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426A - 연료전지의 분리판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의 분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426A
KR20180069426A KR1020160171603A KR20160171603A KR20180069426A KR 20180069426 A KR20180069426 A KR 20180069426A KR 1020160171603 A KR1020160171603 A KR 1020160171603A KR 20160171603 A KR20160171603 A KR 20160171603A KR 20180069426 A KR20180069426 A KR 20180069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eparator
gasket
pane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수진
정병헌
허성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1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9426A/ko
Priority to US15/636,769 priority patent/US10403907B2/en
Publication of KR20180069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426A/ko
Priority to US16/518,693 priority patent/US1118369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01M8/0256Vias, i.e. connectors passing through the separator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6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having heating or cooling means, e.g. heaters or coolant flow chan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3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with sealing or supporting means in the form of a 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6Seal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02E60/5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연료전지의 적층에 의한 조립시 인접하여 맞닿는 양극 또는 음극의 제1분리판패널 및 제2분리판패널; 제1분리판패널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마주하는 제2분리판패널 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제1돌기부; 및 제2분리판패널의 테두리에 형성된 제2돌기부;를 포함하고, 제1분리판패널과 제2분리판패널은 조립시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의 마주하는 측단이 서로 지지됨으로써 측방으로 제1분리판패널 및 제2분리판패널의 조립위치가 규제될 수 있는 연료전지의 분리판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의 분리판 {SEPERATOR FOR FUELCELL}
본 발명은 종래의 분리판 양면에 가스켓을 사출하기 위해 분리판 두께를 2종으로 사용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한 쌍의 분리판을 적층 또는 일체화 시 발생하는 정렬불량을 저감할 수 있으며, 자가정렬 특징을 부여함으로써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연료전지의 분리판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이하 연료전지) 스택은 단위 전지가 반복적으로 적층되고, 단위 전지는 막-전극접합체(Membrane Electrolyte Assembly; MEA), 기체확산층(Gas Diffusion Layer; GDL), 분리판(Separator), 및 가스켓(Gasket)으로 구성되며, 원가 절감 및 스택 조립성, 양산성 향상을 위하여 상기 요소 부품의 간략화, 부품 간 일체화가 대두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연료전지 스택은 가스켓이 한 면에만 사출된 분리판과 양면에 사출된 분리판이 교차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종래 기술은 양면 사출 성형 시 분리판 변형으로 인해 분리판 두께를 증가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양극과 음극 분리판의 네 모서리에 스팟 용접을 통한 분리판의 일체화로 인해 분리판간 정렬 불량 및 접합 불량이 발생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601408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의 분리판 양면에 가스켓을 사출하기 위해 분리판 두께를 2종으로 사용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한 쌍의 분리판을 적층 또는 일체화 시 발생하는 정렬불량을 저감할 수 있으며, 자가정렬 특징을 부여함으로써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연료전지의 분리판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분리판은, 연료전지의 적층에 의한 조립시 인접하여 맞닿는 양극 또는 음극의 제1분리판패널 및 제2분리판패널; 제1분리판패널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마주하는 제2분리판패널 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제1돌기부; 및 제2분리판패널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마주하는 제1분리판패널 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제2돌기부;를 포함하고, 제1분리판패널과 제2분리판패널은 조립시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의 마주하는 측단이 서로 지지됨으로써 측방으로 제1분리판패널 및 제2분리판패널의 조립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제2돌기부는 제1돌기부보다 연료전지의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분리판은, 제1분리판패널의 제1돌기부가 형성된 지점에서 제2분리판패널을 바라보는 면의 반대면에 결합된 제1가스켓; 및 제2분리판패널의 제2돌기부가 형성된 지점에서 제1분리판패널을 바라보는 면의 반대면에 결합된 제2가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부의 최상단은 제2분리판패널을 지지하고, 제2돌기부의 최상단은 제1분리판패널을 지지할 수 있다.
제1돌기부의 최상단은 제2분리판패널과 고정되고, 제2돌기부의 최상단은 제1분리판패널과 고정될 수 있다.
제1돌기부 또는 제2돌기부는 최상단이 평면을 이루고, 최상단의 평면을 통해 제2분리판패널 또는 제1분리판패널을 지지할 수 있다.
제1돌기부 또는 제2돌기부는 돌출된 부분에서 제1홈 또는 제2홈을 형성하고, 제1가스켓 또는 제2가스켓은 제1홈 또는 제2홈에 채워질 수 있다.
제1가스켓 또는 제2가스켓은 대응되는 분리판에 접촉된 베이스, 베이스에서 대응되는 홈으로 삽입된 삽입부 및 베이스의 삽입부가 형성된 지점에서 삽입부 반대측으로 돌출된 주돌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가스켓 또는 제2가스켓의 베이스에는 주돌출부의 측방에서 주돌출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스켓의 보조돌출부는 제2분리판패널의 제2돌기부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스켓의 보조돌출부는 제1분리판패널의 제1돌기부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주돌출부와 보조돌출부의 돌출된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는 서로 마주하는 측면이 맞닿을 수 있다.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는 서로 마주하는 측면이 이격되고, 이격된 공간에 제3가스켓이 배치될 수 있다.
제3가스켓은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을 측방으로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는 돌출된 부분에서 각각 제1홈 및 제2홈을 형성하고, 제1가스켓 및 제2가스켓은 각각 제1홈 및 제2홈에 채워지며,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1홈 및 제2홈에 채워진 제1가스켓 및 제2가스켓은 관통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분리판패널 및 제2분리판패널 사이에는 냉각수가 유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의 분리판에 따르면, 종래의 분리판 양면에 가스켓을 사출하기 위해 분리판 두께를 2종으로 사용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한 쌍의 분리판을 적층 또는 일체화 시 발생하는 정렬불량을 저감할 수 있으며, 자가정렬 특징을 부여함으로써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로는, 분리판 두께 단일화로 인한 공정 저감 효과 및 원가 저감 효과가 있고, 분리판 두께 저감으로 인한 스택 소형화 및 경량화 효과가 있으며, 자가정렬 구조로 인한 분리판 일체화 공정이 용이해지고, 애노드/캐소드 분리판 간 정렬을 확보하여 분리판 품질 향상과 생산 효율을 높이는(제조 불량 저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분리판의 결합전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분리판이 결합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분리판이 결합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분리판이 결합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분리판의 결합전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분리판이 결합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분리판이 결합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분리판이 결합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분리판은, 연료전지의 적층에 의한 조립시 인접하여 맞닿는 양극 또는 음극의 제1분리판패널(100) 및 제2분리판패널(200); 제1분리판패널(100)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마주하는 제2분리판패널(200) 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제1돌기부(120); 및 제2분리판패널(200)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마주하는 제1분리판패널(100) 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제2돌기부(220);를 포함하고, 제1분리판패널(100)과 제2분리판패널(200)은 조립시 제1돌기부(120)와 제2돌기부(220)의 마주하는 측단이 서로 지지됨으로써 측방으로 제1분리판패널(100) 및 제2분리판패널(200)의 조립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분리판의 결합전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분리판은 먼저 크게 제1분리판패널(100) 및 제2분리판패널(200)로 구성된다. 각각의 분리판패널에는 매니폴드가 형성되고, 분리판패널은 막-전극접합체와 가스확산층이 결합된 반응층(M)에 결합된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음극과 양극을 가지는 연료전지 분리판에 있어서, 각각의 분리판패널에 돌기를 형성시키고 상기 돌기는 냉각면에서 서로 어긋나게 맞물려 한 쌍의 분리판패널이 내/외측 돌기로 인해 자가정렬성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극 또는 음극의 제1분리판패널(100) 및 제2분리판패널(200) 중 제1분리판패널(100)의 테두리에 제1돌기부(120)가 형성되며 제1돌기부(120)는 마주하는 제2분리판패널(200) 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다. 그리고 제2돌기부(220)는 제2분리판패널(200)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마주하는 제1분리판패널(100) 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다. 한편, 제2돌기부(220)는 제1돌기부(120)보다 연료전지의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분리판이 결합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와 같이 제1돌기부(120)와 제2돌기부(220)는 서로 마주하는 측면이 맞닿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체적으로 도 1을 참고하면, 제1돌기부(120)와 제2돌기부(220)는 모두 사각형의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돌기부(220)는 제1돌기부(120)의 테두리 내측으로 끼워지고 제1돌기부(120)와 제2돌기부(220)는 서로 마주하는 측면이 맞닿아 지지함으로써 결국 끼움 조립의 형식으로 제1분리판패널(100) 및 제2분리판패널(200)의 조립위치를 규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로 인해 조립을 할 경우 자가정렬이 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제1분리판패널(100) 제2분리판패널(200) 사이에는 냉각수가 유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돌기부(120)와 제2돌기부(220)의 상호 지지 관계를 통해 냉각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실링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돌기부(120)의 최상단은 제2분리판패널(200)을 지지하고, 제2돌기부(220)의 최상단은 제1분리판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분리판패널(100) 및 제2분리판패널(200)은 측방 위치 규제분만 아니라 상하 위치규제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돌기부(120)의 최상단은 제2분리판패널(200)과 고정되고, 제2돌기부(220)의 최상단은 제1분리판패널(100)과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접이나 접착 등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최초 조립시 위치가 규제되고 그 정해진 위치에서 용접 등을 통해 서로 단단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제1돌기부(120) 또는 제2돌기부(220)는 최상단이 평면을 이루고, 최상단의 평면을 통해 제2분리판패널(200) 또는 제1분리판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평면 형상으로 안정정적으로 서로 지지가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분리판은 도 2와 같이, 제1분리판패널(100)의 제1돌기부(120)가 형성된 지점에서 제2분리판패널(200)을 바라보는 면의 반대면에 결합된 제1가스켓(140); 및 제2분리판패널(200)의 제2돌기부(220)가 형성된 지점에서 제1분리판패널(100)을 바라보는 면의 반대면에 결합된 제2가스켓(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분리판이 결합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구체적으로, 제1돌기부(120) 또는 제2돌기부(220)는 돌출된 부분에서 제1홈 또는 제2홈을 형성하고, 제1가스켓(140) 또는 제2가스켓(240)은 제1홈 또는 제2홈에 채워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돌기부 구조 하나만으로 조립위치도 규제하면서 동시에 실링이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1가스켓(140) 또는 제2가스켓(240)은 제1홈 또는 제2홈에 채워짐으로서 걸림구조를 통해 그 위치가 단단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제1가스켓(140) 또는 제2가스켓(240)은 대응되는 분리판에 접촉된 베이스(B), 베이스(B)에서 대응되는 홈으로 삽입된 삽입부(B1) 및 베이스(B)의 삽입부(B1)가 형성된 지점에서 삽입부(B1) 반대측으로 돌출된 주돌출부(B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가스켓(140) 또는 제2가스켓(240)의 베이스(B)에는 주돌출부(B2)의 측방에서 주돌출부(B2)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돌출부(B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주돌출부(B2)는 삽입부(B1)를 통해 그 위치가 걸림구조로 유지되며, 보조돌출부(B3)와 함께 완벽히 실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베이스(B), 삽입부(B1), 주돌출부(B2), 보조돌출부(B3) 등은 분리판패널이 인서트된 상태에서 사출하여 하나의 일체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1가스켓(140)의 보조돌출부(B3)는 제2분리판패널(200)의 제2돌기부(220)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고, 제2가스켓(240)의 보조돌출부(B3)는 제1분리판패널(100)의 제1돌기부(120)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조돌출부(B3)는 주돌출부(B2)와 함께 2중의 실링을 하면서 동시에 반대편의 주돌출부(B2)를 상항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도 함으로써 역학적으로 연료전지 내부에서 가장 강력한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주돌출부(B2)와 보조돌출부(B3)의 돌출된 높이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주돌출부(B2)와 보조돌출부(B3)에는 동일한 압축 하중이 작용하고 이를 통해 하중적인 측면에서 균형을 이루며 응력의 집중을 방지하여 결국 연료전지의 실링에 관한 내구성을 확보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분리판이 결합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제1돌기부(120)와 제2돌기부(220)는 서로 마주하는 측면이 이격되고, 이격된 공간에 제3가스켓(B5)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가스켓(B5)은 제1돌기부(120)와 제2돌기부(220)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을 측방으로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리판패널의 각 돌기부 사이 냉각면에 O-ring 타입의 가스켓을 삽입하여 스택 구조의 강성과 기밀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조립 위치에서 약간의 공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제3가스켓(B5)이 흡수하도록 함으로서 적층과정에서의 공차를 없애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분리판이 결합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제1돌기부(120)와 제2돌기부(220)는 돌출된 부분에서 각각 제1홈 및 제2홈을 형성하고, 제1가스켓(140) 및 제2가스켓(240)은 각각 제1홈 및 제2홈에 채워지며, 제1돌기부(120)와 제2돌기부(220)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에 관통홀(142,242)이 형성되고, 제1홈 및 제2홈에 채워진 제1가스켓(140) 및 제2가스켓(240)은 관통홀(142,242)을 통해 서로 연결(B1')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분리판패널의 돌출부에 피어싱 홀을 형성하여 가스켓 소재를 채워넣음으로써 스택 구조의 강성과 기밀 성능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만약 일측으로 편향된 힘이 작용하더라도 제1가스켓(140)과 제2가스켓(240)이 서로 당기고 있기에 실링이 절대 무너지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의 분리판에 따르면, 종래의 분리판 양면에 가스켓을 사출하기 위해 분리판 두께를 2종으로 사용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한 쌍의 분리판을 적층 또는 일체화 시 발생하는 정렬불량을 저감할 수 있으며, 자가정렬 특징을 부여함으로써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로는, 분리판 두께 단일화로 인한 공정 저감 효과 및 원가 저감 효과가 있고, 분리판 두께 저감으로 인한 스택 소형화 및 경량화 효과가 있으며, 자가정렬 구조로 인한 분리판 일체화 공정이 용이해지고, 애노드/캐소드 분리판 간 정렬을 확보하여 분리판 품질 향상과 생산 효율을 높이는(제조 불량 저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제1분리판패널 200 : 제2분리판패널
120 : 제1돌기부 220 : 제2돌기부
140 : 제1가스켓 240 : 제2가스켓

Claims (16)

  1. 연료전지의 적층에 의한 조립시 인접하여 맞닿는 양극 또는 음극의 제1분리판패널 및 제2분리판패널;
    제1분리판패널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마주하는 제2분리판패널 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제1돌기부;
    제2분리판패널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마주하는 제1분리판패널 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제2돌기부;를 포함하고,
    제1분리판패널과 제2분리판패널은 조립시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의 마주하는 측단이 서로 지지됨으로써 측방으로 제1분리판패널 및 제2분리판패널의 조립위치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분리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돌기부는 제1돌기부보다 연료전지의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분리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분리판패널의 제1돌기부가 형성된 지점에서 제2분리판패널을 바라보는 면의 반대면에 결합된 제1가스켓; 및
    제2분리판패널의 제2돌기부가 형성된 지점에서 제1분리판패널을 바라보는 면의 반대면에 결합된 제2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분리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돌기부의 최상단은 제2분리판패널을 지지하고, 제2돌기부의 최상단은 제1분리판패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분리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돌기부의 최상단은 제2분리판패널과 고정되고, 제2돌기부의 최상단은 제1분리판패널과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분리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돌기부 또는 제2돌기부는 최상단이 평면을 이루고, 최상단의 평면을 통해 제2분리판패널 또는 제1분리판패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분리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돌기부 또는 제2돌기부는 돌출된 부분에서 제1홈 또는 제2홈을 형성하고, 제1가스켓 또는 제2가스켓은 제1홈 또는 제2홈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분리판.
  8.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가스켓 또는 제2가스켓은 대응되는 분리판에 접촉된 베이스, 베이스에서 대응되는 홈으로 삽입된 삽입부 및 베이스의 삽입부가 형성된 지점에서 삽입부 반대측으로 돌출된 주돌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분리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가스켓 또는 제2가스켓의 베이스에는 주돌출부의 측방에서 주돌출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분리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가스켓의 보조돌출부는 제2분리판패널의 제2돌기부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거나 또는 제2가스켓의 보조돌출부는 제1분리판패널의 제1돌기부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분리판.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주돌출부와 보조돌출부의 돌출된 높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분리판.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는 서로 마주하는 측면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분리판.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는 서로 마주하는 측면이 이격되고, 이격된 공간에 제3가스켓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분리판.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3가스켓은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을 측방으로 각각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분리판.
  15.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는 돌출된 부분에서 각각 제1홈 및 제2홈을 형성하고, 제1가스켓 및 제2가스켓은 각각 제1홈 및 제2홈에 채워지며,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1홈 및 제2홈에 채워진 제1가스켓 및 제2가스켓은 관통홀을 통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분리판.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분리판패널 및 제2분리판패널 사이에는 냉각수가 유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분리판.
KR1020160171603A 2016-12-15 2016-12-15 연료전지의 분리판 KR20180069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603A KR20180069426A (ko) 2016-12-15 2016-12-15 연료전지의 분리판
US15/636,769 US10403907B2 (en) 2016-12-15 2017-06-29 Separator for a fuel cell
US16/518,693 US11183697B2 (en) 2016-12-15 2019-07-22 Separator for a fuel cell including a first separator plate regulating an assembly position of a second separator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603A KR20180069426A (ko) 2016-12-15 2016-12-15 연료전지의 분리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426A true KR20180069426A (ko) 2018-06-25

Family

ID=6256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603A KR20180069426A (ko) 2016-12-15 2016-12-15 연료전지의 분리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403907B2 (ko)
KR (1) KR2018006942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2637B2 (ja) * 2016-08-16 2020-04-15 Nok株式会社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一体ガスケットの製造方法
DE202017107797U1 (de) * 2017-12-20 2019-03-25 Reinz-Dichtungs-Gmbh Elektrochemisches System
US11888103B2 (en) * 2019-04-09 2024-01-30 Nok Corporation Separator-integrated gasket
DE102022201767A1 (de) * 2022-02-21 2023-08-24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Fluidführungskörper, Fluidführungsstapel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luidführungsstapel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0962B1 (en) * 2000-02-24 2004-05-25 Micron Technology, Inc. Tape stiffener, semiconductor device component assemblies including same, and stereolithographic methods for fabricating same
WO2004051765A2 (en) * 2002-12-04 2004-06-17 Lynntech Power Systems,Ltd. Self-aligning components for electrochemical cells
JP5344786B2 (ja) * 2005-12-21 2013-11-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CA2664993A1 (en) * 2006-10-05 2008-04-17 Dic Corporation Fuel cell bipolar plate, and fuel cell
KR100993638B1 (ko) * 2007-07-20 2010-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금속분리판
US8227145B2 (en) * 2008-03-18 2012-07-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terlockable bead seal
TW200947792A (en) * 2008-05-07 2009-11-16 Optodisc Technology Corp Sealing structure of fuel cell
FR2977724B1 (fr) * 2011-07-08 2013-08-23 Helion Plaque de pile a combustible et pile a combustible
JP5780401B2 (ja) * 2011-09-02 2015-09-16 Nok株式会社 プレート一体型ガスケット
KR101601408B1 (ko) 2014-04-16 201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가스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41632A1 (en) 2019-11-07
US10403907B2 (en) 2019-09-03
US20180175403A1 (en) 2018-06-21
US11183697B2 (en)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3697B2 (en) Separator for a fuel cell including a first separator plate regulating an assembly position of a second separator plate
JP5026708B2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セ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KR102612762B1 (ko) 전기 화학적 시스템
KR101416390B1 (ko) 연료 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및 이에 적용되는 가스켓 어셈블리
JP2019003830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US10629937B2 (en) Fuel cell separator member and fuel cell stack
KR101601382B1 (ko) 연료전지 스택의 금속분리판
JP2018129174A (ja) 燃料電池用金属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発電セル
US20160190610A1 (en) Membrane electrode assembly with frame, fuel cell single cell, and fuel cell stack
US9318753B2 (en) Fuel cell
JP2011040359A (ja) 燃料電池用ガス拡散層一体型ガスケット
JP2006331783A (ja) 燃料電池用単セル
US10707497B2 (en) Fuel cell
KR101889201B1 (ko) 연료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연료 전지
JP2015225840A (ja) 燃料電池
JP2015191802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6658486B2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燃料電池
JP5664457B2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プレート、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プレートの製造方法
JP2006040791A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セル
JP2018045882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KR101845138B1 (ko) 기밀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킨 레독스 흐름전지
KR101270456B1 (ko) 외부 매니폴드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센터 플레이트 시스템
KR100909685B1 (ko) 연료전지의 센터플레이트 제조방법
JP2022024498A (ja) 燃料電池
KR100671425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