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685A -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685A
KR20180068685A KR1020160170618A KR20160170618A KR20180068685A KR 20180068685 A KR20180068685 A KR 20180068685A KR 1020160170618 A KR1020160170618 A KR 1020160170618A KR 20160170618 A KR20160170618 A KR 20160170618A KR 20180068685 A KR20180068685 A KR 20180068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molten steel
edge dam
field generator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성
박철민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0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8685A/ko
Publication of KR20180068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4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 B22D11/115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by using magnet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22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two cast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 B22D11/181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 B22D11/18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by using electric, magnetic, sonic or ultras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는, 에지댐,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에지댐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용강에 전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자계 발생 장치; 및 상기 자계 발생 장치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자계 발생 장치를 통해 전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전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하는 전원 공급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자계 발생 장치는 상기 에지댐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지점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SKULL FORMATION IN TWIN ROLL STRIP CASTING}
본 발명은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쌍롤 박판 주조공정은 두 개의 회전하는 주조롤에 용강을 공급하여 그 용강으로부터 박판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쌍롤식 박판 주조기는 용강을 턴디쉬로부터 노즐을 통해 한 쌍의 주조롤 사이로 균일하게 공급받고, 한 쌍의 주조롤을 회전시키면, 냉각되고 있는 각 주조롤의 표면에서 형성된 용강의 응고층들이 최근 접점에서 합체되어 일정한 두께의 주편이 연속적으로 제조된다.
이때, 한 쌍의 주조롤의 양측 단부에는 용강의 유출을 막기 위하여 한 쌍의 에지댐이 설치되며, 주조 전에 예열된 에지댐의 가동면에는 주조롤 사이로 공급된 고온의 용강과 수냉되는 주조롤이 동시에 접촉된다. 이 경우, 에지댐 표면 중 주조롤과의 접촉면은 곧 냉각되어 주위에 열손실이 발생하게 되므로 용강이 쉽게 응고될 수 있는 조건이 된다.
이에 따라. 기존의 쌍롤식 박판 주조기에서, 에지댐의 가동면에는 용강이 응고되어 스컬(skull), 즉 에지 스컬, 탕면 스컬 및 하부 스컬 등이 생성되며, 이러한 스컬은 에지댐의 표면에서 성장하게 되고, 그 중 에지 스컬은 주조 중 성장과 탈락을 반복하다가 주편의 에지부에 혼입되어 주편의 품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용강 온도의 저하 등으로 스컬이 대형화되어 용강에 혼입하게 되면 판파단 등 주조 안정성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에지댐의 구성에 있어서 열전도율이 일정수준 이하로 낮은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용강의 열손실을 저감하고 응고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일본 특허 특개 제2001-150106호에서는 에지댐의 하단부에 가는 금속관을 설치하고 이 관을 통해 에지댐 하단부에서 불활성 기체를 용강에 취입하여 용강의 응고를 방지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에지댐을 일정한 진폭으로 진동시켜 스컬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기술로, 국내 공개특허 제2011-0075388호에서 에지댐을 수평 진동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고, 국내 공개특허 2011-0072494에서는 스컬의 형태나 생성위치에 따라 진자 진동, 수평진동, 수직진동을 변경하여 적용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컬 저감 방법에 있어서, 용강의 흐름이 정체될 경우에는 열전도가 낮은 에지댐 재질이 스컬 생성과 성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작으며,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는 경우는 주로 에지댐 하부 스컬을 저감하는 데는 효과가 있으나, 에지댐 탕면에서 용강흐름의 정체가 발생되는 경우에 스컬이 대형화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며, 특히 주조롤과 에지댐이 접촉되는 탕면의 모서리 부위에 크게 성장되어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되는 에지 스컬의 성장을 저감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리적인 진동에 의해 스컬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스컬의 저감면에서는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용강의 응고특성과 관련된 외란에 의해 에지댐의 수평 진동이 정지되거나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스컬 생성 및 혼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9-0060737호 공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비접촉식의 전자석을 이용하여 에지댐과 용강과 주조롤이 접촉하는 부위에 전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용강 흐름을 촉진시킴으로써, 용강의 정체 및 응고에 의한 스컬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에지댐,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에지댐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용강에 전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자계 발생 장치; 및 상기 자계 발생 장치 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자계 발생 장치를 통해 전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전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하는 전원 공급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자계 발생 장치는 상기 에지댐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지점을 따라 배치되는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가 제안된다.
상기 자계 발생 장치는 상기 에지댐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경계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계 발생 장치는, 상기 에지댐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 주조롤중 일측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경계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1 전자기장 발생기; 및 상기 에지댐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 주조롤중 타측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경계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2 전자기장 발생기; 를 포함할 수 잇다.
상기 자계 발생 장치의 복수의 전자석 각각은, 상기 에지댐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경계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배치되는 전자석 코어; 및 상기 전자석 코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장치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 전자석 코일;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장치는, 상기 자계 발생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의 세기를 시간 경과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장치는, 상기 자계 발생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의 세기를 시간 경과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가변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장치는, 상기 자계 발생 장치의 복수개의 전자석 각각에 이동 자장 형성을 위한 위상차를 갖는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생성기; 상기 전원 생성기의 교류 전원의 전류 크기를 가변하는 전류 가변기; 및 상기 자계 발생 장치의 복수개의 전자석 각각에 이동 자장 형성을 갖는 교류 전원이 공급되록 상기 전원 생성기를 제어하고, 상기 전류 가변기를 통해 상기 자계 발생 장치의 복수개의 전자석 각각에 공급되는 전류 세기를 제어하는 전원공급 제어기;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해, 에지댐,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지점을 따라 배치된 자계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을 저감하는 방법에 있어서, 위상차를 갖는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위상차를 갖는 교류 전원에 따라, 상기 에지댐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지점을 따라 전자기장에 의한 이동자장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에지댐,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서 형성되는 이동 자장에 의해, 용강의 유동이 촉진되어 스컬 발생이 저감되는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생성 저감 방법이 제안된다.
상기 이동자장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에지댐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경계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을 따라 시간경과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이동자장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비접촉식의 전자석을 이용하여 에지댐과 용강과 주조롤이 접촉하는 부위에 전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용강 흐름을 촉진시킴으로써, 용강의 정체 및 응고에 의한 스컬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편에 스컬의 혼입을 저감하여 주편 에지부 품질과 주조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주조롤 등의 설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쌍롤 박판 주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도 2의 롤 박판 주조기에서의 스컬 발생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쌍롤 박판 주조기에서의 용강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석의 일 배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석의 다른 일 배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석의 또 다른 일 배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방법을 보이는 일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있어서, 하나의 예로써 설명되는 구조, 형상 및 수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여러 가지 새로운 실시 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전반적인 내용에 비추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의 스컬 저감 장치는, 자계 발생 장치(300) 및 전원 공급장치(400)를 포함한다.
상기 자계 발생 장치(300)는 에지댐(150), 주조롤(110) 및 용강(131)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에지댐(15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에지댐(150)의 내측에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장치(400)는 상기 자계 발생 장치(300)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자계 발생 장치(300)를 통해 전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전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계 발생 장치(300)는, 상기 에지댐(150)의 외측중 스컬 형성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서, 상기 에지댐(150), 주조롤(110) 및 용강(131)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서는, 동일한 부호 및 동일한 기능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불필요한 중복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쌍롤 박판 주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쌍롤 박판 주조기는 용강(131)을 턴디쉬로부터 노즐(120)을 통해 한 쌍의 주조롤(110) 사이로 균일하게 공급되고, 상기 한 쌍의 주조롤(110)이 회전하면서, 냉각되고 있는 각 주조롤(110)의 표면에서 형성된 용강의 응고층들이 최근 접점에서 합체되어 일정한 두께의 주편(140)이 연속적으로 제조된다.
이때, 한 쌍의 주조롤(110)의 양측 단부에는 용강의 유출을 막기 위하여 한 쌍의 에지댐(150)이 설치되며, 주조 전에 예열된 에지댐(150)의 가동면에는 주조롤 사이로 공급된 고온의 용강과 수냉되는 주조롤이 동시에 접촉된다. 이 경우, 에지댐(150) 표면 중 주조롤과의 접촉면은 곧 냉각되어 주위에 열손실이 발생하게 되므로 용강이 쉽게 응고될 수 있다.
도 3의 (a) 및 (b)는 도 2의 롤 박판 주조기에서의 스컬 발생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에지댐(150)의 가동면에는 용강(131)이 응고되어 에지 스컬(skull, 132), 탕면 스컬(134) 및 하부 스컬(133)이 생성될 수 있고, 이러한 스컬은 에지댐(150)의 표면에서 성장하게 되고, 그 중 에지 스컬(132)은 주조 중 성장과 탈락을 반복하다가 주편(140)의 에지부에 혼입되어 주편의 품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용강 온도의 저하 등으로 스컬이 대형화되어 혼입하게 되면 판파단 등 주조 안정성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컬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기술에 의해 저감될 수 있다. 도 3에서, 130은 용강표면(탕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쌍롤 박판 주조기에서의 용강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전원 공급장치(400)가 교류 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에지댐(150)의 외측면(용강의 바깥측)에 설치된 자계 발생 장치(300)에 공급하면, 상기 자계 발생 장치(300)에 의해 생성된 전자기장(301)이 상기 에지댐(150), 주조롤(110) 및 용강(131)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를 따라 상기 에지댐(150)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용강(131)은 상기 에지댐(150)의 상부 즉, 탕면쪽으로의 용강 유동(211)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유도 기전력의 주울열에 의해, 상기 용강이 가열되는 효과도 있다.
이를 통해 노즐에서 공급된 뜨거운 용강이 에지댐 표면에서의 용강 흐름이 추진됨에 따라 용강 정체에 의한 스컬 생성 및 성장이 저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계 발생 장치(300)는 복수개의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 공급장치(400)는, 전원 생성기(410), 전류 가변기(420) 및 전원공급 제어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생성기(410)는 상기 자계 발생 장치(300)의 복수개의 전자석 각각에 이동 자장 형성을 위한 위상차를 갖는 교류 전원(Sac)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류 가변기(420)는 상기 전원 생성기(410)의 교류 전원(Sac)의 전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 제어기(430)는, 상기 자계 발생 장치(300)의 복수개의 전자석 각각에 이동 자장 형성을 갖는 교류 전원(Sac)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생성기(410)를 제어하고, 상기 전류 가변기(420)를 통해 상기 자계 발생 장치(300)의 복수개의 전자석 각각에 공급되는 전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류 전원(Sac)은 상기 자계 발생 장치(300)가 전류로 구동되는 전자석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교류 전류가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석의 일 배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자계 발생 장치(300)는 상기 에지댐(150)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150), 주조롤(110) 및 용강(131)이 서로 접촉하는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에지댐(150)의 지점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계 발생 장치(300)는 직선의 "v"자 형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석의 다른 일 배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자계 발생 장치(300)는 상기 에지댐(150)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150), 주조롤(110) 및 용강(131)이 서로 접촉하는 경계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계 발생 장치(300)는 곡선의 "v"자 형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석의 또 다른 일 배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자계 발생 장치(300)는, 제1 전자기장 발생기(310) 및 제2 전자기장 발생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장치(400)는 상기 제1 전자기장 발생기(310)에 공급하기 위한 제1 교류전원(S10)과 상기 제2 전자기장 발생기(320)에 공급하기 위한 제2 교류전원(S20)을 포함하는 교류전원(Sac)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교류전원(S10)은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구동 신호(S10a~S10h)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교류전원(S20)은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구동 신호(S10a~S10h)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교류전원의 위상차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전자기장 발생기(310)는 복수개의 전자석(310a~310h)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310a~310h)은 상기 에지댐(150)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150), 주조롤(110)중 일측 주조롤 및 용강(131)이 서로 접촉하는 경계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전자기장 발생기(310)의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310a~310h)이 상기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구동 신호(S10a~S10h)를 포함하는 제1 교류전원(S10)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자기장 발생기(310)의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310a~310h)은 위상차의 시간 간격으로 이동하는 전자기장을 발생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310a~310h)이, 상기 에지댐(150)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150), 주조롤(110)중 일측 주조롤 및 용강(131)이 서로 접촉하는 경계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310a~310h)이, 상기 위치차를 갖는 제1 교류전원(S10)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에지댐(150)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150), 주조롤(110)중 일측 주조롤 및 용강(131)이 서로 접촉하는 경계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동되는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하는 전자기장에 의하며, 보다 스컬 발생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자기장 발생기(320)는 복수개의 전자석(320a~320h)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320a~320h)은 상기 에지댐(150)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150), 주조롤(110)중 타측 주조롤 및 용강(131)이 서로 접촉하는 경계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전자기장 발생기(320)의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320a~320h)이 상기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구동 신호(S20a~S20h)를 포함하는 제2 교류전원(S20)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전자기장 발생기(320)의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320a~320h)은 위상차의 시간 간격으로 이동하는 전자기장을 발생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320a~320h)이, 상기 에지댐(150)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150), 주조롤(110)중 타측 주조롤 및 용강(131)이 서로 접촉하는 경계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320a~320h)이, 상기 위치차를 갖는 제2 교류전원(S20)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에지댐(150)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150), 주조롤(110)중 타측 주조롤 및 용강(131)이 서로 접촉하는 경계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동되는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하는 전자기장에 의하며, 보다 스컬 발생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계 발생 장치(300)의 복수의 전자석 각각은, 전자석 코어(301) 및 전자석 코일(3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 코어(301)는 상기 에지댐(150)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150), 주조롤(110) 및 용강(131)이 서로 접촉하는 경계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석 코일(302)은 상기 전자석 코어(301)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장치(40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전원 공급장치(400)는, 상기 자계 발생 장치(300)에 공급하는 전원의 세기를 시간 경과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원 공급장치(400)는, 상기 자계 발생 장치(300)에 공급하는 전원의 세기를 시간 경과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가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전원 공급장치(400)에 의한 교류 전원에 의해서, 상기 자계 발생 장치(300)는 시간 경과에 따라 불규칙적인 세기를 갖는 교류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시간 경과에 따라 불규칙적인 세기를 갖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컬 발생을 더욱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출원 서류에서,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에 대한 설명과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방법에 대한 설명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보완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방법을 보이는 일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방법에서, 먼저 S100 단계에서는, 전원 공급장치(400)에 의해, 위상차를 갖는 교류 전원이 생성되어 자계 발생 장치(300)에 공급될 수 있다.
다음, S200 단계에서는, 상기 자계 발생 장치(300)는, 상기 위상차를 갖는 교류 전원에 따라, 상기 에지댐(150)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150), 주조롤(110) 및 용강(131)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지점을 따라 전자기장에 의한 이동자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에지댐(150), 주조롤(110) 및 용강(131)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서 형성되는 이동 자장에 의해, 용강의 유동이 촉진되고, 스컬 발생이 저감될 수 있다.
50: 에지댐
110: 주조롤
131: 용강
150: 에지댐
300: 자계 발생 장치(300)
301: 전자석 코어
302: 전자석 코일
310: 제1 전자기장 발생기
320: 제2 전자기장 발생기
310a-310h,320a~320h: 복수개의 전자석
310a-310h,320a~320h: 복수개의 전자석
400: 전원 공급장치
410: 전원 생성기
420: 전류 가변기
430: 전원공급 제어기

Claims (9)

  1. 에지댐,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에지댐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용강에 전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자계 발생 장치; 및
    상기 자계 발생 장치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자계 발생 장치를 통해 전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전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하는 전원 공급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자계 발생 장치는 상기 에지댐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지점을 따라 배치되는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발생 장치는
    상기 에지댐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경계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발생 장치는,
    상기 에지댐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 주조롤중 일측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경계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1 전자기장 발생기; 및
    상기 에지댐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 주조롤중 타측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경계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2 전자기장 발생기;
    를 포함하는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발생 장치의 복수의 전자석 각각은,
    상기 에지댐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경계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배치되는 전자석 코어; 및
    상기 전자석 코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장치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 전자석 코일;
    를 포함하는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장치는,
    상기 자계 발생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의 세기를 시간 경과에 따라 가변하는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장치는,
    상기 자계 발생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의 세기를 시간 경과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가변하는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장치는,
    상기 자계 발생 장치의 복수개의 전자석 각각에 이동 자장 형성을 위한 위상차를 갖는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생성기;
    상기 전원 생성기의 교류 전원의 전류 크기를 가변하는 전류 가변기; 및
    상기 자계 발생 장치의 복수개의 전자석 각각에 이동 자장 형성을 갖는 교류 전원이 공급되록 상기 전원 생성기를 제어하고, 상기 전류 가변기를 통해 상기 자계 발생 장치의 복수개의 전자석 각각에 공급되는 전류 세기를 제어하는 전원공급 제어기; 를 포함하는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
  8. 에지댐,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지점을 따라 배치된 자계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을 저감하는 방법에 있어서,
    위상차를 갖는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위상차를 갖는 교류 전원에 따라, 상기 에지댐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지점을 따라 전자기장에 의한 이동자장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에지댐,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서 형성되는 이동 자장에 의해, 용강의 유동이 촉진되어 스컬 발생이 저감되는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장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에지댐의 외측면중 상기 에지댐, 주조롤 및 용강이 서로 접촉하는 경계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을 따라 시간경과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이동자장을 발생하는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방법.
KR1020160170618A 2016-12-14 2016-12-14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 및 방법 KR20180068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618A KR20180068685A (ko) 2016-12-14 2016-12-14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618A KR20180068685A (ko) 2016-12-14 2016-12-14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685A true KR20180068685A (ko) 2018-06-22

Family

ID=6276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618A KR20180068685A (ko) 2016-12-14 2016-12-14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868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737A (ko) 2007-12-10 2009-06-15 주식회사 포스코 전자기장을 이용한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에지스컬 생성저감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737A (ko) 2007-12-10 2009-06-15 주식회사 포스코 전자기장을 이용한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에지스컬 생성저감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00228B (zh) 板坯连铸结晶器流场控制方法
JP5439604B2 (ja) 双ロール式薄板鋳造機のエッジダム水平振動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58363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iving vibration to molten metal in twin roll continuous casting machine
RU2539253C2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токов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в кристаллизаторе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я тонких плоских слябов
KR20180068685A (ko)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스컬 저감 장치 및 방법
JP4591156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US10780490B2 (en) Electromagnetic brak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magnetic brake system
JPS6363300B2 (ko)
US20220258227A1 (en) Casting equipment and casting method
KR20090060737A (ko) 전자기장을 이용한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에지스컬 생성저감 방법 및 그 장치
JP2005230849A (ja) ツイン鋳型を用いた連続鋳造方法、ツイン鋳型用の電磁制動装置及び連続鋳造用鋳型
JP5794259B2 (ja) 引上式連続鋳造装置及び引上式連続鋳造方法
JP2574550B2 (ja) 単ベルト方式連続鋳造装置
JP5369808B2 (ja) 連続鋳造装置及び連続鋳造方法
KR102326865B1 (ko)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KR101186585B1 (ko) 쌍롤식 박판 주조 장치의 에지댐 진동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N110605371B (zh) 一种连铸磁搅拌下溶质负偏析缺陷的控制装置与方法
JP2000271706A (ja) 双ロール式連続鋳造方法とその装置
JP3659329B2 (ja) 溶鋼の流動制御装置
KR19980052158A (ko) 슬라브 연속 주조에서의 용강 유동 균일화 유도 장치
KR101406621B1 (ko) 에지댐의 진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4858037B2 (ja) 連続鋳造用鋳型およびそれを用いた連続鋳造方法
KR20090050188A (ko) 연속주조설비의 슬라브 표면결함 제거방법
KR100314847B1 (ko) 연속주조시 전자기력을 이용한 유동 제어장치
JP2006281314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