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372A - 장척물 조출 장치 - Google Patents

장척물 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372A
KR20180075372A KR1020170136388A KR20170136388A KR20180075372A KR 20180075372 A KR20180075372 A KR 20180075372A KR 1020170136388 A KR1020170136388 A KR 1020170136388A KR 20170136388 A KR20170136388 A KR 20170136388A KR 20180075372 A KR20180075372 A KR 20180075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longated
eraser
longitudinal directio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오 노구치
타다오 오다카
하루미 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20180075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43L19/0068Hand-held holders
    • B43L19/0075Hand-held holders of the pencil type
    • B43L19/0081Hand-held holders of the pencil type of the mechanical penci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3Propelling pencils with lead sections or lead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27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93Eraser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종래보다도 사용하기 쉬운 장척물 조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의 형태의 장척물 조출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적어도 1개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그 길이 방향에 걸쳐 연재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장척물과, 일단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그 장척물을 조출 가능하게 수용하는 장척 모양의 케이스와, 그 케이스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그 장척물을 보호 유지하는 홀더를 구비하되, 그 장척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적어도 1개의 평면은 실질적으로 그 길이 방향에 걸쳐 그 장척 모양의 케이스의 내주벽에 근접 또는 접촉하고, 그 장척물의 오목부는 실질적으로 그 길이 방향에 걸쳐 그 장척 모양의 케이스의 내주벽에 근접 또는 접촉하는 일이 없다.

Description

장척물 조출 장치 {LONG ARTICLE DELIVER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지우개, 색심(色芯, 색깔 심) 등의 장척물(긴 물건)을 조출할 수가 있는 장척물 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낸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장척물 조출 장치는 안내 홈이 형성된 장척 모양의 케이스 내에서 길이 방향(긴 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홀더를 구비하고 있고, 이 홀더에는 장척물을 보호 유지하는 보호 유지부와 안내 홈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노출하는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홀더의 조작부를 길이 방향에 따라 케이스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보호 유지부를 슬라이드하는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장척물을 전방으로 조출하거나, 또는 케이스 내에 수용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0-141989호 공보(예를 들어, 단락 0008-0009 등 참조.)
종래의 장척물 조출 장치에서는, 장척물이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탄성변형 해 버리는 것이면, 장척물을 조출할 때에, 장척물이 후방으로부터 보호 유지부에 압압되어 탄성변형하고, 장척물의 측면이 케이스의 내주벽에 접촉하여, 장척물을 조출할 때의 접동 저항이 증가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장척물을 조출할 때의 접동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 장척 모양의 케이스의 내주벽은, 그 선단부의 개구를 제외하고, 장척물의 측면에 대해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간하도록 형성되고 있었다.
한편, 장척 모양의 케이스의 내주벽과 장척물의 측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경우에는, 장척물을 케이스로부터 조출한 상태로 사용할 때에, 장척물이 케이스 내에서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해 버리는 일이 있었다. 이 경우에는, 장척물 조출 장치로부터 조출한 장척물의 조작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이 곤란했다. 이 때문에, 장척물을 조출할 때의 접동 저항을 저감하면서, 사용 시의 장척물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감한, 사용하기 쉬운 장척물 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보다도 사용하기 쉬운 장척물 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태양의 장척물 조출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적어도 1개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그 길이 방향에 걸쳐 연재하는 오목부(凹部)가 형성된 장척물과, 일단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그 장척물을 조출 가능하게 수용하는 장척 모양의 케이스와, 그 케이스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그 장척물을 보호 유지하는 홀더를 구비하되, 그 장척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적어도 1개의 평면은 실질적으로 그 길이 방향에 걸쳐 그 장척 모양의 케이스의 내주벽에 근접 또는 접촉하고, 그 장척물의 오목부는 실질적으로 그 길이 방향에 걸쳐 그 장척 모양의 케이스의 내주벽에 근접 또는 접촉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에 의하면, 종래보다도 사용하기 쉬운 장척물 조출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장척물 조출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장척물 조출 장치를 도 1의 A-A 선으로 절단하여 측면의 방향(도 1의 A-A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장척물 조출 장치가 구비하는 지우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의 지우개를 그 선단부의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장척물 조출 장치가 구비하는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의 형태의 케이스를 측면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의 형태의 케이스를 도 5의 B-B 선으로 절단하여 측면의 방향(도 5의 B-B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의 형태의 케이스를 그 선단부에 형성된 개구의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장척물 조출 장치가 구비하는 홀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의 형태의 홀더를 측면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하나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장척물로서 지우개의 일종인 플라스틱 지우개를 갖춘 장척물 조출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을 한다. 덧붙여,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장척물 조출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장척물 조출 장치를 도 1의 A-A선으로 절단하여 측면의 방향(도 1의 A-A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장척물 조출 장치(1)는, 장척 모양(장척 형상)의 지우개(10)와, 지우개(10)를 수용하는 장척 모양의 케이스(20)와, 케이스(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지우개(10)를 보호 유지하는 홀더(30)와, 케이스(20)의 후단부를 폐색하는 캡(40)을 갖춘다. 덧붙여, 「장척」이란 폭 방향(짧은 쪽 방향)보다 길이 방향으로 긴 것을 말한다. 장척물은, 통상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을 가진다. 도 2에 있어서는, 케이스(20)만이 단면으로 나타내어져 있고, 지우개(10) 및 홀더(30)는 각각 측면이 나타내어져 있다. 이하, 지우개(10), 케이스(20), 및 홀더(3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우개(10))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장척물 조출 장치가 구비하는 지우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의 지우개를 그 끝부분의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우개(10)는 그 외형이 거의 사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각 면(상면, 하면, 양 측면)에 그 길이 방향에 걸쳐 연재하도록 오목부(凹部; 12)가 각각 형성된다. 각 면은 서로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이와 같이 각 면 및 오목부(12)가 형성됨으로써, 지우개(10)의 길이 방향(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단면의 네 모퉁이에는, 3개의 각부(角部)를 가지고 대각선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볼록부(凸部; 각주 돌기(14))가 각각 형성된다. 지우개(10)는, 예를 들어 길이 방향으로의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주 돌기(14)의 측면이 케이스(20)의 내주벽과 근접 또는 접촉하는 한편으로, 선단부의 개구(22)를 제외하고, 오목부(12)는 케이스(20)의 내주벽과 근접 또는 접촉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장척물(10)을 케이스(20)로부터 조출할 때의 접동 저항을 저감하면서, 사용 시의 장척물(10)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감한, 사용하기 쉬운 장척물 조출 장치(1)를 제공할 수가 있다. 더욱이, 각주 돌기(14)는 축선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능선부를 가지며, 그 능선부에 의해 비교적 좁은 접촉 범위와 비교적 높은 접촉 압력으로 지면에 접촉하여 지우기를 시행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질이 높은 지우기를 용이하게 시행할 수가 있다. 덧붙여, 축선 방향으로 연재하는 능선부는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는 각부에 대응한다. 이 지우개(10)의 각부는 성형 시에 생기는 자연스러운 둥그스름한 모양을 포함할 수가 있어 실질적으로 각부로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케이스(20))
도 5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장척물 조출 장치가 구비하는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의 형태의 케이스를 측면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의 형태의 케이스를 도 5의 B-B선으로 절단하여 측면의 방향(도 5의 B-B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의 형태의 케이스를 그 선단부에 형성된 개구의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0)는 지우개(10)의 각주 돌기(14)의 외측면의 형상에 맞춘 거의 사각통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 5∼도 7의 좌측에 나타낸 케이스(20)의 선단부에는 개구(22)가, 도 5∼도 7의 우측에 나타낸 후단부에는 개구(24)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개구에는 각각 지우개(10)가 삽통 가능하다. 케이스(20)의 앞부분의 측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凹凸)이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는 캡(40)(도 1 및 도 2 참조) 내에 감입(嵌入, 박아 넣음) 가능하도록 그 외주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 적당하게는, 개구(22)가 형성된 케이스(20)의 선단부측을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장척물 조출 장치(1)의 중심 축선 방향(축선 방향)에서의 전방, 개구(24)가 형성된 후단부측을 후방이라고 칭하고 이후 설명을 시행한다.
케이스(20)의 상면에는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재하는 안내홈(26)이 형성되고, 안내홈(26)에는 홈폭이 넓은 계지 구멍(262)과, 홈폭이 좁은 비계지 구멍(264)이 교대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적당하게는, 이 홈폭의 방향(평면도에 있어서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칭하고 이후 설명을 시행한다. 안내홈(26)의 선단은 개구(22)에 도달하지 않고, 후단은 개구(24)에 도달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22)(및 그 테두리)를 정의하는 케이스(20)의 내주벽의 각각에는, 케이스(20)의 중심 축선으로 향해 돌출하는 볼록부(凸部; 28)가 형성된다. 이 볼록부(28)의 형상은, 지우개(10)의 오목부(12)의 형상에 대응해서 형성되되 오목부(12)와의 사이에 얼마 안되는 간극(틈새)을 가지고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지우개(10)는, 그 사용시에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변형을 일으키기 때문에, 케이스(20)의 개구(22)에서는, 예외적으로 오목부(12)에 근접해서 볼록부(28)가 형성된다. 지우개(10)를 사용할 때에, 지우개(10)는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하지만, 볼록부(28)가 지우개(10)의 오목부(12)에 당접해서 지우개(10)의 더 한층의 변형을 억제한다.
덧붙여,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지우개(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각 면의 중앙에 오목부(12)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지우개(10)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임의의 방향으로의 휨(구부러짐) 변형에 대해서 지우개(10)의 단면 2차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크게 유지한 채 지우개(10)의 케이스(20)에 대한 접촉 면적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지우개(10)의 휨 변형을 억제하면서, 지우개(10)를 조출할 때의 지우개(10)와 케이스(20)의 접동 저항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지우개(10)의 오목부(12)는 케이스(20)의 내주벽과 근접 또는 접촉하지 않는다. 지우개(10)의 오목부(12)를 실질적으로 그 길이 방향에 걸쳐 케이스(20)의 내주벽과 근접 또는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우개(10)를 케이스(20)로부터 조출할 때의 접동 저항을 저감할 수가 있다.
지우개(10)의 오목부(12)가 케이스(20)의 내주벽과 「실질적으로 그 길이 방향에 걸쳐 근접 또는 접촉하지 않는다」라고 하는 것은, 예를 들어 지우개(10)의 길이 방향의 80% 이상에 걸친 범위에 있어서 근접 또는 접촉하지 않는 것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지우개(10)의 길이 방향의 90% 이상에 걸친 범위에 있어서,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지우개(10)의 길이 방향의 95% 이상에 걸친 범위에 있어서 근접 또는 접촉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장척물 조출 장치(1)에서는, 개구(22)만에 있어서 지우개(10)의 오목부(12)가 케이스(20)의 내주벽과 근접하고, 다른 부분에서는 지우개(10)의 오목부(12)는 케이스(20)의 내주벽과는 근접 또는 접촉하지 않는다.
한편, 지우개(10)의 각주 돌기(14)의 외측면은, 케이스(20)의 내주벽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그 길이 방향에 걸쳐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탄성변형하는 지우개(10)에 근접하여 형성된 케이스(20)의 내주면은, 지우개(10)가 탄성변형한 때에는 지우개(10)와 당접(맞닿은 상태로 접해 있음)한다. 덧붙여, 지우개(10)의 각주 돌기(14)의 외측면이 케이스(20)의 내주벽과 「실질적으로 그 길이 방향에 걸쳐 근접 또는 접촉한다」라고 하는 것은, 예를 들어 지우개(10)의 길이 방향의 80% 이상에 걸친 범위에 있어서 근접 또는 접촉하는 것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지우개(10)의 길이 방향의 90% 이상에 걸친 범위에 있어서,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지우개(10)의 길이 방향의 95% 이상에 걸친 범위에 있어서 근접 또는 접촉하는 것을 말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장척물 조출 장치(1)에서는, 지우개(10)의 각주 돌기(14)의 외측면은, 지우개(10)의 길이 방향에 걸쳐 케이스(20)의 내주벽에 대해서 근접 또는 접촉한다. 이 때문에, 지우개(10)를 사용할 때의 지우개(10)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흔들림)을 저감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장척물 조출 장치(1)는 종래의 장척물 조출 장치와 비교해서 그 사용이 보다 용이하고, 장척물 조출 장치(1)로부터 조출한 장척물인 지우개(10)의 조작성이 한층 더 향상되고 있다.
(홀더(30))
도 9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장척물 조출 장치가 구비하는 홀더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의 형태의 홀더를 측면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30)는 지우개(10)를 보호 유지하는 보호 유지부(31)와, 유저가 조작하는 조작부(32)와, 케이스(20)와 계합하여 홀더(30)를 계지하는 탄성 계합부(33)와, 조작부(32)와 탄성 계합부(33)를 연결하는 삽통판(34)과, 보호 유지부(31)와 탄성 계합부(33)를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35)를 갖춘다. 이들 구성요소는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어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보호 유지부(31)는, 케이스(20) 내에 배치되되 대향하는 2개의 협지판(312)과, 그 한 쌍의 협지판(312)의 후방측 끝부분의 각각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판(314)을 가진다. 2개의 협지판(312)은, 지우개(10)의 대향하는 2개의 오목부(12)의 저면 사이보다 근소하게 좁은 간격을 가지고 서로 이간되어 있는바, 그 폭은 오목부(12)의 폭보다 좁고, 그 두께(상하 방향의 치수)는 오목부(12)의 홈 깊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협지판(312)의 각각은 2개의 오목부(12) 내에 몰입하여, 그들 사이에서 지우개(10)를 협지한다. 협지판(312)의 각각에는, 지우개(10)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반환부가 형성된다. 「반환부」는, 보호 유지부(31)에 대한 지우개(10)의 상대적인 후방으로의 이동을 그 상대적인 전방으로의 이동보다 용이하게 함으로써, 지우개(10)의 협지를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한다.
덧붙여, 연결판(314)은 활처럼 후방으로 근소하게 만곡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만곡하여 형성하면, 홀더(30)의 몰드 성형 후의 냉각 시에 있어서 2개의 협지판(312)의 선단측 끝부분이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몰드 성형된 홀더(30)가 냉각된 후에 있어서도, 2개의 협지판(312)의 선단측 끝부분이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변형을 하기 어렵도록 연결판(314)의 변형에 이방성을 갖게 할 수가 있다.
조작부(32)는, 유저가 조작 가능하도록, 케이스(20) 밖으로 돌출하여 배치된다. 또, 유저의 조작감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 그 후단부가 둥그스름하게 되되 선단부 측으로 향해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며, 조작부(32)의 상면이 우묵하게 들어가도록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표면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탄성 계합부(33)는, 판 모양의 상판, 중판 및 하판과, 상판과 중판을 연결하는 후단의 만곡과, 중판과 하판을 연결하는 전단의 만곡을 갖되, 옆쪽으로부터 보아 거의 역S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탄성 계합부(33)는 상하 방향으로 크게 탄성변형 가능하다. 하판의 후단은 윗쪽으로 향해 만곡하도록 형성된다. 하판의 후단을 이와 같이 형성하면, 홀더(30)가 후퇴할 때에 하판의 후단이 케이스(20)의 내주벽에 걸려 버리는 일이 없다. 케이스(20)의 상벽의 내주면에 당접하는 탄성 계합부(33)의 상판의 상면에는, 중앙의 삽통판(32)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2개의 계지 돌기(332)가 형성된다. 계지 돌기(332)는, 케이스(20)의 안내홈(26)에 형성된 홈폭이 좁은 비계지 구멍(264)에는 계합할 수가 없지만, 홈폭이 넓은 계지 구멍(262)에는 계합할 수가 있다.
탄성 계합부(33)는, 상하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케이스(20) 내에 배치되고(도 2 참조), 케이스(20) 내에서 계지 돌기(332)를 상시 윗쪽으로 향하여 치우치게 해서, 계지 돌기(332)를 계지 구멍(262)에 계합시킨다. 이 계합에 의해, 홀더(30)가 케이스(20)에 대해서 전후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계지된다. 한편, 조작부(32)가 아래쪽으로 향해 압압되면, 탄성 계합부(33)가 압축되어 탄성변형하고, 계지 돌기(332)가 케이스(20)의 계지 구멍(262)로부터 벗어나므로, 홀더(30)의 케이스(20)로의 계지가 해제된다. 계지 돌기(332)와 케이스(20)의 계합이 해제되면, 홀더(30)는 케이스(20) 내를 전후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탄성 계합부(33)는, 케이스(20) 내에 달라붙어 있지 않은 자유 상태(도 10 참조)에 있어서, 전단의 만곡에 의해 중판에 연결된 하판의 후단이 하판의 전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탄성 계합부(33)를 형성하면, 홀더(30)를 케이스(20) 내에 조립한 때에 하판의 전단과 케이스(20)의 내주벽과의 접촉 압력이 하판의 후단과 케이스(20)의 내주벽과의 접촉 압력과 비교해서 낮아지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케이스(20) 내에 조립된 홀더(3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될 때의 하판의 전단과 케이스(20)의 내주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할 수가 있기 때문에, 지우개(10)를 조출하거나, 혹은 케이스(20) 내에 수용할 때의 접동 저항을 저감할 수가 있다. 특히, 지우개(10)를 조출할 때의 접동 저항을 크게 저감할 수가 있다.
삽통판(34)은, 조작부(32)의 하면과 탄성 계합부(33)의 상면을 연결하고, 안내홈(26)의 홈폭이 좁은 비계지 구멍(264)보다 약간 작은 폭을 가지는 평판으로서 형성된다. 삽통판(34)은, 안내홈(26)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케이스(20)로부터 그 상부가 돌출한 상태로 되도록 배치된다. 삽통판(34)은 조작부(32)에 대한 유저의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 홀더(30)를 전후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안내홈(26)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탄성 연결부(35)는, 연결판(314)의 하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재하는 앞부분과, 더욱이 윗쪽으로 연재하여 탄성 계합부(33)의 상판의 선단부(상단부)에 연결하는 뒷부분을 갖되, 옆쪽으로부터 보아 거의 역L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탄성 연결부(35)의 폭은 연결판(314) 및 연결 계합부(33)와 동일하고, 케이스(20)의 내주벽의 폭방향에서의 이간 간격보다 작다. 이 때문에, 연결판(314), 탄성 연결부(35) 및 연결 계합부(33)의 측면은 케이스(20)의 내주벽과 접촉하는 일이 없고, 지우개(10)를 조출하거나, 혹은 케이스(20) 내에 지우개(10)를 수용할 때에 홀더(30)의 측면과 케이스(2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접동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더욱이, 케이스(20) 내에 조립된 홀더(30)의 보호 유지부(31), 탄성 계합부(33), 및 탄성 연결부(35)는,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지우개(10)의 최대 외형부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의 범위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케이스(20)를 작은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슬라이드 조작)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장척물 조출 장치(1)에서는, 비사용 시에, 지우개(10)가 케이스(20) 내에 수용된다. 홀더(30)의 계지 돌기(332)가 케이스(20)의 안내홈(26)의 계지 구멍(262)에 계합하도록 치우치게 되어 홀더(30) 및 지우개(1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계지된다. 지우개(10)를 조촐하는 경우에는, 우선, 홀더(30)의 조작부(32)를 케이스(20)의 중심 축선을 향해 눌러 홀더(30)의 계지 돌기(332)와 케이스(20)의 계지 구멍(262)의 계합을 해제한다. 계지 돌기(332)와 계지 구멍(262)의 계합이 해제되면, 홀더(30)가 케이스(20) 내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 후, 홀더(30)의 조작부(32)를 전방으로 향해 슬라이드 조작하면, 홀더(30)의 보호 유지부(31)가 보호 유지하는 지우개(10)를 케이스(20)의 선단부의 개구(22)로부터 조출할 수가 있다. 조작부(32)의 압압(押壓, 눌림)을 해제하고, 계지 돌기(332)를 계지 구멍(262)에 다시 계합시키면, 홀더(30)가 케이스(20)에 대해 계지되어 케이스(20)의 개구(22)로부터 조출된 지우개(10)를 사용할 수가 있다.
조작부(32)를 누르면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할 때에는, 홀더(30)의 계지 돌기(332)가 케이스(20)의 계지 구멍(262) 및 비계지 구멍(264)에 대해, 순차적으로 당접 및 비당접을 반복하면서 전진한다. 이 때문에, 유저는 케이스(20)의 계지 구멍(262)의 위치를 파악하면서 슬라이드 조작을 시행할 수가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장척물 조출 장치(1)에서는, 지우개(10)는 오목부(12)를 갖되, 지우개(10)의 오목부(12)가 실질적으로 그 길이 방향에 걸쳐 케이스(20)의 내주벽과 근접 또는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지우개(10)를 케이스(20)로부터 조출할 때의 접동 저항이 종래의 장척물 조출 장치의 경우보다 저감 된다. 지우개(10)를 케이스(20) 내에 수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지우개의 사용)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지우개(10)의 각주 돌기(14)의 외측면이 지우개(10)의 길이 방향에 걸쳐 케이스(20)의 내주벽에 대해 근접 또는 접촉한 상태로 지우개(10)가 사용된다. 이 때문에, 사용 시의 지우개(10)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흔들림)이 종래의 장척물 조출 장치의 경우보다 저감된다.
더욱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홀더(30)의 보호 유지부(31)와 탄성 계합부(33) 사이에 탄성 연결부(35)가 개재(介在)한다. 탄성 연결부(35)는 연결판(314)의 하단부와 탄성 계합부(33)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축선 방향에 있어서 홀더(30)의 보호 유지부(31)를 축선 방향에 대해 비대칭으로 탄성 지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지우개(10)의 사용에 의해 지우개(10) 축선 방향의 후방으로 향해 하중이 더해진 때에, 탄성 연결부(35)가 축선 방향에 대해 비대칭(비축선대칭)으로 탄성변형하도록 구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축선 방향 후방으로의 하중을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피시킬 수가 있다. 지우개(10)의 각주 돌기(14)의 외측면은 케이스(20)의 내주벽에 대해 근접 또는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홀더(30)의 탄성 연결부(35)가 축선 방향에 대해 비대칭으로 탄성변형하면, 지우개(10)에 축선 방향으로 더해진 하중은 각주 돌기(14)의 외측면으로부터 케이스(20)의 내주벽으로 도피시키는 것으로 되어 탄성 계합부(33)에 부하되는 축선 방향의 하중이 저감된다. 따라서, 계지 돌기(332)와 계지 구멍(262)의 계합이 지우개(10)의 사용에 의해 어긋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홀더(30)의 연결판(314), 탄성 연결부(35), 및 탄성 계합부(33)가 1매의 만곡한 판으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일체의 탄성 부재로서 탄성변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장척물 조출 장치가 가지는 홀더보다 큰 변위로 탄성변형할 수가 있고, 더욱이 장수명인 홀더(30)를 제공할 수가 있다.
(조립)
상술한 장척물 조출 장치(1)를 조립하는 경우는, 먼저 지우개(10)의 후단부의 대향하는 2개의 오목부(12)(도 2에 대해 상하의 오목부(12))를 홀더(30)의 2개의 협지판(312) 사이에 맞물리게 해서 홀더(30)에 지우개(10)를 조립한다. 이어서, 조립된 지우개(10) 및 홀더(30)를 케이스(20)의 후단부의 개구(24) 내에 삽입한다. 홀더(30)의 삽통판(34)이 케이스(20)의 후단부의 개구(24)에 연통하는 안내홈(26)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홀더(30)의 탄성 계합부(33)이 케이스(2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지우개(10) 및 홀더(30)가 케이스(20)에 조립된다. 안내홈(26)의 계지 구멍(262)이 형성된 케이스(20) 상의 임의의 위치까지 홀더(30)를 이동시키면, 탄성 계합부(33)에 압압되어 계지 돌기(332)가 계지 구멍(262)에 계합하여, 홀더(30)가 케이스(20)에 계지된다. 마지막으로, 캡(40)을 케이스(20)의 후단부에 조립하면, 장척물 조출 장치(1)를 조립할 수가 있다. 유저가 용이하게 지우개(10)의 교환 작업을 시행할 수가 있도록, 이상의 조립 작업 및 그 역의 수순에 의한 분해 작업은 지그(jig)를 이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시행할 수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개구(22)에 중심 축선을 향해 돌출하는 볼록부(28)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볼록부(28)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는, 지우개(10)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휨 변형의 억제 효과는 보다 크고, 지우개(10)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단면 2차 모멘트) 및 볼록부(28)를 제외한 케이스(20)의 내주면에 의한 지우개(10)의 지지에 기인하는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더욱이, 오목부(12)의 선단부의 홈을 지우개(10)의 사용에 의해 발생하는 지우개 찌꺼기의 도피 홈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지우개(10)를 한층 더 용이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지우개(10)의 측면의 4면 모두에 오목부(12)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지우개와 케이스의 내주벽의 접동 저항을 저감할 수가 있는 한에 있어서,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오목부는 지우개의 측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이상 설명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장척물로서 지우개를 예로 들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는, 컷터 칼날, 색 심지, 착색 화재(畵材), 화장료 등을 장척물에 형성하여 임의의 보호 유지부에서 보호 유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장척물은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에 각부를 갖되,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능선을 가짐으로써 매우 적합하게 지우개(10)를 사용할 수가 있는 것으로 설명했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장척물은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에 각부 대신에 소정의 반경의 둥그스름한 모양을 가지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네 모퉁이에 생기는 케이스의 내주면의 각부와 지우개의 능선부의 간섭을 회피하여, 지우개를 조출할 때의 지우개와 케이스의 접동 저항을 한층 더 저감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그 요지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바,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하등 구속되지 않는다. 더욱이,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형, 여러 가지 개량, 대체 및 개질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1 장척물 조출 장치
10 지우개
12 오목부
20 케이스
28 볼록부
30 홀더
31 보호 유지부
312 협지판
314 연결판
32 조작부
33 탄성 계합부
332 계지 돌기(돌기)
35 탄성 연결부

Claims (6)

  1.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적어도 1개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그 길이 방향에 걸쳐 연재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장척물과,
    일단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상기 장척물을 조출 가능하게 수용하는 장척 모양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장척물을 보호 유지하는 홀더를 갖추되,
    상기 장척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적어도 1개의 평면은 실질적으로 그 길이 방향에 걸쳐 상기 장척 모양의 케이스의 내주벽에 근접 또는 접촉하고, 상기 장척물의 오목부는 실질적으로 그 길이 방향에 걸쳐 그 장척 모양의 케이스의 내주벽에 근접 또는 접촉하는 일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조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척물은 서로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4개의 상기 평면을 갖되, 상기 오목부가 길이 방향에서의 각 평면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그 장척물의 네 모퉁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능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조출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하는 조작부와,
    상기 장척물을 보호 유지하는 보호 유지부와,
    상기 홀더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와 계합하는 돌기와,
    상기 조작부의 아래쪽에 배설됨과 더불어 그 조작부 및 상기 돌기에 연결되어 그 조작부의 압압에 따라 아래쪽으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케이스와 그 돌기의 계합을 해제하는 탄성 계합부와,
    상기 보호 유지부와 상기 탄성 계합부의 사이에 개재하여, 그 보호 유지부를 축선 방향에 대해 비축선대칭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연결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조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호 유지부는 상기 장척물을 협지하는 한 쌍의 협지판과, 그 한 쌍의 협지판을 지지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판 모양의 연결판을 갖되, 그 연결판과 상기 탄성 계합부와 상기 탄성 연결부는 일련의 만곡한 판으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조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장척물의 서로 대향하는 평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보호 유지부는 상기 장척물의 대향하는 2개의 오목부 각각을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조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는, 상기 장척물의 오목부의 형상에 대응해서 중심 축선을 향해 돌출하는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조출 장치.
KR1020170136388A 2016-12-26 2017-10-20 장척물 조출 장치 KR201800753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50681A JP6830809B2 (ja) 2016-12-26 2016-12-26 長尺物繰り出し装置
JPJP-P-2016-250681 2016-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372A true KR20180075372A (ko) 2018-07-04

Family

ID=6270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388A KR20180075372A (ko) 2016-12-26 2017-10-20 장척물 조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30809B2 (ko)
KR (1) KR20180075372A (ko)
CN (1) CN108237823A (ko)
TW (1) TWI7490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3790A (zh) * 2021-07-21 2021-12-03 浙江一正文化用品有限公司 多功能文具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5395Y1 (ko) * 1970-05-29 1974-07-09
US5362166A (en) * 1993-06-28 1994-11-08 Kotobuki & Co., Ltd. Flat stick-shaped material propelling container
JP2000141989A (ja) * 1998-11-11 2000-05-23 Kotobuki:Kk 長尺物繰り出し装置
JP3089484U (ja) * 2002-04-23 2002-10-25 株式会社イワコー 繰り出し式消しゴム
JP4925395B2 (ja) 2005-03-31 2012-04-25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生成システム
CN201026757Y (zh) * 2007-02-15 2008-02-27 福建新代实业有限公司 推拉式橡皮擦
CN201633400U (zh) * 2010-03-12 2010-11-17 福建新代实业有限公司 三角推拉式橡皮擦
KR101299961B1 (ko) * 2010-11-12 2013-08-26 허재민 지우개를 가지는 수정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03423A (ja) 2018-07-05
JP6830809B2 (ja) 2021-02-17
TWI749064B (zh) 2021-12-11
TW201823055A (zh) 2018-07-01
CN108237823A (zh)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39654B (zh) 刀具
US10335970B2 (en) Razor with detachable replacement blade
US9919440B2 (en) Razor
US9796101B2 (en) Razor
KR102615110B1 (ko) 카트리지를 결속 및 결속 해제하기 위한 잠금 및 해제 메커니즘을 갖는 면도기 손잡이
KR101108922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CN108367448B (zh) 剃刀头
US9209557B2 (en) Electric connector
KR101790796B1 (ko) 코팅 필름 전사 도구
JP2004258657A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の第2ラッチ
KR20180075372A (ko) 장척물 조출 장치
KR101778888B1 (ko) 커넥터
US20190037973A1 (en) Buckle
JP2008096270A (ja) 電気的接続装置
US9456095B2 (en) Part engaging structure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419633B2 (ja)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面装着装置
JP2014002673A (ja) 表示装置
JP6112364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6514600B2 (ja) 複式筆記具
JP7333343B2 (ja) 出没式筆記具
JPWO2014038068A1 (ja) ベルトアジャスター
JP2018103423A5 (ko)
JP2017079859A (ja) バックル
CN111971186A (zh) 书写用具
JP6914674B2 (ja) 医療用刃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