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201A - 근관 첩약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근관 첩약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201A
KR20180071201A KR1020177035268A KR20177035268A KR20180071201A KR 20180071201 A KR20180071201 A KR 20180071201A KR 1020177035268 A KR1020177035268 A KR 1020177035268A KR 20177035268 A KR20177035268 A KR 20177035268A KR 20180071201 A KR20180071201 A KR 20180071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um hydroxide
root canal
endodontic
agent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루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루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루치
Publication of KR20180071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K6/067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49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inorganic cements
    • A61K6/876Calcium oxide
    • A61K6/0073
    • A61K6/06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50Prepa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root treatment
    • A61K6/54Filling; Sea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50Prepa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root treatment
    • A61K6/56Ap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60Preparations for dentistry comprising organic or organo-metallic additives
    • A61K6/69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70Preparations for dentistry comprising inorganic additives
    • A61K6/71Fi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70Preparations for dentistry comprising inorganic additives
    • A61K6/71Fillers
    • A61K6/73Fillers comprising sulfur-containing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70Preparations for dentistry comprising inorganic additives
    • A61K6/71Fillers
    • A61K6/76Fillers comprising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02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ceramics
    • A61K6/818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ceramics comprising zirconium ox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02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ceramics
    • A61K6/82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ceramics comprising transition metal 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31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on-metallic elements or compounds thereof, e.g. carbon
    • A61K6/836G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49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inorganic cements
    • A61K6/853Silic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49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inorganic cements
    • A61K6/856Pozzol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49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inorganic cements
    • A61K6/869Zeol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49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inorganic cements
    • A61K6/878Zirconium ox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2Local antisep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Lime, magnesia or dolom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01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unburned 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10Lime cements or magnesium oxide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9Premixtures of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836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medical or dental applic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관 내에 소정 시간 동안 첩약을 하기 위한 근관 첩약제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수산화칼슘 성분을 기반으로 하는 근관 첩약제 조성물로서, 수산화칼슘이나 수산화칼슘을 생성하는 성분을 분말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DMSO, NMP 및 DEGEE 중 적어도 하나를 액체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근관 첩약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근관 첩약제 조성물
본 발명은 근관 내에 소정 시간 동안 첩약을 하기 위한 근관 첩약제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근관 첩약제는 근관 내에서 세균의 침입이나 번식을 방지할 수 있고, 세균 내 독소(endotoxin)를 중화하여 치근단 병소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치아의 내부까지 세균이 침입하여 감염이 발생하고 치수 조직의 생활력이 떨어지게 되면, 치수 조직을 제거하고 감염된 부위를 멸균 소독한 후에 이차 감염을 억제하기 위하여 밀폐를 하는 일련의 치료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런 과정을 근관 치료라고 부른다.
근관 치료는, 염증이 치수강 깊숙한 곳까지 퍼지지 않은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성공률을 보이지만, 이미 치수강 심부까지 감염된 경우 혹은 심지어 치근단 부위까지 감염된 경우에는 성공률이 낮아진다. 또한, 근관 치료를 한 번 받았던 치아에서 다시 감염이 발생하면 재치료의 성공률은 급격히 낮아진다.
근관 내부의 소독과 멸균에서 중요한 요소는, 감염된 연조직의 제거와, 근관 형성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스미어 층(smear layer)과 감염된 근관 내에 존재하는 바이오 필름(biofilm)의 효과적인 제거에 의하여, 감염과 염증을 방지하는 것이다. 치아 내부의 해부학적인 모습이 다양하고 변이가 심하기 때문에 근관 내의 감염된 조직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자(주로, 치과 의사)는 물리적인 삭제뿐만 아니라 화학적인 소독을 위하여 여러 가지 세척제와 첩약제(후술함)를 사용한다.
근관 내부의 소독과 세척에 널리 사용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은 연조직의 용해와 바이오 필름의 제거에 효과적이지만(뿐만 아니라, 차아염소산나트륨은 강력한 항균성을 갖고 있고, 살아 있는 조직 잔사까지도 녹일 수 있으며, 상아질의 유기 물질도 제거할 수 있다.), 낮은 점도와 표면장력으로 인하여 근관 구석구석까지 적용하기가 힘들고, 근관 내에서 빠르게 중화되어 효과가 지속되지 못하며, 특히 스미어 층의 제거에는 별 도움을 주지 못한다. 여기에서 말한 바이오 필름과 스미어 층은 막 형태로 되어 있는데, 단순하게 기계적인 삭제 과정에서 나오는 경조직 삭제편과 연조직이 엉킨 스미어 층과 달리 바이오 필름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로 경조직에 붙어 있는 형태를 갖는 것이다.
근관 내에 넣고 소정의 기간 동안 유지시켜서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세균 내 독소를 중화시키는 약제를 첩약제라고 하는데, 오랫동안 수산화칼슘 첩약제가 사용자들의 선택을 받아 왔다. 수산화칼슘 첩약제는 검증이 잘 되어 있고 안전하며 차아염소산나트륨과 병용될 수 있다. 수산화칼슘은 물에 거의 녹지 않는 난용성이지만 아주 작은 양의 용해로도 물의 산도를 Ph 12.4까지 올려서(이때, 칼슘 이온과 하이드록실 이온으로 해리됨) 화학적 태움(chemical burn)을 일으켜서 항균 특성을 갖는, 오랫동안 인체에 사용되어 온 안전한 화합물이다.
이와 같은 수산화칼슘 첩약제는 수산화칼슘을 직접 포함할 수도 있지만, 수화 반응을 통하여 수산화칼슘을 생성하는 산화칼슘이나 규산칼슘 화합물(예를 들면, 이규산칼슘 화합물, 삼규산칼슘 화합물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근관 치료의 관점에서 본, 수산화칼슘의 효과 내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항균성 및 항진균성
수산화칼슘이 이온화되면 생성되는 하이드록실 이온은 몇몇 생체 분자에 대하여 강력한 작용을 하는데, 특히, 박테리아에서 세포막에 손상을 주거나, 단백질을 변성시키거나, DNA에 손상을 줄 수 있다.
(2) 세균 내 독소의 중화
세균 내 독소, 즉, 엔도톡신은 세균의 세포벽에 있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폴리사카라이드, 리피드, 단백질 등을 포함한다. 이것은 염증과 치조골 흡수를 야기하여 치근단 병소의 생성, 유지 및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세균 내 독소를 수산화칼슘 첩약제가 중화시킬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3) 바이오 필름에 대한 작용
근관 내에서 실제로 독성을 일으키는 것은 개별 박테리아라기보다는 그 집합체인 바이오 필름이라고 알려진 바 있다. 근관 내에서 E. faecalis를 포함하는 바이오 필름은 사용자를 상당히 곤란하게 만드는 존재이다. 그러나, 이러한 바이오 필름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첩약제는 아직도 제대로 된 것이 없는 형편이고, 기존의 수산화칼슘 첩약제는 비록 사용되고는 있으나 그 효과에 의문이 있는 상태이다.
(4) 경조직 형성의 유도
수산화칼슘 첩약제를 사용하면, 치근단 염증 등으로 손상된 경조직의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5) 다른 물질과의 대비
세척 목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물질은 차아염소산나트륨 외에 CHX(ChloroHeXidine), MTAD,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구연산 등이 있다. 그러나, CHX의 경우, 그 자체가 수산화칼슘보다 세균의 침입에 대한 방어 효과가 약할 뿐만 아니라, 차아염소산나트륨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 이것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독성 침전물을 생성하면서 치근을 변색시키고 근관 첩약제의 효과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MTAD 역시 차아염소산나트륨과 산염기 반응을 하여 항균성을 잃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EDTA, 구연산 등의 부식성 용액이나 이들 중 적어도 한 가지를 포함하는 세척제는, 차아염소산나트륨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사용 시간을 오래 끌거나 사용 순서를 잘못 정하면 치근의 주요 해부학적 구조물인 콜라겐과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파괴해서 치근을 약하게 만들고 상아 세관의 입구를 녹여 버려서 근관 밀폐가 불량하게 되도록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상의 점들을 고려할 때에 수산화칼슘이 차아염소산나트륨과 함께 근관 첩약의 용도로 사용되기에 가장 적당해 보인다.
그러나, 분말 상태의 수산화칼슘 첩약제 제품을 근관 내에 밀어 넣는 것은 상당히 불편하다는 문제와, 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혼합물이 쉽게 말라서 조작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수산화칼슘 첩약제가 시린지 내부에서 일찍 굳어 버리는 현상마저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글리세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등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을 용매로 이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특히, 사용자의 편의상 시린지 내부에서 경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점도가 높고 보습성이 우수한 글리콜이 수산화칼슘 첩약제를 위한 용매로 채택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산화칼슘 첩약제는 겉마름 현상이 적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은 비교적 높지만, 수산화칼슘의 용해도를 낮추어 자체로서 항균성이 너무 낮은 편이고 추후에 제거가 깨끗하게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제거가 잘 되지 않아 남게 되는 잔존물은 추후 세균 감염의 통로를 제공할 수 있고, 잔존 치수 조직이나 바이오 필름의 차아염소산나트륨에 대한 용해도를 낮추며, 하이드록실 이온의 상아질 내부로의 확산을 억제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감염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항생제 등(예를 들면, 시프로플록사신)을 함께 사용하는 아이디어가 있었으나, 이것은 바이오 필름의 탈락을 양호하게 유도하는 반면에 독성 문제를 야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는 수산화칼슘을 포함하거나 수화 반응을 통하여 수산화칼슘을 생성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근관 첩약제 조성물로서, 신규하고도 진보되어 근관 첩약의 용도를 위하여 우수한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규하고도 진보된 수산화칼슘 근관 첩약제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항균성이 우수하고 제거가 용이하며 인체 내에서 독성 반응을 일으키지 않아서 안전한 근관 첩약제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수산화칼슘 성분을 기반으로 하는 근관 첩약제 조성물로서, 수산화칼슘이나 수산화칼슘을 생성하는 성분을 분말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DMSO, NMP 및 DEGEE 중 적어도 하나를 액체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근관 첩약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근관 첩약제 조성물이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규하고도 진보된 수산화칼슘 근관 첩약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항균성이 우수하고 제거가 용이하며 인체 내에서 독성 반응을 일으키지 않아서 안전한 근관 첩약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6은 현미경 비교 사진이다.
도 7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조 예 2 및 3의 시료가 각각 바이오 필름을 갖는 E. faecalis에 대하여 적용된 상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8은 제조 예 2 및 3의 시료가 각각 바이오 필름을 갖는 P. endodontalis에 대하여 적용된 상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조 예 1에 따른 시료의 서스펜션의 혼탁도를 다른 시료의 서스펜션의 혼탁도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사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성분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나 배치, 또는 개별 구성요소 간의 혼합, 반응 등에 관한 환경이나 순서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관 첩약제는 수산화칼슘이나 수화 반응을 통하여 수산화칼슘을 생성하는 성분, 그리고 강한 침투성을 갖는 스트리핑 에이전트(stripping agen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근관 첩약제에 관하여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된다.
(1) 수산화칼슘 또는 수화 반응을 통하여 수산화칼슘을 생성하는 성분
근관 첩약제는 인체에 사용될 수 있는 수준의 수산화칼슘이나 수화 반응을 통하여 수산화칼슘을 생성하는 성분, 예를 들면, 산화칼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분들은 분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수산화칼슘 또는 산화칼슘의 이와 같은 입자의 크기는 작으면 작을수록 물(예를 들면, 인체 내의 물)과의 반응이 잘 되도록 하므로 좋지만, 이것이 수십 나노미터 이하로 작아지면 근관 첩약제의 점도의 증가를 가져 와서, 추후에 근관 첩약제가 제거될 필요가 있을 때에 좋지 않을 수도 있다.
물과 섞일 때에 수산화칼슘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규산칼슘 화합물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포틀랜드 시멘트나 포졸란 시멘트 등을 들 수도 있다. 본 발명자(들)는 이미 이와 같은 시멘트가 치과용으로 개발된 다양한 발명품에 관하여 스스로 또는 소속 회사를 통하여 여러 특허(또는, 특허출원)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특허에 관한 리스트는 하기와 같다.
번호 출원인 발명자 출원번호 발명의 명칭
1 장성욱 장성욱 10-2008-0038387 치과 치료용 포졸란 시멘트
2 주식회사 마루치 장성욱 10-2012-0028458 지르코니아 분말을 포함하는 치아 충전용 조성물
3 장성욱 장성욱 10-2013-0112165 지르코니아 분말을 포함하는 치아 충전용 조성물
4 주식회사 마루치 장성욱/임호남/김의성/오세진 10-2014-0032686 단일 페이스트형 치과용 수경성 충전재 조성물
5 주식회사 마루치 장성욱/조계홍/조진상/최문관/문기연 10-2014-0122694 초속경 수경성 바인더 조성물
* 상기 리스트의 해당 명세서의 각각은 그 전체로서 여기에 편입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위와 같은 특허에 공개된 기술을 사용하여, 또는 그러한 기술을 약간 응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관 첩약제에 필요한 성분, 즉, 수화 반응을 통하여 수산화칼슘을 생성하는 성분이 준비되도록 할 수 있다.
포틀랜드 시멘트의 경우, 물과 반응하여 함수 규산칼슘과 수산화칼슘을 생성하는데, 이것은 경화 후의 표면의 상당 부분을 수산화칼슘이 차지하도록 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덜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경화 후의 표면의 수산화칼슘을 인체 내에서 중성인 안정한 함수 규산칼슘으로 바꿔 줄 수 있는 포졸란 물질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2) 스트리핑 에이전트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스트리핑 에이전트 액체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 인체에 사용될 수 있을 것
- 강염기성 물질과 혼합될 수 있을 것
- 점도가 낮아서 하이드록실 이온(물과 반응한 수산화칼슘에 의하여 생성됨)이 상아질 세관 등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이것이 마치 하이드록시 라디칼(radical)처럼 기능하게 만들어 줄 것
- 물과 쉽게 섞이며 침투를 촉진하는 성분일 것
스트리핑 에이전트의 낮은 점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관 첩약제가 소정의 역할을 하다가 제거될 때에,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왜냐하면, 일시적으로 첩약된 것이 잘 제거되지 않으면, 이것이 비단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치료 효과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낮은 점도의 스트리핑 에이전트는 근관 첩약제가 단지 물을 쏘아서 세척하는 것만으로도 제거되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한, 스트리핑 에이전트의 침투 촉진성은 근관 내의 복잡한 해부학적인 구조를 생각할 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이 번거로운 기구에의 의존을 명백히 줄일 수 있다.
DMSO(DiMethyl SulfOxide), NMP(N-Methyl-2-Pyrrolidone) 및 DEGEE(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는 모두 위와 같은 성질을 만족하는 우수한 스트리핑 에이전트 액체라고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스트리핑 에이전트를 수산화칼슘과 혼합하여 근관 내의 박테리아 바이오 필름이나 스미어 층을 박리하기 위해서는, 스트리핑 에이전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나 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이 용액의 전체 중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트리핑 에이전트는 하이드록실 이온을 물고 들어갈 수 있는데, 이러한 강한 침투 기전은 상아질 삭제편과 연조직이 뭉쳐서 상아세관 표면을 덮고 있는 스미어 층까지 깊숙이 침투하여 스미어 층과 근관의 계면에서 작용해서,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관 첩약제를 씻어낼 때에 스미어 층이 같이 씻겨 나오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그 하방의 상아세관 내부에까지 침투하여 상아세관 내부에 기생하는 박테리아에 대하여 강력한 항균성을 갖도록 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트리핑 에이전트의 효과는, 그동안 근관 치료학 분야에서 사용되어 온 EDTA나 구연산 등으로 스미어 층을 제거하고 나서 노출된 상아세관과 그 내부를 다시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소독할 때 노출된 상아세관이 다시 녹으면서 막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리핑 에이전트와 수산화칼슘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함에 따라, 항생제 중에 하이드록시 라디칼을 생성하여 바이오 필름에 대한 강력한 항균성을 갖는 시프로플록사신과 같은 기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물은 추가로 포함시킬 수도 있고 그렇게 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DMSO를 사용할 경우 소량의 물은 DMSO의 빙점을 극적으로 낮출 수 있는 유효한 성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위의 세 가지 액체는 모두 폴리사카라이드를 적절하게 녹이는데 사용될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는 세균 내 독소의 주요 성분이기도 하지만, 바이오 필름이 생체 조직에 달라 붙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러한 폴리사카라이드를 녹이는 것은 중요한 장점일 수 있다.
(3) 증점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점제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종래의 근관 첩약제는 첩약 후에 필요한 때에 그것을 제거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많았다. 근관 치료 과정에서 첩약됐던 근관 첩약제는 깨끗하게 제거되어야 그 후에 이어지는 소독과 밀폐가 가능함은 알려진 바와 같다. 그러나, 고점도의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과 혼합되어 있는 종래의 수산화칼슘 첩약제는 제거에 아주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된 DMSO 등의 스트리핑 에이전트는 물과 거의 유사할 정도로 점도가 낮아서 제거가 쉬운 반면, 지나치게 낮은 점도로 인하여 사용자가 근관 내에 근관 첩약제를 적용하도록 하기에 곤란함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제거가 쉬우면서도 적절한 점도를 가질 수 있도록 알맞은 증점제를 포함해 주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증점제는 물에 쉽게 용해되어야 하고 수산화칼슘의 이온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증점제에는,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증점제에는,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소르비톨 등의 폴리올(polyol)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것은 스트리핑 에이전트의 빙점을 낮춰서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 자체의 항(抗) 바이오 필름 효과 역시 근관 첩약의 목적에 기여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올로서 항 바이오 필름 효과가 탁월한 에리스리톨을 들 수 있는데, 특히, 이것은 DMSO에 대하여 5~9% 정도의 중량비로 포함될 때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9% 이상의 에리스리톨은 지나치게 점도를 높일 우려가 있고, 5% 이하의 에리스리톨은 빙점 저하의 효과가 너무 약할 수 있다.
또한, 수용성이 아니더라도, 스멕타이트 군에 속하는 점토 혹은 합성 점토, 즉,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등을 포함하는 확장 가능한 필로실리케이트(phyllosilicate)처럼 적절한 점도를 가질 수 있으면서 쉽게 씻겨져 나갈 수 있는 증점제 역시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증점제는 수용성과 비수용성의 적절한 조합으로 인하여 근관 내에서 꾸덕꾸덕해진 근관 첩약제를 세척 과정에서 팽창 분산시켜서 더 쉽게 제거되도록 해 줄 수 있다. 특히, 벤토나이트처럼 그 자체로서 강력한 항균성을 갖는 점토는 근관 첩약제에 더욱 강력한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팽창성 점토는 보관용 용매에 반죽되어 있는 상태에서보다 물 속에서의 팽창률이 클수록 제거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용성 키틴, 키토산 유도체 등과 같은 증점제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증점제는 많은 양이 들어갈수록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지만 적절한 점도를 위해서는 수산화칼슘 중량 대비 10%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증점제는 어느 하나만이 사용되는 것보다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적절히 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4)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선 판독을 위하여, 방사선 불투과성을 갖는 물질이 더 포함될 수 있다(이러한 물질은 분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황산 바륨, 지르코늄 산화물, 비스무스 산화물, 탄탈륨 산화물 및 칼슘 텅스테이트 중 적어도 한 가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스무스 티타네이트나 바륨 티타네이트 역시 단독으로 또는 다른 물질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높은 수준의 방사선 불투과성과 생체 친화성을 위하여서는, 비스무스 티타네이트나 바륨 티타네이트와 같은 강유전체 물질이나 생체 내에서 안전한 지르코늄 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20 내지 55 중량%만큼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런데,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의 비율은 국제 허가 기준보다 좀 더 높은 것이 근관 내의 첩약제가 확실히 제거되었는지 판단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 자체가 세척 과정에서 세탁볼처럼 기능해서 분리된 스미어 층이나 바이오 필름이 근관 밖으로 씻겨져 나오도록 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위하여서는, 비스무스 티타네이트처럼 중량이 많이 나가는 것보다 지르코늄 산화물이나 바륨 티타네이트처럼 비스무스 티타네이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벼운 물질을 수산화칼슘과 비슷하거나 더 많은 중량만큼 넣어 주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산화칼슘이 그 함량이 낮은 채로 기존의 고점도 액체와 혼합되는 종래의 수산화칼슘 첩약제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관 첩약제는 수산화칼슘의 함량이 충분히 (적어도 전체 근관 첩약제의 중량의 30% 이상의 중량만큼) 높을 수 있어서, 세척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양의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넣어 줄 수 있게 된다.
(5) 예시적인 적용 방법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관 첩약제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어디까지나 예시의 목적으로 설명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관 첩약제는 스미어 층이나 바이오 필름에 대하여 직접 접촉한 경우에 강력하게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스미어 층이나 바이오 필름이 근관 내에 전반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어떤 특정 부위에 존재하는 것을 사용자가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가능한 한 근관 전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관 첩약제를 채워 넣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그러나, 성형된 근관 전체를 근관 첩약제로 메우는 것은 경제적이지 못하고, 근관장까지 주입하는 과정에서 자칫하면 근단부를 넘어 가서 치근단 조직 내로 근관 첩약제를 과량 밀어 넣을 수 있는 위험까지도 있다. 특히, 수산화칼슘은 물에 잘 안 녹지만 소량만으로도 충분히 화학적 손상을 일으킬 수 있고, 하악 구치부나 소구치에서 그 하방의 하치조신경, 이신경 등에 화학적 손상이 가해지면 영구적인 감각 이상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도 있다.
그래서 근관벽 전체에 적용하면서도 치근단 밖으로 밀려 나가지 않도록 근관 첩약제를 적용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려면, 기존의 플라스틱 팁을 이용해서 근관 내에 근관 첩약제를 주입하는 방식과 다른 근관 첩약의 방식이 필요하지만, 이를 위해서 치과의사가 늘 행해야 하는 방법보다 더 복잡하거나 번거로운 방법은 임상에서 효과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관의 중앙 1/3 정도까지 근관 첩약제를 주입하고 나서 거타 퍼차 콘을 근관장까지 서서히 밀어 넣으면서 근관 첩약제가 치근단까지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치근단까지 근관 첩약제가 정확히 들어갔는지 확인하는 것은 기존의 근관 치료 프로토콜에서 근관장을 측정하기 위하여 거타 퍼차 콘을 넣고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는 과정과 함께 행하여질 수 있다. 즉, 종래에는 근관 내에 아무 것도 넣지 않은 상태에서 거타 퍼차 콘만을 넣고 근관장을 확인하는 방사선 사진을 촬영한 것에 반하여, 근관 내에 근관 첩약제를 넣은 상태에서 거타 퍼차 콘을 넣고 찍는 작은 차이만으로도 근관 첩약제를 근관장까지 골고루 적용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추후에 근관을 영구히 밀폐시키는 과정을 미리 연습해 봄으로써 더욱 정밀한 근관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선행 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
(6) 제조 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관 첩약제는 아래와 같은 함량 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함량 비는 예시적인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조 예 1) NMP, 수산화칼슘, 지르코늄 옥사이드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를 혼합하여 근관 첩약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중량비는 36 : 30 : 30 : 4일 수 있다.
(제조 예 2) DMSO, 수산화칼슘, 지르코늄 옥사이드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를 혼합하여 근관 첩약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중량비는 36 : 30 : 30 : 4일 수 있다.
(제조 예 3) DMSO, 수산화칼슘, 지르코늄 옥사이드, 벤토나이트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를 혼합하여 근관 첩약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중량비는 33 : 30 : 30 : 2 : 5일 수 있다.
(제조 예 4) DMSO, 수산화칼슘, 지르코늄 옥사이드, 에리스리톨 및 벤토나이트를 혼합하여 근관 첩약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중량비는 28 : 30 : 30 : 7 : 5일 수 있다.
위와 같은 제조 예에 따라 제조된 근관 첩약제의 방사선 불투과성은 ISO기준 알루미늄 스텝 웨지 4 밀리미터 이상으로 국제 허가 기준보다 높게 나왔고, 위에서 수산화칼슘의 중량비는 30%로 고정하였다.
도면을 참조하여 제조 예 1 내지 4에 관하여 더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6은 현미경 비교 사진이다.
도 1은 Apexical이라는 기존 상품의 SEM 사진이고, 도 2는 배율을 달리한 Apexical SEM 사진이다. Apexical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이 포함된 수산화칼슘 제재로 알려져 있다.
도 3은 Calcipex라는 기존 상품의 SEM 사진이고, 도 4는 배율을 달리한 Calcipex SEM 사진이다. Calcipex는 프로필렌글리콜이 포함된 수산화칼슘 제재로 알려져 있다.
도 5 및 6은 모두 본 발명의 위의 제조 예 1에 따른 시료의 SEM 사진이다(마찬가지로 배율을 달리한 사진임).
근관 치료 분야에서 스미어 층을 관찰하는 가장 보편적인 실험 방식에 따라, 소의 치아에 치과용 근관 파일을 이용하여 근관을 성형하고 도 1 내지 도 6의 시료들을 1주일 동안 첩약한 후에 생리 식염수로 기계적인 세척을 하고 나서 SEM을 찍어서 관찰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4에서는 스미어 층이 그대로 상아세관을 막고 있고, 도 1 내지 2에서는 세균이 있는 것이 관찰된다. 반면 도 5 내지 6에서는 상아세관을 막고 있는 스미어 층이 거의 제거된 것을 볼 수 있고 세균 역시 거의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7은 제조 예 2 및 3의 시료가 각각 바이오 필름을 갖는 E. faecalis에 대하여 적용된 상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8은 제조 예 2 및 3의 시료가 각각 바이오 필름을 갖는 P. endodontalis에 대하여 적용된 상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및 8에서, 제조 예 2는 GD170829로 식별되고, 제조 예 3은 GD170829P로 식별된다. 다른 두 가지의 시료에 대하여는 편의상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8의 실험을 위하여, 세균으로서, E. faecalis ATCC 29221 brain heart infusion (BD bioscience, Sparks, MD, USA) 배지를 이용하여 37℃ 호기 상태에서 배양하였고, P. endodontalis ATCC 35406은 hemin (1 ug/ml)과 vitamin K (0.2 ug/ml)가 포함된 brain heart infusion 액체 배지를 이용하여 37℃ 혐기 상태에서 배양하였다(5% H2, 10% CO2 및 85% N2).
먼저, E. faecalis를 12-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매일 기존의 액체 배지를 제거하며 새 액체 배지로 1 ml씩 교체하면서 혐기 상태에서 일주일간 배양하였다. 일주일 후에 배지를 제거하고 나서 GD170829와 GD170829P를 0.5 mg을 도포하고 37℃ 혐기 상태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후, 1 ml의 BHI 액체 배지를 넣고 스크랩퍼로 바이오 필름을 제거하며 부유액을 2 ml만큼 튜브에 옮기고 샘플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서 1,000 x g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며 세균이 포함된 상층액을 깨끗한 튜브로 옮겼다. 이후, 세균이 포함된 부유액을 10배씩 희석하고 BHI 고체 배지에 접종하고 나서 세균 수를 측정하였다. 세균 수 측정에는, 마이크로 리더를 이용하여 66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P. endodontalis에 관하여도 위와 유사한 방법론으로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 및 8의 경우 모두에서 항 바이오 필름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9는 위의 제조 예 1에 따른 시료의 서스펜션의 혼탁도를 다른 시료의 서스펜션의 혼탁도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사진이다. 여기서, CL은 제조 예 1에 따른 시료를, AC는 Apexical의 시료를, 그리고 CP는 Calcipex II의 시료를 나타낸다. 제조 예 1에 따른 시료가 침전물이 적고 서스펜션의 상태가 양호하여 제거가 용이할 것임이 명확해 보인다.

Claims (10)

  1. 수산화칼슘 성분을 기반으로 하는 근관 첩약제 조성물로서,
    수산화칼슘이나 수산화칼슘을 생성하는 성분을 분말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DMSO, NMP 및 DEGEE 중 적어도 하나를 액체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근관 첩약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증점제를 더 포함하는 근관 첩약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포함하는 근관 첩약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관 첩약제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근관 첩약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소르비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관 첩약제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및 팽창성 점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관 첩약제 조성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수용성 키틴 및 키토산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관 첩약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성분으로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근관 첩약제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은 황산 바륨, 지르코늄 산화물, 비스무스 산화물, 탄탈륨 산화물, 칼슘 텅스테이트, 비스무스 티타네이트 및 바륨 티타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관 첩약제 조성물.
KR1020177035268A 2016-11-21 2017-11-21 근관 첩약제 조성물 KR201800712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276 2016-11-21
KR20160155276 2016-11-21
PCT/KR2017/013298 WO2018093239A2 (ko) 2016-11-21 2017-11-21 근관 첩약제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572A Division KR102233620B1 (ko) 2016-11-21 2017-11-21 근관 첩약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201A true KR20180071201A (ko) 2018-06-27

Family

ID=6214559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572A KR102233620B1 (ko) 2016-11-21 2017-11-21 근관 첩약제 조성물
KR1020207003340A KR20200017542A (ko) 2016-11-21 2017-11-21 디메틸술폭시드를 포함하는 단일 페이스트형 수경성 근관 충전재를 위한 조성물
KR1020177035268A KR20180071201A (ko) 2016-11-21 2017-11-21 근관 첩약제 조성물
KR1020177035273A KR102203499B1 (ko) 2016-11-21 2017-11-21 디메틸술폭시드를 포함하는 단일 페이스트형 수경성 근관 충전재를 위한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572A KR102233620B1 (ko) 2016-11-21 2017-11-21 근관 첩약제 조성물
KR1020207003340A KR20200017542A (ko) 2016-11-21 2017-11-21 디메틸술폭시드를 포함하는 단일 페이스트형 수경성 근관 충전재를 위한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273A KR102203499B1 (ko) 2016-11-21 2017-11-21 디메틸술폭시드를 포함하는 단일 페이스트형 수경성 근관 충전재를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517508B2 (ko)
EP (2) EP3542777A4 (ko)
JP (2) JP7138633B2 (ko)
KR (4) KR102233620B1 (ko)
CN (2) CN109982680B (ko)
WO (2) WO201809323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1541A (zh) * 2019-06-06 2019-07-26 四川涑爽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氢氧化钙根管消毒糊剂及其制备方法
WO2023167574A1 (ko) * 2022-03-04 2023-09-07 주식회사 마루치 생체흡수성이 개선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296B1 (ko) * 2017-11-09 2020-01-22 주식회사 마루치 의료용 충전재 조성물
CN110882166A (zh) * 2019-12-10 2020-03-17 广州润虹医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稳定的磷酸钙根管填充剂
KR102452438B1 (ko) * 2020-09-21 2022-10-11 주식회사 마루치 의료용 시멘트 조성물
CN114767548A (zh) * 2022-04-21 2022-07-22 昆明青橙医疗科技有限公司 具有高流动性的无水根管消毒剂基质及应用其的消毒剂和应用
WO2023205886A1 (en) * 2022-04-26 2023-11-02 Pds Inc. An improved mineral trioxide aggregate filling material for dentistry and a device for its us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2177B2 (ja) * 1994-12-20 1998-03-04 豊順鉱業株式会社 粘土の活性化方法およびその生成物
US5635162A (en) * 1995-02-23 1997-06-03 Ultradent Products, Inc. Hemostatic composition for treating gingival area
JP2002255720A (ja) * 2001-03-05 2002-09-11 Gc Corp 炭酸化した水酸化カルシウム系根管充填材の溶解剤
JP2003286176A (ja) 2002-03-28 2003-10-07 Gc Corp 水酸化カルシウム系根管充填材
CN1535668A (zh) * 2003-04-07 2004-10-13 成都航利生物材料研究所 一种牙科用根管充填新材料
US20070009858A1 (en) 2005-06-23 2007-01-11 Hatton John F Dental repair material
WO2008100452A2 (en) * 2007-02-09 2008-08-21 Dentsply International Inc. Compositions containing polyvinyl pyrrolidone for treating dental pulp and filling root canals
DE102008028738A1 (de) * 2007-06-06 2008-12-11 Innotere Gmbh Implantatmaterial auf Basis eines hydraulischen Zements sowie dessen Verwendung
US20100248190A1 (en) * 2007-08-07 2010-09-30 Kerr Corporation Method of using dental composition
US20110136935A1 (en) * 2007-08-30 2011-06-09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Bone and/or dental cement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KR20100037979A (ko) 2008-10-02 2010-04-12 이노베이티브 바이오세라믹스 인코퍼레이티드 미리 혼합된 시멘트 페이스트 및 시멘트 특성 물질 제조방법
BRPI1001878B1 (pt) 2010-01-25 2017-03-28 Angelus Ind De Produtos Odontologicos S/A composição odontológica compreendendo uma fonte de cálcio
JP5665465B2 (ja) 2010-09-30 2015-02-04 クラレノリタケデンタル株式会社 象牙細管封鎖剤
WO2012146832A2 (en) 2011-04-28 2012-11-01 Oulun Yliopisto A method for improving penetration or long term adhesion of compositions to dental tissues and compositions usable in said method
KR101615622B1 (ko) * 2014-02-25 2016-04-26 주식회사 마루치 단일 페이스트형 치과용 수경성 충전재 조성물
EP3053571B1 (en) * 2015-02-05 2017-03-22 Dentsply DeTrey Gmb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particulate dental filler composi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1541A (zh) * 2019-06-06 2019-07-26 四川涑爽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氢氧化钙根管消毒糊剂及其制备方法
WO2023167574A1 (ko) * 2022-03-04 2023-09-07 주식회사 마루치 생체흡수성이 개선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30131159A (ko) * 2022-03-04 2023-09-12 주식회사 마루치 생체흡수성이 개선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38633B2 (ja) 2022-09-16
EP3542777A4 (en) 2020-07-29
KR20200063228A (ko) 2020-06-04
WO2018093239A8 (ko) 2019-04-18
EP3542778A4 (en) 2020-07-29
KR102233620B1 (ko) 2021-03-30
KR20180071202A (ko) 2018-06-27
CN110022838A (zh) 2019-07-16
CN109982680B (zh) 2022-06-21
JP2019535738A (ja) 2019-12-12
EP3542777A2 (en) 2019-09-25
CN110022838B (zh) 2022-05-13
WO2018093239A3 (ko) 2018-08-09
US11737956B2 (en) 2023-08-29
US20190321267A1 (en) 2019-10-24
WO2018093241A3 (ko) 2018-08-09
JP7083827B2 (ja) 2022-06-13
EP3542778A2 (en) 2019-09-25
EP3542778B1 (en) 2022-02-16
KR102203499B1 (ko) 2021-01-15
US20200060947A1 (en) 2020-02-27
WO2018093241A2 (ko) 2018-05-24
WO2018093239A2 (ko) 2018-05-24
KR20200017542A (ko) 2020-02-18
JP2019535739A (ja) 2019-12-12
CN109982680A (zh) 2019-07-05
US11517508B2 (en)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1201A (ko) 근관 첩약제 조성물
Asgary et al. Periradicular regeneration after endodontic surgery with calcium-enriched mixture cement in dogs
US6566418B2 (en) Calcium hydroxide-based root canal filling material
NO331317B1 (no) Anvendelse av moxifloxacin for fremstilling av et medikament for topisk og/eller lokal behandling av sar forarsaket av infeksjoner
JP5390767B2 (ja) 細菌性口腔内疾患の治療用組成物、洗浄用処理液、止血用処理液、及び、細菌性口腔内疾患の治療方法
US9757209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ntal applications involving zinc-oxide cements
JP5439642B2 (ja) 殺菌性根管充填用シーラー及び調製用キット
JP2003286176A (ja) 水酸化カルシウム系根管充填材
WO2014181299A1 (en) A product for use in the therapeutic treatment of periodontitis and peri- implantitis
WO2013067207A2 (en) An improved dental material and method
Navarro-Escobar et al. Ex vivo microbial leakage after using different final irrigation regimens with chlorhexidine
WO2023167574A1 (ko) 생체흡수성이 개선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040095998A (ko)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경성 임시 수복재
El-Sawy Endodontic Management of a Rare Abnormal Anatomy in Mandibular Second Molar: A Case Report
AU2014213007B2 (en) Slow release endodontic paste
WO2020178179A1 (en) Delivery system for providing self-hardening calcium silicate based compositions used in medical applications
JP2002255720A (ja) 炭酸化した水酸化カルシウム系根管充填材の溶解剤
JP2021519333A (ja) 抗炎症洗浄液および充填組成物を用いる歯髄治療および根管充填の方法
JP2001288028A (ja) 水酸化カルシウム系根管充填材
BR102016017688A2 (pt) Uso de um componente antimicrobiano na composição de cimentos para implantes dentári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