의 처리의 실행이 정지되게 된다.
또한, 이때 도 14의 스텝 S57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나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 대해 개별적으로 클록 공급의 정지, 공급 클록 주파수의 저감, 전원 공급의 정지, 공급 전원의 전압 저감 등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수신 제어부(26)에 대해서도 공급 클록 주파수의 저감이나 공급 전원의 전압 저감을 행하여도 좋다.
한편, 스텝 S96에서 아날로그 정지 모드로 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98에서, 수신 제어부(26)는 아날로그 재기동 대기 모드로 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98에서 아날로그 재기동 대기 모드로 한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99에서, 수신 제어부(26)는 아날로그부(22)를 통상 동작시킴과 함께,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와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 기능 정지 처리를 실행시켜, 복조를 정지시킨 채의 상태로 한다. 스텝 S99의 처리가 행하여지면, 그 후, 처리는 스텝 S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99에서는 수신 제어부(26)는 클록 제어부(27) 및 전원 제어부(29)를 제어하여, 아날로그부(22)에의 클록 공급 및 전원 공급을 재개시킴과 함께,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 및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를 제어하여 기능 정지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방송 신호의 프레임의 아날로그 재기동 대기 모드가 되는 구간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복조 처리의 스텝 S11 및 스텝 S12의 처리가 재개되고, 스텝 S13 내지 스텝 S22의 처리의 실행이 정지된 채로 된다.
또한, 이때 수신 제어부(26)는, 도 14의 스텝 S57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23)나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 대해 개별적으로 클록 공급의 정지, 공급 클록 주파수의 저감, 전원 공급의 정지, 공급 전원의 전압 저감 등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수신 제어부(26)에 대해서도 공급 클록 주파수의 저감이나 공급 전원의 전압 저감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스텝 S98에서 아날로그 재기동 대기 모드로 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즉 복조 예비 모드로 한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00에서, 수신 제어부(26)는, 아날로그부(22) 내지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를 제어하여 복조 예비 동작을 시키고, 그 후, 처리는 스텝 S10으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100의 처리는, 도 14의 스텝 S58의 처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95, 스텝 S97, 스텝 S99, 또는 스텝 S100의 처리가 행하여져서 각 복조 모드로의 동작이 행하여지면, 스텝 S101에서 수신 제어부(26)는, 방송 신호의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프레임의 전 구간을 처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01에서, 아직 모든 구간을 처리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94로 되돌아와, 상술한 처리가 반복해서 행하여진다.
이에 대해 스텝 S101에서, 모든 구간을 처리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프레임의 복조가 종료되었기 때문에 복조 제어 처리는 종료한다. 이 경우, 다음의 프레임이 있는 경우에는, 그 다음의 프레임에 관해 복조 제어 처리가 시작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수신기(11)는, 시그널링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 신호의 프레임의 각 구간에 관해 복조 모드를 결정하고, 그 결정에 따라, 적절히, 복조를 정지시키거나, 복조 예비 동작을 행하거나 한다. 이에 의해, 수신기(11)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킴과 함께, 복조 성능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기술에 의하면,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복조시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복조 성능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와 같이 복조 처리를 행하는 경우(이하, 통상 수법이라고도 칭한다)와 비교하여, 본 기술에 의한 수법에서는, 서브프레임 단위나 OFDM 심볼 단위로, 클록이나 전원의 공급 제어, 복조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신호가 복조되는 일이 없고, 소비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프레임 내의 전 OFDM 심볼 중, 70%의 OFDM 심볼이 수신 PLP에 포함되는 경우에, 본 기술에 의한 수법에 의해 적절하게 복조 정지, 클록 공급 정지, 및 전원 공급 정지를 행하는 경우,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폭적으로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0에서, 종축은 복조시의 소비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화살표(Q11)로 나타나는 것은 통상 수법에서의 소비전력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Q12)에 나타나는 것은 본 기술에 의한 수법에서의 소비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에서는, 화살표(Q12)로 나타나는 소비전력 중, 사선이 그어지지 않은 부분이 아날로그부(22) 내지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서의 소비전력을 나타내고 있고, 사선 부분이 수신 제어부(26)에서의 소비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아날로그부(22) 내지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24)에서의 소비전력에 주목하면, 본 기술의 수법에서는, 통상 수법에서의 경우의 70% 정도까지 소비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이것에 사선 부분에 의해 나타나는 수신 제어부(26)에서의 소비전력의 증가분을 가산하여도, 본 기술의 수법에 의하면, 전체로서 통상 수법보다도 대폭적으로 소비전력을 삭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클록 공급 제어와 전원 공급 제어를 행하고, 또한 복조 예비 동작을 행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클록 공급 제어와 전원 공급 제어를 행하고, 또한 복조 예비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칩내 온도 변화를 기인으로 하는 클록 오차나, 전송로 특성 변동에 의한 복조 성능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즉, 클록 오차의 저감, 및 전송로 추정의 추종에 의해, 복조 정지로부터의 복귀 직후에 있어서의 복조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 단위로의 클록 공급 제어 및 전원 공급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도, 적은 복조 성능 열화로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록 공급원으로서, 온도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클록 오차량이 작은 것의 편이 고가(高價)가 되는 것이 있다. 그러나, 본 기술의 수법에 의해 저소비전력화와 위상 오차 보정을 적절하게 행하면, 염가의 클록 공급원(발진기)을 선택하여, 저비용과 저소비전력을 양립한 수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의 수법에 의하면, 급한 전송로 특성 변동이 있는 환경하에서도 저소비전력과 고 복조 성능을 양립한 수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여기서, 컴퓨터에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조립되어 있는 컴퓨터나,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컴퓨터 등이 포함된다.
도 21은,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다.
컴퓨터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501), ROM(Read Only Memory)(502), RAM(Random Access Memory)(503)은, 버스(504)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버스(5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50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505)에는, 입력부(506), 출력부(507), 기록부(508), 통신부(509), 및 드라이브(510)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506)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촬상 소자 등으로 이루어진다. 출력부(507)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진다. 기록부(508)는, 하드 디스크나 불휘발성의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통신부(509)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으로 이루어진다. 드라이브(510)는,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511)를 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컴퓨터에서는, CPU(501)가, 예를 들면, 기록부(508)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505) 및 버스(504)를 통하여, RAM(503)에 로드하여 실행함에 의해, 상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컴퓨터(CPU(501))가 실행한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패키지 미디어 등으로서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511)에 기록하고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이라는,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에서는,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511)를 드라이브(510)에 장착함에 의해, 입출력 인터페이스(505)를 통하여, 기록부(5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통신부(509)에서 수신하고, 기록부(5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기타, 프로그램은, ROM(502)나 기록부(508)에, 미리 인스톨하여 둘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순서에 따라 시계열로 처리가 행하여지는 프로그램이라도 좋고, 병렬로, 또는 호출이 행하여진 때 등의 필요한 타이밍에서 처리가 행하여지는 프로그램이라도 좋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의 형태는, 상술한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기술은, 하나의 기능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장치에서 분담, 공동하여 처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플로우 차트에서 설명한 각 스텝은, 하나의 장치에서 실행하는 외에, 복수의 장치에서 분담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텝에 복수의 처리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하나의 스텝에 포함되는 복수의 처리는, 하나의 장치에서 실행하는 외에, 복수의 장치에서 분담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고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효과가 있어도 좋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
복수의 데이터가 다중화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수신 신호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을 단위로 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의 필요한 상기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구간의 상기 복조부에 의한 복조를 정지시키는 수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2)
상기 수신 신호에서의 상기 데이터의 배치를 특정하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상기 수신 신호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구간을 결정하는 (1)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3)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복조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처리를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1) 또는 (2)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4)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복조부의 적어도 일부에 공급되는 클록에 관해, 상기 클록의 공급을 정지시키든지, 또는 상기 클록의 주파수를 저감시킴으로써,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1) 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5)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복조부의 적어도 일부에 공급되는 전원에 관해, 상기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든지, 또는 상기 전원의 전압을 저감시킴으로써,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1) 내지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6)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구간에서, 자신에게 공급되는 클록의 주파수를 저감시키는 (1) 내지 (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7)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구간에서, 자신에게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저감시키는 (1) 내지 (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8)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복조를 행하는 구간 직전에 있는, 필요한 상기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구간에서, 상기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처리 중, 적어도 상기 수신 신호의 위상 오차를 보정하는 처리, 및 상기 수신 신호의 전송로 특성을 추정하는 처리의 어느 일방을 복조 예비 동작으로서 상기 복조부에 실행시키는 (1) 내지 (7)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9)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전송로 특성의 추정 결과 및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의 추정 결과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의거하여, 상기 복조 예비 동작을 시키는 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8)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0)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복조부에 상기 복조 예비 동작을 실행시키는 경우, 상기 복조부 중의 상기 복조 예비 동작을 실행하는 블록의 후단에 있는 후단 블록에의 클록 공급을 정지시키든지, 또는 상기 후단 블록에 공급되는 클록의 주파수를 저감시키는 (8) 또는 (9)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1)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복조부에 상기 복조 예비 동작을 실행시키는 경우, 상기 복조부 중의 상기 복조 예비 동작을 실행하는 블록의 후단에 있는 후단 블록에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키든지, 또는 상기 후단 블록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저감시키는 (8) 내지 (10)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2)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복조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구간에서, 상기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처리 중의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해 행하여지는 처리를 정지시키는 (1) 내지 (11)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3)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복조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구간에서 상기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해 행하여지는 처리를 정지시킨 후,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구간의 종료까지의 소정 시간 길이의 구간에서, 상기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해 행하여지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12)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4)
복수의 데이터가 다중화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수신 신호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을 단위로 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의 필요한 상기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구간의 상기 복조부에 의한 복조를 정지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신호 처리 방법.
(15)
복수의 데이터가 다중화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수신 신호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을 단위로 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의 필요한 상기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구간의 상기 복조부에 의한 복조를 정지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11 : 수신기
22 : 아날로그부
23 : 예비 동작시 유효 복조부
24 : 통상 동작시 유효 복조부
26 : 수신 제어부
41 : 복조부
42 : 추출부
74 : 위상 오차 보정부
76 : 시간 방향 전송로 추정부
77 : 위상 오차 검출부

Claims (15)

  1. 복수의 데이터가 다중화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수신 신호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을 단위로 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의 필요한 상기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구간의 상기 복조부에 의한 복조를 정지시키는 수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에서의 상기 데이터의 배치를 특정하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상기 수신 신호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구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복조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처리를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복조부의 적어도 일부에 공급되는 클록에 관해, 상기 클록의 공급을 정지시키든지, 또는 상기 클록의 주파수를 저감시킴으로써,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복조부의 적어도 일부에 공급되는 전원에 관해, 상기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키든지, 또는 상기 전원의 전압을 저감시킴으로써,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구간에서, 자신에게 공급되는 클록의 주파수를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구간에서, 자신에게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복조를 행하는 구간 직전에 있는, 필요한 상기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구간에서, 상기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처리 중, 적어도 상기 수신 신호의 위상 오차를 보정하는 처리, 및 상기 수신 신호의 전송로 특성을 추정하는 처리의 어느 일방을 복조 예비 동작으로서 상기 복조부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전송로 특성의 추정 결과 및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의 추정 결과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의거하여, 상기 복조 예비 동작을 시키는 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복조부에 상기 복조 예비 동작을 실행시키는 경우, 상기 복조부 중의 상기 복조 예비 동작을 실행하는 블록의 후단에 있는 후단 블록에의 클록 공급을 정지시키든지, 또는 상기 후단 블록에 공급되는 클록의 주파수를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복조부에 상기 복조 예비 동작을 실행시키는 경우, 상기 복조부 중의 상기 복조 예비 동작을 실행하는 블록의 후단에 있는 후단 블록에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키든지, 또는 상기 후단 블록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복조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구간에서, 상기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처리 중의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해 행하여지는 처리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복조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구간에서 상기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해 행하여지는 처리를 정지시킨 후, 상기 복조를 정지시키는 구간의 종료까지의 소정 시간 길이의 구간에서, 상기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해 행하여지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4. 복수의 데이터가 다중화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수신 신호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을 단위로 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의 필요한 상기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구간의 상기 복조부에 의한 복조를 정지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방법.
  15. 복수의 데이터가 다중화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수신 신호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을 단위로 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의 필요한 상기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구간의 상기 복조부에 의한 복조를 정지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187006405A 2015-10-29 2016-10-14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800771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12449 2015-10-29
JP2015212449A JP2017085383A (ja) 2015-10-29 2015-10-29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CT/JP2016/080469 WO2017073351A1 (ja) 2015-10-29 2016-10-14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149A true KR20180077149A (ko) 2018-07-06

Family

ID=5863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405A KR20180077149A (ko) 2015-10-29 2016-10-14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51948B2 (ko)
JP (1) JP2017085383A (ko)
KR (1) KR20180077149A (ko)
WO (1) WO2017073351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2264B2 (ja) 2004-09-13 2010-06-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直交検出器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直交復調器およびサンプリング直交復調器
JP4403974B2 (ja) * 2005-01-21 2010-0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適応変調方法並びに符号化率制御方法
CN101461160A (zh) 2006-06-12 2009-06-1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接收装置
JP5712698B2 (ja) 2011-03-11 2015-05-07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4003407A1 (ko) * 2012-06-25 201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전송 방법 및 기지국
KR102366988B1 (ko) * 2014-07-03 2022-02-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레이어드 디비전 멀티플렉싱을 이용한 신호 멀티플렉싱 장치 및 신호 멀티플렉싱 방법
US20170013274A1 (en) * 2015-07-09 2017-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ra-refresh for video stream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73351A1 (ja) 2017-05-04
US10951948B2 (en) 2021-03-16
JP2017085383A (ja) 2017-05-18
US20180262802A1 (en)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012B1 (ko) 수신기를 간섭하는 송신기를 구비한 단말들에서상호운용성의 향상
US7684359B2 (en) Method for compensating sampling frequency offset in OFDM communication system and OFDM signal receiving apparatus for compensating sampling frequency offset
WO2012124575A1 (ja)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WO2005096516A1 (ja) 受信装置
US9203678B2 (en)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program, and receiving system
US8837611B2 (en) Memory-aided synchronization in a receiver
US20130336431A1 (en)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method, and program
US20130315351A1 (en) 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and program
US8665368B2 (en) Signal acquisi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JP2012216882A (ja) 受信装置、受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受信システム
JP2008167116A (ja) 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80077149A (ko)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US8739239B2 (en) Signal acquisition apparatus and method
EP3214775B1 (en) Receiving device and method
US8885107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selectively processing a desired broadcast signal from a plurality of received broadcast signals
US20150181277A1 (en) Receiv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JP4374371B2 (ja) デジタル放送のチャンネル検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受信装置
US8885771B2 (en) Signal receiving apparatus, signal receiving method and signal receiving program
JP2006211441A (ja) Ofdm復調装置、集積回路、ofdm復調方法及び受信装置
WO2015174294A1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072680B2 (ja) 受信方法および装置
EP2693670A1 (en) Receiver apparatus, reception method, program, and reception system
US10097394B2 (en) Filtering identifier for an OFDM system
US9407428B2 (e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and program
JP5686248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