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764A -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764A
KR20180069764A KR1020180065507A KR20180065507A KR20180069764A KR 20180069764 A KR20180069764 A KR 20180069764A KR 1020180065507 A KR1020180065507 A KR 1020180065507A KR 20180065507 A KR20180065507 A KR 20180065507A KR 20180069764 A KR20180069764 A KR 20180069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ence
wireless communication
preamble
frame generation
allo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갑석
이우용
정현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80069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4Pilot insertion in the transmitter chain, e.g. pilot overlapping with data, insertion in time or frequency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2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with preamble design, i.e. with negotiation of the synchronisation sequence with transmitter or sequence linked to the algorithm used at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rmining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6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rmining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using measurement of signal travel time
    • H04W56/007Open loop measurement
    • H04W56/0075Open loop measurement based on arrival time vs. expected arrival time
    • H04W56/0085Open loop measurement based on arrival time vs. expected arrival time detecting a given structure in th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을 위한 프리앰블 및 데이터 프레임 생성 방법 및 장치와 프리앰블을 이용한 동기 추정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이러한 기술에 따르면, 동기 추정을 위한 제1베이스 시퀀스를 이용하여 수정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베이스 시퀀스 및 상기 수정 시퀀스를 제1타임 구간의 주파수 영역에 할당하여 프리앰블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정 시퀀스는, 상기 제1베이스 시퀀스의 복소 켤레 시퀀스 또는 상기 제1베이스 시퀀스와 부호가 다른 시퀀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FRAME GENERATION/T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NCHRONIZATION ESTIMATION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을 위한 프리앰블 및 데이터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와 프리앰블을 이용한 동기 추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송신측과 수신측의 시간 및 주파수 동기(Time/Frequency Synchronization)를 위해 프리앰블(Preamble)이 이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프리앰블은 자동 이득 조정(AGC: Automatic Gain Control 및 신호 추정(Signal Detection)을 위해서도 이용된다.
특히, 종래 IEEE 802.11 환경에서의 프리앰블은 하나의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CP)와 네개의 반복 패턴(Repetition Pattern, RP) 시퀀스로 이루어진 2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한다. 즉, 프리앰블 구간 내 4개의 타임 구간에 대한,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 복소 시퀀스 엘리먼트가 할당되어 반복 패턴 시퀀스가 생성된다. 그리고, 반복 패턴 시퀀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생성되어 결국 하나의 OFDM 심볼이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OFDM 심볼이 하나 더 생성됨으로써 프리앰블은 2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자동이득조정, 신호추정 및 시간/주파수 동기 추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앰블을 생성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이득조정, 신호추정 및 시간/주파수 동기 추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기 추정을 위한 제1베이스 시퀀스를 이용하여 수정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베이스 시퀀스 및 상기 수정 시퀀스를 동일한 제1타임 구간의 주파수 영역에 할당하여 프리앰블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정 시퀀스는, 상기 베이스 시퀀스의 복소 켤레 시퀀스 또는 상기 베이스 시퀀스와 부호가 다른 시퀀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기 추정을 위한 베이스 시퀀스를 이용하여 수정 시퀀스를 생성하는 시퀀스 생성부; 및 상기 베이스 시퀀스 및 상기 수정 시퀀스를 동일 타임 구간의 주파수 영역에 할당하여 프리앰블을 생성하는 프리앰블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정 시퀀스는, 상기 베이스 시퀀스의 복소 켤레 시퀀스 또는 상기 베이스 시퀀스와 부호가 다른 시퀀스인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테이션으로부터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상기 스테이션과의 동기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앰블은 동기 추정을 위한 베이스 시퀀스 및 상기 베이스 시퀀스의 수정 시퀀스가 동일 타임 구간의 주파수 영역에 할당된 프리앰블이며, 상기 수정 시퀀스는 상기 베이스 시퀀스의 복소 켤레 시퀀스 또는 상기 베이스 시퀀스와 부호가 다른 시퀀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비트 데이터의 복소 켤레 형태인 수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트 데이터 및 상기 수정 데이터를 동일 타임 구간의 주파수 영역에 할당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소 좌표에 맵핑되는 비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비트 데이터의 복소 켤레 형태인 수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동일한 타임 구간에서, 기 설정된 주파수 자원에 따른 OFDM 부반송파 중 절반에 상기 비트 데이터를 할당하고, 상기 OFDM 부반송파 중 나머지 절반에 상기 수정 데이터를 할당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테이션으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복소 좌표에 맵핑되는 비트 데이터 및 상기 비트 데이터의 복소 켤레 형태인 수정 데이터가 동일 타임 구간의 주파수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 프레임인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프레임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이득조정, 신호추정 및 시간/주파수 동기 추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앰블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리앰블을 이용함으로써 수신 장치의 복잡도가 감소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을 위해 필요한 자동이득조정, 신호추정 및 시간/주파수 동기 추정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 프레임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IEEE 802.1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리앰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된 주파수 영역 할당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앰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앰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앰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IEEE 802.1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리앰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EEE 802.11의 동기 추정을 위한 프리앰블은 2개의 OFDM 심볼(101, 103)을 포함한다. 2개의 OFDM 심볼(101, 103) 각각은 유효 심볼 구간에서의 4개의 반복패턴(RP) 시퀀스와 CP 구간에서의 하나의 반복패턴 시퀀스를 합쳐 총 5개의 반복패턴 시퀀스를 포함한다. 유효 심볼 구간의 4개의 반복패턴 시퀀스는 4개의 부반송파(subcarrier)마다 자동이득조정, 신호추정 및 동기 추정을 위한 베이스 시퀀스(base sequence)의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베이스 시퀀스의 엘리먼트(E1, E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반복 패턴으로 부반송파에 할당된다. 이 때, 베이스 시퀀스의 엘리먼트에 대해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유효 심볼 구간 및 CP 구간은 시간 영역(time domain)의 타임 구간을 나타내며, 유효 심볼 구간 및 CP 구간에 대한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 베이스 시퀀스의 엘리먼트(element)가 할당된다.
CP 구간의 1개의 반복패턴 시퀀스는 유효 심볼 구간의 마지막 반복패턴 시퀀스가 복사되어 생성된다. 수신단에서는 도 1의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자동이득조정, 신호추정 및 시간/주파수 동기를 추정한다.
도 1에서 설명된 프리앰블을 이용할 경우, 동기를 추정하기 위해 수신측은 Auto-Correlation 방법뿐만 아니라 Cross-Correlation 방법을 같이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수신측 단말기의 복잡성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프리앰블의 경우, Zadofu-Chu 복소 시퀀스와 같이 상관성이 좋은 시퀀스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PAPR(Peak-to-Average-Power Ratio)이 증가할 수 있고, 동기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마지막으로 도 1에 도시된 프리앰블의 경우, 매 OFDM 심볼의 샘플마다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시간영역 시퀀스 엘리먼트가 사용되지 않으며, 시간영역에서 일정하지 않은 패턴을 나타내는 주파수영역에 할당된 베이스 시퀀스에 의한 반복패턴 시퀀스가 이용되기 때문에, 자동이득조정과 신호추정 성능이 보다 향상되기 어렵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에서는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프리앰블 생성 방법이 설명되며, OFDM 방식의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가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한편, 이하에서 언급되는 스테이션은 협력 통신을 위한 소스 노드, 릴레이 노드 및 목적지 노드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스테이션은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AP)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방법은 단계 S201 및 단계 S203을 통해 수행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장치(300)는 시퀀스 생성부(301), 프리앰블 생성부(303)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프레임 생성 장치(300)의 프레임 생성 방법이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단계 S201에서 프레임 생성 장치(300)는 동기 추정을 위한 제1베이스 시퀀스를 이용하여 수정 시퀀스를 생성한다. 여기서, 수정 시퀀스는 제1베이스 시퀀스의 복소 켤레 시퀀스 또는 제1베이스 시퀀스와 부호가 다른 시퀀스를 포함한다. 즉, 프레임 생성 장치(300)는 제1베이스 시퀀스의 복소 켤레 시퀀스 또는 제1베이스 시퀀스와 부호가 다른 시퀀스를 생성한다.
단계 S203에서 프레임 생성 장치(300)는 제1베이스 시퀀스 및 수정 시퀀스를 제1타임 구간의 주파수 영역에 할당하여 프리앰블을 생성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생성 방법은 도 1과 같이, 하나의 베이스 시퀀스의 엘리먼트를 반복적으로 주파수 영역에 할당하여 프리앰블을 생성하지 않고 제1베이스 시퀀스 및 수정 시퀀스를 주파수 영역에 할당하여 프리앰블을 생성한다. 제1베이스 시퀀스 및 수정 시퀀스를 동일한 타임 구간의 주파수 영역에 할당함으로써, 주파수 오프셋(offset)에 보다 강인한 성능이 나타낼 수 있다. 제1베이스 시퀀스 및 수정 시퀀스를 주파수 영역에 할당하는 방법은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된 단계 S201 및 단계 S203은 도 3의 시퀀스 생성부(301), 프리앰블 생성부(303)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시퀀스 생성부(301)는 동기 추정을 위한 제1베이스 시퀀스를 이용하여 수정 시퀀스를 생성한다. 그리고 프리앰블 생성부(303)는 제1베이스 시퀀스 및 수정 시퀀스를 제1타임 구간의 주파수 영역에 할당하여 프리앰블을 생성한다. 프리앰블 생성부(303)에 의해 생성된 프리앰블은 전송부(305)를 통해 수신측 스테이션으로 전송된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된 주파수 영역 할당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bu(m)은 제1베이스 시퀀스를 나타낸다. Mu(m)은 수정 시퀀스로서, -bu(m)이나 b* u(m)일 수 있다. '*'는 복소 켤레, 즉 복소 시퀀스 엘리먼트의 허수(Imaginary) 부분의 값의 부호를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m은 0이상의 자연수로서, 시퀀스의 엘리먼트를 나타내며, u는 시퀀스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bu(0)은 제1베이스 시퀀스의 제1엘리먼트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이스 시퀀스의 엘리먼트 및 수정 시퀀스의 엘리먼트는 부반송파에 번갈아 할당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401은 제1베이스 시퀀스의 엘리먼트 및 수정 시퀀스의 엘리먼트가 부반송파에 순차적으로 할당되는 것을 나타낸다. 즉. 401에서는 제1베이스 시퀀스 및 수정 시퀀스가 지역적으로 할당된다. 403은 제1베이스 시퀀스의 엘리먼트 및 수정 시퀀스의 엘리먼트가 부반송파에 번갈아 할당되는 것을 나타낸다. 즉, 403에서는 제1베이스 시퀀스 및 수정 시퀀스가 분산적으로 할당된다.
이상에서는, 주파수 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주파수 자원, 즉 사용 가능한 모든 부반송파가 제1베이스 시퀀스 및 수정 시퀀스의 할당에 이용되는 경우가 일실시예로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제1베이스 시퀀스 및 수정 시퀀스는, 도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n(n은 자연수)번마다 반복적으로 부반송파에 할당되고 나머지 부반송파에 대해서는 Nulling될 수도 있다. 즉, 제1베이스 시퀀스의 엘리먼트 및 수정 시퀀스의 엘리먼트는 기 설정된 반복 패턴으로 부반송파에 할당될 수도 있다.
한편, 제1베이스 시퀀스는 임의의 이진 시퀀스 또는 복소 시퀀스일 수 있다. 제1베이스 시퀀스가 복소 시퀀스일 경우, 수정 시퀀스는 제1베이스 시퀀스의 복소 켤레 시퀀스 또는 제1베이스 시퀀스와 부호가 다른 시퀀스일 수 있다. 제1베이스 시퀀스가 이진 시퀀스일 경우 수정 시퀀스는 제1베이스 시퀀스와 부호가 다른 시퀀스일 수 있다. 또한 수정 시퀀스는 전술된 부호 변환, 복소 켤레 형태의 시퀀스가 아닌 다른 형태로 수정된 시퀀스일 수 있다. 또한 수정 시퀀스는 제1베이스 시퀀스와 동일한 시퀀스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전술된 방법과 같이 제1베이스 시퀀스 및 수정 시퀀스가 부반송파에 할당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도 5 내지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프리앰블 구조가 설명된다.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NRP/RP 시퀀스는 도 4에서 설명된 시퀀스와 대응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앰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앰블은 TD 시퀀스(501), RP 시퀀스(503) 및 NRP/RP 시퀀스(505)를 포함한다. RP 시퀀스(503)는 도 1에서 설명된 반복패턴 시퀀스에 대응되며, NRP/RP 시퀀스(505)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제1베이스 시퀀스 및 수정 시퀀스를 포함한다.
TD 시퀀스(501)는 PN(Pseudo-Noise)-spread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시퀀스(또는 Differentially encoded Barker-spread BPSK 시퀀스 또는 그 외 상관특성이 좋은 모든 이진 시퀀스)와 같은 이진 시퀀스(또는 상관특성이 좋은 복소 시퀀스)로서, RP 시퀀스(503)가 할당된 RP 시퀀스 구간의 앞인 TD 시퀀스 구간에 할당된다. TD 시퀀스(501)는 자동이득 조정 또는 신호 추정을 위한 시퀀스로서, NRP/RP 시퀀스(505)가 할당된 타임 구간의 앞에 할당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생성 장치(300)는 자동이득 조정 또는 신호 추정을 위한 제2베이스 시퀀스(TD 시퀀스(501))를 제1타임 구간보다 앞선 제2타임 구간에 추가로 할당하여 프리앰블을 생성한다. 제1타임 구간은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NRP/RP 시퀀스(505)가 할당되는 타임 구간이다.
TD 시퀀스(501)의 엘리먼트의 진폭(amplitude)은 제2타임 구간에서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TD 시퀀스(501)의 엘리먼트는 OFDM 심볼의 샘플마다 일정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OFDM 심볼의 샘플마다 일정한 크기를 갖는 시퀀스를 이용함으로써 자동이득조정과 신호추정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한편, TD 시퀀스(501)를 통해 거친 시간/주파수 동기가 추정될 수도 있다.
NRP/RP 시퀀스(50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베이스 시퀀스 및 수정 시퀀스가 할당된 시퀀스로서, NRP/RP 시퀀스 구간에 할당된다. NRP/RP 시퀀스(505)는 전술된 바와 같이 주파수 오프셋 환경에서 강인하며, 정교한 주파수/시간 동기 추정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RP 시퀀스(503)와 같이, 거친 시간/주파수 동기 추정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앰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앰블은 RP 시퀀스(601) 및 NRP/RP 시퀀스(603)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프리앰블은 도 5에 도시된 프리앰블과 달리 TD 시퀀스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앰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는 프리앰블이 2개의 NRP/RP 시퀀스(703, 705)를 포함하는 경우가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앰블은 TD 시퀀스(701) 및 2개의 NRP/RP 시퀀스(703, 705)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프리앰블은 도 5에 도시된 프리앰블과 달리 RP 시퀀스를 포함하지 않으며, 2개의 NRP/RP 시퀀스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생성 장치(300)는 제1베이스 시퀀스 및 수정 시퀀스를 제3타임 구간의 주파수 영역에 추가로 할당하여 프리앰블을 생성한다. 이 때, 프레임 생성 장치(300)는 제3타임 구간 이후의 타임 구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NRP/RP 시퀀스를 더 포함하는 프리앰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타임 구간에 대한 제1NRP/RP 시퀀스(703)와 제3타임 구간에 대한 제2NRP/RP 시퀀스(705)의 부호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제1NRP/RP 시퀀스(703)의 엘리먼트들과 제2NRP/RP 시퀀스(705)의 엘리먼트들에 서로 같거나 또는 서로 다른 부호가 쌍으로 할당되는 것이다. 즉, (+,+), (+,-), (-,+)의 형태로 할당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NRP/RP 시퀀스(703, 705)의 엘리먼트에 대한 부호 쌍 패턴이 (+,-)이라고 할 경우, 제1NRP/RP 시퀀스(703)의 엘리먼트들의 부호는 그대로 두고, 제2NRP/RP 시퀀스(705)의 엘리먼트들의 부호가 바뀌어 프리앰블에 할당된다. 만약, 3개 이상의 NRP/RP 시퀀스가 프리앰블에 할당되는 경우, 마지막 NRP/RP 시퀀스의 엘리먼트들의 부호들만 바뀌어 프리앰블에 할당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프리앰블에는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포함되지 않았으나, TD 시퀀스, RP 시퀀스 및 NRP/RP 시퀀스에 대한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포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추정 방법은 단계 S801로부터 시작된다. 단계 S801에서 수신 스테이션은 전송 스테이션으로부터 프리앰블을 수신한다. 그리고 단계 S803에서 수신 스테이션은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전송 스테이션과의 동기를 추정한다. 여기서, 프리앰블은 도 2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프리앰블이다. 즉, 수신 스테이션이 수신하는 프리앰블은 동기 추정을 위한 베이스 시퀀스 및 베이스 시퀀스의 수정 시퀀스가 동일 타임 구간의 주파수 영역에 할당된 프리앰블이며, 수정 시퀀스는 베이스 시퀀스의 복소 켤레 시퀀스 또는 베이스 시퀀스와 부호가 다른 시퀀스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 2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프리앰블은 주파수 오프셋에 강인하며, 본 발명에 따른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수신 스테이션의 동기 추정 성능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앰블을 이용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동기 추정 성능의 향상으로 힌해 수신 스테이션의 복잡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추정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는 장치적인 관점에 의해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으며, 수신 스테이션에 포함된 구성요소로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프레임 생성 방법은,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할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동기 추정을 위한 시퀀스가 아닌 비트 데이터가 주파수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 프레임이 생성될 수 있다. 이하, 도 9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전송 방법은 단계 S901로부터 시작된다.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은 단계 S901에서 비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트 데이터의 복소 켤레 형태인 수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903에서 스테이션은 비트 데이터 및 수정 데이터를 동일 타임 구간의 주파수 영역에 할당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한다. 단계 S905에서 스테이션은 단계 S903에서 생성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 스테이션으로 전송한다.
이 때, 스테이션은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비트 데이터 및 수정 데이터를 부반송파에 번갈아 할당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할당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비트 데이터 및 수정 데이터가 부반송파에 순차적으로 할당될 경우, 비트 데이터 및 수정 데이터 각각에, 기 설정된 주파수 자원에 따른 전체 부반송파 중 절반씩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가능한 전체 부반송파가 8개인 경우, 제1 내지 제4부반송파에는 비트 데이터가 할당되고, 제5 내지 제8부반송파에는 수정 데이터가 할당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주파수 자원에 따른 OFDM 부반송파 중 절반에 비트 데이터가 할당되고, OFDM 부반송파 중 나머지 절반에 수정 데이터가 할당되어 데이터 프레임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비트 데이터는 복소 좌표에 맵핑되는 다수의 심볼을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전술된 복소 시퀀스 형태의 데이터일 수 있다. 수정 데이터는 비트 데이터의 복소 켤레 형태이다.
한편, 수정 데이터는 비트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전술된 방법과 같이 비트 데이터 및 수정 데이터가 주파수 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도 9에서 설명된 프레임 전송 방법 역시 장치적인 관점에 의해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도 9에서 설명된 프레임 전송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는 장치적인 관점에 의해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으며, 스테이션에 포함된 구성요소로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 스테이션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을 디코딩한다. 즉, 수신 스테이션은 전송 스테이션으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 프레임 수신 방법 역시 스테이션에 포함된 구성요소로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방법, 프레임 수신 방법 및 동기 추정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CD, DVD와 같은 유형적 매체뿐만 아니라 반송파와 같은 무형적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장치가 수행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방법에 있어서,
    프레임 생성 장치가 제1 시퀀스를 식별하는 단계;
    프레임 생성 장치가 제1 시퀀스로부터 도출된 제2 시퀀스를 식별하는 단계;
    프레임 생성 장치가 상기 제1 시퀀스와 제2 시퀀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퀀스는, 상기 제1 시퀀스보다 상위 주파수 영역에 할당되고,
    상기 제1 시퀀스는 복소 형태를 나타내고, 상기 제2 시퀀스는 제1 시퀀스의 복소 컨주게이션이고,
    상기 제1 시퀀스와 상기 제2 시퀀스는 주파수 영역의 1/2만큼 동일한 비율로 할당되고,
    상기 제1 시퀀스와 제2 시퀀스의 엘리먼트는 0 및 자연수인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퀀스는, 제1 시퀀스의 복소 켤레 시퀀스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시퀀스와 부호가 다른 시퀀스인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방법.
  3.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장치가 수행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방법에 있어서,
    프레임 생성 장치가 제1 시퀀스를 식별하는 단계;
    프레임 생성 장치가 제1 시퀀스로부터 도출된 제2 시퀀스를 식별하는 단계;
    프레임 생성 장치가 상기 제1 시퀀스와 제2 시퀀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제1 시퀀스와 제2 시퀀스가 반복적으로 할당되고
    상기 제1 시퀀스는 복소 형태를 나타내고, 상기 제2 시퀀스는 제1 시퀀스의 복소 컨주게이션이고,
    상기 제1 시퀀스와 상기 제2 시퀀스는 주파수 영역의 1/2만큼 동일한 비율로 할당되고,
    상기 제1 시퀀스와 제2 시퀀스의 엘리먼트는 0 및 자연수인,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방법.
  4.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시퀀스 및 상기 제1 시퀀스로부터 도출된 제2 시퀀스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시퀀스와 제2 시퀀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시퀀스는,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제1 시퀀스보다 상위 영역에 할당되고,
    상기 제1 시퀀스는 복소 형태를 나타내고, 상기 제2 시퀀스는 제1 시퀀스의 복소 컨주게이션이고,
    상기 제1 시퀀스와 상기 제2 시퀀스는 주파수 영역의 1/2만큼 동일한 비율로 할당되고,
    상기 제1 시퀀스와 제2 시퀀스의 엘리먼트는 0 및 자연수인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장치.
  5.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시퀀스 및 상기 제1 시퀀스로부터 도출된 제2 시퀀스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시퀀스와 제2 시퀀스가 반복적으로 할당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시퀀스는 복소 형태를 나타내고, 상기 제2 시퀀스는 제1 시퀀스의 복소 컨주게이션이고
    상기 제1 시퀀스와 상기 제2 시퀀스는 주파수 영역의 1/2만큼 동일한 비율로 할당되고,
    상기 제1 시퀀스와 제2 시퀀스의 엘리먼트는 0 및 자연수인,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 장치.
KR1020180065507A 2009-08-25 2018-06-07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 KR201800697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78935 2009-08-25
KR1020090078935 2009-08-2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242A Division KR20170088802A (ko) 2009-08-25 2017-07-20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265A Division KR20190046743A (ko) 2009-08-25 2019-04-26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764A true KR20180069764A (ko) 2018-06-25

Family

ID=43628555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409A KR101653007B1 (ko) 2009-08-25 2010-08-23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
KR1020160108617A KR101761895B1 (ko) 2009-08-25 2016-08-25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
KR1020170092242A KR20170088802A (ko) 2009-08-25 2017-07-20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
KR1020180065507A KR20180069764A (ko) 2009-08-25 2018-06-07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
KR1020190049265A KR20190046743A (ko) 2009-08-25 2019-04-26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
KR1020200120639A KR102296257B1 (ko) 2009-08-25 2020-09-18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
KR1020210112507A KR102408737B1 (ko) 2009-08-25 2021-08-25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409A KR101653007B1 (ko) 2009-08-25 2010-08-23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
KR1020160108617A KR101761895B1 (ko) 2009-08-25 2016-08-25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
KR1020170092242A KR20170088802A (ko) 2009-08-25 2017-07-20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265A KR20190046743A (ko) 2009-08-25 2019-04-26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
KR1020200120639A KR102296257B1 (ko) 2009-08-25 2020-09-18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
KR1020210112507A KR102408737B1 (ko) 2009-08-25 2021-08-25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10277443B2 (ko)
EP (2) EP2472810B1 (ko)
KR (7) KR101653007B1 (ko)
CN (1) CN102598613B (ko)
WO (1) WO201102519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0102B2 (en) * 2013-07-05 2018-01-02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communication system
US9407486B2 (en) 2014-03-11 2016-08-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257325B2 (en) 2015-02-05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preamble and synchronizing frame
US10491444B2 (en) 2016-04-08 2019-11-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internet of things
US11005620B2 (en) * 2017-06-16 2021-05-11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reference signal sequence design in 5G new radio
US11190234B2 (en) * 2018-04-27 2021-11-30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frequency switching for frame based equipment
WO2023018304A1 (ko) 2021-08-13 2023-0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그라프트 공중합체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WO2023121312A1 (ko) * 2021-12-21 2023-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2412A (en) * 1987-02-27 1990-03-27 Hitachi, Ltd. MR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GB9020170D0 (en) * 1990-09-14 1990-10-24 Indep Broadcasting Authority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S6359874B1 (en) * 1998-05-21 2002-03-19 Ericsson Inc. Partially block-interleaved CDMA coding and decoding
EP1482699A3 (en) * 1998-06-08 2005-02-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urst structure for multicarrier transmission, and synchronisation of bursts, symbols and frequency
US6618452B1 (en) * 1998-06-08 2003-09-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urst carrier frequency synchronization and iterative frequency-domain frame synchronization for OFDM
KR100770558B1 (ko) * 1999-04-23 2007-10-29 소니 인터내셔널(유로파) 게엠베하 최적화된 동기화 프리앰블 구조체
EP1249955B1 (en) * 2000-11-17 2011-01-26 Panasonic Corporation Ofdm communication device
JP3685091B2 (ja) * 2001-06-08 2005-08-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動機内蔵の圧縮機と、これを搭載した移動車
US7269127B2 (en) * 2001-10-04 2007-09-11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Preamble structures for single-input, single-output (SISO) and multi-input, multi-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s
AU2003263456A1 (en) * 2002-09-20 2004-04-0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hsdpa activity information
KR100938095B1 (ko) * 2003-11-19 201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US7539501B2 (en) * 2003-11-24 2009-05-26 Broadcom Corporation High data throughput wireless local area network receiver
WO2005062510A1 (ja) * 2003-12-24 2005-07-07 Nec Corporation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リソース割当て方法
US7680201B2 (en) * 2004-01-26 2010-03-16 Ibiquity Digital Corporation Forward error correction coding for AM 9kHz and 10kHz in-band on-channel digital audio broadcasting systems
KR100842588B1 (ko) * 2004-03-12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의 부반송파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0739511B1 (ko) * 2004-06-25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파일럿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06015108A2 (en) 2004-07-27 2006-02-09 Zte San Diego, Inc.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reference preamble signals in ofdma or ofdm communication systems
BRPI0516865A (pt) * 2004-09-30 2008-09-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positivo de estação base em transmissão com múltiplos transportadores, dispositivo de estação móvel, e método de busca de célula
KR100735359B1 (ko) * 2005-07-04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및 방법
JP4744525B2 (ja) * 2005-08-22 2011-08-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基地局装置および移動局装置
KR100874485B1 (ko) * 2006-01-04 2008-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러 시스템의 하향 링크 프레임 생성 방법 및 장치, 셀 탐색 방법 및 장치
US8457076B2 (en) * 2006-01-20 2013-06-04 Lg-Ericsso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CH signal in SC-FDMA system
US7519855B2 (en) * 2006-06-15 2009-04-14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data processing units in a communication network
DE102006033365A1 (de) * 2006-07-19 2008-01-24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Verfahren zum Transfer von Verarbeitungsparametern und zur Verarbeitung von bogenförmigen Exemplaren eines Druckmediums
JPWO2008018145A1 (ja) * 2006-08-10 2009-12-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Ofdm送信装置およびofdm受信装置
KR100937423B1 (ko) * 2006-09-26 2010-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복형 시퀀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송신 방법
TWI451728B (zh) 2006-09-29 2014-09-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封包化系統中高速通信之具成本效益的前導碼結構
KR100964691B1 (ko) 2006-12-19 2010-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US8300674B2 (en) * 2007-01-12 2012-10-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lexity reduction in detection of delay and Doppler shifted signature sequences
US8295325B2 (en) * 2007-01-12 2012-10-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ignature sequences and methods for time-frequency selective channel
EP1959625B1 (en) * 2007-02-14 2009-02-18 NTT DoCoMo Inc. Receiver apparatus for detecting narrowband interference in a multi-carrier receive signal
US8036166B2 (en) * 2007-06-18 2011-10-11 Nokia Corporation Signaling of implicit ACK/NACK resources
JP5024533B2 (ja) * 2007-06-19 2012-09-12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リファレンス信号系列の割当方法および装置
US7797110B2 (en) * 2007-06-26 2010-09-14 Shin's Geophysics Method for velocity analysis using waveform inversion in Laplace domain for geophysical imaging
US8331480B2 (en) 2007-07-13 2012-12-1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and generator for generating preamble sequences in communication systems
US8773968B2 (en) * 2007-08-06 2014-07-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ignaling of random access preamble sequences in wireless networks
US7869532B2 (en) * 2007-09-04 2011-01-11 Motorola Mobility, Inc.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KR100940730B1 (ko) * 2007-09-07 2010-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생성 방법
KR100964108B1 (ko) 2008-03-10 2010-06-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계량데이터를 이용한 사용패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31512B1 (ko) * 2008-05-09 2013-0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시스템의 셀 탐색에서 주파수 오프셋에 강한 심볼 동기 획득 장치 및 방법
JP5153523B2 (ja) * 2008-09-01 2013-02-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移動局装置
US8644397B2 (en) * 2008-09-23 2014-02-04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multiplexing of reference signal and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67428B1 (ko) * 2009-08-25 2016-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테이션의 프리앰블 생성 방법 및 장치, 데이터 프레임 생성 방법
KR20110048421A (ko) * 2009-11-02 2011-05-11 주식회사 팬택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참조신호의 생성 및 송수신 방법
US20120057651A1 (en) * 2010-09-08 2012-03-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US11005620B2 (en) * 2017-06-16 2021-05-11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reference signal sequence design in 5G new radio
US11140646B2 (en) * 2019-05-27 2021-10-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nchronizing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72810A4 (en) 2014-02-12
US20180159708A1 (en) 2018-06-07
US10972325B2 (en) 2021-04-06
EP2472810A2 (en) 2012-07-04
WO2011025198A3 (ko) 2011-07-07
KR20200111145A (ko) 2020-09-28
KR102296257B1 (ko) 2021-09-01
EP4199446A1 (en) 2023-06-21
KR20210107588A (ko) 2021-09-01
US20240080232A1 (en) 2024-03-07
CN102598613A (zh) 2012-07-18
KR101653007B1 (ko) 2016-09-01
KR20160106016A (ko) 2016-09-09
US10484221B2 (en) 2019-11-19
US20210226831A1 (en) 2021-07-22
KR20110021672A (ko) 2011-03-04
WO2011025198A2 (ko) 2011-03-03
US20200084077A1 (en) 2020-03-12
KR101761895B1 (ko) 2017-07-26
US20120219077A1 (en) 2012-08-30
KR20190046743A (ko) 2019-05-07
EP2472810B1 (en) 2023-03-01
US11848807B2 (en) 2023-12-19
CN102598613B (zh) 2016-01-06
US10277443B2 (en) 2019-04-30
KR20170088802A (ko) 2017-08-02
KR102408737B1 (ko)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895B1 (ko)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생성/전송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추정 방법
TWI726632B (zh) 行動通訊系統中傳送資料之方法和裝置
JP4976420B2 (ja) 通信システム内の同期及び情報送信を改善する方法
JP6438570B2 (ja) フレキシブルな直交周波数分割多重phy伝送データフレームプリアンブルの動的な構成
JP2017532895A (ja) マルチユーザー符号分割多元接続通信方法及び対応する送信機、受信機
EP3595394A1 (en) Random-access send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transmitting end and receiving end
KR20090117595A (ko) 무선통신시스템의 셀 탐색에서 주파수 오프셋에 강한 심볼 동기 획득 장치 및 방법
KR101667428B1 (ko) 스테이션의 프리앰블 생성 방법 및 장치, 데이터 프레임 생성 방법
CN100488081C (zh) 一种公共导频信道的时频资源分配方法
CN105009482A (zh) 设备到设备(d2d)前导设计
WO2019179268A1 (zh) 一种传输参考信号的方法、装置和系统
US90655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sequence to synchronization channel for node identif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521943B (zh) 公共导频信道的时频资源分配方法
CN112438065B (zh) 发送位置参考信号的方法、节点、位置确定的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42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426

Effective date: 2019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