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876A -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876A
KR20180076876A KR1020160181509A KR20160181509A KR20180076876A KR 20180076876 A KR20180076876 A KR 20180076876A KR 1020160181509 A KR1020160181509 A KR 1020160181509A KR 20160181509 A KR20160181509 A KR 20160181509A KR 20180076876 A KR20180076876 A KR 20180076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lift
displacement
fork
cylinder
m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9212B1 (ko
Inventor
배성호
강동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160181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2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66F9/082Masts; Guides; Chains inclin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6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inclinable relative to m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은,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에서 지게차 설계 시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를 입력변수로서 획득하는 단계; 센서를 이용하여 지게차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지게차 실린더의 변위값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변위값이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한 값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변위값이 상기 틸트실린더의 동작에 의해서만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틸트실린더의 변위값을 이용하여 마스트의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게차의 포크 자세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RK POSTURE INFORMATION OF FORKLIFT TRUCK BY MEASURING DISPLACEMENT OF CYLINDER}
본 명세서는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게차의 틸트실린더의 변위값 및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측정된 지게차의 틸트실린더의 변위값과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을 통해 지게차의 마스트의 경사각 및 포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포크 자세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비교적 중량체의 하물을 들어올리거나 또는 내릴 수 있게 하는 산업용 차량의 일종으로서, 고중량의 하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해당 하물을 각종 운반차량에 적재 또는 그로부터 하차시키는 데 사용된다.
지게차(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엔진을 포함하는 본체(2)와, 이 본체의 전측에 설치된 마스트조립체(3)로 이루어진다. 마스트조립체(3)는 포크(4a)를 갖는 캐리지(4)를 구비하며, 상기 포크(4a)가 구비된 마스트조립체(3)의 경각의 변화는 하물의 하역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하물의 운반시 지게차의 전복 등을 방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여기에서, 마스트조립체(3)는 본체(2)의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의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된 틸트실린더(5)에 의해 연결되고 또한 일반적으로 하부부분이 본체(2)의 프레임의 대응부분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마스트조립체(3)의 경각은 틸트실린더(5)의 스트로크 변화에 의해 종속적으로 변화된다.
이와 같은 지게차(1)는 운전자가 틸트실린더(5)의 스트로크를 길게 하여 전경각을 증대시켜 포크(4a)를 하물의 하부로 집어넣은 다음 리프트실린더(6)를 이용하여 포크(4a)를 상승시키고, 상기 틸트실린더(5)의 스트로크를 짧게 하여 후경각을 증대시켜 하물을 지게차(1)의 프레임측으로 접근시킨 상태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켜 하역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지게차(1)의 포크(4a) 자세는 틸트실린더(5)의 변위 및 리프트실린더(6)의 변위에 통해서 예측이 가능하다.
그런데, 종래 기술은 인코더(Encoder)와 케이블(Cable)을 이용한 포크 높이를 측정하거나, 광센서를 이용하여 포크 높이를 측정하는 방식 등이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에게 포크의 높이 또는 마스트 경사각 중 한가지 정보만을 제공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지게차에 탑승한 채 작업 시 포크의 자세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워 작업의 효율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사용자가 지게차를 탑승한 채 작업 시, 사용자가 지게차의 포크 자세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작업의 효율성 확보가 가능한 포크 자세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4842호(2015.10.13 공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7895호(2010.10.06 공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2372호(2009.06.17 공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지게차의 틸트실린더의 변위값 및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측정된 지게차의 틸트실린더의 변위값과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을 통해 지게차의 마스트의 경사각 및 포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포크 자세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제1실시 예에 따르는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은,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에서 지게차 설계 시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를 입력변수로서 획득하는 단계; 센서를 이용하여 지게차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지게차 실린더의 변위값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변위값이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한 값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변위값이 상기 틸트실린더의 동작에 의해서만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틸트실린더의 변위값을 이용하여 마스트의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2실시 예에 따르는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은,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에서 지게차 설계 시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를 입력변수로서 획득하는 단계; 센서를 이용하여 지게차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동작에 따른 지게차 실린더의 변위값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변위값이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한 값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변위값이 상기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의 동작에 의해서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틸트실린더의 변위값을 이용하여 마스트의 변위각(θ)을 산출하고, 산출된 변위각(θ)과 상기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을 이용하여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장치는, 지게차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지게차 실린더의 변위값을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변위값이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한 값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틸트실린더의 변위값 또는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마스트의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마스트의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에서 지게차 설계 시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를 입력변수로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게차의 틸트실린더의 변위값 및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측정된 지게차의 틸트실린더의 변위값과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을 통해 지게차의 마스트의 경사각 및 포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포크 자세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지게차의 포크 자세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특정 작업(예컨대, 기 설정된 높이, 기 설정된 각도, 기 설정된 운행) 시에 판단된 지게차의 포크 자세를 참고하여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를 포함하는 실린더의 변위값만 측정하면 포크의 자세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비해 구조가 매우 간단하며, 저비용으로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기의 변위 데이터 분석을 통한 작업 현황에 대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지게차의 어태치먼트 변경 시에도 변위의 초기값 수정이 가능하여 다양한 어태치먼트가 적용되어도 지게차의 포크 자세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지게차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포크 자세 정보 제공 장치(1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 시예에 따르는 포크 자세 정보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지게차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포크 자세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포크 자세 정보 산출 알고리즘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포크 자세 정보 산출 알고리즘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종래에는 인코더(Encoder)와 케이블(Cable)을 이용한 포크 높이를 측정하거나, 광센서를 이용하여 포크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포크의 높이 또는 마스트 경사각 중 한가지 정보만을 제공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지게차에 탑승한 채 작업 시 포크 자세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틸트실린더 또는 리프트실린더 중 적어도 하나의 변위값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지게차에 장착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포크 자세 정보 제공 장치(1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포크 자세 정보 제공 장치(100)는 입력부(110), 센서부(120), 제어부(130) 및 표시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에서 지게차 설계 시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는 지게차의 실린더가 동작하기 전에 저장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센서부(120)는 지게차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지게차 실린더의 변위값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부(120)는 지게차의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한 변위값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0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또는 저장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상기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에서 지게차 설계 시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를 입력변수로서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센서부(120)에 의해 검출된 변위값이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한 값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틸트실린더의 변위값 또는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마스트의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의 판단 결과, 센서부(120)에 의해 검출된 변위값이 틸트실린더의 동작에 의해서만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센서부(120)에 의해 검출된 틸트실린더의 변위값을 이용하여 마스트의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의 판단 결과, 센서부(120)에 의해 검출된 변위값이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의 동작에 의해서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센서부(120)에 의해 검출된 틸트실린더의 변위값을 이용하여 마스트의 변위각(θ)을 산출하고, 산출된 변위각(θ)과 상기 센서부(120)에 의해 검출된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을 이용하여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산출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지게차의 운전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130)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산출된 마스트의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포크 자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40)는 바람직하게 LCD패널로 이루어지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정보, 센서부(120)에 의해 검출된 정보, 및 제어부(130)에 의해 산출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미도시)는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정보와 포크 자세 정보 제공 장치(10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정보 및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으며, 센서부(120)에 의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검출된 지게차 실린더의 변위값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각 구성부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포크 자세 정보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지게차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포크 자세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30)는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에서 지게차 설계 시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를 입력변수로서 획득한다(S400). 이를 위해,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에서 지게차 설계 시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를 입력하거나, 상기 파라미터를 차의 실린더가 동작하기 전에 저장부(미도시)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에서 틸트실린더의 길이
Figure pat00001
와 마스트 힌지에서 틸트 실린더 로드까지의 거리
Figure pat00002
,상기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에서 지게차의 측단면도 상에서 틸트실린더의 양끝단 위치
Figure pat00003
, 마스트 힌지 위치
Figure pat00004
, 틸트 실린더 로드 위치
Figure pat00005
, 마스트가 수직인 상태에서의 포크의 위치
Figure pat00006
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400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에서 상기 마스트 힌지에서 틸트 실린더 로드까지의 거리
Figure pat00007
, 틸트실린더의 헤드 위치값
Figure pat00008
으로부터 상기 틸트실린더와 상기 지게차 마스트가 교차하는 교차점
Figure pat00009
까지의 길이
Figure pat00010
, 상기 틸트실린더의 헤드 위치값
Figure pat00011
으로부터 상기 지게차 마스트의 힌지 위치값
Figure pat00012
까지의 길이
Figure pat00013
를 획득할 수 있고,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에서 상기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사이의 각도
Figure pat00016
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0)는 상기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의 각도
Figure pat00017
를 통해서 포크의 위치
Figure pat00018
가 수평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00 이후, 센서부(120)는 지게차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지게차 실린더의 변위값을 검출한다(S410). 센서부(120)는 지게차 동작을 위해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한 지게차 실린더의 변위값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틸트실린더가 동작하면 지게차의 마스트가 수직상태가 아니게 되며, 틸트실린더의 동작에 따른 마스트의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에 의해 단계 S400에서 획득한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로, 그리고 포크의 위치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또는
Figure pat00023
로 변화된다.
또한, 단계 S410에서, 제어부(130)는 지게차의 동작에 따라 지게차의 마스트가 수직 상태가 아닌 경우에 마스트 힌지에서 틸트 실린더 로드까지의 거리
Figure pat00024
틸트실린더의 헤드 위치값으로부터 상기 틸트실린더와 상기 지게차 마스트가 교차하는 교차점까지의 길이
Figure pat00025
를 획득하며, 지게차의 측단면도 상에서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사이의 각도
Figure pat00028
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410 이후, 제어부(130)는 단계 S400에서 센서부(120)에 의해 검출된 지게차 실린더의 변위값이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한 값인지 판단한다(S420).
단계 S420 이후, 제어부(130)는 단계 410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틸트실린더의 변위값 또는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마스트의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포함하는 포크 자세 정보를 산출하며(S430), 산출된 포크 자세 정보를 표시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40).
단계 S430에서 마스트의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포함하는 포크 자세 정보를 산출하는 구체적인 포크 자세 정보 산출 알고리즘은 후술하는 도 5 및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포크 자세 정보 산출 알고리즘의 흐름도이다.
먼저, 앞서 상술한 도 4의 단계 S410 이후에, 제어부(130)는 센서부(120)에 의해 검출된 지게차 실린더의 변위값이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한 값인지 판단한다(S420).
이후, 단계 S420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앞서 도 4의 단계 S400 내지 단계 S410에서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포크 자세 정보를 산출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420에서의 판단 결과, 제어부(130)는 상기 센서부(120)에 의해 검출된 변위값이 틸트실린더의 동작에 의해서만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510), 과정은 단계 S520으로 진행한다.
단계 S520에서, 제어부(130)는 하기 수학식 1 및 2에 기초하여 상기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에서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사이의 각도인
Figure pat00031
와 상기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가 아닌 상태에서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사이의 각도인
Figure pat00034
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인 경우와 상기 지게차의 마스트가 수직 상태가 아닌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도 틸트실린더의 헤드 위치값으로부터 상기 지게차 마스트의 힌지 위치값까지의 길이는
Figure pat00035
값으로 동일하다.
[수학식 1]
Figure pat00036
[수학식 2]
Figure pat00037
그리고, 단계 S520에서, 제어부(130)는 수학식 1 및 2에 기초하여 산출된 상기
Figure pat00038
에서 상기
Figure pat00039
를 뺀 차이값으로 마스트의 변위각(θ)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520 이후, 제어부(130)는 상기
Figure pat00040
에서 상기
Figure pat00041
을 뺀 차이값으로 산출된 마스트의 변위각(θ)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3에 기초하여 포크의 위치변위값
Figure pat00042
을 산출할 수 있다(S530).
[수학식 3]
Figure pat00043
상기 수학식 3에서, θ는 마스트의 변위각이고,
Figure pat00044
Figure pat00045
는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인 경우에 포크의 위치이고,
Figure pat00046
Figure pat00047
는 틸트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변화된 포크의 위치를 나타낸다.
단계 S530 이후, 표시부(140)는 상술한 단계 S430에서 제어부(130)에 의해 산출된 마스트의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
Figure pat00048
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포크 자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540).
도 6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포크 자세 정보 산출 알고리즘의 흐름도이다.
먼저, 앞서 상술한 도 4의 단계 S410 이후에, 제어부(130)는 센서부(120)에 의해 검출된 지게차 실린더의 변위값이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한 값인지 판단한다(S420).
이후, 단계 S420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앞서 도 4의 단계 S400 내지 단계 S410에서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포크 자세 정보를 산출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420에서의 판단 결과, 제어부(130)는 상기 센서부(120)에 의해 검출된 변위값이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의 동작에 의해서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610), 과정은 단계 S620 및 단계S 630으로 진행한다.
단계 S620 및 단계 S630에서, 제어부(130)는 앞서 도 5의 단계 S520 내지 S530에서 상기 틸트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산출된 마스트의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
Figure pat00049
과, 리프트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검출된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을 이용하고, 하기 수학식 4에 기초하여 포크의 위치변위값
Figure pat00050
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51
Figure pat00052
Figure pat00053
Figure pat00054
상기 수학식 4에서, θ는 마스트의 변위각이고, L은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이고,
Figure pat00055
Figure pat00056
는 틸트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변화된 포크의 위치이고,
Figure pat00057
Figure pat00058
는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변화된 포크의 위치를 나타낸다.
단계 S630 이후, 표시부(140)는 상술한 단계 S620 및 단계 S630에서 제어부(130)에 의해 산출된 마스트의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
Figure pat00059
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포크 자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640).
즉,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게차의 틸트실린더의 변위값 및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측정된 지게차의 틸트실린더의 변위값과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을 통해 지게차의 마스트의 경사각 및 포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포크 자세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지게차의 포크 자세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특정 작업(예컨대, 기 설정된 높이, 기 설정된 각도, 기 설정된 운행) 시에 판단된 지게차의 포크 자세를 참고하여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포크 자세 정보 제공 장치
110 : 입력부
120 : 센서부
130 : 제어부
140 : 표시부

Claims (12)

  1.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에서 지게차 설계 시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를 입력변수로서 획득하는 단계;
    센서를 이용하여 지게차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지게차 실린더의 변위값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변위값이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한 값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변위값이 상기 틸트실린더의 동작에 의해서만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틸트실린더의 변위값을 이용하여 마스트의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
  2.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에서 지게차 설계 시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를 입력변수로서 획득하는 단계;
    센서를 이용하여 지게차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동작에 따른 지게차 실린더의 변위값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변위값이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한 값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변위값이 상기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의 동작에 의해서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틸트실린더의 변위값을 이용하여 마스트의 변위각(θ)을 산출하고, 산출된 변위각(θ)과 상기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을 이용하여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에서 지게차 설계 시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를 입력변수로서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에서 상기 틸트실린더의 길이와 상기 리프트실린더의 길이, 상기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에서 상기 지게차의 측단면도 상에서 상기 틸트실린더의 양끝단 위치, 상기 마스트 힌지 위치, 상기 마스트가 수직인 상태에서의 포크의 위치를 입력변수로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에서 상기 마스트 힌지에서 틸트 실린더 로드까지의 거리
    Figure pat00060
    , 틸트실린더의 헤드 위치값으로부터 상기 틸트실린더와 상기 지게차 마스트가 교차하는 교차점까지의 길이
    Figure pat00061
    , 상기 틸트실린더의 헤드 위치값으로부터 상기 지게차 마스트의 힌지 위치값까지의 길이
    Figure pat00062
    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지게차의 측단면도 상에서 상기
    Figure pat00063
    Figure pat00064
    사이의 각도
    Figure pat00065
    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지게차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지게차 실린더의 변위값을 검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지게차의 동작에 따라 상기 지게차의 마스트가 수직 상태가 아닌 경우에 상기 마스트 힌지에서 틸트 실린더 로드까지의 거리
    Figure pat00066
    틸트실린더의 헤드 위치값으로부터 상기 틸트실린더와 상기 지게차 마스트가 교차하는 교차점까지의 길이
    Figure pat00067
    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지게차의 측단면도 상에서
    Figure pat00068
    Figure pat00069
    사이의 각도인
    Figure pat00070
    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인 경우와 상기 지게차의 마스트가 수직 상태가 아닌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도 상기 틸트실린더의 헤드 위치값으로부터 상기 지게차 마스트의 힌지 위치값까지의 길이는
    Figure pat00071
    값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변위값이 상기 틸트실린더의 동작에 의해서만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틸트실린더의 변위값을 이용하여 마스트의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하기 수학식 1 및 2에 기초하여 상기
    Figure pat00072
    에서
    Figure pat00073
    를 산출하고, 상기 마스트의 변위각(θ)은 상기
    Figure pat00074
    에서 상기
    Figure pat00075
    를 뺀 차이값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
    [수학식 1]
    Figure pat00076

    [수학식 2]
    Figure pat00077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변위값이 상기 틸트실린더의 동작에 의해서만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틸트실린더의 변위값을 이용하여 마스트의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포크의 위치변위값은 상기 에서 상기 를 뺀 차이값으로 산출된 마스트의 변위각(θ)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3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
    [수학식 3]
    Figure pat00078

    여기서, θ는 마스트의 변위각,
    Figure pat00079
    Figure pat00080
    는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인 경우에 포크의 위치,
    Figure pat00081
    Figure pat00082
    는 틸트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변화된 포크의 위치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변위값이 상기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의 동작에 의해서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틸트실린더의 변위값을 이용하여 마스트의 변위각(θ)을 산출하고, 산출된 변위각(θ)과 상기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을 이용하여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Figure pat00083
    에서 상기
    Figure pat00084
    를 뺀 차이값으로 상기 마스트의 변위각(θ)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크의 위치변위값은 산출된 변위각(θ)과 센서에 의해 검출된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4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
    [수학식 4]
    Figure pat00085

    Figure pat00086

    Figure pat00087

    Figure pat00088

    여기서, θ는 마스트의 변위각, L은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
    Figure pat00089
    Figure pat00090
    는 틸트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변화된 포크의 위치,
    Figure pat00091
    Figure pat00092
    는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변화된 포크의 위치임.
  10. 지게차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지게차 실린더의 변위값을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변위값이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한 값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틸트실린더의 변위값 또는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마스트의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마스트의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지게차 마스트가 수직 상태에서 지게차 설계 시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를 입력변수로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변위값이 상기 틸트실린더의 동작에 의해서만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틸트실린더의 변위값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트의 변위각(θ)과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변위값이 상기 틸트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의 동작에 의해서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틸트실린더의 변위값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트의 변위각(θ)을 산출하고, 산출된 변위각(θ)과 상기 리프트실린더의 변위값을 이용하여 포크의 위치변위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장치.
KR1020160181509A 2016-12-28 2016-12-28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39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509A KR102039212B1 (ko) 2016-12-28 2016-12-28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509A KR102039212B1 (ko) 2016-12-28 2016-12-28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876A true KR20180076876A (ko) 2018-07-06
KR102039212B1 KR102039212B1 (ko) 2019-10-31

Family

ID=62921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509A KR102039212B1 (ko) 2016-12-28 2016-12-28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21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7U (ja) * 1992-06-01 1997-01-21 神鋼電機株式会社 マスト傾斜角検出装置
JP2000136097A (ja) * 1998-10-30 2000-05-16 Komatsu Forklift Co Ltd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におけるリフト装置
JP2004338878A (ja) * 2003-05-15 2004-12-02 Toyota Industries Corp 産業車両のティルト角検出装置
KR20090062372A (ko) 2007-12-13 2009-06-17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지게차의 마스트 경사각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게차
KR20100107895A (ko) 2009-03-27 2010-10-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의 포크 높이 자동 제어장치
KR20110072552A (ko) * 2009-12-23 2011-06-29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지게차용 마스트 자동 레벨링 방법 및 장치
KR20150114842A (ko) 2014-04-02 2015-10-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의 포크 수평유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7U (ja) * 1992-06-01 1997-01-21 神鋼電機株式会社 マスト傾斜角検出装置
JP2000136097A (ja) * 1998-10-30 2000-05-16 Komatsu Forklift Co Ltd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におけるリフト装置
JP2004338878A (ja) * 2003-05-15 2004-12-02 Toyota Industries Corp 産業車両のティルト角検出装置
KR20090062372A (ko) 2007-12-13 2009-06-17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지게차의 마스트 경사각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게차
KR20100107895A (ko) 2009-03-27 2010-10-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의 포크 높이 자동 제어장치
KR20110072552A (ko) * 2009-12-23 2011-06-29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지게차용 마스트 자동 레벨링 방법 및 장치
KR20150114842A (ko) 2014-04-02 2015-10-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의 포크 수평유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212B1 (ko)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9878B2 (ja) ホイールローダおよびバケット積載荷重演算方法
US11772946B2 (en) Device for estimating center of gravity of cargo vehicle
EP2982639A1 (en) A lateral stability system
JP4770890B2 (ja) 産業車両用衝撃検出装置及び産業車両
CN102862915A (zh) 性能曲线显示装置
EP1346943B1 (en)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lift vehicle stability
WO2020203253A1 (ja) 重量推定システム
US20180245304A1 (en)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work machine with a ground pressure limitation
KR20180028575A (ko) Agv에 센서를 장착한 운행 안전 모션 베이스 및 그 제어 방법
FI124747B (fi) Menetelmä ja järjestelmä trukin käyttäjän avustamiseksi
KR20180076876A (ko) 실린더 변위 측정을 통한 지게차의 포크 자세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082874A (ko) 작업 차량의 전도/전복 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6766741B2 (ja) フォークリフト
CN112325847A (zh) 叉车倾斜角度测量方法、设备、存储介质及装置
KR101298616B1 (ko) 발사 플랫폼 수평 제어방법
JP6955198B2 (ja) 作業車のアウトリガ接地地盤の地盤強度の推定装置及び作業車のアウトリガ接地地盤の地盤強度の推定方法
KR20150041935A (ko) 틸팅 제어장치를 갖춘 포크 부착형 휠 로더
JP2010083669A (ja) フォークリフトの許容積載荷重判定装置
KR101957678B1 (ko) 작업안전영역 표시 기능이 구비된 고소작업차
EP36265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length of a demountable platform
KR20160005604A (ko) 지게차
KR20150010338A (ko) 지게차 기울기 감지 장치
JP7322548B2 (ja) 吊りロープ振れ判定方法、データ処理装置、クレーン
US20230227300A1 (en) Machine stability detection and indication for mobile lifting equipment
JP6881095B2 (ja) 移動式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