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324A -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 Google Patents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324A
KR20180072324A KR1020160175775A KR20160175775A KR20180072324A KR 20180072324 A KR20180072324 A KR 20180072324A KR 1020160175775 A KR1020160175775 A KR 1020160175775A KR 20160175775 A KR20160175775 A KR 20160175775A KR 20180072324 A KR20180072324 A KR 20180072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magnet
sensor
sensing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325B1 (ko
Inventor
김남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175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325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11043388.XA priority patent/CN113839591B/zh
Priority to EP21181099.9A priority patent/EP3907476A1/en
Priority to CN201780054083.4A priority patent/CN109690920B/zh
Priority to CN202010157812.2A priority patent/CN111355345B/zh
Priority to CN202111044832.XA priority patent/CN113726100B/zh
Priority to JP2019512233A priority patent/JP7110176B2/ja
Priority to EP17847066.2A priority patent/EP3509198B1/en
Priority to US16/329,620 priority patent/US10903731B2/en
Priority to PCT/KR2017/009704 priority patent/WO2018044141A1/ko
Publication of KR2018007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324A/ko
Priority to US17/121,134 priority patent/US11437899B2/en
Priority to JP2022116665A priority patent/JP7357122B2/ja
Priority to US17/816,131 priority patent/US11606014B2/en
Priority to US18/166,098 priority patent/US1186303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H02K29/08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using 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plates, magneto-resis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Brushless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싱 마그넷 및, 상기 센싱 마그넷의 상측에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센싱 마그넷은 메인 마그넷과 서브 마그넷; 상기 기판은 제1 센서부, 제2 센서부 및 제3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는 상기 센싱 마그넷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원형 궤도상에 각각 배치되는 로터 위치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DETECTING DEVICE FOR SENSING THE ROTOR POSITION AND MOTOR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로터와 스테이터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로터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로터에 삽입된 회전축도 회전하게 되어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로터 위치 감지장치로서, 모터의 내측에는 자기소자를 포함하는 센서가 배치된다. 센서는 로터와 회전 연동 가능하게 설치된 센싱 마그넷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로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
일반적으로, 3상 브러시리스(brushless) 모터의 경우, 이러한 센서가 최소 3개가 필요하다. U,V,W상의 정보를 얻는 3개의 센싱시그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3개의 센서 중 하나라도 고장이 나면 로터 위치 감지장치 구동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로터 위치 감지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때, 추가되는 로터 위치 감지장치는 기존의 로터 위치 감지장치가 설치된 영역과 다른 영역에 별물로 설치되어야 한다. 이는 센싱마그넷과 추가되는 로터 위치 감지장치의 센서가 정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로터 위치 감지장치는 추가되는 센서의 배치 및 기판의 설계가 복잡하며, 공간상 제약이 큰 문제가 있다.
이에,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 구조 없이 기존 기판 상에서 2채널을 구비한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센싱 마그넷 및 상기 센싱 마그넷의 상측에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센싱 마그넷은 메인 마그넷과 서브 마그넷과, 상기 기판은 제1 센서부, 제2 센서부 및 제3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는 상기 센싱 마그넷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원형 궤도상에 각각 배치되는 로터 위치 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센싱 마그넷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서브 마그넷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는 상기 센싱 마그넷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마그넷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센서부는 복수 개의 제2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부는 복수 개의 제3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홀센서와 상기 제3 홀센서는 상기 센싱 마그넷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정렬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센서부와 상기 제3 센서부는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센서부는 4개의 제1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3개의 제2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부는 3개의 제3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센서부와 상기 제2 센서부와 상기 제3 센서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 중 어느 하나가 고장으로 판단되면 다른 하나의 센싱시그널에 기초하여 로터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와 및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로터 상측에 배치되는 로터 위치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 위치 감지 장치는, 센싱 마그넷 및, 상기 센싱 마그넷의 상측에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센싱 마그넷은 메인 마그넷과 서브 마그넷과, 상기 기판은 제1 센서부, 제2 센서부 및 제3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는 상기 센싱 마그넷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원형 궤도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터는 로터코어 및 상기 로터코어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터코어와 상기 마그넷을 수용하는 캔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은 상기 로터코어의 외주면에 1단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마그넷은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센싱 마그넷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서브 마그넷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는 상기 센싱 마그넷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마그넷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센서부는 복수 개의 제2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부는 복수 개의 제3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홀센서와 상기 제3 홀센서는 상기 센싱 마그넷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정렬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센서부와 상기 제3 센서부는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센서부는 4개의 제1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3개의 제2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부는 3개의 제3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PCB에 병렬로 센서들을 추가하고, 센싱마그넷을 확장하여, 별도의 추가 구조 없이 기존 PCB 상에서 2채널의 센싱 구성을 구현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개념도,
도 2는 센싱 마그넷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메인 마그넷의 확장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센싱시그널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로터 위치 감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와 제3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센싱 마그넷의 원주 방향으로 정렬 배치되는 제2 센서부와 제3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회전축(100)과, 로터(200)와, 스테이터(300)와, 로터 위치 감지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00)은 로터(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전류 공급을 통해 로터(200)와 스테이터(300)에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발생하면 로터(200)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회전축(100)이 회전한다 회전축(100)은 차량의 조향축과 연결되어 조향축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회전축(100)은 베어링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한다.
로터(200)는 로터 코어(210)와, 마그넷(220)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 코어(210)는 원형의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로터 코어(210)의 중심에는 회전축(100)이 결합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로터 코어(210)의 외주면에는 마그넷(220)을 가이드 하는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마그넷(220)은 로터 코어(210)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마그넷(220)은 일정 간격으로 로터 코어(2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로터(200)는 마그넷(220)을 둘러싸서 마그넷(220)이 로터 코어(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며 마그넷(220)이 노출되는 것을 막는 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로터(200)는 원통형의 단일품인 로터 코어(210)와, 로터 코어(210)에 1단으로 배치되는 마그넷(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1단이라 함은, 로터(200)의 외주면에 스큐(skew)가 없도록 마그넷(220)이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의미한다. 따라서, 로터 코어(210)의 종단면과 마그넷(220)의 종단면를 기준할 때, 로터 코어(210)의 높이와 마그넷(220)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높이 방향을 기준하여, 마그넷(220)이 로터 코어(210) 전체를 덮도록 실시될 수 있다.
스테이터(300)는 로터(20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하기 위해 코일이 감길 수 있다. 코일(320)을 감긴 위한 스테이터(300)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스테이터(300)는 복수 개의 티스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코어(310)를 포함할 있다. 스테이터 코어(310)는 환형의 요크 부분이 마련되고, 요크에서 중심방향으로 코일이 감기는 티스가 마련될 수 있다. 티스는 요크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스테이터 코어(310)는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상호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310)는 복수 개의 분할 코어가 상호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로터 위치 감지장치(400)는 센싱 마그넷(410)과 기판(4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5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스테이터(300)와 로터(20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이때, 하우징(500)의 형상이나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나 고온에서도 잘 견딜 수 있는 금속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하우징(500)의 개방된 상부는 커버(600)가 덮는다.
도 2는 센싱 마그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싱 마그넷(410)은 메인 마그넷(411)과, 서브 마그넷(412)과, 센싱 플레이트(413)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마그넷(410)은 로터(200) 위에 배치되어, 로터(200)의 위치를 나타낸다.
센싱 플레이트(413)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센싱 플레이트(413)의 중심에 회전축(100)이 결합한다. 메인 마그넷(411)은 센싱 플레이트(413)의 중앙에 배치된다. 그리고, 서브 마그넷(412)은 메인 마그넷(411)의 외측에 배치되며, 센싱 플레이트(413)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메인 마그넷의 확장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마그넷(411)은 로터(200)의 마그넷(220)과 대응된다. 다시 말해서, 로터(200)의 마그넷(220)의 극수와 메인 마그넷(411)의 극수는 동일하다. 예를 들어, 로터(200)의 마그넷(220)이 6극인 경우, 메인 마그넷(411)도 6극이다. 또한, 로터(200)의 마그넷(220)과 메인 마그넷(411)은 극 분할 영역이 정렬되어 메인 마그넷(411)의 위치가 로터(200)의 마그넷(220)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마그넷(411)은 로터(200)의 초기 위치를 파악하는데 이용된다.
이때, 메인 마그넷(411)은 센싱 마그넷(410)의 중심을 향하여 확장된 확장영역(411a)을 포함할 수 있다. 확장영역(411a)은 제2 센서부(도 5의 422)에 병렬로 추가되는 제3 센서부(도 5의 423)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이다. 한편, 서브 마그넷(412)은 로터(200)의 세부적인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하는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서브 마그넷(412)은 72극일 수 있다.
기판(420)은 센서들이 배치될 수 있다. 센서들은 센싱 마그넷(410)의 회전에 따라 자속 변화를 감지한다. 기판(420)은 센싱 마그넷(4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센싱시그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판(420)에 배치된 센서들은 메인 마그넷(411)의 N극과 S극의 변화를 감지하여 3개의 센싱시그널(T1,T2,T3)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서브 마그넷(412)의 자속을 변화를 감지하여 2개의 센싱시그널(E1,E2)를 감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메인 마그넷(411)은 로터(400)에 결합된 마그넷이 그대로 모사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 마그넷(411)을 기준으로 하는 자속 변화를 감지하여 로터(4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시그널(S1,S2,S3)은 모터의 초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각각 U,V,W상의 정보를 피드백 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로터 위치 감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와 제3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기판(420)은 제1 센서부(421)와, 제2 센서부(422)와, 제3 센서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421)는 센싱 마그넷(410)의 회전에 따라, 서브 마그넷(412)에 의한 자속의 변화를 감지한다. 제2 센서부(422)와, 제3 센서부(423)는 센싱 마그넷(410)의 회전에 따라, 메인 마그넷(411)에 의한 자속의 변화를 감지한다. 기판(421)의 형태는 메인 마그넷(411)과 서브 마그넷(412)의 배열에 대응하여 원호를 그리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부(421)와, 제2 센서부(422)와, 제3 센서부(423)는 각각 센싱 마그넷(41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궤도(O1,O2,O3) 상에 각각 배열될 수 있다. 센싱 마그넷(410)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센서부(421)는 제2 센서부(422)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3 센서부(423)는 제2 센서부(422)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1 센서부(421)는 복수 개의 제1 홀센서(421a)들(예를 들어, 4개의 제1 홀센서)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센서들은 서브 마그넷(412)과 정렬되도록 외측 궤도(O1)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부(422)는 복수 개의 제2 홀센서(422a)(예를 들어, 3개의 제2 홀센서)가 메인 마그넷(411)과 정렬되도록 중간 궤도(O2)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센서부(423)는 복수 개의 제3 홀센서(423a)(예를 들어, 3개의 제3 홀센서)가 메인 마그넷(411)의 확장영역(411a)이 정렬되도록 내측 궤도(O3)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센싱 마그넷의 원주 방향으로 정렬 배치되는 제2 센서부와 제3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도 7을 참조하면, 제2 센서부(422)의 제2 홀센서(422a)와 제3 센서부(423)의 제3 홀센서(423a)는 센싱 마그넷(410)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정렬 배치된다. 제2 홀센서(422a)와 제3 홀센서(423a)는 서로 상이한 원형 궤도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 홀센서(422a)와 제3 홀센서(423a)는 센싱 마그넷(410)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제3 홀센서(423a)가 추가됨에 따라 기판(420)을 확장하거나 별도의 기판(420)을 설치하여 케이블로 연결할 필요가 없다. 즉, 센싱 마그넷(410)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기존의 기판(420)의 내측에 제3 센서부(423)의 실장 영역을 확보하여, 2채널의 센싱 구조를 구현하면서도 설치 공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이에 대응하여 메인 마그넷(411)은 센싱 마그넷(410)의 중심을 향하여 확장된 확장영역(411a)을 포함한다.
제2 센서부(422)와 제3 센서부(423)는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잇다. 따라서, 제2 센서부(422)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3 센서부(423)에서 센싱 시그널을 검출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회전축
200: 로터
210: 로터 코어
220: 마그넷
300: 스테이터
400: 로터 위치 감지장치
410: 센싱 마그넷
411: 메인 마그넷
412: 서브 마그넷
420: 기판
421: 제1 센서부
421a: 제1 홀센서
422: 제2 센서부
422a: 제2 홀센서
423: 제3 센서부
423a: 제3 홀센서
500: 하우징
600: 커버

Claims (19)

  1. 센싱 마그넷 및,
    상기 센싱 마그넷의 상측에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센싱 마그넷은 메인 마그넷과 서브 마그넷;
    상기 기판은 제1 센서부, 제2 센서부 및 제3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는 상기 센싱 마그넷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원형 궤도상에 각각 배치되는 로터 위치 감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센싱 마그넷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서브 마그넷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로터 위치 감지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는 상기 센싱 마그넷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마그넷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로터 위치 감지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는 복수 개의 제2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부는 복수 개의 제3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홀센서와 상기 제3 홀센서는 상기 센싱 마그넷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정렬 배치되는 로터 위치 감지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와 상기 제3 센서부는 병렬 연결되는 로터 위치 감지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4개의 제1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3개의 제2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부는 3개의 제3 홀센서를 포함하는 로터 위치 감지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센서부와 상기 제2 센서부와 상기 제3 센서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 중 어느 하나가 고장으로 판단되면 다른 하나의 센싱시그널에 기초하여 로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로터 위치 감지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마그넷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센서부는 제2 센서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센서부는 상기 제2 센서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로터 위치 감지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복수 개의 제1 홀센서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제1 홀센서는 상기 센싱 마그넷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로터 위치 감지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는 복수 개의 제2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부는 복수 개의 제3 홀센서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제2 홀센서는 상기 센싱 마그넷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3 홀센서와 상기 센싱 마그넷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로터 위치 감지 장치.
  11.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로터 상측에 배치되는 로터 위치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 위치 감지 장치는,
    센싱 마그넷 및,
    상기 센싱 마그넷의 상측에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센싱 마그넷은 메인 마그넷과 서브 마그넷;
    상기 기판은 제1 센서부, 제2 센서부 및 제3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는 상기 센싱 마그넷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원형 궤도상에 각각 배치되는 모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로터코어 및 상기 로터코어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마그넷을 포함하는 모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코어와 상기 마그넷을 수용하는 캔부재를 더 포함하는 모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은 상기 로터코어의 외주면에 1단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마그넷은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모터.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센싱 마그넷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서브 마그넷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모터.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는 상기 센싱 마그넷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마그넷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모터.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는 복수 개의 제2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부는 복수 개의 제3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홀센서와 상기 제3 홀센서는 상기 센싱 마그넷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정렬 배치되는 모터.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와 상기 제3 센서부는 병렬 연결되는 모터.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4개의 제1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3개의 제2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부는 3개의 제3 홀센서를 포함하는 모터.
KR1020160175775A 2016-09-05 2016-12-21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621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775A KR102621325B1 (ko) 2016-12-21 2016-12-21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US16/329,620 US10903731B2 (en) 2016-09-05 2017-09-05 Apparatus for sensing rotor location and motor comprising apparatus
CN201780054083.4A CN109690920B (zh) 2016-09-05 2017-09-05 用于感测转子位置的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马达
CN202010157812.2A CN111355345B (zh) 2016-09-05 2017-09-05 用于感测转子位置的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马达
CN202111044832.XA CN113726100B (zh) 2016-09-05 2017-09-05 用于感测转子位置的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马达
JP2019512233A JP7110176B2 (ja) 2016-09-05 2017-09-05 ロータ位置感知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モータ
CN202111043388.XA CN113839591B (zh) 2016-09-05 2017-09-05 用于感测转子位置的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马达
EP21181099.9A EP3907476A1 (en) 2016-09-05 2017-09-05 Apparatus for sensing rotor location and motor comprising apparatus
PCT/KR2017/009704 WO2018044141A1 (ko) 2016-09-05 2017-09-05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EP17847066.2A EP3509198B1 (en) 2016-09-05 2017-09-05 Apparatus for sensing rotor location and motor comprising apparatus
US17/121,134 US11437899B2 (en) 2016-09-05 2020-12-14 Apparatus for sensing rotor location and motor comprising apparatus
JP2022116665A JP7357122B2 (ja) 2016-09-05 2022-07-21 ロータ位置感知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モータ
US17/816,131 US11606014B2 (en) 2016-09-05 2022-07-29 Apparatus for sensing rotor location and motor comprising apparatus
US18/166,098 US11863034B2 (en) 2016-09-05 2023-02-08 Apparatus for sensing rotor location and motor compri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775A KR102621325B1 (ko) 2016-12-21 2016-12-21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324A true KR20180072324A (ko) 2018-06-29
KR102621325B1 KR102621325B1 (ko) 2024-01-05

Family

ID=62780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775A KR102621325B1 (ko) 2016-09-05 2016-12-21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3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2096A (ja) * 2006-03-16 2007-09-27 Mitsuba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10243152A (ja) * 2009-04-01 2010-10-28 Seiko Epson Corp エンコーダー及び電気機械装置。
JP2011131676A (ja) * 2009-12-24 2011-07-07 Mitsuba Corp モータ装置、及び該モータ装置を備えるワイパ装置
EP2744087A2 (en) * 2012-12-14 2014-06-18 LG Innotek Co., Ltd. Motor and sensing magnet of the same
KR20150090774A (ko) * 2014-01-29 2015-08-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2096A (ja) * 2006-03-16 2007-09-27 Mitsuba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10243152A (ja) * 2009-04-01 2010-10-28 Seiko Epson Corp エンコーダー及び電気機械装置。
JP2011131676A (ja) * 2009-12-24 2011-07-07 Mitsuba Corp モータ装置、及び該モータ装置を備えるワイパ装置
EP2744087A2 (en) * 2012-12-14 2014-06-18 LG Innotek Co., Ltd. Motor and sensing magnet of the same
KR20150090774A (ko) * 2014-01-29 2015-08-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US20160349079A1 (en) * 2014-01-29 2016-12-01 Lg Innotek Co., Ltd. Sensor module and motor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325B1 (ko) 2024-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6014B2 (en) Apparatus for sensing rotor location and motor comprising apparatus
US4286184A (en) Electronic motor having a multi-pole external rotor
KR102146023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조향장치
JP4592435B2 (ja) エンコーダ付き小型モータ
JP2019530400A5 (ko)
KR102516543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조향장치
KR20160011920A (ko) 이중 회전자, 이중 고정자 및 이중 센서 구조를 포함한 bldc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식 선형 액추에이터
JP2014168361A (ja) モータ
US10396643B2 (en) Motor
KR102413842B1 (ko)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80072324A (ko)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90057643A (ko) 모터
KR102636961B1 (ko)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606980B1 (ko)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80085494A (ko)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80027017A (ko)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412391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조향장치
KR102548608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조향장치
KR20200098456A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조향장치
JP2018093669A (ja) モ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