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974A - 처리수내 미세 고형물 및 인 제거를 위한 막분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처리수내 미세 고형물 및 인 제거를 위한 막분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75974A KR20180075974A KR1020160179995A KR20160179995A KR20180075974A KR 20180075974 A KR20180075974 A KR 20180075974A KR 1020160179995 A KR1020160179995 A KR 1020160179995A KR 20160179995 A KR20160179995 A KR 20160179995A KR 20180075974 A KR20180075974 A KR 201800759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tank
- treated water
- rapid mixing
- membra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02F3/1284—Mix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3/00—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3/006—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details of construction, e.g. specially adapted seals, modules, conne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막분리 시스템에 있어서, 일차적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상대적으로 오염농도가 낮아진 처리수와 인과 반응하여 화학 결합에 의한 플럭을 형성시킬 수 있는 응집제가 투입하면 교반기에 의해 강제로 유동성을 만들어 혼합하되, 교반기의 회전날개 주변속도가 1.5 ~ 3.0m/sec 이고, 응집제와 처리수가 혼합된 상태에서 30 ~ 60초 동안 체류시키는 급속혼화조; 상기 급속혼화조에서 처리수가 투입되면 교반기에 의해 강제로 유동성을 만들어 혼합하되, 교반기의 회전날개 주변속도가 15 ~ 80m/sec 에서 체류시간을 20 ~ 40분 동안 유지하여 상기 급속혼화조에서 투입된 처리수에서 응집제와 처리수가 반응하여 플럭이 형성되도록 하는 플럭형성조; 상기 플럭형성조에서 자연유하에 의해 처리수가 유입되면 상기 플럭형성조에 유입되는 처리수의 유동성을 저감시켜 정류상태가 될 수 있도록 수개의 격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드레인밸브를 설치하여 플럭의 입자가 커져 농축 처리수가 침전되면 드레인밸브를 개방하여 농축처리수만 배출시킬 수 있는 플럭성장조; 및 상기 플럭성장조에서 자연유하에 의해 처리수가 유입되면, 중공사막이 형성된 분리막유니트에 의해 처리수로부터 흡인펌프를 가동하여 정수를 흡인하고, 수 시간에 수 분간 공기세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산기관에 블로워를 설치하여 1일 1 ~ 2회씩 산화제에 의해 중공사막을 역세할 수 있도록 흡인라인에 역세펌프를 설치하고 그 일측에 약품탱크를 설치하여 밸브 조작에 의해 역세를 실시할 수 있는 분리막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수내 미세 고형물 및 인 제거를 위한 막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막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 고형물 및 인을 일정 농도 이하로 일차적으로 처리된 처리수 내에서 미세 고형물 및 인을 기준치 이하로 다시 처리할 수 있는 처리수내 미세 고형물 및 인 제거를 위한 막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폐수를 처리하는 일반적인 침지식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은 침전조→ 스크린조→ 유량조정조 → 호기조 →막분리호기조 →처리수조의 공정순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공법은 오수내의 부유물질과 유기오염물질(BOD,COD)의 제거에는 탁월히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오수의 방류수수질기준이 강화되고 하·폐수내의 질소, 인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어감에 따라 질소와 인의 적절한 처리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침지식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으로는 질소, 인의 적절한 제거에 한계가 있다. 이는 질소의 경우 탈질에 의한 질소의 완전제거가 아닌 질산화만을 일으켜 오히려 수중 미생물이 흡수하기 좋은 형태로 변형시키며, 인의 경우는 미생물이 단지 미량만을 흡수하기 때문에 높은 인제거율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침지식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의 한계 때문에, 침지식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에 혐기조, 무산소조를 추가하고 미생물 농도를 높게 유지함으로써 질소, 인을 제거하지만 생물학적인 처리방법에 의한 인 제거효율을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하천의 부영양화로 인한 녹조 문제가 크게 부각되어 있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인이다. 따라서 처리수 내에 잔존하는 인의 함유량에 대한 규제기관의 기준치가 전세계적으로 점점 낮아지고 있다.
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차적인 처리가 끝난 처리수 내에 다시 응집제를 투입하여 인과 화합결합을 통해 제거하기도 하지만, 문제는 응집제도 화학약품이므로 화학결합에 필요한 양 이하이면 처리가 잘 안되고, 과도하면 잔류하여 오염원이 된다.
이와 같이 처리수 내에 잔존하는 인을 낮추기 위해서 생물학적 공정과 생화학적 한계를 인정하고, 물리·화학적인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여기서 물리·화학적이라는 것은 처리수에서 용존상태의 인을 입자상태로 전환시킨 다음 미세한 입자상태의 인을 여과한 정수만 추출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미세공을 갖는 중공사막(분리막) 공정을 의미한다.
중공사막의 미세공 직경이 작아질수록 물리적인 여과를 통해 인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해 졌지만, 문제는 처리수 내에 포함된 인을 처리하기 위하여 처리수 내에 응집제를 투입한 후 인과 응집제가 결합하여 여과하기 충분한 크기의 floc을 만들기가 까다롭다는 것이다. 따라서, 혼화시간과 체류시간을 잘 조절하고 응결핵이 적절히 존재해야 응집제거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처리수에 응집제를 투입할 때 적절한 혼화시간과 체류시간을 조정하고 적절한 양의 응결핵을 공급함으로써 응집효율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막분리 시스템에 있어서, 일차적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상대적으로 오염농도가 낮아진 처리수와 인과 반응하여 화학 결합에 의한 플럭을 형성시킬 수 있는 응집제가 투입하면 교반기에 의해 강제로 유동성을 만들어 혼합하되, 교반기의 회전날개 주변속도가 1.5 ~ 3.0m/sec 이고, 응집제와 처리수가 혼합된 상태에서 30 ~ 60초 동안 체류시키는 급속혼화조; 상기 급속혼화조에서 처리수가 투입되면 교반기에 의해 강제로 유동성을 만들어 혼합하되, 교반기의 회전날개 주변속도가 15 ~ 80m/sec 에서 체류시간을 20 ~ 40분 동안 유지하여 상기 급속혼화조에서 투입된 처리수에서 응집제와 처리수가 반응하여 플럭이 형성되도록 하는 플럭형성조; 상기 플럭형성조에서 자연유하에 의해 처리수가 유입되면 상기 플럭형성조에 유입되는 처리수에 의하여 유동성이 생겨 흐르고, 처리수가 뒤섞어지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수개의 격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드레인밸브를 설치하여 플럭의 입자가 커져 농축 처리수가 침전되면 드레인밸브를 개방하여 농축처리수만 배출시킬 수 있는 플럭성장조; 및 상기 플럭성장조에서 자연유하에 의해 처리수가 유입되면, 중공사막이 형성된 분리막유니트에 의해 처리수로부터 흡인펌프를 가동하여 정수를 흡인하고, 수 시간에 수 분간 분리막 표면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막표면의 폐색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분리막 하단의 산기관과 연결된 블로워를 설치하고, 1일 1 ~ 2회씩 산화제에 의해 중공사막을 역세할 수 있도록 흡인라인에 역세펌프를 설치하고 그 일측에 약품탱크를 설치하여 밸브 조작에 의해 역세를 실시할 수 있는 분리막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수내 미세 고형물 및 인 제거를 위한 막분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분리막조의 하단에는 처리수에서 정수를 흡인 과정에서 입자가 큰 플럭들이 침전되어 농축될 때, 주기적으로 농축 처리수를 빼내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드레인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드레인밸브에는 배출관을 형성하여 특정된 곳으로 농축처리수를 보내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반송배관을 분기시켜 급속혼화조에 연결시키면서 반송배관의 농축 처리수중 일부를 상기 급속혼화조에 강제로 공급할 수 있도록 반송배관에 반송펌프를 설치하며, 분기배관(610)에 밸브를 설치하여 밸브를 개방시켜 반송펌프를 작동시키면 농축처리수의 일부가 급속혼화조에 투입되고, 밸브를 폐쇄시키면 급속혼화조에 농축 처리수가 투입되지 않도록 하여 주기적으로 농축 처리수의 일부를 급속혼화조에 투임함으로써 급속혼화조에 투입된 응집제와 처리수가 반응할 때 그 반응의 핵으로 이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이나 하천에 유입되는 하·폐수를 처리하더라도 상당량의 인이 유입될 수 밖에 없던 침지식 막분리 활성슬러지 공법을 개선시켜 인의 유입량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부영양화에 따른 녹조현상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중공사막의 미세공이 상대적으로 작게 제조되어 진보된 분리막을 통해 인을 제거할 때 미세한 floc 까지도 여과·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플럭의 핵이 되는 것을 처리 공정중에 발생된 농축 처리수의 일부를 주기적으로 급속혼화조에 투입함으로써 농축수 내 입자를 응결핵으로 이용하여 응집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응집효과가 증가됨으로써 플럭의 양이 증가 또는 플럭 형성 시간이 단축되고 이는 단위시간당 처리용량의 증대를 의미하므로 결과적으로는 처리수내 미세 고형물 및 인 제거를 위한 막분리 시스템의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수내 미세 고형물 및 인 제거를 위한 막분리 시스템의 계통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처리수내 미세 고형물 및 인 제거를 위한 막분리 시스템은 급속혼화조-플럭형성조-분리막조로 이루어진다.
급속혼화조(100)는 처리수에 인을 화학결합을 통해 제거하는 응집제를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써, 짧은 시간 내에 급속혼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플럭형성조(200)나 분리막조(4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처리수는 활성슬러지공법에 의해 일차적으로 부유물질, 유기물질, 질소, 인 등의 오염물질이 제거된 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처리수는 일차적으로 오염물질이 특정 기준치 이하인 처리된 정수이다.
급속혼화조(100)에는 교반기를 설치하여 회전날개 주변속도를 1.5m ~ 3.0m/sec로 하고, 체류시간은 30~60초로 한다. 급속도로 혼화됨으로써 응집제의 반응시간이 짧아지고, 더불어 조의 크기도 작게 된다.
급속혼화조(100)의 후단에는 플럭형성조(200)가 구비된다. 플럭형성조(200)는 급속혼화조에서 응집제와 처리수가 반응하여 형성된 미세한 floc이 유입되어 floc의 크기가 더욱 크게 형성되는 곳으로, 급속혼화조(100)와 마찬가지로 교반기가 있다. 플럭형성조(200)의 회전날개 주변속도는 15 ~ 80cm/sec로 급속혼화조에 비해 매우 느리다. 교반기의 회전속도를 낮춤으로써 플럭이 파괴되지 않고 일정 크기까지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교반기의 회전속도가 빠를수록 처리수와 응집제의 반응성은 높아지지만 플럭의 성장에는 방해가 되므로 회전날개 주변속도를 실험을 통해 최적의 회전속도로 결정한 것이다. 플럭형성조(200)에서의 처리수 체류시간은 20 ~ 40분으로 하여 처리수 내의 인이 응집체의 크기가 커질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준다.
플럭형성조(200)의 후단에는 플럭성장조(300)가 구비된다. 플럭성장조(300)는 수류의 흐름을 정치시키고, 플럭형성조(200)에서 형성된 플럭을 일부 침강·제거하는 곳으로, 처리수가 플럭성장조(300)에 유입된 후 천천히 이동하여 후술하는 분리막조(400)로 자연유하 시킨다. 플럭성장조(300)에서 처리수의 흐름이 적어야 하므로 플럭성장조(300)내의 처리수의 유동성을 낮추기 위한 수개의 격벽이 형성된다.
플럭성장조(300) 내에 설치되는 첫번째 격벽은 하단 부분이 열려 있으며, 두번째 격벽은 상단 부분이 열려 있고, 세번째 격벽은 다시 하단부분이 열려 있도록 함으로써, 플럭형성조(200)에서 유입된 처리수가 순차적으로 천천히 흐르면서 플럭을 형성시켜 성장시킨다.
교반기를 통해 교반을 시키면 처리수와 응집제 간에 혼합은 잘 되지만 난류가 형성되어 난류에 섞인 플럭이 분리막 표면에 달라 붙기 쉬울 수 있으나 격벽을 통과한 물의 흐름은 정류상태가 되어 처리수 내 플럭이 분리막조 아래에 집중 됨으로써 응집체에 의한 분리막 폐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플럭성장조(300)의 하단에는 드레인밸브(DV)를 설치하여 플럭의 입자가 커져 농축 처리수가 침전되면 드레인밸브를 개방하여 농축처리수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플럭성장조의 하단을 오목한 원뿔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플럭성장조(300)에서 성장한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플럭들이 한 곳으로 집중되어 침전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플럭성장조의 하단에서 드레인밸브(DV)를 통해 주기적으로 침전된 플럭들을 배출시킴으로써 플럭성장조(300)에 유입된 처리수의 농도(처리수내의 플럭 농도)를 낮출 수 있다.
플럭성장조(300)의 후단에는 분리막조(400)가 구비된다. 분리막조(400)는 플럭성장조(300)에서 자연유하되는 처리수에서 중공사막을 통해 정수만 흡인하는 곳으로, 중공사막이 형성된 분리막유니트(500)가 설치되어 있다. 즉, 분리막조(400)에서는 분리막유니트(500)의 중공사막을 통해 플럭은 남겨 두고 정수만 흡인한다.
분리막 흡인시에는 블로워(BL)를 작동시키지 않고, 수 시간에 수 분간 간격으로 작동함으로써 분리막 표면을 공기 세정한다.
분리막유니트(500)에는 처리수내에서 정수를 흡인하기 위해 흡인펌프가 연결되어 있는데, 흡인펌프라인에 역세펌프를 설치하고, 약품탱크를 통해 역세시 산화제를 투입할 있도록 한다. 역세는 하루에 1 ~ 2회 정도의 산화제를 분리막유니트(500)로 역류시킴으로써 플럭에 의해 막히는 중공사막의 미세공을 청소해준다. 역세수의 양은 전체 처리량의 5wt% 이내가 되도록 한다.
분리막유니트(500) 하단에는 산기관이 존재하는데, 이 산기관은 계외에 설치된 블로워와 연결된다. 블로워(BL)는 수 시간에 수 분간 작동됨으로써 공기를 공급하고, 이 공기에 의해 분리막 표면이 깨끗하게 세정된다.
분리막조(400)의 하단 일측에는 드레인밸브(DV)를 설치하여, 분리막의 역세 후 개방하여 분리막조 내 농축처리수를 전량 외부로 배출시킨다. 드레인밸브(DV)에는 반송배관(600)을 연결하여 특정장소로 농축된 처리수를 배출시키고, 반송배관(600)에 반송펌프를 설치한다.
반송배관(600)에는 분기시켜 분기배관(610)을 형성한 후 급속혼화조(100)에 연결시키고, 그 중간에 밸브를 설치하여 밸브의 조작으로 반송배관(600)에 흐르는 농축된 처리수중 일부를 분기배관(610)을 거쳐 급속혼화조(1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급속혼화조(100)에서는 응집제와 처리수가 급속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곳으로, 플럭의 형성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처리수내의 인을 제거하는 처리속도와 처리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반송배관(600)을 통해 배출되는 농축된 처리수의 일부를 급속혼화조(100)에 재반송하면서 반송수내 floc이 응집제의 응결핵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는 대기중의 먼지가 비의 핵이 되어 수분을 응결시키는 기능과 유사한 원리로써 실험결과에 의하면 급속혼화조(100)에 유입된 처리수의 1/100wt%만 투입되어도 플럭 형성시간을 1/3로 단축시킬 수 있다.
급속혼화조(100)에서는 30 ~ 60 초 동안 처리수를 체류시키므로, 20 ~ 30초에 한번씩 주기적으로 분리막조(400)에서 배출시킨 농축 처리수를 반송펌프를 통해 밸브 조작에 의해 급속혼화조(100)에 유입된 처리수의 1/100wt%를 공급시킴으로서 플럭 형성의 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처리수내 미세 고형물 및 인 제거를 위한 막분리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활성슬러지 공법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오염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급속혼화조(100)에 투입한다. 급속혼화조(100)에 처리수가 유입되면, 응집제를 투입하고 교반기에 의해 처리수를 회전시켜 유동시킴으로써 응집제와 인, 고형물질이 반응하여 미세 floc이 형성된다. 교반기 회전날개 주변속도가 1.5 ~ 3.0m/sec 이므로 응집제가 투입된 처리수는 30 ~ 60초 동안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혼합된다.
급속혼화조(100)에서 응집제와 혼합된 처리수는 플럭형성조(200)에 투입되고, 플럭형성조(200)에 투입된 처리수는 회전날개 주변속도 15 ~ 80cm/sec 에서 혼합되면서 플럭이 더욱 크게 성장한다. 즉, 교반기의 회전속도가 상대적으로 급속혼화조(100)에서 보다 낮은 유체의 유동성 환경에서 플럭이 형성되면서 성장한다. 플럭형성조(200)에서는 20 ~ 40분 동안 체류시켜 플럭이 충분히 형성되고 성장되도록 한다.
플럭형성조(200)에서 플럭이 형성된 처리수는 자연유하를 통해 플럭성장조(300)로 유입된다. 플럭성장조(300)에 유입된 처리수는 천천히 흘러 분리막조(400)로 자연유하되는데, 물의 흐름속도를 감소시켜 정류를 형성하도록 한다.
플럭이 성장하면서 입자가 커지면 침전되는데, 플럭성장조(300) 하단이 오목한 원뿔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입자가 큰 플럭이 가운데 뽀족한 부분에 집중되고, 설정량 이상이 적층되면 플럭성장조(300) 하단에 형성된 밸브를 적절히 개방시켜 침전된 플럭만 배출시켜 제거한다.
플럭성장조(300)를 통과한 처리수는 분리막조(400)로 자연유하된다. 분리막조(400)로 유입된 처리수는 흡인펌프의 작동으로 분리막유니트(500)에 형성된 중공사막에 의해 정수만 흡인된다. 흡임펌프가 가동될 때는 블로워의 가동을 중지시켜 플럭의 입자가 깨지는 것을 방지하고, 수 시간에 수 분간 블로워를 가동시켜 분리막 표면을 공기세정하고, 1일 1 ~ 2회, 역세를 실시하여 중공사막의 미세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분리막조(400)에서 처리수에서 정수만을 흡인할 때, 입자가 큰 플럭은 분리막조(400) 하단에 침전되는데, 역세 후 드레인밸브(DV)를 개방시켜 분리막조 내 농축수를 전량 배출시킨다. 드레인밸브(DV)는 반송배관(600)이 연결되어 있어서, 반송배관(600)을 따라 목적하는 곳으로 배출시키는데, 반송배관(600)에는 반송펌프가 설치되어 있고, 반송배관(600)은 분기시켜 분기배관(610)을 형성한후 밸브 조작에 의해 개폐되면서 반송배관(600)에 흐르는 농축된 처리수의 일부를 분기배관(610)을 통해 급속혼화조(100)에 공급한다. 급속혼화조(100)에서 농축된 처리수를 응집의 핵으로 이용함으로써 플럭형성이 크게 촉진된다.
분리막조(400)에서 처리수에서 정수를 흡인하다가 1일 1 ~ 2회 정도 흡인펌프의 가동을 중단하고, 역세펌프를 통해 분리막유니트(500)에 역세수를 역류시킴으로써 중공사막모듈의 미세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역세 후 분리막조 농축수를 배출하고 나면 드레인밸브를 잠그고 분리막조 내를 다시 충수한다.
100 : 급속혼화조 200 : 플럭형성조
300 : 플럭성장조 400 : 분리막조
500 : 분리막유니트 600 : 반송배관
610 : 분기배관
BL : 블로워
RP : 반송펌프
SP : 흡인펌프
WP : 역세펌프
300 : 플럭성장조 400 : 분리막조
500 : 분리막유니트 600 : 반송배관
610 : 분기배관
BL : 블로워
RP : 반송펌프
SP : 흡인펌프
WP : 역세펌프
Claims (3)
- 하·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막분리 시스템에 있어서,
일차적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상대적으로 오염농도가 낮아진 처리수와 인과 반응하여 화학 결합에 의한 플럭을 형성시킬 수 있는 응집제가 투입하면 교반기에 의해 강제로 유동성을 만들어 혼합하되, 교반기의 회전날개 주변속도가 1.5 ~ 3.0m/sec 이고, 응집제와 처리수가 혼합된 상태에서 30 ~ 60초 동안 체류시키는 급속혼화조(100);
상기 급속혼화조에서 처리수가 투입되면 교반기에 의해 강제로 유동성을 만들어 혼합하되, 교반기의 회전날개 주변속도가 15 ~ 80m/sec 에서 체류시간을 20 ~ 40분 동안 유지하여 상기 급속혼화조에서 투입된 처리수에서 보다 플럭의 크기를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플럭형성조(200);
상기 플럭형성조에서 자연유하에 의해 처리수가 유입되면 상기 플럭형성조에 유입되는 처리수의 흐름 속도를 낮출 수 있도록 수개의 격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드레인밸브를 설치하여 플럭의 입자가 커져 농축 처리수가 침전되면 드레인밸브를 개방하여 농축처리수만 배출시킬 수 있는 플럭성장조(300); 및
상기 플럭성장조에서 자연유하에 의해 처리수가 유입되면, 중공사막이 형성된 분리막유니트에 의해 처리수로부터 흡인펌프를 가동하여 정수를 흡인하고, 수 시간에 수 분간 공기를 공급하여 분리막 표면의 공기세정을 할 수 있도록 분리막유니트 하단의 산기관에 연결된 블로워가 설치되고, 1일 1 ~ 2회씩 산화제에 의해 중공사막을 역세할 수 있도록 흡인라인에 역세펌프를 설치하고 그 일측에 약품탱크를 설치하여 밸브 조작에 의해 역세를 실시할 수 있는 분리막조(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수내 미세 고형물 및 인 제거를 위한 막분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조의 하단에는 처리수에서 정수를 흡인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플럭들이 침전되어 농축될 때, 역세 후 농축 처리수를 전량 빼내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드레인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수내 미세 고형물 및 인 제거를 위한 막분리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밸브에는 배출관을 형성하여 특정된 곳으로 농축처리수를 보낼 수 있도록 하고, 반송배관을 분기시켜 급속혼화조에 연결시키면서 반송배관의 농축 처리수중 일부를 상기 급속혼화조에 강제로 공급할 수 있도록 반송배관에 반송펌프를 설치하며, 반송배관에 밸브를 설치하여 밸브를 개방시켜 반송펌프를 작동시키면 농축처리수가 급속혼화조에 투입되고, 밸브를 폐쇄시키면 급속혼화조에 농축 처리수가 투입되지 않도록 하여 주기적으로 농축 처리수를 급속혼화조에 투임함으로써 급속혼화조에 투입된 응집제와 처리수가 반응할 때 그 반응의 핵으로 이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수내 미세 고형물 및 인 제거를 위한 막분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9995A KR20180075974A (ko) | 2016-12-27 | 2016-12-27 | 처리수내 미세 고형물 및 인 제거를 위한 막분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9995A KR20180075974A (ko) | 2016-12-27 | 2016-12-27 | 처리수내 미세 고형물 및 인 제거를 위한 막분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5974A true KR20180075974A (ko) | 2018-07-05 |
Family
ID=62920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9995A KR20180075974A (ko) | 2016-12-27 | 2016-12-27 | 처리수내 미세 고형물 및 인 제거를 위한 막분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75974A (ko) |
-
2016
- 2016-12-27 KR KR1020160179995A patent/KR2018007597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33130B2 (ja) | 浄水装置および実施方法 | |
CN106348528A (zh) | 一种磁加载沉淀与曝气生物滤池复合污水处理系统 | |
JPH09323004A (ja) | 水処理装置 | |
KR101336169B1 (ko) | 침전과 부상을 연계한 고도정수처리장치 | |
KR101820864B1 (ko) | 섬유볼을 내장한 용존 공기 부상형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존 공기 부상형 수처리 방법 | |
CN101148275A (zh) | Pvc离心母液处理回用工艺及设备 | |
CN106458669B (zh) | 澄清废水的方法 | |
JP2014024003A (ja) | 水処理システム | |
KR101976216B1 (ko) | 물 정화 방법 및 장치 | |
KR100646042B1 (ko) |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 |
WO2011136043A1 (ja) | 廃水処理装置および廃水処理方法 | |
JP2002346581A (ja) | 有機性廃水の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 |
JP2006205155A (ja) | 嫌気槽とそれを含んだ排水処理システム | |
WO1999033541A1 (fr) | Precipitateur de coagulation | |
CN110078175A (zh) | 一种超滤和气浮一体化装置及应用 | |
JP2011140003A (ja) | 濁水処理装置及び濁水処理方法 | |
KR20180075974A (ko) | 처리수내 미세 고형물 및 인 제거를 위한 막분리 시스템 | |
KR101469634B1 (ko) | 관형여과기모듈을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 |
CN210710835U (zh) | 一种治理焦化废水的气浮设备 | |
KR102026130B1 (ko) | 선박용 오폐수 처리 장치 | |
JP6243804B2 (ja) |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及び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 | |
KR101045878B1 (ko) | 상하수 고도 처리를 위한 고효율 하이브리드 침전지 | |
KR100321800B1 (ko) | 용존공기부상법을 적용한 정수처리방법과 이를 이용한정수처리방법 | |
JP2017159213A (ja) | 凝集処理方法および装置 | |
KR200384139Y1 (ko) |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