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831A - 스테이터 홀더 - Google Patents

스테이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831A
KR20180071831A KR1020160174883A KR20160174883A KR20180071831A KR 20180071831 A KR20180071831 A KR 20180071831A KR 1020160174883 A KR1020160174883 A KR 1020160174883A KR 20160174883 A KR20160174883 A KR 20160174883A KR 20180071831 A KR20180071831 A KR 20180071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ixing portion
shaft fixing
semicircula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1798B1 (ko
Inventor
변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4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7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71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1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샤프트 고정부; 및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일측 단부에 사출방식에 의해 상기 홈을 덮도록 배치되는 스테이터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은 반원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테이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슬립 토크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테이터 홀더{Stator holder}
본 발명은 토크 센서에 이용되는 스테이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로 별도의 동력으로 보조하는 조향장치가 사용된다.
기존에는 이와 같은 보조 조향장치를 유압을 이용한 장치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동력의 손실이 적고 정확성이 우수한 전동식 조향장치(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전동식 조향장치(EPS)는 차속센서, 앵글센서 및 토크센서 등에서 감지한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모터를 구동하여 선회 안정성을 보장하고 신속한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동력장치가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는 힘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조향축에 걸리는 토크나 조향각 뿐만 아니라, 조향각 속도를 측정할 필요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조향축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앵글센서를 사용하고, 조향 토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토크 센서를 사용하지만, 최근에는 토크와 회전 각도를 하나의 센서에서 감지할 수 있는 토크 앵글 센서(TAS)가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향각이나 조향각 속도를 검출하는 토크 앵글 센서는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고장이나 오작동의 확률이 높아, 인덱스 센서(Index Sensor) 방식의 토크 인덱스 센서(Torque Index Sensor: TIS)가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토크 앵글 센서(TAS)나 토크 인덱스 센서(TIS) 등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스테이터 홀더는 비자성체인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사출물로 형성되는 스테이터 고정부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소정의 강도를 갖는 샤프트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터 고정부와 샤프트 고정부가 사출 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즉, 스테이터 고정부와 샤프트 고정부는 상기 사출 방식 중 하나인 인서트 몰딩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회전시, 상기 샤프트 고정부가 스테이터 고정부와 슬립(Slip)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고온시 스테이터 고정부가 팽창하기 때문에 슬립 토크 약화 및 유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샤프트 고정부에 홈을 형성하고 사출 방식에 의해 스테이터 고정부를 형성할 때, 상기 홈에 합성수지 재질이 충진되어 슬립 토크를 증가시키는 스테이터 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샤프트 고정부; 및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일측 단부에 사출방식에 의해 상기 홈을 덮도록 배치되는 스테이터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은 반원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테이터 홀더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홈은 소정의 반지름(r1)으로 형성된 반원부와 상기 반원부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원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홈의 깊이(D1)가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원부가 원주 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중심(C)을 기준으로 두 개의 상기 홈이 배치되며, 상기 홈 중 어느 하나의 홈의 반원부는 시계방향으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홈의 반원부는 반시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은 엔드밀의 절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d)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홈 및 제2 홈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샤프트 고정부; 및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일측 단부에 사출방식에 의해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을 덮도록 배치되는 스테이터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은 반원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테이터 홀더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 각각은, 소정의 반지름(r2)으로 형성된 반원부와 상기 반원부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원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홈의 깊이(D2)가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원부가 원주 방향을 향해 배치되되, 상기 제1 홈의 반원부는 상기 제2 홈의 반원부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중심(C)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이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외주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외주면에 제3 홈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샤프트 고정부; 및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일측 단부에 사출방식에 의해 상기 제3 홈을 덮도록 배치되는 스테이터 고정부를 포함하며, 반원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3 홈은, 상기 홈은 소정의 반지름(r3)으로 형성된 반원부와 상기 반원부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원부는 축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스테이터 홀더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치부의 단부는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일측 모서리와 만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홈은 소정의 깊이(D3)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3 홈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4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홈은 걸림턱면이 상하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제4 홈의 깊이(D4)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홀더는 샤프트 고정부에 다양한 형상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을 덮도록 합성수지 재질을 사출 방식으로 충진시켜 형성되는 스테이터 고정부를 구비하여 슬립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홀더의 샤프트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1-A1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고정부의 일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고정부의 타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8의 A2-A2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A3-A3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토크 센서(미도시)는 전동식 조향장치(미도시)의 조향축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홀더(1)는 상기 토크 센서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스테이터 홀더는 원통 형상의 샤프트 고정부(100, 100a, 100b)와 스테이터 고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고정부(100, 100a, 100b)는 전동식 조향장치(미도시)의 출력축(Output shaft)에 연결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 고정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진과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한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샤프트 고정부(100, 100a, 100b)의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 고정부(200)에는 스테이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샤프트 고정부(100, 100a, 100b)의 중심(C)을 연속적으로 지나는 선의 방향을 축방향이라 하고, 상기 축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반지름 방향이라 하여 설명을 명확히 한다.
도 2 및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홀더의 샤프트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고정부(100)를 살펴보면, 상기 샤프트 고정부(100)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홈(120)은 본체(110)의 일측 모서리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체(110)는 원통 형상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의 일측에는 상기 출력축이 연결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반지름 방향에서 바라볼 때, 홈(120)은 반원 아치(round arch)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홈(120)에는 걸림턱면(130)이 형성될 수 있다.
홈(120)에 스테이터 고정부(200)의 일부가 충진되어 굳어짐에 따라, 걸림턱면(130)은 스테이터 고정부(200)의 일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걸림턱면(130)과 홈(120)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고정부(200)의 일 영역은 슬립 방지 구조를 형성하여 샤프트 고정부(100)가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20)은 소정의 반지름(r1)으로 형성된 반원부(121)와 반원부(121)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아치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홈(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부(121)측으로 갈수록 홈(120)의 깊이(D1)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면(13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턱면(130)은 홈(120)의 깊이(D1)와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된다.
이때, 반원부(121)는 원주 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샤프트 고정부(100)가 원주 방향으로 슬립(slip)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원부(121)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슬립 방지되는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아치부(122)에도 반원부(121)에 형성된 걸림턱면(130)이 연장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샤프트 고정부(100)가 축방향으로 슬립(slip)되는 것 또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0)에는 두 개의 홈(120)이 180도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고정부(1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두 개의 홈(1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홈(120) 중 어느 하나의 홈(120)의 반원부(121)는 시계(CW)방향으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홈(120)의 반원부(121)는 반시계(CCW)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샤프트 고정부(100)가 원주 방향 중 어느 방향(CW, CCW)으로 슬립(slip)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에는 두 개의 홈(120)이 배치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데, 슬립 방지를 고려하여 두 개 이상의 홈(120)이 샤프트 고정부(10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샤프트 고정부(100)의 홈(120)은 엔드밀(end mill, 미도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1-A1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고정부(100a)를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샤프트 고정부(100a)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 된 샤프트 고정부(100)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샤프트 고정부(100a)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홈(120a) 및 제2 홈(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홈(120a) 및 제2 홈(120b)은 소정의 간격(d)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반지름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홈(120a) 및 제2 홈(120b) 각각은 반원 아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홈(120a) 및 제2 홈(120b) 각각에는 걸림턱면(1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120a) 및 제2 홈(120b) 각각에 스테이터 고정부(200)의 일부가 충진되어 굳어짐에 따라, 걸림턱면(130)은 스테이터 고정부(200)의 일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걸림턱면(130)과 제1 홈(120a) 및 제2 홈(120b) 각각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고정부(200)의 일 영역은 슬립 방지 구조를 형성하여 샤프트 고정부(100)가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120a) 및 제2 홈(120b) 각각은 소정의 반지름(r2)으로 형성된 반원부(121)와 반원부(121)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아치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홈(120a) 및 제2 홈(120b) 각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부(121)측으로 갈수록 홈(120a, 120b)의 깊이(D2)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면(13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턱면(130)은 홈(120a, 120b)의 깊이(D2)와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된다.
이때, 반원부(121)는 원주 방향을 향해 배치되되, 제1 홈(120a)의 반원부(121)는 제2 홈(120b)의 반원부(121)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샤프트 고정부(100)가 원주 방향으로 슬립(slip)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홈(120a)의 반원부(121)는 반시계(CCW)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홈(120b)의 반원부(121)는 반시계(CCW)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샤프트 고정부(100)가 원주 방향 중 어느 방향(CW, CCW)으로도 슬립(slip)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반원부(121)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홈(120a) 및 제2 홈(120b)은 샤프트 고정부(100)가 원주 방향으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원부(121)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슬립 방지되는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아치부(122)에도 반원부(121)에 형성된 걸림턱면(130)이 연장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샤프트 고정부(100)가 축방향으로 슬립(slip)되는 것 또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0)에는 한 쌍의 제1 홈(120a) 및 제2 홈(120b) 각각이 18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샤프트 고정부(100a)의 중심(C)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제1 홈(120a) 및 제2 홈(120b)이 샤프트 고정부(100a)의 외주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고정부(1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제1 홈(120a) 및 제2 홈(120b) 각각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샤프트 고정부(100)의 홈(120a, 120b)은 엔드밀(end mill, 미도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고정부의 일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고정부의 타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8의 A2-A2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A3-A23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고정부(100b)를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샤프트 고정부(100b)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 된 샤프트 고정부(100, 100a)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샤프트 고정부(100b)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3 홈(120c)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고정부(100b)는 제3 홈(120c)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4 홈(120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반지름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3 홈(120c)은 반원 아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홈(120c)은 소정의 깊이(D3)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3 홈(120c)에는 걸림턱면(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턱면(130)은 제3 홈(120c)의 깊이(D3)와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된다.
제3 홈(120c)에 스테이터 고정부(200)의 일부가 충진되어 굳어짐에 따라, 걸림턱면(130)은 스테이터 고정부(200)의 일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걸림턱면(130)과 제3 홈(120c)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고정부(200)의 일 영역은 슬립 방지 구조를 형성하여 샤프트 고정부(100b)가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홈(120c)은 소정의 반지름(r2)으로 형성된 반원부(121)와 반원부(121)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아치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반원부(121)는 축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부(122)의 단부는 샤프트 고정부(100b)의 일측 모서리와 만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 아치부(122)의 단부는 본체(110)의 하측 모서리와 만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홈(120c)의 걸림턱면(130)에 의해, 샤프트 고정부(100b)는 원주 방향 및 하방으로 슬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샤프트 고정부(1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제4 홈(120d)은 제3 홈(120c)과 180도되는 위치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홈(120d)은 샤프트 고정부(100b)가 상하 방향으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홈(120d)은, 반지름 방향에서 바라볼 때,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홈(120d)의 중앙으로 갈수록 제4 홈(120d)의 깊이(D4)가 증가하도록 제4 홈(120d)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턱면(130a, 130b)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마주보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턱면(130a, 130b)은 제4 홈(120d)의 깊이(D4)와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된다.
제4 홈(120d)에 스테이터 고정부(200)의 일부가 충진되어 굳어짐에 따라, 걸림턱면(130)은 스테이터 고정부(200)의 일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걸림턱면(130)과 제4 홈(120d)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고정부(200)의 일 영역은 슬립 방지 구조를 형성하여 샤프트 고정부(100b)가 상하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스테이터 홀더
100, 100a, 100b : 샤프트 고정부
110 : 본체
120 : 홈 120a : 제1 홈
120b : 제2 홈 130c : 제3 홈
130d : 제4 홈
130, 130a, 130b : 걸림턱면
200 : 스테이터 고정부

Claims (14)

  1.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샤프트 고정부; 및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일측 단부에 사출방식에 의해 상기 홈을 덮도록 배치되는 스테이터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은 반원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테이터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소정의 반지름(r1)으로 형성된 반원부와 상기 반원부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원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홈의 깊이(D1)가 증가하는 스테이터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부가 원주 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스테이터 홀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중심(C)을 기준으로 두 개의 상기 홈이 배치되며, 상기 홈 중 어느 하나의 홈의 반원부는 시계방향으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홈의 반원부는 반시계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테이터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엔드밀의 절삭에 의해 형성되는 스테이터 홀더.
  6.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d)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홈 및 제2 홈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샤프트 고정부; 및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일측 단부에 사출방식에 의해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을 덮도록 배치되는 스테이터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은 반원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테이터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 각각은,
    소정의 반지름(r2)으로 형성된 반원부와 상기 반원부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원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홈의 깊이(D2)가 증가하는 스테이터 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부가 원주 방향을 향해 배치되되,
    상기 제1 홈의 반원부는 상기 제2 홈의 반원부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스테이터 홀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중심(C)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이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외주면에 더 배치되는 스테이터 홀더.
  10. 외주면에 제3 홈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샤프트 고정부; 및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일측 단부에 사출방식에 의해 상기 제3 홈을 덮도록 배치되는 스테이터 고정부를 포함하며,
    반원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3 홈은,
    상기 홈은 소정의 반지름(r3)으로 형성된 반원부와 상기 반원부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원부는 축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스테이터 홀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의 단부는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일측 모서리와 만나도록 배치되는 스테이터 홀더.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홈은 소정의 깊이(D3)로 형성되는 스테이터 홀더.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3 홈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4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홈은 걸림턱면이 상하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스테이터 홀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홈의 중앙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4 홈의 깊이(D4)가 증가하는 스테이터 홀더.
KR1020160174883A 2016-12-20 2016-12-20 스테이터 홀더 KR102651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883A KR102651798B1 (ko) 2016-12-20 2016-12-20 스테이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883A KR102651798B1 (ko) 2016-12-20 2016-12-20 스테이터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831A true KR20180071831A (ko) 2018-06-28
KR102651798B1 KR102651798B1 (ko) 2024-03-28

Family

ID=6278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883A KR102651798B1 (ko) 2016-12-20 2016-12-20 스테이터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79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9100A (ko) * 2010-03-30 2011-10-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측정장치
KR20130128549A (ko) * 2012-05-17 2013-11-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앵글센서
KR20140145492A (ko) * 2013-06-13 2014-12-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센서와 조향축의 결합 구조
KR20150034984A (ko) * 2013-09-27 2015-04-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이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
KR20150034982A (ko) * 2013-09-27 2015-04-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인덱스 센서
KR20150077562A (ko) * 2013-12-27 2015-07-08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전동식 조향장치의 토크 센서
KR20150107696A (ko) * 2015-08-31 2015-09-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센서와 조향축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9100A (ko) * 2010-03-30 2011-10-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측정장치
KR20130128549A (ko) * 2012-05-17 2013-11-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앵글센서
KR20140145492A (ko) * 2013-06-13 2014-12-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센서와 조향축의 결합 구조
KR20150034984A (ko) * 2013-09-27 2015-04-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이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
KR20150034982A (ko) * 2013-09-27 2015-04-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인덱스 센서
KR20150077562A (ko) * 2013-12-27 2015-07-08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전동식 조향장치의 토크 센서
KR20150107696A (ko) * 2015-08-31 2015-09-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센서와 조향축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798B1 (ko)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1815B2 (en) Rotor, and torque sensor and 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EP2343527B1 (en) Torque sensor
US7954389B2 (en) Torqu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482177B2 (en) Torque r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10011667A1 (en) Torque angle sensor and electronic power ste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2518463B1 (en) Rotor for torque sensor
EP3549844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KR102363168B1 (ko) 센싱장치
EP1241074B1 (en) Torque sensor for vehicle
KR20180028235A (ko) 조향휠 회전제한장치
KR20170022377A (ko) 로터, 이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와 전동식 조향장치
KR101951374B1 (ko) 모터
KR101884229B1 (ko) 토크센서
KR101862866B1 (ko) 토크 마그네트 이탈 방지구조
KR20180071831A (ko) 스테이터 홀더
EP3489630B1 (en) Sensor device
US20200232858A1 (en) Steering column monitoring system and sensor
KR102117545B1 (ko) 앵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토크 앵글 센서
KR101894857B1 (ko) 토크앵글센서의 하우징 유닛
JP5508826B2 (ja) トルクセンサ
US20170089442A1 (en) Vehicle steering column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KR102463425B1 (ko) 개선된 토크 센서 장착 구조를 가지는 조향 장치
KR101939393B1 (ko) 토크 마그네트 이탈 방지구조
KR102224462B1 (ko) 로터, 이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와 전동식 조향장치
JP7099264B2 (ja) ヨーク組立体、及びトルク検出装置、並びにヨーク組立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