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701A -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701A
KR20180071701A KR1020160174635A KR20160174635A KR20180071701A KR 20180071701 A KR20180071701 A KR 20180071701A KR 1020160174635 A KR1020160174635 A KR 1020160174635A KR 20160174635 A KR20160174635 A KR 20160174635A KR 20180071701 A KR20180071701 A KR 20180071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user
display
history
h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6081B1 (ko
Inventor
윤장혁
이승주
윤여창
배애경
이석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4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08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1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067Control, human or man machine interface, interactive, HMI, MMI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215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에 따라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표시하는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는 HMI 프로그램에서 객체를 편집하기 위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표시부, 사용자 명령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 중 선택 메뉴를 입력받는 메뉴 입력부, 상기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을 저장하는 이력 저장부 및 상기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에 따라 상기 미리 정해진 순서를 사용자 표시 순서로 변경하고, 상기 사용자 표시 순서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를 표시하도록 상기 메뉴 표시부를 제어하는 메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Apparatus for displaying menu of HMI program}
본 발명은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에 따라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표시하는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카다(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CADA) 시스템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 및 감시하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대규모 시스템이다. 특히 대규모 공정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주로 스카다 시스템이 적용되고, 해당 공정에 관련한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하기 위해 HMI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HMI 프로그램은 스카다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고 개별 공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이용한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HMI 프로그램은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 공정에 관련한 각종 데이터를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객체의 형상으로 나타내고, 사용자는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된 객체를 이용하여 공정을 분석하고 관리할 수 있다.
객체를 통해 공정 시스템 전체를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객체를 편집할 수 있고, HMI 프로그램은 객체를 편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 HMI 프로그램에서는 사용자가 복잡하고 다양한 메뉴를 일일이 찾아서 기능을 실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게다가,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이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하위 메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따라 주로 사용하는 기능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종래 HMI 프로그램에서는 항상 일정한 메뉴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메뉴를 제공할 수 없고 이에 따라, 메뉴 사용의 사용성 및 효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사용자 명령의 이력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메뉴를 구성할 수 있고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간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최근에 사용한 메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연관 메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횟수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HMI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수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작업에 적합한 메뉴를 스스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명령의 이력에 관계 없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고정 메뉴를 표시함으로써,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다수의 작업에 꼭 필요한 메뉴를 항상 제공할 수 있는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명령의 이력을 이력 파일에 저장함으로써, 다수의 HMI 프로그램에서도 동일한 사용자 맞춤형 메뉴를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HMI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다른 PC에서도 동일한 사용자 맞춤형 메뉴를 구성할 수 있는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는 HMI 프로그램에서 객체를 편집하기 위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표시부, 사용자 명령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 중 선택 메뉴를 입력받는 메뉴 입력부, 상기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을 저장하는 이력 저장부 및 상기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에 따라 상기 미리 정해진 순서를 사용자 표시 순서로 변경하고, 상기 사용자 표시 순서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를 표시하도록 상기 메뉴 표시부를 제어하는 메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사용자 명령의 이력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메뉴를 구성할 수 있고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간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최근에 사용한 메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연관 메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횟수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HMI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수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작업에 적합한 메뉴를 스스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명령의 이력에 관계 없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고정 메뉴를 표시함으로써,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다수의 작업에 꼭 필요한 메뉴를 항상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명령의 이력을 이력 파일에 저장함으로써, 다수의 HMI 프로그램에서도 동일한 사용자 맞춤형 메뉴를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HMI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다른 PC에서도 동일한 사용자 맞춤형 메뉴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HMI 프로그램 상에서 표시된 메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미리 정해진 순서 또는 사용자 표시 순서에 따라 표시된 메뉴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가 HMI 프로그램 내에서 이력 파일에 따라 사용자 표시 순서를 갱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가 복수의 HMI 프로그램 내에서 이력 파일의 데이터를 읽고 쓰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100)는 메뉴 표시부(110), 메뉴 입력부(120), 이력 저장부(130), 메뉴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도 2는 HMI 프로그램 상에서 표시된 메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100)는 HMI 프로그램에서 객체를 편집하기 위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HMI(Human Machine Interface) 프로그램은 공정 제어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소프트웨어와 연동되는 임의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I 프로그램은, 대규모 공정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스카다(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CADA) 시스템에서, 해당 공정에 관련한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러한 HMI 프로그램은 스카다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고, 개별 공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이용한 분석 기능 등을 제공한다.
HMI 프로그램은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 공정에 관련한 각종 데이터를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객체의 형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사용자는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된 객체를 이용하여 공정을 분석하고 관리할 수 있다. 객체를 통해 공정 시스템 전체를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객체를 편집할 수 있고, HMI 프로그램은 객체를 편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부(110)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 표시부(110)는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임의의 화면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메뉴 표시부(110)는 컴퓨터의 모니터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메뉴 표시부(110)는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메뉴 바(menu bar, 210), 툴 바(tool bar, 220) 및 콘텍스트 메뉴(context menu, 230)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뉴 표시부(110)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고, 아이콘과 같은 그래픽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뉴 바(210)는 HMI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기능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기능에 대한 메뉴(파일(F), 편집(E), 보기(V) 등)를 화면 상단에 가로로 나열한 메뉴 표시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메뉴 바(210)를 구성하는 각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세부 메뉴(211)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F)에 대한 메뉴를 선택하면 파일과 관련한 기능(새 파일(N), 열기(O), 닫기(C) 등)을 수행하기 위한 세부 메뉴(211)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HMI 프로그램 내부에는 메뉴 바(210) 또는 세부 메뉴(211)를 이루는 각 메뉴의 표시 순서가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으며, 메뉴 표시부(110)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메뉴 바(210) 또는 세부 메뉴(211)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메뉴 바(210)에 대한 미리 정해진 순서는 파일(F), 편집(E), 보기(V), 삽입(I) … 마우스 모드(M) 순서일 수 있다. 또한, 파일(F)에 대한 세부 메뉴(211)의 미리 정해진 순서는 새파일(N), 열기(O), 닫기(C) … 인쇄(P) 순서일 수 있다.
툴 바(220)는 HMI 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을 아이콘의 형태로 나란히 모아놓은 표시줄일 수 있다. 또한, 콘텍스트 메뉴(230)는 HMI 프로그램 상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표시되는 메뉴(잘라내기(T), 복사(C), 붙여넣기(P) 등)로서 예를 들어,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콘텍스트 메뉴(230)는 사용자가 어떤 대상을 조작하는지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HMI 프로그램 내부에는 콘텍스트 메뉴(230)를 이루는 각 메뉴의 표시 순서가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으며, 메뉴 표시부(110)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콘텍스트 메뉴(23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텍스트 메뉴(230)에 대한 미리 정해진 순서는 잘라내기(T), 복사(C), 붙여넣기(P) … 오브젝트 속성(A) 순서일 수 있다.
한편, 툴 바(220)에 대한 미리 정해진 순서는 도 2에 도시된 순서와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하나 이상의 메뉴는 텍스트 또는 아이콘 등의 그래픽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입력부(120)는 사용자 명령을 통해 하나 이상의 메뉴 중 선택 메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하나 이상의 메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이고, 선택 메뉴는 하나 이상의 메뉴 중에서 사용자 명령을 통해 선택된 메뉴이다.
메뉴 입력부(120)는 임의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장치는 마우스, 키보드 또는 터치패드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신체 등 HMI 프로그램이 설치된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임의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사용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메뉴 바(210)의 파일(F)의 세부 메뉴(211) 중에서 새 파일(N)을 클릭할 수 있다. 이 때, 메뉴 입력부(120)는 메뉴 바(210)의 파일(F) 및 세부 메뉴(211)의 새 파일(N)을 선택 메뉴로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력 저장부(130)는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명령의 이력은 각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간 또는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력 저장부(130)는 이와 같은 사용자 명령의 이력을 각 선택 메뉴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data table)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력 저장부(130)는 아래의 [표 1]의 형태로 사용자 명령의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선택 메뉴] [시간] [횟수]
메뉴 2 13:05 1회
메뉴 1 13:07 1회
메뉴 4 13:33 1회
메뉴 2 13:37 2회
상술한 [표 1]을 참조하면, 이력 저장부(130)는 각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간을 저장할 수 있고, 각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횟수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표 1]에 기재된 선택 메뉴는 메뉴 1, 메뉴 2 및 메뉴 4와 같이 표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표 1]의 선택 메뉴는 도 2에서 설명한 메뉴 바(210), 세부 메뉴(211), 툴 바(220), 콘텍스트 메뉴(230) 등을 구성하는 임의의 메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력 저장부(130)는 상술한 데이터 테이블 등으로 구성된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을 이력 파일에 저장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제어부(140)는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에 따라 미리 정해진 순서를 사용자 표시 순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메뉴 제어부(140)는 사용자 표시 순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메뉴를 표시하도록 메뉴 표시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미리 정해진 순서 또는 사용자 표시 순서에 따라 표시된 메뉴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콘텍스트 메뉴(230)가 사용자 표시 순서에 따라 표시되는 각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메뉴 표시부(110)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콘텍스트 메뉴(230)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텍스트 메뉴(230)에 포함된 메뉴 1 내지 메뉴 5는 위에서 아래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뉴 제어부(140)는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순서를 사용자 표시 순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뉴 제어부(140)는 이력 저장부(130)에 의해 저장된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을 참조할 수 있다.
도 3에서 선택 메뉴는 메뉴 1 내지 메뉴 5일 수 있고, 각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간은 아래의 [표 2]와 같을 수 있다.
[선택 메뉴] [시간]
메뉴 4 15:31
메뉴 1 15:33
메뉴 5 15:40
메뉴 3 16:02
메뉴 2 16:05
메뉴 제어부(140)는 상술한 [표 2]와 같은 각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간을 참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뉴 제어부(140)는 미리 정해진 순서로 정렬된 각 메뉴를 최근 사용된 순서에 따라 사용자 표시 순서로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의 (b)를 참조하면 메뉴 제어부(140)는 콘텍스트 메뉴(230)를 구성하는 각 메뉴를 최근 사용된 순서에 따라 표시하도록 메뉴 표시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간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최근에 사용한 메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연관 메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뉴 제어부(140)는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횟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순서를 사용자 표시 순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뉴 제어부(140)는 이력 저장부(130)에 의해 저장된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을 참조할 수 있다.
각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횟수는 아래의 [표 3]과 같을 수 있다.
[선택 메뉴] [횟수]
메뉴 1 0
메뉴 2 9
메뉴 3 3
메뉴 4 15
메뉴 5 0
메뉴 제어부(140)는 상술한 [표 3]과 같은 각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횟수를 참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뉴 제어부(140)는 미리 정해진 순서로 정렬된 각 메뉴를 자주 사용된 순서에 따라 사용자 표시 순서로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의 (c)를 참조하면 메뉴 제어부(140)는 콘텍스트 메뉴(230)를 구성하는 각 메뉴를 자주 사용된 순서에 따라 표시하도록 메뉴 표시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메뉴 제어부(140)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이력이 없는 메뉴(메뉴 1 및 메뉴 5)를 콘텍스트 메뉴(230) 내에서 별도의 구분 영역(321)에 표시하도록 메뉴 표시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이력이 없는 복수의 메뉴(메뉴 1 및 메뉴 5)는 최초의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별도의 구분 영역(321)에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횟수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HMI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뉴 제어부(140)는 미리 정해진 순서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사용자 표시 순서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메뉴 제어부(140)가 이력 저장부(130)에 의해 저장된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을 참조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모든 메뉴의 표시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설정은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에디터(editor)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콘텍스트 메뉴(230)를 구성하는 각 메뉴의 표시 순서를 메뉴 3, 메뉴 5, 메뉴 1, 메뉴 4 및 메뉴 2의 순서로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뉴 제어부(140)는 콘텍스트 메뉴(230)를 구성하는 각 메뉴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표시하도록 메뉴 표시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표시된 콘텍스트 메뉴(230)에는 사용자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버튼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 버튼을 클릭하면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에디터 등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는 에디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표시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수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작업에 적합한 메뉴를 스스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제어부(140)는 미리 정해진 순서 또는 사용자 표시 순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창(310)을 표시하도록 메뉴 표시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콘텍스트 메뉴(230)는 입력창(310) 및 메뉴 표시 영역(32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창(310)은 기본 메뉴, 최근 사용 메뉴, 자주 사용하는 메뉴 및 사용자 지정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본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도 3의 (a)와 같이 콘텍스트 메뉴(230)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최근 사용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도 3의 (b)와 같이 콘텍스트 메뉴(230)를 구성하는 각 메뉴는 최근 사용된 순서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도 3의 (c)와 같이 콘텍스트 메뉴(230)를 구성하는 각 메뉴는 자주 사용된 순서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지정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도 3의 (d)와 같이 콘텍스트 메뉴(23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입력창(3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입력창(310)은 사용자 표시 순서로 변경하고자 하는 각 메뉴가 메뉴 바(210)에 포함되어 있는지, 툴 바(220)에 포함되어 있는지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제어부(140)는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에 관계 없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고정 메뉴를 표시하도록 메뉴 표시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콘텍스트 메뉴(230)의 기본 메뉴에서 메뉴 2를 고정 메뉴로 지정할 수 있다. 메뉴 2가 고정 메뉴로 지정된 후, 사용자가 입력창(310)에서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도 3의 (c)와 같이 고정 메뉴인 메뉴 2를 제외한 메뉴 4, 메뉴 3, 메뉴 1 및 메뉴 5는 자주 사용된 순서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고정 메뉴는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에 관계 없이 기본 메뉴 상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메뉴 제어부(140)는 해당 메뉴가 사용자의 지정에 의해 고정된 메뉴라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고정 메뉴와 함께 일정한 아이콘(핀 모양 등)을 표시하도록 메뉴 표시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고정 메뉴의 위치를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콘텍스트 메뉴(230)의 기본 메뉴에서 메뉴 2를 고정 메뉴로 지정하고, 고정 메뉴의 위치를 콘텍스트 메뉴(230)의 첫 번째 위치로 지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입력창(310)을 통해 임의의 사용자 표시 순서를 선택하는 경우 메뉴 2는 사용자 명령의 이력 및 기본 메뉴 상의 위치에 관계 없이 항상 콘텍스트 메뉴(230)의 첫 번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명령의 이력에 관계 없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고정 메뉴를 표시함으로써,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다수의 작업에 꼭 필요한 메뉴를 항상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선택 메뉴가 콘텍스트 메뉴(230)에 포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선택 메뉴는 도 2에서 설명한 메뉴 바(210), 세부 메뉴(211), 툴 바(220) 등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임의의 메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100)가 HMI 프로그램 내에서 이력 파일에 따라 사용자 표시 순서를 갱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100)가 복수의 HMI 프로그램 내에서 이력 파일의 데이터를 읽고 쓰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력 저장부(130) 및 메뉴 제어부(14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력 저장부(130)는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을 이력 파일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명령의 이력은 각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간 또는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력 저장부(130)는 [표 1]과 같이 데이터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된 사용자 명령의 이력을 별도의 이력 파일에 저장할 수 있고, 이력 파일은 HMI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해당 HMI 프로그램에 의해 로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HMI 프로그램은 이력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 내 주소를 참조하여 이력 파일을 자동으로 읽어올 수 있다(read). 이력 저장부(130)는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이 감지될 때마다, 사용자 명령을 이력 파일에 저장할 수 있고(write), 이력 파일은 추가적인 사용자의 명령을 포함하도록 갱신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력 파일은 복수의 HMI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복수의 HMI 프로그램에 로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HMI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각 HMI 프로그램은 이력 파일을 자동으로 읽어올 수 있다(read).
본 발명의 이력 저장부(130)는 복수의 HMI 프로그램 각각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의 이력을 이력 파일에 저장할 수 있다(read). 이에 따라, 한 명의 사용자가 복수의 HMI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 복수의 HMI 프로그램에서 표시되는 각각의 메뉴는 사용자 표시 순서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HMI 프로그램이 PC에서 실행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PC에 저장된 이력 파일을 다른 PC로 옮기면 다른 PC에서 실행되는 HMI 프로그램에서도 기존 사용자의 사용자 표시 순서에 따른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명령의 이력을 이력 파일에 저장함으로써, 다수의 HMI 프로그램에서도 동일한 사용자 맞춤형 메뉴를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HMI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다른 PC에서도 동일한 사용자 맞춤형 메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제어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로드된 이력 파일을 참조하여 미리 정해진 순서를 사용자 표시 순서로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뉴 제어부(140)는 이력 파일에 저장된 사용자 명령의 이력을 참조하여 미리 정해진 순서를 사용자 표시 순서로 변경할 수 있다.
메뉴 제어부(140)가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에 따라 미리 정해진 순서를 사용자 표시 순서로 변경하는 과정은 도 3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방법은 HMI 프로그램에서 객체를 편집하기 위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이하 '메뉴 표시 장치'라고 함, 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메뉴 표시 장치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메뉴를 표시한다(S610). 메뉴 표시 장치는 표시된 하나 이상의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통해 하나 이상의 메뉴 중 선택 메뉴를 입력받는다(S620).
메뉴 표시 장치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을 저장하고(S630), 이에 따라 미리 정해진 순서를 사용자 표시 순서로 변경한다(S640). 마지막으로, 메뉴 표시 장치는 사용자 표시 순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메뉴를 표시한다(S650).
단계(S610)은 도 1에 도시된 메뉴 표시부(110)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할 수 있고, 단계(S620)은 도 1에 도시된 메뉴 입력부(120)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단계(S630)은 도 1에 도시된 이력 저장부(130)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할 수 있으며, 단계(S640) 및 단계(S650)은 도 1에 도시된 메뉴 제어부(140)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결국,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HMI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사용자 명령의 이력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메뉴를 구성할 수 있고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8)

  1. HMI 프로그램에서 객체를 편집하기 위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표시부;
    사용자 명령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 중 선택 메뉴를 입력받는 메뉴 입력부;
    상기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을 저장하는 이력 저장부; 및
    상기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에 따라 상기 미리 정해진 순서를 사용자 표시 순서로 변경하고, 상기 사용자 표시 순서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를 표시하도록 상기 메뉴 표시부를 제어하는 메뉴 제어부를 포함하는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제어부는
    상기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간에 따라 상기 미리 정해진 순서를 상기 사용자 표시 순서로 변경하는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제어부는
    상기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횟수에 따라 상기 미리 정해진 순서를 상기 사용자 표시 순서로 변경하는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순서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사용자 표시 순서로 변경하는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순서 또는 상기 사용자 표시 순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창을 표시하도록 상기 메뉴 표시부를 제어하는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제어부는
    상기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에 관계 없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고정 메뉴를 표시하도록 상기 메뉴 표시부를 제어하는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저장부는
    상기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의 이력을 이력 파일에 저장하고,
    상기 이력 파일은
    복수의 HMI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복수의 HMI 프로그램에 로드되는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제어부는
    상기 로드된 이력 파일을 참조하여 미리 정해진 순서를 상기 사용자 표시 순서로 변경하는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
KR1020160174635A 2016-12-20 2016-12-20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 KR101896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635A KR101896081B1 (ko) 2016-12-20 2016-12-20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635A KR101896081B1 (ko) 2016-12-20 2016-12-20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701A true KR20180071701A (ko) 2018-06-28
KR101896081B1 KR101896081B1 (ko) 2018-09-06

Family

ID=62780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635A KR101896081B1 (ko) 2016-12-20 2016-12-20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0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173A (ko) *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복수의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5556A1 (en) 2009-02-10 2010-08-12 Alfa Laval Corporate Ab Human machine interface navigation tool
JP2016048475A (ja) 2014-08-27 2016-04-07 株式会社東芝 画面表示制御装置、画面表示装置、及び画面表示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173A (ko) *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복수의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081B1 (ko) 2018-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51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mizing maintenance and other operations of field devices in a process control system using user-defined device configurations
EP1808757B1 (en) Method for providing selectable alternate menu views
JPH02130663A (ja)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エース方法
JP2008299870A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のために受動的ルックアヘッドを供給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JP6006399B2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そのプログラム
EP0745927B1 (en) Method of and editing system for setting tool button
US9052706B2 (en) Devic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storage device storing device information display program, and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102555223B1 (ko) 객체 편집 장치
JPH02201506A (ja) プラント監視用対話装置
KR101896081B1 (ko)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
JP4677201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データを入力する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6878367B2 (ja) 数値制御装置
CN105137930A (zh) 用于管理和配置自动化设施的现场设备的方法和装置
JP2009223471A (ja)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8021154A (ja) 制御用表示器の操作画面編集方法
CN117501239A (zh) 画面生成装置、画面生成系统以及计算机可读取的存储介质
JP3761126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周辺装置
JP5762257B2 (ja) プラント監視制御装置
US20150378543A1 (en) Engineering tool
TWM410265U (en) Human-machine interface system with automatic measurement
JP5983397B2 (ja) 分析機器制御装置及び分析機器制御装置用プログラム
JP5296724B2 (ja) 画面表示データ編集装置及び画面表示データ編集プログラム
JPH07271429A (ja) 表示方法及び装置、プラント制御システム、プラント制御方法
JP2006309565A (ja) 作画エディタ装置、制御用表示装置、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17501238A (zh) 画面生成装置、计算机可读取的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