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137A -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 - Google Patents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137A
KR20180070137A KR1020160172451A KR20160172451A KR20180070137A KR 20180070137 A KR20180070137 A KR 20180070137A KR 1020160172451 A KR1020160172451 A KR 1020160172451A KR 20160172451 A KR20160172451 A KR 20160172451A KR 20180070137 A KR20180070137 A KR 20180070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l
unit
detection sensor
sensor uni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재
박영균
Original Assignee
박용재
박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재, 박영균 filed Critical 박용재
Priority to KR102016017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0137A/ko
Publication of KR20180070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1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Abstract

본 발명은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 또는 지면으로 이동하는 동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본체의 상부와 전후좌우 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하는 동물을 감지하도록 된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동물이 감지되면, 경보하도록 된 경보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동물이 감지되면, OFF 상태에서 ON상태로 표시하도록 된 다수 개의 LED표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와 경보부와 LED표시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논 또는 밭, 과수원 등에 침입하여 작물에 피해를 주는 야생 조류 및 동물을 퇴치시키면서, 공중으로 날아다니며 이동하는 조류나 지면으로 이동하는 동물등의 출몰시간과 출몰위치 및 보호구역 주변을 이동하는 야생동물들의 이동경로를 손쉽게 파악하고, 장기적으로 동물들이 침입하는 경로를 파악하여 빈도수가 높은 침입경로를 파악하여 근본적으로 침입방지를 위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게 하는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Expelling apparatus Wild Animals}
본 발명은 논 또는 밭, 과수원 등에 침입하여 작물에 피해를 주는 야생 조류 및 동물을 퇴치하기 위한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논, 밭, 과수원 등에 침입한 동물에게 빛 또는 소리로 경고하여 퇴치시키면서, 장기적으로 동물들이 침입하는 경로를 파악하여 빈도수가 높은 침입경로를 파악하여 근본적으로 침입방지를 위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게 하는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농작물을 재배하는 경작지에서는 고라니나 너구리 등의 야생동물 또는 도둑의 침입에 의한 농작물의 훼손 및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작지를 울타리로 둘러싸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의 울타리는 쉽게 구멍이 뚤리거나 파손되어 최근에는 접촉시 전기적 충격이 가해지는 전기울타리 등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전기울타리는 설치 및 유지 관리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비나 눈이 오는 경우 누전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조류들이 싫어하는 경보음을 발생하게 하여 퇴치하는 방법과 빛을 발산하여 야행성 동물을 퇴치하기 위한 방법들이 제시된 바 있으나, 단지 경보음 또는 빛의 발산만을 이용함으로써 그 효력에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전기울타리의 경우, 전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누전에 의한 신체적 위험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야생동물 등이 울타리를 통해 경작지로 침입 시 이를 감지하여 작동되는 음향 및 빛의 깜빡거림에 야생동물들이 익숙해진 후에는 경작지 내로 야생동물의 침입이 자유로워 지므로 농작물을 훼손 및 손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논 또는 밭, 과수원 등에 침입하여 작물에 피해를 주는 야생 조류 및 동물을 퇴치시키면서, 공중으로 날아다니며 이동하는 조류나 지면으로 이동하는 동물 등의 출몰시간과 출몰위치 및 보호구역 주변을 이동하는 야생동물들의 이동경로를 손쉽게 파악하고, 장기적으로 동물들이 침입하는 경로를 파악하여 빈도수가 높은 침입경로를 파악하여 근본적으로 침입방지를 위한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보호구역 내부로 야생동물이 침입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지상 또는 지면으로 이동하는 동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본체(102)의 상부와 전후좌우 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하는 동물을 감지하도록 된 감지센서부(104)와; 상기 감지센서부(104)에 의해 동물이 감지되면, 경보하도록 된 경보부(106)와;상기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부(104)에서 동물이 최초에 감지되면, 상기 감지센서부(104)에 할당된 LED가 적색으로 ON 되고, 그 후에는 다른 모든 감지센서부(104)에서 동물이 감지되면 해당 감지센서부(104)에 할당된 LED는 녹색으로 ON 되게 하는 다수 개의 LED표시부(108)와; 상기 감지센서부(104)와 경보부(106)와 LED표시부(108)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보부(106)는, 상기 본체(102)의 전후좌우 사방을 향하여 일정시간 동안 점멸하며, 빛을 비추도록 된 경고등(106a)과, 일정시간 동안 경고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된 경고음 발생장치인 스피커(106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본체(102)와 감지센서부(104)에는 각각 식별ID를 부여하고, 감지신호가 발생하면, 메모리부(112)에 해당 식별ID의 감지센서부(104)에서 동물을 감지한 정보를 타임부(114)에서 발생한 시간데이타를 기준으로 순서대로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116)에서 동물감지순서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제어부(118)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논 또는 밭, 과수원 등에 침입하여 작물에 피해를 주는 야생 조류 및 동물을 퇴치시키면서, 공중으로 날아다니며 이동하는 조류나 지면으로 이동하는 동물등의 출몰시간과 출몰위치 및 보호구역 주변을 이동하는 야생동물들의 이동경로를 손쉽게 파악하고, 장기적으로 동물들이 침입하는 경로를 파악하여 빈도수가 높은 침입경로를 파악하여 근본적으로 침입방지를 위한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보호구역 내부로 야생동물이 침입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가 설치된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는 다수 개의 감지센서부(104), 경보부(106), LED표시부(108), 전원공급부(110)로 구성되며, 부가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112), 타임부(114), 디스플레이부(116) 및 제어부(118)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감지센서부(104)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으로 이동하는 조류를 감지할 수도 있으며, 지면으로 이동하는 동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감지센서부(104)가 본체(102)의 상부방향 및 전후좌우방향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부(104)에서 동물이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가 경보부(106)로 전달되어 경보부(106)에서 음향(소리) 또는 빛(경고등(106a), 경광등)을 발산하게 한다.
상기 경보부(106)는 스피커(106b)에서 일정시간 동안 음향(소리)를 발생케 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2)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경고등(106a)에서 일정시간 동안 전체 방위를 향하여 빛이 점멸되도록 하여 보호구역을 침입하는 또는 침입한 야생동물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워주어 침입을 방지 또는 침입한 동물이 퇴치되게 하는 직접적인 경고수단 또는 퇴치수단이라 할 수 있다.
상기한 경고수단 또는 퇴치수단은, 허수아비를 움직이게 하는 것, 줄에 소리가 발생하는 깡통을 매달아 놓은 후 동물 감지 시 줄을 잡아당기게 하여 깡통소리와 소리가 발생하게 하는 것 등 전통적으로 행하여 오던 동물퇴치수단을 채택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표시부(108)는 하나의 본체(102)에 설치된 다수 개의 감지센서부(104)마다 각각 LED가 할당되어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부(104)에서 동물이 감지되었을 때, 해당 감지센서부(104)에 할당된 LED표시부(108)가 ON으로 표시되게 하되, 최초 감지일 경우와 그 후의 감지에 따라 LED의 색깔을 다르게 하여 동물 시 동물의 침입방향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동물퇴치기(100)에 설치된 다수 개의 감지센서부(104) 중 지상의 조류는 제1감지센서부(104A)로 지정하고, 동물퇴치기(100)의 전후좌우로 통과하는 동물은 제2감지센서부(104B), 제3감지센서부(104C), 제4감지센서부(104D), 제감지센서부(104E)가 감지하도록 지정하였을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구역에 설치된 4개의 동물퇴치기(100) 중 제1동물퇴치기(100A)와 제2동물퇴치기(100B) 사이로 동물이 통과할 때, 제1동물퇴치기(100A)에 설치된 감지센서부(104) 중 제3감지센서부(104C)에 가장 근접하여 통과함으로써, 제1동물퇴치기(100A)의 제3감지센서부(104C)가 동물을 감지하면, 제1동물퇴치기(100A)의 제3감지센서부(104C)에 할당된 LED표시부(108)의 LED가 ON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상기 제1동물퇴치기(100A)의 감지센서부(104) 중 제3감지센서(104C)가 동물을 최초로 감지하였을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ON상태로 전환되는 LED는 적색으로 ON된다.
아울러, 상기 제1동물퇴치기(100A)의 제3감지센서(104C)에 감지된 동물이 보고후역 내부로 진입할 경우, 진입된 동물은 제1동물퇴치기(100A)의 제4감지센서부(104D)부(보호구역 내측을 감지하도록 위치되어 있으므로, 도시되지 않음)에 감지됨으로써, 제4감지센서부(104D)에 할당된 LED표시부(108)의 LED가 ON 상태로 전환되되, 이때의 LED는 제4감지센서부(104D)에서 감지한 동물이 제1동물퇴치기(100A)에 의한 최초의 동물감지가 아니므로, 녹색으로 ON된다.
다시 말하면, 어느 하나의 동물퇴치기(100)에 설치된 다수 개의 감지센서부(104) 중 최초로 동물을 감지한 감지센서부(104)에 할당된 LED표시부(108)의 LED만 적색으로 켜지고, 그 후에 동물을 감지하였을 경우, 해당 감지센서부(104)에 할당된 LED표시부(108)의 LED는 녹색으로 켜지게 함으로써, 최초 진입경로와 이동경로 및 보호구역 밖으로의 탈출경로는 LED표시부(108)를 확인하는 것 만으로도 직감적으로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의 예를 들면, 제1동물퇴치기(100)의 LED표시부(108)에는 제3감지센서부(104C)에 할당된 LED표시부(108)의 LED는 적색으로 ON된 상태이고, 화상표 방향으로 동물이 이동하였다는 가정을 하였을 때, 제1동물퇴치기(100)의 제4감지센서부(104D)가 두 번째로 동물을 감지하기 때문에 제4감지센서부(104D)에 할당된 LED표시부(108)의 LED는 녹색으로 ON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보호구역을 통과한 동물이 제4동물퇴치기(100D)에 화살표 방향으로 근접하게 되면, 제4동물퇴치기(100D)의 제3감지센서부(104C)가 동물을 최초로 감지하게 됨으로써, 제3감지센서부(104C)가 할당된 LED표시부(108)의 LED는 적색으로 ON되고, 동물이 보호구역을 벗어날 때에는 제4동물퇴치기(100D)의 제4감지센서부(104D)가 이 동물을 감지하게 되므로, 제4감지센서부(104D)가 할당된 LED표시부(108)의 LED는 녹색으로 ON된다.
따라서, 농가 또는 보호구역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LED표시부(108)를 확인하는 것 만으로도, 동물의 침입경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전원공급부(110)는 본체(102)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적인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동물퇴치기(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감지센서부(104), 경보부(106), LED표시부(108), 전원공급부(110)의 구성만으로도 활용이 가능하지만, 야생동물의 침입경로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하게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부가적 구성이 구비될 때 더욱 정확한 침입경로파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102)마다 식별ID(제1동물퇴치기 내지 제4동물퇴치기)를 부여하면서 감지센서부(104)에도 각각 식별ID(제1감지센서부 내지 제5감지센서부)를 부여한 후 어느 동물퇴치기(100)의 감지센서부(104)에서 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18)는 해당 동물퇴치기(100)와 동물을 감지한 감지센서부(104)의 식별ID를 메모리부(112)에 저장하되, 타임부(114)에서 발생하는 시간데이타에 의하여 순서대로 저장되게 한 후, 디스플레이부(116)에는 동물이 감지된 순서를 디스플레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구역을 감시하는 동물퇴치기(100)가 총 4개(100A ~ 100D)가 마련되고, 각 동물퇴치기(100)마다 5개의 감지센서부(104)(104A ~ 104E)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제1동물퇴치기(100A) 내지 제4동물퇴치기(100D)에는 각각 제1감지센서부(104A) 내지 제5감지센서부(104E)가 도 2와 같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각각의 동물퇴치기(100)에는 각각의 감지센서부(104)에 할당된 LED표시부(108)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에 제1동물퇴치기(100A)의 제3감지센서부(104C)에서 20시 15분에 동물이 감지된 후 제4동물퇴치기(100D)의 제4감지센서부(104D)에서 20시 40분에 동물이 감지될 경우, 메모리부(112)에는 1-3-20-15, 4-4-20-40로 저장되며, 디스플레이부(116)에서는 1344로 디스플레이되어 관리자가 직관적으로 동물의 침입경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메모리부(112)에는 감지센서부(104)에서 동물이 감지된 시간이 저장되고, 이러한 데이타는 지속적으로 누적되기 때문에 동물의 침입경로를 통계적으로 확인하여 가장 빈도수가 높은 침입경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자는 해당 경로의 울타리를 보완하거나 동물의 침입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동물의 침입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 개의 동물퇴치기(100)는 통신케이블 또는 무선통신기기에 의하여 통합관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동물의 침입경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보호구역으로 침입하는 야생동물의 관리 및 예방을 수월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100A ~ 100D : 제1동물퇴치기 ~ 제4동물퇴치기
102 : 본체 104 : 감지센서부
104A ~ 104E : 제1감지센서부 ~ 제5감지센서부
106 : 경보부
106a : 경고등 106b : 스피커(경고음 또는 음향 발생장치)
108 : LED표시부 110 : 전원공급부
112 : 메모리부 114 : 타임부
116 : 디스플레이부 118 : 제어부

Claims (3)

  1. 지상 또는 지면으로 이동하는 동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본체(102)의 상부와 전후좌우 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하는 동물을 감지하도록 된 감지센서부(104)와;
    상기 감지센서부(104)에 의해 동물이 감지되면, 경보하도록 된 경보부(106)와;
    상기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부(104)에서 동물이 최초에 감지되면, 상기 감지센서부(104)에 할당된 LED가 적색으로 ON 되고, 그 후에는 다른 모든 감지센서부(104)에서 동물이 감지되면 해당 감지센서부(104)에 할당된 LED는 녹색으로 ON 되게 하는 다수 개의 LED표시부(108)와;
    상기 감지센서부(104)와 경보부(106)와 LED표시부(108)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106)는,
    상기 본체(102)의 전후좌우 사방을 향하여 일정시간 동안 점멸하며, 빛을 비추도록 된 경고등(106a)과, 일정시간 동안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된 스피커(106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2)와 감지센서부(104)에는 각각 식별ID를 부여하고, 감지신호가 발생하면, 메모리부(112)에 해당 식별ID의 감지센서부(104)에서 동물을 감지한 정보를 타임부(114)에서 발생한 시간데이터를 기준으로 순서대로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116)에서 동물감지순서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제어부(1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
KR1020160172451A 2016-12-16 2016-12-16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 KR20180070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451A KR20180070137A (ko) 2016-12-16 2016-12-16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451A KR20180070137A (ko) 2016-12-16 2016-12-16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137A true KR20180070137A (ko) 2018-06-26

Family

ID=62788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451A KR20180070137A (ko) 2016-12-16 2016-12-16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01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7654A (zh) * 2020-06-05 2020-09-15 北京法之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围栏防误报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7654A (zh) * 2020-06-05 2020-09-15 北京法之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围栏防误报的方法
CN111667654B (zh) * 2020-06-05 2021-12-24 北京法之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围栏防误报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477B1 (ko)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
KR101762511B1 (ko) 드론을 이용한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퇴치 방법.
KR102116346B1 (ko)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KR20110138511A (ko) 유해생물 퇴치 시스템
US20210084886A1 (en) Wild animal repulsing apparatus
JP2011250745A (ja) 害獣威嚇方法と害獣威嚇システム
CA2897910C (en) Surveillance system
JP3187091U (ja) 害獣撃退装置
KR100825091B1 (ko) 형상 인식형 조수 퇴치시스템
KR101506608B1 (ko) 로봇형 허수아비
WO2014142462A1 (ko) 해충 탐지 장치 및 시스템, 해충에 의한 손상 탐지 방법
JP3205752U (ja) 害獣・害鳥類忌避装置
KR20180070137A (ko) 침입경로 파악이 용이한 동물퇴치기
ES2603260B1 (es) Dispositivo para la detección de insectos.
KR102318585B1 (ko) 유해동물 퇴치 장치 및 방법
JP2015035979A (ja) 野生動物追い込みシステム
US20130113624A1 (en) Multi-Tiered Predator Protection Device
JP2018029626A (ja) 動物の処分方法及び動物の処分装置
WO2006003448A1 (en) Proximity sensor
JP4224796B2 (ja) 害獣威嚇装置
JP3215345U (ja) 害獣駆逐装置
KR101556301B1 (ko) 무인자동로봇을 이용한 농작물 유해요소 방제장치
JP2012170383A (ja) 動物忌避方法と動物忌避装置
KR20210060786A (ko) 고양이 보호 및 구조용 넥밴드와 스마트 아로마 케이지를 이용한 고양이 모니터링 시스템
AU2021100064A4 (en) Wild life intrusion detection system empower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