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979A - 창호용 방풍부재 - Google Patents

창호용 방풍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979A
KR20180073979A KR1020160177579A KR20160177579A KR20180073979A KR 20180073979 A KR20180073979 A KR 20180073979A KR 1020160177579 A KR1020160177579 A KR 1020160177579A KR 20160177579 A KR20160177579 A KR 20160177579A KR 20180073979 A KR20180073979 A KR 20180073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blocking
windshiel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5076B1 (ko
Inventor
전재원
Original Assignee
전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원 filed Critical 전재원
Priority to KR1020160177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0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Abstract

본 발명의 창호용 방풍부재는 일정 크기의 판형상으로 수평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에 접착층이 형성된는 수평 고정부와; 수평 고정부의 폭방향 일측 상부에 길이방향의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 지지부와, 수직 지지부에서 폭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며 수직 지지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창호 프레임의 구조변경이 필요 없이 창호 프레임에 접착하는 것만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게 부착 및 설치가 가능하고, 창호 프레임과의 접착면이 창호 프레임의 상부의 수평면에 접착하는 방식으로 하중 등에 의하여 접착면이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창호 프레임의 레일과 창호 사이를 밀폐하여 창호 프레임의 레일과 창문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풍, 소음 및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호용 방풍부재{Windproof member}
본 발명은 창호용 방풍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 프레임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창호 프레임의 레일과 창문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풍, 소음 및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창호용 방풍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 시스템은 건축 구조물에서 건물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하여, 출입구나 창 등의 개구부에 레일을 가진 창호 프레임을 설치하고, 창호 프레임의 레일에 도어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창호는 창호 프레임의 레일 위에 창문이 얹혀져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창문과 레일 간의 틈새를 통해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또는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빠져나가게 됨으로써 실내의 열손실이 발생하고, 소음 및 먼지 등도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창문 또는 창문 프레임 등에 기밀성, 단열성, 방음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모헤어, 고무패킹 등의 기밀부재와, 방풍틀과, 풍지판 등의 방풍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창틀과 창문 사이의 빈 공간을 채움으로서 창호의 단열과 방음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방풍부재들은 창호 프레임을 완전히 교체하여야 하거나, 구조ㅗ가 복잡하고 설치가 어려워 전문 시공 기술자들만이 시공이 가능한 문제점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67259호 "방풍창호 시스템"(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슬라이딩홈(11)(21)이 각각 구비되는 제1창문틀(10) 및 제2창문틀(20)과 상기 제1창문틀(10) 및 제2창문틀(20)의 슬라이딩홈(11)(21)이 각각 끼워지는 제1슬라이딩레일(31) 및 제2슬라이딩레일(32)이 구비되는 창틀(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슬라이딩레일(31)의 일측 외벽면(31a)에는 이 제1슬라이딩레일(31)의 일측 외벽면(31a)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는 제1방풍창호부재(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슬라이딩레일(32)의 양측부에는 제2방풍창호부재(50) 및 제3방풍창호부재(60)가 창틀(30)의 바닥면에 각각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방풍창호부재(40)는, 상기 제1슬라이딩레일(31)의 일측 외벽면(31a)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도록 제1부착층(41)이 구비되는 판형의 몸체(42)와; 상기 판형의 몸체(42) 하부측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창문틀(10)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슬라이딩레일(31)과 제1창문틀(10)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제1차단부(43)와; 상기 제1차단부(4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창문틀(10)의 하부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부(4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창호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제1 창문틀(10)과 창틀(30)의 사이에 제1차단부(4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창문틀(10)의 하부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부(44)를 끼워 넣어야 하는데. 실질적으로 숙련공이 아니면 일반인이 시공하기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1슬라이딩레일(31)의 일측 외벽면(31a)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벽면에 부착되어 하중 및 압력 등에 의하여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67259호 "방풍창호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창호 프레임의 구조변경이 필요 없이 창호 프레임에 접착하는 것만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게 부착 및 설치가 가능하고, 창호 프레임과의 접착면이 창호 프레임의 상부의 수평면에 접착하는 방식으로 하중 등에 의하여 접착면이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창호 프레임의 레일과 창호 사이를 밀폐하여 창호 프레임의 레일과 창문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풍, 소음 및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창호용 방풍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정 크기의 판형상으로 수평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에 접착층이 형성된는 수평 고정부와; 수평 고정부의 폭방향 일측 상부에 길이방향의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 지지부와, 수직 지지부에서 폭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며 수직 지지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차단부;를 포함하여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방풍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차단부는 경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하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의 상부에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이중 사출에 의해 상기 하부 지지부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밀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방풍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평 지지부의 폭방향 타측 단부는 차단부의 외측으로 일정 거리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수직 고정부가 형성되며, 수직 고정부의 외측면에 접착층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방풍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직 지지부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차단부와 까까운 곳의 높이가 낮고 먼 곳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방호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차단부는 일정 거리 이격되거나 하단부가 접하도록 2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방풍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창호용 방풍부재는 구조가 간단하고 창호 프레임의 구조변경이 필요 없이 창호 프레임에 접착하는 것만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게 부착 및 설치가 가능하고, 창호 프레임과의 접착면이 창호 프레임의 상부의 수평면에 접착하는 방식으로 하중 등에 의하여 접착면이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창호 프레임의 레일과 창호 사이를 밀폐하여 창호 프레임의 레일과 창문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풍, 소음 및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창호용 방풍부재가 창호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창호용 방풍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창호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창호용 방풍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창호 프레임의 레일과 창문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풍, 소음 및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창호용 방풍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창호용 방풍부재가 창호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창호용 방풍부재(100)는 전체가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 고정부(110)와, 수평 고정부(110)의 상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는 수직 지지부(120) 및 차단부(130)로 이루어져, ㅛ형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창호 프레임(1)의 레일(11)의 측면에 인접하여 창호 프레임(1)의 상부면에 수평 고정부(110)가 밀착하여 고정되도록 하여 설치된다.
설치시에는 차단부(130)가 레일(11)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수직 지지부(120)는 창호 프레임(1)에서 외측방향을 위치하도록 하여 설치된다.
수평 고정부(110)는 일정 크기의 판형상으로 수평으로 형성되며 창호 프레임(1)의 길이 및 폭에 따라 그 크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평 고정부(110)의 하단부에는 미리 접착층(111)이 형성되도록 하여 수평 고정부(110)가 창호 프레임(1)에 용이하게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접착층(111)은 공지의 다양한 접착제 등으로 층을 이루어 형성하고 이형지를 추가 구성하여 이형지만을 떼어내고 용이하게 접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 지지부(120)는 수평 고정부(110)의 폭방향 일측 상부에 길이방향의 수직으로 형성되고, 경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단부(130)는 수직 지지부(120)에서 폭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단부가 수직 지지부(12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창호용 방풍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창호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창호용 방풍부재(100)는 도 3에서와 같이, 창호 프레임(1)의 상부면에 레일(11)의 전 길이에 걸쳐 수평 고정부(110)가 접착되어 고정되며, 창문(2)이 레일(11)을 따라 이동시에 창문(2)의 하단부가차단부(130)를 외측으로 젖혀지도록 한 상태에서 레일(11)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차단부(130)가 창문(2)의 하단부 또는 모서리부, 층면부 등에 밀착이되어 이동이 되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가 레일(11)과 창문(2)의 사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차단부(130)는 경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하부 지지부(131)와 하부 지지부(131)의 상부에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이중 사출에 의해 상기 하부 지지부(131)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밀폐부(132)로 구성되도록 하여, 하부 지지부(131)가 위치를 잡아 고정해주고, 밀폐부(132)가 창문(2)과 레일(11)의 간격에 따라 유동적으로 창문(2)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밀폐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수직 지지부(120)는 차단부(130)가 창문(2)이 이동시에 수직 지지부(120)의 방향으로 젖혀질 때, 수직 지지부(120)의 높이 이하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하게 창문(2)에 차단부(130)가 가압하여 밀착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수직 지지부(120)의 높이는 차단부(13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며, 레일(11)의 형태나 높이 등에 따라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각 레일(11) 마다 창호용 방풍부재(100)를 레일(11)의 실외측면에 인접하도록 하여 고정하여 창문(2)이 레일(11)을 따라 이동시에 차단부(130)가 실외측으로 젖혀지도록 하여 실외측에서 유입되는 공기, 소음등을 차단하도록 한다. 특히, 레일(11)이 설치된 곳마다 레일(11)의 전 길이에 걸쳐 설치되도록 하여, 소음 및 외기가 완벽하게 차달 될 수 있도록 한다.
설치시에는 차단부(130)가 레일(11)에 인접하도록 수평 고정부(110)가 창호 프레임(1)의 상부의 수평면에 접착하는 방식으로 하중 등에 의하여 접착면이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수직 지지부(120)는 창호 프레임(1)에서 외측방향을 위치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차단부(130)가 실외측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실외에서 실내방향으로 향하는 외기의 압력으로 젖혀진 차단부(130)가 실내측으로 가압하도록 하여 차단부(130)에 의하여 수평 고정부(110)의 접착층(111)이 창호 프레임(1)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접착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차단부(130)는 실외측으로 젖혀지는 것을 수직 지지부(120)가 지지하면서 실외의 외기가 차단부(130)를 실내측으로 가압하도록 하여 차단부(130)의 균형을 잡아주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창호용 방풍부재(100)는 별도의 고정수단이나 설계변경 등이 필요하지 않고 단순히 수평 고정부(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접착층(111)을 이용하여 창호 프레임(1)에 아주 쉽게 접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숙련공 등의 기술자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일반 사용자가 용이하게 창호 프레임(1)에 설치가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창호용 방풍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창호용 방풍부재(100)는 수평 고정부(110)의 상부에 폭방향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도록하여 차단부(130)가 창호 프레임(1)의 레일(11)의 모서리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수직 지지부(120)의 외측으로 수평 고정부(110)가 더 돌출하여 형성되도록 하여, 차단부(130)가 젖혀져 수직 지지부(120)를 가압하더라도 폭방향 일측 단부의 더 돌출된 길이(d) 만큼이 지지력을 확보하여 창호 프레임(1)에 접착된 수평 고정부(110)의 타측 단부가 접착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서와 같이, 수평 지지부(110)의 폭방향 타측 단부는 차단부(130)의 외측으로 일정 거리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 4c에서와 같이, 타측 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수직 고정부(140)가 형성되도록 하고, 수직 고정부(140)의 외측면에 접착층(111)이 연장되도록 하여, 레일(11)의 모서리에 밀착하여 안정적이 고정 및 접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d에서와 같이, 수직 지지부(120)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의 수직 지지부(120a)(120b)로 이루어지며, 차단부(130)와 까까운 곳의 수직 지지부(120b)의 높이가 낮고 먼 곳의 수직 지지부(120a)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 차단부(130)가 수직 지지부(120) 방향으로 젖혀질 때, 차례로 차단부(130)를 지지하도록 하여 차단부(130)가 창문(2)에 완전히 밀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e에서와 같이, 차단부(130)는 2개 또는 그 이상이 형성되도록 하여 2중으로 밀폐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2개 또는 그 이상의 차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하부 지지부(131)의 상부에 2개의 밀폐부(132)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4f에서와 같이, 차단부(130)가 일정 거리 이격되거나 하단부가 접하도록 하여 2개 이상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창호용 방풍부재는 구조가 간단하고 창호 프레임의 구조변경이 필요 없이 창호 프레임에 접착하는 것만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게 부착 및 설치가 가능하고, 창호 프레임과의 접착면이 창호 프레임의 상부의 수평면에 접착하는 방식으로 하중 등에 의하여 접착면이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창호 프레임의 레일과 창호 사이를 밀폐하여 창호 프레임의 레일과 창문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풍, 소음 및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창호 프레임
11 : 레일
2 : 창문
100 : 창호용 방풍부재
110 : 수평 고정부
120 : 수직 지지부
130 : 차단부
131 : 하부 지지부
132 : 밀폐부
140 : 수직 고정부

Claims (5)

  1. 일정 크기의 판형상으로 수평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에 접착층(111)이 형성된는 수평 고정부(110)와;
    수평 고정부(110)의 폭방향 일측 상부에 길이방향의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 지지부(120)와,
    수직 지지부(120)에서 폭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며 수직 지지부(12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차단부(130);를 포함하여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방풍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단부(130)는 경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하부 지지부(131)와 하부 지지부(131)의 상부에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이중 사출에 의해 상기 하부 지지부(131)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밀폐부(1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방풍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수평 지지부(110)의 폭방향 타측 단부는 차단부(130)의 외측으로 일정 거리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수직 고정부(140)가 형성되며,
    수직 고정부(140)의 외측면에 접착층(111)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방풍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직 지지부(120)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차단부(130)와 까까운 곳의 높이가 낮고 먼 곳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방호부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단부(130)는 일정 거리 이격되거나 하단부가 접하도록 2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방풍부재.
KR1020160177579A 2016-12-23 2016-12-23 창호용 방풍부재 KR101955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579A KR101955076B1 (ko) 2016-12-23 2016-12-23 창호용 방풍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579A KR101955076B1 (ko) 2016-12-23 2016-12-23 창호용 방풍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979A true KR20180073979A (ko) 2018-07-03
KR101955076B1 KR101955076B1 (ko) 2019-03-06

Family

ID=6291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579A KR101955076B1 (ko) 2016-12-23 2016-12-23 창호용 방풍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0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285Y1 (ko) * 2017-09-12 2019-01-08 정영선 창호용 개량 방풍 방음체
KR20200116330A (ko) 2019-04-01 2020-10-12 합자회사 대동엘로이샷시 방풍 및 단열 성능이 뛰어난 창호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651A (ko) * 2005-06-13 2006-12-18 이학철 문풍지
KR20090010116U (ko) * 2008-04-02 2009-10-07 정종희 구조개선된 방음 및 기밀 방지용 창호용 개스킷
KR101567259B1 (ko) 2014-11-27 2015-11-06 정영선 방풍창호시스템
KR20160104199A (ko) * 2015-02-26 2016-09-05 강민성 창호용 방수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651A (ko) * 2005-06-13 2006-12-18 이학철 문풍지
KR20090010116U (ko) * 2008-04-02 2009-10-07 정종희 구조개선된 방음 및 기밀 방지용 창호용 개스킷
KR101567259B1 (ko) 2014-11-27 2015-11-06 정영선 방풍창호시스템
KR20160104199A (ko) * 2015-02-26 2016-09-05 강민성 창호용 방수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285Y1 (ko) * 2017-09-12 2019-01-08 정영선 창호용 개량 방풍 방음체
KR20200116330A (ko) 2019-04-01 2020-10-12 합자회사 대동엘로이샷시 방풍 및 단열 성능이 뛰어난 창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076B1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06889A3 (en) Panel seal for an air handling unit
JP2016169502A (ja) 止水部材及び外壁構造
KR101955076B1 (ko) 창호용 방풍부재
KR101400318B1 (ko) 창호 시스템
KR101853784B1 (ko) 기밀성 향상 스토퍼가 구비된 창호 시스템
KR101666794B1 (ko) 기능성 밀폐재
JP4495131B2 (ja) サッシ窓
KR20190071306A (ko) 창호 시스템
JP2021167569A (ja) 複合建具
KR101446096B1 (ko) 레일 커버링 고기밀성 창호
KR200345035Y1 (ko)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 유지용 피스
KR101435650B1 (ko) 창호의 수평 밀착식 기밀장치
JP5264809B2 (ja) 改修サッシ
KR20170055191A (ko)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차폐구조
KR100951443B1 (ko) 창문
KR102153576B1 (ko) 유리 고정이 용이한 복합 소재 창짝프레임
KR102307629B1 (ko) 시스템 미닫이 창호
KR20190110665A (ko) 내진성능과 고기밀성능을 가진 창문
JP4586006B2 (ja) サッシ窓
CN211173727U (zh) 一种推拉玻璃窗扇型材结构
JP2005320740A (ja) サッシ窓
KR20170095760A (ko) 창호의 상하 승강식 풍지판 장치
JP4977098B2 (ja) 浴室ユニットと窓との接続部における止水構造
JP2018071058A (ja) サッシ廻りの気密構造
JP6652435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