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232A -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232A
KR20180074232A KR1020160178113A KR20160178113A KR20180074232A KR 20180074232 A KR20180074232 A KR 20180074232A KR 1020160178113 A KR1020160178113 A KR 1020160178113A KR 20160178113 A KR20160178113 A KR 20160178113A KR 20180074232 A KR20180074232 A KR 20180074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heavy object
sensing unit
proximit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3646B1 (ko
Inventor
신기수
Original Assignee
(주)애니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토이 filed Critical (주)애니토이
Priority to KR1020160178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6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4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 B66C15/045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2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electric dri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크레인에는 하측크레인과 동일한 높이에 중량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중량물 감지부와, 하측크레인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감지부가 각각 구비되고, 제어부는 상기 중량물 감지부에 의해 중량물이 존재함을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근접 감지부에 의해 하측크레인에의 근접을 감지할 경우에만 상측크레인이 하측크레인을 향해 이동됨이 강제 정지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이 제공되며, 이를 통해 중량물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accident protect device for multi layer type roof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하 방향으로 다중 배치된 크레인들 중 상측에 위치된 크레인을 이용한 중량물의 운반시 해당 중량물이 하측에 위치된 크레인에 부딪혀 낙하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다중 천장 크레인 충돌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중량물을 운반하기 위해 제공되는 기구로써, 그 설치 위치 및 사용 용도에 따라 천장 크레인과, 지브 크레인과, 다리형 크레인, 탑형 크레인, 케이블 크레인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조선소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중량물을 지속 반복적으로 운반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장에서는 단순히 하나의 크레인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둘 혹은, 셋 이상 복수의 크레인을 실내의 각 높이별 위치에 각각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일 공간에서 복수의 크레인을 구축하여 사용할 경우 각 크레인의 동작시 서로 간의 간섭에 의한 충돌 발생이 야기될 우려가 있다.
이에 종래에는 복수의 크레인이 제공되는 작업 공간 내에서 각 크레인 간의 동작에 따른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0393501호, 등록특허 제10-0938345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6912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크레인 간의 충돌 방지를 위한 기술은 중량물의 존재 유무에 상관없이 두 크레인 간의 동작시 서로 간섭되거나 충돌함을 예측하고 방지하도록 한 기술이기 때문에 그 구현이 극히 어려울 뿐 아니라 충돌 방지를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축에 따른 비용이 막대히 소요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작업장 내에 상하로 배치된 크레인의 경우 지상에 위치된 작업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수동 조작하게 되는데, 이의 과정에서 상부 크레인에 매달린 중량물이 하부 크레인에 부딪히는지의 여부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함에 따라 상기 중량물이 하부 크레인에 부딪히는 경우가 발생되었고, 이러한 부딪힘에 의한 중량물의 낙하시 지상에 위치한 각 작업자의 안전 사고 위험이 야기될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공개특허 제10-2013-0117219호, 공개특허 제10-2016-0121018호에서도 상하로 배치된 두 크레인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공되고 있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사실상 크레인의 호이스트(케이블)에 대한 부딪힘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일 뿐 이 호이스트에 매달린 중량물이 상대 크레인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지는 못하였다.
등록특허 제10-0393501호 등록특허 제10-0938345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6912호 공개특허 제10-2013-0117219호 공개특허 제10-2016-0121018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 방향으로 다중 배치된 크레인들 중 상측에 위치된 크레인을 이용한 중량물의 운반시 해당 중량물이 하측에 위치된 크레인에 부딪혀 낙하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에 따르면 상측에 위치되면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측레일의 안내를 받아 이동되는 상측크레인 및 하측에 위치되면서 하측레일의 안내를 받아 이동되는 하측크레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중 천장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상측크레인에는 상기 하측크레인과 동일한 높이에 중량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중량물 감지부와, 상기 하측크레인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감지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물 감지부에 의해 중량물이 존재함을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근접 감지부에 의해 하측크레인에의 근접을 감지할 경우에만 상측크레인이 하측크레인을 향해 이동됨이 강제 정지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량물 감지부는 상기 상측크레인의 양단에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하측 끝단은 상기 하측크레인의 상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 두 장착프레임과, 상기 두 장착프레임의 하측 끝단 간의 대향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두 장착프레임의 하측 끝단 사이에 중량물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단이 상기 상측크레인의 전후방측에 각각 고정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제공되는 두 수직단과, 상기 두 수직단의 하측 끝단 간을 연결하는 수평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광센서는 상기 두 장착프레임을 이루는 수평단 간의 대향면에 위치되면서 상기 수평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근접 감지부는 상기 두 장착프레임의 하측 끝단 중 상측크레인의 이동 방향측 벽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이동 방향측에 위치된 하측프레임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근접 감지부는 상측크레인과 하측크레인이 서로 설정된 거리 이내로 인접될 경우 상기 하측크레인을 센싱할 수 있을 정도의 상하 센싱 범위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로 인해 상하로 위치된 두 크레인이 구축된 장소에서 상측크레인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운반할 때 해당 중량물이 하측크레인에 충돌하여 낙하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는 상측크레인에 중량물이 존재하되 이 중량물의 높이가 하측크레인에 부딪힐 우려가 있는 위치에 있는지의 감지와, 상기 상측크레인이 하측크레인에 근접하는지의 감지가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상기 두 상황별 감지가 동시에 이루어진 경우에만 상측크레인의 이동이 강제 정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인 중량물과 하측크레인과의 부딪힘만 정확히 방지하되 빠른 작업 진행은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는 중량물 감지부가 해당 중량물의 전체를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중량물이 상측크레인에 비해 높게 위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만 확인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그 제어를 위한 시스템의 구축 역시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중 중량물이 하측크레인과의 부딪힘 위치에 존재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중 중량물이 하측크레인과의 부딪힘 위치에 존재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는 상측에 위치되면서 제어부(도시는 생략됨)의 제어에 의해 상측레일(11)의 안내를 받아 이동되는 상측크레인(10) 및 하측에 위치되면서 하측레일(21)의 안내를 받아 이동되는 하측크레인(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중 천장 크레인에 적용된 것을 그 예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는 중량물 감지부(100)와 근접 감지부(200) 및 제어부(도시는 생략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중량물 감지부(100)와 근접 감지부(200)에 의한 중량물(30)의 감지 및 하측크레인(20)의 근접 감지가 동시에 이루어질 경우 상측크레인(10)의 강제적인 이동 정지가 이루어짐으로써 상측크레인(10) 및 하측크레인(20) 간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중량물 감지부(100)는 상기 상측크레인(10)에 의해 운반되는 중량물(30)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즉, 통상적인 상측크레인(10)에는 중량물을 매다는 와이어(12)의 수직 장력을 감지하여 중량물(30)의 존재 유무 및 해당 중량물(30)에 대한 중량을 작업자가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하는 로드셀(도시는 생략됨)이 존재하고 있으나, 이러한 로드셀만으로는 해당 중량물(30)의 높이측 위치를 감지하지는 못하였음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중량물 감지부(100)의 제공을 통해 상기 상측크레인(10)에 매달려 운반되는 중량물(30)이 하측크레인(20)과의 부딪힐 우려가 있는 위치인지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중량물 감지부(100)는 두 장착프레임(110)과 광센서(1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실시예로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두 장착프레임(110)은 상기 상측크레인(10)의 양단에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하측 끝단은 상기 하측크레인(20)의 상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구성으로써, 상단이 상기 상측크레인(10)의 전후방측에 각각 고정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제공되는 두 수직단(111)과, 상기 두 수직단(111)의 하측 끝단 간을 연결하는 수평단(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두 장착프레임(110)을 이루는 수평단(112)의 위치는 하측크레인(20)의 상면 높이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즉, 상기 두 장착프레임(110)의 수평단(112)이 상기 하측크레인(20)의 상면에 닿지 않을 정도로만 그 높이가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광센서(120)는 상기 두 장착프레임(110)의 하측 끝단 사이에 중량물(30)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로써, 상기 두 장착프레임(110)을 이루는 수평단(112) 간의 대향면에 위치되면서 상기 수평단(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각 광센서(120)는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두 장착프레임(110) 중 어느 한 장착프레임의 수평단에 제공되는 발광부 및 다른 한 장착프레임의 수평단에 제공되는 수광부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한 장착프레임(110) 및 광센서(120)로 이루어진 중량물 감지부(100)에 의해 해당 상측크레인(10)에 매달리는 중량물(30)이 하측크레인(20)에의 부딪힐 우려가 있는지를 미연에 알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근접 감지부(200)는 상기 상측크레인(10)이 상기 하측크레인(20)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근접 감지부(200)는 각 장착프레임(110)을 이루는 두 수직단(111)의 하측 끝단 중 상측크레인(10)의 이동 방향측 벽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이동 방향측에 위치된 하측프레임(20)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근접 감지부(200)가 상측크레인(10)과 하측크레인(20)이 서로 설정된 거리 이내로 인접될 경우 상기 하측크레인(20)을 센싱할 수 있을 정도의 상하 센싱 범위를 갖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근접 감지부(200)와 하측크레인(20)이 동일 높이에 위치되지 않고 일정한 높낮이의 차이가 있음을 고려할 때 이러한 높낮이 차이만큼의 거리를 포괄할 수 있는 센싱 범위를 갖도록 근접 감지부(20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근접 감지부(200)에 의한 하측크레인(20)의 근접 여부가 센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상측크레인(10)과 하측크레인(20) 간의 설정된 거리는 상측크레인(10)의 이동이 순간적으로 정지될 경우 이러한 이동 정지에 따른 관성으로 인해 중량물(30)이 흔들리면서 하측크레인(20)에 부딪힐 우려가 회피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도시는 생략됨)는 상기 상측크레인(10)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제어부는 상기 상측크레인(10) 내에 내장되거나 혹은, 상기 상측크레인(10)과는 별개의 위치에 제공되면서 상기 상측크레인(10)의 구름 롤러(13)에 대한 구름 동작 및 와이어(12)가 권취되는 윈치(도시는 생략됨)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도시는 생략됨)로부터 해당 상측크레인(10)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이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한 운전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래밍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상측크레인(10)의 중량물 감지부(100)에 의해 감지된 중량물(30)의 존재 여부와 상기 근접 감지부(200)에 의해 감지된 하측크레인(20)에의 근접 여부를 토대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 여부에 상관없이 상측크레인(10)의 강제 정지(하측크레인이 위치된 방향으로의 이동 정지)를 결정하여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즉, 상측크레인(10)에 중량물(30)이 존재하면서도 이 상측크레인(10)이 하측크레인(20)에 근접할 경우에만 상기 상측크레인(10)의 이동(하측크레인이 위치된 방향으로의 이동)이 강제적으로 정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중량물(30)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이더라도 중량물(30)을 매다는 와이어(12)가 하측크레인(20)에 비해 아래에 위치될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12)가 상기 하측크레인(20)에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된다. 그러나 이러한 와이어(12)와 하측크레인(20) 간의 부딪힘은 단순히 둘 간의 부딪힘에 그칠 뿐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본 발명에서는 중량물(30)이 있을 경우 상측크레인(10)의 이동에 따라 하측크레인(20)에 부딪혀 낙하됨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인명 사고의 위험은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가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을 통해 상측크레인(10)을 이용한 중량물(30)의 운반을 수행하게 되면 제어부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동작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해당 상측크레인(10)의 윈치를 구동시키면서 중량물을 들어올림과 더불어 구름롤러(13)를 구동시키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운반하도록 그 이동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한 제어부에 의한 상측크레인(10)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는 도중 상기 제어부는 중량물 감지부(100) 및 근접 감지부(200)로부터 각각의 센싱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며, 이를 토대로 상측크레인(10)의 강제적 동작 제어의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즉, 상기 중량물 감지부(100)에 의해 감지되는 특정 높이에의 중량물(30) 유무 및 상기 근접 감지부(200)에 의해 감지되는 하측크레인(20)의 근접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이러한 두 감지 정보를 토대로 상측크레인(10)의 강제적 동작 제어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만일, 전술된 상측크레인(10)의 이동 도중 첨부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 감지부(100)에 의한 중량물(30)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혹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근접 감지부(200)에 의한 하측크레인(20)이 근접하지 않았음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작업자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조작대로 상측크레인(10)의 동작 제어를 계속해서 수행한다.
반면, 전술된 상측크레인(10)의 이동 도중 첨부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 감지부(100)에 의해 중량물(30)이 감지됨과 동시에 근접 감지부(200)에 의한 하측크레인(20)이 근접되었음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작업자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조작 여부에 상관없이 제어부의 강제적인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면서 해당 상측크레인(10)의 이동을 강제 정지하게 된다.
즉, 지상에서 작업자가 볼 때에는 중량물(30)이 하측크레인(20)의 상부에 위치된 것으로 보여 충돌의 위험을 고려하지 않고 계속적인 상측크레인(10)의 이동을 제어하게 되지만, 이러한 제어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제어부가 중량물 감지부(100) 및 근접 감지부(200)로부터 센싱된 센싱 신호에 의해 상기 작업자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조작 여부에 상관없이 상측크레인(10)의 이동을 강제로 정지시켜 안전사고의 위험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제어부의 동작 제어에 의해 상측크레인(10)의 강제적인 이동 정지(하측크레인이 위치된 방향으로의 이동)가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작업자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한 조작을 통해 중량물(30)의 상하 위치 조절 및 하측크레인(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측으로의 이동은 가능하도록 하며, 이로써 중량물(30)로 인해 상측크레인(10)의 이동이 정지된 경우에는 상기 중량물(30)의 추가적인 높이 조절을 통해 하측크레인(20)과의 충돌 위험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하여 계속적인 상측크레인(1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전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로 인해 상하로 위치된 두 크레인(10,20)이 구축된 장소에서 상측크레인(10)을 이용하여 중량물(30)을 운반할 때 해당 중량물(30)이 하측크레인(20)에 충돌하여 낙하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는 상측크레인(10)에 중량물(30)이 존재하되 이 중량물(30)의 높이가 하측크레인(20)에 부딪힐 우려가 있는 위치에 있는지의 감지와, 상기 상측크레인(10)이 하측크레인(20)에 근접하는지의 감지가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상기 두 상황별 감지가 동시에 이루어진 경우에만 상측크레인(10)의 이동이 강제 정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인 중량물(30)과 하측크레인(20)과의 부딪힘만 정확히 방지하되 빠른 작업 진행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는 중량물 감지부(100)가 해당 중량물(30)의 전체를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중량물(30)이 상측크레인(10)에 비해 높게 위치되어 있는 지의 여부만 확인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그 제어를 위한 시스템의 구축 역시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10. 상측크레인 11. 상측레일
12. 와이어 13. 구름롤러
20. 하측크레인 21. 하측레일
30. 중량물 100. 중량물 감지부
110. 장착프레임 111. 수직단
112. 수평단 120. 광센서
200. 근접 감지부

Claims (5)

  1. 상측에 위치되면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측레일의 안내를 받아 이동되는 상측크레인 및 하측에 위치되면서 하측레일의 안내를 받아 이동되는 하측크레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중 천장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상측크레인에는 상기 하측크레인과 동일한 높이에 중량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중량물 감지부와, 상기 하측크레인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감지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물 감지부에 의해 중량물이 존재함을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근접 감지부에 의해 하측크레인에의 근접을 감지할 경우에만 상측크레인이 하측크레인을 향해 이동됨이 강제 정지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 감지부는
    상기 상측크레인의 양단에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하측 끝단은 상기 하측크레인의 상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 두 장착프레임과,
    상기 두 장착프레임의 하측 끝단 간의 대향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두 장착프레임의 하측 끝단 사이에 중량물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단이 상기 상측크레인의 전후방측에 각각 고정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제공되는 두 수직단과, 상기 두 수직단의 하측 끝단 간을 연결하는 수평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광센서는 상기 두 장착프레임을 이루는 수평단 간의 대향면에 위치되면서 상기 수평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근접 감지부는 상기 두 장착프레임의 하측 끝단 중 상측크레인의 이동 방향측 벽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이동 방향측에 위치된 하측프레임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감지부는 상측크레인과 하측크레인이 서로 설정된 거리 이내로 인접될 경우 상기 하측크레인을 센싱할 수 있을 정도의 상하 센싱 범위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KR1020160178113A 2016-12-23 2016-12-23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KR101903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113A KR101903646B1 (ko) 2016-12-23 2016-12-23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113A KR101903646B1 (ko) 2016-12-23 2016-12-23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232A true KR20180074232A (ko) 2018-07-03
KR101903646B1 KR101903646B1 (ko) 2018-10-02

Family

ID=6291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113A KR101903646B1 (ko) 2016-12-23 2016-12-23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01907A (zh) * 2023-01-10 2023-05-12 河南省飞马起重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单梁桥式起重机的限位防撞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946B1 (ko) * 2009-12-29 2010-08-10 재단법인 광양만권 유아이티연구소 크레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683820B1 (ko) * 2016-04-19 2016-12-08 주식회사 지트 복층 크레인 충돌 방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01907A (zh) * 2023-01-10 2023-05-12 河南省飞马起重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单梁桥式起重机的限位防撞机构
CN116101907B (zh) * 2023-01-10 2023-09-01 河南省飞马起重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单梁桥式起重机的限位防撞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646B1 (ko)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23767B1 (en) Optical detection system for lift crane
JP5081751B2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時安全装置
EP3459893B1 (en) Elevator sensor array system
KR101667569B1 (ko) 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및 상기 고소작업장치의 동작방법
KR101867798B1 (ko)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KR102623060B1 (ko) 타워크레인의 사고예방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1618531B1 (ko) 천장 크레인 시스템
KR101903646B1 (ko)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WO2015137674A1 (ko)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
JPH10167663A (ja) クレーンの巻き下げ衝突防止装置
JP5761630B1 (ja) 乗客コンベアの間隙異常判定装置
KR20140000033U (ko) 협착방지장치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KR20200100265A (ko) 상대속도 및 절대속도를 이용한 타워크레인 충돌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타워크레인의 충돌을 방지하는 방법
KR101649492B1 (ko) 케이블 로봇 시스템의 운영 방법
JP2010089877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474597B2 (ja) エレベータの強風管制運転装置及び方法
KR101894830B1 (ko) 승강로 하부피트에 설치되어지는 안전장치
KR102329887B1 (ko) 비전과 레이더를 활용한 산업용로봇 안전시스템
CN111056399A (zh) 长条物挂住检测装置
KR102205520B1 (ko) 끼임사고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TWI572550B (zh) 防撞天車裝置
JP2002003118A5 (ko)
KR102152456B1 (ko) 고소작업차의 전도 방지 시스템
KR101919023B1 (ko) 크레인 충돌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크레인 시스템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102672980B1 (ko) 고소작업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