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864A -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864A
KR20180075864A KR1020160179747A KR20160179747A KR20180075864A KR 20180075864 A KR20180075864 A KR 20180075864A KR 1020160179747 A KR1020160179747 A KR 1020160179747A KR 20160179747 A KR20160179747 A KR 20160179747A KR 20180075864 A KR20180075864 A KR 20180075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tub
receiving groove
dishwasher
buff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3354B1 (ko
Inventor
김대희
고명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9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354B1/ko
Priority to EP17208299.2A priority patent/EP3342325B1/en
Priority to US15/852,976 priority patent/US10624524B2/en
Publication of KR20180075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5Inserts, e.g. for holding baby bottles, stemware or cu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에 식기투입구가 형성된 터브와, 식기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터브 내부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이동롤러가 구비되며 식기가 안착하는 랙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터브와 랙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에 있어서, 바디, 바디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랙의 일측을 수용하는 수용홈, 및 바디의 타측면에 구비되며, 바디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터브의 일측을 가압 지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Shock absorbing membe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기 세척기 내부에서 랙의 유동을 방지하고 도어 내측면의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는 터브 내부에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고,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에 닿아서 식기 표면에 묻어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이 세척되도록 작동한다.
식기 세척기는 도어가 설치된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터브, 터브의 내부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토록 설치되어 식기가 수납되는 랙, 터브의 내부 및 랙의 하부에 설치되어 랙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세척 노즐과, 세척 노즐로 세척수를 펌핑시키는 펌프와, 도어에 구비되어 세제가 수납되는 세제박스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식기 세척기는는 랙이 터브의 전면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를 진동, 낙하 전도와 같은 이동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외력에 의하여 랙의 유동이 발생하고 이는 인접한 도어의 내측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고 랙의 인출력 저하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위해 발포완충재를 랙과 도어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시켰으나, 발포완충재는 도어의 내측면에 접촉하므로 도어의 내측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별도의 스크래치 방지용 이종재질 예를 들면 PE와 같은 재질의 부재를 발포완충재에 부착하였으나, 운송 중 스크래치 방지용 이종재질의 탈락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식기세척기는 제품 포장 후 운송과정에서 발포완충재의 파손이나 탈거가 발생하여 선반 포장재로서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식기세척기는 기존의 두께가 두꺼운 발포완충재나 고정된 두께를 가지는 완충부재를 전후 폭 전장 치수가 일정하지 않는 랙과 도어의 내면 사이에 배치하는 경우, 식기 세척기의 도어가 닫히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식기 세척기의 상부 및 하부의 랙 중 하부의 랙은 이동롤러가 터브의 양 측벽에 마련된 한 쌍의 레일에 의해 지지되며, 레일의 일부 구간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돌기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이 경우 운반 중 외력이 식기 세척기에 강하게 가해지면 터브 양 측벽의 일부 구간의 폭이 증가 등의 일부 변형이 발생하며 한 쌍의 돌기간의 간격과 한 쌍의 레일간의 간격은 각각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랙의 이동롤러는 한 쌍의 돌기의 상방으로 이탈하거나 한 쌍의 레일의 하방으로 이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랙과의 충돌에 의해 터브의 내부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완충부재가 식기 세척기의 랙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식기 세척기 운송과정에서 랙으로부터 이탈 내지 탈거될 염려가 없는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완충부재가 도어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랙의 측면에 결합함에 따라 도어의 내측면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완충부재가 요구되는 강성을 유지하되 도어의 내측면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를 최소화 하도록, 도어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면이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지고 반대편에 위치한 면은 강성을 유지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면에 식기투입구가 형성된 터브와, 상기 식기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터브 내부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이동롤러가 구비되며 식기가 안착하는 랙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상기 터브와 상기 랙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에 있어서,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랙의 일측을 수용하는 수용홈; 및 상기 바디의 타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터브의 일측을 가압 지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완충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터브는 상기 이동롤러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터브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하측을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구비된 채 상기 바디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상부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상기 이동롤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위에 안착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상기 바디의 일측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하부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바디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랙은 상기 랙의 인출 및 인입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제1내측면; 및 상기 제1내측면보다 더 돌출 형성되는 제2내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1내측면에 형성된 제1수용홈; 및 상기 제2내측면에 형성된 제2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면은 상기 제2내측면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제2내측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내측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수옹홈의 바닥면과 상기 가이드면은 동일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입구측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입구측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에 식기투입구가 형성된 터브와 식기가 안착하는 랙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상기 랙의 가장지리에 배치되는 완충부재에 있어서, 상기 랙의 일측을 감싸도록 가요성을 가지며, 일면이 상기 랙에 접촉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타면에 부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체결후크; 상기 바디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체결후크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체결홀이 구비되는 체결레그; 및 상기 바디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랙에 각각 독립적으로 결합하는 복수의 완충레그;를 포함하는 완충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상기 제2바디를 이루는 재질은 상기 제1바디를 이루는 재질보다 더 부드러울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완충레그는 상기 랙에 접촉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외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면을 이루는 재질은 상기 내측면을 이루는 재질보다 더 부드러울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완충레그는 상기 체결레그을 사이에 두고 각각 구비되는 제1레그와 제2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에 식기투입구가 형성된 터브와, 상기 식기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식기가 안착하되 상기 터브 내부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이동롤러가 구비되는 랙과, 상기 터브와 상기 랙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랙의 일측을 수용하는 수용홈; 및 상기 바디의 타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터브의 일측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상기 터브는 상기 이동롤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이동롤러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터브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탈방지부를 상방으로 가압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바디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제1내측면; 및 상기 제1내측면보다 더 돌출 형성되는 제2내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1내측면에 형성된 제1수용홈; 및 상기 제2내측면에 형성된 제2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제2내측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내측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수옹홈의 바닥면과 상기 가이드면은 동일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완충부재가 식기 세척기의 랙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식기 세척기 운송과정에서 랙으로부터 이탈 내지 탈거될 염려가 없는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완충부재가 도어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랙의 측면에 결합함에 따라 도어의 내측면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완충부재가 요구되는 강성을 유지하되 도어의 내측면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를 최소화 하도록, 도어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면이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지고 반대편에 위치한 면은 강성을 유지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에 따른 완충부재가 도 1에서 도시된 랙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되는 식기세척기의 터브 내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가 랙과 터브 사이에 결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2에서 표시된 A-A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가 랙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서 도시한 완충부재의 체결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터브 세척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용소를 다른 구성용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용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를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의 내부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식기 세척기(100)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20), 케이스(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며 전면에 식기 투입구가 형성되는 터브(130), 터브(130)의 식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22), 터브(130)의 하부에 위치하며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배수하는 구동부(140), 터브(1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가 안착되는 다수의 랙(200, 150, 160)과, 각 랙(200, 150, 160)에 각각 인접하여 설치되며 식기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부(132, 133, 13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술한 식기 세척기(100)의 구조 중 터브(130), 구동부(140), 각 분사부의 경우 종래 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다수의 랙(200, 150, 160)는 터브(130)의 내부에서 터브(130)의 개방측으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각 랙는 터브(130)의 하부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식기가 수납되는 제1랙(200)와, 제1랙(200) 상측에 위치하고 교적 작은 사이즈의 식기가 수납되는 제2랙(150)와, 터브(130)의 상부에 위치하고 식기 등이 수납되는 제3랙(160)를 포함한다.
식기 세척기(100)의 제1랙(200)는 식기들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210)과, 프레임(210)의 내측에 구비되어 고정된 상태로 식기를 지지하는 다수의 고정 가이드(220), 프레임(210) 외측 양단에 구비되어 프레임(21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롤러(219)를 구비한다.
여기서, 프레임(210)은 그릴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210)은 금속 재질의 선이 격자 모양으로 교차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프레임(210)이 그릴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하부 분사부(134) 또는 상부 분사부(133)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제1랙(200)에 수납된 식기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210)은 외곽 프레임(211), 가로 프레임(212) 및 세로 프레임(217)을 포함할 수 있다.
외곽 프레임(211)은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연속된 수평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곽 프레임(211)은 가장 하측에 위치한 하측와이어(211a)와 하측와이어의 상측에 위치한 상측와이어(211b)를 포함한다. 하측와이어(211a)와 상측와이어(211b)의 일부 구간은 제1랙(200)의 인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세로 프레임(217)은 제1랙(200)의 인출 방향으로 배열되어 외곽 프레임(211)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세로 프레임(217)은 프레임(210)의 외곽에 위치한 외곽 와이어(217a)와 외곽 와이어(217a) 사이에 위치한 중앙 와이어(2174b)를 포함한다. 외곽 와이어(217a)와 중앙 와이어(2174b)의 일부 구간은 제1랙(200)의 인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로 프레임(212)은 세로 프레임(217)과 수직방향으로 교차되도록 배열되며 외곽 프레임(211) 및 세로 프레임(217)과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외곽 프레임(211), 가로 프레임(212) 또는 세로 프레임(217)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생략되거나 또는 그 일부가 생략될 수 있으며, 프레임(210)의 재질 및 형상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위의 프레임(210)과 달리 구성된다고 하여도 본 발명의 식기를 보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프레임(210)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다수의 분사부(132, 133, 134)는 각 랙(200, 150, 160)에 수납된 식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각 분사부(132, 133, 134)는 터브(1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1랙(20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부(134)와, 제1랙(200)와 제2랙(150)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2랙(200, 15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부(133)와, 터브(1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3랙(160) 또는 제2랙(15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 분사부(132)를 포함한다.
한편, 터브(130)의 양 측벽에는 제 1 내지 제3 랙(200, 150, 16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이 구비되며, 레일은 제1랙(200)의 인출 및 인입을 안내하기 위한 단순 레일 형태의 고정 가이드레일(152) 및 제 2, 3랙(150, 160)의 인출 및 수납을 안내하며 제 2, 3랙(150, 160)의 인출에 따라 인출 거리가 증가되는 신축 가이드레일(151)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가이드레일은 고정 가이드레일(153)을 지칭한다.
또한, 터브(130)의 양 측벽에는 가이드레일(152)의 내측 일부 구간 위에 이동롤러(219)의 상방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이탈방지부(153)는 터브(130)의 양 측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고정 가이드 레일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랙(200)의 이동롤러 중 제1랙(200)의 후단부에 위치한 이동롤러는, 제1랙(200)의 인입에 따라 가이드 레일의 선단부를 거쳐 이동한 후 제1랙(200)의 인입이 완료되면, 고정 가이드 레일의 후단부와 이탈방지부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이탈방지부(153)의 일단에는 터브의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보강리브(154)가 형성된다.
이동롤러(219)는 프레임(210)의 인출방향에 대하여 프레임(210)의 양측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외곽 프레임(211) 또는 세로 프레임(217) 중 최 외측에 위치하는 프레임(210)에 선단부와 후단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롤러(219)는 외곽 프레임(211) 또는 세로 프레임(217)에 연결되는 롤러 프레임(218)이 구비되며, 롤러 프레임(218)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이동롤러(219)는 터브(130)의 내측면 하측에 구비되는 고정 가이드 레일에 안착되어 이동되며, 제1랙(200)의 인출시 개방된 도어(122)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롤러(219)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작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고정 가이드(220)는 가로 프레임(212) 또는 세로 프레임(217)의 소정부에 일단이 연결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개가 구비된다.
도어(122)는 상술한 터브(130)의 전면에 형성된 식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122)는 통상적으로 시기 투입구 하부에 도어(122)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도어(122)가 개방된다.
여기서, 도어(122)의 외측면에는 도어(122)를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124) 및 식기 세척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미도시)이 구비된다. 도어(122)의 내측면은 도어(122)의 폐쇄시 터브(130)의 일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어(122) 개방시 제1랙(200)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125)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도어(122)가 개방될 경우 도어(122)의 안착면(125)은 제1랙(200)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에 연장되는 수평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식기 세척기(100)는 출고 당시의 제품 특성과 가치가 유지된 상태로 소비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완충부재에 의해 포장된 후 운반 및 적재가 수행된다. 즉, 상기 식기 세척기(100)의 포장시 사용되는 완충부재는 외부충격으로부터 식기 세척기(100)를 보호함으로써, 식기 세척기(100)에 스크래치가 발생되거나 찌그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고, 외부의 각종 이물질에 의한 제품의 오염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랙(200, 150, 160)은 식기 세척기(100)의 출고시 터브(130)의 내부에 장착되어 운송된다. 제1 내지 제3 랙(200, 150, 160)과 터브 사이의 일정 간격 유격이 있으므로, 제1 내지 제3 랙(200, 150, 160)은 운송 중 터브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특히, 도어의 내측면에 충돌하여 스크래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충돌에 의한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3 랙(200, 150, 160)과 터브(130) 사이에는 완충 부재가 장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300)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가 랙과 터브 사이에 결합한 상태를 설명하도록 도 2에서 표시된 A-A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제1랙(200)에 사용되는 완충부재(300)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완충부재(300)는 제1랙(200) 이외에 제2랙(150) 및 제3랙(160)에도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랙은 특별한 업급이 없는 한 제1랙(200)을 지칭한다.
도 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300)는 제1랙(200)의 외측 양단부에 결합하며, 랙(200)의 상하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브(130)의 내측면을 가압 지지한다. 특히 터브(130)의 내측면이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완충부재(300)는 이러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터브(130)의 내측면을 가압 지지함으로써 마찰력을 높인다.
이러한 완충부재(3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310), 바디(31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랙(200)의 일측을 수용하는 수용홈(351, 361) 및 바디(310)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바디(310)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터브(130)의 일측을 가압 지지하는 가압부(330)를 포함한다.
바디(310)는 탄성을 가지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랙(200)을 바라보는 일측 즉, 내측부(330a)와 터브(130)의 내측면을 바라보며 일측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측 즉, 외측부(330b)가 구비된다. 이러한 외측부(330b)에는 가압부(330)가 구비되며 내측부(330a)에는 수용홈(351, 361)이 구비된다.
가압부(330)는 이탈방지부(153)와 가이드레일(152) 사이에 억지끼움되도록 내측부(330a)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경사면(331), 안착면(332) 및 하부경사면(333)을 포함한다.
상부경사면(331)은 가압부(330)의 상측에 형성되되 바디(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경사면(331)은 가압부(330)가 터브(130)의 내측면 측으로 가압될수록 이탈방지부(153)의 하측에 간섭되어 완충부재(30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완충부재(300)가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착면(332)은 가압부(330)으 하측에 형성되되 가이드레일(152)의 상부면에 접촉하도록 가이드레일(152)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대략 수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면(332)에 의해 완충부재(300)가 가이드레일(152)의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하부경사면(333)은 가압부(330)의 하측에 형성되되 안착면(332)의 외측 말단의 반대편에 위치한 내측 말단으로부터 바디(310)의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식기세척기가 좌우 흔들리면서 완충부재(300)에 터브(130)의 내측면으로 힘이 가해지면, 가압부(330)는 압축되면서 하부경사면(333)이 가이드 레일측으로 이동하여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간섭되어 상방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완충부재(300)는 터브(130)의 내측면으로 힘이 가해지면 가해질수록 터브(130)의 내측면에 더 단단하게 고정된다.
한편, 가압부(330)가 외측부(330b)에 구비됨에 따라 상부경사면(331)의 상단으로부터 바디(310)의 외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외측경사면이 구비된다. 이러한 외측경사면은 외력에 의해 바다의 상단부가 터브(130)를 향하여 휘어져서 와이어가 후술하는 제1수용홈(35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이탈방지부(153)의 상부면에 대략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측경사면과 이탈방지부(153)의 상부면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고, 외측경사부는 바디(310)가 터브(130) 측으로 휘어져도 이탈방지부(153)의 상부면에 의해 간섭되어 바디(310)가 지나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수용홈(351)으로부터 와이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수용홈(351, 361)은 완충부재(300)가 랙(200)의 일측을 수용함에 따라 랙(200)에 결합될 때, 수용된 랙(200)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적어도 두 개의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홈(351, 361)은 제1수용홈(351)과 제2수용홈(361)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와이어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적어도 3개의 수용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수용홈(351, 361)은 가압부(330)가 완충부재(30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을 버티기 위하여 중력방향을 가로지르며 지면에 대략 수평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면 완충부재(300)가 와이어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제1수용홈(351)은 바디(310)의 내측부(330a) 중 상단부에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장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2수용홈(361)은 바디(310)의 내측부(330a) 중 하단부에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장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1수용홈(351)과 제2수용홈(361)은 다양하게 배치되는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랙(200)의 일반적인 와이어 배치를 고려하여 제1수용홈(351)이 제2수용홈(361)보다 더 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수용홈(351)은 예를 들면 외곽 프레임(211)의 하측와이어(211a)를 수용하며, 제2수용홈(361)은 세로 프레임(217)의 외곽 와이어(217a)를 수용한다.
한편, 바디(310)는 내측부(330a)가 랙(200)을 각각 바라보는 제1내측면(350) 및 제1내측면(350)과 단차를 이루는 제2내측면(36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수용홈(351)은 제1내측면(350)의 일측이 바디(310)의 외측부(330b)를 향하여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수용홈(361)은 제2내측면(360)의 일측이 바디(310)의 외측부(330b)를 향하여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내측면(360)은 제1내측면(350)보다 내측부(330a)로부터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측와이어(211a)가 외곽 와이어(217a)보다 랙(200)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경우, 완충부재(300)는 단차부가 구비되지 않을 때보다 재료가 절감된다.
한편, 바디(310)에는 사용자가 제1수용홈(351)과 제2수용홈(361)에 와이어를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면(364)이 구비된다. 가이드면(364)은 제2내측면(360)의 상단으로부터 제1내측면(350)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측와이어(211a)를 가이드면(364)에 위치시킨 후 가이드면(364)을 따라 제1수용홈(351)으로 이동시켜 삽입한 후 외곽 와이어(217a)를 제2수용홈(361)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하측와이어(211a)를 가이드면(364)에 위치시킨 후 가이드면(364)을 따라 제1수용홈(351)으로 이동시킨 후 걸림턱과 같은 구성에 의한 간섭 없이 바로 제1수용홈(351)에 삽입되도록, 제1수용홈(351)은 제1수용홈(351)을 형성하는 바닥면과 가이드면(364)과 동일한 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하측와이어(211a)가 제1수용홈(351)에 먼저 삽입되고 그 이후에 외곽 와이어(217a)가 제2수용홈(361)에 삽입되므로, 제1수요홈은 제2수용홈(361)보다 더 깊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1수용홈(351) 및 제2수용홈(361)의 상측에 각각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F1, F2)이 가해지면, 각각의 홈의 입구측이 좁아지면서 각각의 수용홈(351, 361)의 입구측 반대편에 위치한 제1말단부(353) 및 제2말단부(363)에 각각 제1크랙(C1) 및 제2크랙(C2)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수용홈(351) 및 제2수용홈(361)은 입구 측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지지부(352)와 제2지지부(362)가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제1지지부(352)와 제2지지부(362)는 와이어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각각의 외측면이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완충부재(300)는 랙(200)에 장착되었을 때 상부경사면(331)과 안착면(332)을 제외한 다른 면들이 터브(13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완충부재(300)가 장착된 랙(200)이 터브(130)에 쉽게 인입 및 인출되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경사면(331)과 안착면(332)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된 면과 터브(130)의 내측면이 S1만틈 이격되고 외측경사부가 이탈방지부(153)의 상부면으로부터 S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300)의 설치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랙(200)을 인출하여 완충부재(300)의 가이드면(364)에 하측와이어(211a)를 접촉시킨 후 가이드면(364)을 따라 하측와이어를 완충부재(300)의 외측부(330b)를 향하여 이동시켜 제1수용홈(351)에 삽입시킨다.
하측와이어(211a)가 제1수용홈(351)의 일부 구간까지 삽입된 이후 외곽와이어를 제2수용홈(361)에 삽입시켜 랙(200)에 완충부재(300)를 결합하는 것을 완료한다.
이후 완충부재(300)가 장착된 랙(200)을 터브(130)에 인입시키면 완충부재(300)의 결합부는 이탈방지부(153)와 가이드레일(152) 사이에 배치되되 억지끼움된다. 이에 따라 터브(130)의 양 내측면이 벌어지더라도 랙(200)의 상하이동이 방지된다.
이후 이동 중 흔들리는 식기세척기에 의해 완충부재(300)에 터브(130)의 내측면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하부경사면(333)에 의해 억지끼움이 더욱 더 견고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500)에 대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2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가 랙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6에서 도시한 완충부재의 체결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제1랙(200)에 사용되는 완충부재(500)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완충부재(500)는 제1랙(200) 이외에 제2랙(150) 및 제3랙(160)에도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500)는 제1랙(200)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을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500)는 제1랙(200)의 전면에 설치되되 외곽 프레임(211)을 구성하는 와이어 중 최상단에 위치한 와이어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완충부재(500)는 일측이 도어(122)의 내측면에 접촉하지만 제1랙의 거친 절단면이 도어(122)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므로 도어(122)의 내측면의 스크래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외곽 프레임(211)에 돌출되거나 거친부분이 형성된 경우 완충부재(500)가 돌출되거나 거친부분을 감쌀 수 있으므로 도어(122)의 내측면 스크래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500)는 랙의 일측을 감싸도록 가요성을 가지는 바디(510), 바디(510)의 양 단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530), 바디(510)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랙에 각각 독립적으로 결합하는 복수의 완충레그(550, 570)를 포함한다.
바디(5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요성을 가지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후술하게 될 바디(510)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체결부(530)에 의해 체결될 때, 바디(510)는 휘어지게 된 채 제1랙(200)의 외곽 프레임(211)의 최상부 와이어를 감싸게 된다.
체결부(530)는 바디(510)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체결후크(531), 바디(510)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체결후크(531)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레그(535) 및 체결후크(531)와 바디(510)를 연결하는 연장부(533)를 포함한다.
체결후크(531)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술하게 될 체결홀(537)에 삽입된다. 체결후크(531)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체결홀(537)보다 작도록 제작되어 체결홀(537)에 삽입되된다. 이로써 양자가 체결될 경우 체결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후크(531)는 후술하는 체결홀(537)와 함께 스냅핏을 형성한다.
체결레그(535)은 바디(510)의 일단부의 중앙에 구비되며, 체결후크(531)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체결홀(537)을 포함한다. 한편, 체결레그(535)은 바디(5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체결후크(531)와 체결하는 경우 체결레그(535)은 휘어진 상태로 외곽 프레임(211)의 와이어를 감싸게 된다.
연장부(533)는 단면적이 체결후크(531)의 단면적 보다 작도록 형성되며 이와 더불어, 단면적이 체결홀(537)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더 작도록 형성된다. 체결부(530)에 의해 바디(510)의 양 단부가 체결되면, 연장부(533)는 체결홀(537)에 수용된다.
복수의 완충레그(550, 570)은 제1완충레그(550) 및 제2완충레그(570)를 포함한다. 제1완충레그(550) 및 제2레그(570) 사이에는 체결레그(535)이 구비된다. 다시 말하면, 제1레그(550) 및 제2레그(570)는 바디(510)의 일단부의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된다. 도 5에서는 제1레그(550) 및 제2레그(570)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레그(550) 및 제2레그(570) 이외에 추가적인 완충레그가 포함될 수 있다.
제1레그(550) 및 제2레그(570)는 각각 독립적으로 바디(510)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바디(510)가 외곽 프레임(211)의 최상부의 와이어를 감싸도록 체결부(530)에 의해 체결되면, 제1레그(550) 및 제2레그(570)는 각각 선택적으로 제1랙(200) 측으로 회전하면서 밀어 넣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레그(550) 및 제2레그(570)는 각각 선택적으로 외곽 프레임(211)의 최상부의 와이어와 외곽 프레임(211)을 이루되 최상부의 와이어의 바로 아래에 구비되는 와이어 사이에 밀어 넣어진다.
이후, 제1레그(550) 및 제2레그(570)는 탄성력에 의해 최상부의 와이어의 바로 아래에 구비되는 와이어를 제1랙(2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완충부재(500)는 제1랙(200)에 체결되면 외곽 프레임(211)의 최상부의 와이어를 감싼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완충부재(500)는 제1레그(550) 및 제2레그(570)가 세로 프레임(217)을 이루는 와이어를 사이에 두도록 제1랙(2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처럼 완충부재(500)가 제1레그(550) 및 제2레그(570)와 같이 복수개의 완충레그를 구비하여 독립적으로 회전시켜 제1랙(200)에 밀어 넣는 이유는 식기 세척기마다 랙의 형상이 다르며 또한 완충부재(500)가 설치되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완충부재(500)가 설치되는 위치에 세로 프레임(217)을 형성하는 와이어가 촘촘히 구비되는 경우 제1레그(550) 및 제2레그(570) 중 어느 하나만 제1랙(200)의 내측으로 밀어 넣어질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500)가 제1랙(200)의 가장자기에 설치되는 경우 제1레그(550)와 제2레그(570) 모두가 제1랙(200)의 내측에 밀어 넣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는 제1레그(550) 및 제2레그(570) 중 어느 하나만 제1랙(200)의 내측으로 밀어 넣어질 수 있다.
또한, 제1레그(550) 및 제2레그(570) 중 적어도 하나가 제1랙(200)에 밀어 넣어지면, 세로 프레임(217)을 이루는 와이어는 밀어 넣어진 제1레그(550) 및 제2레그(570) 중 어느 하나를 간섭한다. 이에 따라, 운송되는 동안 외부로부터 외력이 식기 세척기에 가해져도 완충부재(500)는 세로 프레임(217)을 이루는 와이어에 의해 간섭되므로 더 이상 설치된 최초위치로부터 슬립하지 않는다.
이러한 완충부재(500)는 단일한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연한 재질에 의해 완충부재(500)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에는 도어(122)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부분에 PE 재료 등을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술한 완충부재(500)는 거친 절단면이 도어(122)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PE와 같은 별도의 부재가 필요 없다. 이에 따라 완충부재(500)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내구성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완충부재(500)는 일체로 형성되되 두 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완충부재는 일면이 제1랙에 접촉하는 제1부재와 제1부재의 타면에 접촉하는 제2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부재를 이루는 재질은 제1부재를 이루는 재질보다 더 부드러우며, 이에 따라 제2부재가 접촉하는 도어의 내측면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가 상당부분 예방된다. 한편 제1부재를 이루는 재질은 완충부재가 요구되는 강성을 가지도록 단단한 재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완충부재(500)는 바디 역시 두 겹으로 이루어지며 제1부재에 해당하는 제1바디와 제2부재에 해당하는 제2바디를 포함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500)의 설치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완충부재(500)는 가요성의 바디(510)로 이루어지므로 체결부(530)의 체결후크(531) 및 체결레그(535)을 체결시키면 바디(510)는 휘어진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외곽 프레임(211)의 최상부의 와이어를 감싸도록 완충부재(500)를 설치한다.
이후 제1레그(550) 및 제2레그(570) 중 적어도 하나를 제1랙(200)의 내측으로 밀어 넣는다.
이에 따라 완충부재(500)는 제1랙(200)에 설치되며 제1랙(200)상에서 회전하거나 프레임의 와이어를 따라 슬립하지 않는다.
또한, 완충부재(500)는 거친 절단면이 도어(122)의 내측면을 향하지 않으며 비교적 매끄럽고 부드러운 면이 도어(122)의 내측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도어(122)의 내측면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제1레그(550) 및 제2레그(570)는 체결레그(535)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바디(510)에 구비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랙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세척기 120: 케이스
130: 세척조 140: 구동부
200: 제 1랙 150: 제 2랙
160: 제 3랙 210: 프레임
211: 외곽 프레임 212: 가로 프레임
217: 세로 프레임 218: 롤러 프레임
300, 500: 완충부재 310: 바디
330: 가압부 350: 제1내측면
351: 제1수용홈 352: 제1지지부
360: 제2내측면 361: 제2수용홈
362: 제2지지부 510: 바디
530: 체결부 550: 제1완충레그
570: 제2완충레그

Claims (18)

  1. 전면에 식기투입구가 형성된 터브와, 상기 식기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터브 내부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이동롤러가 구비되며 식기가 안착하는 랙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상기 터브와 상기 랙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에 있어서,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랙의 일측을 수용하는 수용홈; 및
    상기 바디의 타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터브의 일측을 가압 지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완충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이동롤러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터브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하측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구비된 채 상기 바디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상부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이동롤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위에 안착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상기 바디의 일측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하부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바디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랙의 인출 및 인입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제1내측면; 및 상기 제1내측면보다 더 돌출 형성되는 제2내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1내측면에 형성된 제1수용홈; 및 상기 제2내측면에 형성된 제2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면은 상기 제2내측면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제2내측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내측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수용홈의 바닥면과 상기 가이드면은 동일한 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1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입구측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입구측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11. 전면에 식기투입구가 형성된 터브와 식기가 안착하는 랙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상기 랙의 가장지리에 배치되는 완충부재에 있어서,
    상기 랙의 일측을 감싸도록 가요성을 가지며, 일면이 상기 랙에 접촉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타면에 부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체결후크;
    상기 바디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체결후크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체결홀이 구비되는 체결레그; 및
    상기 바디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랙에 각각 독립적으로 결합하는 복수의 완충레그;를 포함하는 완충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를 이루는 재질은 상기 제1바디를 이루는 재질보다 더 부드러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완충레그는 상기 랙에 접촉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외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면을 이루는 재질은 상기 내측면을 이루는 재질보다 더 부드러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완충레그는 상기 체결레그을 사이에 두고 각각 구비되는 제1레그와 제2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15. 전면에 식기투입구가 형성된 터브와, 상기 식기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식기가 안착하되 상기 터브 내부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이동롤러가 구비되는 랙과, 상기 터브와 상기 랙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랙의 일측을 수용하는 수용홈; 및
    상기 바디의 타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터브의 일측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이동롤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이동롤러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터브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탈방지부를 상방으로 가압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바디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제1내측면; 및 상기 제1내측면보다 더 돌출 형성되는 제2내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1내측면에 형성된 제1수용홈; 및 상기 제2내측면에 형성된 제2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제2내측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내측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수용홈의 바닥면과 상기 가이드면은 동일한 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KR1020160179747A 2016-12-27 2016-12-27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KR102643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747A KR102643354B1 (ko) 2016-12-27 2016-12-27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EP17208299.2A EP3342325B1 (en) 2016-12-27 2017-12-19 Shock absorber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US15/852,976 US10624524B2 (en) 2016-12-27 2017-12-22 Shock absorber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747A KR102643354B1 (ko) 2016-12-27 2016-12-27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864A true KR20180075864A (ko) 2018-07-05
KR102643354B1 KR102643354B1 (ko) 2024-03-07

Family

ID=60673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747A KR102643354B1 (ko) 2016-12-27 2016-12-27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24524B2 (ko)
EP (1) EP3342325B1 (ko)
KR (1) KR1026433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6490A (en) * 1978-08-04 1980-10-07 General Electric Company Stabilizing arrangement for movably mounted drawer or rack
KR100772234B1 (ko) * 2006-09-27 2007-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US20070277857A1 (en) * 2004-02-13 2007-12-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Device for Fitting an Object in a Dishwash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5627C2 (de) * 1978-02-10 1983-02-10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Transportsicherung für Geschirrkörbe in Haushaltgeschirrspülmaschinen
US4605265A (en) * 1984-08-20 1986-08-12 Knape & Vogt Manufacturing Company Drawer slide bumper
US4917248A (en) * 1989-01-12 1990-04-17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Dishwasher rack with movable fence
US5409309A (en) * 1993-04-19 1995-04-25 Whirlpool Corporation Dishrack motion control arrangement for a dishwasher
US5876103A (en) * 1996-06-05 1999-03-02 Grass America, Inc. Self-positioning cabinet rail for a drawer guide
KR20050123192A (ko) * 2004-06-24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패킹
KR101122791B1 (ko) * 2004-11-10 2012-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식기랙 보호 구조
US7984812B2 (en) * 2007-05-04 2011-07-2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ack system and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a folding rack in a dishwasher
DE102010043268A1 (de) * 2010-11-03 2012-05-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US20130328463A1 (en) * 2012-06-07 2013-12-12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Rack with protrusion device for kitchen applia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6490A (en) * 1978-08-04 1980-10-07 General Electric Company Stabilizing arrangement for movably mounted drawer or rack
US20070277857A1 (en) * 2004-02-13 2007-12-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Device for Fitting an Object in a Dishwasher
KR100772234B1 (ko) * 2006-09-27 2007-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2325A3 (en) 2018-08-01
EP3342325B1 (en) 2019-10-23
EP3342325A2 (en) 2018-07-04
US20180177379A1 (en) 2018-06-28
US10624524B2 (en) 2020-04-21
KR102643354B1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573B1 (ko) 식기 세척기용 랙 및 이를 구비한 컴팩트형 식기세척기
EP2818092B1 (en) Dishwasher
US20080110480A1 (en) Dishwasher having rack assembly with movable shelves
US7694844B2 (en) Spoon basket structure of dish washer
EP3352639B1 (en) Dish washing machine
JP2005066321A (ja) 食器洗浄機
ITTO20110745A1 (it) Cassetto per una vasca di una lavastoviglie comprendente un telaio perimetrale estraibile da detta vasca
CN104739349A (zh) 机架组件以及具有该机架组件的洗碗机
KR20150081744A (ko) 식기세척기
KR20170137473A (ko)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KR20180075864A (ko)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KR102641374B1 (ko) 식기세척기
KR20170137475A (ko)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CN110811468A (zh) 洗碗机
CN216675678U (zh) 一种洗碗机及其碗篮
KR101875941B1 (ko) 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KR101794060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바스켓 고정 장치
KR20180012463A (ko)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JP6064164B2 (ja) 食器洗い機
KR101064075B1 (ko) 세제 용기
KR101366286B1 (ko) 식기 세척기
JP5592177B2 (ja) 食器洗浄機
JP7471258B2 (ja) 食器洗い機
JP2002051959A (ja)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JP4158572B2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