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075B1 - 세제 용기 - Google Patents

세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075B1
KR101064075B1 KR1020090000727A KR20090000727A KR101064075B1 KR 101064075 B1 KR101064075 B1 KR 101064075B1 KR 1020090000727 A KR1020090000727 A KR 1020090000727A KR 20090000727 A KR20090000727 A KR 20090000727A KR 101064075 B1 KR101064075 B1 KR 101064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detergent
stored
detergent container
guid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1473A (ko
Inventor
최승권
조명희
Original Assignee
조명희
최승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희, 최승권 filed Critical 조명희
Priority to KR1020090000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075B1/ko
Publication of KR20100081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8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flexible dispens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8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for both soap and toothpaste or the like; in combination with 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brushes, or the like ; Toothpaste dispensers; Dental care cen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2201/00Details of connections of bathroom accessories, e.g. fixing soap or towel holder to a wall
    • A47K2201/02Connections to a wall mounted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수세미가 수납되고, 수납된 수세미 측으로 세제가 자동적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외관이 미려하여 주방의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세제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용기는 내부가 중공된 함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를 상부 및 하부로 분할하는 수평 격판에 의해서 상부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제 1 챔버가 제공되고, 하부에는 전면이 개방되며 수세미가 수납되는 제 2 챔버가 제공된다. 그리고 제 2 챔버의 바닥면 상에는 제 1 챔버에 저장된 세제가 안내되어 고이는 오목홈이 형성되며, 오목홈과 제 1 챔버 사이에는 제 2 챔버에 수납되는 수세미에 간섭되지 않게 제 1 챔버의 세제를 안내하는 안내호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세제 용기{DETERGENT VESSEL}
본 발명은 주방용 세제가 충진 되는 세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세미가 수납되고, 수납된 수세미 측으로 세제가 자동적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외관이 미려하여 주방의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세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제 용기는 액체 상태의 세제를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일정량씩 세제를 배출하는 용기를 말한다. 세제 용기에 보관되는 세제로는 크게, 그릇 세척용 주방 세제, 청소용 세제 또는 빨래용 세제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세제들 중에서, 주방용 세제는 대체적으로 그릇과 같은 물건의 세척을 위해 수세미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세제 용기는 내부에 세제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입구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일정량만큼 세제를 배출하는 배출 펌프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수세미는 주로 세제와 함께 사용되지만 별도의 수납 용기에 보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세제를 담는 세제 용기와 수세미를 보관하는 수납 용기가 분리되어 있어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협소한 주방공간에 세제 용기 및 수납 용기를 따로 놓아야 하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전술한 종래 세제 용기는 배출 펌프가 구비되기 때문에 용기의 제작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세제 용기와 수납 용기가 주방의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세미가 수납되고, 수납된 수세미 측으로 세제가 자동적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외관이 미려하여 주방의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세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액체 상태의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 용기에 있어서,
세제 용기는,
내부가 중공된 함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를 상부 및 하부로 분할하는 수평 격판에 의해서 상부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제 1 챔버가 제공되고, 하부에는 전면이 개방되며 수세미가 수납되는 제 2 챔버가 제공되며,
제 2 챔버의 바닥면 상에는 제 1 챔버에 저장된 세제가 안내되어 고이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오목홈과 제 1 챔버 사이에는 제 2 챔버에 수납되는 수세미에 간섭되지 않게 제 1 챔버의 세제를 안내하는 안내호스가 수직하게 장착되는 세제 용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용기는 하나의 용기에 세제를 저장함과 아울러 수세미를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협소한 주방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세제가 자동적으로 수세미 측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배출 펌프 등이 필요하지 않아 세제 용기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세제 용기에 다양한 문양을 도시하여 주방공간을 미려하게 꾸밀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용기(100)는, 상부에는 액체 상태의 세제(C)가 저장되고, 하부에는 수세미(S)가 수납된다.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세제 용기(100)는 내부가 중공된 함체 형상을 가 진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사각함체 형상의 세제 용기(100)가 도시되어 있지만 그 형상을 사각함체 형상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세제 용기(100)는 내부를 상부 및 하부로 분할하는 수평 격판(110)에 의해서 상부에는 제 1 챔버(120)가 하부에는 제 2 챔버(130)가 형성된다.
제 1 챔버(120)의 내부에는 세제(C)가 저장된다. 이러한 제 1 챔버(120)의 배면에는 세제(C)를 제 1 챔버(120) 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뚜껑(122)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챔버(120)의 외측면 상에는 다양한 문양이 인쇄될 수 있는데, 제 1 챔버(120)의 외측면 상에 인쇄되는 문양은 바다 속 풍경을 도시한 문양, 또는 꽃 등을 도시한 문양 등이 인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챔버(120)의 배면 상에는 세제 용기(100)를 주방의 타일에 부착되게 하는 진공흡착판(124)이 공급뚜껑(122)에 간섭되지 않게 장착된다.
제 2 챔버(130)는 전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이렇게 개방된 전면으로는 수세미(S)가 출입하고, 제 2 챔버(130) 내로 수납된 수세미(S)는 제 2 챔버(130)의 바닥면 상에 안치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2 챔버(130)의 바닥면 상에는 제 1 챔버(120)에 저장된 세제(C)가 안내되어 고이는 오목홈(132)이 형성되는데, 오목홈(132)의 제 2 챔버(120)의 바닥면 상에 침강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 2 챔버(130)의 바닥면 상부에는 오목홈(132)에 간섭되지 않게 다수의 이격돌기(134)가 형성된다. 이러한 이격돌기(134)는 제 2 챔버(120) 내에 수납된 수세미(S)의 하부가 오목 홈(132) 내에 고인 세제(C)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세제(C)가 고이는 오목홈(132)과 제 1 챔버(120) 사이에는 제 2 챔버(130)에 수납되는 수세미(S)에 간섭되지 않게 안내호스(140)가 수직하게 장착된다. 안내호스(140)는 제 1 챔버(120) 내의 세제(C)를 오목홈(132) 측으로 안내하는데, 안내호스(140)의 상부는 수평 격판(110)을 관통하여 제 1 챔버(120) 내로 연장되고, 안내호스(140)의 하부는 오목홈(132)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즉, 안내호스(140)의 하부는 오목홈(132)의 상단을 지나 오목홈(132) 내로 연장된다. 한편, 수평 격판(110)은 안내호스(140)의 상부 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세미(S)가 출입하는 제 2 챔버(130)의 상부에는 수세미(S)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제 1 챔버(120)의 내측으로 오목한 돔 형상을 가지는 입출홈(126)이 형성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절밸브를 “B”에서 바라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내호스(140)에는 제 1 챔버(120)에서 오목홈(132) 측으로 안내되는 세제(C)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밸브(142)가 장착된다.
조절밸브(142)는 안내호스(140)에 대하여 수직하게 관통되면서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수평한 원통형상의 밸브 몸체(144)를 구비하는데, 밸브 몸체(144)에는 안내호스(140)를 따라 안내되는 세제(C)를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공(146)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호스(140)에 관통하여 끼워진 밸브 몸체(144)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밸브 몸체(14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48)가 형성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세제 용기(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세제(C)를 제 1 챔버(120)에 저장시킬 수 있도록 공급뚜껑(122)을 개방한 후, 세제(C)를 제 1 챔버(120) 내부로 공급한다. 이렇게 세제(C)가 제 1 챔버(120) 내부로 공급되면, 다시 공급뚜껑(122)을 결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제(C)가 제 1 챔버(120)에 저장되면, 제 1 챔버(120)에 저장된 세제(C)는 수평 격판(110)의 상부로 연장된 안내호스(140)를 따라 제 2 챔버(130)의 오목홈(132) 측으로 안내된다. 한편, 오목홈(132) 측으로 안내된 세제(C)의 수위가 안내호스(140)의 하부와 일치하거나, 또는 안내호스(140)의 하부보다 수위가 높아지면, 제 1 챔버(120) 내의 세제(C)는 공급되지 않는다.
한편, 제 2 챔버(130) 내에 수납된 수세미(S)를 인출하여 식기 등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 2 챔버(130)의 개방된 전면 측으로 사용자의 손을 삽입한 상태 하에서 수세미(S)의 하부가 오목홈(132)에 고인 세제(C)를 흡수할 수 있도록 수세미(S)의 상부를 가압한 후, 수세미(S)를 제 2 챔버(130)에서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세제(C)가 수세미(S)에 흡수되어 오목홈(132)에 고인 세제(C)의 수위가 안내호스(140)의 하부보다 낮아지면 제 1 챔버(120) 내의 세제(C)는 안내호스(140)를 따라 오목홈(132)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세제 용기(100)는 세제(C)가 안내호스(140)를 통해 제 2 챔버(130)의 오목홈(132)에 자동적으로 공급되고, 세제(C)와 함께 수세미(S)를 보관할 수 있어 협소한 주방 공간에서의 사용이 용이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도시된 도면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절밸브를 “B”에서 바라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세제 용기 120 : 제 1 챔버
130 : 제 2 챔버 140 : 안내호스
C: 세제 S : 수세미

Claims (10)

  1. 액체 상태의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세제 용기는,
    내부가 중공된 함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를 상부 및 하부로 분할하는 수평 격판에 의해서 상부에는 상기 세제가 저장되는 제 1 챔버가 제공되고, 하부에는 전면이 개방되며 수세미가 수납되는 제 2 챔버가 제공되며,
    상기 제 2 챔버의 바닥면 상에는 상기 제 1 챔버에 저장된 상기 세제가 안내되어 고이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과 상기 제 1 챔버 사이에는 상기 제 2 챔버에 수납되는 수세미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제 1 챔버의 상기 세제를 안내하는 안내호스가 수직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챔버의 배면에는 상기 세제를 상기 제 1 챔버 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뚜껑이 결합되며, 상기 제 1 챔버의 배면 상에는 상기 세제 용기를 주방의 타일에 부착되게 하는 진공흡착판이 상기 공급뚜껑에 간섭되지 않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챔버의 외측면 상에는 다양한 문양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용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의 바닥면 상부에는 상기 오목홈에 간섭되지 않게 다수의 이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격돌기들은 상기 제 2 챔버 내에 수납된 수세미의 하부가 상기 오목홈에 내에 고인 상기 세제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것을 세제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미가 출입하는 상기 제 2 챔버의 상부에는 상기 수세미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상기 제 1 챔버의 내측으로 오목한 돔 형상을 가지는 입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호스의 상부는 상기 수평 격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챔버 내로 연장되고, 상기 안내호스의 하부는 상기 오목홈의 상단을 지나 상기 오목홈의 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호스에는 상기 제 1 챔버에서 상기 오목홈 측으 로 안내되는 상기 세제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밸브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안내호스에 대하여 수직하게 관통되면서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수평한 원통형상의 밸브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 몸체에는 세제를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안내호스에 관통하여 끼워진 상기 밸브 몸체의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상기 밸브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용기.
KR1020090000727A 2009-01-06 2009-01-06 세제 용기 KR101064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727A KR101064075B1 (ko) 2009-01-06 2009-01-06 세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727A KR101064075B1 (ko) 2009-01-06 2009-01-06 세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473A KR20100081473A (ko) 2010-07-15
KR101064075B1 true KR101064075B1 (ko) 2011-09-09

Family

ID=4264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727A KR101064075B1 (ko) 2009-01-06 2009-01-06 세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0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224B1 (ko) * 2009-01-13 2011-05-25 조명희 세제 용기
KR101523522B1 (ko) * 2014-02-12 2015-06-01 주식회사 아모리스트 휴대형 샤워볼 보관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9423A (ja) * 2000-01-17 2001-07-24 Toto Ltd 洗剤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9423A (ja) * 2000-01-17 2001-07-24 Toto Ltd 洗剤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473A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573B1 (ko) 식기 세척기용 랙 및 이를 구비한 컴팩트형 식기세척기
US8230705B2 (en) Fluid detergent and fabric softener box assembly for laundry machine and detergent dispenser having the same
KR101179006B1 (ko) 식기 세척기
KR20060100705A (ko) 식기 세척기
US20150208899A1 (en) Cutlery basket and dish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RU2007123247A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с камерой для растворения
KR101064075B1 (ko) 세제 용기
KR101366287B1 (ko)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WO2018171404A1 (zh) 一种全自动洗衣机
KR101037224B1 (ko) 세제 용기
JP6883732B2 (ja) 食器洗い機
KR100668697B1 (ko) 세제 용기
EP1674027A3 (de)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m schubladenartig aus dem Gehäuse ausziehbaren Spülbehälter
KR200464781Y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드럼세탁기
KR20070062295A (ko) 식기 세척기의 스푼 바스켓
KR101366286B1 (ko) 식기 세척기
KR20070062294A (ko) 식기 세척기의 스푼 바스켓
KR20220001801U (ko) 싱크대의 개수대
KR101875941B1 (ko) 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CN108625115B (zh) 一种洗涤剂盒以及全自动洗衣机
EP3179896B1 (en) Dishwasher
JP5592177B2 (ja) 食器洗浄機
JP2002051959A (ja)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KR101342233B1 (ko) 용기 보관형 수세미 어셈블리
CN213155253U (zh) 一种筷子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