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063A - 도금강판의 핫스탬핑 방법 - Google Patents

도금강판의 핫스탬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063A
KR20180074063A KR1020160177736A KR20160177736A KR20180074063A KR 20180074063 A KR20180074063 A KR 20180074063A KR 1020160177736 A KR1020160177736 A KR 1020160177736A KR 20160177736 A KR20160177736 A KR 20160177736A KR 20180074063 A KR20180074063 A KR 20180074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galvanized steel
hot stamping
hot
steel she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원익
박성용
김장수
양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Priority to KR1020160177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4063A/ko
Publication of KR20180074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2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5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characterized by the material of the blank or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2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by heating the blank or stamping associated with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23C2/28Thermal after-treatment, e.g. treatment in oil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23C2/28Thermal after-treatment, e.g. treatment in oil bath
    • C23C2/29Cooling or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C23G1/10Other heavy 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아연도금강판을 이용한 핫스탬핑 방법이 소개된다. 핫스탬핑을 위해 아연도금강판을 가열하기 전에 아연도금강판의 표면이 산성 용액으로 표면 처리된다. 핫스탬핑을 위한 가열과정에, 산처리된 아연도금강판의 표면에 안정적인 산화아연층이 형성된다. 이 산화아연층은 열간 프레스 성형과정에 표면 크랙이 발생되지 않는다.

Description

도금강판의 핫스탬핑 방법{HOT STAMPING METHOD FOR PLATED STEEL SHEETS}
본 발명은 도금강판, 특히 아연도금강판을 이용한 핫스탬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제조업계의 가장 커다란 화두 중 하나는 경량화 및 고강도화이며, 최근 이러한 화두의 중심에 핫스탬핑 기술이 자리 잡고 있다. 핫스탬핑 기술 및 소재에 관해서는 영국특허 제1490535호에 소개된 바 있다.
핫스탬핑은 강판을 900~950℃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오스테나이트화 한 후 프레스 내에서 성형과 동시에 급냉함에 의해 고강도 경량 부품을 제조한다. 핫스탬핑 소재로는 0.2중량% 내외의 탄소를 함유하며 열처리 성능 향상 위한 원소로서 Mn, B를 사용하는 이른바 보론강이 사용된다.
이러한 핫스탬핑은 성형 및 열처리가 동시에 수행되므로 생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온에서 강판이 성형되므로 성형성 및 치수 정밀도가 우수하고 고강도 부품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 스프링백이나 지연파괴가 현저하게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핫스탬핑은 공정에 비도금 강판을 사용하는 경우 성형 후 디스케일링 공정이 필요하다. 번거로운 디스케일링 공정의 생략을 위 Al이나 Zn 도금 강판이 제안되었다. 아연도금강판에 대해서는 미국특허 제6564604호, 일본공개특허 제2005-074464호 및 제2005-240072호 등이 참고될 수 있다.
미국특허 제6564604호는 강판가열 중 아연 도금층이 강판표면과의 작용으로 금속간화합물을 형성하는 경우 아연 도금층이 가열 및 성형과정 중에 소실되지 않고 강판의 부식 및 탈탄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한다.
일본공개특허 제2005-074464호는 Fe-Zn의 금속간화합물은 아연 도금층에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고 한다. 경질의 Fe-Zn 금속간화합물은 성형과정 중 박리되어 금형을 손상시키거나 성형품의 외관을 열악하게 하므로, 아연 도금층에는 금속간화합물이 없는 Fe-Zn 고용상만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Fe-Zn의 고용상 상부에는 5㎛ 이하의 산화아연층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고 한다.
일본공개특허 제2005-240072에서 Zn-Fe의 합금화는 Zn도금층의 융점을 높일 수는 있으나, 900℃ 이상의 고온을 견디기는 어렵다는 전제하에, 모재와 도금층 간의 경계에 Fe를 50~80wt% 함유하는 Zn-Fe 합금층을 형성하고, 그 표층에는 Fe를 10~30wt% 함유하는 Zn-Fe 합금사의 매트릭스에 Fe를 50~80wt% 함유하는 구상의 Zn-Fe합금상을 분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한다.
차량용 강판으로 주로 용융아연도금강판(GI), 합금화아연도금강판(GA)이 사용된다. 합금화아연도금강판은 용융아연도금층을 재가열하여 아연도금층과 소지철 성분을 상호확산시켜 표면에 약 10%의 Fe를 함유하는 Fe-Zn 합금층을 형성시킨 강판이다. 스폿 용접과 도장 후 고내식성이 우수하여 차량 부품에 가장 널리 사용된다.
핫스탬핑용으로 개발된 아연도금강판은 주로는 Fe-Zn 고용상을 가지며 가열과정에 Fe-Zn 고용상에 산화아연층이 형성되도록 한다. 융점이 낮은 아연 특성으로 인해 고온 가열과정에 베이어층이 필요한데 이 역할을 산화아연층이 담당하도록 한 것이다. Al 도금강판의 경우도 표면 산화층의 기능은 유사하다.
아연도금강판은 이미 차량용 강판으로 사용되고 있기에 핫스탬핑에도 적용된다면 Al 도금강판보다는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그러나 핫스탬핑용 강판으로는 Al 도금강판이 사용되고 있다. 다른 문제도 있을 수 있으나, 가열과정에 아연도금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아연산화물이 소지철에까지 침투하여 프레스 성형과정에 크랙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대한 인식에 기초한 것으로, 고온 가열이 가능하며 열간 프레스 성형 과정에 크랙 발생이 여기되지 않는 도금강판, 특히 아연도금강판의 핫스탬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연도금강판을 핫스탬핑에 적용할 수 있는 간단하고 비용효율적인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드시 위에 언급된 사항에 국한되지 않으며, 미처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이하 기재되는 사항에 의해서도 이해될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핫스탬핑을 위해 아연도금강판을 가열하기 전에 산성 용액으로 표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 산서리 혹은 산세는 압연 전 열연코일의 스케일을 제거하거나 아연도금 전 강판의 표면 세척을 위해 사용되며, 도금강판의 표면 처리에, 특히 핫스탬핑을 위한 강판 표면의 전처리를 위해 사용된 바가 전혀 없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한국특허출원 제2015-0183875호의 '차량용 경량 부품' 제조기술 개발 과정에 얻어진 것이다. 이 출원기술은 스틸에 경량합금을 주조함에 의해 경량 부품을 제조하는 기술로, 강판과 그 위에 주조된 경량합금 간의 접합력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가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은 위의 강판과 주조된 경량합금 간의 접합력 향상을 위해 여러가지의 실험을 하던 중 우연히 그러나 매우 중요한 기술진보의 단초를 발견한 것이 기초한다. 가열 전에 미리 아연도금강판의 표면을 산처리 함에 의해, 열간 프레스 성형에도 크랙 발생이 억제되거나 없는 안정적인 산화아연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연도금강판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용융아연도금강판, 합금화아연도금강판, 전기아연도금강판, 플라즈마에 의한 건식아연도금강판, 고온 액상아연 스프레이에 의한 아연도금강판 등 대부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물론 핫스탬핑용으로 설계된 아연도금강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아연도금강판의 표면을 산처리하는 경우 핫스탬핑을 위한 가열과정에 표면에 산화아연층이 발생되어 아연도금층의 용융이나 기화가 억제되며 안정적인 고온 가열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아연도금강판의 열간 프레스 성형 과정에 표면 크랙이 억제되고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아연도금강판의 핫스탬핑에 적용 가능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핫스탬핑을 위한 별도의 복잡한 아연도금층 설계 없이도, 통상적으로 차량용 강판으로 사용되는 아연도금강판을 핫스탬핑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 전 산세척이라는 비교적 익숙하고 간단하며 비용효율적인 공정을 통해 아연도금강판의 핫스탬핑 적용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스탬핑 공정의 흐름도,
도 2a는 산세척 없는 아연도금강판의 핫스탬핑 후 사진, 도 2b는 도 2a의 크랙 부분의 광학현미경 사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산세척된 아연도금강판의 핫스탬핑 후 사진, 도 3b는 도 2b에 대응하는 부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금강판의 핫스탬핑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아연도금강판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하나의 예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합금화아연도금강판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아연도금강판은 블랭킹된 강판, 즉 블랭크일 수 있다. 코일 상태의 아연도금강판을 산세 처리하는 것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나, 코일 강판의 블랭킹 후 표면을 산세처리 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실시예에 의하면 아연도금강판의 아연 도금층은 두께는 50~60㎛ 정도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아연도금강판의 핫스탬핑 공정을 살펴본다.
산세 공정(S1)
아연도금강판은 산세 처리된다. 산세 처리는 다른 방법도 가능하겠지만 표면 처리의 균일성, 비용 및 양산성을 고려할 때 아연도금강판을 산성 용액에 침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세 공정에 염산, 질산, 황산 등 강산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산성 용액의 농도는 5~15 vol% 정도가 바람직하다. 농도가 5 vol% 미만인 경우 반응성이 약하고 공정 속도가 지연될 수 있으며, 농도가 15 vol%를 초과하는 경우 아연도금강판의 엣지부에서 부식이 발생될 수 있다.
산성 용액의 온도는 20~70℃, 침지시간은 30초~5분 정도가 적당하다. 산성 용액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반응성이 약하고, 70℃를 초과하는 경우 반응성이 너무 강해서 부식이 문제된다. 침지시간의 경우, 30초 미만의 경우 반응성이 약하고, 5분을 초과하는 경우 부식이 문제된다.
중화/세척 공정(S2)
산처리된 아연도금강판은 산용액의 제거를 위해 물세척된다. 바람직하게는 물세척 전에, 산용액에 의한 부식 진행을 방지하기 위해 아연도금강판을 수산화나트륨 용액과 같은 염기성 용액에 침지시켜 먼저 중화 처리한다.
염기성 용액의 농도는 1~10 vol% 정도가 바람직하다. 농도가 1 vol% 미만인 경우 반응성이 약하고, 농도가 10 vol%를 초과하는 경우 반응성이 강해 균일한 중화 처리가 어렵다.
염기성 용액의 온도는 30~80℃, 침지시간은 30초~2분 정도가 적당하다. 온도가 30℃ 미만으로 너무 낮으면 반응성이 약해서 강판 중심부에서 부식이 발생될 수 있으며, 80℃를 초과하는 경우 반응성이 너무 강해서 부식이 문제된다. 침지시간의 경우, 30초 미만의 경우 반응성이 약하고 중화처리가 불균일 할 수 있고, 2분을 초과하는 경우 부식이 문제될 수 있다.
물세척 또한 아연도금강판을 수조에 침지시킴에 의해 가능하다. 중화 처리된 아연도금간판의 물세척 시, 수조 온도는 20~50℃, 침지시간은 10~30초 정도면 적당하다.
건조 공정(S3)
물세척된 아연도금강판은 가열 전 건조된다. 자연건조도 가능하겠지만, 공정의 신속화를 위해 송풍에 의해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공정(S4)
건조된 아연도금강판은 소지철의 오스테나이트화를 위해 약 850~950℃로 가열된다. 산세 처리된 아연도금강판의 표면에는 가열과정에 ZnO, ZnFe2O4, Fe2O3, Fe3O4와 같은 산화물을 갖는 산화물층이 형성된다.
가열과정에 형성된 산화물층은 아연 도금층 두께의 대략 1/2 깊이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 깊이 형성되는 경우 산화물의 소지철로의 침투나 성형 중 크랙이 문제될 수 있고, 너무 얕게 형성되는 경우 도금층의 용융이나 증발 등이 문제될 수 있다.
성형 및 냉각 공정(S5)
산세 후 고온 가열된 아연도금강판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프레스 내에서 성형 및 냉각된다.
도 2a 및 도 2b에는 비교예에 따른 아연도금강판의 핫스탬핑 결과, 도 3a 및 도 3b에는 실시예에 따른 아연도금강판의 핫스탬핑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산세척 없이 일반 합금화아연도금강판을 핫스탬핑한 결과로서, 이들 도면에서 보듯이 성형부에 매크로한 크랙이 발생된다. 이 비교예에서 알 수 있듯이, 차량용 아연도금강판은 지금까지 핫스탬핑에 사용될 수 없었다.
도 3a 및 도 3b는 농도 8vo%의 염산 용액을 이용하여 일반 합금화아연도금강판의 표면을 1분간 산처리 후, 900℃로 가열하여 핫스탬핑한 결과로서, 이들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표면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으며, 양호한 품질의 성형품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연도금강판의 핫스탬핑 방법은 추가적으로 해석하거나 보완 해야할 과제가 있고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특허출원이 되겠지만, 아연도금강판의 산세 처리에 의해 고온 가열이 가능하고 성형 중의 크랙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아연도금강판의 핫스탬핑 적용을 실현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진보의 단초가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Claims (3)

  1. a) 아연도금강판의 표면을 산성 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
    b) 산처리된 아연도금강판의 표면을 물세척하는 단계; 및
    c) 물세척된 아연도금강판을 가열하여 열간 프레스 성형 및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의 핫스탬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농도 5~15 vol%의 산성 용액에 아연도금강판을 침지시켜 산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의 핫스탬핑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물세척 전에,
    농도 1~10 vol%의 염기성 용액에 아연도금강판을 침지시켜 중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의 핫스탬핑 방법.
KR1020160177736A 2016-12-23 2016-12-23 도금강판의 핫스탬핑 방법 KR20180074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736A KR20180074063A (ko) 2016-12-23 2016-12-23 도금강판의 핫스탬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736A KR20180074063A (ko) 2016-12-23 2016-12-23 도금강판의 핫스탬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063A true KR20180074063A (ko) 2018-07-03

Family

ID=6291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736A KR20180074063A (ko) 2016-12-23 2016-12-23 도금강판의 핫스탬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40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751B1 (ko) 판상 강 제품, 판상 강 제품 제조 방법 및 부품 제조 방법
US10604849B2 (en) Method of producing hot-stamped article
US20120085466A1 (en) Method For Producing A Steel Component By Hot Forming And Steel Component Produced By Hot Forming
KR20160057418A (ko) 부식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는 금속성 코팅이 제공된 강 부품의 제조 방법, 및 강 부품
KR101748921B1 (ko) 용융 Al-Zn 계 도금 강판
US20160215360A1 (en) Method for producing a steel component provided with a metallic coating providing protection against corosion
KR20080058369A (ko) 내식성 강판 제품 제조 방법
KR0148116B1 (ko) 유도 갈바닐화 전착 강철 스트립의 제조방법
CN111434403B (zh) 耐腐蚀热冲压件的制造方法及装置
EP3330016B1 (en) Method for producing hot-pressed member
KR100968620B1 (ko) 고강도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KR101500184B1 (ko) 내식성이 향상된 열간 프레스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JP6414387B2 (ja) 自動車部材の製造方法
KR20150123860A (ko) 프레스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74063A (ko) 도금강판의 핫스탬핑 방법
JPH01240675A (ja) Al製自動車ボデーパネルの表面処理方法
JP2005256108A (ja) 溶融亜鉛系めっき鋼材の製造方法
US11613791B2 (en) Method for coating steel sheets or steel strips and method for producing press-hardened components therefrom
CN115485415A (zh) 一种生产具有防腐蚀锌处理层的硬化钢构件的方法
CN111587298A (zh) 具有优异的表面外观的热轧热浸镀锌钢板及其制造方法
CN115279944B (zh) 制备具有锌合金防腐蚀层的硬化钢组件的方法
JP4226063B1 (ja) 溶融亜鉛めっき処理品の生産方法
JP2024522002A (ja) 溶接・熱圧しやすい高耐食性部材の熱浴成形プロセス
JP2016176101A (ja) プレス成形用表面処理鋼板およびプレス成形品
JPH042758A (ja) プレス成形性及び塗装耐食性に優れた溶融系合金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