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700A - 고주파음 측정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고주파음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고주파음 측정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고주파음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700A
KR20180076700A KR1020160181154A KR20160181154A KR20180076700A KR 20180076700 A KR20180076700 A KR 20180076700A KR 1020160181154 A KR1020160181154 A KR 1020160181154A KR 20160181154 A KR20160181154 A KR 20160181154A KR 20180076700 A KR20180076700 A KR 20180076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load
power supply
frequency
ripple current
d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병희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1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6700A/ko
Publication of KR20180076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6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motors or the generators
    • B60L1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1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음 측정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고주파음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공급을 위한 메인전원장치(10)와, 특정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발생장치(20)와, 상기 메인전원장치(10)에 전자부하를 부가하고 주파수발생장치(2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리플전류를 생성하는 전자부하장치(30)와, 상기 메인전원장치(10) 및 전자부하장치(30)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작동중에 상기 주파수발생장치(20) 및 전자부하장치(30)에 의한 리플전류를 전달받아 피시험되는 피시험부품(1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소음챔버(40)에 상기 피시험부품(100)과 고주파음 측정용 마이크(50)를 수납하여 외부소음을 차단한 상태에서 수납된 피시험부품(100)에서 리플전류에 의한 고주파음이 발생되는지 여부가 측정된다. 본 발명은 주파수발생장치(20)와 전자부하장치(30)를 통해서 자동차 내부의 리플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발생된 리플전류는 피시험부품(100)에 전달되어 피시험부품(100)이 고주파 소음을 발생시키는지 여부를 측정함으로써 자동차 내부의 고주파 소음의 원인을 규명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주파음 측정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고주파음 측정방법{High frequency measuring system and meas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고주파음 측정시스템 및 고주파음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소음을 모사하여 이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고주파음 측정시스템과 이를 이용해서 고주파 소음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행 중에 자동차의 내부 및 외부에는 다양한 소음이 발생한다. 이러한 소음은 기계적인 부분에서 발생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자동차 내부에 다양한 전장품이 설치되면서 전기적 소음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자동차와 같이 전기의 힘으로 작동되는 자동차는 전장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서 고주파음의 발생빈도와 크기가 큰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급가속하거나 급감속 시에 고주파음이 크게 발생한다. 전기자동차의 급가속이나 급감속시에 발생하는 가변전류로 인해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것이 고주파음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주파음은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느끼게 하고 불안함을 조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자동차는 내부에 매우 많은 수의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부품에서 고주파음이 발생하는지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 물론 자동차를 실험실로 가져와 고주파음이 발생하는 원인을 조사할 수도 있지만, 자동차를 주행시켜야 하므로 매우 큰 공간과 설비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간편하고도 정확하게 고주파 발생 부품을 조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4736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내부 환경을 모사하여 어떤 부품이 고주파음을 발생시키는지 여부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원공급을 위한 메인전원장치와, 특정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발생장치와, 상기 메인전원장치와 연결되고 전자부하를 부가하는 전자부하장치와, 상기 메인전원장치 및 전자부하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작동중에 상기 주파수발생장치 및 전자부하장치에 의한 리플전류를 전달받아 피시험되는 피시험부품과, 상기 피시험부품과 고주파음 측정용 마이크를 수납하여 외부소음을 차단하고 그 내부에 수납된 피시험부품에서 리플전류에 의한 고주파음이 발생되는지 여부가 측정되는 소음챔버를 포함한다,
상기 피시험부품에는 보조전원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보조전원장치에 의해 피시험부품이 선택적으로 시동된다.
상기 주파수발생장치는 2Khz 내지 8Khz 사이의 고주파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자부하장치는 자동차의 교류모터에 대응하는 부하를 가하여 리플전류를 생성한다.
상기 피시험부품의 인버터연결부에 상기 전자부하장치가 연결된다.
상기 피시험부품 또는 전자부하장치에는 전류센서가 구비되어 회로 내부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자부하를 이용한 리플전류를 발생시키는 리플전류생성단계와, 메인전원장치를 이용하여 피시험부품에 전원을 인가하고 동시에 앞서 발생시키는 리플전류를 피시험부품에 가하는 구동단계와, 구동된 피시험부품으로부터 고주파음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마이크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측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리플전류생성단계는 전자부하장치를 이용하여 파형을 조정하는 리플전류조정단계와, 주파수발생장치를 이용해서 상기 전자부하장치에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인가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단계에서 상기 마이크와 피시험부품은 소음챔버 내에 수납된 상태로 측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단계는 보조전원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시험부품을 시동하는 시동단계와, 상기 메인전원장치를 이용하여 피시험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부하는 메인전원장치에 연결되어 메인전원장치에 부하를 가하여 회로 내부에 리플전류를 발생시킨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음 측정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고주파음 측정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주파수발생장치와 전자부하장치를 통해서 자동차 내부의 리플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발생된 리플전류는 피시험부품에 전달되어 피시험부품이 고주파 소음을 발생시키는지 여부를 측정함으로써 자동차 내부의 고주파 소음의 원인을 규명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자동차를 이용하지 않고, 자동차의 내부 환경을 모사하여 특정 부품이 고주파음을 발생시키는지 여부를 간편하고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주파수발생장치와 전자부하장치는 조정가능한 것이므로, 차량의 종류나 기타 환경에 따라 조건을 달리하면서 다양한 시험을 할 수 있으므로, 시험편의성과 정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인버터 없이도 전자부하장치와 주파수발생장치만으로 교류전류와 유사한 파형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고주파음 측정시스템의 구조가 더욱 간단해지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우수한 측정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음 측정시스템의 일실시례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실제모습을 보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소음을 측정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표현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전기자동차에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가 사용된다. 최근에는 사용 및 제작의 용이성을 이유로 교류모터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외부에서 받아들인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컨버터'와 그 직류를 저장할 '배터리', 그리고 교류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배터리의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가 차량 내에 탑재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교류모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구동 과정에서 고주파 소음이 발생한다. 고주파 소음은 주로 자동차의 급가속이나 급감속 시에 일어난다. 그 이유는 급가속이나 급감속 시에 전류가 가변되어 리플전류가 생성되고, 리플전류에 의해 자기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리플전류란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직류성분에 중첩적으로 교류성분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며, 리플전류나 고주파 성분은 전력공급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논리 동작을 오작동하게 할 뿐 아니라 소음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어떠한 부품이 가변 전류의 영향을 받아 소음을 발생시키는지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 자동차를 이용하여 조사하는 것은 어려움이 따르므로, 본 발명은 실제 자동차의 내부 회로구조를 구현하되, 최소 부품으로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는 메인전원장치(10)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전원장치(10)는 메인파워서플라이로서 실제 자동차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예를 들어 자동차의 배터리에 해당한다. 상기 메인전원장치(10)는 200A 이상의 전원을 공급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20V, 420A를 발생시키는 메인전원장치(10)가 사용된다.
상기 메인전원장치(10)는 직류를 발생시킨다. 자동차 내부에서 교류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은 교류이므로, 교류를 모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주파수발생장치(20)가 사용된다. 주파수발생장치(20)는 교류와 같은 사인파를 발생시킨다. 실제 시험은 직류전원을 이용하지만, 주파수발생장치(20)를 통해서 교류가 발생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주파수발생장치(20)는 2Khz 내지 8Khz의 고주파를 발생시킨다. 실제 자동차의 내부에서는 주로 8Khz의 주파수가 발생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주파수발생장치(20)는 함수 발생기(펑션 제네레이터)이고, 사인파형의 주파수를 전류를 만들어낸다.
상기 주파수발생장치(20)는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음 측정시스템에 설치되는데, 메인전원장치(1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주파수발생장치(20)는 전자부하장치(30)에 연결되어 전자부하장치(30)에 고주파의 전류를 유도한다. 물론, 주파수발생장치(20)는 전자부하장치(30)가 아니라 피시험부품(100)을 비롯한 시스템 내부의 어떠한 곳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전원장치(10)에는 전자부하장치(30)가 연결된다. 상기 전자부하장치(30)는 시스템에 부하를 가하는 역할을 한다. 실제 자동차에 설치된 배터리는 교류모터에 전원을 공급한다. 교류모터는 그 자체가 일종의 저항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실제 자동차를 이용하여 소음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교류모터에 대응하는 부하가 필요하고, 상기 전자부하장치(30)가 그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전자부하장치(30)는 일종의 저항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 자동차에서 메인전원장치(10)인 메인파워서플라이와 교류모터 사이에는 인버터가 설치되어 직류를 교류로 바꿔주는데, 본 발명에서 전자부하장치(30)는 인버터 및 이에 연결된 교류모터 모두를 모사한 것이라고 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자부하장치(30)는 상기 메인전원장치(10)에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메인전원장치(10)의 하부에 전자부하장치(30)가 설치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전자부하장치(30)는 반드시 메인전원장치(10)에 일체로 구비될 필요는 없고, 별개물로 피시험부품(100)과 주파수발생장치(20)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부하장치(30)는 메인전원장치(10)에 피시험부품(100)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자부하장치(30)는 부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적절한 리플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소음챔버(40)가 구비된다. 상기 소음챔버(40)는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여 고주파음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소음챔버(40)의 내부에는 소정의 측정공간이 있고, 여기에는 피시험부품(100)과 마이크(50)가 설치된다. 상기 마이크(50)는 소음챔버(40) 내부에서 피시험부품(100)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특히 고주파 소음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마이크(50)에는 별도의 측정장치가 연결되어 측정되는 소음을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소음챔버(40)의 내부에는 피시험부품(100)이 수납된다. 상기 피시험부품(100)은 자동차 내부에 실제 장착되는 전장품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피시험부품(100)은 PRA( Power Relay Assembly), 즉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이다. PRA는 고전압의 흐름을 차단 및 연결 하는 장치로 메인전원장치(10)와 인버터 사이에 설치되어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한다. PRA내 구성부품은 메인릴레이, 프리챠지 릴레이, 프리챠지 레지스터, 메인퓨즈 및 버스바 등이 있다.
PRA에는 시동전원이 필요하므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PRA에 시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장치(미도시)가 연결된다. 상기 보조전원장치는 피시험부품(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내장된 메인릴레이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먼저 보조전원장치에 의해 PRA가 구동된 후에 상기 메인전원장치(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피시험부품(100)은 전자부하장치(30)와 메인전원장치(10)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메인전원장치(10)에서 피시험부품(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피시험부품(100)은 이를 전자부하장치(30)에 전달하고, 전자부하장치(30)는 다시 메인전원장치(10)에 연결되는 회로를 구성한다. 이 과정에서 주파수발생장치(20)에 의해 고주파 전류가 회로내에 흘러 일종의 교류전류와 같은 파형을 구현하고, 전자부하장치(30)를 거치면서 리플전류가 발생하여 피시험부품(100)에 고주파 소음을 유도한다.
한편, 상기 피시험부품(100) 또는 전자부하장치(30)에는 전류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류센서(미도시)는 본 발명의 고주파음 측정시스템을 구성하는 회로 내부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전자부하장치(30)에 연결되어 전자부하장치(30)에서 메인전원장치(10) 방향으로 나가는 전류값을 측정한다. 도면부호 35는 전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음 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소음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음 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교류와 유사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단계가 선행된다(S10). 리플전류생성단계는 전자부하를 이용해서 리플전류를 발생시키는 과정으로, 자동차 내부에서 인버터를 통해 직류가 교류로 전환된 회로를 구현하는 것이다. 교류와 같은 사인파형을 만들어내면 피시험부품(100)이 실제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것과 같은 환경이 된다.
이를 위해, 리플전류생성단계에서 전자부하장치(30)를 이용하여 파형을 조정하는 리플전류조정단계가 선행된다. 전자부하장치(30)는 교류모터에 의해 가해지는 부하를 모사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생략된 교류모터를 대신할 수 있다. 전자부하장치(30)는 인가되는 저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시험자가 전자부하장치(30)를 조작하여 부하의 크기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만약 적절한 리플전류가 생기지 않는다면, 조정을 통해 리플전류를 생성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리플전류생성단계는 본격적인 시험에 앞서 미리 세팅된다.
그리고, 주파수발생장치(20)를 이용해서 상기 전자부하장치(30)에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인가단계가 포함된다.(S20) 주파수발생장치(20)를 이용하여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면, 사인파형이 발생한다. 사인파형이 발생한 상태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이 가동하여 피시험부품(100)의 소음발생여부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전류의 파형을 모니터링하고, 만약 리플전류가 발생되지 않는다면 주파수발생장치(20)와 전자부하장치(30)를 재조정하여 적절한 리플전류가 발생시켜야 한다.(S30)
이 상태에서 메인전원장치(10)를 구동한다.(S40) 즉 메인전원장치(10)를 이용하여 피시험부품(100)에 전원을 인가하고 동시에 앞서 발생시키는 리플전류를 피시험부품(100)에 가하는 구동단계가 이어진다. 본 구동단계는 보조전원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시험부품(100)을 시동하는 시동단계(S50)와, 상기 메인전원장치(10)를 이용하여 피시험부품(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계로 구성된다. 시동단계는 PRA의 메인릴레이를 ON시키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메인전원장치(10)를 구동하면, 메인전원장치(10)의 직류전원이 피시험부품(100)에 전달되고, 이는 피시험부품(100)을 통해 전자부하장치(30)에 전달된다. 전자부하장치(30)는 교류모터에 의해 가해지는 로드를 구현하고, 주파수발생장치(20)에 의한 고주파를 리플전류로 만들어 실제 자동차의 구동과 매우 유사한 환경을 구현해준다. 즉, 실제 자동차의 PRA는 인버터를 거쳐 교류모터에 교류전원을 공급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인버터가 생략되고 주파수발생장치(20)와 전자부하장치(30)가 그 역할을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피시험부품(100)에 구동된 피시험부품(100)으로부터 고주파음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마이크(50)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측정단계가 이루어진다.(S60) 이때 소음챔버(40) 내에서 소음이 측정되므로 외부 소음으로부터 벗어나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피시험부품(100)에서 고주파 소음이 발생하였다면, 실제 자동차에서 발생된 소음의 원인의 전부 또는 일부는 피시험부품(100)임을 확인할 수 있다. 피시험부품(100)이 고주파 소음을 발생시킨다고 판단되면 이후에는 피시험부품(100)의 기구적, 전기적 구조를 개선하여 고주파소음을 줄이는 설계변경단계가 더 이어질 것이다.
이러한 시험은 발생하는 주파수를 변경하면서 다르게 더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발생장치(20)는 2Khz에서 8Khz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므로, 시험을 하고자 하는 자동차의 주파수와 동일하게 변형하여 시험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 내부에 발생되는 주파수의 범위가 5Khz 내지 8Khz 라면, 주파수발생장치(20)를 조작하여 이 범위에 맞는 주파수를 발생시키면서 다수회 시험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피시험부품(100)은 교체가능한 것이므로, PRA가 아닌 다른 피시험부품(100)을 이용하여 동일한 시험을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자동차 내부의 소음원인을 밝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 자동차를 가지고 소음을 측정하지 않더라도, 이와 유사한 환경을 모사한 고주파음 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간편하고 정확한 고주파음 측정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앞선 실시례에서는 피시험부품(100)으로 PRA를 예로 들었지만, 피시험부품(100)은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을 인가받는 모든 전장품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10: 메인전원장치 20: 주파수발생장치
30: 전자부하장치 40: 소음챔버
50: 마이크 100: 피시험부품

Claims (10)

  1. 전원공급을 위한 메인전원장치와,
    특정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발생장치와,
    상기 메인전원장치에 전자부하를 부가하고 주파수발생장치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리플전류를 생성하는 전자부하장치와,
    상기 메인전원장치 및 전자부하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작동중에 상기 주파수발생장치 및 전자부하장치에 의한 리플전류를 전달받아 피시험되는 피시험부품과,
    상기 피시험부품과 고주파음 측정용 마이크를 수납하여 외부소음을 차단하고 그 내부에 수납된 피시험부품에서 리플전류에 의한 고주파음이 발생되는지 여부가 측정되는 소음챔버를 포함하는 고주파음 측정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험부품에는 보조전원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보조전원장치에 의해 피시험부품이 선택적으로 시동되는 고주파음 측정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발생장치는 2Khz 내지 8Khz 사이의 고주파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자부하장치는 자동차의 교류모터에 대응하는 부하를 가하여 리플전류를 생성하는 고주파음 측정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험부품의 인버터연결부에 상기 전자부하장치가 연결되는 고주파음 측정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험부품 또는 전자부하장치에는 전류센서가 구비되어 회로 내부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고주파음 측정시스템.
  6. 주파수발생장치 및 전자부하장치를 이용하여 리플전류가 발생되는 리플전류생성단계와,
    메인전원장치를 이용하여 피시험부품에 전원이 인가되고 동시에 앞서 발생된 리플전류가 피시험부품에 가해지는 구동단계와,
    구동된 피시험부품으로부터 고주파음이 발생되는지 여부가 마이크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측정단계를 포함하는 고주파음 측정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전류생성단계는
    전자부하장치를 이용하여 파형을 조정하는 리플전류조정단계와,
    주파수발생장치를 이용해서 상기 전자부하장치에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인가단계를 포함하는 고주파음 측정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에서 상기 마이크와 피시험부품은 소음챔버 내에 수납된 상태로 측정이 이루어지는 고주파음 측정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단계는
    보조전원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시험부품을 시동하는 시동단계와,
    상기 메인전원장치를 이용하여 피시험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계를 포함하는 고주파음 측정방법.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하는 메인전원장치에 연결되어 메인전원장치에 부하를 가하여 회로 내부에 리플전류를 발생시키는 고주파음 측정방법.
KR1020160181154A 2016-12-28 2016-12-28 고주파음 측정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고주파음 측정방법 KR20180076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154A KR20180076700A (ko) 2016-12-28 2016-12-28 고주파음 측정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고주파음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154A KR20180076700A (ko) 2016-12-28 2016-12-28 고주파음 측정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고주파음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700A true KR20180076700A (ko) 2018-07-06

Family

ID=6292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154A KR20180076700A (ko) 2016-12-28 2016-12-28 고주파음 측정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고주파음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67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811A (ko) * 2020-07-20 2022-01-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브레이크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811A (ko) * 2020-07-20 2022-01-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브레이크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8373B2 (en) Diagnostic device for checking a control signal line
JP2008014945A (ja) It給電系内の絶縁抵抗を測定する方法
JP5538662B2 (ja) 車両接近通報装置、およびその故障診断方法
KR101887899B1 (ko) 구동 ic의 출력 핀간 단락 진단 장치 및 구동 ic 간 단락 진단 장치
JP2006250818A (ja) 電気設備診断システム
US9372218B2 (en) Diagnostic device for checking a control signal line
Doersam et al. High frequency impedance of Li-ion batteries
JP6373296B2 (ja) 絶縁抵抗監視装置およびその監視制御方法ならびに電動制御機器
JP6365431B2 (ja) 充放電試験装置の校正方法
US7612576B1 (en) Method for detecting an inverter hardware failure in an electric power train
KR20180076700A (ko) 고주파음 측정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고주파음 측정방법
JP5359106B2 (ja) 地絡継電器試験装置
JP6337836B2 (ja) 充放電試験装置の校正方法
JP2016130706A (ja) 非接地電源の絶縁検出装置
KR20190071522A (ko) 모터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05073740A1 (ja) 試験装置及び試験方法
CN110361206A (zh) 车辆稳定控制系统的测试装置以及测试台架
KR20140061040A (ko) 에뮬레이터를 이용한 bms 테스트 방법
US10598721B2 (en) Mobile high-voltage tester
JP2017219352A (ja) 絶縁検査用電源装置
CN110442116A (zh) 用于车辆稳定控制系统的测试装置的测试方法
KR101647138B1 (ko) 휴대형 부분 방전 모의 발생장치
KR101489303B1 (ko) 전동차용 전력반도체 드라이버 및 인버터 스택 범용 시험장치
Bracker et al. Simulation of inductive loads
JP2005140555A5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