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445A - 산화질소 생산을 억제하는 망기페린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화질소 생산을 억제하는 망기페린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445A
KR20180076445A KR1020160180592A KR20160180592A KR20180076445A KR 20180076445 A KR20180076445 A KR 20180076445A KR 1020160180592 A KR1020160180592 A KR 1020160180592A KR 20160180592 A KR20160180592 A KR 20160180592A KR 20180076445 A KR20180076445 A KR 20180076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ivative
mangiferin
perine
manganes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8346B1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80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3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7/00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7/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oxygen as ring hetero at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화질소 생산을 억제하는 망기페린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대식세포의 NO 생산 억제 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없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망기페린 유도체는 망기페린을 혼합한 혼합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망기페린 유도체는 하기의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으로 표시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4

[화학식 2]
Figure pat00015

[화학식 3]

Description

산화질소 생산을 억제하는 망기페린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NOVEL MANGIFERIN DERIVATIVES AND COMPOSITION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산화질소 생산을 억제하는 망기페린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반응은 조직(세포)이 손상되거나 외부 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국소 혈관과 체액에 존재하는 각종 염증 매개 인자 및 면역세포가 관련되어 효소 활성화, 염증매개물질 분비, 체액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홍반, 부종 발열 통증 등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염증반응은 외부 감염원을 제거하고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여 생명체 기능회복작용을 유도한다. 그러나 항원이 계속 제거되지 않거나 특정한 내부물질이 원인이 되어 염증반응이 지속되면 과민성 질환이나 만성 염증이 되며, 수혈, 약물투여, 장기이식 등의 치료과정에서도 장해 요인이 된다.
이러한 염증 반응에는 다양한 생화학적 현상이 관여하는데, 특히 산화질소(nitric oxide, NO)는 산화질소 합성효소(nitric oxide synthase; NOS)에 의해 형성되어 염증 반응을 매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화질소는 반감기가 짧은 반응성 질소물로서, 혈관의 이완, 신경 전달, 혈액응고, 염증 반응 및 종양세포나 기생생물에 대한 숙주면역계의 방어기능 등 여러 가지 생리적 기능을 나타내지만, 특정 산화질소 합성효소의 작용 또는 고농도도 존재할 경우 세포독성을 나타낸다.
산화질소 합성효소(NOS)로는 여러 종류가 존재하는데, cNOS(constitutive NOS: 이미 세포 내에서 존재하는 단백질로 어떤 자극에 의하여 활성을 갖게 되는 것)인 뇌에 존재하는 bNOS(brain NOS), 신경계에 존재하는 nNOS(neuronal NOS), 혈관계에 존재하는 eNOS(endothelial NOS) 등은 체내에 항상 일정수준으로 발현되고 있다. 이들에 의해 소량 생성되는 NO는 신경전달이나 혈관확장을 유도하는 등 정상적인 신체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면 각종 사이토카인(cytokines)이나 외부 자극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iNOS(inducible NOS)에 의해 급격히 과량 발생되는 NO는 세포독성이나 각종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식세포(macrophage)는 세포의 손상과 염증반응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대식세포가 LPS(lipopolysaccharide)나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interleukin-1β(IL-1β) 및 interferon-γ(IFN-γ) 등의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면 superoxide와 과산화수소(H2O2) 등과 같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을 분비하게 되는데, 이들에 의해서 대식세포 활성화가 진행되고 미생물 살균효과와 세포 용해 기능 등의 기능을 보여준다.
반면에, 자극된 대식세포는 유발형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유전자의 발현을 통하여 고농도의 산화질소(NO)와 그 산화물인 nitrite(NO2 -)와 nitrate(NO3 -)를 생성함으로써, 염증반응을 증가시키고 세포와 조직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염증 치료는 대식세포에서 NO의 과도한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한 타켓이 되고 있다.
현재까지 항염증제로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가 많이 사용되어 왔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일시적으로 염증 감소 및 통증 완화 효과가 우수하지만, 이를 장기간 복용하게 되면 위장관계의 소화성 궤양출혈로 인한 이차적 빈혈 초래, 혈소판 기능 억제, 분만 유도 억제, 신장에 대한 부작용, 간장 손상, 과민 반응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한다.
따라서 종래 항염증제의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하여 인체에 부작용이 적고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 유래 항염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 천연물을 이용한 항염증 치료제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30207호는 알로에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을 소거하고 일산화질소(NO, nitric oxide, NO) 생성 및 유도형 일산화질소 합성효소(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etase)와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OX-2, cyclooxygenase) 활성을 억제하여 항산화,항염증 또는 면역조절 활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91398호는 질소산화물(NO) 생성 억제,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생성 억제, 유도성 질소 산화물 합성효소(iNOS) 발현 억제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1β(IL-1β) 발현 억제 활성을 통하여 항염증 효과를 갖는 해조류인 쇠꼬리산말(Desmarestia virid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망기페린은 Anarcardiaceae, Gentianaceae, Clusiaceae 및 Asparagaceae 의 종에 속하는 식물에서 발견되는 대표적인 C-glucosidic xanthone로서, 특히, Anarcardiaceae 에 속하는 망고의 껍질에 높은 함량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망기페린은 이전의 연구로부터 항비만, 항산화, 항당뇨, 항바이러스 및 면역조절 등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현재도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연구는 망기페린의 새로운 효능을 확인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고 있으며, 망기페린의 구조적 변형에 의한 유도체의 생성 및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는 전무하였다.
본 발명자는 천연소재 유래의 항염제 및 NO 저해제의 개발의 일환으로 망기페린 및 혼합용액에 방사선 조사하여 생성된 망기페린의 신규 유도체를 발견하였으며, 상기 유도체가 LPS(lipopolysaccharide)로 염증이 유도된 RAW264.7 대식세포에서 NO 생산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30207호(알로에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면역조절 활성을 갖는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제10-0991398호(쇠꼬리산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식세포의 NO 생산 억제 활성이 우수하며, 부작용이 없는 신규한 망기페린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망기페린 유도체는 하기의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으로 표시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망기페린 유도체는 하기의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망기페린을 혼합한 혼합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상기 방사선은 감마선, 전자선, UV 및 X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방사선은 10 내지 200 kGy의 선량으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및 화학식 3의 망기페린 유도체는 NO(Nitric oxide)의 생산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항염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망기페린 혼합용액은 시중에 판매되는 망기페린 시약을 직접 구매하여 유기용매와 혼합한 것이거나, 망고 추출물 등의 망기페린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망고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 추출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유기용매 추출물, 조추출물 또는 이의 농축물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 의 저급 알코올, 헥산, 아세트산에틸, 디클로로메탄,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n-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은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은 1 내지 100%(v/v%),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90%, 95%, 100% 알코올일 수 있다. 부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때는 수포화 부탄올(75~85% 부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고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 또는 분획물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분획물에 포함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술된 화학식 1, 화학식 2 및 화학식 3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망기페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시한다.
상기 항염증 조성물은 NO(Nitric oxide)의 생산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항염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항염증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 가능성 식품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어야 한다.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제제화 방법, 환자의 상태 및 체중, 환자의 성별, 연령, 질환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 배설 속도, 반응 감응성 등과 같은 요인들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유효량은 당업자에게 인식되어 있듯이 처리의 경로, 부형제의 사용 및 다른 약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 망기페린(mangiferin)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의 생체 조절 기능을 강조한 식품으로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특정 목적에 작용 및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이다. 이러한 기능성 식품의 성분은 생체 방어와 신체 리듬의 조절, 질환의 방지 및 회복에 관계하는 신체 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하게 되며, 식품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 감미료 또는 기능성 원료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기능 식품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상기 음료에는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야채 음료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공지의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 정제, 과립, 분말, 캡슐, 액상의 용액, 환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여러 가지 향미제,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향미제가 있으며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과 같은 당알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나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무수 구연산과 같은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 제조를 위한 과육 등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망기페린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의하면, 대식세포의 NO 생산 억제 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없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도표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화학식 1, 2, 3 및 4 에 의해 표기되는 각각의 화합물을 순서대로 화합물 1, 2, 3 및 4 로 표기하기로 한다.
실시예 1. 화합물의 분리
메탄올 300ml에 망기페린(화합물 4) 500 mg을 넣은 샘플용액을 50 kGy(흡수선량 absorbed dose)에서 조사시키고, 건조공정을 수행하였다.
건조된 샘플을 YMC GEL ODS AQ 120-50S column (1.5 cm i.d. × 40 cm)를 이용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분리하였다.
용매는 메탄올과 물의 혼합용매로 메탄올의 양을 늘려가면서 스텝-그래디언트(stepwise gradient) 방식으로 사용하였으며, 화합물 1 (40.7 mg, tR 7.2 min), 화합물 2 (5.9 mg, tR 9.5 min) 및 화합물 3(14.1 mg, tR 10.3 min)을 순수 분리하였다.
Reversed-phase HPLC analysis는 YMC-Pack ODS A-302 column (4.6 mm i.d. × 150 mm; YMC Co., Ltd.) 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용매 시스템은 linear gradient MeCN-0.1% HCOOH/H2O(측정: UV280nm; 유속: 1.0 ml/min; 온도 40℃)으로 이루어졌다.
실시예 2. 화합물의 동정
화합물 1은 노란색 비정질의 파우더로 분리되었으며, 13C-NMR과 HRFABMS의 측정치(m/z 467.1188 [M-H]- (calcd. for C21H23O12, 467.1190))및 분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C21H24O12의 분자식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UV 스펙트럼의 220nm 와 260 nm에서 최대 흡수파장은 크산텐 핵(xanthene nucleus)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하기의 표 1은 화합물 1, 화합물 2 및 화합물 3의 1H NMR 과 13C-NMR 데이터를 보여준다.
Figure pat00005
표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화합물 1의 1H NMR spectrum 은 δH 6.93 (1H, s, H-8), 6.41 (1H, s, H-5) 및 6.06 (1H, s, H-4)에서 3개의 proton 시그날을 보여주었으며, 화합물 1은 크산텐 moiety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에 속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δH 4.91 (1H, d, J = 10.2 Hz, H-1′)에서 anomeric protons 과 δH 3.82-3.41에서 6개의 oxygen-bearing protons이 관찰되었으며, 이로부터 화합물 1에서 glucopyranosyl unit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화합물 1의 1H NMR spectrum 은 δH 4.43 (1H, d, J = 11.4 Hz, H-11), 4.33 (1H, d, J = 11.4 Hz, H-12), 3.82 (1H, d, J = 11.4 Hz, H-11)와 3.81 (1H, d, J = 11.4 Hz, H-12)에서 2개의 hydroxymethyl groups 과 일치하는 공명(구조)를 보여주었다.
1H NMR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화합물 1의 13C NMR 과 HSQC spectra 는 화합물 1의 C-9 위치에서 ketone moiety 대신에 H-11 (δc 66.7) 과 H-12 (δc 67.7)에서 2개의 hydroxymethyl groups의 존재를 제외하고는 모 화합물인 망기페린과 매우 유사함을 보여주었다.
화학식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화합물 1의 HMBC spectrum 은 H-11/C-8a, 9, 9a 와 H-12/C-8a, 9, 9a correlations을 보여주었으며, C-9 위치에서 hydroxymethyl residues가 확인되었다.
분광해석은 Extended 2D NMR techniques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새로운 화합물 1은 방사선에 의해 변형된 2개의 hydroxymethyl groups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화합물 1을 mangiferdiol로 명명하였다.
화합물 2와 3의 HRFABMS는 m/z 451.1241 [M-H] (calcd. for C21H23O11, 451.1240)에서 identical molecular ion peaks를 보여주었다. 더불어, 상기 화합물 2와 3은 Mangiferdiol 보다 하나의 산소 원자가 적은 C21H24O11의 구조식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H NMR 과 13C NMR spectral data는 화합물 2와 3이 화합물 1과 유사함을 보여주었으나, 화합물 1은 H-12에서 hydroxymethyl signal을 보여주는 반면, 화합물 2와 3는 H-12에서 methyl signal의 존재를 보여주었다.
메틸기의 위치는 H-12/ C-8a, 9, 9a 의 HMBC correlations에 의해 확인되어졌다. 화합물 2의 상대적인 입체구조 및 그것의 에피머인 화합물 3은 비선광도를 비교함으로써 확인되어졌다.
상기의 결과를 토대로, 망기페린의 새로운 방사선 분해물로서, 화합물 2과 3는 각각 mangiferinol 과 isomangiferinol 로 명명되어졌다.
Mangiferdiol (화합물 1): 노란색 비정질의 파우더, [α]25 D -34.0 (c 0.1, MeOH); UV (MeOH) λmax (log ε): 220(3.09), 260 (1.03) nm; 1H and 13C NMR, 표 1에 도시;FABMS m/z 467 [M-H]-, HRFABMS m/z 467.1188
[MH]- (calcd. for C21H23O12, 467.1190).
Mangiferinol (화합물 2): 노란색 비정질의 파우더, [α]25 D -42.1 (c 0.1, MeOH); UV (MeOH) λmax (log ε): 221(3.24), 260 (1.09) nm; 1H and 13C NMR, 표 1에 도시; FABMS m/z 451 [M-H]-, HRFABMS m/z 451.1241
[M-H]- (calcd. for C21H23O11, 451.1240).
Isomangiferinol (화합물 3): 노란색 비정질의 파우더, [α]25 D +53.0 (c 0.1, MeOH); UV (MeOH) λmax (log ε): 221(3.23), 260 (1.08) nm; 1H and 13C NMR, 표 1에 도시; FABMS m/z 451 [M-H]-, HRFABMS m/z 451.1241
[M-H]- (calcd. for C21H23O11, 451.1240).
실시예 3. NO 억제 활성의 측정
망기페린(화합물 4)로부터 순수 분리된 화합물 1, 화합물 2, 화합물 3의 LPS-stimulated RAW 264.7 cells에서 NO 생산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표 2는 화합물 1 내지 3의 NO 생산 억제 활성을 보여준다.
Figure pat00006
모든 실험 결과는 3회 이상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기초로 Mean ± S.D. 로 나타내었으며, p-value가 0.05 미만일 경우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이때, Aminoguanidine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화합물에서,(C-9에서 ketone moiety 대신에 2개의 hydroxymethyl groups를 갖는 )변형된 망기페린 유도체(화합물 1)는 47.1 ± 1.7 μM의 IC50 값을 보여주어 우수한 NO생산 억제능을 보여주었다.
반면에, 화합물 2와 이의 C-9 에피머인 화합물 3은 각각 76.0 ± 2.0 와 82.0 ± 2.1 μM의 IC50값을 보여주어 다소 낮은 NO 생산 억제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mangiferin skeleton에서 C-9 ketone 위치에서 hydroxymethyl groups의 수는 NO 생산의 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정된다.
산소의 존재에서 메탄올의 방사선 분해는 methoxy (CH3O·), hydroxyalkyl (·CH2OH), hydrogen (H·), superoxide anion (O2 ·), 및 peroxyl (HOO·) 라디칼과 같은 다양한 자유 라디칼을 생산할 수 있으며, 산소를 함유한 화합물의 생산을 이끈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상기 결과를 통해 메탄올 방사선 분해에 의해 발생된 자유 라디칼은 새로운 화합물의 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및 화학식 3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망기페린(mangiferin)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pat00007

    [화학식 2]
    Figure pat00008

    [화학식 3]
    Figure pat00009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기페린 유도체는
    하기의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망기페린을 혼합한 혼합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기페린 유도체.

    [화학식 4]
    Figure pat00010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망기페린 혼합용액은
    망기페린과 탄소수 1 내지 4의 유기용매를 혼합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기페린 유도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감마선, 전자선, UV 및 X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기페린 유도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10 내지 200 kGy의 선량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기페린 유도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기페린 유도체는
    NO(Nitric oxide)의 생산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기페린 유도체.
  7.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및 화학식 3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망기페린(mangiferin)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1

    [화학식 2]
    Figure pat00012

    [화학식 3]
    Figure pat00013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 조성물은
    NO(Nitric oxide)의 생산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기페린(mangiferin)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 가능성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기페린(mangiferin)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0160180592A 2016-12-28 2016-12-28 산화질소 생산을 억제하는 망기페린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928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592A KR101928346B1 (ko) 2016-12-28 2016-12-28 산화질소 생산을 억제하는 망기페린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592A KR101928346B1 (ko) 2016-12-28 2016-12-28 산화질소 생산을 억제하는 망기페린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445A true KR20180076445A (ko) 2018-07-06
KR101928346B1 KR101928346B1 (ko) 2018-12-12

Family

ID=62920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592A KR101928346B1 (ko) 2016-12-28 2016-12-28 산화질소 생산을 억제하는 망기페린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3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346B1 (ko)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1788B2 (ja) 新規なレスベラトロール重合化合物又はその薬学的に許容可能な塩
US7829591B2 (en) Flavanone compound and uses thereof
KR101937345B1 (ko) 미성숙 사과 추출물 및 바이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Rivera-Tovar et al. Maqui (Aristotelia chilensis (Mol.) Stuntz) and murta (Ugni molinae Turcz): Native Chilean sources of polyphenol compounds.
JP6049200B2 (ja) マイコスポリン様アミノ酸及びその製造方法、紫外線防護剤、並びに抗酸化剤
KR101453609B1 (ko) 조팝나무잎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헤미테르펜 글루코사이드 화합물 및 이의 항산화 및 항염 용도
JP4268900B2 (ja) 抗酸化剤、抗菌剤、抗腫瘍剤及び飲食品
KR101928346B1 (ko) 산화질소 생산을 억제하는 망기페린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WO2022254867A1 (ja) 新規フェニルプロパノイド化合物
JP6045688B2 (ja) 1,5−アンヒドロ−d−グルシトール含有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20200090573A (ko) 홍삼 및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JP7124145B2 (ja) Tie2活性化用組成物
KR101768084B1 (ko) 홍삼 추출물 및 그의 제조 방법
Ordaz-Trinidad et al. Patents on phytochemicals: methodologies of extraction, application in food and pharmaceutical industry
JP5526948B2 (ja) 2,6−ジプレニル−4−ビニルフェノールの生成方法
Abdelkarim et al. Pomegranates bioactive metabolites and biological activities: an updated review
KR102384358B1 (ko) 홍삼의 비수용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590758B1 (ko) 안토시아니딘 성분인 시아니딘, 델피니딘, 페튜니딘등을 함유한 빌베리 추출물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90057504A (ko) 안정성이 향상된 항산화 조성물
KR20110015867A (ko) 좀사방오리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20130060435A (ko) 가공 인삼 추출물을 함유한 간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기능식품
KR101867516B1 (ko) 아선약 유래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 활성을 갖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Cane et al. Research Article Macrophylloflavone: A New Biflavonoid from Garcinia macrophylla Mart.(Clusiaceae) for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Anti-Type 2 Diabetes Mellitus Activities
KR20220139512A (ko) 떨꿩나무 잎 유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로시나제 활성 저해능력 조성물
KR101630439B1 (ko) 물오리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