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064A - 콘택트렌즈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064A
KR20180073064A KR1020160176497A KR20160176497A KR20180073064A KR 20180073064 A KR20180073064 A KR 20180073064A KR 1020160176497 A KR1020160176497 A KR 1020160176497A KR 20160176497 A KR20160176497 A KR 20160176497A KR 20180073064 A KR20180073064 A KR 20180073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ntact lens
pin
pick
d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8392B1 (ko
Inventor
천성철
Original Assignee
뉴바이오 (주)
천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바이오 (주), 천성철 filed Critical 뉴바이오 (주)
Priority to KR1020160176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39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택트렌즈를 성형하고 포장하는 제조공정에서 콘택트렌즈를 먼저 수용된 트레이에서 픽업(pick up)하여 다른 트레이로 드롭오프(drop off)시켜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이송장치는, 양측에 지지다리가 형성된 수평레일(100); 상기 수평레일(100) 상에서 구동수단(M)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게 설치된 수평이동몸체(200); 상기 수평이동몸체(200)에 설치되어 콘택트렌즈(C)를 픽업(pick up) 및 드롭오프(drop off)동작 시키도록 이루어진 렌즈픽업부(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렌즈픽업부(300)는 상기 수평이동몸체(220)의 전면에 제1실린더(S1)에 의해 상하 이동되게 설치되고 전면 하단부에 턱(311)이 형성된 제1몸체(310)와, 상기 제1몸체(310)의 전면에 상하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상단에 전방으로 돌출형성 된 고정판(321)을 갖는 제2몸체(320)와, 상기 제2몸체(320)의 전면에 제2실린더(S2)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공(331)이 형성된 제3몸체(330)와, 상기 관통공(331)에 끼워지며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핀관통공(341)이 형성되고 상단에 걸림턱(342)이 형성되어 그 걸림턱(342)이 상기 관통공(331)에 상단이 걸려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된 렌즈픽업봉(340)과, 상기 핀관통공(341)에 끼워지며 상단이 상기 고정판(321)에 고정되는 드롭오프핀(350)으로 구성되고, 상기 드롭오프핀(350)이 끼워진 렌즈픽업봉(340)의 하단에 콘택트렌즈가(C)가 부착된 경우, 상기 제2실린더(S2)의 작동으로 제3몸체(330)와 렌즈픽업봉(340)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드롭오프핀(350)의 하단부가 상기 핀관통공(341)으로 부터 인출되며 상기 렌즈픽업봉(340)에 부착된 콘택트렌즈(C)가 드롭오프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택트렌즈 이송장치{A transfer apparatus for contact-lens}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택트렌즈를 성형하고 자동화 검사 및 포장하는 제조공정에서 콘택트렌즈를 먼저 수용된 트레이에서 픽업(pick up)하여 다른 트레이로 드롭오프(drop off)시켜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력이 약화되어 물체나 문자 등을 잘 인식할 수 없게 되면 안경을 착용하게 되며, 이러한 안경은 유리나 플라스틱 재질의 렌즈와 그 렌즈가 고정되는 안경테로 구성된다.
그러나 안경을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안면 부위와 접촉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착용해야 하므로 일살 생활에 불편함이 동반되며, 강하지 않은 충격에도 파손되는 경우가 잦고 렌즈의 파손으로 인해 안구 및 안면에 상처를 입기도 했다.
특히, 운동과 같은 격렬한 동작을 할 경우에는 안경이 벗겨지거나, 파손으로 인해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아 불편함을 호소해 왔으며, 이러한 안경을 착용함으로써 발생되는 불편함을 느끼는 사용자가 많았다.
따라서, 눈의 전면, 주로 각막에 장착하여 시력을 교정하고 눈의 치료에 도움을 주며 미용 등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렌즈인 콘택트렌즈가 1888년 최초로 개발되었으며, 1930년대부터 유리 대신 PMMA 플라스틱 재질의 콘택트렌즈가 사용되었고, 1940년대 각막 콘택트렌즈의 개발로 사용이 증가하였다.
1970년대에 들어 하이드로겔 재질의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FDA 승인을 받으면서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였고 1990년대에는 산소투과성을 높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가 시판되어 연속착용 및 일일착용 렌즈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콘택트렌즈의 제조공정은 크게 숫형몰드와 암형몰드와 같은 몰드를 사용한 콘택트렌즈를 성형하는 성형공정과, 성형이 완료된 콘택트렌즈를 검사하는 자동화 검사공정과, 검사가 완료된 콘택트렌즈를 팩키징(packaging)하는 포장공정으로 나뉘며, 상기 성형공정과 포장공정에서는 하나의 트레이에서 다른 트레이로, 또는 하나의 트레이에서 포장용기로 콘택트렌즈를 이송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상기와 같은 콘택트렌즈의 제조공정에서 콘택트렌즈를 이송하는 작업은 기계장치가 아닌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핀셋(pincette)을 사용하여 렌즈를 직접 옮기고 있다.
상기와 같이 콘택트렌즈를 이송하는 작업에 사용되는 핀셋의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0028078호(2009.03.18, 의료용 핀셋)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일측으로는 손잡이부를 구성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으로는 파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파지부의 하측으로는 결합홈부를 형성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결합홈부에 결합하는 결합턱부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집게를 형성한 집게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직접 콘택트렌즈의 이송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속도가 느리고 많은 인건비 지출로 인해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핀셋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콘택트렌즈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콘택트렌즈가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개공보 제 0028078호(2009.03.18, 의료용 핀셋)
본 발명의 목적은 콘택트렌즈를 성형하고 자동화 검사 및 포장하는 제조공정에서 콘택트렌즈를 수용된 트레이에서 다른 트레이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콘택트렌즈에 손상을 방지하며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업하지 않고 자동화시킬 수 있는 콘택트렌즈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이송장치는, 양측에 지지다리가 형성된 수평레일(100); 상기 수평레일(100) 상에서 구동수단(M)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게 설치된 수평이동몸체(200); 상기 수평이동몸체(200)에 설치되어 콘택트렌즈(C)를 픽업(pick up) 및 드롭오프(drop off)동작 시키도록 이루어진 렌즈픽업부(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렌즈픽업부(300)는 상기 수평이동몸체(220)의 전면에 제1실린더(S1)에 의해 상하 이동되게 설치되고 전면 하단부에 턱(311)이 형성된 제1몸체(310)와, 상기 제1몸체(310)의 전면에 상하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상단에 전방으로 돌출형성 된 고정판(321)을 갖는 제2몸체(320)와, 상기 제2몸체(320)의 전면에 제2실린더(S2)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공(331)이 형성된 제3몸체(330)와, 상기 관통공(331)에 끼워지며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핀관통공(341)이 형성되고 상단에 걸림턱(342)이 형성되어 그 걸림턱(342)이 상기 관통공(331)에 상단이 걸려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된 렌즈픽업봉(340)과, 상기 핀관통공(341)에 끼워지며 상단이 상기 고정판(321)에 고정되는 드롭오프핀(350)으로 구성되고, 상기 드롭오프핀(350)이 끼워진 렌즈픽업봉(340)의 하단에 콘택트렌즈가(C)가 부착된 경우, 상기 제2실린더(S2)의 작동으로 제3몸체(330)와 렌즈픽업봉(340)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드롭오프핀(350)의 하단부가 상기 핀관통공(341)으로 부터 인출되며 상기 렌즈픽업봉(340)에 부착된 콘택트렌즈(C)가 드롭오프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콘택트렌즈 이송장치에 따르면, 콘택트렌즈를 성형하고 자동화 검사 및 포장하는 제조공정에서 콘택트렌즈를 수용된 트레이에서 다른 트레이로 이송시키는 과정을 수평레일부 상에서 구동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수평이동몸체에 형성된 렌즈픽업부에 의해 자동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1b는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이송장치의 렌즈픽업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이송장치의 렌즈픽업부를 분리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이송장치를 사용하여 콘택트렌즈를 픽업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이송장치를 사용하여 픽업된 콘택트렌즈를 드롭오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공정은 크게 성형공정과, 자동화 검사공정과, 포장공정으로 나뉘고, 상기 성형공정과 자동화 검사공정과 포장공정에서는 성형이 완료된 콘택트렌즈(C)를 성형몰드에서 트레이로 이송하거나 하나의 트레이에서 다른 트레이로 또는 포장용기로 콘택트렌즈를 이송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콘택트렌즈를 이송하는 데 있어서 작업자에 의해 수동작업하지 않고 기계장치에 의해 자동화된 콘택트렌즈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이송장치는 수평레일부(100), 수평이동몸체(200), 렌즈픽업부(30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수평레일(100)은 콘택트렌즈(C)가 성형되는 몰드를 포함하는 렌즈성형장치(미도시) 및 렌즈포장장치(미도시) 등의 콘택트렌즈(C)를 제조하기 위한 각종 장치를 지지하는 테이블(T)의 상부에 설치되며 양측에는 그 테이블(T)에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다리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수평이동몸체(200)가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이동몸체(200)는 상기 수평레일(100) 상에서 구동수단(M)에 의해 그 수평레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왕복이동 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이동몸체(200)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M)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레일(100)의 일측에 순방향과 역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는 정역모터를 설치하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수평레일(100)의 내부에 상기 정역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벨트를 설치한 뒤 그 벨트의 작동에 따라 수평이동몸체(20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벨트를 대신하여 상기 수평레일(100)의 내부에 회전스크류를 설치하고 그 회전스크류에 끼워져 상기 정역모터가 순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는 이동브라켓을 설치하여 그 이동브라켓에 상기 수평이동몸체(200)를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M)을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리니어모터(linear motor)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렌즈픽업부(300)는 상기 수평이동몸체(200)에 설치되어 콘택트렌즈(C)를 픽업(pick up) 및 드롭오프(drop off)동작 시킬 수 있게 설치된 것으로 그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렌즈픽업부(300)는 상기 수평이동몸체(220)의 전면에 제1실린더(S1)에 의해 상하 이동되게 설치되고 전면 하단부에 턱(311)이 형성된 제1몸체(310)와, 상기 제1몸체(310)의 전면에 상하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상단에 전방으로 돌출형성 된 고정판(321)을 갖도록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제1몸체(310)의 턱(311)에 걸려 안착되는 제2몸체(320)와, 상기 제2몸체(320)의 전면에 제2실린더(S2)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공(331)이 형성된 제3몸체(330)와, 상기 관통공(331)에 끼워지며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핀관통공(341)이 형성되고 상단에 걸림턱(342)이 형성되어 그 걸림턱(342)이 상기 관통공(331)에 상단이 걸려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렌즈픽업봉(340)과, 상기 핀관통공(341)에 끼워지며 상단이 상기 고정판(321)에 고정되는 드롭오프핀(350)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몸체(310)와 제2몸체(320) 및 제3몸체(33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슬라이딩 구조에 널리 사용되는 가이드레일(LM1)과 그 가이드레일에(LM1)에 끼워지는 레일브라켓(LM2)으로 구성된 LM가이드(직선운동가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제1몸체(310)와 제2몸체(320) 및 제3몸체(33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아울러, 도면상에 도시된 상기 제1몸체(310)와 수평이동몸체(120)에 설치된 LM가이드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제1실린더(S1)의 로드(S1a)만으로 제1몸체(310)가 고정되면 상하 이동시 좌·우 양측으로 유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S1)는 상기 수평이동몸체(220)의 상부 또는 다른 일측에 설치되고 그 제1실린더(S1)로부터 인출되는 로드(S1a)가 상기 제1몸체(310)의 일측에 연결되어 그 제1몸체(31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제1실린더(S1)는 다양한 실린더 중 어떠한 실린더를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실린더를 이루는 구성의 부피와 작동의 편의성을 위해 에어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실린더(S2)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되는 제3몸체(330)가 설정값을 넘어 하방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몸체(320)의 하단에도 턱(32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실린더(S2)는 상기 제1실린더(S1)와 마찬가지로 에어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S2a)가 상방으로 인출되고 그 로드(S2a)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3몸체(330)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로드(S2a)와 제3몸체(330)를 상호 연결하는 브라켓(S2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브라켓(S2b)이 필수적은 구성은 아니며 상기 로드(S2a)를 절곡 형성하여 그 절곡된 로드(S2a)의 끝단부와 상기 제3몸체(330)를 직접 연결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픽업봉(340)의 직경은 콘택트렌즈(C)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그 렌즈픽업봉(340)이 하강하여 콘택트렌즈(C)를 가압하였을 때 가압된 콘택트렌즈(C)가 상기 렌즈픽업봉(340)의 하면에 압착될 수 있도록 형성해야 하며 상기 렌즈픽업봉(340)의 하부형상은 콘택트렌즈(C)에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만한 호형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331)의 직경은 상기 렌즈픽업봉(340)이 자유롭게 승하강 동작할 수 있도록 그 렌즈픽업봉(340)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렌즈픽업봉(340)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342)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드롭오프핀(350)은 상단이 상기 고정판(321)에 고정되어 있어야 하며 그 고정하는 방법은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볼트 또는 피스를 사용하여 고정하거나 용접이 가능한 재질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용접하여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핀관통공(341)은 상기 드롭오프핀(350)이 억지끼움 되지 않도록 직경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판(321)과 상기 렌즈픽업봉(340)의 사이공간에는 그 렌즈픽업봉(340)의 걸림턱(342)이 상기 관통공(331)에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밀어주는 탄성스프링(360)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탄성스프링(360)이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드롭오프핀(350)의 상단을 상기 고정판(321)에 접착제, 볼트, 피스 등을 사용하여 고정하지 않더라도, 그 드롭오프핀(350)의 상단에 턱이 형성하고 그 드롭오프핀의 턱의 하부에 상기 탄성스프링(360)의 상단이 맞닿게 설치하면 상기 탄성스프링(360)의 상단이 상기 드롭오프핀의 턱을 상부로 밀어 상기 드롭오프핀(350)의 상단이 고정판(321)에 항시 맞닿아 있게 된다.
아울러, 다수개의 콘택트렌즈(C)를 동시에 이송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상기 수평이동몸체(200)에 다수개의 렌즈픽업부(30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다수개 설치된 렌즈픽업부(300)는 동시에 같은 동작을 실행하거나 각각 개별로 동작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콘텍트렌즈 이송장치를 제어하는 수단은 그 콘텍트렌즈 이송장치만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아닌 콘택트렌즈 제조공정 전체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콘택트렌즈 이송장치를 사용한 콘택트렌즈(C)의 이송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콘택트렌즈가 담겨있는 트레이의 상부에 수평이동몸체를 위치되게 이동시킨다.
다음, 상기 렌즈픽업부 전체를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렌즈픽업봉이 콘택트렌즈에 닿을 때까지 제1실린더의 로드를 인출시킨다.
이때,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1몸체 상에 슬라이딩 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렌즈픽업봉이 콘택트렌즈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가 하방으로 더 진행한다고 하더라도 그 제2몸체는 제1몸체와 함께 하방으로 내려가려는 힘이 전달되지 않으며, 상기 제3몸체 역시 상기 제2몸체 상에 슬라이딩 되게 설치되어 있고 또 상기 렌즈픽업봉은 상기 제3몸체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렌즈픽업부의 전체 하중이 콘택트렌즈에 전달되지 않고 오롯이 렌즈픽업봉의 하중만으로 콘택트렌즈를 가압하여 픽업할 수 있어, 콘택트렌즈를 가압하여 픽업하는 과정에서 콘택트렌즈에 손상을 방지하며 픽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렌즈픽업봉이 콘택트렌즈를 가압하여 픽업하는 과정에서 그 콘택트렌즈가 픽업되지 않았음에도 상방으로 밀려나려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을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콘택트랜즈가 렌즈픽업봉에 가압된 후에는, 콘택트렌즈를 이송시킬 트레이의 상부로 수평이동몸체를 위치되게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2실린더의 로드를 인출시켜 상기 제3몸체를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시키면 상기 고정판에 상단이 지지된 드롭오프핀의 하단부가 상기 렌즈픽업봉으로부터 인출되며, 따라서 그 드롭오프핀이 렌즈픽업봉에 의해 픽업되어 있던 콘탠트렌즈를 밀어내는 역할을 하게 되어 렌즈픽업봉으로부터 콘택트렌즈를 이탈시켜 하방으로 떨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콘택트렌즈 이송장치에 따르면, 콘택트렌즈를 성형하고 포장하는 제조공정에서 콘택트렌즈를 수용된 트레이에서 다른 트레이로 이송시키는 과정을 자동화시키면서도 이송되는 콘텐트렌즈에 흠집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수평레일 200 : 수평이동몸체
300 : 렌즈픽업부 310 : 제1몸체
320 : 제2몸체 330 : 제3몸체
340 : 렌즈픽업봉 350 : 드롭오프핀
360 : 탄성스프링

Claims (2)

  1. 양측에 지지다리가 형성된 수평레일(100);
    상기 수평레일(100) 상에서 구동수단(M)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게 설치된 수평이동몸체(200);
    상기 수평이동몸체(200)에 설치되어 콘택트렌즈(C)를 픽업(pick up) 및 드롭오프(drop off)동작 시키도록 이루어진 렌즈픽업부(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렌즈픽업부(300)는 상기 수평이동몸체(220)의 전면에 제1실린더(S1)에 의해 상하 이동되게 설치되고 전면 하단부에 턱(311)이 형성된 제1몸체(310)와, 상기 제1몸체(310)의 전면에 상하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상단에 전방으로 돌출형성 된 고정판(321)을 갖는 제2몸체(320)와, 상기 제2몸체(320)의 전면에 제2실린더(S2)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공(331)이 형성된 제3몸체(330)와, 상기 관통공(331)에 끼워지며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핀관통공(341)이 형성되고 상단에 걸림턱(342)이 형성되어 그 걸림턱(342)이 상기 관통공(331)에 상단이 걸려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된 렌즈픽업봉(340)과, 상기 핀관통공(341)에 끼워지며 상단이 상기 고정판(321)에 고정되는 드롭오프핀(350)으로 구성되고,
    상기 드롭오프핀(350)이 끼워진 렌즈픽업봉(340)의 하단에 콘택트렌즈가(C)가 부착된 경우,
    상기 제2실린더(S2)의 작동으로 제3몸체(330)와 렌즈픽업봉(340)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드롭오프핀(350)의 하단부가 상기 핀관통공(341)으로 부터 인출되며 상기 렌즈픽업봉(340)에 부착된 콘택트렌즈(C)가 드롭오프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321)과 상기 렌즈픽업봉(340)의 사이공간에는 그 렌즈픽업봉(340)을 하방으로 밀어주는 탄성스프링(36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이송장치.
KR1020160176497A 2016-12-22 2016-12-22 콘택트렌즈 이송장치 KR101938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497A KR101938392B1 (ko) 2016-12-22 2016-12-22 콘택트렌즈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497A KR101938392B1 (ko) 2016-12-22 2016-12-22 콘택트렌즈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064A true KR20180073064A (ko) 2018-07-02
KR101938392B1 KR101938392B1 (ko) 2019-01-14

Family

ID=62914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497A KR101938392B1 (ko) 2016-12-22 2016-12-22 콘택트렌즈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3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781A (ko)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인터로조 콘택트렌즈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방법
KR20200031814A (ko) * 2018-09-17 2020-03-25 뉴바이오 (주) 콘택트렌즈 자동화 비젼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6000A (en) * 1994-06-10 1997-05-06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Packaging arrangement
KR101357533B1 (ko) * 2013-03-05 2014-01-29 주식회사 백산사 콘택트렌즈 하부몰드 위치조정 지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781A (ko)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인터로조 콘택트렌즈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방법
KR20200031814A (ko) * 2018-09-17 2020-03-25 뉴바이오 (주) 콘택트렌즈 자동화 비젼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392B1 (ko) 201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046705U (zh) 电子产品用自动锁夹支架
CN211318238U (zh) 一种手机导光板缺陷视觉自动识别设备
KR101938392B1 (ko) 콘택트렌즈 이송장치
CN103737546A (zh) 一种光分路器拉丁扣压装工具
CN105499434B (zh) 剪切和成型管脚一步到位夹具
KR101574413B1 (ko) 사출금형의 인서트 자동 삽입장치
CN203901206U (zh) 一种光分路器拉丁扣压装工具
CN107696393B (zh) 手机钢片自动塑化系统
CN203618281U (zh) 电子元器件管脚折弯成型设备
CN212947805U (zh) 一种基于3d视觉的机器人无序上料用机械臂的调节机构
CN208367354U (zh) 一种平滑升降镜架
CN211415163U (zh) 一种注塑加工用机械手
CN210702224U (zh) 一种眼镜的眼镜腿自动折弯机
CN210871513U (zh) 一种验光镜片插片
CN205674248U (zh) 一种微型光学镜片剪切的高效装置
CN112757219A (zh) 一种vr头盔制造用精密零件装配设备
CN220373103U (zh) 便于调节位置的位置固定装置
CN108594465A (zh) 一种平滑升降镜架
CN216037317U (zh) 一种玻璃取放夹具
CN213054321U (zh) 一种医疗零件的夹持模具
KR101870081B1 (ko) 몰드 파지장치
CN107009587B (zh) 一种拖鞋注塑自动脱模机构
CN219370147U (zh) 一种防掉眼镜
CN211337886U (zh) 镜框取料装置、镜框传送机器人和镜框加工设备
CN219026289U (zh) 一种隐形牙套自动切割研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