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140A -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140A
KR20180070140A KR1020160172457A KR20160172457A KR20180070140A KR 20180070140 A KR20180070140 A KR 20180070140A KR 1020160172457 A KR1020160172457 A KR 1020160172457A KR 20160172457 A KR20160172457 A KR 20160172457A KR 20180070140 A KR20180070140 A KR 20180070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mission
coupon
mobil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단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단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단테
Priority to KR1020160172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0140A/ko
Publication of KR20180070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6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e.g. location of the game device or player us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8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은 서로 연동되는 게임 서버, 게임 쿠폰 자판기, 참가자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 등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오프 라인 통합형으로 보물찾기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on/off line integrated type seeking treasure game system}
본 발명은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프라인 상에 행해지던 보물찾기 게임을 서로 연동되는 게임 서버, 게임 쿠폰 자판기, 참가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즐길 수 있는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해졌다. 특히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서 게임 등의 다양한 콘텐츠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1인당 1대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시를 소유하는 널리 대중화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보물찾기 게임은 소풍이나 야유회 등에서 많이 행해지고 있고, 임의에 장소에 보물에 대한 상품이 적힌 인식표를 숨기고, 찾는 사람에게 인식표에 새겨진 해당 상품으로 교환해주는 게임방식이다. 이러한 보물찾기 게임은 많은 인원의 단체들이 특정 행사에서나 행해지고 있고, 가족 단위의 여행객들은 즐길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근래에는 핵가족화로 인하여 가족 간의 유대가 점점 약해지고 있는 현실이다. 특히, 관광지나 지역 축제 등으로 여행을 가더라도 단순한 볼거리만 구경하고, 관광지에서 주최하는 지역축제에만 참여하는 데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 10-2012-0087243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로 연동되는 게임 서버, 게임 쿠폰 자판기, 참가자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 등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오프 라인 통합형으로 보물찾기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은, 게임 수행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게임 서버;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게임 서버와 연동되며 상기 게임 서버를 통하여 미션 데이터 및 게임 참가 쿠폰 데이터를 포함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게임 쿠폰 자판기; 및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와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상기 게임 서버와는 제1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며,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로부터 수신된 게임 진행 정보에 따른 미션 수행 여부를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인증받으며, 상기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수행된 미션에 대응되는 상품 쿠폰을 수신하는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는, 상기 제1 통신망이 안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로 전송된 게임 진행 정보를 상기 게임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1 통신망이 불안정한 상태에서는 촬영시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참가자 단말기로 전송된 게임 진행 정보를 상기 게임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실행 명령이 인코딩된 이미지 코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는, 상기 참가자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게임 진행 정보에 따른 미션을 수행할 수 있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된 게임 진행 정보에 따른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는,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게임 진행 정보에 따른 미션을 수행할 수 있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된 게임 정보에 따른 미션 수행이 가능함을 알리는 알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게임 진행 정보에 따른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미션 수행을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추가적으로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게임 진행 정보에 따른 미션 수행을 위한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마련되어 있음에도 미션 수행을 위한 별도의 GUI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게임 정보에 따른 미션이 특정 사물에 대한 촬영 미션이면, 상기 특정 사물이 상기 참가자 단말기의 카메라에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의 화면에 촬상된 상기 특정 사물 위에 촬영 대상임을 알리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미션은 미리 그룹으로 등록된 복수의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에 부여되는 복수의 하위 미션을 포함하는 그룹 미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임 서버는,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를 통하여 특정 그룹 미션이 상기 복수의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에 부여된 경우, 상기 복수의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들 각각에 부여된 하위 미션의 수행 정도에 따라 상기 특정 그룹 미션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특정 그룹 미션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로 상기 그룹 미션에 대응되는 상품 쿠폰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미션은, 등록된 복수의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그룹에 할당되며, 각각이 복수의 하위 미션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그룹 미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임 서버는,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를 통하여 상기 제1 그룹에 상기 제1 그룹 미션이 부여되고 상기 제2 그룹에 상기 제2 그룹 미션이 부여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 2 그룹에 포함된 이동형 참자가 단말기들의 하위 미션 수행 여부를 스코어화하여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의 승패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승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그룹 에 포함된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들로 상품 쿠폰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시스템은, 상기 게임 서버의 제어 하에, 미리 정해진 시점 및 참가자 단말기의 위치를 고려하여 게임 진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미션 수행 대상으로 동작하는 게임 진행 보조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은, 참가자의 이동형 단말기와 연계하여 특정 지역에서 쉽게 즐길 수 있는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은, 개인 및 단체를 대상으로 보물찾기 게임을 통하여 여행지나 관광지 등에 특화된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은, 게임 서버와 게임 쿠폰 자판기 사이의 통신이 불안정한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은, 개인뿐만 아니라 단체가 함께 참가할 수 있는 그룹형 보물찾기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좀 더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에서 보물찾기 게임이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을 구성하는 게임 쿠폰 자판기의 블락도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에 의하여 보물찾기 게임이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에 의하여 보물찾기 게임 진행에 이용되는 미션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의 보물찾기 게임 진행 방법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보물찾기 게임 진행 방법을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의 보물찾기 게임 진행 방법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보물찾기 게임 진행 방법의 수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의 보물찾기 게임 진행 방법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보물찾기 게임 진행 방법의 수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의 보물찾기 게임 진행 방법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보물찾기 게임 진행 방법의 수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100)은 게임 서버(200), 게임 쿠폰 자판기(300), 및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로 구성된다.
상기 게임 서버(200)는 게임 수행을 전반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는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게임 서버와 연동되며 상기 게임 서버를 통하여 미션 데이터 및 쿠폰 데이터를 포함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는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와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상기 게임 서버(200)와는 제1 통신망을 통해 연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는 보물찾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로부터 수신된 게임 진행 정보에 따른 미션 수행 여부를 상기 게임 서버(200)로부터 인증받으며, 상기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서버(200)로부터 수행된 미션에 대응되는 상품 쿠폰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 통신, 와이파이 통신, NFC 통신 등일 수 있고, 상기 제1 통신망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인터넷일 수 있고, 상기 제2 통신망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망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100)은 상기 게임 서버(200)의 제어 하에, 미리 정해진 시점 및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의 위치를 고려하여 게임 진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미션 수행 대상으로 동작하는 게임 진행 보조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임 진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보조 장치에는 전광판, 스피커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미션 수행 대상이 되는 보조 장치에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움직이거나 이동하는 인형이나 물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100)에서 활용할 수 있는 보조 장치가 상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100)에서 보물찾기 게임이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게임 쿠폰 자판기(300)에서 미션 데이터 및 게임 쿠폰 데이터를 포함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게임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S100). 이러한 게임 진행 정보는 보물찾기 게임 개시 이전에 미리 수신하여 저장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가 설치된 장소에 따라서 상기 게임 서버(200)와의 통신 상태가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다음,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가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로 미션 데이터 및 게임 참가 쿠폰 데이터를 포함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전송한다(S110). 그러면,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에서는 부여된 미션에 대응되는 기능을 자동 실행하고 게임 참가자의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부여된 미션이 수행된다(S120).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에 부여된 미션은 특정 물체를 촬영하는 미션, 특정 장소를 촬영하는 미션, 특정 행위를 하는 미션, 퀴즈나 수수께끼를 푸는 미션, 특정 장소로 이동하는 미션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에서 미션이 수행되면 상기 게임 서버(200)는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에서 수행된 미션의 수행을 인증하고(S130), 상기 수행된 미션에 대응되는 보물 쿠폰을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S140). 그러면 게임 참가자는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의 쿠폰을 이용하여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에 보관된 보물을 수령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보물 쿠폰이 전자 쿠폰인 경우에는 게임 참가자는 상기 전자 쿠폰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게임 쿠폰 자판기(300)의 블락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는 상품 보관부(310), 상품 출구(320), 컨트롤 모듈(330), 데이터 저장부(350), 정보 입력부(360), 정보 출력부(370), 및 결제부(38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는 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의 동작은 상기 컨트롤 모듈(330)에 의하여 전반적으로 제어되는데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의 구동은 상기 데이터 저장부(35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동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저장부(350)에는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의 구체적인 보물찾기 게임 보조 기능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는 결제부(380)를 통하여 게임 쿠폰 판매를 위한 현금입출금 및 카드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 쿠폰은 보물찾기 게임에 참가하는 자격, 보물찾기 게임에 대한 힌트를 제공하는 쿠폰, 보물찾기 게임 진행 영역에서 물품을 구매하는 쿠폰 등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는 상품 보관부(310)에 보관 또는 진열된 등급에 따른 상품(또는 보물)에 대한 입/출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는 보물찾기 게임을 통하여 획득된 상품 쿠폰에 대응되는 정보가 상기 정보 입력부(360)를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상품 쿠폰에 대응되는 등급의 상품을 상기 상품 출구(420)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 입력부(360)를 통하여 수신되는 정보는 선물에 대응되는 바코드 정보나 QR 코드 정보, 보물찾기 게임에 참가한 단말기에 저장된 전자 정보 등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는 상기 통신부(340)를 통하여 상기 게임 서버(200)와 각종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는 상기 통신부(340)를 통하여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와 각종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서버(200)와 송수신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는 보물찾기 게임 참가자와 관련된 정보, 쿠폰 관련 정보, 상품 입/출고 관련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예들을 살펴본다.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는 쿠폰 구매 행위나 상품 입/출고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340)를 통하여 게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는 보물찾기 게임 결과에 따른 상품 쿠폰 정보를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하여 수신 상기 게임 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는 보물 찾기 게임 진행에 필요한 결제, 힌트의 전달, 게임 진행 과정에 대한 설명, 보물찾기 게임 진행에 필요한 각종 미션 수행 방법에 대한 설명 기능을 정보 출력부(370)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출력부(370)는 영상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을 위한 음향 출력부, 및 프린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보 입력부(360)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며, 마이크, 카메라, 바코드 입력기, 터치 스크린, 각종 입력 버튼, 각종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는 상기 정보 입력부(360)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념 사진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는 촬영된 사진을 상기 게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게임 서버(200)는 수신된 사진을 게임에 참가한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게임 관련 사진으로 보관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는 상기 정보 입력부(360)에 포함된 입력 수단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여 언어 선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100)에 의하여 보물찾기 게임이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는 게임 쿠폰 자판기(300)의 정보 입력부(360) 및 결제부(380)를 통하여 게임 쿠폰을 구매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4b는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을 통하여 제공되는 보물찾기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통하여 게임 쿠폰을 구매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c는 게임 참가자가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를 통하여 제공되는 보물찾기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통하여 제공되는 보물지도에 나타난 보물상자를 선택하여 보물찾기 게임에 참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d는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의 보물찾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통하여, 게임 참가자가 도 4c의 과정을 통해 선택한 보물찾기 게임에, 쿠폰을 사용하여 게임을 시작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4e는 사용자가 참가한 보물찾기 게임 진행시 게임 참가자가 수행해야할 미션이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를 통하여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며, 도 4f는 게임 참가자가 수행해야 할 미션을 수행한 경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로 선물 쿠폰이 전달된 것을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100)에 의하여 보물찾기 게임 진행에 이용되는 미션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100)에 의하여 제공되는 미션은 보물찾기 게임 대상 영역 내의 특정 물체를 촬영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100)에 의하여 제공되는 미션은 수행 시 게임 진행시 상금을 획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100)에 의하여 제공되는 미션은 사용자가 특정 행위(예컨대, 이동)를 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100)에 의하여 부여되는 미션은 이상에서 살펴본 것들 이외에도 다양한 미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100)의 보물찾기 게임 진행 방법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보물찾기 게임 진행 방법을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게임 쿠폰 자판기(300)는 보물찾기 게임 진행에 필요한 각종 정보(게임 참가 쿠폰 정보, 각종 미션 정보 등)를 게임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S200). 이 상태에서 게임 참가자가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를 통하여 게임 참가 쿠폰을 구매한다(S210). 그러면,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는 상기 게임 서버(200)와의 통신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한다(S220).
만약, 상기 게임 서버(200)와의 통신 상태가 안정된 상태이면(S220, YES),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는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로 쿠폰 구매에 다른 미션 데이터 및 게임 참가 쿠폰 데이터를 포함하는 게임 진행 정보(게임 참가 쿠폰 정보, 부여된 미션 정보, 참가자 단말기 정보 등)를 게임 서버(200)로 전송한다(S230). 이때 게임 진행 정보의 전송은 유선 인터넷 통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게임 서버(200)와의 통신 상태가 불안정한 상태이면(S220, NO),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는 쿠폰 구매에 따른 게임 진행 정보를 상기 게임 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실행 명령이 인코딩된 이미지 코드를 디스플레이한다(S240). 이러한 이미지 코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QR 코드가 일 수도 있으나, 바코드 등 다른 종류의 이미지 코드일 수도 있다.
그러면 게임 참가자가 자신의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코드를 촬영하면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는 게임 진행 정보를 게임 서버(200)로 전송한다(S250). 이러한 게임 정보의 진행은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보물찾기 게임이 산간이나 도서 지역 등 오지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게임 쿠폰 자판기(300)가 이용하은 유선 통신망에 비하여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가 이용하는 이동 통신망의 통신망 상태가 양호한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 방법에 따르면 보다 안정적인 보물찾기 게임 진행이 가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100)의 보물찾기 게임 진행 방법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보물찾기 게임 진행 방법의 수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참가자가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부여된 미션 수행을 위한 보물찾기 게임을 진행한다(S330). 그러면,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 또는 게임 서버(200)는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의 위치가 부여된 미션 수행 가능 위치 내인지를 판단한다(S310).
만약,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가 부여된 미션 수행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하면,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는 부여된 미션 수행이 가능함을 알리는 알람 기능을 수행한다(S320). 그런 다음,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는 부여된 미션 수행을 위한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한다(S330).
도 9를 참조하면, 부여된 미션인 특정 건물을 촬영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는 이를 진동으로 알림과 동시에 미션 수행이 가능한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는 메시지 또는 이미지(붉은 점선 박스 참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게임 참가자는 알람을 인지한 다음 특정 건물 촬영 미션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촬영 미션 수행을 위한 촬영 기능 또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한 경우,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촬영 기능 또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미션 수행을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의 예와 달리,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촬영 미션 수행을 위한 별도의 G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100)에서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는 수신된 게임 진행 정보에 따른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미션 수행을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오버랩하여 표시하거나, 수신된 게임 진행 정보에 따른 미션 수행을 위한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마련되어 있음에도 미션 수행을 위한 별도의 GUI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부여된 미션이 특정 사물에 대한 촬영 미션이면,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는 상기 특정 사물이 상기 참가자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의 화면에 촬상된 상기 특정 사물 위에 촬영 대상임을 알리는 GUI를 표시할 수도 있다. 그러면 게임 참가자는 특정 사물이 촬영 대상이됨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게임 참가자는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를 통한 알람 기능을 통하여 보물찾기 게임 진행을 위한 미션 가능 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에서의 미션 수행을 위한 기능이나 애플리케이션의 자동 실행 기능을 통하여 빠르고 용이하게 미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100)의 보물찾기 게임 진행 방법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보물찾기 게임 진행 방법의 수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게임 쿠폰 자판기(300)에는 복수의 하위 미션을 포함하는 그룹 미션 정보가 저장되고, 미리 그룹으로 지정/등록된 복수의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에 특정 그룹 미션이 부여된다(S400). 참가자 그룹의 등록 및 그룹 미션의 부여는 상기 자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게임 서버(200)에 접속한 게임 참가 예정자가 상기 게임 서버(200)에 등록할 수도 있다.
도 12는 게임 참가 방식이 개인 참가자인지 아니면 그룹 참여 방식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GUI이다. 도 13의 (a)는 개인 참가 방식인 경우 참가자 단말기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GUI이며, 도 13의 (b)는 그룹 참가 방식인 경우 참가자 단말기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GUI이다. 도면에는 그룹 참가 방식의 인원이 2 또는 3으로 한정되나 그 이상의 인원이 그룹으로 참여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GUI는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고,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400)에서 제공하는 것일 수도 있고, 상기 게임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를 통하여 특정 그룹 미션이 상기 복수의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에 부여된 다음 게임이 개시되면, 상기 게임 서버(200)는 상기 복수의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들 각각에 부여된 하위 미션의 수행 여부를 체크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상기 복수의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들로 제공한다(S410).
도 14를 참조하면, 4명으로 구성된 그룹 참가자들의 단말기(400)로 그룹의 참가자, 참가자에 부여된 미션, 각 참가자의 미션 수행 여부, 그룹 미션의 수행율 등의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게임 서버(200)에 의하여 전달되는 그룹 미션 수행 상태 정보가 도 14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게임 서버(200)는 각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에서의 하위 미션 수행 여부에 따라 상기 특정 그룹 미션의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S420). 만약, 상기 특정 그룹 미션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게임 서버(200)는 상기 복수의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로 상기 특정 그룹 미션에 대응되는 보물 쿠폰을 전송한다(S430).
이상에서도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100)은 개인뿐만 아니라 단체 참가자들을 상대로 하여서도 협동심, 소속감, 연대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보물찾기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그 진행 상태를 게임 참가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원할한 게임의 수행 및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100)의 보물찾기 게임 진행 방법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보물찾기 게임 진행 방법의 수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게임 쿠폰 자판기(300)에는 각각이 복수의 하위 미션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그룹 미션 정보가 저장되고, 각각이 복수의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그룹이 등록된다(S500). 이러한 등록은 앞서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300), 참가자 단말기, 게임 서버(200) 중 하나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제1 그룹에는 제1 그룹 미션이 부여되고 상기 제2 그룹에는 제2 그룹 미션이 부여된다(S510). 그런 다음, 게임이 개시되면, 상기 게임 서버(200)는 상기 복수의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들 각각에 부여된 하위 미션의 수행 여부를 체크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상기 복수의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들로 제공한다(S520).
도 16을 참조하면, 2개의 그룹이 대항 게임을 진행하는 경우에 상기 게임 서버(200)는 각 그룹의 미션 수행율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세 보기 버튼을 터치할 경우, 상기 게임 서버(200)는 각 그룹의 참가자 단말기들의 하위 미션 수행에 관한 상세 정보(예컨대, 도 14 참조)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상기 게임 서버(200)는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의 각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에서의 하위 미션 수행 여부를 스코어화 하여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의 승패 여부를 결정한다(S530). 그리고, 상기 결정된 승패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그룹에 포함된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들로 상품 쿠폰을 전송한다(S540).
이상에서도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100)은 협동심, 소속감, 연대감과 재미와 긴장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그룹 대항 보물찾기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 200: 게임 서버
300: 게임 쿠폰 자판기 310: 상품 보관함
320: 상품 출구 330: 컨트롤 모듈
340: 통신부 350: 데이터 저장부
360: 정보 입력부 370: 정보 출력부
380: 결제부 400: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

Claims (8)

  1. 게임 수행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게임 서버;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게임 서버와 연동되며 상기 게임 서버를 통하여 미션 데이터 및 게임 참가 쿠폰 데이터를 포함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게임 쿠폰 자판기; 및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와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상기 게임 서버와는 제1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며,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로부터 수신된 게임 진행 정보에 따른 미션 수행 여부를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인증받으며, 상기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수행된 미션에 대응되는 상품 쿠폰을 수신하는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는, 상기 제1 통신망이 안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로 전송된 게임 진행 정보를 상기 게임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1 통신망이 불안정한 상태에서는 촬영시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참가자 단말기로 전송된 게임 진행 정보를 상기 게임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실행 명령이 인코딩된 이미지 코드를 디스플레이 하며,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는,
    상기 참가자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게임 진행 정보에 따른 미션을 수행할 수 있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된 게임 진행 정보에 따른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는,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게임 진행 정보에 따른 미션을 수행할 수 있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된 게임 정보에 따른 미션 수행이 가능함을 알리는 알람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게임 진행 정보에 따른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미션 수행을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추가적으로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게임 진행 정보에 따른 미션 수행을 위한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마련되어 있음에도 미션 수행을 위한 별도의 GUI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게임 정보에 따른 미션이 특정 사물에 대한 촬영 미션이면, 상기 특정 사물이 상기 참가자 단말기의 카메라에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의 화면에 촬상된 상기 특정 사물 위에 촬영 대상임을 알리는 GUI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은 미리 그룹으로 등록된 복수의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에 부여되는 복수의 하위 미션을 포함하는 그룹 미션을 포함하며,
    상기 게임 서버는,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를 통하여 특정 그룹 미션이 상기 복수의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에 부여된 경우, 상기 복수의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들 각각에 부여된 하위 미션의 수행 정도에 따라 상기 특정 그룹 미션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특정 그룹 미션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로 상기 그룹 미션에 대응되는 상품 쿠폰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은, 등록된 복수의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그룹에 할당되며, 각각이 복수의 하위 미션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그룹 미션을 포함하며,
    상기 게임 서버는,
    상기 게임 쿠폰 자판기를 통하여 상기 제1 그룹에 상기 제1 그룹 미션이 부여되고 상기 제2 그룹에 상기 제2 그룹 미션이 부여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 2 그룹에 포함된 이동형 참자가 단말기들의 하위 미션 수행 여부를 스코어화하여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의 승패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승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그룹 에 포함된 이동형 참가자 단말기들로 상품 쿠폰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시스템은,
    상기 게임 서버의 제어 하에, 미리 정해진 시점 및 참가자 단말기의 위치를 고려하여 게임 진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미션 수행 대상으로 동작하는 게임 진행 보조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
KR1020160172457A 2016-12-16 2016-12-16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 KR201800701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457A KR20180070140A (ko) 2016-12-16 2016-12-16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457A KR20180070140A (ko) 2016-12-16 2016-12-16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140A true KR20180070140A (ko) 2018-06-26

Family

ID=62788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457A KR20180070140A (ko) 2016-12-16 2016-12-16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01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728A (ko) * 2021-01-21 2022-07-28 주식회사 플랜벅스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
KR102644226B1 (ko) * 2023-09-13 2024-03-07 (주) 알트소프트 기준 영역별로 진행되는 소셜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243A (ko) 2010-12-09 2012-08-07 문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가상 보물찾기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243A (ko) 2010-12-09 2012-08-07 문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가상 보물찾기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728A (ko) * 2021-01-21 2022-07-28 주식회사 플랜벅스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
KR102644226B1 (ko) * 2023-09-13 2024-03-07 (주) 알트소프트 기준 영역별로 진행되는 소셜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8169B2 (en) Interactive entertainment using a mobile device with object tagging and/or hyperlinking
CN102958573B (zh) 虚拟和基于地点的多玩家游戏
CN104992137A (zh) 一种在线互动方法及系统
KR20080088353A (ko) 공용 게임 화상과 개인용 게임 화상을 출력하기 위한화상정보를 생성하는 게임시스템 및 그 방법
US10963898B2 (en) Computer system for performing display control for advertisement
TW201210666A (en) Game system
CN109644220B (zh) 移动终端协作系统以及服务信息分发方法
KR102634015B1 (ko) 게임 관전 시스템, 프로그램, 관전 단말기 및 접속 장치
US20180181977A1 (en) System for giving entertainment element in return for watching advertisement
US20190038962A1 (en) Pinball machine and redemption system
JP2016076078A (ja) マッチングシステム
CN106457044A (zh) 游戏装置、游戏系统及程序
JP2004199204A (ja) 情報提供装置
KR101620475B1 (ko) 보물찾기 게임 서버
KR20180003017A (ko) 위치 기반 미션 수행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0140A (ko)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시스템
KR20180070166A (ko) 온/오프 라인 통합형 보물찾기 게임 방법
US9427661B1 (en) Social networking game with integrated social graph
US202301624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03745385A (zh) 通过手机和现代网络技术完成抽奖、兑奖的促销方法
JP6909827B2 (ja) 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12839A (ko) Ict 기술을 연동한 사용자 체험 기반 디지털 융복합 테마파크 운영시스템
CN110384930A (zh) 一种互动游戏群组构建方法、装置、介质和电子设备
KR102605262B1 (ko) 게임 지원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정보 통신 단말기
US20240033622A1 (en)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