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210A - 차량용 램프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210A
KR20180076210A KR1020160180425A KR20160180425A KR20180076210A KR 20180076210 A KR20180076210 A KR 20180076210A KR 1020160180425 A KR1020160180425 A KR 1020160180425A KR 20160180425 A KR20160180425 A KR 20160180425A KR 20180076210 A KR20180076210 A KR 20180076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light
vehicle
reflector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6724B1 (ko
Inventor
나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0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724B1/ko
Priority to US15/816,611 priority patent/US10317033B2/en
Priority to EP17210342.6A priority patent/EP3343097B1/en
Priority to CN201711423647.5A priority patent/CN108237964B/zh
Publication of KR20180076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21S41/6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changing their light transmissivity, e.g. by liquid crystal or electrochromic devices
    • F21S41/64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changing their light transmissivity, e.g. by liquid crystal or electrochromic devices by electro-optic means, e.g. liquid crystal or electrochrom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38Actuating means for dimming masks 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switching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21S41/148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89Flaps, i.e. screens pivoting around one of their 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소정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쉴드 및 빔 패턴이 가변되도록 광 투과율을 변경하는 제2 쉴드를 포함하는 쉴드부, 상기 쉴드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빔 패턴 변경시 상기 쉴드부 및 상기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및 그것의 제어방법{LAMP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한편,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해 차량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자율 주행 자동차(Autonomous Vehicle)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차량에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을 할 때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는 전방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토록 하는 전조등,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점등되는 브레이크등,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 사용되는 방향지시등과 같이 램프를 이용하여 직접 발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는 자기 차량이 외부에서 용이하기 인식될 수 있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기 등이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ADAS(Advanced Driving Assist System)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차량 운행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와 안전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ADAS를 반영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빛을 출력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최적화된 방식으로 빛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빔 패턴을 최적화된 방법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로우 빔(Low-beam) 출력 시 로우빔 패턴을 최적화된 방법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컷 오프(cut-off)라인 주변 영역의 빔 패턴을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하이 빔(High-beam) 출력 시 하이빔 패턴을 최적화된 방법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도 다른 일 목적은, 로우빔 패턴의 광을 보강 또는 하이빔 패턴의 광을 보강을 최적화된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소정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쉴드 및 빔 패턴이 가변되도록 광 투과율을 변경하는 제2 쉴드를 포함하는 쉴드부; 상기 쉴드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빔 패턴 변경시 상기 쉴드부 및 상기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상기 제1 쉴드가 회전 가능한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쉴드가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쉴드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각 픽셀별로 광 투과율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픽셀은 행렬 형식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각 픽셀은 부분적으로 광 투과율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측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제1 광원, 하측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제2 광원 및 상기 제1 및 제2 광원에서 출력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에서 출력된 광은 상기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후 상기 쉴드부를 거쳐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광원에서 출력된 광은 상기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후 상기 쉴드부를 거쳐 하이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 상기 제1 쉴드가 회전 가능한 몸체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쉴드가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 상기 제2 쉴드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 적어도 일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하여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은, 로우빔을 출력할 때 미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이빔을 출력할 때 상기 제1 쉴드가 회전 가능한 몸체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쉴드가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이빔을 출력할 때, 상기 제2 쉴드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 적어도 일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하여 하이빔 패턴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상기 제1 쉴드 및 상기 제2 쉴드가 회전 가능한 몸체를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쉴드 및 상기 제2 쉴드가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상측방향에 중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쉴드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로우빔을 출력할 때 형성되는 로우빔 패턴은, 상기 제1 쉴드에 의해 형성되는 컷오프(cut-off)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쉴드에 의해 적어도 일부의 광량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차량용 램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각 픽셀별로 독립적으로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는 쉴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는 쉴드와 고정형 쉴드를 함께 이용하여, 보다 세밀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제2 리플렉터 및/또는 보조광원을 이용하여 로우빔 패턴의 광 및 하이빔 패턴의 광을 보강할 수 있는 최적화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살펴본 차량용 램프의 전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광원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 도 12, 도 13a, 도 13b, 도 14, 도 15 및 도 16은 도 8에서 설명한 차량용 램프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로우빔과 하이빔을 출력할 때 도 17에서 살펴본 차량용 램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7에서 살펴본 차량용 램프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로우빔과 하이빔을 출력할 때 도 22에서 살펴본 차량용 램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5는 도 22에서 살펴본 차량용 램프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6 및 도 27은 도 22에서 살펴본 차량용 램프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램프가 적용되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장치(51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주행 상황 정보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제공된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수신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외부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정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이 자율 주행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행 시스템(700)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율 주행 차량(1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주차 시스템(750)에서 생성되는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차량(100)이 메뉴얼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100)은 운행될 수 있다.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10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10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10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10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100)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운행 시스템(7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과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차량(1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UI(User Interfaces) 또는 UX(User Experience)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입력부(210), 내부 카메라(220), 생체 감지부(230), 출력부(250)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입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프로세서(270)에 의해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차량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200)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의 일 영역, 시트(seat)의 일 영역, 각 필러(pillar)의 일 영역, 도어(door)의 일 영역, 센타 콘솔(center console)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head lining)의 일 영역, 썬바이저(sun visor)의 일 영역, 윈드 쉴드(windshield)의 일 영역 또는 윈도우(window)의 일 영역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음성 입력부(211), 제스쳐 입력부(212), 터치 입력부(213) 및 기계식 입력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폰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스쳐 입력부(212)는, 복수의 적외선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 또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TOF(Time of Flight) 방식, 구조광(Structured light) 방식 또는 디스패러티(Disparity)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부(213)는 디스플레이부(251)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1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스티어링 휠, 센테 페시아, 센타 콘솔, 칵픽 모듈, 도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카메라(220)는, 차량 내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 심박동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부(252) 및 햅틱 출력부(2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다양한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 입력부(213)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면서,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도를 가지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TFEL(Thin Film Elecroluminescent),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투과형 투명디스플레이,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251a 내지 251g)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의 일 영역(521a, 251b, 251e), 시트의 일 영역(251d), 각 필러의 일 영역(251f), 도어의 일 영역(251g), 센타 콘솔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의 일 영역, 썬바이저의 일 영역에 배치되거나, 윈드 쉴드의 일영역(251c), 윈도우의 일영역(251h)에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52)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252)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출력부(25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25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프로세서(2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 외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브젝트는, 차량(100)의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물체들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오브젝트(O)는, 차선(OB10), 타 차량(OB11), 보행자(OB12), 이륜차(OB13), 교통 신호(OB14, OB15), 빛, 도로, 구조물, 과속 방지턱, 지형물,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주행 차선, 주행 차선의 옆 차선, 대향되는 차량이 주행하는 차선일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차선(Lane)을 형성하는 좌우측 선(Line)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타 차량(OB11)은, 차량(100)의 주변에서 주행 중인 차량일 수 있다. 타 차량은,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차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타 차량(OB11)은, 차량(100)보다 선행 또는 후행하는 차량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한 사람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OB12)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이륜차(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하고, 2개의 바퀴를 이용해 움직이는 탈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륜차(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2개의 바퀴를 가지는 탈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륜차(OB13)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일 수 있다.
교통 신호는, 교통 신호등(OB15), 교통 표지판(OB14), 도로면에 그려진 문양 또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빛은, 타 차량에 구비된 램프에서 생성된 빛일 수 있다. 빛은, 가로등에서 생성된 빛을 수 있다. 빛은 태양광일 수 있다.
도로는, 도로면, 커브, 오르막, 내리막 등의 경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은, 도로 주변에 위치하고, 지면에 고정된 물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은, 가로등, 가로수, 건물, 전봇대, 신호등,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지형물은, 산, 언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는, 이동 오브젝트와 고정 오브젝트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오브젝트는, 타 차량, 보행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오브젝트는, 교통 신호, 도로,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적외선 센서(350) 및 프로세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카메라(310)는, 차량 외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310a), AVM(A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310b) 또는 360도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310)는, 획득된 영상을 프로세서(370)에 제공할 수 있다.
레이다(320)는, 전자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파 발사 원리상 펄스 레이더(Pulse Radar) 방식 또는 연속파 레이더(Continuous Wave Rad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연속파 레이더 방식 중에서 신호 파형에 따라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o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자파를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구동식 또는 비구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차량(100) 주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광 스티어링에 의해, 차량(100)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100)은 복수의 비구동식 라이다(33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광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초음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은, 초음파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적외선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40)는, 적외선 광을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전자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레이저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초음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적외선 광이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복수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및 적외선 센서(350) 각각은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 프로세서(3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내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타 차량,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일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근거리 통신부(410), 위치 정보부(420), V2X 통신부(430), 광통신부(440), 방송 송수신부(450) 및 프로세서(4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유닛이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부(420)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이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부(4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V2X 통신부(430)는, 서버(V2I : Vehicle to Infra), 타 차량(V2V : Vehicle to Vehicle) 또는 보행자(V2P : Vehicle to Pedestrian)와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유닛이다. V2X 통신부(430)는, 인프라와의 통신(V2I), 차량간 통신(V2V), 보행자와의 통신(V2P)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통신부(440)는, 광을 매개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이다. 광통신부(440)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하는 광발신부 및 수신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00)에 포함된 램프와 일체화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송 송수신부(45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방송 관리 서버에 방송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유닛이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70)는, 통신 장치(4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복수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 장치(400)에 프로세서(4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신 장치(4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와 함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 매틱스(telematics) 장치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메뉴얼 모드인 경우,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조향 입력 장치(510),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장치 또는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차량(100)내 각종 장치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 샤시 구동부(620), 도어/윈도우 구동부(630), 안전 장치 구동부(640), 램프 구동부(650) 및 공조 구동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구동 장치(6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파워 트레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동력원 구동부(611) 및 변속기 구동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차량(100)의 동력원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에너지 기반의 모터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전진(D), 후진(R), 중립(N) 또는 주차(P)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변속기 구동부(612)는, 전진(D) 상태에서, 기어의 물림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샤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조향 구동부(621), 브레이크 구동부(622) 및 서스펜션 구동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1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브레이크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휠에 걸리는 제동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차량(1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복수의 서스펜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차량(100) 내의 도어 장치(door apparatus) 또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도어 구동부(631) 및 윈도우 구동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도어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어의 개방,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트렁크(trunk) 또는 테일 게이트(tail gate)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썬루프(sunroof)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632)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윈도우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차량(100) 내의 각종 안전 장치(safety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에어백 구동부(641), 시트벨트 구동부(642) 및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641)는, 차량(1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 구동부(641)는, 위험 감지시,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차량(100) 내의 시트벨트 장치(seatbelt appar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위험 감지시, 시트 밸트를 이용해 탑승객이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에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후드 리프트 및 보행자 에어백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보행자와의 충돌 감지시,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에어백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650)는, 차량(100) 내의 각종 램프 장치(lamp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10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차량(100)의 각종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운행 시스템(700)은, 자율 주행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및 주차 시스템(750) 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운행 시스템(700)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하위 개념일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차량 구동 장치(600) 및 제어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맵(map)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 경로 상의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하위 구성 요소로 분류될 수도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자세 센서(예를 들면, 요 센서(yaw sensor), 롤 센서(roll sensor), 피치 센서(pitch sensor)),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 자세 정보,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원 공급부(1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4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제어부(170)의 하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제어부(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100)은, 차량용 램프(8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용 램프(800)는, 차량(100)에 구비되는 모든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800)는, 차량(100)의 전방에 구비되는 헤드 램프(head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 램프는, 차량(100)의 전방 좌측 및 차량의 전방 우측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헤드 램프는, 차량(100)의 전방, 전방좌측, 전방우측 중 적어도 하나로 빛을 출력(조사, 방출, 발광,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램프에는, 로우빔 출력 모듈(하향등), 하이빔 출력 모듈(상향등), 방향지시등, 비상등, 안개등, 코너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램프(800)는, 차량(100)의 후방에 구비되는 리어 램프(rear lamp)(또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rear combinati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램프는, 차량(100)의 후방좌측 및 차량의 후방우측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거나, 차량(100)의 후면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리어 램프는, 차량(100)의 후방, 후방좌측, 후방우측 중 적어도 하나로 빛을 출력(조사, 방출, 발광,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램프에는, 브레이크등, 후진등, 방향지시등, 미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램프(800)는, 차량의 측면에 구비되는 사이드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램프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구비되는 방향지시등(또는 비상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800)는, 하이 또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 포지셔닝 램프(Positioning Lamp), 주간 주행등(Daytime Running Lamp; DRL) 및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 AFLS) 등과 함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형태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차량용 램프(800)는, 차량에 구비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램프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800)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도 7에서 설명한 램프 구동부(650)이거나, 제어부(17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용 램프(800)에 구비되는 별도의 프로세서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차량용 램프(8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가 차량용 램프(800)에 포함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하고, 도면부호 870을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프로세서(870)와 관련된 모든 내용/기능/특징은, 램프 구동부(650) 또는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차량용 램프(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기능에 근거하여 차량용 램프(8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이 차량용 램프(800)에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차량용 램프(800)에 구비된 광원부(810) 및 쉴드(840)(또는 쉴드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의 제어에 의해 광원부(810) 및 쉴드(840)가 동작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램프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이고, 도 9는 도 8에서 살펴본 차량용 램프의 전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광원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1, 도 12, 도 13a, 도 13b, 도 14, 도 15 및 도 16은 도 8에서 설명한 차량용 램프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램프(800)는, 렌즈(850), 제1 케이스(802), 제2 케이스(803), 쉴드(840), 광원부(810) 및 프로세서(8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차량용 램프(800)에서 광을 출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전방(F)은, 차량용 램프(800)의 광원에서 출력된 광이 렌즈(850)를 투과(또는 통과)하여 조사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방은, 광원(822)에서 발생된 광이 차량용 램프의 전면(렌즈쪽)으로 나아가는 광축(또는, 전면에 수직한 축)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F)은, 광원부(810)에서 렌즈(850)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81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또는 하나 이상의 광원)(822)을 포함하는 광 모듈(820) 및 반사부(8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모듈(820)은, 반사부(8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830) 내부에 배치된 광 모듈(820)의 광원(822)은, 반사부(830) 내부에 구비된 리플렉터(830a, 830b)로 광을 방출한다.
일 예로, 광 모듈(820)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판(또는 인쇄회로기판(PCT기판))에 광원(822)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반사부(830)에는, 상기 광 모듈(8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홈(8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홈(832)을 기준으로 상측에는 제1 리플렉터(830a)(또는 상측 리플렉터)가 구비되고, 상기 홈(832)을 기준으로 하측에는 제2 리플렉터(830b)(또는 하측 리플렉터)가 구비될 수 있다.
광 모듈(820)은, 광원(822)이 상기 반사부(83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홈(832)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광 모듈(820) 또는 광원(822)은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반사부(8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830)의 리플렉터(830a, 830b)는, 광원(822)에서 발생된 광을 전방(또는 렌즈쪽)으로 반사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부(830)의 리플렉터(830a, 830b)는, 광원(822)에서 발생된 광을 렌즈쪽으로 반사시키도록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830a, 830b)는 출력되는 빔 패턴을 다양하게 변형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의 반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빛을 발생시키는 상기 광원(811a, 811b)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811a, 811b)은, 할로겐 광원, LED(Light Emitting Diode), 마이크로 LED(Micro LED), 매트릭스 LED(matrix LED),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LD) 등일 수 있으며, 이 밖에도, 광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830)의 전방에는 제2 케이스(80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803)에는, 본 발명의 쉴드(8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802) 전방에는 제1 케이스(802)가 장착되고, 상기 제1 케이스(802)에는 본 발명의 렌즈(85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800)는, 하나 이상의 광원(822)을 포함하는 광원부(810), 상기 광원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된 빛을 투과시키는 렌즈(850) 및 상기 광원부(810)와 렌즈(85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광원부(810)(구체적으로 광원(822))에서 발생된 빛 중 적어도 일부를 통과시키도록 형성된 쉴드(8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803)는 상기 광원부(810)의 반사부(830)의 전방에서 상기 반사부(83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스(802)에는 광원부(810)에서 발생된 빛 중 적어도 일부를 통과시키도록 형성된 쉴드(8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803)에는 상기 쉴드(840)가 장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스(802)에는, 상기 쉴드(840)를 지지하기 위한 몸체(예를 들어, 원통형 막대)가 고정되기 위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쉴드(840)는, 상기 몸체가 상기 홈에 삽입(또는 고정)되어 상기 제2 케이스(80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800)는, 상기 쉴드(840)를 구동(예를 들어,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케이스(802)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803)는, 일 예로, 스태틱 모듈(Static module)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케이스(802)는, 상기 제2 케이스(803)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802)의 일면(예를 들어, 후면)은, 상기 제2 케이스(803)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케이스(802)의 타면(예를 들어, 전면)은, 렌즈(8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802)는, 상기 제2 케이스(803)에 구비된 쉴드(840)의 구동이 용이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802)는, 상기 제2 케이스(803)에 구비된 쉴드(840)를 통과(또는 투과)한 광이 지나가는 광 경로를 보정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케이스(802)는, 일 예로, 홀더(holder)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제1 케이스(802)와 상기 제2 케이스(803)를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 케이스(802)와 상기 제2 케이스(803)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포함된 쉴드(84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쉴드(840)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각 픽셀별로 광 투과율(또는 빛 투과율)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광원부(810)에서 발생된 빛 중 적어도 일부의 광이 차단되도록 쉴드(840)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 적어도 일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복수의 픽셀 중 적어도 일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은 다양한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쉴드(840)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픽셀(840a, 840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840)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840a, 840b) 각각은(또는 각 픽셀은), 광 투과율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픽셀(840a, 840b)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픽셀 각각에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배선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픽셀은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될 수 있고, 각 그룹별로 광 투과율이 제어되도록, 상기 각 그룹별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배선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행별로 그룹화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열별로 그룹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쉴드(840)에 포함된 쉴드(840)의
본 명세서에서는, 각 픽셀별로 독립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픽셀 각각에 제어신호가 수신되도록 배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픽셀은(844) 부분적으로 광 투과율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픽셀 내에는 제1 영역(844a)과 제2 영역(844b)이 포함될 수 있고, 하나의 픽셀 내에서 상기 제1 영역(844a)과 제2 영역(844b)의 광 투과율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쉴드(840)에 포함된 각 픽셀은, 부분적으로도 광 투과율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쉴드(840)에 포함된 각 픽셀은, 광 투과율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구성(재료, 기술, 소재)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픽셀은, 전기신호(예를 들어, 전류, 전압 또는 전력)의 세기에 따라 광 투과율이 가변되는 LC(Liquid Crystal) 필름, LCD(Liquid Crystal Display), 스트레치 필름, ITO필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쉴드(840)는, 매트릭스 쉴드, 디스플레이 쉴드 또는 가변형 쉴드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800)는 상기 쉴드(840)의 광 투과율을 제어하는 프로세서(8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70)는, 차량용 램프(8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프로세서(870)는, 램프 구동부(650) 또는 제어부(17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800)는, 쉴드(840)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하여 다양한 형태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쉴드(840)를 통과한 광에 의해 생성된 빔 패턴이 컷오프(cut-off) 라인(841)을 갖도록 상기 복수의 픽셀 중 일부분이 빛을 불통과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800)에서 로우 빔(Low-beam)(하향등)을 출력할 때에는, 법규에 따라 소정의 컷오프 라인이 생성(만족)되어야 한다.
일 예로, 컷오프 라인은, 차량용 램프(800)(또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된 평면(예를 들어, 벽면)에 광을 조사시킬 때, 상기 광이 조사되는 영역에서 상측에 생성되는 경계(선)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컷오프 라인은 상기 평면에 광이 조사됨에 따라 빛의 밝기가 기준값 이상이 나는 경계선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2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컷오프 라인의 형태는, 법규(또는, 국가, 지역, 주, 시 등)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이 우측통행을 하도록 지정된 국가(지역, 주 등)의 경우, 도 1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우측편보다 좌측편이 낮은 로우빔 패턴(또는 컷오프 라인)이 조사(생성)되어야 한다. 다른 예로, 차량이 좌측통행을 하도록 지정된 국가의 경우, 도 1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측편보다 우측편이 낮은 로우빔 패턴(또는 컷오프 라인)이 조사(생성)되어야 한다.
이는, 맞은편에서(또는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는 타차량으로 빛이 조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타차량의 운전자에게서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프로세서(870)는, 위치 정보부(420)에서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용 램프(800)가 구비된 차량(1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상기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해당 국가(또는, 지역, 주)에 적용되는 법규에 대응하는 로우빔 패턴이 조사되도록 쉴드(840)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일부분이 빛을 불통과시키도록 제어(예를 들어, 광 투과율을 0으로 제어)하여, 로우빔 패턴이 생성되도록 광을 조사(출력, 발생, 투과)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픽셀 중 일부분(예를 들어, 842a, 842b, 842c)이 빛이 불통과되도록 광 투과율이 제어(광 투과율이 0으로 제어)되면, 광원부(810)에서 발생된 광 중 상기 광 투과율이 0으로 설정된 부분으로 향하는 광은 상기 쉴드(840)(구체적으로, 상기 빛이 불통과되도록 광 투과율이 제어된 일부분의 픽셀)에 의해 차단되어, 렌즈(850)로 향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광원부(810)에서 발생된 광 중 광 투과율이 0이 아닌 부분으로 향하는 광들만 상기 쉴드(840)를 통과하여 렌즈(850)로 조사된다. 그리고, 상기 렌즈(850)로 조사된 광은 상기 렌즈(850)를 투과하여 외부로 조사되어, 소정의 빔 패턴(예를 들어, 로우빔 패턴, 또는 컷오프 라인)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램프(800)의 쉴드(840)는, 복수의 픽셀 각각이 광원부(810)로부터 수신된 광(또는 광량) 중 일부분만을 투과하도록 형성(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픽셀은, 수신된 광량 중 일부분만을 투과하도록 광 투과율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에 해당하는 광이 특정 픽셀에 수신되었다고 가정하고, 상기 특정 픽셀의 광 투과율이 50%로 설정(제어)되어 있다면, 상기 특정 픽셀은 상기 100에 해당하는 광(광량) 중 50에 해당하는 광(광량)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픽셀을 통과한 광의 밝기는 줄어들게 된다(다른 말로, 빔 패턴 중 해당 픽셀을 통과한 광에 의해 생성된 부분의 밝기는 어두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870)는, 쉴드(840)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의 광 투과율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다양한 패턴의 빛을 생성(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픽셀 중 제1 부분(842a)에 포함된 픽셀의 광 투과율은 50%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부분과 다른 제2 부분(842b)에 포함된 픽셀의 광 투과율은 20%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부분과 다른 제3 부분(842c)에 포함된 픽셀의 광 투과율은 0%로 설정하여,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빔 패턴을 출력(조사,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11의 경우, 쉴드(840)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들의 광 투과율이 일 방향(예를 들어, 상측방향)을 따라 점점 증가하도록 설정하여, 차량용 램프(100)의 전방(광축방향)으로 조사되는 빔 패턴에 그라데이션 효과(즉, 소정 방향을 따라 점점 밝아지거나 점점 어두워지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870)는, 광원부(810)로부터 입사된 빛이 직접광인지 반사광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픽셀 중 상기 빛을 불통과(또는 불투과)시키는 부분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원부(810)는, 광원(822)에서 발생된 광을 반사부(830)에 반사시켜 상기 쉴드(840)에 입사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부(81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822)(또는 하나 이상의 광원)과, 상기 광원(822)에서 발생된 빛을 상기 쉴드(840) 향해 반사시키도록 형성된 리플렉터(8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800)를 A-A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a)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800)는, 제1 광원(822a) 및 제2 광원(82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822a)은, 상측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822b)은 하측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830)는, 제1 리플렉터(830a) 및 제2 리플렉터(830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플렉터(830a)는, 상기 반사부(830)의 중심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된 상측 리플렉터일 수 있다.
상기 제2 리플렉터(830b)는, 상기 반사부(830)의 중심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된 하측 리플렉터일 수 있다.
도 10의 (a)에 따르면, 제1 광원(822a)에서 발생된 빛은 상기 제1 리플렉터(830a)에 의해 반사되어 쉴드(840)(예를 들어, 쉴드(840)의 상단부)로 향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822a)에서 발생되어 상기 제1 리플렉터(830a)에 의해 반사된 빛(l)은 로우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제1 광원(822a)에서 상측으로 발생된 광이 상기 제1 리플렉터(830a)에 의해 반사되어 하측방향으로 조사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1 리플렉터(830a)는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리플렉터일 수 있다.
또한, 제2 광원(822b)에서 발생된 빛은 상기 제2 리플렉터(830a)에 의해 반사되어 쉴드(840)(예를 들어, 쉴드(840)의 하단부)로 향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822b)에서 발생되어 상기 제2 리플렉터(830b)에 의해 반사된 빛(h)은 하이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제2 광원(822b)에서 하측으로 발생된 광이 상기 제2 리플렉터(830b)에 의해 반사되어 상측방향으로 조사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2 리플렉터(830b)는 하이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리플렉터일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에는, 상기 제1 광원(822a)만 온 시키고, 상기 제2 광원(822b)은 오프시킬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870)는, 하이빔을 출력할 때에는, 상기 제1 광원(822a) 및 제2 광원(822b)을 함께 온 시키거나, 상기 제2 광원(822b)만을 온 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의 (b)에는 차량용 램프(100)가 하나의 광원(822)을 포함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원(822c)은, 전방과 반대되는 후방을 향해 빛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822c)의 후방에는 리플렉터(8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리플렉터(830)는, 중심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된 제1 영역(제1 리플렉터(830a)에 대응)과, 하측에 배치된 제2 영역(제2 리플렉터(830b)에 대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822c)에서 후방으로 발생된 빛 중 상기 리플렉터의 제1 영역(830a)에 의해 반사되는 빛은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리플렉터의 제2 영역(830b)에 의해 반사되는 빛은 하이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광원(822c)에서 후방으로 발생된 빛 중 상기 리플렉터의 제1 영역(830a)으로 조사된 빛은, 상기 제1 영역(830a)에 의해 하측으로 반사되어 렌즈를 투과하고, 상기 리플렉터의 제2 영역(830b)으로 조사된 빛은, 상기 제2 영역(830b)에 의해 상측으로 반사되어 렌즈(850)를 투과하기 때문이다.
도 10의 (a) 및 (b)는 광원의 개수가 한 개인지 두 개인지의 차이가 있지만, 로우빔 패턴과 하이빔 패턴을 형성하는 광의 경로는 동일/유사할 수 있다.
즉, 도 10의 (a) 및 (b)의 경우에는, 광원부(810)에서 발생되어 쉴드(840)로 조사(입사)되는 빛이 반사광에 해당되게 된다.
반면, 도 10의 (c)를 참조하면, 광원(822d)이 레이저 광원(LD)인 경우, 상기 광원(822d)은 전방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원부(810)에는 반사부(830)가 미포함될 수 있다.
쉴드(840)에는 상기 광원(822d)에서 방출된 빛이 직접 입사되게 된다. 즉, 도 10의 (c)의 경우에는, 광원부(810)에서 발생되어 쉴드(840)로 조사(입사)되는 빛이 직접광(또는 직광)에 해당하게 된다.
상기 광원(822d)에서 발생된 빛 중 쉴드(840)의 상단부로 직접 향하는 빛은 하이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쉴드(840)의 하단부로 직접 향하는 빛은 로우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쉴드(840)의 상단부는, 복수의 픽셀 중 쉴드의 중앙보다 위쪽에 배치된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쉴드(840)의 하단부는, 복수의 픽셀 중 쉴드의 중앙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픽셀들 중 적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광원부(810)로부터 입사된 빛이 반사광인 경우,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제1 부분의 픽셀이 빛을 불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상기 광원부(810)로부터 입사된 빛이 직접광인 경우, 쉴드(840) 복수의 픽셀 중 상기 제1 부분과 다른 제2 부분의 픽셀이 빛을 불통과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우빔을 출력할 때, 프로세서(870)는, 광원부(810)로부터 입사된 빛이 반사광인 경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제1 부분(예를 들어, 하단부(1210a, 1210b))의 픽셀이 빛을 불통과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제2 부분(예를 들어, 상단부(1210c))의 픽셀은 빛을 통과시키도록 프로세서(8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반사광인 경우, 쉴드(840)를 통과하여 생성된 빔 패턴(1200c)은, 빛을 통과시키도록 광 투과율(예를 들어, 광 투과율 100%)이 제어(설정)된 부분(1210c)과 상하반전 또는 상하좌우반전될 수 있다.
이는,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상측 리플렉터(또는 리플렉터의 상측영역)에 의해 반사되는 경우 하측방향으로 조사되고, 하측 리플렉터(또는 리플렉터의 하측영역)에 의해 반사되는 경우 상측방향으로 조사되기 때문이다.
좌우반전되는 경우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리플렉터가 반구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좌측 리플렉터(또는 리플렉터의 좌측영역)에 의해 반사되는 경우 우측방향으로 조사되고, 우측 리플렉터(또는 리플렉터의 우측영역)에 의해 반사되는 경우 좌측방향으로 조사되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사광이 쉴드(840)를 통과한 빔 패턴(1200c)의 형태는, 상기 쉴드(840)에서 빛을 통과시키도록 광 투과율(예를 들어, 광 투과율 100%)이 제어(설정)된 부분(1210c)의 형태에 상하반전된 형태인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반사부(830)(또는 리플렉터(830a, 830b)의 형태에 따라, 상기 빔 패턴(1200c)의 형태는, 상기 쉴드(840)에서 빛을 통과시키도록 광 투과율이 제어된 부분의 형태에 상하좌우반전된 형태일 수도 있다.
반면, 도시되진 않았지만, 로우빔을 출력할 때, 프로세서(870)는, 광원부(810)로부터 입사된 빛이 직접광(또는 직광)인 경우,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제1 부분과 다른 제2 부분(예를 들어, 쉴드(820)의 상단부(1210c))의 픽셀이 빛을 불통과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제1 부분(예를 들어, 하단부(1210a, 1210b))의 픽셀은 빛을 통과시키도록 프로세서(8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직접광인 경우, 쉴드(840)를 통과하여 생성된 빔 패턴(1200c)은, 빛을 통과시키도록 광 투과율(예를 들어, 광 투과율 100%)이 제어(설정)된 부분(1210a, 1210b)의 형태와 대응될 수 있다. 이는,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는 빛이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쉴드(840)를 통과한 후 렌즈(850)를 투과하여 생성되므로, 상하반전되거나 상하반전되지 않는다.
정리하면, 로우빔을 출력할 때(또는 로우빔 패턴을 생성할 때),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프로세서(870)는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일부분이 빛을 불통과시키도록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870)는, 광원부(810)에서 쉴드(840)에 입사되는 광의 종류(다른 말로, 리플렉터의 유무)에 따라 복수의 픽셀 중 빛을 불통과시키는 부분이 달라지게 된다.
일 예로, 프로세서(870)는, 광원부(810)에서 쉴드(840)에 입사되는 광이 반사광인 경우(다른 말로, 리플렉터가 존재하면), 복수의 픽셀 중 제1 부분(예를 들어, 하단부)에서 빛이 불통과하도록 상기 제1 부분에 포함된 픽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은, 로우빔 패턴에서 컷오프 라인이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870)는, 광원부(810)에서 쉴드(840)에 입사되는 광이 직광이면(다른 말로, 리플렉터가 미존재하면), 복수의 픽셀 중 상기 제1 부분과 다른 제2 부분(예를 들어, 상단부)에서 빛이 불통과하도록 상기 제2 부분에 포함된 픽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도 로우빔 패턴에서 컷오프 라인이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870)는, 하이빔 출력 요청이 수신되면, 빛을 불통과시키는 일부분 중 적어도 일부를 빛이 통과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광원부(810)에서 쉴드(840)로 입사되는 빛이 반사광인 경우, 하이빔 출력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빛이 불통과하도록 제어된 제1 부분(하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빛이 통과하도록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870)는, 광원부(810)에서 쉴드(840)로 입사되는 빛이 직접광인 경우, 하이빔 출력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빛이 불통과하도록 제어된 제2 부분(상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빛이 통과하도록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프로세서(870)는, 쉴드(840)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의 광 투과율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상황에 따라 다양한 빔 패턴의 광이 출력되도록 상기 쉴드(8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차량에 구비된 센싱부(120)를 이용하여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는, 차량 정보(또는, 차량의 주행 상태) 및 차량의 주변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는, 차량의 주행속도, 차량의 무게, 차량의 탑승인원, 차량의 제동력, 차량의 최대 제동력, 차량의 주행모드(자율주행모드인지 수동주행인지 여부), 차량의 주차모드(자율주차모드, 자동주차모드, 수동주차모드), 차량 내에 사용자가 탑승해있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주변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이 주행중인 노면의 상태(마찰력), 날씨, 전방(또는 후방) 차량과의 거리, 전방(또는 후방) 차량의 상대속도, 주행중인 차선이 커브인 경우 커브의 굴곡률, 차량 주변밝기, 차량을 기준으로 기준영역(일정영역) 내에 존재하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 상기 일정영역으로 객체가 진입/이탈하는지 여부, 차량 주변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주변정보(또는 주변 환경정보)는, 차량의 외부 정보(예를 들어, 주변밝기, 온도, 태양위치, 주변 피사체(사람, 타차량, 표지판 등) 정보, 주행중인 노면의 종류, 지형지물, 차선(Line) 정보, 주행차로(Lane) 정보), 자율주행/자율주차/자동주차/수동주차 모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변정보는,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객체(오브젝트)와 차량(100)까지의 거리, 상기 객체의 종류, 차량이 주차 가능한 주차공간, 주차공간을 식별하기 위한 객체(예를 들어, 주차선, 노끈, 타차량, 벽 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된 다양한 운행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870)는, 기 설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면(예를 들어, 센싱부(120)를 통해 인도에 인접한 차선으로 차량이 주행중인 것으로 센싱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주의모드로 설정된 경우), 복수의 픽셀 중 상기 제1 조건에 대응되는 제1 빔 패턴에 해당하는 광을 출력하기 위해,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상기 제1 조건에 연계된 부분의 픽셀이 빛을 불통과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3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870)는, 상기 제1 조건과 다른 기 설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면(예를 들어, 차량(100)의 현재 위치가 타운인 것으로 감지되면), 복수의 픽셀 중 상기 제2 조건에 대응되는 제2 빔 패턴(상기 제1 빔 패턴과 다른 제2 빔 패턴)에 해당하는 광을 출력하기 위해,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상기 제2 조건에 연계된 부분의 픽셀이 빛을 불통과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a의 (a)는 사용자주의모드로 설정된 경우, 도 13a의 (b)는 타운(Town)모드로 설정된 경우, 도 13a의 (c)는 컨츄리(Country)모드로 설정된 경우, 도 13b의 (a)는 특정 날씨(예를 들어, 눈 또는 비 등)에서의 광 출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도 13b의 (b)는 고속도로모드로 설정된 경우 및 도 13b의 (c)는 특정 객체에게 빛을 조사하는 객체추적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빔 패턴 및 쉴드의 광 투과율을 도시하고 있다. 프로세서(870)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모드(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쉴드(840)에서 빛이 불통과되는 부분이 서로 달라지도록 상기 쉴드(840)를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프로세서(870)는, 본 차량(100)이 주행중인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주행중인 타차량(즉, 맞은편 차량)이 감지되면, 상기 타차량으로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쉴드(840)의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빔 패턴을 출력하도록 쉴드(840)의 광 투과율이 설정된 상태에서, 센싱부(120)를 통해 반대방향으로 주행중인 타차량이 감지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870)는, 도 1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타차량으로 빛이 조사되는 영역(공간)(1400a, 1400b)으로 가는 빛을 차단하도록 상기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적어도 일부(1410a, 1410b)의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상기 타차량의 운전자가 위치한 제1 공간으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도록,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상기 제1 공간으로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픽셀(1410b)의 광 투과율을 0%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870)는, 상기 타차량 주변 영역에 대응되는 제2 공간으로 조사되는 빛의 양(또는 밝기)가 줄어들도록,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상기 제2 공간으로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픽셀(1410a)의 광 투과율을 기 설정된 투과율(예를 들어, 20%)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는 맞은편 차량으로 빛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는 Antiglare High-beam Assist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4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차량(100)의 양측 및 소정 높이를 포함하는 공간에는 광이 조사되고, 그 이외의 공간(1400d)에는 빛이 조사되지 않도록, 프로세서(870)는,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상기 소정 높이에 대응하는 공간(1400c)으로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일부분(1410c)의 광 투과율을 기 설정된 투과율(예를 들어, 20%)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상기 이외의 공간(1400d)에는 빛이 조사되지 않도록, 상기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상기 이외의 공간(1400d)으로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다른부분(1410d)의 광 투과율을 0%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870)는, 일반적인 주행모드에서는, 광원부(810)에서 입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차단되도록, 쉴드(840)의 제1 및 제2 그룹(1510, 1520)의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룹(1510)에 속한 픽셀의 광 투과율은 40%이고, 제2 그룹(1520)에 속한 픽셀의 광 투과율은 0%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프로세서(870)는, 센싱부(120)를 통해 차량(10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에서 특정 객체(예를 들어,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특정 객체가 존재하는 공간(1524, 1514)으로 광이 조사되도록, 쉴드(840)의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상기 특정 객체가 감지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그룹(1510)에 속한 픽셀 중 상기 공간의 일부분(1514)으로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픽셀(1512)의 광 투과율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픽셀(1512)의 광 투과율은 40%에서 100%로 변경되어, 상기 공간의 일부분(1514)으로 많은 양의 빛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의 일부분(1514)은, 감지된 객체를 직접 포함하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상기 특정 객체가 감지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2 그룹(1520)에 속한 픽셀 중 상기 공간의 다른부분(1524)으로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픽셀(1522)의 광 투과율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픽셀(1522)의 광 투과율은 0%에서 60%로 변경되어, 상기 공간의 다른부분(1524)에는 상기 일부분(1514)보다는 적은 양의 빛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간의 다른 부분(1524)은, 감지된 객체 주변 공간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800)는, 객체감지모드에 대응하는 빔 패턴을 최적화된 방법으로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지된 객체가 직접 존재하는 공간과 더불어 주변 공간에 조사되는 빛의 양까지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는 정밀한 빔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프로세서(870)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빛을 불통과시키는 일부분 중 빛을 통과시키는 부분에 인접한 영역(예를 들어, 광 투과율이 100%인 영역)에 인접한 영역(842a)의 광 투과율을 기 설정된 투과율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상기 인접한 영역(842a)에 포함된 픽셀들의 광 투과율이 빛을 불통과시키도록 0%로 설정된 경우, 상기 인접한 영역(842a)에 포함된 픽셀들의 광 투과율을 기 설정된 투과율(예를 들어 50%)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로우빔 패턴을 출력할 때, 컷오프 라인 경계를 희미하게 만들 수 있는(또는, 모듈레이션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로우빔 패턴을 출력할 때, 컷오프 라인 경계를 희미하게 하여, 컷오프 라인의 상단부분에 빛이 도달하지 않아 시인성이 좋지 않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컷오프 라인의 하단부분에 빛이 과도하게 많이 조사되어 노면의 불균일성으로 인한 차체의 움직임으로 로우빔 출력시에도 반대방향에서 주행중인 타차량으로 광이 조사되어 눈부심을 유발하는 경우, 컷오프 라인 경계를 희미하게 하고, 상기 컷오프 라인 주변의 광량을 줄임으로써, 사고 발생률을 현저히 낮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800)는,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센싱하는 센싱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센싱된 차량과 관련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인접한 영역의 광 투과율을 상기 기 설정된 투과율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870)는, 센싱된 차량과 관련된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인접한 영역을 제1 광 투과율(예를 들어, 80%)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상기 센싱된 차량과 관련된 정보가 상기 제1 조건과 다른 기 설정된 제2 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인접한 영역의 광 투과율을 상기 제1 광 투과율과 다른 제2 광 투과율(예를 들어, 60%)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제1 조건은,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의 경계를 조금만 희미하게 바꿀 필요성이 있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제1 조건은, 차량용 램프(800)(또는 차량(100))의 주변 밝기가 기준밝기보다 밝은 경우, 상기 차량(100)이 특정 도로(예를 들어, 고속도로)를 달리는 경우, 차량(10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에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는 타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또는 차량(100)이 내리막길을 주행중인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기 설정된 제2 조건은,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의 경계를 더 많이 희미하게 바꿀 필요성이 있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제2 조건은, 차량용 램프(800)(또는 차량(100))의 주변 밝기가 상기 기준밝기보다 어두운 경우, 차량(100)이 특정 종류의 도로(예를 들어, 흙길, 일방통행로 등)를 주행중인 경우, 차량(10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에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는 타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차량(100)이 오르막길을 주행중인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열거된 실시 예는 단순히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위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조건은 보다 다양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조건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870)는, 상기 센싱부(120)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조건(제1 및 제2 조건)을 만족하는 차량과 관련된 정보가 미감지되면, 상기 인접한 영역의 광 투과율을 원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기 전에 빛을 불통과시키는 일부분 중 빛을 통과시키는 부분에 인접한 영역(도 11의 842a, 또는 도 12의 1200b))(또는, 컷오프 라인에 대응되는 선(841)에 인접한 영역)에 포함된 픽셀의 광 투과율은 제1 값(예를 들어, 0%)인 상태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인접한 영역(842a)의 광 투과율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차량과 관련된 정보가 센싱되는 것에 근거하여, 프로세서(8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값과 다른 제2 값(예를 들어, 50%)로 변경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870)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차량과 관련된 정보가 미감지되면(또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차량과 관련된 정보(또는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인접한 영역(842a)의 광 투과율을 상기 제2 값에서 상기 제1 값으로 복원(또는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램프(800)의 프로세서(870)는, 센싱부(120)를 통해 센싱된 차량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을 기준으로 컷오프 라인이 서로 다른 위치에 생성되도록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빛이 불통과하는 부분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센싱된 차량과 관련된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면, 빛을 불통과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픽셀 중 제1 부분의 광 투과율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센싱된 차량과 관련된 정보가 상기 제1 조건과 다른 기 설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 부분과 다른 제2 부분의 광 투과율을 빛이 통과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 설정된 제1 조건은, 도 16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이 오르막 길에 진입한 경우(또는, 차량의 차체 전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800)는,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빔 패턴이 차량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으로 조사되도록(즉, 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이 내려가도록)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제1 부분(1600a)의 광 투과율을 빛이 불통과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870)는, 복수의 픽셀 중 빛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제1 부분(1600a)을 상기 기 설정된 제1 조건이 감지되는 것에 근거하여, 빛이 불통과하도록 광 투과율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일반적인 주행중인 경우, 프로세서(870)는, 컷오프 라인에 대응되는 선이 제1 위치(841)에 존재하도록 복수의 픽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870)는, 센싱부(120)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제1 조건이 감지되면, 전방으로 출력되는 빔 패턴의 컷오프라인을 내리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오르막 길에서 광 조사방향을 하측 방향으로 조정하여 운전자에게 보다 최적화된 빔 패턴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870)는,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이 하측 방향으로 내려가도록,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제1 부분(1600a)(구체적으로, 복수의 픽셀의 빛을 통과하도록 조절된 영역 중 빛을 불통과하도록 제어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이 빛을 불통과시키도록 상기 제1 부분(1600a)의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상기 기 설정된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것에 근거하여,
도 16의 경우, 광원부(810)에서 반사광이 쉴드(840)에 입사되는 경우를 예시로 하고 있으므로, 빛이 통과되는 영역과 로우빔 패턴의 형상은 상하반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빛을 불통과시키는 영역이 상측으로 커질수록(또는 빛을 통과시키는 영역이 상측으로 작아갈수록, 또는 컷오프라인에 대응되는 선(841)이 위쪽으로 올라갈수록(841a))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라인은 내려가게 된다.
반대로, 상기 기 설정된 제2 조건은, 도 16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이 내리막 길에 진입한 경우(또는, 차량의 차체 전면이 하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800)는,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빔 패턴이 차량(100)을 기준으로 상측방향으로 조사되도록(즉, 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이 올라가도록)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제2 부분(1600b)의 광 투과율을 빛이 통과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870)는, 상기 기 설정된 제2 조건이 만족되는 것에 근거하여, 빛을 불통과하도록 설정된 제2 부분(1600b)이 빛을 통과하도록 상기 제2 부분(1600b)의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870)는, 컷오프라인에 대응되는 선(841)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841b)), 복수의 픽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6의 경우, 광원부(810)에서 반사광이 쉴드(840)에 입사되는 경우를 예시로 하고 있으므로, 빛이 통과되는 영역과 로우빔 패턴의 형상은 상하반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조사된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라인은, 빛을 불통과시키는 영역이 하측으로 작아질수록(또는 빛을 통과시키는 영역이 하측으로 커질수록 또는 컷오프라인에 대응되는 선(841)이 내려갈수록(841b)) 올라가게 된다.
이후, 프로세서(870)는, 상기 기 설정된 제1 조건 또는 제2 조건이 미감지되면(또는 해제되면), 컷오프라인에 대응하는 선(841)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복수의 픽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컷오프라인의 위치를 최적화된 방법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픽셀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어 독립적으로 광 투과율을 개별 제어할 수 있는 쉴드(840)를 이용하여, 컷오프 라인을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쉴드를 구비하지 않고도 로우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쉴드(840)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하여 상황에 따라 최적화된 빔 패턴을 생성하여 스마트 램프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로우빔과 하이빔을 출력할 때 도 17에서 살펴본 차량용 램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800)는, 하나 이상의 광원(822)을 포함하는 광원부(810), 상기 광원부(810)의 전방에 위치하며, 소정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쉴드(845) 및 빔 패턴이 가변되도록 광 투과율을 변경하는 제2 쉴드(840)를 포함하는 쉴드부, 상기 쉴드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847) 및 빔 패턴 변경시 상기 쉴드부 및 상기 구동부(847)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8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800)는, 쉴드부에 소정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쉴드(845) 및 상기 빔 패턴이 가변되도록 광 투과율을 변경할 수 있는 제2 쉴드(840)를 구동하도록 형성된 구동부(8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850), 제1 케이스(802), 제2 케이스(803)에 대한 설명은 도 8에서 설명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상기 제1 쉴드(845) 및 제2 쉴드(840)를 포함하는 쉴드부는, 광원부(810)와 렌즈(8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쉴드부(840)는, 광원부(810)와 렌즈(850) 사이에 배치되어, 광원부(810)에서 발생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차단하고, 나머지는 렌즈로 입사되도록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쉴드(845)는, 광 투과율이 가변되지 않고, 로우빔 패턴을 형성할 때 컷오프 라인을 생성하기 위한 쉴드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쉴드(845)는, 물리적으로 고정된 형태의 쉴드로, 광 투과율이 가변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상기 제2 쉴드(840)와 차이가 있다. 상기 제1 쉴드(845)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822)에서 출력된 광이 반사부(830)에 의해 반사되어 제1 쉴드(845)로 향하게 되면, 상기 광 중 일부 광은 상기 제1 쉴드(845)에 의해 차단된다. 그리고 나머지 광은 상기 제1 쉴드(845)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렌즈(850)를 향해 입사된 후 외부로 투과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제1 쉴드(845)에 의해 일부 광은 차단하고 나머지 광은 외부로 조사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쉴드(845)는 형상이 고정된(변형되지 않는) 쉴드이므로, 항상 동일한 부분의 광을 차단하게 되므로, 본 발명은 고정형 빔 패턴(즉, 고정형 로우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쉴드(840)는, 도 8 내지 도 16에서 살펴본 쉴드(840)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 쉴드(840)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각 픽셀별로 광 투과율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픽셀은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각 픽셀은 부분적으로 광 투과율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세서(870)는, 상기 제2 쉴드(840)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을 독립적으로(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복수의 픽셀 각각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광 투과율이 달라지도록(예를 들어, 각 픽셀의 제1 부분의 광 투과율은 제1 값을 갖고, 상기 제1 부분과 다른 제2 부분의 광 투과율은 상기 제1 값과 다른 제2 값을 갖도록) 복수의 픽셀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쉴드부는, 회전 가능한 몸체(8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몸체(846)는, 원통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846)는, 일 예로, 제2 케이스(803)에 구비된 홈에 삽입되어,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803)는, 일 예로, 중심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기준평면에서 좌측면과 우측면에 상기 몸체(846)가 장착될 수 있는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846)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846)가 상기 제2 케이스(803)의 내부공간 중심을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의 폭 방향은, 전방을 기준으로 수평 및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회전 가능한 몸체(846)에는 상기 몸체(846)를 상기 몸체(846)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구동부(847)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847)는,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몸체(846)에 결합된 제1 기어(847a), 상기 제1 기어(847a)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2 기어(847b) 및 상기 제2 기어(847b)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기어(847b)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액츄에이터(847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는, 제1 기어(847a)가 상기 제2 기어(847b)를 통해 회전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구동부는, 액츄에이터(847c)가 직접 상기 제1 기어(847a)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기어(847a)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즉, 제2 기어(847b)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847)는, 프로세서(87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부(847)는, 제2 케이스(803)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2 케이스(803)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2 케이스(803)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쉴드부는, 제1 쉴드(845)가 회전 가능한 몸체(846)의 일측에 구비되고, 제2 쉴드(840)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쉴드(845)와 제2 쉴드(840)는, 도 18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 가능한 몸체(846)를 기준으로 상호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쉴드(845)와 제2 쉴드(840)는 상기 몸체(846)를 기준으로 180도 위상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의 일측은, 일 예로, 몸체(846)의 하측면이고, 상기 타측은, 몸체(846)의 상측면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쉴드(845) 및 제2 쉴드(840)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제1 몸체 및 제2 몸체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축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축에 배치된다는 것은,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쉴드(845)는, 제1 몸체에 결합되고, 제2 쉴드(840)는, 제2 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8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870)는, 구동부(847)를 제어하여, 제1 쉴드(845) 및 제2 쉴드(840)가 장착된 몸체(84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846)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쉴드(845) 및 상기 제2 쉴드(840)는 상기 몸체(846)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8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쉴드(845) 및 제2 쉴드(84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800)에 포함된 광원부(810)는, 도 19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측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제1 광원(822a), 하측 방향으로 광을 추ㄹ력하는 제2 광원(822b) 및 상기 제1 및 제2 광원(822a, 822b)에서 출력된 광을 전방으로(쉴드부쪽으로 또는 렌즈(850)쪽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83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측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제1 광원(822a)에서 출력된 광은, 상측 리플렉터(또는 제1 리플렉터 또는 리플렉터의 상측영역)(830a)에 의해 반사되어, 전면하측방향으로 진행된다. 이에, 상기 제1 광원(822a) 및 상측 리플렉터는, 로우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하측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제2 광원(822b)에서 출력된 광은, 하측 리플렉터(또는 제2 리플렉터 또는 리플렉터의 하측영역)(830b)에 의해 반사되어 전면상측방향으로 진행된다. 이에, 상기 제2 광원(822b) 및 하측 리플렉터는 하이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광원(822a)에서 출력된 광은, 상기 리플렉터(830)(상측 리플렉터(830a))에 의해 반사된 후 상기 쉴드부를 거쳐 로우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광원(822b)에서 출력된 광은 리플렉터에(830)(하측 리플렉터(830b))에 의해 반사된 후 상기 쉴드부를 거쳐 하이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광원(822a)에서 출력되어 상측 리플렉터(또는 리플렉터의 상측영역)에 의해 반사된 광(l)은, 쉴드부의 몸체(846)(또는 중심)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조사(입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광(l)의 조사방향은, 도 19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면하측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제2 광원(822b)에서 출력되어 하측 리플렉터(또는 리플렉터의 하측영역)에 의해 반사된 광(h)은, 쉴드부의 몸체(846)(또는 중심)를 기준으로 하측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광(h)의 조사방향은, 도 19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면상측방향일 수 있다.
도 19의 (a)에는, 로우빔 출력시의 차량용 램프(800)의 전면도 및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9의 (b)에는, 하이빔 출력시의 차량용 램프(800)의 전면도 및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870)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 상기 제1 쉴드(845)가 회전 가능한 몸체(846)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쉴드(840)가 상기 몸체(846)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도록 구동부(847)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광원(822a)에서 출력되어 상측 리플렉터(830a)(또는 리플렉터의 상측영역)에 의해 반사된 광(l)은, 쉴드부의 제2 쉴드(840)(광 투과율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한 매트릭스 쉴드)로 입사된다.
프로세서(870)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 상기 제2 쉴드(840)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 적어도 일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하여, 로우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상기 제2 쉴드(840)로 입사된 광(l)에 의해 컷오프 라인을 갖는 로우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픽셀 중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컷오프라인에 대응되는 선(841)을 형성하는 일부 픽셀)의 광 투과율을 0%(또는 일정값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센싱부(120)를 통해 센싱된 차량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다양한 로우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제2 쉴드(840)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 적어도 일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도 8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또한, 도 19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광원(822b)은 로우빔을 출력할 때 미발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광원(822b)에서 발생된 광은 하이빔 패턴을 형성하는 광이므로, 프로세서(870)는, 로우빔 출력 시, 상기 제2 광원(822b)을 오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870)는, 도 19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이빔을 출력할 때 제1 쉴드(845)가 회전 가능한 몸체(846)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쉴드(840)가 상기 몸체(846)를 하측에 배치되도록 구동부(847)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하이빔 출력시 제1 광원(822a) 및 제2 광원(822b)을 함께 온시키거나, 제2 광원(822b)만을 온 시킬 수 있다.
하이빔 출력시, 제1 쉴드(845)(고정형 쉴드)는, 쉴드부의 몸체(846)(또는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어, 제1 광원(822a)에서 출력되어 상측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광(l)이 컷오프 라인을 갖는 소정 빔 패턴(로우빔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하이빔 출력시, 제2 쉴드(840)(매트릭스 쉴드)는, 쉴드부의 몸체(846)(또는 중앙)을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어, 제2 광원(822b)에서 출력되어 하측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광(h)이 다양한 빔 패턴(하이빔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870)는, 하이빔을 출력할 때, 하이빔 패턴의 가변을 위해, 제2 쉴드(840)(매드릭스 쉴드)를 하이빔 패턴을 형성하는 광이 지나가는 몸체(846)의 하측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하이빔을 출력할 때, 제2 쉴드(840)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 적어도 일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하여 하이빔 패턴을 가변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도 13a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내용을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로우빔을 출력할 때에는,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는 광(l)이 지나가는 경로에 제2 쉴드(840)를 배치하고, 하이빔을 출력할 때에는 하이빔 패턴을 형성하는 광(h)이 지나가는 경로에 제2 쉴드(840)를 배치하여,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840)는, 제1 쉴드(845) 및 제2 쉴드(840)가 함께 회전 또는 이동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제1 쉴드(845) 및 제2 쉴드(840)가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7에서 살펴본 차량용 램프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쉴드부는, 제1 쉴드(845) 및 제2 쉴드(840)가 회전 가능한 몸체(846)를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846)는, 회전 가능한 제1 몸체와 회전 가능한 제2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847)는, 제1 몸체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와 제2 몸체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쉴드(845)는, 제1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쉴드(840)는, 제2 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제1 쉴드(845)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구동부의 제1 구동부를 제어하고, 제2 쉴드(84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구동부의 제2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쉴드(845)는, 제1 몸체(846)에 결합되어 상측에 배치되고, 제2 쉴드(840)는, 제2 몸체(846a)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몸체(846a)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870)는, 구동부(847)를 제어하여, 제1 쉴드(845) 및 제2 쉴드(840)가 몸체(846)를 기준으로 상측방향에 중첩되어 배치되도록 쉴드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21의 (a)에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의 차량용 램프(800)의 전면도와,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1의 (b)에는 하이빔을 출력할 때의 차량용 램프(800)의 전면도와,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1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램프의 프로세서(870)는, 제1 쉴드(845)(고정형 쉴드)가 몸체(846a)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고, 제2 쉴드(840)(매트릭스 쉴드)가 몸체(846a)으로 상기 제1 쉴드(845)와 중첩되어 상측에 배치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광원(822a)에서 출력되어 상측 리플렉터(또는 리플렉터의 상측영역)에 의해 반사된 광(l)은, 제1 쉴드(845)와 제2 쉴드(840)가 중첩된 쉴드부(즉 쉴드부의 몸체(846a)(또는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부분)으로 입사될 수 있다.
이 경우, 로우빔을 출력할 ? 형성되는 로우빔 패턴은, 제1 쉴드(845)에 의해 형성되는 컷오프(cut-off)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쉴드(840)(매트릭스 쉴드)에 의해 적어도 일부의 광량이 가변될 수 있다.
구동부(847)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 프로세서(870)는, 제1 쉴드(845)와 제2 쉴드(840)가 몸체(846a)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에 배치되도록 구동부(847)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1 광원(822a)에서 발생되어 상측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광(l)은 상기 제1 쉴드(845)에 의해 일부분이 차단되어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상기 제2 쉴드(840)의 복수의 픽셀 중 적어도 일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하여, 상기 반사된 광(l) 중 상기 제2 쉴드(840)를 통과하는 광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870)는, 제2 쉴드(840)와 제1 쉴드(845)가 중첩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광 투과율을 0%(또는 일정값 이하)로 만드는 제어를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기존에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픽셀 중 적어도 일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하는 대신, 제2 쉴드(840)와 중첩된 제1 쉴드(845)가 상기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라인을 생성하기 ?문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로우빔 패턴의 부분적인 광량을 조절하여, 다양한 빔 패턴(예를 들어, 도 13a 내지 도 16의 실시 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쉴드(845)(고정형 쉴드)와 빔 패턴을 가변할 수 있는 제2 쉴드(846)(매트릭스 쉴드 또는 디스플레이 쉴드)를 중첩하여 배치함으로써, 로우빔 패턴을 보다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로우빔을 출력할 때, 제1 쉴드(845)와 겹쳐지는 제2쉴드(840)의 픽셀에 대해서는 광 투과율(투명도)를 조절하는 것을 불필요하게 되므로, 소모전력을 아낄 수 있다.
한편, 도 21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이빔 출력 시, 프로세서(870)는, 제1 쉴드(845)와 중첩되어 상측에 배치된 제2 쉴드(840)를 상기 몸체(846a)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쉴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870)는, 일 예로, 제2 쉴드(840)가 결합된 제2 몸체를 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제어하여, 제2 쉴드(840)를 상기 몸체(846a)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 ?, 제1 쉴드(845)는, 로우빔 패턴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846a)를 기준으로 상측에 유지될 수 있다.
제2 광원(822b)에서 출력되어 하측 리플렉터(또는, 리플렉터의 하측영역)에 의해 반사된 광은, 하이빔을 출력할 때 몸체(846a)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된 제2 쉴드(840)로 입사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몸체(846a)의 하측에 배치된 제2 쉴드(840)의 광 투과율을 제어하여, 하이빔 패턴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도 13a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내용을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램프는, 독립적으로 광 투과율을 제어하여 빔 패턴을 다양하게 바꿀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서 더 나아가, 로우빔 패턴에 조사되는 광량을 보강하거나 하이빔 패턴에 조사되는 광량을 보강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23 및 도 24는 로우빔과 하이빔을 출력할 때 도 22에서 살펴본 차량용 램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800)는, 하나 이상의 광원(820)(또는 광원부), 상기 광원(820)에서 발생된 광을 반사시키는 제1 리플렉터(830), 상기 제1 리플렉터(830)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쉴드(840), 상기 쉴드를 통과한(또는 차단되지 않은) 광을 외부로 투사시키는 렌즈(8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800)는, 제1 리플렉터(830)에서 반사된 광을 다시 제1 리플렉터(830)로 반사시키거나,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반사시켜 렌즈(850)로 입사시키는 제2 리플렉터(848)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820)은, 상측, 하측 또는 후방을 향해 광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플렉터(830)는, 광원(820)에서 상측, 하측 또는 후방으로 발생된 광을 반사시켜 전방으로(또는 쉴드(840)쪽으로, 제2 리플렉터(848)쪽으로 또는 렌즈(850)쪽으로) 조사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광원(822)은, 상기 제1 리플렉터(830)의 내부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원(822)은 상기 제1 리플렉터(830)를 기준으로 전방(렌즈(850)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쉴드(840)는, 앞서 설명한 매트리스 쉴드 또는 디스플레이 쉴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쉴드(840)는, 도 8 내지 도 16에서 살펴본 쉴드(840)일 수 있다. 즉, 상기 쉴드(840)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각 픽셀별로 광 투과율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픽셀은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각 픽셀은 부분적으로 광 투과율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세서(870)는, 상기 쉴드(840)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을 독립적으로(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하나의 픽셀 내에서 부분적으로 광 투과율이 달라지도록(예를 들어, 각 픽셀의 제1 부분의 광 투과율은 제1 값을 갖고, 상기 제1 부분과 다른 제2 부분의 광 투과율은 상기 제1 값과 다른 제2 값을 갖도록) 복수의 픽셀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광원(820)에서 발생되어 제1 리플렉터(830)에 의해 반사된 후 상기 쉴드(840)를 통과한 광(구체적으로, 쉴드(840)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광)은 렌즈(850)를 투과하여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쉴드(840)는, 광원(820) 및 제1 리플렉터(830)보다 전방(또는 렌즈(850)쪽)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몸체(846)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몸체(846)에는 제1 리플렉터(830)에서 반사된 광을 다시 제1 리플렉터로 반사시키도록 형성된 제2 리플렉터(848)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몸체(846)는, 원통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846)는, 일 예로, 제2 케이스(803)에 구비된 홈에 삽입되어,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803)는, 일 예로, 중심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기준평면에서 좌측면과 우측면에 상기 몸체(846)가 장착될 수 있는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846)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846)가 상기 제2 케이스(803)의 내부공간 중심을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의 폭 방향은, 전방을 기준으로 수평 및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회전 가능한 몸체(846)에는 상기 몸체(846)를 상기 몸체(846)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구동부(847)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847)는,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몸체(846)에 결합된 제1 기어(847a), 상기 제1 기어(847a)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2 기어(847b) 및 상기 제2 기어(847b)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기어(847b)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액츄에이터(847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에는, 제1 기어(847a)가 상기 제2 기어(847b)를 통해 회전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구동부는, 액츄에이터(847c)가 직접 상기 제1 기어(847a)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기어(847a)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즉, 제2 기어(847b)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847)는, 프로세서(87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부(847)는, 제2 케이스(803)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2 케이스(803)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2 케이스(803)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리플렉터(848)는, 일 예로, 상기 몸체(846)에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 리플렉터(848)는 일 축(예를 들어, 몸체(846) 또는 몸체(846)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870)는, 상기 제2 리플렉터(848)를 상기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846)에 결합된 구동부(847)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쉴드(840)는, 제2 케이스(803)의 상측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쉴드(840)는, 상기 몸체(846)의 수직한 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쉴드(840) 및 상기 몸체(846)는 미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847)의 구동에 의해 상기 몸체(846)가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더라도, 상기 쉴드(840)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쉴드(840)와 상기 제2 리플렉터(848)는, 일 축(예를 들어, 회전 가능한 몸체(846))를 기준으로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몸체(846)가 회전되면, 상기 제2 리플렉터(848)는, 일 축(몸체(846))를 따라 회전되지만, 상기 쉴드(840)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렌즈(850)는, 상기 쉴드(840) 및 제2 리플렉터(848)를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850), 제1 케이스(802), 제2 케이스(803)에 대한 설명은 도 8에서 설명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즉, 차량용 램프는, 하나 이상의 광원(822), 상기 광원(822)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822)에서 발생된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제1 리플렉터(830), 상기 제1 리플렉터(830) 및 광원(822)의 전방에 위치한 쉴드(840) 및 상기 쉴드(840)의 전방에 위치한 렌즈(8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84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쉴드(840)와 접촉되는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리플렉터(8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리플렉터(848)는, 일 축(예를 들어, 몸통(846))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로우빔을 출력할 때와 하이빔을 출력할 ?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와 하이빔을 출력할 때 각각 상기 제2 리플렉터(848)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리플렉터(848)가 결합된 몸체(846)를 구동시키는 구동부(847)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리플렉터(848)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 제1 위치에 배치되고, 하이빔을 출력할 ?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3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870)는, 상기 제2 리플렉터(848)가 일 축(예를 들어 몸통(846))을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면에서 보면, 상기 일 축(몸통(846)) 하측 부분에서는 상기 제1 리플렉터(830)가 상기 제2 리플렉터(848)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일축 하측 부분에서는 로우빔 출력시 제2 리플렉터(848)가 보일 수 있다.
한편, 도 2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870)는, 하이빔 출력 시, 상기 제2 리플렉터(848)가 일 축(예를 들어 몸통(846))을 기준으로 수평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부(847)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면에서 보면, 도 23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축(몸체(846)) 하측 부분에서는 상기 제1 리플렉터(830)가 보일 수 있다. 반면, 제2 리플렉터(848)의 적어도 일부는 하이빔 출력시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전면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도 24의 (a)에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의 차량용 램프의 전면도와,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4의 (b)에는 하이빔을 출력할 때의 차량용 램프의 전면도와, G-G를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2 리플렉터(848)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는, 도 2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광원(8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822)은, 후방으로 광을 출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플렉터(830)는, 상기 광원(822)에서 발생된 광이 전방을 향하도록 반사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리플렉터(830)의 상측영역(830a)에서 반사된 빛은 하측전방으로 광을 조사시켜 로우빔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리플렉터(830)의 하측영역(830b)에서 반사된 빛은 상측전방으로 광을 조사시켜 하이빔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다.
제2 리플렉터(848)는, 도 2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로우빔을 출력할 때 제1 리플렉터(830)(예를 들어, 제1 리플렉터(830)의 하측영역(830b))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제1 리플렉터(830)로 다시 반사시키도록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위치는, 제1 리플렉터(830)(구체적으로, 제1 리플렉터의 하측영역(830b))에서 반사되어 상기 일 축(몸체(846))를 기준으로 하측을 향하는 광(T1)을 다시 상기 제1 리플렉터(구체적으로, 제1 리플렉터의 상측영역(830a))로 반사시키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870)는, 로우빔 출력시, 하이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리플렉터의 하측영역(830b)에서 반사된 광을 제1 리플렉터의 상측영역(830a)으로 다시 반사되는 위치(제1 위치)에 상기 제2 리플렉터(848)가 위치되도록 구동부(847)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리플렉터로 다시 반사된 광(구체적으로, 제1 리플렉터의 상측영역(830a)으로 다시 반사된 광)은 쉴드(840)를 통과하여 로우빔 패턴의 광을 보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리플렉터(848)가 일축(몸체(846))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어, 제1 리플렉터의 하단 영역(830b)에서 반사된 광을 제1 리플렉터의 상단 영역(830a)으로 다시 반사시킴으로써, 본 발명은,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는 광(또는 광량)을 보강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제2 리플렉터(848)의 제1 위치를 조정하여, 로우빔 패턴에서 광이 보강되는 부분을 조절(변경,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로우빔 출력 시 상기 쉴드(840)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 적어도 일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하여, 컷오프라인을 포함하는 로우빔 패턴 및 다양한 로우빔 패턴(도 13a 내지 도 16)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리플렉터(848)는,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리플렉터의 하단영역(830b)에서 반사된 광을 집광시켜 제1 리플렉터의 상단영역(830a)으로 다시 반사시키도록, 오목한 형태(또는, 휘어진 형태, 굽어진 형태 등)를 가질 수 있다.
반면, 제2 리플렉터(848)는, 도 2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이빔을 출력할 때, 제1 리플렉터(830)에서 반사된 광이 상기 제2 리플렉터(848)에 다시 반사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하이빔을 출력할 때에는, 제1 리플렉터의 하단 영역(830b)에서 반사된 광이 상기 제2 리플렉터(848)에 의해 다시 반사되지 않고, 바로 상기 렌즈(850)로 입사되도록, 상기 제2 리플렉터(848)가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동부(847)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위치는, 광원(822)에서 발생되어 제1 리플렉터(830)의 하단영역(830b)에서 반사된 광을 다시 반사시키지 않는(즉 가리지 않는) 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하나의 광원을 이용하여 로우빔과 하이빔을 출력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램프는, 로우빔 뿐만 아니라 하이빔을 보강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는 도 22에서 살펴본 차량용 램프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5의 (a)를 참조하면, 차량용 램프에 포함되는 광원(광원부)는, 쉴드(890)의 하단에 배치되는 보조광원(8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광원(824)은, 할로겐 광원, LED 광원, LD 광원 등일 수 있다.
상기 쉴드(890)는, 앞서 설명한 광 투과율을 변경하도록 형성된 쉴드(840)일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고정된 쉴드(845)일 수 있다.
광원(822)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리플렉터(830)를 향하 빛을 조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광원(824)은, 쉴드(890)의 하단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 리플렉터(848)는 상기 보조광원(824)을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플렉터(848)는, 일 예로, 일 축(여기서의 일 축은, 별도의 몸체(A1))을 기준으로 회전되거나 상기 일 축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회전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5의 (a)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의 단면도이고, 도 25의 (b)는 하이빔을 출력할 때의 단면도이다.
상기 보조광원(824)에서 발생된 광은, 로우빔을 출력할 때, 도 2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위치에 배치된 제2 리플렉터(848)에 의해 상기 렌즈(850)로 반사되어 로우빔 패턴의 광을 보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광원(824)은 쉴드(890)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쉴드(890)를 향해(또는 상측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플렉터(848)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 로우빔 패턴의 광을 보강하도록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위치는, 보조광원(824)에서 발생된 광이 바로 렌즈(850)의 하단부를 향하도록 하는 위치로, 일 예로, 보조광원(824)과 쉴드(890)의 사이에 존재하는 위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쉴드(890)는, 상기 제1 리플렉터(830)(예를 들어, 제1 리플렉터의 하단 부분(830b))에서 반사된 광 또는 상기 보조광원(824)에서 발생된 광 중 적어도 하나가 통과되는 통과홀(89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822)에서 발생되어 상기 제1 리플렉터(예를 들어, 제1 리플렉터의 하단영역(830b))에 의해 반사된 광(2500b)은, 상기 통과홀(892)을 통과하여 하이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과홀의 일부 영역에는 반사부재(89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이빔을 출력할 때, 제2 리플렉터(848)는, 보조광원(824)에서 발생된 광이 상기 반사부재로 입사되도록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광원(824)에서 발생된 광(2500c’)은, 상기 반사부재(896)에 으해 반사되어 하이빔 패턴의 광(또는 광량)을 보강할 수 있다.
즉, 도 2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리플렉터(848)는, 하이빔을 출력할 때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리플렉터(구체적으로(제1 리플렉터의 하단영역(830b))에서 반사된 후 상기 통과홀(892)로 향하는 광(2500b)을 미차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리플렉터(848)가 하이빔 출력시 위치하는 제2 위치는, 광원(822)에서 발생된 광이 리플렉터의 하단영역(830b)에 반사되어 쉴드(890)의 통과홀(892)을 향하는 것이 미차단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2 리플렉터(848)가 하이빔 출력시 위치하는 제2 위치는, 보조광원(824)에서 발생된 광이 제2 리플렉터(848)에 의해 반사되지 않는 위치(또는 보조광원(824)에서 발생된 광이 쉴드(890)로 향하는 것을 가로막지 않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870)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에는, 상기 제2 리플렉터(848)를 제1 위치에 위치시키고, 하이빔을 출력할 때에는,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상기 제2 리플렉터(848)가 위치하도록 구동부(847)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리플렉터(848)는, 별도의 몸체(A1)에 결합되여, 상기 몸체(A1)의 길이방향을 관통하는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거나 회전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광원은 하이빔 출력시 개별적으로 온/오프가 가능하다. 즉, 프로세서(870)는, 하이빔을 출력할 때, 상기 보조 광원(824)을 온 시킬 수도 있고, 오프 시킬 수도 있다.
구동부(847)는, 상기 별도의 몸체(A1)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리플렉터(848)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 도 2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리플렉터(830)(구체적으로, 제1 리플렉터의 하단영역(830b))에서 반사된 후 통과홀(892)로 향하는 광(2500b)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상기 제2 리플렉터(830)는, 반사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쉴드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리플렉터(848)의 일면(예를 들어, 광원(또는 보조광원)을 향하는 면)에는 반사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리플렉터(848)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는, 반사부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5의 구조에서는, 쉴드(890)의 끝부분(894)에 의해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쉴드(890)의 끝부분(894)은, 통과홀(892)의 반사부재(894)가 구비된 일부분에 반대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광원(822)에서 발생되어 제1 리플렉터의 상측영역(830a)에 의해 반사광 중 일부분은, 상기 쉴드(890)의 끝부분(894)에 의해 차단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쉴드(890)를 통과하여 렌즈(850)로 입사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로우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는, 도 2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로우빔을 출력할 때에는, 보조광원(824)에서 발생된 광을 바로 렌즈(850)의 하단부로 반사시키도록 제2 리플렉터(848)가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보조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이용하여 로우빔 패턴의 광(광량)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에 제2 리플렉터(848)가 배치됨에 따라, 광원(822)에서 발생되어 제1 리플렉터의 하측영역(830b)에 의해 반사된 광(하이빔 패턴을 형성하는 광)은, 상기 제2 리플렉터(848)에 의해 차단되어, 쉴드(890)의 통과홀(892)로 향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로우빔 출력시, 하이빔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에 제2 리플렉터(848)가 배치됨에 따라, 상기 보조광원(824)에서 발생된 빛은, 보조광원(824)의 상측에 위치한 쉴드(890)의 통과홀(892) 및 반사부재(896)으로 향하지 않게 되어, 하이빔 패턴을 형성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는, 도 2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이빔을 출력할 때에는, 보조광원(824)에서 발생된 광이 바로 쉴드(890)의 통과홀(892) 및 반사부재(896)으로 조사되도록 제2 리플렉터(848)가 제2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리플렉터(848)가 제2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광원(822)에서 발생되어 제1 리플렉터의 하단영역(830b)에 의해 반사된 광은, 상기 제2 리플렉터(848)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쉴드(890)의 통과홀(892)을 통과하여 하이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리플렉터(848)가 제2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보조광원(824)에서 발생된 광은, 상기 제2 리플렉터(848)에 의해 렌즈(850)로 바로 반사되지 않고, 상기 쉴드(890)의 통과홀(892)에 형성된 반사부재(896)에 의해 반사되어 하이빔 패턴의 광(광량)을 보강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은 도 22에서 살펴본 차량용 램프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6의 (a)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의 차량용 램프의 단면도이고, 도 26의 (b)는 하이빔을 출력할 때의 차량용 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26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원(820)은, 상측으로 광을 출력하는 제1 광원(822a), 하측으로 광을 출력하는 제2 광원(822b) 및 상기 쉴드(890)의 하단에 배치되는 보조광원(8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쉴드(890)는, 제2 광원(822b)에서 발생되어 제1 리플렉터(구체적으로, 제1 리플렉터의 하단영역(830b))에 의해 반사된 광이 통과하는 통과홀(89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822b)은, 로우빔을 출력할 때에는 미발광하고, 하이빔을 출력할 때에는 발광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870)는, 제2 광원(822b)에서 발생된 광은 하이빔 패턴을 형성하므로, 로우빔을 출력할 때에는 상기 제2 광원(822b)을 오프(미발광)시킬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870)는, 하이빔을 출력할 때에는, 상기 제2 광원(822b)을 발광(온)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70)는, 제1 광원(822a)을 로우빔을 출력할 때와 하이빔을 출력할 때 모두 발광(온)시킬 수도 있고, 하이빔을 출력할 때에는, 상기 제1 광원(822a)을 오프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2 리플렉터(848)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 보조광원(824)에서 발생된 광을 반사시켜 바로 렌즈(850)의 하단부로 입사시키도록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리플렉터(848)는, 도 26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이빔을 출력할 때, 상기 보조광원(824)에서 발생된 광과 상기 제2 광원(822b)에서 발생되어 제1 리플렉터(구체적으로, 제1 리플렉터의 하단영역(830b))에 의해 반사된 광(2600c)이 쉴드(890)로 향하도록 제2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광원(822b)에서 발생되어 제1 리플렉터(구체적으로, 제1 리플렉터(830)의 하단영역(830b))에 의해 반사된 광(2600c)은, 상기 쉴드(890)의 통과홀(892)을 통과하여 하이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통과홀(892)의 일부영역에는 반사부재(896)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광원(824)에서 발생된 광은, 상기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하이빔 패턴의 광을 보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870)는, 하이빔 출력시, 도 26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광원(822b)에서 발생되어 제1 리플렉터의 하단영역(830b)에 의해 반사된 후 쉴드(890)의 통과홀(892)을 향하는 광(2600c)과, 보조광원(824)에서 발생된 광이 쉴드(890)의 통과홀(892)의 일부 영역(또는 일부분)에 구비된 반사부재로 향하도록, 제2 리플렉터(848)를 제2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제2 리플렉터는,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축(예를 들어, 추가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일 축(A1)을 기준으로 회전되거나, 도 2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일 축(예를 들어 추가 몸체)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일 축(A1)을 기준으로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리플렉터(848)가 일 축(A2)을 기준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회전이동 되도록 형성되어도, 프로세서(870)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에는, 보조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바로 렌즈의 하단부로 반사시키도록(및/또는, 제2 광원에서 발생되어 제1 리플렉터의 하단영역(830b)에 의해 반사된 광이 쉴드(890)의 통과홀을 향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하이빔을 출력할 때에는, 보조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쉴드(890)의 통과홀(892) 및 반사부재(896)를 향하도록(및/또는, 제2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제1 리플렉터의 하단영역에 의해 반사되어 쉴드의 통과홀을 향하도록), 제2 리플렉터(848)를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램프가 적용되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램프는,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광을 전방으로 출력(조사,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870)는, 차량의 센싱부(120)를 통해 광을 조사하도록 기 설정된 객체가 감지되면, 차량용 램프(800)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객체로 빛이 조사되도록 쉴드(84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객체는, ADAS 에서 광을 추가로(또는, 집중적으로) 조사하도록 미리 설정된 객체를 의미하며, 일 예로, 본 차량(100)을 기준으로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객체(예를 들어, 타차량, 사람, 동물, 표지판, 주변 환경, 알림판, 신호등, 차선(LINE) 등)이거나, 운전자에게 주의를 주도록 설정된 객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객체는 프로세서의 제어 또는 사용자 설정에 근거하여 결정되거나 가변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870)는, 상기 감지된 객체의 크기 및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감지된 객체에 빛이 조사되도록 쉴드(840)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 적어도 일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프로세서(870)는, 본 차량(100)이 주행중인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주행중인 타차량(즉, 맞은편 차량)이 감지되면, 상기 타차량으로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쉴드(840)의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870)는, 반대방향으로 주행중인 타차량이 감지되면, 리플렉터(제1 리플렉터)를 통과한 광이 상기 감지된 타차량을 향해 조사되지 않도록, 해당 영역으로 조사되는 광을 통과시키는 픽셀의 광 투과율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는 맞은편 차량으로 빛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는 Antiglare High-beam Assist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은, 앞서 설명한 차량용 램프(8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상에서 설명한 차량용 램프(800)는, 차량(1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차량용 램프(800)의 동작 또는 제어방법은, 차량(100)(또는 제어부(170))의 동작 또는 제어방법으로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램프(800)에 구비된 프로세서(870)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 구성 또는 제어방법들은, 차량(100)에 구비된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모든 제어방법은, 차량의 제어방법에 적용될 수도 있고,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각 픽셀별로 독립적으로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는 쉴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는 쉴드와 고정형 쉴드를 함께 이용하여, 보다 세밀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제2 리플렉터 및/또는 보조광원을 이용하여 로우빔 패턴의 광 및 하이빔 패턴의 광을 보강할 수 있는 최적화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1.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소정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쉴드 및 빔 패턴이 가변되도록 광 투과율을 변경하는 제2 쉴드를 포함하는 쉴드부;
    상기 쉴드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빔 패턴 변경시 상기 쉴드부 및 상기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상기 제1 쉴드가 회전 가능한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쉴드가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쉴드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각 픽셀별로 광 투과율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픽셀은 행렬 형식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픽셀은 부분적으로 광 투과율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측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제1 광원;
    하측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제2 광원; 및
    상기 제1 및 제2 광원에서 출력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에서 출력된 광은 상기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후 상기 쉴드부를 거쳐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광원에서 출력된 광은 상기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후 상기 쉴드부를 거쳐 하이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 상기 제1 쉴드가 회전 가능한 몸체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쉴드가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 상기 제2 쉴드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 적어도 일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하여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은,
    로우빔을 출력할 때 미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이빔을 출력할 때 상기 제1 쉴드가 회전 가능한 몸체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쉴드가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이빔을 출력할 때, 상기 제2 쉴드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 적어도 일부의 광 투과율을 제어하여 하이빔 패턴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상기 제1 쉴드 및 상기 제2 쉴드가 회전 가능한 몸체를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로우빔을 출력할 때,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쉴드 및 상기 제2 쉴드가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상측방향에 중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쉴드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빔을 출력할 때 형성되는 로우빔 패턴은,
    상기 제1 쉴드에 의해 형성되는 컷오프(cut-off)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쉴드에 의해 적어도 일부의 광량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60180425A 2016-12-27 2016-12-27 차량용 램프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16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425A KR101916724B1 (ko) 2016-12-27 2016-12-27 차량용 램프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5/816,611 US10317033B2 (en) 2016-12-27 2017-11-17 Lamp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7210342.6A EP3343097B1 (en) 2016-12-27 2017-12-22 Lamp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711423647.5A CN108237964B (zh) 2016-12-27 2017-12-25 车辆用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425A KR101916724B1 (ko) 2016-12-27 2016-12-27 차량용 램프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210A true KR20180076210A (ko) 2018-07-05
KR101916724B1 KR101916724B1 (ko) 2018-11-08

Family

ID=6091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425A KR101916724B1 (ko) 2016-12-27 2016-12-27 차량용 램프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17033B2 (ko)
EP (1) EP3343097B1 (ko)
KR (1) KR101916724B1 (ko)
CN (1) CN1082379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3753B1 (en) * 2012-09-26 2016-07-05 Google Inc. Wide-view LIDAR with areas of special attention
DE102019211732A1 (de) * 2018-08-06 2020-02-06 Koito Manufacturing Co., Ltd. Fahrzeugleuchte
DE102018123407A1 (de) * 2018-09-24 2020-03-26 HELLA GmbH & Co. KGaA Scheinwerfer,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mit einer LED-Matrix
US20200398738A1 (en) * 2019-06-20 2020-12-24 Hyundai Mobis Co., Ltd. Headlamp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198386B2 (en) * 2019-07-08 2021-12-14 Le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headlights in a host vehicle
FR3102535B1 (fr) 2019-10-29 2022-07-08 Valeo Vision Projecteur automobile modulable entre conduite a gauche et conduite a droite
FR3103252B1 (fr) 2019-11-19 2022-06-24 Valeo Vision Module d’eclairage pour vehicule a coupure modulable entre conduite a gauche et conduite a droite
US11485197B2 (en) 2020-03-13 2022-11-01 Le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ir quality alert to an occupant of a host vehicle
US11315429B1 (en) 2020-10-27 2022-04-26 Le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lert to a driver of a host vehicle
WO2023090330A1 (ja) * 2021-11-19 2023-05-2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灯具システムおよびランプのコントローラおよ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1346A (ja) 1992-12-28 1994-07-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車前照灯システム
JPH0716244A (ja) 1993-06-23 1995-01-20 Shinsei Dentaru Lab:Kk 義歯の製造方法
DE19807153A1 (de) 1998-02-20 1999-08-26 Bosch Gmbh Robert Scheinwerfer für Fahrzeuge nach dem Projektionsprinzip
DE19756437A1 (de) 1997-12-18 1999-06-24 Bosch Gmbh Robert Scheinwerfer für Fahrzeuge für Abblendlicht und Fernlicht
DE19860669B4 (de) 1998-12-29 2007-08-23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Fahrzeugscheinwerfer nach dem Projektionsprinzip
FR2827945B1 (fr) 2001-07-26 2004-02-27 Valeo Vision Projecteur elliptique equipe de caches a axes de pivotement transversaux pour vehicule automobile
JP2004178844A (ja) * 2002-11-25 2004-06-2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ヘッドランプ
CN101566326B (zh) * 2008-04-23 2012-09-19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照明装置及其光引擎
JP2012015044A (ja) 2010-07-05 2012-01-19 Asahi Glass Co Ltd 車両用前照灯装置
KR101249003B1 (ko) * 2011-11-25 2013-04-01 에스엘 주식회사 헤드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US9033562B2 (en) * 2011-12-27 2015-05-19 Ichikoh Industries, Ltd. Vehicle headlamp
JP6274891B2 (ja) * 2014-02-03 2018-02-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US9447941B2 (en) 2014-03-13 2016-09-20 Sl Corporation Lamp for vehicle
KR101557112B1 (ko) * 2014-04-22 2015-10-0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3097B1 (en) 2019-10-16
EP3343097A1 (en) 2018-07-04
US20180180246A1 (en) 2018-06-28
CN108237964B (zh) 2021-04-30
KR101916724B1 (ko) 2018-11-08
CN108237964A (zh) 2018-07-03
US10317033B2 (en)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725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899982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16724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899981B1 (ko)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KR101850324B1 (ko) 램프 및 자율 주행 차량
KR101908308B1 (ko) 차량용 램프
KR101938669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8613098B (zh) 车辆用灯及其控制方法
KR101768590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80051225A (ko)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90677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951424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80046228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103495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378326B1 (ko) 차량용 램프
CN113498632A (zh) 安装在车灯上的传感器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