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108B1 - 계량데이터를 이용한 사용패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계량데이터를 이용한 사용패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108B1
KR100964108B1 KR20080021899A KR20080021899A KR100964108B1 KR 100964108 B1 KR100964108 B1 KR 100964108B1 KR 20080021899 A KR20080021899 A KR 20080021899A KR 20080021899 A KR20080021899 A KR 20080021899A KR 100964108 B1 KR100964108 B1 KR 100964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ttern
usage
message
usag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21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6837A (ko
Inventor
장성진
한광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21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1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96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10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가의 각종 계량기로부터 원격으로 데이터를 수집한 후 수집된 계량데이터를 이용하여 거주자의 사용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패턴이 설정된 기준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지정된 경로를 통해 거주자의 이상상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계량데이터를 이용한 사용패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수용가의 계량데이터를 전달받아 계량데이터를 통해 거주자의 사용량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량 패턴과 미리 저장된 기준범위를 상호 비교하여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미리 지정된 경로를 통해 이상상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패턴분석장치를 구비한다.
Figure R1020080021899
계량기, 전력량계, 원격검침, AMR, 사용량 패턴

Description

계량데이터를 이용한 사용패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ANALYZING USE PATTERN USING GAUGE DATA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디지털 계량기의 원격 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DLMS(Device Language Message Specification) 체계에 기반하여 수용가의 각종 계량기로부터 원격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계량데이터를 이용한 사용패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 검침 시스템(Automatic Meter Reading; AMR)이라 함은 멀리 떨어진 지점의 측정 대상으로부터 측정 결과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 데이터를 컴퓨터에서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원격 검침은 통신기술, 센싱기술,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정보통신 서비스로 발전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공해감시, 방범, 방재, 전력, 상수도 및 가스 계통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원격 검침 시스템은 사용되는 통신방식에 따라 통신선로가 없는 무선 방식과 통신선로가 있는 유선 방식으로 분류된다. 유선 방식은 사용되는 통신선로의 종류에 따라 전력선 방식, CATV용 케이블 방식, 전용선 방식, 전화선 방식 등으로 분류된다.
유선 방식들 중 전력선 방식은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을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전력회사에서 가정이나, 공장, 사무실 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선을 신호 전송로로 활용하여 검침하는 방식이다.
전력선 통신은 상용 교류신호를 전송매체(media)로 하여 전력선으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식으로서, 상용 교류전원인 60Hz의 정현파와 통신신호(예컨대, 수십 KHz)를 다중화하여 동시에 전송하므로, 전원선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곳에서는 어디에서나 통신이 가능하다.
검침데이터처리장치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데이터 통신망(예컨대, 기간망, 사설망, 인터넷망 포함)을 통해 다수의 데이터수집장치와 상호 접속된다.
이러한 검침데이터처리장치는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수집장치와 실시간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각 수용가의 전력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검침데이터처리장치는 데이터수집장치로부터 각 수용가의 검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 이러한 검침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각 수용가의 전력 상태, 예컨대 정전, 도전, 누전 상태 등을 분석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검침 데이터로는 하나의 데이터 집중화 장치에 할당된 모든 수용가의 월별, 주간별, 야간별, 날짜별, 시간대별 사용 전력량의 총합, 각 수용가별 사용 전력량, 순시 전력량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각 수용가의 전력 품질을 파악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계량기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계량기(10), 데이터수집장치(30) 및 검침데이터처리장치(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계량기(10)는 전력, 수도, 가스, 온수, 열량 등의 서비스 이용에 따라 누적된 사용량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계량기는 DLMS기반 계량기인데, DLMS 계량기는 전력, 수도, 가스, 온수, 열량 등을 IEC 62056 국제표준규격에 따라 계량 값을 측정하는 기기이다.
데이터수집장치(30)는 DLMS 계량기(1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로서 검침데이터처리장치의 요구에 따라 수집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검침데이터처리장치(50)는 데이터수집장치(30)를 통해 수집한 계량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데이터수집장치(30)의 데이터수집 주기는 단순 월별 검침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는 최소 1개월에 1번 정도만 데이터를 수집하고, 서비스 사용량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분석하고자 하는 기간 및 정밀도 등에 따라 데이터의 수집 횟수의 최소량을 변경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기간별 사용량 분석 및 월별 사용량에 따른 과금 및 관리 등의 목적으로 검침데이터처리장치(50)로 전달되어 처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원격검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은, 계량기로부터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용량을 측정하여 과금하거나 사용분석에 따라 설비의 유지 및 보수 관리 등을 주목적으로 한다. 최근 IT 기술의 발전과 문화생활이 향상됨에 따라 원격 검침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이는 수용가의 사용패턴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원격검침 데이터를 이용하여 거주자의 사용패턴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DLMS(Device Language Message Specification) 체계에 기반하여 수용가의 각종 계량기로부터 원격으로 데이터를 수집한 후 수집된 계량데이터를 이용하여 거주자의 사용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패턴이 설정된 기준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지정된 경로를 통해 거주자의 이상상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계량데이터를 이용한 사용패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계량데이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누적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계량기; 상기 디지털 계량기로부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계량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데이터수집장치; 상기 데이터수집장치를 통해 수집한 각 계량기의 계량데이터를 처리하는 검침데이터처리장치; 및 상기 검침데이터처리장치를 통해 수용가의 계량데이터를 전달받아 계량데이터를 통해 거주자의 사용량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량 패턴과 미리 저장된 기준범위를 상호 비교하여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미리 지정된 경로를 통해 이상상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패턴분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분석장치는, 상기 거주자의 인적정보와 보호자의 인적정보 및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용량의 기준범위 데이터가 저장된 거주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검침데이터처리장치와 통신하여 해당 거주자의 계량데이터를 전달받는 통신수단; 상기 계량데이터를 통해 거주자의 사용량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량 패턴이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사용량에 대한 기준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상상태 메시지를 생성하는 패턴처리기; 및 상기 패턴처리기를 통해 생성된 이상상태 발생 메시지가 해당 보호자의 모바일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메시지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턴처리기는, 상기 검침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계량데이터를 통해 거주자의 시간대별 또는 일별 사용량 패턴을 분석하는 패턴분석부; 상기 패턴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사용량 패턴과 거주자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해당 거주자의 기준범위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사용량 패턴이 설정된 기준범위를 벗어났는지를 판단하는 패턴비교부; 및 상기 패턴비교부의 판단결과 사용량 패턴이 기준범 위를 벗어날 경우에 그에 해당하는 이상상태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되, 거주자의 보호자에 대한 인적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생성된 이상상태 발생 메시지와 함께 메시지전달수단으로 출력하는 메시지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패턴처리기는 사용패턴을 분석하고자 하는 거주자의 인적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주기적으로 추출하고 검침데이터처리장치에 해당 거주자의 계량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데이터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방법은, 패턴분석장치가 특정 수용가의 디지털 계량기로부터 수집한 계량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계량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 이용에 따른 거주자의 시간대별 또는 일별 사용량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사용량 패턴과 미리 설정된 사용량에 대한 기준범위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사용량 패턴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량 패턴이 기준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상상태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량데이터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일정시간 간격으로 누적된 사용량과 그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상상태 발생 메시지를 생성할 때, 거주자의 보호자에 대한 인적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해당 보호자의 모바일단말기로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용가의 각종 계량기로부터 원격으로 데이터를 수집한 후 수집된 계량데이터를 이용하여 거주자의 사용패턴을 분석함으로써, 거주자의 계량데이터의 패턴 분석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고, 또한 외부 출입이 어려운 독거노인, 장애인 등의 거주자의 정상적인 사용패턴과 비교하여 이러한 패턴에서 벗어나는 경우 거주자의 안위 등을 판단하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어 거주자의 이상상태 발생시 위험 상황을 보다 신속하게 파악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량데이터를 이용한 사용패턴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계량기(110), 데이터수집장치(130), 검침데이터처리장치(150) 및 패턴분석장치(2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계량기(110)는 전력, 수도, 가스, 온수, 열량 등의 서비스 이용에 따라 누적된 사용량을 측정하는 디지털 계량기이다. 즉, 상기 계량기(110)는 DLMS기반 계량기인데, DLMS 계량기(110)는 전력, 수도, 가스, 온수, 열량 등을 IEC 62056 국제표준규격에 따라 계량 값을 측정하는 기기이다. 상기 DLMS(Device Language Message Specification)는 IEC 62056 국제표준규격에 따른 계량기의 데이터 모델링, 메시지 구성 및 전달 방식에 관한 계량기의 통신 호환성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이다.
데이터수집장치(130)는 디지털 계량기(110)로부터 계량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로서 검침데이터처리장치(150)의 요구에 따라 수집된 데이터를 전달하며, 송신기와 중계기, 집중기(CDMA 모뎀) 등의 기기가 이에 속한다.
검침데이터처리장치(150)는 데이터수집장치(130)를 통해 수집한 계량기(110)의 계량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AMR(Automatic Meter Reading) 서버, 웹서버, 및 과금 시스템 등이 이에 속한다.
즉, 데이터수집장치(130)는 단순 검침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최소 1개월에 1번 정도로 계량 데이터를 수집하지만, 사용량 분석이나 사용패턴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분석하고자 하는 기간 및 정밀도 등에 따라 데이터의 수집 주기를 1시간, 반일, 1일, 3일 또는 1주에 1번 정도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계량기(110)의 경우 시간정보와 함께 서비스 사용량을 15분 단위로 측정 및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데이터수집장치(130)는 최소 15분 주기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계량기(11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는 기간별 사용량 분석과 과금 및 사용패턴 분석 등의 목적으로 검침데이터처리장치(150)로 전달된다.
상기 패턴분석장치(200)는 검침데이터처리장치(150)로부터 수용가의 계량데이터를 전달받아 계량데이터를 통해 거주자의 사용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패 턴과 미리 저장된 기준 사용패턴을 상호 비교하여 일정기준 범위를 벗어날 경우 미리 지정된 경로를 통해 이상상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디지털 계량기(110)의 경우 서비스 이용에 따른 누적 사용량과 그 시간 정보를 15분 단위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패턴분석장치(200)는 수집 주기에 관계없이 15분 단위로 사용량에 따른 생활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패턴분석장치(200)는 거주자 데이터베이스(210), 통신수단(230), 패턴처리기(250) 및 메시지전달수단(27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거주자 데이터베이스(210)는 거주자의 인적정보와 보호자의 인적정보 및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용량의 기준범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기준범위 데이터는 거주자의 시간대별 또는 일별 최소 사용량과 최대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이다.
통신수단(230)은 검침데이터처리장치(15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생활 패턴을 분석하고자 하는 해당 거주자의 계량데이터를 전달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패턴처리기(250)는 계량데이터를 통해 사용량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량 패턴과 미리 저장된 기준범위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일정기준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상상태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패턴처리기(2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요청부(251), 패턴분석부(252), 패턴비교부(253) 및 메시지생성부(25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데이터요청부(251)는 사용패턴을 분석하고자 하는 거주자의 인적정 보를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주기적으로 추출하고 검침데이터처리장치(150)에 해당 거주자의 계량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패턴분석부(252)는 데이터요청부(251)의 요청에 따라 검침데이터처리장치(150)로부터 전송된 계량데이터를 통해 거주자의 시간대별 또는 일별 사용량 패턴을 분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패턴비교부(253)는 패턴분석부(252)를 통해 분석된 사용량 패턴과 거주자 데이터베이스(210)에 미리 저장된 해당 거주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기준범위 데이터 또는 이전 사용량 데이터와 상호 비교하여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패턴비교부(253)는 해당 거주자의 사용량 패턴이 일정기준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판단결과 데이터와 거주자의 인적정보를 메시지생성부(254)로 출력한다.
메시지생성부(254)는 패턴비교부(253)를 통해 판단된 결과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이상상태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되, 거주자의 보호자에 대한 인적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추출하여 추출된 보호자의 인적정보와 이상상태 발생 메시지를 메시지전달수단(270)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메시지전달수단(270)은 메시지생성부(254)를 통해 생성된 이상상태 발생 메시지가 해당 보호자의 모바일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이동통신시스템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신시스템(미 도시됨)은 메시지전달수단(270)으로부터 전달된 이상상태 발생 메시지를 모바일용 문자메시지 형태로 생성한 후 해당 보호자의 모바일단말기로 생성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 이는 모바일용 문 자메시지(SMS)를 생성하는 SMS 센터와 모바일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저장된 HLR, 이동전화교환국(MSC), 및 기지국(BSC)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 같은 이동통신시스템은 일반적인 기술사항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수집장치(130)에서 수집된 계량데이터가 검침데이터처리장치(150)를 통해 패턴분석장치(200)로 전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원격검침이 거주자의 사용패턴을 분석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수집장치(130)가 수집된 계량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패턴분석장치(200)로 직접 전송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계량데이터를 이용한 사용패턴 분석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로서,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전력량계, 수도미터, 가스미터와 같은 DLMS기반 계량기(110)는 최소 15분 단위로 거주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누적된 계량데이터와 그 시간정보를 측정하여 저장하면, 이를 데이터수집장치(130)에서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검침데이터처리장치(150)로 전달한다. 상기 계량기(110)의 계량데이터의 저장 주기와 데이터수집장치(130)의 수집 주기는 분석하고자 하는 기간 및 정밀도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패턴분석장치(200)의 데이터요청부(251)는 검침데이터처리장치(150)에 특정 거주자의 원격검침 계량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면, 검침데이터처리장치(150)는 해당 거주자의 계량데이터를 추출하여 패턴분석장치(200)로 전달한다(S1). 물론, 검침데이터처리장치(150)에 분석 대상 거주자들의 정보와 분석 주 기를 저장하고, 그 주기에 따라 해당 거주자들의 계량기(110)로부터 원격 검침한 계량데이터가 패턴분석장치(200)로 일괄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 패턴분석장치(200)의 패턴분석부(252)는 검침데이터처리장치(150)로부터 전송된 계량데이터를 통해 거주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시간대별 또는 일별 사용량 패턴을 분석하고(S2), 패턴비교부(253)는 패턴분석부(252)를 통해 분석된 시간대별 또는 일별 사용량 패턴과 거주자 데이터베이스(210)에 미리 저장된 해당 거주자의 시간대별 또는 일별 기준 사용량 범위나 또는 이전 사용량 범위와 상호 비교하여 거주자의 사용량이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한다(S3).
상기 패턴비교부(253)는 해당 거주자의 사용량 패턴이 일정기준 범위에 미달하거나 초과할 경우에(S4), 판단결과 데이터와 거주자의 인적정보를 메시지생성부(254)로 출력한다. 예컨대, 전기나 가스 또는 수도 사용량이 설정된 기준범위에 미치지 못하거나 초과할 경우 이는 거주자의 생활 패턴이 변경됨과 아울러 이상상태가 발생된 것으로 추정한다.
이와 같이 전기나 가스 또는 수도 사용량이 설정된 기준범위를 벗어날 경우 메시지생성부(254)는 판단된 결과에 따른 이상상태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되, 거주자를 보호하는 보호자나 관계자의 인적정보(예를들면, 모바일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추출하여 추출된 보호자의 인적정보와 이상상태 발생 메시지를 메시지전달수단(270)로 출력한다(S5).
이에 따라, 메시지전달수단(270)은 메시지생성부(254)를 통해 생성된 이상상태 발생 메시지가 해당 보호자의 모바일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이동통신시스템으로 전달하고(S6), 이동통신시스템은 메시지전달수단(270)으로부터 전달된 이상상태 발생 메시지를 모바일용 문자메시지 형태로 생성한 후 해당 보호자의 모바일단말기로 생성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여 거주자의 이상상태를 통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격검침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거주자의 사용패턴을 분석하고, 데이터 패턴이 정해진 한계 설정치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태정보를 전달하여 거주자의 안위에 문제 등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아울러, 거주자의 동의에 따라 사생활을 침범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집된 상태정보는 외부에서 거주자의 정상적인 생활여부 등을 판단해 줄 수 있는 판단근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특히 외부 출입이 어려운 독거노인, 장애인 등의 거주자의 정상적인 소비패턴을 분석하고 이러한 패턴에서 벗어나는 경우 거주자의 안위 등을 판단하는 정보로 활용되어 외부 지원서비스와 연계되는 신개념의 복지지원서비스 또는 서비스 공급업자의 설비유비 보수 및 관리 등으로 응용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계량기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량데이터를 이용한 사용패턴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량데이터를 이용한 사용패턴 분석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계량기 130: 데이터수집장치
150: 검침데이터처리장치 200: 패턴분석장치
210: 거주자 데이터베이스 230: 통신수단
250: 패턴처리기 251: 데이터요청부
252: 패턴분석부 253: 패턴비교부
254: 메시지생성부 270: 메시지전달수단

Claims (7)

  1.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계량데이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누적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계량기;
    상기 디지털 계량기로부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계량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데이터수집장치;
    상기 데이터수집장치를 통해 수집한 각 계량기의 계량데이터를 처리하는 검침데이터처리장치; 및
    상기 검침데이터처리장치를 통해 수용가의 계량데이터를 전달받아 계량데이터를 통해 거주자의 사용량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량 패턴과 미리 저장된 기준범위를 상호 비교하여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미리 지정된 경로를 통해 이상상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패턴분석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패턴분석장치는,
    상기 거주자의 인적정보와 보호자의 인적정보 및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용량의 기준범위 데이터가 저장된 거주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검침데이터처리장치와 통신하여 해당 거주자의 계량데이터를 전달받는 통신수단; 상기 계량데이터를 통해 거주자의 사용량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량 패턴이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사용량에 대한 기준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상상태 메시지를 생성하는 패턴처리기; 및 상기 패턴처리기를 통해 생성된 이상상태 발생 메시지가 해당 보호자의 모바일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메시지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처리기는, 상기 사용량 패턴이 기준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그에 해당하는 이상상태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되, 거주자의 보호자에 대한 인적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생성된 이상상태 발생 메시지와 함께 메시지전달수단으로 출력하는 메시지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데이터를 이용한 사용패턴 분석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패턴분석장치가 특정 수용가의 디지털 계량기로부터 수집한 계량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계량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 이용에 따른 거주자의 시간대별 또는 일별 사용량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사용량 패턴과 미리 설정된 사용량에 대한 기준범위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사용량 패턴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량 패턴이 기준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상상태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상태 발생 메시지를 생성할 때, 거주자의 보호자에 대한 인적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해당 보호자의 모바일단말기로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데이터를 이용한 사용패턴 분석 방법.
  6. 삭제
  7. 삭제
KR20080021899A 2008-03-10 2008-03-10 계량데이터를 이용한 사용패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64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1899A KR100964108B1 (ko) 2008-03-10 2008-03-10 계량데이터를 이용한 사용패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1899A KR100964108B1 (ko) 2008-03-10 2008-03-10 계량데이터를 이용한 사용패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837A KR20090096837A (ko) 2009-09-15
KR100964108B1 true KR100964108B1 (ko) 2010-06-16

Family

ID=4135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21899A KR100964108B1 (ko) 2008-03-10 2008-03-10 계량데이터를 이용한 사용패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1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8697B2 (en) 2012-05-08 2017-10-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ensor node with periodic information generation and controlled information transmission
US10277443B2 (en) 2009-08-25 2019-04-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transmitting a fram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synchronization estimation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6113A (ja) * 2004-01-30 2005-08-11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単身者異常検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6113A (ja) * 2004-01-30 2005-08-11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単身者異常検知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7443B2 (en) 2009-08-25 2019-04-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transmitting a fram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synchronization estimation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0484221B2 (en) 2009-08-25 2019-11-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transmitting a fram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synchronization estimation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0972325B2 (en) 2009-08-25 2021-04-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transmitting a fram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synchronization estimation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1848807B2 (en) 2009-08-25 2023-12-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transmitting a fram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synchronization estimation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9798697B2 (en) 2012-05-08 2017-10-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ensor node with periodic information generation and controlled information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837A (ko) 200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5755B2 (ja) 家庭向けを含む電気エネルギー消費の遠隔取得及び分散した目標ユーザの遠隔制御のためのシステム
KR101709795B1 (ko) 전기 유틸리티 그리드의 지능적 모니터링
KR101068862B1 (ko)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
Mir et al. Review on smart electric metering system based on GSM/IOT
KR100791781B1 (ko) 전력량계의 원격검침시스템
KR101768679B1 (ko)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무선원격 검침시스템
KR100622985B1 (ko) 수용가의 도전 및 누전 감시가 가능한 원격검침 시스템
SA515360874B1 (ar) نظام لقياس إستخدام المصدر ومعالجة بيانات الدفع وعمل الفاتورة
KR102165530B1 (ko) 센서 어댑터을 구비한 철도 설비 상태 데이터 수집 시스템
KR20140091332A (ko) 자동 검침 및 관리 시스템의 검침정보 제공 방법
KR20190053433A (ko) 수도 스마트 미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4232461A (ja) 水需要量計測見守りサービス装置
JP4358121B2 (ja) 電力系統監視制御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管理サーバ
KR101243214B1 (ko)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KR100964108B1 (ko) 계량데이터를 이용한 사용패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93142B1 (ko)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을 통한 자율적 의지에 기반한 전기 사용량 절감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98831B1 (ko) 사용자를 위한 공공요금 실시간 원격 검침 시스템
JP2011081673A (ja) 生活変化検出システムおよび生活変化検出方法
Sheeba et al. Real-time monitoring of energy meters using cloud storage
KR20140109596A (ko) 미검침 구간의 검침 데이터 예측 및 보정 방법과 그 장치
KR20140091331A (ko) 자동 검침 및 관리 시스템
KR101473845B1 (ko) 계량기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117794A (ko) 국제 표준 프로토콜에 기반한 가정용 통합검침장치 및 그 방법
KR100971845B1 (ko) 기초생활정보 통합정보 관제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192745B1 (ko)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