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189A -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 Google Patents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71189A KR20180071189A KR1020170175112A KR20170175112A KR20180071189A KR 20180071189 A KR20180071189 A KR 20180071189A KR 1020170175112 A KR1020170175112 A KR 1020170175112A KR 20170175112 A KR20170175112 A KR 20170175112A KR 20180071189 A KR20180071189 A KR 201800711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stone
- protrusion
- casing
- p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금속 원석인 스톤을 가공한 비드 내에 설치되어, 장신구 착용시 연결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자연석인 스톤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삽입케이싱과; 일단이 스톤 내에 삽입되어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삽입케이싱 전단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체결핀과; 상기 스톤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삽입케이싱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케이싱을 상기 스톤 내에 고정시키는 마감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연결형 스톤 장신구에 있어, 결합부의 안정적인 결합력과 사용 편의성을 보장하면서, 자연석인 스톤에 모듈화된 유닛을 이용하여 간단한 공정을 통해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귀금속 원석인 스톤을 가공한 비드 내에 설치되어, 장신구 착용시 연결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장신구는 사용자의 착용 위치나 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된다. 그 대표적인 예로, 귀금속 스톤(이하 '스톤'이라 한다)을 이용한 장신구는 크게 금속 체인에 스톤을 결합한 형태의 목걸이, 팔찌 등이 있고, 다수의 스톤을 연결하여 장신구를 구성하는 연결형 스톤의 목걸이, 팔찌 등이 있다.
상기 연결형 스톤 장신구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주목걸이가 있다.
이와 같은 연결형 스톤 장신구에 있어, 일반적으로는 사용자의 신체에 선택적으로 착탈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형 스톤 장신구에 사용되는 체결구는 사용자에 의한 착탈이 용이하고 체결에 대한 결합력을 안정적으로 구현하여야 함은 물론, 상기 체결구에 의해 장신구의 미관이 저해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하는 기능적 요구사항을 갖는다.
이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체결구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85559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개시된 체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의 내부에 수평 및 수직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수평방향으로 삽입된 연결촉을 수직방향으로 삽입된 연결촉체결수단이 하방으로 가압하여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촉체결수단은 스프링에 의해 볼 내측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아야 하고, 사용자는 체결구를 결합/분리하기 위해 연결촉체결수단의 상단에 형성된 버튼을 들어올려 연결촉체결수단에 의한 가압력을 해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체결구의 안정적인 결합력을 제공하고, 의도하지 않은 외결에 의해 체결구의 결속이 방지되는 장점은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볼 외부로 버튼이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장신구의 미관을 저해하여, 고급스런 장신구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더욱이 상기 버튼의 크기를 크게하면 장신구의 미관이 크게 저해되고, 상기 버튼의 크기가 작아지면 사용자의 파지가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볼 내부에 형성된 수직 및 수평 관통공의 상대적인 위치가 정확히 부합되어야 하는 정밀성을 요할 뿐만 아니라, 수직 관통공 상에는 다수의 구성품이 내삽되어야 하므로, 볼을 자연석인 스톤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어렵고, 성형가능 한 재료로 구성하여야 경제성이 확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볼을 합성수지재 등의 이형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 장신구의 장시간 사용시 변질/변색등으로 인하여 높은 품질의 장신구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연결형 스톤 장신구에 있어, 결합부의 안정적인 결합력과 사용 편의성을 보장하면서, 자연석인 스톤에 모듈화된 유닛을 이용하여 간단한 공정을 통해 결합유닛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톤 장신구의 착용시, 스톤 이외의 별도의 구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연결형 스톤 장신구의 장신구로써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가의 자연석 스톤을 체결구로 사용하므로, 체결구 내의 구성물에 대한 손상으로 체결 기능 손상시, 내부 구성물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자연석인 스톤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이 향상된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연석인 스톤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삽입케이싱과; 일단이 스톤 내에 삽입되어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삽입케이싱 전단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체결핀과; 상기 스톤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삽입케이싱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케이싱을 상기 스톤 내에 고정시키는 마감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케이싱은, 원통형의 케이싱몸체 일단에 형성되어 스톤 천공부에 밀착되는 전방삽입판과; 상기 케이싱몸체 타단에는 상기 케이싱몸체 타단을 차폐하는 후방삽입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삽입판에는, 상기 체결핀이 삽입되기 위한 전방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핀에는, 상기 체결핀에 대향하는 측면으로 연장 형성된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전방삽입공을 관통한 체결돌기가 회전하여 상기 체결핀이 상기 전방삽입판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후방삽입판에는, 상기 마감핀이 삽입되기 위한 후방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핀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후방삽입공을 관통한 고정돌기가 회전하여 상기 마감핀이 상기 후방삽입판에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케이싱 내측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전방삽입공을 관통한 체결돌기 및 상기 후방삽입공을 관통한 고정돌기를 상기 삽입케이싱 외측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 내측에는, 상기 체결돌기 및 고정돌기와 각각 면접하는 전방지지판 및 후방지지판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삽입판 내측에는, 상기 고정돌기의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후방삽입판 내측에는, 치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치형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의 상기 후방삽입판 접촉면에는 상기 치형고정부에 대응하는 치형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삽입판 내측에는, 상기 체결돌기의 회전을 제한하는 체결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전방삽입판 내측에 원호 형태로 돌출되고, 중앙부에 함몰된 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된 돌출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전방삽입판 내측에 원호 형태로 돌출되고; 중앙부에 함몰된 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되며; 전방부와 후방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는, 전방부와 후방부가 완곡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완곡면으로 함몰된 완곡안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연결형 스톤 장신구에 있어, 결합부의 안정적인 결합력과 사용 편의성을 보장하면서, 자연석인 스톤에 모듈화된 유닛을 이용하여 간단한 공정을 통해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착용된 장신구에 있어, 스톤 이외의 별도의 구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연결형 스톤 장신구의 외관이 깔끔하고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가의 자연석 스톤을 체결구로 사용함에 있어, 내부 구성물의 교체가 용이하여, 내부 구성물에 하자가 발생된 경우, 내부구성물을 교체하여 스톤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장신구 연결구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을 구성하는 삽입케이싱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을 구성하는 삽입케이싱과 마감판의 결합구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을 구성하는 삽입케이싱과 체결핀의 결합구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을 구성하는 삽입케이싱에 형성된 체결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을 구성하는 삽입케이싱에 형성된 체결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을 구성하는 삽입케이싱에 형성된 체결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삽입케이싱을 구성하는 후방삽입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을 구성하는 삽입케이싱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을 구성하는 삽입케이싱과 마감판의 결합구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을 구성하는 삽입케이싱과 체결핀의 결합구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을 구성하는 삽입케이싱에 형성된 체결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을 구성하는 삽입케이싱에 형성된 체결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을 구성하는 삽입케이싱에 형성된 체결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삽입케이싱을 구성하는 후방삽입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을 구성하는 삽입케이싱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을 구성하는 삽입케이싱과 마감판의 결합구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을 구성하는 삽입케이싱과 체결핀의 결합구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은 삽입케이싱(200), 체결핀(300) 및 마감핀(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삽입케이싱(200)은 자연석인 결합스톤(100)에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스톤(100)에는 상기 삽입케이싱(200)이 삽입되도록 관통공(110)이 천공된다.
이때, 상기 삽입케이싱(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싱몸체(250) 일단에는 상기 결합스톤(100) 관통공(110)에 밀착되는 전방삽입판(210)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몸체(250) 타단에는 상기 케이싱 타단을 차폐하는 후방삽입판(2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삽입판(210)에는 후술할 체결핀(300)이 삽입되기 위한 전방삽입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삽입판(230)에는 후술할 마감핀(400)이 삽입되기 위한 후방삽입공(2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방삽입판(210) 내측 일측에는 상기 체결돌기(3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체결턱(2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삽입판(230)에는 내측 일측에는 고정돌기(410)의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턱(2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몸체(250) 내부에는 탄성부재(500)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500) 양측에는 전방지지판(510)과 후방지지판(5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00)는 상기 체결핀(300)과 마감핀(400)을 외측으로 가압하여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전방지지판(510)과 후방지지판(520)은 각각 후술할 체결돌기(320)와 고정돌기(410)에 밀착되어 탄성부재(500)에 의한 탄성력이 안정적으로 상기 체결돌기(320)와 고정돌기(410)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체결핀(300)은 일 측이 스톤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삽입케이싱(20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핀(300) 중간에는 구분돌기(330)가 형성되어, 스톤 내 결합위치를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핀(300) 일 측에는 회전방지돌부(310)가 형성되어, 스톤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핀(300)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회전방지돌부(310)는 돌출된 형태로 스톤 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다르게는 체결핀(300) 일 측에 종방향의 절개선이 형성된 상태로 스톤 내에 삽입된 후, 상기 체결핀(300)에 축압력을 가하여 상기 회전방지돌부(3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체결핀(300)의 타측에는 상기 체결핀(300)이 상기 전방삽입공(212) 내측으로 이동된 후, 고정되기 위한 체결돌기(320)가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체결핀(300)과 상기 삽입케이싱(200)의 결합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체결핀(300)에는 상기 체결핀(300)에 대향하는 측면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체결돌기(32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돌기(320)가 종방향의 전방삽입공(212)을 관통한 이후에 회전되면, 상기 체결돌기(320)가 상기 전방삽입판(210) 내측에 걸려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상기 체결돌기(320)는 상기 전방삽입공(212)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전방지지판(510)을 통해 탄성부재(500)를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돌기(320) 전방의 체결핀(3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지지판(510)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핀(400)은 상기 결합스톤(100) 외측으로부터 상기 후방삽입판(230)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케이싱(200)이 상기 결합스톤(100)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핀(400)은 상기 후방삽입판(230)에 형성된 종방향의 후방삽입공(232)에 삽입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후방삽입판(230)에 결합되는 고정돌기(410)와, 상기 결합스톤(100)의 관통부에 밀착되어 차폐하는 마감판(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고정돌기(410)가 상기 고정돌기(410)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후방삽입공(232)을 관통하여 회전되면 상기 후방삽입판(230) 내측에 걸려 고정되고,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410)의 회전은 고정턱(240)에 의해 제한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410)가 상기 후방지지판(520)을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핀(400)에는 인접한 스톤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고리(43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체결돌기(320)와 체결턱(220)은 사용자의 사용성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체결돌기와 고정돌기의 다양한 결합형태에 대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을 구성하는 삽입케이싱에 형성된 체결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을 구성하는 삽입케이싱에 형성된 체결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체결유닛을 구성하는 삽입케이싱에 형성된 체결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삽입케이싱을 구성하는 후방삽입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턱(220A)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전방 삽입판(210) 내측에 원호 형태로 돌출 형성된 돌출턱(221) 중앙에 안착홈(22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돌기(220A)는 상기 돌출턱(221) 이상의 깊이로 눌려진 상태로 회전되어야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체결돌기(220A)가 상기 안착홈(223)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체결핀(300)의 회전이 방지되어 결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턱(220B)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체결턱(220B)의 돌출턱(221) 전방부와 후방부가 경사면(225)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턱(221) 중앙에 안착홈(22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체결핀(300)을 회전시키면, 상기 체결돌기(320)가 상기 경사면(225)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체결돌기(320)가 상기 안착홈(223)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체결핀(300) 결합시 상기 체결핀(300)을 눌러 회전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턱(220C)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체결턱(220C)의 돌출턱 전방부와 후방부가 완곡경사면(227)으로 형성되고, 상기 완곡경사면 중앙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완곡면으로 형성되는 완곡안착부(229)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핀(300)은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완곡경사면(227)과 완곡안착부(229)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결핀(300)의 회전만으로 상기 체결돌기(320)를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결합 안정성과 사용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감핀(400)과 삽입케이싱(200)과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삽입판(230) 내측에는 치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치형고정부(234)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고정돌기(410)의 상기 후방삽입판(230) 접촉면에는 상기 치형고정부(234)에 대응하는 치형돌기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삽입공(232)을 관통한 고정돌기(410)가 회전되면서 상기 치형고정부(234)에 상기 고정돌기(410)의 치형돌기가 결합하고, 상기 고정돌기(410)가 탄성부재(500)에 가압되면, 상기 고정돌기(410)의 회전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귀금속 원석인 스톤을 가공한 비드 내에 설치되어, 장신구 착용시 연결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연결형 스톤 장신구에 있어, 결합부의 안정적인 결합력과 사용 편의성을 보장하면서, 자연석인 스톤에 모듈화된 유닛을 이용하여 간단한 공정을 통해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결합스톤
110 : 관통공
200 : 삽입케이싱 210 : 전방삽입판
212 : 전방삽입공 220 : 체결턱
221 : 돌출턱 223 : 안착홈
225 : 경사면 227 : 완곡경사면
229 : 완곡안착부 230 : 후방삽입판
232 : 후방삽입공 240 : 고정턱
250 : 케이싱몸체 300 : 체결핀
310 : 회전방지돌부 320 : 체결돌기
330 : 구분돌기 400 : 마감핀
410 : 고정돌기 420 : 마감판
430 : 연결고리 500 : 탄성부재
510 : 전방지지판 520 : 후방지지판
200 : 삽입케이싱 210 : 전방삽입판
212 : 전방삽입공 220 : 체결턱
221 : 돌출턱 223 : 안착홈
225 : 경사면 227 : 완곡경사면
229 : 완곡안착부 230 : 후방삽입판
232 : 후방삽입공 240 : 고정턱
250 : 케이싱몸체 300 : 체결핀
310 : 회전방지돌부 320 : 체결돌기
330 : 구분돌기 400 : 마감핀
410 : 고정돌기 420 : 마감판
430 : 연결고리 500 : 탄성부재
510 : 전방지지판 520 : 후방지지판
Claims (12)
- 자연석인 스톤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삽입케이싱과;
일단이 스톤 내에 삽입되어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삽입케이싱 전단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체결핀과;
상기 스톤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삽입케이싱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케이싱을 상기 스톤 내에 고정시키는 마감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케이싱은,
원통형의 케이싱몸체 일단에 형성되어 스톤 천공부에 밀착되는 전방삽입판과;
상기 케이싱몸체 타단에는 상기 케이싱몸체 타단을 차폐하는 후방삽입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삽입판에는, 상기 체결핀이 삽입되기 위한 전방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핀에는, 상기 체결핀에 대향하는 측면으로 연장 형성된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전방삽입공을 관통한 체결돌기가 회전하여 상기 체결핀이 상기 전방삽입판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삽입판에는, 상기 마감핀이 삽입되기 위한 후방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핀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후방삽입공을 관통한 고정돌기가 회전하여 상기 마감핀이 상기 후방삽입판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케이싱 내측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상기 전방삽입공을 관통한 체결돌기 및 상기 후방삽입공을 관통한 고정돌기를 상기 삽입케이싱 외측으로 가압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내측에는,
상기 체결돌기 및 고정돌기와 각각 면접하는 전방지지판 및 후방지지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삽입판 내측에는, 상기 고정돌기의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삽입판 내측에는,
치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치형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의 상기 후방삽입판 접촉면에는 상기 치형고정부에 대응하는 치형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삽입판 내측에는,
상기 체결돌기의 회전을 제한하는 체결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전방삽입판 내측에 원호 형태로 돌출되고, 중앙부에 함몰된 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된 돌출턱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전방삽입판 내측에 원호 형태로 돌출되고;
중앙부에 함몰된 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되며;
전방부와 후방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전방부와 후방부가 완곡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완곡면으로 함몰된 완곡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3519 | 2016-12-19 | ||
KR20160173519 | 2016-12-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1189A true KR20180071189A (ko) | 2018-06-27 |
KR102010763B1 KR102010763B1 (ko) | 2019-08-14 |
Family
ID=6278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5112A KR102010763B1 (ko) | 2016-12-19 | 2017-12-19 |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076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03307A (zh) * | 2019-09-11 | 2019-11-05 | 刘海燕 | 一种项链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5559B1 (ko) | 2001-03-29 | 2003-05-27 | 김종원 | 브라운관 패널 연마장치용 랩 공급 컨넥션장치 |
KR200400292Y1 (ko) * | 2005-08-24 | 2005-11-04 | 김두린 | 악세사리용 체결구 |
JP2010012181A (ja) * | 2008-07-07 | 2010-01-21 | Mikimoto Soshingu:Kk | 装身具用留め具 |
JP5660489B2 (ja) * | 2010-07-14 | 2015-01-28 | 株式会社パールスペンサー | 装身具用留め具及びこれを用いた装身具 |
-
2017
- 2017-12-19 KR KR1020170175112A patent/KR1020107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5559B1 (ko) | 2001-03-29 | 2003-05-27 | 김종원 | 브라운관 패널 연마장치용 랩 공급 컨넥션장치 |
KR200400292Y1 (ko) * | 2005-08-24 | 2005-11-04 | 김두린 | 악세사리용 체결구 |
JP2010012181A (ja) * | 2008-07-07 | 2010-01-21 | Mikimoto Soshingu:Kk | 装身具用留め具 |
JP5660489B2 (ja) * | 2010-07-14 | 2015-01-28 | 株式会社パールスペンサー | 装身具用留め具及びこれを用いた装身具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03307A (zh) * | 2019-09-11 | 2019-11-05 | 刘海燕 | 一种项链 |
CN110403307B (zh) * | 2019-09-11 | 2021-09-14 | 深圳市星光达珠宝首饰实业有限公司 | 一种项链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0763B1 (ko) | 2019-08-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675587C2 (ru) | Элемент украше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 |
JP2005508660A (ja) | 交換可能な宝石のセッティング | |
JP2017533783A5 (ko) | ||
JP2007160083A (ja) | クラスプ | |
KR101535640B1 (ko) |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 |
US7481075B2 (en) | Jewelry piece with a replaceable-exchangeable setting and attachment mechanism and setting apparatus therefor | |
KR20180071189A (ko) |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 |
KR101364522B1 (ko) | 피어싱 또는 귀걸이로 전환 사용이 용이한 액세서리 | |
KR101454767B1 (ko) |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반지 | |
KR101680244B1 (ko) | 장신구용 결합장치 | |
US8701440B1 (en) | Jewelry mount for securing interchangeable ornaments | |
US8201417B1 (en) | Jewelry mount with safety catch | |
JP4431066B2 (ja) | 耳止具 | |
JP2016202616A (ja) | クラスプ | |
KR100700202B1 (ko) | 클립형 체결장치 | |
KR101924512B1 (ko) | 장신구용 연결구 | |
KR200280016Y1 (ko) | 장식체 교체형 반지 | |
KR200242625Y1 (ko) | 장식이 탈부착되는 반지 | |
JP3135957U (ja) | 装身具 | |
KR101828755B1 (ko) | 귀걸이 고정구 | |
US9149094B2 (en) | Adapter for ornamental accessory | |
KR101887487B1 (ko) | 귀걸이 고정구 | |
KR200407580Y1 (ko) | 장신구 체결구조 | |
KR200210901Y1 (ko) | 장신구용 체결장치 | |
JP2006116275A5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